•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과 및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6)

CSA에 완벽히 분산이 되는 정도는 IG/ID = 40 이상일 때 분산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5.1]. IG/ID: 40 미만의 값을 갖는 CNT 샘플을 광학 현미경과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해 본 결과 광학 현미경에서는 CNT들이 분산 이 되지 않고 응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편광 현미경에서는 CNT 들이 방향성을 갖지 않아 어두웠다. IG/ID: 40 이상의 값을 갖는 CNT 샘플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해본 결과 응집되어 있지 않고 분산이 잘 되어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고,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해보았을 때에 CNT의 분산이 잘 되어 액정성들 띄기 때문에 밝은 색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Figure 5.2).

이로써 우리는 고품질의 CNT를 합성하였다고 말할 수가 있으며 초강산에 분 산이 되는 CNT는 향후 액정 방사와 CNT 길이 측정을 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다.

Figure 5.1 Correlation between IG/ID and solubility

Figure 5.2 Aseessment of CNT dispersion, a- poor-dispersed CNT,

b- well-dispersed CNT

제 6장. 결 론

본 연구에서는 floating catalyst chemical vapor deposition (FC-CVD) 방 식을 이용하여 고품질 이면서도 생산성이 높은 CNT를 연속 생산하는 방법 및 그 메커니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먼저 2장에서는 액체, 고체의 원료 물 질을 기화시켜 안정적으로 정량 공급하여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다루었고, 3장에서는 와류 현상이 CNT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안정된 원료 공급 상태에서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할 때 고품질의 탄소나노튜브를 연속 합성하기 위해 세가지 원료의 조성비율을 조정하는 실험, 투입속도와 수소유량 조절, 반응기 내 산소를 투과함으로써 비정질탄소 제거 실험을 다루었다. 5장에서는 CNT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초강산인 CSA에 녹여 분산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 2장에서는 냉각수 장치를 투입관 주위에 설치함으로써 연속적인 투입 방 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기화점이 서로 다른 액상 상태의 혼합물이 고온의 반 응기에 들어가게 되면 불규칙적인 기화 현상을 보였고, 우리는 냉각수 장치 를 이용해 혼합물의 기화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하게 하였다. 그로인해 혼 합물은 불규칙적인 기화 현상을 보이지 않았고, 정상적으로 고온 반응기에 연속적인 투입하게 되었다. 우리는 냉각수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원료를 이용 한 물질 합성 시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었다.

제 3장에서는 와류 현상이 CNT 성장에 미치는 현상을 반응기에 사용되는 tube의 재질을 바꿈으로써 확인해보는 실험이다. 두 튜브에서는 동일한 원료 조성으로 합성이 되지 않고 전혀 다른 조성에서 CNT 합성이 되었으며, CNT가 합성되는 유도 시간(Induction time)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를 바탕으로 두 튜브는 재질 상의 열 차이가 나며, 그로 인해 두 튜브간의 와류 현상의 정도가 크게 다르다는 것을 CNT 합성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 었다. 이는 반응기 내 층류가 아닌 와류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는

증거이고, CNT 합성 시 유체 흐름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원료 조성비와 원료 투입속도 및 가스 유량 조절하여 IG/ID가 높은 CNT 연속적으로 합성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워터 버블러 를 통해 CNT 합성시, 산소를 반응기에 투과함으로써 비정질 탄소를 제거하여 전체적인 퀄리티를 향상시켜 고품질의 CNT 합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제 5장에서는 우리가 합성한 CNT의 품질을 확인해보기 위해 CSA에 녹여 분 산 정도를 확인해 보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gd ratio 별로 수집해 분산 테스 트를 실시하였고, 이 후 광학 현미경과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CNT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원료 투입을 기반으로 하여 원료 조성비 실험 과 투입 속도 및 가스 유량, 산화제 첨가를 통해 고품질의 CNT를 합성할 수 있게 되었고, 이 고품질의 CNT는 향후 액정 방사 및 CNT 길이 측정에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CNT의 길이 측정은 직접 방사법을 이용한 CNT의 품질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도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고 품질의 CNT를 연속 합성할 수 있다면 산업적으로 사용되던 물질들의 패러다 임을 완전히 바꿀 수 있을 것이며 인류의 삶을 향상시키는데 밑거름이 될 것 이다.

1. S.Iijima, “Helical microtubles of graphitic carbon”, Nature, 354 (1991) 56.

2. Mei Zhang, Ken R. Atkinson, Ray H. Baughman, “Multifunctional Carbon Nanotube Yarns by Downsizing an Ancient Technology”, Science, 306 (2004) 1358.

3. Ya-Li Li, Ian A. Kinloch, Alan H. Windle, “Direct Spinning of Carbon Nanotube Fibers from Chemical Vapor Deposition Synthesis”, Science, 304 (2004) 276.

4. Virginia A. Davis, A. Nicholas G. Parra-Vasquez, Micah J. Green, Pradeep K. Rai, Natnael Behabtu, Valentin Prieto, Richard D.

Booker, Judith Schmidt, Ellina Kesselman, Wei Zhou, Hua Fan, W.

Wade Adams, Robert H. Hauge, John E. Fischer, Yachin Cohen, Yeshayahu Talmon, Richard E. Smalley and Matteo Pasquali, “True solution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for assembly into macroscopic materials”, Nat nano, 4 (2009) 830.

5. Brigitte Vigolo, Alain Pe ́nicaud, Claude Coulon, Ce ́dric Sauder, Rene ́ Pailler, Catherine Journet, Patrick Bernier, Philippe Poulin, “Macroscopic Fibers and Ribbons of Oriented Carbon Nanotubes”, Science, 29 (2000) 1331.

6. Dmitri E. Tsentalovich, Robert J. Headrick, Francesca Mirri, Junli Hao, Natnael Behabtu, Colin C. Young, and Matteo Pasquali,

“Influence of Carbon Nanotube Characteristics on Macroscopic Fiber Properties”, ACS appl. Mater. Interfaces 9 (2017) 36189.

7. Dmitri E. Tsentalovich, Anson W. K. Ma, J. Alex Lee, Natnael Behabtu, E. Amram Bengio, April Choi, Junli Hao, Yimin Luo,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0-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