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

수입물가의 경우

중국효과

의 존재가 거시적 및 미시적 분석 모두에서 확인된다고 할 수 있다

.

특히 미시 적 분석의 경우 중국 수입비중의 변화가 수입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확인됨은 물론이며

,

중국 수입비중 수준 자체도 물가상 승률 하락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중국 수 입비중의 증가뿐만 아니라 중국 수입비중 수준이 높은 품목에서 수 입물가 상승률이 낮은 현상이 확인되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

하지만 생산자물가의 경우에는 거시적 분석에서는

중국효과

를 확 인할 수 있었지만 미시적 분석에서는 그 실증적 증거가 부족했다

.

미시적 분석에서 중국 수입비중의 변화가 생산자물가 변화에 미치 는 영향은 기대한 바대로 음의 효과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10%

유 의수준 내의 유의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

게다가 전체 분석기간을 두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경우에는 두 기간 모두의 경우에서 중국 수입비중 변화에 대한 추정계수는 기대한 부호를 가지지도 못하였 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

결론적으로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가 수입물가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는 확인22)되었지만 생산자물 가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

22) 여기서 수입물가는 달러 기준 물가이다. 하지만 수입품이 국내에서 소비되는 단 계에서의 수입물가는 원화 기준이므로 원/달러 환율 변화에 따라서 실제 체감되 는 수입물가는 달러 기준 수입물가와 다를 수 있다. 즉 중국 수입비중 증가로 달 러 기준 수입물가가 하락한다 하더라도 원/달러 환율이 상당히 상승하는 경우에 는 국내 소비 주체가 지불하는 금액은 오히려 상승할 수가 있다. 실제로 이런 경 우는 흔하지 않게 발생한다.

이 같은 결과의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우선 불충분한 통제변수를 들 수 있다

.

간접적 효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종속변수 의 변동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적절하고 충분한 수의 통제변수가 필 요하나 개별 상품의 경우 이를 확보하기가 어렵다

.

반면 거시자료의 경우 유가

,

환율 등 다양한 통제변수를 사용할 수 있어 핵심적 설명 변수만의 효과를 추출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

한편 표본에 포 함된 품목들이 전체 수입품목 중 극히 일부분이므로 이로 인해 표본 이 모집단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

통제변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중국 수입비중의 간접적 효과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

가령

시장의 분리

현상도 그 원인의 하나일 수 있다

.

중국 수입품 시장과 국산품 시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

고품질・고가의 국산품과 저품질・저가의 중국 수입품 은 서로 상대하는 수요층이 다르고 따라서 각각의 분리된 시장이 형 성되어 있을 수 있다

.

이 경우 중국 수입비중의 증가가 국내 생산자 에게 의미 있는 가격하락 압력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

한편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기존 문헌들에서 나타나는 결과 들과 비슷한 양상을 지닌다

.

기존 문헌에서도 거시적 수준에서의 분 석의 경우 중국효과(더 나아가 무역 증대가 물가에 미치는 효과)가 뚜렷한 반면 미시적 수준의 분석에서는 불분명한 결과를 나타나는 경향이 많았다

.

이 같은 경향의 원인에 대한 통일된 의견은 없으나 앞에서 언급한 요인들도 원인의 일부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제 5장 요약 및 결론

본 보고서는 근래 일부에서 제기되어 온

중국효과

’,

즉 중국으로 부터의 수입 증가가 국내 물가 하락 효과를 가지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

중국으로부터의 수입가격이 타 국가에 비해 상대적 낮 은 수준이라면 중국 수입비중의 증가는 수입상품의 가격(상승률)의 하락을 가져 올 것이다

.

한편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상품수입의 증가는 수입상품의 가격수준 외에도 국내 생산자들에게 경쟁압력으 로 작용하여 국내 생산상품의 가격억제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

또 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중간재 수입이 증가한다면 비용 감소로 인해 최종 생산가격 인하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미국

,

일본 등 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중국효과

의 존재 및 그 강도에 대해서 상반된 견해가 존재하고 있다

.

본 보고서에서는 거시 및 미시자료를 활용하여 중국 수입비중 증가가 수입물가 및 생산자물가에 어떤 영 향을 미치는지를 여러 가지 모형을 통하여 추정하였다

.

먼저 거시적 분석에서는 우리나라의 전체 수입 중 중국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과 수입물가 및 생산자물가 상승률을 주 변수로 삼아 분석을 실시하였다

.

중국 수입비중 증가가 수입물가 상승률에 미치 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중국 수입비중 변화에 대한 추정계수는 예상 대로 음(-)의 값을 가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

즉 중국 수입비중 이 증가하면 국내 수입물가 상승률은 감소한다는 것이다

.

또한 중국 수입비중과 생산자물가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도 중국 수입비 중의 증가는 생산자물가 상승률 하락을 유도한다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한편 미시적 분석에서는 수입물가지수 및 생산자물가지수를 구성 하는 품목을 대상으로 각 품목에 대한 중국 수입비중을 산출하고 이 수입비중 변화가 각 품목들의 물가지수 증가율에 미치는 영향을 추

정하였다

.

미시적 분석의 경우 일정기간 동안의 평균 자료를 통한 횡단면 분석을 시도하였다

.

그 결과 중국 수입비중의 증가는 수입물 가 증가율과 음(-)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

전체 표본을 두 기간으로 나누어 보다 짧은 기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에서도 대동소이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생산자물가의 경우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중국 수 입비중 변화에 대한 추정계수가 기대에 부합하는 음의 부호를 가졌 지만 그 통계적 유의성은 부족하였다

.

한편 표본기간을 두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경우에는 두 기간 모두에서 중국 수입비중 변수의 추 정계수가 기대한 부호를 가지지 못하였다

.

종합하여 판단해 보면

,

수입물가의 경우

중국효과

의 존재가 거시 적 분석 및 미시적 분석 모두에서 확인된다고 할 수 있다

.

생산자물 가의 경우 거시적 분석에서는

중국효과

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미시 적 분석에서는 견고한(robust) 실증적 증거를 확인할 수 없었다

.

결국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가 가져오는 직접적 효과(저가의 수입품 증 가로 인한 수입물가 안정)는 확인되었지만 간접적 효과(국내 생산자에 대 한 경쟁압력 부과로 생산자물가 안정)는 찾지 못한 것이다

.

이 같은 원인 으로는 미시자료

,

즉 개별 상품에 대한 적절한 통제변수의 부재

,

저 품질・저가의 중국 수입품과 고품질・고가의 국산품에 대해 분리된 시장의 존재 등을 생각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한계로는 먼저 분석에 사용된 수입품목이 매우 제한적 이라는 점이다

.

수입품목의 범위를 물가지수가 발표되는 품목에 한 정할 수밖에 없었고 그 품목들 중에서도 자료의 일관성

,

타 변수의 존재 여부 등을 고려하여 많이 제외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전체 수입품목 중 극히 일부분만이 표본에 포함되었다

.

이로 인해 표본이

모집단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

또한 수 입물가 분석에 사용된 품목과 생산자물가 분석에 사용된 품목들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 아니어서 각 분석 간의 연결고리가 없는 한계 를 가진다

.

즉 중국 수입비중 증가가 수입물가 하락을 유도하고 이 는 다시 해당 품목의 생산자물가 하락으로 이어지는 전이효과를 추 정하지 못하였다

.

향후 표본을 보강하여 추후 연구에서 이 같은 한 계를 극복하기로 한다

.

참고문헌

박형근・박정민, 󰡔인플레이션 연구의 최근 흐름과 시사점󰡕, 한국은행 조 사연구 2007-38, 2007.

이인권・민승규, 󰡔국내외 가격차 발생요인 분석과 대응방안󰡕, 삼성경제연 구소, 1997.

이승용・한 민, 「GDP갭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력」, 󰡔조사통계월보󰡕, 한국은행, 2007. 12.

이태규, 「우리나라의 물가구조와 시사점」, 이인권 외, 󰡔한국의 물가구조 및 국내외 가격차이 해소방안(상)󰡕, 한국경제연구원, 2008. 12, pp.37-84.

장재철, 「최근의 인플레이션 원인 및 시사점」, 󰡔SERI 경제 포커스󰡕, 2008. 3.

한국은행 조사국, 󰡔중국 수출입 구조변화와 시사점 - 세계교역에서 중국 의 역할 변화 가능성󰡕, 한국은행, 2007. 8.

Alfaro, L., “Inflation, Openness, and Exchange-Rate Regimes: The Quest for Short-Term Commitment,”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2005.

Ball, L. M.., “Has Globalization Changed Inflation,” NBER Working Paper 12687, 2006.

Borio, C. and A. Filardo, “Globalization and Inflation: New Cross-Country Evidence on the Global Determinants of Domestic Inflation,” BIS Working Paper, No.227, 2007.

Ihrig, Jane, Steven B. Kamin, Deborah Lindner, and Jaime Marquez,

“Some Simple Tests of the Globalization and Inflation Hypothesis,” International Finance Discussion Papers No.891,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2007.

Jean-Paul Fitoussi, “Globalzation and Inflation,” Briefing paper 2007, No.4, Committee for Economic and Monetary Affairs, European Parliament, 2007.

Kamin, Steven B., Mario Marazzi, and John W. Schindler, “Is China Exporting Deflation?,” International Finance Discussion Paper No.791,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2004.

Kuroda, Haruhiko and Masahiro Kawai, “Time for a Switch to Global Reflation,“ Financial Times FT.com, Dec. 1, 2002.

Morimoto, Y., W. Hirata and R. Kato, Global Disinflation, The Bank of Japan, 2003.

Roach, Stephen, “The China Factor,” Morgan Stanley, Global Economic Forum, Oct. 14, 2002.

Rogoff, K., “Globalization and Global Disinflation,” Economic Review, Federal Reserve Bank of Kansas City, 2004.

Sachsida, A., F. G. Carneiro and P. R. A. Loureiro, “Does Greater Trade Openness Reduce Inflation? Further Evidence Using Panel Data Technique,” Economics Letter, 2003.

Tootell, Geoffrey M. B., “Globalization and U.S. Inflation,” New England Economic Review, 1998, pp.20-33.

Wynne, M. A. and E. K. Kersting, “Openness and inflation,” FRB of Dallas, Staff Paper, No.2, 2007.

분류 사용된 품목 1993년 중국 수입비중(%)

2007년 중국 수입비중(%)

농 림 수 산 품

농 산 품

작물

밀 0.14 0.35

옥수수 61.45 45.33

대두 0.13 18.78

과일 1.10 5.51

축산물 우피 0.34 1.72

임산물 미송원목 0.20 0.08

천연고무 0.00 0.00

수산품 냉동어류 6.18 34.44

광 산 품

연료 광물 원유 2.25 0.46

유연탄 12.26 21.93

기타광물  철광석 0.00 0.14

천연인산칼슘 3.69 56.83

공 산 품

음식료품 및 담배

냉동어육 0.05 24.82

식물성기름 3.37 2.11

사료 57.06 34.17

주스원액 0.22 5.39

담배 0.76 8.48

섬유 의복

및 가죽제

섬유제품

면사 33.02 25.43

화섬방적사 40.47 53.75

면직물 42.61 75.39

부직포 0.57 32.59

스웨터 53.57 79.08

목재 및 나무제품

목재 제재목 0.08 26.26

나무제품 합판 0.20 26.7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