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용된 모든 변수들은 증가율의 형태이므로 단위근(unit root)으로 인 해 발생하는 추정상의 문제점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

7)

∆



  

 ∆



   ∆

 

(1)

,

∆





=

기의 수입물가지수(달러 기준) 증가율



=

기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비중(%) 변화분

∆



=

기의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 상승률

(2) 중국 수입비중과 생산자물가

한편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비중 증가는 국내 상품의 생산가격 수 준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먼저 직접적으로는 상대 적으로 가격이 싼 중국산 중간재의 사용이 증가할 경우 생산비용의 감소로 가격하락을 기대할 수 있다

.

또한 상대적으로 싼 중국상품의 수입 증가는 국내 생산자에게 강한 경쟁압력으로 작용하게 되어 생 산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

결국 이 같은 요인들의 복합적 작용이 중국 수입 증가가 수입물가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으로 나타 나게 된다

.

이와 같은 중국 수입비중 증가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추정식을 설정하였다

.

7) 단위근 검정(Augmented Dickey-Fuller test 및 Phillips-Perron test 등)을 통해 확인 한바, 거시적 분석에 사용된 모든 변수는 ‘단위근을 가진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 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2)

,

∆



=

기의 생산자물가 상승률



=

기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비중 변화분

∆



=

기의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 상승률

∆



=

기의 원

/

달러 평균 환율 상승률



=

기의 수입

/GDP

비중(%) 변화분

종속변수인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서비스업과 전력・수도 및 도시 가스업을 제외한 부문

,

즉 농림수산품

,

광산품

,

공산품에 대한 생산 자물가의 상승률이다

.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이 대부분 재화이므로 중국 수입 증가가 서비스와 전력・수도 및 도시가스의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

농림수산품

,

광 산품

,

공산품의 각각에 대한 생산자물가지수는 공표되지만 세 부문 을 포괄하는 생산자물가는 따로 공표되지 않으므로8) 전체 생산자물 가지수 산출 시 사용되는 각 부문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세 부문의 평균 생산자물가지수를 계산하여 사용하였다

.

9) 중국 수입비중 변화

8) 생산자물가지수는 크게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물가지수로 나눌 수 있고 상품에 대한 생산자물가지수는 농림수산품, 광산품, 공산품, 전력・수도 및 도시가스에 대 한 생산자물가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생산자물가지수는 이들 네 부 문을 각각의 가중치로 가중평균한 값이다.

9) 전체 생산자물가지수 산출 시 사용되는 농림수산품, 광산품, 공산품에 대한 가중 치는 각각 43.6, 2.7, 644.8이다. 이들 가중치를 이용하여 이들 세 부문의 물가지 수를 가중평균하여 이들 부문에 대한 생산자물가지수를 산출하고 이 지수의 증가 율을 계산하여 추정 시 사용하였다.

외의 다른 설명변수로 생산비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국제유가 와 원

/

달러 환율 상승률을 포함하였다

.

또한 해외로부터의 경쟁압력 으로 인한 물가하락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수입의

GDP

대비 비중 (%) 변수도 포함시켰다

.

여기서 수입은 재화의 수입이며

GDP

는 농 림어업

,

광업

,

제조업의 부문별 국내 생산액의 합이다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