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가설 1 의 검증

가설 1: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자아 개념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 후 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자아개념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Ⅳ-3>

과 같다.

<표Ⅳ-3> 자아개념 사후검사 비교

M SD t

상담집단(N=10) 3.47 0.35

2.99**

비교집단(N=10) 3.10 0.19

** p<.01

<표Ⅳ-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상담집단 (M=3.47)과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M=3.10) 간의 자 아개념 전체의 사후검사 비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t=2.99, p<.01). 따라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 학생들의 자아개념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 결과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 학생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림 1 참조].

3.11

3.47

3.05 3.10

2.50 3.00 3.50 4.00

사전 사후

상담집단 비교집단

[그림 1] 자기성장 프로그램 실시 전후 자아개념 전체

2) 가설 2의 검증

가설 2: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은 비교집단보다 자아 개념의 하위요인별 영역이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1) 신체적 자아 영역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1: 신체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신체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 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Ⅳ-4>와 같다.

<표Ⅳ-4> 신체적 자아 영역의 사후검사 비교

M SD t

상담집단(N=10) 3.54 0.53

2.27*

비교집단(N=10) 3.07 0.39

* p < .05

<표Ⅳ-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체적 자아 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27, p<.05). 따라 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신체적 자아 영역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 결과는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 은 자신의 신체상황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보는 능력과 적응력이 향상되었음 을 뒷받침해준다[그림 2 참조].

3.54

3.163.05 3.07

2.00 2.50 3.00 3.50 4.00

사전 사후

상담집단 비교집단

[그림 2] 자기성장 프로그램 실시 전후 신체적 자아

(2) 도덕적 자아 영역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2: 도덕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도덕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 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Ⅳ-5>와 같다.

<표Ⅳ-5> 도덕적 자아 영역의 사후검사 비교

M SD t

상담집단(N=10) 3.44 0.26

3.05**

비교집단(N=10) 3.06 0.29

** p < .01 <표Ⅳ-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덕적 자아 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05, p<.01). 따라 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도덕적 자아 영역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졌다[그림 3 참조]. 이런 결과는 소감문 중에서 ‘깽’이 작성한 ꡒ프로그램을 하면서 협동심도 기르고 나쁜 버릇을 버릴 수 있게 되

었다ꡓ라고 했듯이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은 자신의 책임을 다하였을 때의 기쁨과 보람, 자기 자신의 인간됨에 대한 윤리적, 도덕적 의지 를 가질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3.44

3.103.06 3.06

2.00 2.50 3.00 3.50 4.00

사전 사후

상담집단 비교집단

[그림 3] 자기성장 프로그램 실시 전후 도덕적 자아

(3) 성격적 자아 영역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3: 성격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성격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 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Ⅳ-6>와 같다.

<표Ⅳ-6> 성격적 자아 영역의 사후검사 비교

M SD t

상담집단(N=10) 3.21 0.53

비교집단(N=10) 2.99 0.21 1.20

<표Ⅳ-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격적 자아 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담집단의

평균점수(M=3.21)는 비교집단의 평균점수(M=2.99)에 비해 높아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사회적 자아 영 역은 낮아지지는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는 학습부진 고등학생 2학년 학생들 의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는 윤경란(1999)의 성격 적 자아 영역에서 일치하고 있다.

이 결과는 학습부진아들이 평소 자기조절 능력과 부정적인 쪽으로 생각하 는 습성에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소 미흡하더라도 불안한 심리상 태가 완화는 되었지만 긍정적인 쪽으로 생각하는 자기 통제의 능력은 단기간 의 훈련으로는 증가하기 어렵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집단상담 프로 그램에 성격의 변화와 불안한 심리 증세를 완화시키기 위한 활동 과정을 좀 더 보완할 필요가 있다.

(4) 가정적 자아 영역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4: 가정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가정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 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Ⅳ-7>와 같다.

<표Ⅳ-7> 가정적 자아 영역의 사후검사 비교

M SD t

상담집단(N=10) 3.74 0.71

2.30*

비교집단(N=10) 3.14 0.44

* p <. 05

<표Ⅳ-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정적 자아 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30, p<.05). 따라

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가정적 자아 영역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졌다[그림 4 참조].

이 결과는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은 가정에서 모든 일은 부 모님과 함께 하는 일로 인간적 가치를 알게 되고, 가정에서의 협동과 봉사의 기회를 많이 갖는 것이 화목한 가정의 근본이 됨을 알 수 있다.

3.18

3.74

3.12 3.14

2.00 2.50 3.00 3.50 4.00 4.50 5.00

사전 사후

상담집단 비교집단

[그림 4] 자기성장 프로그램 실시 전후 가정적 자아

(5) 사회적 자아 영역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5: 사회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사회적 자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 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Ⅳ-8>과 같다.

<표Ⅳ-8> 사회적 자아 영역의 사후검사 비교

M SD t

상담집단(N=10) 3.20 0.43

비교집단(N=10) 3.13 0.39 0.37

<표Ⅳ-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회적 자아 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담집단의 평균점수(M=3.20)는 비교집단의 평균점수(M=3.13)에 비해 높아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사회적 자아 영 역은 낮아지지는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는 학습부진 학생들은 공동학습활동 에의 참여가 부족하여 중요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놓치고 있어 또래의 수용이 낮다는 점이 지적된다(Mckintosh et al., 1993). 이러한 결과는 학습부 진 고등학생 2학년 학생들의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 보는 김순걸(1996)의 사회적 자아 영역에서 일치하고 있다.

(6) 자아평가 영역에 대한 차이 검증

가설 2-6: 자아평가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을 것이다.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사후검사에서 상담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자아평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표Ⅳ-9>와 같다.

<표Ⅳ-9> 자아평가 영역의 사후검사 비교

M SD t

상담집단(N=10) 3.88 0.54

3.13**

비교집단(N=10) 3.24 0.36

** p <. 01

<표Ⅳ-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아평가 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비교 결과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13, p<.01). 따라서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자아평가 영역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졌다[그림 5 참조]. 이런 결과는 소감문 중에서 ꡐ도라에몽ꡑ이 작성한 ꡒ친구들 앞에서 발표도 하고 나의 감정을 밝히는 동안 발표라는 어 려움이 사라진 것 같다ꡓ라고 했듯이 이 결과는 집단활동에 참여한 상담집단

학생은 몸가짐을 바르게 하는 생활의 실천의지를 깨닫게 되는 토대가 되었고 자기 자신을 이해, 수용함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와 자기 를 주장하는 특성을 갖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3.23

3.88

3.14 3.24

2.00 2.50 3.00 3.50 4.00 4.50 5.00

사전 사후

상담집단 비교집단

[그림 5] 자기성장 프로그램 실시 전후 자아평가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표로 제시하면 다음 <표Ⅳ-10>과 같다.

<표Ⅳ-10>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개념 사후검사 차이 검증

하위요인 집 단 M SD t

신체적 자아 상담집단 3.54 0.53

2.27*

비교집단 3.07 0.39

도덕적 자아 상담집단 3.44 0.26

3.05**

비교집단 3.06 0.29

성격적 자아 상담집단 3.21 0.53

비교집단 2.99 0.21 1.20

가정적 자아 상담집단 3.74 0.71

2.30*

비교집단 3.14 0.44

사회적 자아 상담집단 3.20 0.43

비교집단 3.13 0.39 0.37

자아평가 상담집단 3.88 0.54

3.13**

비교집단 3.24 0.36

자아개념 전체 상담집단 3.47 0.35

2.99**

비교집단 3.10 0.19

(* p<.05, ** p<.01)

<표Ⅳ-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아개념 사후 검사에 대하여 살펴보면 자 기성장 프로그램을 통해 상담집단 학생들의 자아개념 전체 점수가 비교집단 학생들의 전체 자아개념점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t=2.99, p<.01).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자기성장 프로 그램을 실시한 상담집단 학생이 그렇지 않은 비교집단 학생보다 신체적 자아 (t=2.27, p<.05) 와 도덕적 자아(t=3.05, p<.01), 가정적 자아(t=2.30, p<.05) 그 리고 자아평가(t=3.13, p<.01)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기성장 프 로그램은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