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 대상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정치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가정환경, 교 우관계, 학교생활, 사회과 및 도덕과의 수업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정치교육에 가장 의도적이고 적극적으로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는 것 은 학교 수업에서의 사회과 교과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정치교육 내용을 비교적 체계성을 가지고 다루고 있는 제 6․7차 교육과정의 4, 5, 6학년 사회과 교 과서의 정치교육 내용 영역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2학년도부터 적용되는 제 7차 교육과정 5, 6학년의 2학기 사회과 교과서는 실험용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2. 연구 방법

(1) 관계 문헌과 선행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정치교육의 개념과 주요 내용,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배경, 초등학교 제 6․7차 교육과정 사회과 의 목표와 정치교육의 관계 등을 살펴, 초등학교 사회과 정치교육 내용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연구 배경으로 삼았다.

(2) 사회과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 분석을 위한 분석의 모형을 마련하기 위하여 여러 학자나 단체, 선행 연구자가 제시한 모형을 근거로 하여 분석 모형을 정립하였 다. 정치교육 내용 분석을 위해서 학년, 학기별 단원의 내용을 살펴보고 주제별 정 치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한 다음 주제 내용별로 정치교육의 주요 용어 빈도를 비 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 방법으로 양적 분석의 초기 형태인「회수 의 계산」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빈도를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3)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본 내용과 사회과 교과서의 개괄적인 내용 고찰, 주제별 정치교육 내용, 주제 내용별 정치교육의 주요 용어 빈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밝혔다. 사회과 교과서의 정치교육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거나 정치교육의 주요 용어의 결정은 분석자의 해석에 따라 결정하였으며 본 연구의 용어 빈도 분석은 정치교육 변수의 누적 빈도에 중점을 두었다.

3. 분석 모형

(1) 정치학에서 기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정치와 권력, 정치과정과 정치체계, 이 익 단체, 정당, 정치과정과 정치변혁, 민주주의 및 전제주의 정치체제, 국제정치 등 의 내용이 반영되었다.

(2)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기본적인 개념인 정치 권력, 정치 과정, 정 치 형태, 정치 문화, 정치 발전, 한국 정치, 국제 정치 등의 내용이 반영되었다.

(3) ICEC에서 제시한 시민교육의 내용인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주권, 정치, 정부, 정 치적 사회, 국가, 충성심, 애국심, 민족주의 , 정당성, 권리, 의무, 책임, 권력, 개인주의, 자유, 권위, 준법 정신, 협동, 리더십, 민주주의, 참여, 친선, 신뢰 등), 국내외 정치 제도 (헌법, 역사적 발전, 정치 이론, 권력 분립, 중앙 집권과 비교하여 지역 부문․주․지방, 입법부, 법의 제정, 행정부, 사법부와 법원 등), 국내의 정치 과정(여론, 정당 제도, 이익 집단, 선거, 의사결정 등), 국제적 정치 과정과 제도(외교정책, 국가 방위, 외교 사건, 국 제 관계와 조직, 정치와 정부 형태의 비교 등)도 고려되었다.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여러 학자들의 정치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위의 세 가지 요소를 종합하고 초등학교 제 6․7차 교육과정의 4, 5, 6학년 사회과 교 과서 내용을 참고하여 정치교육 내용 분석 모형을 <표 5>와 같이 설정하였다.

<표 5> 정치교육의 내용 분석 모형

영 역 정치교육 용어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

헌법, 법, 주권(국권), 정부, 정치, 민족주의(민족정신, 민족성), 국가(국가의 구실), 자율, 민주 사회, 규칙, 민주 시민, 충성심(애 국심), 권리, 의무, 책임, 권력 ,자주 정신, 자유, 평등, 준법 정 신, 인간 존중(인간 중심), 인권, 국민의 기본권(자유권, 평등권, 참정권, 청구권, 생존권, 교육권, 근로권, 환경권) 국민의 대표 (자), 국민

정치 이념과

형태 민주주의, 공산주의, 민주국가, 공산국가, 민주정치, 독재정치

정치 과정

투표, 정당, 정책, 시민 단체, 선거, 후보(자), 의사 결정(토론, 토 의, 대화, 타협, 다수결), 대중 매체(신문, TV, 방송, 통신), 선거 권(피선거권), 정권, 선거 공약, 선거관리 위원회, 당선자, 정치인 (정치가)

정치 제도 입법부(국회), 시․도의회(의회), 행정부, 사법부(법원), 지방자치 (제도)

정치 문화 정치 참여, 정치 활동

정치 발전 정치 발전, 정치 변혁, 자주 독립, 개혁, 혁명, 민주 항쟁(민주화 운동)

국제 정치 국교(수교), 국가 방위, 외교 관계(활동), 국제 기구, 국제 회의, 외교권, 조약

한국 정치의 특수성

분단 상황(남북 분단, 분단 국가), 통일, 남북 회담(남북 정상 회 담, 남북 대화), 공동 선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