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宇宙觀

문서에서 東學의 敎育 思想 考察 (페이지 27-31)

Ⅲ. 東學 敎育思想의 基礎

1. 宇宙觀

東學思想은 정신을 개벽하고 삶의 총체적 양식을 달리하는 데 관심이 집중되

74) 이영종(1993), “東學敎育思想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교육대학원, p.20.

75) 다분히 민중적 성격을 띄고 있는 동학은 민족주주의적이면서도 민중의 의식을 크게 계 발하고 생활 상태를 근대적인 것으로 개선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동학은 민 족주의적, 민중적, 그리고 근대적이라 할 수 있다.

76) 최동희(1983), 「水雲의 人間觀」, 천도교중앙총본부, p.86.

었기 때문에 자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용하는 측면은 보기 힘든 반면에 자

현상계에서는 두 방면으로 진화되어 안으로는 靈的인 것이 되고 밖으로는 물질적

재하느냐 하는 것은 유사이래 많이 논의되어 왔다. 농경사회의 동방에서는 자연을 숭배하고 자연의 주재자인 하느님을 믿었는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하느님 을 中國에서는 上帝라 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하느님(한울님, 하나님)이라고 하였 다. “上古에서는 하느님을 超越的 人格神으로 믿었으나 性理學의 合理主義로 超越 的 人格神 思想은 쇠퇴하였다.”84)

무릇 천도란 것은 형상이 없는 것 같으나 자취가 있고, 지리란 것은 넓은 것 같으나 방위가 있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한울에는 구성이 있어 땅의 구주와 응하였고 땅에는 팔방이 있어 팔괘와 응하였으니, 차고 비고 서로 갈아드는 수는 있으나 동하고 정하고 변하고 바뀌는 이치는 없느니라.

음과 양이 서로 고루어 비록 백천만물이 그 속에서 화해 나지마는 오직 사람이 가장 신령한 것이니라. 85)

水雲은 사람만이 가장 神靈한 것이라 하여 그 神 자체가 다른 것은 아니고 안 에 있는 神靈과 밖에 있는 氣化가 侍로써 일체가 되어 神人一體의 경지를 이루었 다고 보았다.

만물이 侍天主 아님이 없으니 능히 이 이치를 알면 살생은 금치 아니해도 자연히 금 해지리라. 제비의 알을 깨치지 아니한 뒤에라야 봉황이 와서 거동하고, 초목의 싹을 꺾 지 아니한 뒤에라야 산림이 무성하리라. 손수 꽃가지를 꺾으면 그 열매를 따지 못할 것이오, 폐물을 버리면 부자가 될 수 없느니라. 날짐승 삼천도 각각 그 종류가 있고 털 벌레 삼천도 각각 그 목숨이 있으니, 물건을 공경하면 덕이 만방에 미치리라.86)

마음이란 것은 내게 있는 본연의 한울이니 천지만물이 본래 한마음이니라. 마음은 선 천 후천의 마음이 있고 기운도 또한 선천 후천의 기운이 있느니라. 천지의 마음은 신 신영령하고 천지의 기운은 호호창창하여 천지에 가득 차고 우주에 뻗쳐 있느니라.87)

海月의 ‘待人接物’은 모든 만물에는 바로 侍天主 아니함이 없으니 이런 점에서 84) 상게논문자료에서 인용.

85) 東經大全, 論學文, 天道敎中央總部. “ 夫天道者 如無形而有迹 地理者如廣大而有方者也 故 天有九星 以應九州 地有八方 以應八卦而 有盈虛迭代之數 無動靜變易之理 陰陽相均 雖百千萬 物 化出於其中 獨惟人最靈者也 ”

86) 神師法說, 待人接物, 天道敎中央總部. “ 萬物莫非侍天主 能知此理則 殺生不禁而自禁矣 鷰 雀之卵 不破以後 鳳凰來儀草木之苗 不折以後 山林茂盛矣 手折花枝則 未摘其實 遺棄廢物則 不 得致富 羽族三千 各有其類 毛蟲三千各有其命 敬物則德及萬邦矣 "

87) 神師法說, 靈符呪文, 天道敎中央總部. " 心者在我之本然天也 天地萬物本來一心 心有先天後 天之心 氣亦有先天後天之氣 天地之心神神靈靈 天地之氣浩浩蒼蒼 滿乎天地긍(亙)乎宇宙也 "

만물은 인간과 다를 바 없고 만물을 공경해야 한다는 논리가 나온다. 좀 더 확대 해석한다면 만물에는 한울님이 있으니 만물 속에 있는 이치는 바로 곧 한울님의 이치인 것으로 한울님을 공경해야 한다는 것은 만물속에 있는 한울님의 이치도 공경해야 한다는 것이다.88)

이러한 宇宙觀은 水雲의 그것과 맥을 같이 하나 사람뿐만 아니라 미물까지도 천이 내재해 있어 이를 공경하라는 더욱 진전된 汎天論的인 입장에 서고 있다.

‘人乃天(사람이 곧 하늘이다)’이라는 東學의 宇宙觀은 宇宙의 중심을 인간에서 찾으려는 인간회복의 정신이며 인간성이 우주의 섭리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기본권은 누구도 침범할 수 없다는 人本主義 思想이라 할 수 있다.

문서에서 東學의 敎育 思想 考察 (페이지 2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