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分析資料 및 變數 計算方法

본 연구는 R&D 파급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우 선, 한국은행이 발간하는 산업연관표상의 중간투입계수행렬과 고정자 본형성표를 활용하였다. 중간투입계수행렬은 1985-90-95년 접속불변산 업연관표상에 나타난 1990년과 1995년의 중간투입계수행렬의 평균값 을 취하여 산업간 가중치를 구하였다.8) 투자재의 경우에는 1990년과 1995년의 고정자본형성표에 나타난 재화별 총액을 산출액으로 나누어 계수행렬을 구하고 이의 평균값을 취하여 투자재 구입에 따른 산업간 가중치로 활용하였다.9)

8) 계산된 중간재의 산업간 가중치는〈부표 1〉에 제시되어 있음.

각 산업의 R&D 지출액에 대한 자료는 한국은행에서 발간하는 기업 경영분석에 수록된 재무제표를 통하여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991년에서 2000년의 시계열자료를 가지고 손익계산서상의 경상개발 비‧연구비와 제조원가명세서상의 경상개발비를 합산하여 구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한 각 산업의 R&D지출액은 경상가격에 의한 것 으로 본 연구는 가격변화에 따른 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GDP 디플 레이터를 활용하여 실질가격에 의한 R&D 지출액을 계산하였다.

그런데, 산업연관표, 고정자본형성표상의 산업분류와 기업경영분석 상의 산업분류는 서로 일치하지 않아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이러한 산업분류의 불일치를 제거하기 위하여 각각의 자료상에 나타난 세세분류를 검토하여 일치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분석기간이 1994년에서 2000년으로 제한되었 으며, 본 보고서는 주로 1995년부터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第 2 節 分析結果

본 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산업연관표상의 중간투입계 수와 고정자본형성표를 활용하여 도출된 우리나라 각 산업간 R&D 파 급분석의 결과를 보건산업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따라서, R&D 파급을 논의할 때 해당 산업이 다른 산업으로부터 중간재를 구입함으로써 이 전받는 R&D 취득측면과 투자재를 구입함으로써 이전받는 측면을 측 정하여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9) 계산된 투자재의 산업간 가중치는〈부표 2〉에 제시되어 있음.

1. 自體 遂行된 R&D 集約度 分析

R&D 파급분석에 앞서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상에 나타난 각 산업들이 자체 수행한 R&D지출10)에 관한 현황은 아래의〈표 3-1〉에 나와 있다. 우선 보건산업 중 의약품산업의 경우에는 매출액 대비 R&D 집약도가 1995년에는 0.84% 정도로 우리나라 제조업종 중 3번 째로 높은 집약도에서 1996년에는 0.56%로 다소 낮아졌지만 그 후 0.70%(1997년) → 0.86%(1998년) → 1.30%(1999년) → 1.40%(2000년)로 조금씩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종 중 의약품산업의 R&D 집약도는 상위에 해당하고 있는데, 2000년에는 전 자기기부분품 다음의 2번째로 높은 기술집약형의 산업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화장품산업의 경우에는 1995년에 0.93%의 집약도에서 1996년에는 0.91%, 그리고 1997년에는 0.82%의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이후에는 0.90%(1998년) → 0.92%(1999년) → 0.97%(2000년)의 추세로 의약품과 같이 조금씩 높아지는 경향임을 알 수 있다. 의료기 기는 1995년에서 1998년까지는 0.48% → 0.75% → 0.71% → 0.67%

정도이었으나, 1999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4배 이상 높아진 약 3.10%

로 제조업 중 가장 높은 집약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편, 식품산업의 경우에는 1995년에 0.20%의 집약도에서 1997년에는 0.16%, 1999년에는 0.25%, 그리고 2000년에는 약 0.26%인 것으로 조 사되었다. 이와 같은 식품산업의 R&D 집약도는 우리나라 제조업종에 서 보면 상당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여타의 보건산업을 구성하는 부 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집계한 R&D 집약도 분석결과에 따르면 보건산업 중

10) 재무제표 중 손익계산서상의 경상연구개발비, 제조원가명세서상의 연구개발비를 합산하여 이를 GDP 디플레이터(1995년 기준)로 실질화한후 이를 생산자물가지수 로 실질화 한 매출액(손익계산서상의 매출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것임.

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기부문은 전제 제조업종 중 상대적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R&D 집약도를 보이고 있어 기술집약형의 산업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이와 같은 산업들은 전자기기부분품, 영상‧음향 통 신기기, 컴퓨터 및 사무기기 등의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제조업종과 함께 2대 고위 기술집약형의 산업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11)

〈表 3-1〉 우리나라 製造業의 R&D 集約度

(단위: %)

11) OECD(1999)의 기술집약도에 의한 분류에서도 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기 등은 고 위 및 중고위 기술집약형의 산업임을 알 수 있음.

순위

순위 1997 1996 1995

2. 中間材 購入을 통한 R&D 波及分析

아래의〈표 3-2〉는 우리나라 각 제조업종이 중간재를 구입함에 따 라 다른 산업으로부터 이전받는 R&D 규모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다. 표에서 제시한 비중은 중간재구입에 따라 다른 산업으로부터 이 전된 R&D 지출규모를 매출액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12) 보건산업 중 의약품산업의 경우, 중간재 구입에 따라 이전되는 R&D 이전효과 는 매출액 1 단위당 1995년의 0.21%에서 1996년에는 0.17%로 하락하 였다가, 1997년에는 다시 0.24%로 높아졌으며 이후 0.21~0.24%의 수 준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집약도는 전체 제조업 중 중하위의 수 준으로 매출액 대비 자체 수행한 R&D의 집약도와는 다른 양상인 것 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의 경우에는 1995년에 약 0.30%의 수준에서 1996년에는 0.26%로 다소 하락하였다가 1997년에는 0.32%로 계산되었 다. 이후 매출액 대비 이전받은 R&D 비중은 0.34%(1998년) → 0.26%(1999년) → 0.28%(2000년)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수 치는 의약품보다 다소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화장품 의 경우 제품을 구성하는 중간재들의 기술집약도가 의약품산업보다 높은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의료기기는 1995년에서 1998년 사이에는 0.12~0.15%의 추세를 보이다가 1999년에는 0.43%로 큰 폭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의료기기의 주요 중간재들인 전자기기부분품, 전기 기계 및 장치, 정밀기기, 화학 등의 자체 R&D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 어져 동 산업들로부터 의료기기산업이 이전받는 R&D 규모가 크게 확 대된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자체 R&D 활동과 연계하여 볼 때, 의료기기의 경우에는 자체산업을 포함하여

12) 이전된 R&D 규모를 매출액으로 나눈 것은 각 산업의 규모가 서로 다른 것을 고 려하여 생산(또는 매출) 단위당 효과로 정규화(normalization)한 것이라 할 수 있음.

이전된 R&D 규모는 부록에 수록되어 있음.

관련산업들의 연구개발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제품의 기술집약도 가 크게 높아졌음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품산업의 경우에는 1995년에 0.12%에서 1996년에는 0.10%로 다소 낮아졌으나, 이후 0.14%(1997년) → 0.14%(1998년) → 0.16%(1999년) → 0.18%(2000 년)로 조금씩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 품산업 제품의 중간재를 구성하는 부문들의 자체 R&D 활동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타 산업으로부터의 R&D 파급에 따른 기술집약도가 점차 높아짐을 의미한다.

전체 제조업을 보면 1995년에서 1999년 사이에는 정밀기기부문이 다른 산업으로부터 이전받는 매출액 대비 R&D 규모가 가장 큰 산업 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9년에는 3.32%로 1995년의 2.32%에 비 해 약 1%포인트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가 2000년에는 0.99%로 하락하여 예외적인 현상을 보이고 있다.13) 정밀기기 이외에 다른 산업으로부터 이전받는 R&D의 규모가 큰 산업으로는 가정용 전 기기기와 ICT산업으로 분류되는 컴퓨터 및 사무기기, 영상‧음향 통신 기기 등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이 중간재 구입을 통한 R&D 파급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전반적으로 보건산업은 다른 제조 업과 비교하여 볼 때 이전받는 R&D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산업의 경우에는 자체 R&D 집약도도 낮을 뿐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부터 이전 받는 R&D 규모도 상당히 낮은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의약품산업과 화장품산업의 경우에는 자체 R&D 집약도 는 다른 제조업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이나 이전받는 R&D 파급은 중 하위의 수준으로, 자체 R&D 및 R&D 파급에서 높은 수준을 보이고

13) 이와 같은 이유 중의 하나로 2000년에는 정밀기기부문에 의료기기가 포함된 분류 상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음.

있는 ICT산업과는 다른 양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ICT산업의 기 술경젱력은 다른 산업의 기술경쟁력과 매우 밀접히 관련이 있는 반 면, 의약품산업과 화장품의 경우에는 다른 산업으로부터 비교적 독립 된 산업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셋째, 의료기기의 경 우에는 1998년까지는 이전받는 R&D 규모가 화장품, 의약품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나, 1999년에는 자체 R&D 활동과 함께 동 산업으로 파급 되는 R&D 규모도 큰 폭으로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表 3-2〉 中間材 購入에 따른 R&D 波及

〈表 3-2〉 계속

아래의〈표 3-3〉은 보건산업의 각 부문별 주요 중간재와 해당 산

3. 投資材 購入을 通한 R&D 波及分析

아래의〈표 3-4〉는 우리나라 각 제조업종이 투자재를 구입함에 따 라 다른 산업으로부터 이전받는 R&D 규모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다. 표에서 제시한 비중은 투자재 구입에 따라 다른 산업으로부터 이 전된 R&D규모를 매출액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보건산업 중 의약품 및 화장품의 경우 투자재 구입을 통한 R&D 이 전 효과는 1995년에서 1998년 사이에는 약 0.01% 정도의 수준을 보이

보건산업 중 의약품 및 화장품의 경우 투자재 구입을 통한 R&D 이 전 효과는 1995년에서 1998년 사이에는 약 0.01% 정도의 수준을 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