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主要 課題와 論議

문서에서 장애인구 대상별 특성과 정책과제 (페이지 110-115)

障碍兒童에게는 障碍豫防과 早期治療가 중요한 바, 장애아동의 발생 예방 대책으로서 각종 事故의 豫防과 함께, 母子保健 사업의 강화, 新 生兒에 대한 집중관리를 통해 유전적 요인이나 출산전 원인으로 인한 障碍發生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學齡期 障 碍兒童‧靑少年을 위하여는 敎育機會의 확대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데, 교육을 처음부터 받지 못하는 경우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 서 障碍程度別로 특별한 보호의 대상인 重症의 障碍兒童에 대해서는 特殊學校에서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거동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에는 교육방법을 다양화하여 순회방문교육 등을 통한 프로그램의 실시가 요구된다. 障碍幼兒에 대한 조기교육의 중요에 비추어 현재 절 대적으로 부족한 특수학교의 유치부를 확대하고 장애아 早期敎育機關 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한편 障碍兒를 부양하는 家族의 경제적,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켜주 기 위해서는 선진국과 같이 所得水準에 따라 저소득층 장애아 가정 중심으로 추가생활비의 일정부분을 手當制度의 도입도 검토해볼 수 있다. 또한 맞벌이 등 女性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라 障碍兒의 保 護를 위한 晝間 및 短期保護서비스의 확충과 집단가정(그룹홈) 등 시

설수용을 억제할 수 있는 재가서비스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인은 물론 남성장애인에 비해서도 취약한 女性障碍人의 경우에는 社會的 關心의 증가와 함께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의 女性問 題와 관련하여 매우 어렵고도 복합적인 主題가 될 수 있다. 여성장애 인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는 敎育, 社會, 文化的 要因은 단기간 개선이 어렵고 장기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政策的으로는 權益의 보 호와 生活의 보장에 초점이 주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관련법률에 女性障碍人의 보호에 관한 조항을 명문화하고 처벌을 강 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생활안정 대책으로서는 女性障碍人이 가구주 인 母子家庭의 경우 더욱 생활이 어렵다는 점에서 현행 생계보조 외 에 「特別手當制度」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편 家庭과 社會로부터 차별과 피해를 입기 쉬운 女性障碍人의 사 회적 支援對策으로서는 각종 관련 민간단체를 통한 서비스가 제공되 어야 할 것이다. 특히 여성장애인의 경우 敎育, 結婚, 姙娠과 出産, 就 業 등 家庭生活의 유지에 어려움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여 전문적인 상담과 권익보호를 위한 「專用 相談電話」나 각종 女性障碍人 行事의 개최를 통해 障碍人과 그 가족에 대한 교육, 社會的 認識改善의 효과 를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현재는 그 重要性이 부각되고 있지 않으나 점차 障碍老人이 증가할 것이라는 점에 비추어 볼 때, 老齡障碍人의 문제는 老人問題와 결부되 어 매우 복합적인 양상을 띠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노령 장애인에 있어서는 우선적으로 老人福祉政策과의 연계가 매우 중요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政策樹立이나 집행시 양자간의 상호밀접한 관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老齡障碍人을 위한 의료부문에 있어서는 老齡障碍의 예 방과 老齡障碍人의 再活이 필요하므로 기존의 老人專門病院 혹은 專

門療養施設 내에 障碍老人의 再活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시설을 설 치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으며, 현재 生活保護對象이면서 登錄障碍人인인 65세 이상인 경우에는 노령연금만을 수급하고 있는 데, 所得保障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생활보호대상자 노인들 중 重症 혹 은 重複障碍人에게 老齡手當과 함께 障碍人 生計補助手當의 일정액을 倂給하고 점차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른 연령층과 달리 障碍老人의 경우 보호수발의 문제가 매우 심각하고 家庭의 수발·보호능력이 한계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 므로 재가 要保護老人을 위한 주간 또는 단기보호 등 복지서비스의 확충이 요구된다. 그리고 社會的 介護 차원이나 일시적 보호부담의 완 화를 위해 향후 증대하는 介護서비스의 욕구에 대비하여 개인, 기업, 정부, 그리고 地方團體가 일정한 금액을 부담하고, 介護서비스나 현금 등을 지급받는 公的介護保險의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강필수, 󰡔장애인 취업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4.

권선진, 「재가장애인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장애인 고용󰡕, 1996년 여 름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김수춘 외, 󰡔노인복지의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박옥희‧권중돈, 󰡔장애인복지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신혜수, 「한국 사회에서의 여성 및 여성장애인의 차별구조」, 󰡔한국사 회의 여성장애우 문제와 해결책󰡕,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1995.

이가옥 외, 󰡔노인생활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이광찬, 「스웨덴의 장애인 고용정책의 교훈」, 󰡔장애인고용 특집 합본 호(91-9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5.

이성규, 「장애인 차별금지법 - 영국의 장애인 차별법을 중심으로」,

󰡔장애인고용󰡕, 1996년 봄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북경세계여성대회 참가보고󰡕, 1995.

전학석, 󰡔사회복지대상자 노동력화정책의 경제성 우위론󰡕, 한국외국어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정기원‧권선진‧계훈방, 󰡔199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 구원, 1995.

정기원 외, 󰡔장애인 취업실태와 고용의 경제적 효과󰡕, 한국보건사회연 구원, 1996.

조흥식, 「선진국의 장애인복지정책 프로그램과 한국 장애인복지정책의 과제」,

󰡔장애인고용 특집 합본호(91-9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5.

진기남, 「대만의 장애인 복지정책과 취업실태」, 󰡔장애인고용󰡕 1996년 여름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채은하, 「실태조사를 통해 본 한국사회 여성장애인의 가정내 차별양 상」, 󰡔여성장애인과 가정󰡕,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1996.

최순범, 「캐나다의 장애인 고용관련 현황 및 제도」, 󰡔장애인고용󰡕, 1996년 봄호,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6.

통계청, 󰡔통계분석연구󰡕, 1996.

한국뇌성마비복지회, 󰡔뇌성마비와 관련 병세를 가진 사람들의 노령화:

The International Cerebral Palsy Society Symposium 논문집󰡕, 번역, 1995.

한국아‧태장애인 10년 연구모임, 󰡔아‧태장애인 10년 선언집󰡕, 1995.

한국여성개발원, 󰡔여성관련 사회통계 및 지표󰡕, 199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일본의 장애인 고용과 취업󰡕, 1991.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주요국의 장애인복지기본법󰡕, 1995.

厚生省, 󰡔厚生白書󰡕, 1995.

宮武 剛, 󰡔介護保險とは何か󰡕, 1995.

手塚直樹, 󰡔障害者福祉論󰡕, 東京: 光生館, 1995.

全國老人保健施設協會編, 󰡔老人保健施設リハビリテ-ショソマニュアル󰡕, 平成7年.

手塚直樹, 󰡔障害者福祉論󰡕, 東京: 光生館, 1995.

芝田昭英, 󰡔公的介護保險を考える󰡕, 京都: かもがわ出版, 1995.

厚生省, 󰡔厚生白書󰡕, 東京: 厚生省, 1995.

岡本祐三, 「醫療와 福祉의 新時代」, 󰡔한림대학교 노인보건의료센터 주 최 노인의료복지에 대한 심포지움 연제집󰡕, 1995.

Barness, C., Disabled People in Britain and Discrimination, London: Hurst & Co., 1991.

Bloch, F. S., Disability Determination: The administrative process and the role of medical personnel, London: Greenwood Press, 1992.

Daunt, P., Meeting Disability: A european response, London:

Cassell, 1991.

Gooding, C.,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5, London, Blackstone, 1996.

Hirschberg, G. G., “Ambulation and Self-Care Goals of Rehabilitation after Stroke,” Geriatrics 5: 61-65, 1976.

Holland, B. E. and Falvo, D. R., “Forgotten: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y-A Consequence of Policy,” Journal of Rehabilitation, 1990.

McNeil, J., Americans with Disabilities: 1991-1992, 1992.

Oliver, M., Understanding Disability, London: Macmillan, 1996.

Okamoto, Y., “Health care for the elderly in Japan: Medicine and welfare in an aging society facing a crisis in long term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No. 305, August, 1992.

Townsend, P. Disability in Britain, Oxford: Martin Robertson, 1981.

문서에서 장애인구 대상별 특성과 정책과제 (페이지 11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