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공해물질인 수은을 이용한 새로운 고환경/고기후 근사치 개발 및 지구기후변화 연구 ㅇ 남극대륙 심해변동에 대한 연구는 연대결정의 문제와 적절한 대표자의 부재로 해석이 어렵다. ㅇ 오염물질인 수은 프록시를 고환경/고지후변화의 새로운 지표로 활용 가능성 규명
ㅇ 남극 심해 변화에 대한 새로운 지구화학적 프록시(예: Hg) 제안 및 타 해양지 퇴적물을 이용한 고환경/고기후 변화와의 상관관계 규명 연구개발 인도양 열수광상에서 수은을 이용한 고환경 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남극 빙핵의 자연 수은 변동에 대한 연구가 최근에 수행되었습니다.
그러나 지구 환경 변화에 따른 남극 퇴적물의 수은 변동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남극해 퇴적물에서는 나이가 불분명하고 심해 변동의 일반적인 지표를 사용하기 어렵다.
해양퇴적물을 이용한 고기후·고환경 변화해석 연구의 필요성 따라서 해양 퇴적물을 이용하여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환경 변화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남극 심해 변동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
그러나 남극해 퇴적물을 통한 남극 심해 변동에 대한 연구는 연령 불확실성 및 일반적인 심해 지표를 사용하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물질인 수은을 새로운 환경 지표로 사용하여 고환경/고기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여 해양핵심퇴적물을 활용한 고환경/고기후변화 연구능력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 결과 남극해 퇴적물에 함유된 수은은 염수 반발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퇴적물에 함유된 수은을 이용하여 남극 심층수 변동을 분석할 수 있다. 이에 향후 퇴적물 내 수은을 이용한 고환경/고기후 관련 연구개발이 기대된다.
향후 계획
The sedimentary record of submarine volcanism at the Central Indian Ocean Ridge and its relation to climate change. Much research has focused on investigating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s in AABW production, and further relating them to abrupt climate changes (eg, DO events); for example, a large increase in AABW production in the Antarctic during the glacial period may be related to the resumption of the THC, resulting in sudden warming events. However, paleo-proxies on the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 of AABW production in the Antarctic are still lacking.
Here we present a new high-resolution sedimentary Hg record in 35-kyr sediment core from the Scotia Sea, where one of the passages of AABW formed in the Weddell Sea, which may provide insight into the glacial-interglacial variation of AABW production in South -America. Ocean. Sedimentary Hg in the Scotia Sea sediments is likely either bound to fine clay particles or adsorbed on the surface of clay minerals and/or complexed by colloids and organic materials. Interestingly, Hg levels and fluxes are significantly high in the core ice deposits, possibly associated with an enhancement of brine repulsion combined with widespread sea ice formation and the more frequent and ubiquitous occurrence of coastal polynya.
Such Hg enrichment by the brine rejection has also been observed in the Amundsen Sea sediments (this study) as well as the Southern Ocean [1]. Our study highlights the sedimentary Hg is a sensitive and independent tool for reconstructing paleodynamics of AABW production and paleoenvironment/climate in the Southern Ocean as well.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UST Young Scientist Research Program (2018YS12R) and Marine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 in the Korean jurisdiction seas" funded by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respectively.).
We reconstruct the records of submarine volcanic activity in the sediment core around the Onnuri Vent Field, the Central Indian Ridge (CIR) with active hydrothermal fields, and 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 to climate change. In the ~4 m long sediment core with an established chronology of 14C dates, a total of 13 pyroclastic layers consisting mainly of dark glassy, angular obsidian grains and foraminifera have been identified over the last 40 kyr, indicating a series of explosive submarine volcanic events. eruptions [1]. Our study provides more insight into the dynamic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olcanisms and the climate changes (especially cold events such as the DO cycle). This research was part of the project titled "Understanding the deepsea biosphere on seafloor hydrothermal vents in the Indian Ridge" fund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해양 및 연안 드릴 코어 퇴적물을 이용한 고환경/고기후 변화 연구에 대한 논의. 퇴적물에서 수은을 이용하는 원관 연구원. 남극 시료를 이용한 고기후/고환경 변화 연구.
최종발표 자료-
Contents
최종평가 결과-
국립연구소 대학 UST. 제목 2018 UST 젊은 과학자 양성 프로젝트 최종 평가 결과 가이드. 귀하의 기관에서 최선을 다하기를 바랍니다.
지난 호에 대해서는 2017년 UST 젊은 과학자 육성사업 종료 후 최종 평가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UST 위탁결제 지정 전문회계법인 접수(개별정보 제공) 2018 UST Young Scientist Incubation Project 최종 보고서 양식입니다.
2018 UST 젊은 과학자 육성 프로젝트 최종 등급 의견 등급. 남극 코어 퇴적물의 수은 변동과 고기후/고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향후 프로젝트의 독창성과 사업기획 목적에 부합하는 독창성 확보
추진과정에서 전문성과 체계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Hg를 고해양학 연구의 프록시로 적용하려는 시도는 새롭고 독창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AABW나 Polyna의 증감에 관한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순환의 변화 연구에서 중요한 이슈이므로 남극 주변의 해양퇴적물을 이용한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연구자로서 앞으로도 연구의 아이디어와 독창성을 지켜나가길 바란다. - 연구 기간이 짧은 것을 감안하면 연구 결과가 매우 좋다. 고기후/고해양 분야에서 수은을 이용한 새로운 지표 개발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결론을 일반화하기에는 아직 근거가 다소 부족하므로 향후 동일 지역 및 인접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