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남해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실용화 기술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Share "남해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실용화 기술 개발"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2016년 봄 동남해안 총 식물성플랑크톤, HAB, HB 및 플랑크톤 건강지수(PHI) 점수화 결과. 남해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실용화 기술 검토.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MEHI 상용화 기반 구축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연구내용 및 범위

연구개발의 결과 1. 수질

부유생물

모든 피크에서 관리기준(PEL)을 초과하는 피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동강 하구 정점에서는 봄에 저서생물 건강도가 4등급으로 낮았고, 부산해안 정점에서는 8월에 저서생물 건강도가 4등급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다른 봉우리에서는 저서건강이 봄과 여름 모두 1~2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해 동부의 경우 여름에 저산소 수괴가 형성되어 마산만 안쪽에 위치한 봉우리가 생명력을 잃어 BPI가 0(건강수준 5)이 되었다. 봄과 여름 평가 결과를 비교해보면, 전국 서부의 경우 여름 득량만의 건강이 봄보다 나빴다. 남해 동부에서 가장 건강이 좋지 않은 수역은 봄과 여름에 동등하게 평가된 마산만이었다.

SUMMARY

Tittle

Necessiti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1. Necessities of the study

  • Objective of the study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1. Research Period

  • Contents and Scopes of the Study

Results 1. Water quality

  • Sediment
  • Benthos
  • Comparison of ecosystem health in eastern (2016) and western (2017) areas of the southern coastal waters
  • 기술적 필요성
  • 경제적 및 사회적 필요
  • 연구원 발전적 필요성
  •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연구개발의 연차별 목표 및 세부내용
  • 연차별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조사 해역
  • 남해동부해역 (2017 년 과제 수행 )
  • 남해서부해역 (2018 년 과제 수행 )
  • 세부 분야 및 분야별 핵심 추진내용
  • 수질 활용자료
  • 남해지형 특성과 부유생물 영향
  • 부유생물 평가지표 및 기준치
  • 남해동부해역 부유생물 평가
  • 남해서부해역 부유생물 평가
  • 남해 전연안 부유생물 평가
  • 퇴적물 활용자료
  • 퇴적물 내 중금속 오염현황 및 특성

남해 동부의 화학오염물질 자료를 이용한 퇴적물 지수 산정. 동태평양 부유생물의 실험실 데이터를 이용한 부유생물 지표 및 기본값 조사 - 동태평양 부유생물 건강지수 산출. 서남해 화학퇴적물 오염물질 자료를 이용한 퇴적물 지수 산정.

서남해 부유생물상 조사자료를 활용한 부유생물 지수 복원 및 기준치 개정 서남해 부유생물 건강지수 산출. 남해동해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산정 - 건강평가지표 작성 및 기준치 적용 검토

서남해안해역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산정 - 건강평가지표 작성 및 기준치 적용 검토 용존무기인은 서남해 전역에서 대부분 2급에서 양호하였으나 강진만에서는 4급에서 낮은 정도를 보였다. 용존무기질소는 강진만과 득량만에서 1등급, 고흥반도 부근 해역에서 4등급, 기타 해역에서 2~3등급으로 대체로 양호하였다.

엽록소는 진도, 강진만, 득량만 인근 해역에서 3도를 보였고 나머지 해역은 1~2도 양호했다. 용존무기질소는 강진만에서 3~4, 진도 인근 해역에서 3, 기타 해역에서 1~2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마산만 안쪽 끝은 5등급, 진해만, 부산 서부와 함께 남해도~통영 사이 바깥쪽 끝은 3등급으로 평가됐다.

즉, 남해의 외곽 측량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정점에서 3~4도를 나타내었다. 남해 서해의 여름 총 식물성 플랑크톤 건강지수는 이득에만 집중해 3~4도, 나머지 봉우리는 1~2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2-2-1. Monitoring stations in eastern (2016) and western areas of southern  coastal waters.
Figure 2-2-1. Monitoring stations in eastern (2016) and western areas of southern coastal waters.

Korea SQG-TEL Spring

Korea SQG-TEL Summer

  • 남해동부해역 저서생물 건강성 평가
  • 남해서부해역 저서생물 건강성 평가
  • 남해연안 저서건강도
  • 남해동부해역 춘계와 하계 건강성 통합평가
  • 남해서부해역 춘계와 하계 건강성 통합평가
  • 남해 전해역 통합평가 결과

III군에서는 다모류 Heteromastus filiformis(33.7%)와 Sternaspis scutata(20.7%)가 우세하였다. 낙동강하구 상위 45위에서 저서오염지수는 28, 저서건강도는 4등급이었다. 부산 연안 47개 봉우리의 저서오염지수는 39, 저서건강도는 3등급이었다.

2016년 5월과 8월, 2017년 8월 우리나라 남해안 각 관측소의 저서오염지수(BPI) 1) 남해안 동부 생태계 건강성 평가. 특히 마산만 중부수역은 저서 생물다양성 감소와 부유생물에 유해한 미세조류가 존재하여 건강성 평가에서 '매우 나쁨' 또는 '나쁨'으로 평가되었다. 하절기 평가 결과가 부진한 이유는 유해 식물성 플랑크톤이 과도하게 많아 부유생물 지수가 불량으로 기록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통합평가 결과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질 및 퇴적물 평가에서 다른 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도가 낮은 수역은 강진만이 유일한 수역이었다. 국내 최초로 EBM(Ecosystem Based Management)을 도입하여 내륙 연안 생태계 평가와 관리, 복원을 연계하는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기 위한 초석 마련 남해 해양생태계의 건강지수를 기반으로 건강도 판단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여 타우 심해 및 타 해양분야 적용을 위한 기술적 우수성 확보 해양생태계평가지표 기준치를 크게 초과하는 오염원을 관리분야에서 우선순위화하여 관리에 투입되는 예산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남해특별관리구역에서 기존에 개발된 건강진단방법의 필수지표는 타 기관의 조사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건강진단에서 일부 지표가 제외되어 기존 평가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타 기관의 측정점은 오염해역에 대한 질적 공간분포를 고려하지 않아 건강상태평가 결과의 판별력이 떨어진다. 동·서남해 생태계 건강성 평가 기반 물관리 우선권 제안.

Figure  3-4-1.  The  proportions  of  each  functional  group  according  to  feeding  type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in  May,  2016  (Group  I:  Filter  feeder and Carnivorous, Group II: Surface deposit feeder, Group III: Sub-surf
Figure 3-4-1. The proportions of each functional group according to feeding type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in May, 2016 (Group I: Filter feeder and Carnivorous, Group II: Surface deposit feeder, Group III: Sub-surf

수치

Figure 2-2-1. Monitoring stations in eastern (2016) and western areas of southern  coastal waters.
Table 2-2-1. Data information monitored in eastern and western areas of southern  coastal waters.
Figure  3-1-1.  Water  quality  index  (WQI)  in  the  eastern  area  of  the South Sea during the spring of 2016.
Figure  3-1-3.  Water  quality  index  (WQI)  in  the  western  area  of  the South Sea during the spring of 2017.
+7

참조

관련 문서

stakeholders, including GMOB in August 2017 Baker Creek options to be discussed at the September Working Group meeting. Finalize report in November 2017. 12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