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韓國人의 環境知覺에 關한 冊究 - -村落名의 分析을 中心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Share "韓國人의 環境知覺에 關한 冊究 - -村落名의 分析을 中心으로"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地理學論盡 第9 號, 1982年 12 月, pp.59'""'79.

韓國人의 環境知覺에 關한 冊究 -村落名의 分析을 中心으로-

〈目

I.

1. 맑究의 目的

2. 맑究의 方法과 問題點

11. 地名의 有意性과 地理學 聊究 資料로서 의 地名 1. 地名의 有意性

2. 地理學 船究 寶料로서의 地名

m.

地名分析에 의한 環境知覺의 原型 探索

1. 村落名

2. 地名의 語構造

鎭 元

次〉

3. 接頭語에 의 한 空間分월l 및 構造化 4. 接尾語에 의 한 地名의 類型 分類

N.

環境 認、知構造의 探索

1. 定 位

2. 閒鎭的 環境知覺 3. 二元的 認、知構造

4. 地愛著性

5. ‘새로운 空間’의 指向

V.

1 . 序 論

1. 맑究의 텀的

거 주 장소로서 의 地的 環境(geo-en vironmen t) 과 인간생활 사이의 交互關係에 대한 論議는 지 리학 본질에 속하는 것이다. 地表에 기초한 場 所, 空間, 環境은 종합적으로 地理的 世界 (geo­

graphical world) 를 구성 하며 , 인 간은 不可避하 게 그것 에 沒入(immersion) 되 어 있 다 1) 즉, 인 간은 日 常的으로 지 리 적 세 계 와 接觸하고, 그 안 에서 사고하며 행동한다. 環境에 대한, 또는 환 경 안에서의 인간의 感情, 知覺 및 行態는 전체 로서 環境經驗을 構成한다.

지리적 實體의 命名은 환경경험의 일부이며,

인간과 환경의 原初的 만남에서 시작된다. 命名 은 環境對象의 確認, 識別 및 空間의 認知構造 化률 위한 필요에서 수행되는 것이다.

環境까口覺(經驗)의 결과로서의 地名은 客體로 서의 장소가 가지는 특성과 命名 主體로서의 인 간의 意識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地名 속에 는 客體로서 의 장소가 가지 는 特性과 知覺 主體의 의지, 감정, 세계관 등이 含홉된다. 즉,

地名은 단순한 記號가 아니 라, 意味의 結集體이 다. 본연구는 이와같은 지명의 의미를 분석함으 로써, 環境知覺의 내용을 지리학적으로 究明하 는 것을 목적£로 한다.

地名의 연구는 주로 국어 학 分野에 서 語源과 形態(意味)플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三 國史記 地理志 所載 지명의 연구가 韓國과 日本 에서 행해진 바 있다. 지리학 분야에서의 지명 연구는 극히 부진한 狀態에 있음이 사질이다 2) 美國에 있어서의 지명연구는 地名을 하나의 文化 遺塵 내 지 ‘言語學的 化石 (philologicalfossil)’ 으 료 간주하고 3) 그것을 指標로 지역문화의 歷史 的 說明을 시도한 연구가 W. Zelinsky, R.C.

1) Seamon, D., 1978, A Geography of the Lifeworld, New York, St. Martins Press, p. 15.

2) 地理學 分훨에서의 地名昭究는 鄭京淑에 의한 外國地名, 康勝三敎授, 田京淑에 의한 忠北 地名에 관한 연 구가 있고, 李聖學敎授는 韓國의 地名을 歷史地理的 方法으로 연구한 바 있다.

3) Miller, E.].W., 1969, The naming of the land in the Arkansas Ozarks: a study in culture processes,"

Annals, A.A.G. 59, p.240.

- 5 9 -

(2)

West, E.].W. Miller,

J.

Leighly등에 의 해 서 이 루어진 바 있다.

2. 핍究의 方法과 問題點

한글학회 刊行의 「한국지명총람(강원, 충남북,

경남북, 전북 펀 )J 을 主 資料로 썼으며, 그 未 刊行 部分(경기, 전남, 제주)은 11/5만 지형도」

(국럽지리원 刊行)로 代置하였다. 分析 對象이 된 村落名은 總 81 , 952個 (1한국지명총람」에서 65, 708個, 1 1/ 5만 지 형 도」에 서 16 , 244個) 이 다.

이상의 자료에서 수집된 촌략명은地名語의 語構 造에 立臨하여 , 接頭語와 接尾語 別로 地名의 意 味分析을 행하였다. 接頭語는 전국적 分布樣相 을 究明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보아, 江原, 忠南 北, 慶南北의 55 , 482個 村落名만을 對象으로 하 였다. 반면, 接尾語 분석은 南韓 全域(市, 直輔 市, 特別市 除外)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것은 接 尾語가 지역의 자연적, 인문적 特性을 反映하여 全國的 分布에 관한 解釋을 요구하기 때 문이 다.

환경지각의 일반적 願向性을 把握함과 더불어 地名의 전국적 分布類型을 고찰하려는 의도에서 가능한 한 많은 數의 村落名을 사용하였으며 , 分 析흉흉因 別로 出現頻度와 頻度率을 算出하었다.

연구상의 문제점으로서는 固有地名(國語地名) 이 漢字地名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고유지명이 갖고 있었던 意味의 끊曲이 생겼을 가능성이 지 적되어야 한다.

또한, 意味의 解明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地名 도 많다. 이러한 점들을 補完하기 위해서 地名 의 意、味 究明에 짧意、하였으나 完廳을 기 대 할 수 는 없다. 資料上의 문제점은 「한국지명총람」과 11/5만 지형도」를 뺨用한 점이다. 위의 두 자료 에 기재된 村落名의 數에 差가 있고 (地形圖에 기재띈 지명수가 적다. ), 따라서 기재된 촌락명 에 해당하는 촌락의 규모에 차가 있음은 분명하 다. 즉, 지형도에는 소규모 촌락명의 기재가 생

략되었을 것이다. 本昭究 中 특히 地名(接尾語) 의 分布圖 解釋에는 이와같은 사실이 참작되어 야 할 것이다.

ll. 地名의 有意、性 및 地理學 冊究 資料로서의 地名

1.地名의 有意性

B.L. Whorf는 A間의 思、考는 固有言語에 依

存하며, 언어구조가 環境理解의 방볍에 영향을 주며, 世界像 (the picture of universe) 은 使用되 는 言語에 따라 다르다고 하였다 4) 또, 그는 고 유언어에 의한 構造線에 따라 自然은 分害U되고,

載斷되며, 權念으로 組織된다고 하여 언어와 環 境知覺 사이의 갚은 關係를 강조하였다 5)

地名은 위와 같은 의미를 가진 言語의 일부이 다. 지명은 대상이 되는 토지에 대한 固看性과 토지의 質과의 相關 때문에 지리학과 상당히 밀 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言語의 구성요소이다.

근본적 으로, 命名은 存在의 確認이 다. 命名을 통해서 인간은 多樣한 感覺資料로부터 認識의 고정된 核을 선택하게 된다 6) 지명의 명명은 한 장소를 다른 곳에서 구별할 펄요나 欲똘에서 비롯된다. 土地의 자연적, 문화적 特色을 하나 의 場所的 實體로 認識하여, 確認 (identify), 識 別C differentiate) 하기 위 한 펄 요하고도 펀 리 한 方法이 場所의 命名 이 다 7)

2. 地理學 핍究資料로서 의 地名 1) 環境知覺의 結果로서 의 地名

언어는 言댔의 世界觀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환경이 어휘를 鏡造하기도 한다 8) 즉, 地名은 환경 지 각의 內容을 反映하고, 環境은 그 風土에 서 培養된 語薰를 가지 게 된 다. Aivilik Eskimo 의 릎語에는 바람과 눈(雪)의 여려 가지 상태에 관한 語훌가 풍부하며 9) 백 나일 강 流域의 遊救民

4) Carroll, ].B. Ceditor), 1956, Language, Thought, and Reality, New York, The Technology Press of MIT and John Wiley & Sons, Inc.p. vi.

5) Lowenthal, D., 1975, “Geography, experience, and imagination: towards a geographical epistemology,"

in Emrys Jones (editor), Readings Social Geography. Oxford Univ. Press, p.1l4.

6) E. Cassirer 著, 鄭泰鎭譯, 1980, Á 間과 文化, 探求堂, p.132.

7) Kaups, M., 1966, “Finnish place names in Minnesota: a study in cultural transfer," Geographical Review, 56, pp.386.

8) Lowenthal, D., 1975, op. cit., p.1l4.

9) Tuan, Yi-Fu, 1974, Topophilia, New Jersey, Prentice-Hall, p.77.

(3)

은 그들의 가축을 指稱하는 語薰를 특별히 많이 가지고 있다.

地名 중에서도 聚落名은 환경의 자연적 特色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전통이나 地域意識을 象徵的으효L 含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와같 은 意、味에 서 의 지 명 은 文化遺塵으로서 住民의 環境知覺의 內容과 토지의 歷史性을 包括하는 無形의 文化財인 것이다.

2) 文化의 刻印 (cultural im prin t)으로서 의 地名 Lévi-Strauss는 社會現象 (言語, 信念, 技術,

習慣 등)의 背後에는 공통적으로 構造化된 無意 識性이 있다고 보았으며, 그것을 언어나 通信方 法에서 찾으려 하였다 10) 언어는 칩단적이고 包 括的언 作德(massive and inclusive art) 와 無意、

識世代에 씌한 巨大한, 處名의 作業 (mountainous and anonymous work of unconscious generations) 結果이다 11) 지명은 언어의 一部로서 地名 속에 는 以上과 같은 구조화된 無意識性이 投影되 어 있으며‘定한 인구집단의 環境像 (environme­

ntel image) 이 灌縮되어 있다. 環境像에는 주민

의 理想과 소망 및 空間觀, 世界觀이 包含되 어 있다. 그러묘로, 地名은 表面에 붙은 名 tL(label) 로서 의 중요성 보다도 의 미 의 結集體라는 測面이 地理學的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12) 또한,

地名은 상당히 持續的언 民間傳承 (persistentfolk genre) 이며, 土地에 대한 인간의 文化刻印 (cul­

tural imprint) 으로서 의 의 미 와 重휠性을 가지 고

있다 13)

m.

地名 分析에 依한 環境知覺의 原型探索

1. 村落名

촌락은 單純한 家屋.의 集合이 아니라, 하나

의 小宇범:(microcosm) 로서 14) 地城意、識(regional consciousness) 을 共有하고 있는 單位生活圍이 다.

촌락명을 짧究 資料로 션택한·理由를 흉흉約하면 다음과 같다.

a. 촌락은 기 초적 인 共同 生活園으로 그 名稱 분석을 통해서 根源的인 ‘場所一)、間의 結合’관 계플 이해할 수 있다.

b. 촌락은 일청한 토지와 文化景觀의 복합으 로 형성되며, 토지를 生塵의 기반으로 하는 原 始 共同體의 특강 이 殘存한다. 따라서 , 村落名은 단순한 自然、地名과는 달리 그 지역의 歷史性이 나 文化的 특색을 반영한다.

c. 비교적 많이 殘存된 固有地名(國語地名)의 分析을 통해 서 原初的인 環境知覺의 내 용에 接 近할 수 있다.

d.

環境에 關한 구체적 反應 結果를 얻을 수 있 다. 廣範한 지역의 인식은 抽象的일 수 있는 반 면에 일상 생활과 直接的인 관계에 있는 小地域 의 언식은 구체적 反應으로 표현된다 15)

e. Elite층의 神秘的-象徵的(magico-sym bolic) 인 공깐의 구조화보다 民間층의 직 접 적 環境經驗 에서 비롯된 지명과 行政家나 專門家에 의한 意 圖的 命名(‘self-conscious’ naming of places) 보 다는 현지 주민에 의한 자연 발생적 命名(‘ spon­

taneous’ naming of places) 을 重흉흉視하였 다 f. 전국적으로 상당한 수효에 달하는 村落名 을 얻을 수 있어서 환경지각의 碩向性을 抽出함 에 있어 信戀性을 높일 수 있다,

2. 地名의 語構造

地名의 意味 解釋을 합려적으로 하기 위해서 지명어의 構成語素블 形態素 별후 나누어 검토 해 볼 필요가 있다 17) 國語는 語棄構造가 配意 性이 짙다. 국어는 복합어로 形成되든지, 또는 분석 가능한 형태로 形成된 것이 特徵이다.뻐 10) Gregory, D., 1978, Ideology, Scieηce, aηd the Ríμmaη Geography. New York, St. Martin’s Press, pp.

95-96 ..

11) Sapir, E., 1949, Laηguage.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Inc. p.220.

12) 山口惠-郞, 1979, 地名창考;t .Q, 東京, 日本放送出版協會, p.61.

13) Mille:~ , E.].W., 1969, op. cit., p.242.

l4) Tuan, Yi-Eu, 1976, “Humanistic geography," Annals, A.A. G., 66. p.273.

15) Tuan, Yi-Fu, 1974, op. cit., p.192.

16) Sopher, D.E., 1978, “The structuring of space in place names and words for place," in Ley, D., Sam- uels, M.S. (eds), Humaηistic Geography, Chicago, Maaroufa Press, p. 252.

17) 成光秀, 1979, “鎭東地方 地名에 對한 語源論的 船究” 口陣文學, 4, 韓國精神文化맑究院. p.65.

18) 李뚫寧, 1976, “韓國語 發達史, 下 韓國文化史大系, V, 高麗大, 民族文化陽究所, pp.266-267.

- 6 1 -

(4)

1. 接꿇語의 種類(道別 出現頻度) 강 l 충|충|경!경

원 l 북 l 남 l 북|남

8,008]

댄01~~,_~57J15, 71911패81

55,482

\

사\

-

τ

\

류-

-\

-

SAl 끼-

려l ※ 접두어 표시 범례

〈上下〉型

〈上〉型

〈中〉型

〈下〉型

〈上·中·下〉型 1<中下〉型

〈上• 中〉型

덮 m며

Fhu

--

〈上·下〉 296

〈上〉

〈上下〉類

1451 555 441 214X3 1551 592 174

175 78 10 194

45 12 153 71 127 41 26 6 6 38 68 21

A1 t

〈中〉

〈下〉

〈上• 中 • 下〉

〈中下〉

〈上中〉

、이 대。 。바끼 원。안 동 。깥 u

@궤 田 E 。牌

、이。1F

1 4i」페’칸‘얘‘매‘ 。깥 EE

13 107 397 21 혜 메

|

n J

54 1821 180

〈內 外〉 43

〈內〉

〈外〉

n

궈〈

-。.둬〈 @되〈 고금 ET ET

말 岩4짜JJ짜그〕後.

z3j ai$×2l〈前後〉類 (灣〉型

4 15 41 0

체 繼 평

14

4nuu //\

;동펀, 東村, 東部

;西村, 서녘말 浦門里

!북준골 i동펀-서펀 浦村-北村

〈東·南·南·北〉型!東洞-西洞-南洞-北洞 i 東門-西門-南門-北門 88

10 90 171 11

35 94

〈西〉型

〈南〉型

〈北〉型

〈東西〉型

〈南北〉型

〈方位〉類 871 328

751 207 73 631 164 20 57 27 19

48

73X2 41 10 X 2 3X4 16

E 。너〈 。너

동 갑。건。넘

c강 등 。미E。샤n

a

」차’?、컨’@껴,‘짖tAU 너. 。、이。‘머。밑 C

〈間〉型

〈건너〉型

〈너며〉型

39 9

〈믿〉型

〈三〉펜

46 37 없

애 씨 써 11 1

。關

n E E RC다E 。、지 。。-口。야。 。。τ 。지 。지 。달 。야。 。、이。 。。-n 35

2 6

39 36 윈

|

j

801 503 X 2 1 ( <陽陰〉型 621 413 1< 陽陰〉類 1<陽〉型 261 123 \ <陰〉型 10

-----

?“

cu nu nu nu } --

이이니 -뻐 뻐

m

E

뻐 μJ 띠아 mι ωm

36 10 11

〈東〉

〈西〉

〈南〉

〈北〉

〈東西〉 2

〈南 ·北〉

〈東·西·南·北〉

其他方位 係 〈間〉

24 14

〈건너〉

〈너머〉

〈三〉

其他數詞

〈陽· 陰〉

〈陽〉

〈陰〉

地形 日照、

새각단, 새산, 새터, 新基 구진터, 구점곡 구딴산-신발산 원다둔이 본말, 本洞 i한자골, 大宗洞 i 작은양지

i큰암지-작은암지

〈親〉型

〈舊〉型

〈新• 舊〉型

〈元〉型

〈本〉型

5132,265 531 166

37 X 2

1<新舊〉類

64! 343 30) 117

〈新〉

〈舊〉

〈新· 舊〉

〈元〉

〈本〉

〈大(한))型

}

。랴〈

i

써”

上。아U괜 화 재”

-。윗 말 ’。중 。아 ’。下o담。가 。랫 」-。。Qτ ’ μ -녁 。테샤

-

e-。데 말。운@랫 마。운 화 〕짖’]’숫·4i까〕;’?’윗」카,〕윗j

2옳lfgfg2 }〈內外짧짧〉型

GUlJnμj시”η1UU

2

4--Ju--8l

q4

161 157 28; 165 19: 125 521 196 541 337 46288

뻐 햄

?j

-L

]

U

>

-、펀 -종 mm H 애

% -

αιαl

2

-남

L

때삐혜편 경 랩 쌓

(

-북

--3

혜뼈1%)꾀|따셔녁띠때 J -뼈에연때 1

細--경

---;

-l

-1 h

---F

、기

쩌페찍짧때미빼사에퍼떼때비-퍼 페 랩

--/\

-브「 ι

-’

--중 자

av 씨랙에내

-!1

lui띤|삐,

-떼

η

뻐혜-|

:

(

-원 〈「

혜끼니어혜 삐삐쩌떠-강

--(

-K

--

---EI

li

-총 꺼。型

” -며。

。類

” “--래

*

<

-한

@

---料註

~

<'J 、〉型

〈大小〉型

〈大(한))

(5)

즉, 지명어는 ‘基本+基語’의 複合語的 構造로 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地名語에서의 前 半語素는 거의 대부분이 自立形態로서의 단어이 기 때문에 地名 接頭廳라는 표현은 적당하지 못 하다. 接尾購의 경 우도 마찬가지 다. 따라서 , 本 論文에서는 다음 조건에 맞는 語素를 接頭語,

接尾語로 呼稱하려 한다.

a. 接頭語

地名語의 前半語素 중에 서 後半語素의 내 용을 形容, 修節, 限定하거 나, 對應關係로 구조화하 는 空間 및 時間 擺念語를 接頭語라 하였다. 따 라서, 지명어의 前半語素 전부가 接頭語가 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같이, 接頭、

語는 〈上下〉類, <內外〉類, <前後〉類, <方位〉類,

〈陽陰〉類, <新舊〉類, <大小〉類, 其他 등으로 大

別된다 19)

b.

接尾語

지명어의 後半語素를 전부 接尾語로 보았다.

지명어가 하나의 基語로 되어 있어서 의미있는 形態素를 분리해 낼 수 없는 경우는 接尾語에서 제외하였다.

3. 接頭語에 의한 空間分劃 및 構造化 村落名의 분석 결과에 依하면, 居住空間의 분 할 및 구조화는 地名의 接頭語에 의해서 표현되 고 있음이 발견된다. 修節語가 被修節語의 앞에 놓이게 되는 것은 우랄알타이 造語의 共通點이 다 20) 修節語가 被修語의 둬 에 붙는 例外的 경 우도 있다. ‘~위아래안건너,

rv

밀’등이 못안, 강건너, 산밀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그러한 예이다. <rv 밑〉型은 전부가 接尾 語 型으로 쓰이고 있으나 空間漸念을 JE현하는 것으로 부아 接頭語에서 취급하였다. 接頭語를 종류별 出現頻度로 보이 면 〈표 1) 과 같다. <표 1)에 의거하여 접두어블 유형별로 整理한 것이

〈표 2) 이 다.

〈표 2) 에서 보면, 접두어는 A. 空間關係를 표현하는 것,

B.

촌락의 歷史와 형성과정에 관

2. 接훌語의 類훨別 分훌훌

B. 歷史, 形成過程에 관한 것

〈新舊〉類, <元〉型, <本〉型,

C. 規模에 관한 것.

〈大小〉類

D. 地形, 日照에 관한 것.

〈陽陰〉類

E.

I

2,

96"1

17.2

|

1,

5081

8.8

편G

한 것, C. 規模에 관한 것. D. 地形 및 日照 에 관한 것, E. 其他로 구분된다. 이들은 全調 흉地名 (江原, 忠南北, 慶南北의 55, 482個 地名) 의 3 1. 0%에 해당되며 그 중에서 空間 關係를 표현하는 접두어가 全 接頭語의 64.3%를 차지 하고 있다. 이것은 空間의 분할 및 구조화가 주 로 地名의 점두어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뜻한다. ‘上下’, ‘內外’, ‘前後’ 등의 擺念은 始 原的으로 身體 構造에 準據해서 펀 것으로21) 초 기 문명 또는 미채 문명 지역의 素朴한 命名段階 에 흔히 나타난다 22) 原始 空間은 身體의 움직 임 이나 感覺에 입각한 개인의 환경경험에 의해서 無意圖的으료 (unselfconsciously) 으로 구조화된 다 이 것은 左右, 上下, 前後 (infront of and behind)>

內外 (reach and beyond reach) 등의 基本的 次元 을 提供한다 .23) <上下), <內外), <前後), <方位〉

類 등의 첼頭語들이 구체 적 으로 어 떤 環境條件 에서 그렇게 명명되었으며, 어떤 環境知覺의 결 과를 反映하고 있는가를 後述하겠다.

1) <上下〉類

〈上下〉類라 함은 ‘위 , 上, 아래 , 下, 가운데 ,

19) 接頭語의 ~類,'"型 등 表示는 本論文 〈표 1)중 ※ 部分 凡{7ú 를 參照할 것.

20) 김 윤경 , 1963, 새 로지 은 국어 학사, 6 西文化社, p.12.

21) Tuan, Yi-Fu, 1974, op. cit., p.55.

22) Norberg-schulz, C. 著, 加購郭男 譯, 1977, 實存 空間建藥, 東京, 塵島出版會, p.14.

23) Relph, E., 1980, Place aηd placelessness, London, Pion. p. 9.

- 6 3 -

(6)

中’의 각각의 語解가 개별적인 接頭語(例 : <윗 rv), <가운데 rv) , <上rv) 등)로 쓰이는 경우와 그들의 組合(例: <윗 rv, 아래 rv) , <上 rv , 中 rv , 下rv) 대응)에 의한 對應關係를 표현하는 接頭 語틀을 總括하는 용어 이 다. <표 1)에 서 〈上下〉

類 接頭語를 型別로 살펴보면<上 • 下〉型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出現頻度를 보이고 있다. 환경 이 나 대 상을 二元 分節하여 認知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 心理現象 중의 하나이다.

二元的 認知 方法 중에 서 도 ‘上下’ 로 環境을 知覺, 命名한 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 다. 첫째, <上• 下〉型 촌락의 命名은 대체로 地 形의 高底에서 비롯되었다. <표 3) 의 〈上·下〉

型 촌락에 관한 設問調훌 분석결과에 의하면,

109個의 〈上 • 下〉 對應型 村落 中 75個의 윗 말 이 아랫 말보다 高度가 높다. 그러 나, 10개 의 윗 말은 아랫말보다 오히려 고도가 낮으며, 24개는 비슷한 높이이다. 이것에서 알 수 있는 것은

〈上

下〉型의 地名은 대부분 지형상의 高底에

의거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비슷한 높이의 지 점과 심지어는 낮은 지점의 촌락이 윗말로 命名

된 것을 보면, <上

下〉型의 命名은 반드시 地

形條件에서 비릇된 것 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上下’의 擺念은 知覺主體에 播

在意識化되 어 있다가 環境知覺에 反映되 어 나타 난다고 본다. 비슷한 高度인 경우나 심지어는

낮은 지점의 村落이 윗 마을로 命名된 경우가

있는 것은 知覺主體에 內在하고 있는 ‘上下’ 의 擺念이 지형조건에 抱束됨이 없이 環境*口覺에

投射된 例로 볼 수 있다. 이것은 〈上·下〉型의 對應 命名이 ‘上下’의 意、味範購블 넘어서 단순 한 空間의 二元 分節일 수도 있음을 뜻한다.

〈上

下〉型 命名이 어떤 基準點(또는 村落)에

의하거나 命名者의 특별한 位置에 기준해서 된

例가 적고 대부분 하나의 聚落을 동시에 分害U 命名하는 경우나 윗말이 먼저 命名되고 그 對位 村落으로 아랫말이 命名되는 형식을 취하였다는 점에서도 上述한 바, ‘內在하고 있는 上下觀念’

의 發露라는 점을 인정할 수 있다. 세째, 上方 選好의 일반적 경 향이 있다. <표 3) 에 서 〈上 • 下〉

型 村落의 형성시기를 보면 윗말이 아랫말보다

먼저 형성된 例가 그 反對의 경우보다 倍 정도

표 3. <上• 下〉 對훌型 村落에 관한 뚫閒홈빼훌 結훌

1. 지형 : 윗말은 아랫말에 비해서 고도가

@ 높다 (75) ~ 낮다(1 0) @ 비 슷한 높이 다 (24)

2. 형성시기 : 윗말은 아랫말보다

CD 먼저 (41) ~ 나중에 (22) @ 동시에 (40}

생겼다 @ 모르겠다 (6)

3. 접근도:부근의 버스 정류장에서 내린 사람이 위의 두 마을을 찾아갈 때 윗말은 아랫말에 비해‘

@ 불펀하다 (62) ~ 편리 하다(1 3) @ 마찬가 지 다 (34)

4. 선호도:내(응탑자)가 위의 두 마을 중 한 곳을 선 택하여 이사한다면,

나는 @ 윗말 (37) ~ 아랫말 (72) 로 가겠다.

그 이유는?

@ 경상북도 全域과 忠北 괴산군 內의 〈上·下〉

對應型 村落 (459個雙)에 관한 설문조사를 해 당지 역 里長에게 의뢰한 바, 109개소에 대해 서 回答을 얻 음. (며收率 23.7%)

~ (의 숫자는 해당란에 記票한 수의 함.

로 높은 出現頻度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接近 度에서 보면 윗말이 대부분 접근하기 불편한 지 점에 立地하고 있다. 즉, 윗말은 接近度에서 불 리 함에 도 불구하고 먼저 形成된 경 우가 많음을~

나타낸다. 이것은 村落立地에서 上方 選好의 경 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윗말은 地形적으로 대개 높은 곳이고, 높은 地點은 낮은 곳에 비해서 더 閒鎭的인 골짜기의 最深部인 경우가 많다. 이러 한 사실은 上方 指向이 閒鎭空間 指向과도 통하 는 것으로, <표 4) 에서 대부분의 〈안말〉이 〈바 7같말〉보다 높은 地點에 立地하고 있는 點에 서 도 위의 사실이 이해될 수 있다. 네째, 身分의 位 階性을 重視하던 봉건적 階層意、識은 촌락입지와 그 命名에 영 향을 주었다. 즉, 윗마을을 아랫마

을에 對해서 空間的 및 精神的인 면에서 上位의

位階에 놓으려 했다.

2) <內外〉類

〈內外〉類 接頭語는 ‘안, 內, 밖, 外’의 單獨

型과 그들의 組合, 즉 〈內

外〉型<안

밖〉型

등 對應型을 포함한다. 前記한 ‘上下’ 의 개 념 과

같이 ‘內外’ 의 擺念도 原初的 환경 지 각과 素朴 한 命名의 수단으로 사용되 었다.
(7)

〈표 1)에 서 보면 〈內外〉類 중에 서 〈內〉型 (안

f"V, 內f"V,안內型)이 가장 높은 出現頻度

를 보이고 있다. <內〉型 地名이 많은 것은 다음 과 같은 이유에서 된 것으로 본다. 閒銷空間에 입지하게된 촌락은 閒合性 Cclosure) 을 創出하고 外部 世界와 격리되어 ‘안(內)’으로 까口覺된다.

폐쇄공간 選好는 背山臨水의 여러 利點, 風水地 理의 局面 形成, 혈연 및 방어관계, 原初的인 폐 쇄성의 希求 등에 基因한다.

〈內 • 外〉型으로 對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안마을이 바깥마을에 비 해 서 高度가 높고, 대 부 분 먼저 형성되었으며, 接近度가 不利한 경우가 많다 C<표 4) 참조) . 이와같은 點에서 안마을은 윗 마을과 立地 上의 共通點을 가지 며 , 環境知覺 에 있어서도 ‘위(上)=안(內)’의 連擊가 성립된 다고 본다. 촌락형성의 초기 단계에서는 안마을 이 바깥마을에 대해서 社會 • 經濟的 位階가 上

4. <內外〉型 村落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1. 지형 : 안말은 바깥말에 비해서 고도가

@ 높다 (46) ~ 낮다 (9) @ 비 슷한 높이 이 다 (25)

2. 형성시기 : 안말은 바깥말 보다

CD 먼저 (36) ~ 나중에 (11) @ 동시에 (25) 생겼다

@ 모르겠다 (8)

3. 호수의 변화:

최근 10년간 안말의 호수는 @ 증가(1 0) ~ 감소 (57) @ 무변화 (13)

최근 10년간 바깥말의 호수는 @ 증가 (20) ~ 감소 (50) @ 무변화 (10)

4. 접근도 : 부근의 버스정류장에서 내린 사람이 위의 두 마을을 찾아갈 때, 안말은 바깥말에 비해서 @ 불펀하다 (20) ~ 펀리 하다 (25) @ 마찬가지 다 (35)

5. 소득 : 안말의 호당평균 소득은 바깥말의 그것에 비 해서,

@ 높다 (20) @ 낮다 (25) @ 비 슷하다 (35)

6. 선호도 : 내 (응답자)가 위의 두마을 중 한 곳을 선 택하여 이사한다면

나는 CD 안말 (37) ~ 바깥말 (43) 로 가겠다 그 이유

η

@ 忠南北, 慶南北, 全北의 全 那에 所在한 〈內·

外〉型 村落 (300個雙)에 관한 設問調호를 該當 里의 里長에 의뢰한 바, 80A의 應答을 얻음 (회수율 26.7%)

~ ( 숫자는 해당란에 기표한 수의 합.

位였을 것으로 推斷한다. 그러나, 현재는 그러 한 差異를 발견할 수 없고, 오히 려 바깥마을이 交通과 農執의 便易 등으로 하여 中心 聚落化 하 고, 안마을이 相對的으로 쇠 퇴 하는 碩向을 보이 고 있다. 안말, 바깥말의 戶數의 變化나 所得의 差에서도 이러한 碩向을 엿볼 수 있다.

3) <前後〉類

〈前後〉類과 함은 ‘앞

後’등 語蘇가

單獨的으로 또는 그들 사이 의 組合으로 되 어 接 頭語로 쓰이는 경우를 表現한다. <표 1)에 依하 면, <後〉型 (뒷f"V,뒤, 後~, ~後)이 大部分 이 고 〈前〉型이 적 으며 〈前 • 後〉型으로 對應하는 경우도 드물다.

〈後〉型은 〈內〉型과 類似 擺念으로 본다. 다음 과 같은 條件이 〈後〉型 命名이 많아진 이유혹 제시될 수 있다.

a. <內〉型과 같이 폐쇄적인 空間 選好의 결과 이다. 背山臨水의 경우, 지형적으로 터진 곳을

‘앞’으로 知覺할 때, 聚落이 입지한 곳은 ‘뒤’

로 짧覺될 수 밖에 없다.

b. 空間 現象을 ‘앞’으로, 적극적, 前進的인 面에 서 파악하지 않고 ‘둬 ’ 로, 소극적 으로, 退 몇的인 것으로 認識한 結果이다. 어떤 對象物을 기준으로 命名할 때도 對象物의 ‘앞’ 보다는

‘둬’로 命名 對象을 知覺한 結果로 판단된다.

4. <方位〉類

〈方位〉類라 함은 ‘東 • 西 • 南 • 北’의 方位名 이 개별적 接頭語로 흑은 그 組合에 의한 대응 관계 表現의 接頭語로 쓰이 고 있는 경 우를 總括 하는 용어이다.

基本方位(cardinal directions) 에 의 한 공 간의

分節과 構造化는 촌락명에서는 흔하지 않고, 대 부분 前記한 바<上下), <內外), <前後〉類에 의한 命名 方法을 취하고 있다. (<表 1) 참조) .

이것은 촌락의 명명이 民間層에 의한 素朴한 방볍에 의했음을 뜻한다. 村落名, 里洞名, 面몹 名 中에 있는 〈上下〉類, <方位〉類의 頻度率을 表로 보이 면 다음과 같다. <표 1) 에 서 보면 〈上 下〉類의 頻度率은 村落名→里洞名→面몹名의 JI頂 으로 감소되고, <方位〉類의 그것은 위와같은 順 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것은 행정구역의 單位가 증대되고 그 命名이 행정가, 전문가에 의해서

(8)

5>

<上下〉훌, <方뾰〉類 接頭語의 村落名, 里, 面名 에서의 顆度훌

l 村 落 名 j 里(洞)名 | 面(둠)名

〈上下〉類 10.8% I 4.0% I 2.3%

〈方位〉類 1.7%

I

3.9%

I

8.6%

資料:G) 村落名→「한국지명총람」 강원 • 충남북 경 남북 펀(한글학회刊)

(횟 里洞, 面물名→「全國行政區域總覺 J (1981 年, 極東文化社)

註 :A →該當 語離 C<上下〉類, <方位〉類)의 出現頻度 B →調좁地名數

96=AjBx 100

專門的, 組織的으로 행해지고 있음에 반해서, 自 然部落 수준에 서 의 空間 構造化가 體系的 方法 에 기초하고 있지 뭇함을 보이는 것이다.

〈方位〉 類의 型別 출현빈도는 〈표 5) 와 같다.

각각의 方位는 촌락의 坐向이나 命名者(들), 또 는 어 떤 기 준점 에 對한 相對 方向 또는 選好 方 位指向에 의해서 선택된다. <東〉型이 가장 많은 데, 그것은 村落의 坐向이 특별히 東向이 많다 는 것보다는 東方 選好의 意識이 反映된 것으로 본다.

5) <新舊〉類

〈新舊〉類라 함은 촌락 형성의 先後, 母村과 分 村의 관계 등을 表現하는 接頭語(새 • 新• 원 • 본 等)를 뜻한다. <표 1) 에서 보면 〈新(새))型 이 대부분이다. ‘새터 (새말, 새터말, 新村, 新 基, 新뚫)’가 가장 보편적인 地名型이다. 촌락 의 命名이 고유 명칭을 찾지 못한 상태에서 많存 聚落에 對해 新興 村落을 〈새 rv) 型으로 命名하는 것은 命名의 便易와 單純性에 의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새 rv) 型 촌락명이 基準이 되는 뚜렷한 對象을 갖거나 1 많存 村落에 對比한 命名이기 보 다는 대부분이 개별적 名稱으로 分布하고 있는 것을 보면, ‘새’는 環境知覺에 있어서 ‘새로운 空間’의 選好 내지 指向과도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본다. 이 것은 〈方位〉類 中의 東方選好와 도 유관한 지각경향으로 블 수 있다.

6) <陽陰〉類

‘陽• 양지 • 양달 • 陰 • 음지 • 응달’ 들이 接頭 語로 쓰이고 있는 경우로서, 陽村• 양지말 • 응 달말 • 음지펀 등의 地名例가 있다. <陽• 陰〉 對

應型이 가장 많다. 양지말 • 음지말은 대부분 지 형 조건과 日照關係에 의한 命名이다. 南向의 산 록에 입 지 하여 採光이 良好한 마을의 名稱이 ‘양 지말’로 되고, 그 對魔의 경우가 ‘음지 (달)말’

로 되는 것은 자연스럽다. 日本에서도 ‘日向’,

‘日陰’등의 地名이 전국적 분포를 보인다 24) 그러나, <陽• 陰〉型 對應이 단순한 陽地 • 陰 地에서만 緣由한 것이 아니라, 前述한 바 공간 을 二元構造로 認知한 때문도 있다고보아야 할 것이다. 보펀적인 의미의 양지말이 命名된 후에 그 對稱을 求해서 음지말로 命名되는 경우가 있 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地形上의 陽·陰地와 村落名의 양지 • 음지말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7) <大小〉類

촌락의 규모를 표현하는 接頭語로 〈大小〉類 (大• 큰 • 小• 작은 • 한)의 接頭語가 사용된다.

〈표 1)에 의하면, <大 • 小〉型으록 對應하는 경우 보다는 〈大〉型이 많은데, 그것은 聚落의 실제적

인 규모에 엽각한 것이라기 보다는 자기들의 마 을을 ‘큰것’으로 知覺하려는 주민들의 自我中心 的 意識이 많이 反映된 것으로 본다. <大〉와 같 은 意、味로 使用된 〈한〉型도 적지 않다. ‘大’字에 先行한 순수한 國語 接頭語로, 후에 漢字地名으 로 바뀌는 과정에서 ‘大’字로 된 것이다. ‘한밭’

은 ‘大田’으로, ‘한내’는 ‘大) 11 ’으로 되었다.

4. 接尾語에 依한 地名의 類型 分觀 文法的 의미의 接尾廳란 단어의 구조에서 後 行하는 派生語素 中, 自立的 意味를 갖지 뭇하 고 依存 形態로서 만 後接하는 語素를 의 미 한다.

本 陽究에 서 는 複合語的 구조를 前 後半 語素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後半 語素를 모두 接尾語로 간주하였다.

1) 接尾語의 種類

接尾語로 사용된 語離의 종류는 많고 의 미 는 다양하다. 接尾語 中에 는 分布에 서 廣範하고,

상당히 慣用的으로 쓰여 서 높은 出現頻度를 보 이는 것들이 있다. 後述할 <rv골), <rv 말〉系 村 落名이 그 대표적인 것들이다.

接尾語를 출현반도의 11頂位에 따라 表示하면 24) 正井泰夫, 1966, “地名k 地形• 水”, 言語生活, 1966年 7月 號 pp.29-30.

(9)

〈표

6>

接尾語의 種類(出現頻度 順位:31j)

接 尾 語 I 出現頻度

11

곧(용, 굴, 꼴, 꿀 1 13,317 11 다려 (橋) 말(마을, 마, 몰 7, 399 !I 머 리 (頭)

村 1 3,572 11 林(숲)

별 3,427 il 店

터 (基, 할 1 3,120 11 峰 洞 3,318 11 幕(酒幕)

실 I 2,173 11 城

뜸(땀, 템, 텀 1 1, 927 11 湖(핍, 灌) 고개 (재 , 時, I뼈1, 914 I1 믿 (底) 내 (川, 漢, 개 울 1 , 877 11 플(石)

rll 1,813 :1 龍

1, 7581 등 바위 (바우, 岩1,535 !I 각단 걷0;;(亨子, 정 이 1 1, 499 I1 섬 (島)

미 (매 , , 에 1 1,477!1 、평(나루, 나리 ) 들(햄, 드르, 野, 별1, 431 ;1 水(물) 커리 (걸 1 1, 223 I1 院

개 (浦 1 1, 101 너 머 (너 미 , 네 미 )

딸(田 972 기

안(內 921 !.l 월(月) 목(매기, 모기, 項 738 편

올(올 576 덕 (德)

지 (地 521 11 흠(興)

펀(당이, 맹이)

521 \1

뭇(池, 淵, 樓)

語 | 出現頻度

1I

497 365 352 335 331 311 307 292 283 272 270 260 253 249 246 244 234 232 228 224 224 221 221 217

우물(井)

모퉁이(모랭이, 關) 배기

일(日) 대(台) 동네 松(송) 밖(外)

드L

샘(폈, 새미) 절(폼) 장(場) 달(達) 고지(꼬지) 아래(下) 가(邊) 마루(宗) 西 둔(둔지)

(기타)

語 | 出現頻度

209 207 191 181 175 173 156 157 150 143 140 141 140 136 125 124 124 116 110 102 101 100 (13,926)

資料: 경기도, 전남, 제주도는 11/5만 지형도J (국렵지리원刊行) 기타 도는 「한국지명총람J (한국학회, 1967년 '""1982년)

註 :(1) 援尾語는 같은 意味別로 묶었음.

@ 총조사지 명 수 81, 925個 000회 이 상의 출현 빈 도를 보이 는 접 미 어 70í重 67 , 999個) 7. 接尾語의 出現빈도 階級別分類

~---펀廳쏟I

1'""99 1100'"'-'99911,

00에 計 接탤語種數 |不 計| 혜 에

포"6J만프윤_1-편~j~’ f연j프현~I호괜25

%

| 펴

17.

2~ 팩

100

〈표 6) 과 같다. 南韓 全域(特別市, 直輔市, 市 除外)을 대상지역으로 한 村落名의 接尾語 中 100 回 以上의 출현먼도를 보이는 것만 表示하였 다. 100회 이 상의 出現頻度를 보이 는 接尾語는 70系25) 接尾語로 전 조사지 명 81 , 925個의 83%를 차지 하는 67,999 個所에 달한다. <표 7) 의 출현

반도 階級別 첩미어 분류에 의하면, 1, 000回以上 의 出現頻度를 보이는 18系 접미어는 全 調홉地 名의 65.8% 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村落名이 數種의 接尾語에 의 해 서 類型化될 수 있음을 나 타내며 그 類型은 촌락이 갖는 場所로서의 특성 과 命名 主體인 인간의 環境知覺과 環境像의 反 映으로 본다.

2) 命名의 基盤에 依한 接尾語의 類型

接尾語를 명명의 기반에 따라 분류하면 〈표 8) 과 같다. 接尾語의 명명기반을 보면, 自然環境 휠素에서 緣由한 것이 많다. 그 중에서도 지형 조건에 따른 것이 대부분인 것은 村落이 土地에 基健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당연한 것이다.

25) ‘~系’ 란 意味上의 類似 接尾語를 總括하는 表示엄 (例 : <'"골〉 系→ ~골굴꼴,'"갑, <'"말〉 系→

~말마을,'"바,'"'-'모 등)

- 6 7 -

(10)

地形要素 中에서는江, 河, 내 (JI D 등流動性,

變化性을 가진 對象보다는 골, 洞, 터 (基), 고 개, 실, 山, 못(池) 등 固定不變의 대상물이 대부 분이고, 들(헬), 버덩, 덕(德)등 開放的 의미를 갖는 語廳가 적고, 골, 洞, 실, 고개, 목, 모퉁 이 등 閒鎭的이 거 나 求心的 擺念의 語購가 많은 것은 촌락입지가 閒鎭的 空間을 選好하여 이루어 졌다는 점과 環境知覺의 1煩向性이 閒鎭的, 求心 的이었다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다. <골), <洞),

〈실) <울(올)), <목〉 및 意味의 解明이 요구되 는 數種의 接尾語에 對하여는 뒤에서 詳論하 겠다.

A文條件에서 연유한 접미어는 村落 共同體,

A工 構造物, 土地利用, 交通, 行政 區域名 등에 서 비롯된 것들로서, <rv 말〉型이 대표적인 것이 다. <말(마을))의 意味에 對하여는 異論이 級紹 하나 李因憲博土의 所論에 따라 村落 共同體와 有關한 것으로 보았다. (rv村〉은 그 使用의 역 사 가 三國時代에 까지 소급되나26) 現地名에 있어서 는 主로 新興 村落名에 쓰이고, 대부분 <rv 말〉에

대 응하는 漢字語 接尾語로 사용된 다. <훔), (幕),

〈堂), (店), <城), <홈〉 등이 接尾語로 採用된 것은 그들이 村落 共同體의 상징적 構造物로서 求心的 對象이 되고 共同 關心의 魚點이 되어 命 名의 基盤이 된 것으로 본다. (rv里〉는 龍飛細 天歌에 用例가 보이나27) 대개 行政 區域名으로

命名基盤

8. 接尾語의 命名基盤에 따른 분류(出現頻度)

| 골(1 3 , 317), 洞 (3, 318) , 실 (2 , 173) , 뜸(땀) (1, 927), 고개(재, 뼈)(1, 914) , 山(1, 813) ,

j 바위(岩) (1, 535) ,미(매, 외)(1, 477) , 들(싹, 드르, 벌) (1,431), 개(浦) (1, 101), 地 形 I (올) (576), 峰 (33 1), 돌(石) (272), 섬(島) (249), 덕(德) (221), 모퉁이(모랭이, 隔)

(207), 일(日) (175), 담(1 40) , 달(達) (125), 마루(宗)(1 02) , 둔(둔지) (100), 버덩

(35), 구미 (38), 불 (62) , 두둘(웰) (71)

|•• - - - - 1

| 내(川, 짧) (1,877), 湖(핍, 灌)(292), 水(물) (244), 못(池) (217),

水|

| 울(難) (71), 江(河)(96) 件

! 林(숲) (352), 松(솔) (150)

i |

1 共 同 體

|

말(마날) (7,399), 村 (3, 572) , 里 (3, 427) , 동네 (157)

32,710 (39.9)*

2,938 (3.6) 502 (0.6) 14,555 (17.8) 文 Á

|

훔(훔子) (1, 499), 堂(탕이 , 댐 이 ) (521), 다리 (橋)(497), 店 (335) , 幕(酒幕)(311), 城t

I (307), 院 (234) , 우물(井)(209) , 負(1 8 1), 대 (台)(156), 절 (뿔) (140), 장(場) (136)

i

}構 造 物|

I '1'1'3' ;18 1;.') I 門(1 16) , 둑(뚝) (31)

條 !農 排;

i 土地利用 j 터(똥, 基)(3,120), 밭(田) (972), 지(地) (521), 두둑(1 8) , 배미 (32)

件 i 交 通 | 거 리 (결)

(1,223),

澤(나루)

(246),

고지 (꼬지

) (124)

안(內) (921), 밑(底) (283), 너머(네미) (232), 펀 (224) , 南(1 73) , 밖(外) (143), 아래

係 I (下)

(124),

가(邊)

(110),

西(101), 건너

(61),

北(61), 께 (깨

) (28),

앞 (87), 뒤

(71),

(53), 위 (上)(92) , (52), (49)

象徵

抽象語 | 龍 (270) , 興(찌, 陽 (64)

身 體 構 造 | 목(매기, 項)때), 머리 (頭)

(365),

등 (260)

其 他 ! 이

(1,758),

각단 (253) , 기

(228),

월 (月

) (224),

배 기

(191),

행 (49) , 뱅 이

(59)

* 計란의 숫자는 전체조사지영수 (81, 925개)에 대한 백분율

4,673 (5.7)

4,663 (5.7) 1, 593 (1.9) 2,865 (3.5)

띠ω

끼-짧 끼 때 찌

OU

-’

1L

-’

?나

/\-1i

/k

/1\

26) 李聖學, 1975, “韓國 地名에 關한 陽究 慶北大論文集(人文社會), 20. p.54. 참조.

三國史記 卷第一 「朝蘇遺닮分居山짝之間홉六村」

三國遺事 卷第一 「辰韓之地古有六村」

27) 洪淳釋, 1963, “黑山島地名考 全南大論文集, 8集 p.3 참조. ‘里’ 가 언제 부터 쓰였는지 는 문헌상 不明이 나

龍飛個l天歌에 「幹옮里(오도리 )J 란 用伊u 가 있음. 龍飛細天歌, 104.

(11)

/

亡그

()

' " v 7

認짐칩Cl.~ 15

틀릎클 1

6'"V 23

’ 認靈 2

-1 "I'J

( ’

使用된 후에 村落名의 接尾語로 採擇된 듯하다.

〈말〉과 〈훔〉에 對하여는 後述하겠다.

주요 接尾語에 대 하여 는 那別 出現頻度를 기 초로 하여 개별적 說明을 하였으며, 필요하다고 생 각하는 接尾語는 分布圖릎 작성 하였다.

싼。

(V

c

ι 쫓 。“픔

r

,‘

‘니 ι

!iJiij!

j

li1

’’!|llili--ilil--ii·iL

o

50Km

~

그림 1. <rv 골〉 地名의 分布

*

<그림 l) rv< 그럼 7> 은 다음과 같은 자료와 계 산법 에 의거하였음.

資料: 한국지병총람(강원, 충남북, 경남북, 전북) , 1/ 5만 지형도(경기, 전남, 제주)

: 96:

~핸휠진괄f二 x

100

조사지명수

%0:

~핸표낀렬순

x1000

1"'" • 조사지병수 , (휩1해IJ)

의 村落名은 1/5만 地形圖에서 魔集된 것이고,

其他 道들은 「한국지 명 총람 J (한글학회 刊) 에 의거한 점이다. 上記한 두 資料는 記載된 地名 數와 地名調옳 및 寬錄의 基準이 다르다. 이 러 한 點은 연구상의 문제점으료 암에서 지적한 바 이며, 地名 接尾語의 分布圖 해석에 특별한 注 意가 요망된다.

(2) (rv 말〉

梁柱東博士는 ‘말 • 마리’는 ‘頭 • 首’의 訓,

‘딛무’는 ‘宗〔陳, 홉梁)’의 訓, ‘마로 • 마루’는

‘廳、’ 의 訓이 나 모두 ‘頭• 上’ 의 原義와 同源語 라고 하였다 28) 李內憲博土는 ‘말’은 村集會所 (내지 그 接舍)의 名稱에서 由來된 것으로 보았 다. 즉, 集會所의 元名이 ‘팅을’ ‘모을’ 흑은 (1) (rv 골〉

<rv끌〉系 地名 (rv골, 글, 꿀, 꼴, 삼)은 出現 頻度나 分布面에서 한극- 촌락명의 主宗이다.

‘골’은 ‘씁’과 ‘洞’의 두 가치 意味를 가지고 있다. ‘김’은 ‘골짜 71 ’의 뜻이고, ’洞’은 ‘고을’

의 의미흐 그 챈約型이 ‘팔’이라는 것이다.

〈골〉 擺念語는 그 역사가 젠久한 것으로 보인 다. I三國史記 地理志」 所載 518個 地名 接尾離 중에서 49個로 가장 높은 출현빈도플 보이는

‘忽、’ 은 고구려 地域에 분포한 地名으로 위 치 가 확인된 것은 17個所이며, 대개 山삼이나 益地블 나타냈을 것으투 推量한다 (rv골〉은 ‘갑, 山갑,

灌: 등 지형조건에사 緣범되어 결극 ‘縣, 톱, 都 城-村溶 또는 住켠의 集團’ 을 指稱하는 語蘇로 轉化펀 것임을 알 수 있다. 여커셔 閔銷的 지형 조건과 촌짝엽지와의 강은 相關을 이해할 수 있 으며 , 村落이 山삼 즉, 閔鎭空間을 選好하여 입 지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rv갈〉系 촌략명은 총調호地名 (81 , 925個)의 16.3% 인 13 , 317個所로 기-장 높은 出現頻度를 보이고 있다. (rv골〉系 村落名의 분포와 지형적 조건이 어느 정도의 相關이 있으며, 前記한 高 句麗 地名 <rv 忽〉과의 관껴1 에 서 그 分布가 어 떤 意味플 가지 는가블 알기 위 하여 , (rv골〉 地名의 那別 頻度率을 근거로 分布圖를 작성한 것이

〈그림 D 이 다. <rv골〉地名의 분포는 전국적 이 다 그러 나, 중부에 서 님-부후, 山地가 많은 지 대 에 서 平野地帶로 가면서 頻度率은 감소한다. 道別 로는 江原道가 <rv골〉 地名의 頻度率이 가장 높 으며, 內陸 地方에서 그러한 현상이 현저하다.

全南北 地方이 頻度率이 낮고, 특별히 해안지방 이 낮다. 이것은 (rv골〉地名이 지형조건을 反映 하고 있다는 사실과 高句麗系 (rv忽〉地名의 變 形일 것이라는 前記한 主張들을 뒷받침하는 것 이다.

分布圖 解釋에 있어서 문제점은 京驚道, 全南

(郵딩11)

- 6 9 - 28) 梁柱東, 1969, 古뭘:댐주究 , -j朝圍, p.72.

(12)

‘모르’ 이 었는데 , 이 集會所를 中心한 共同體까 지도 그와 같이 일걷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 서 , <마을〉은 集會의 돗인 ‘모을’ , ‘모들’ 에 서 나온 것임이 확실하며, 이는 마치 日本語의 mura (村) 가 群聚의 語안 muragari

,

mura에 서 나온 것과 마찬가지로 보고 있다 29) 本考에서는 李內 壽t챙土의 所論- ‘마을’ 은 集會의 뜻인 ‘모을’ ,

‘모들’에서 轉化하여 村集會所를 指稱하는 語로 되고, 나아가 集會所를 중심한 촌락을 나타내는 말로 되었다는 主張에 의거하였다. 결국 〈말〉은 環境知覺에 있어서의 求心性의 重視와 村落 共 同體에 있어 서 주민의 地域意識을 結集하는 象 徵的 構造物 (集會所) 이 場所 認識의 核으록 작 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말〉 地名은 <'"골〉地名 다음으로 높은 出現 頻度플 나타낸 다. 합ß別 頻度率에 의 거 하여 分布

건o 。

g

o ~ 50Km

/。

E그 o -5

깥괄 6 - 10

톨를클 11 - 15 認폈 16 이상

그림 2. <rv 말(마을))地名 分布

圖를 作成한 것이 〈그림 2> 이다. <'"말〉 地名의 頻度率 分布를 보면, 강원 및 경북 해안지방과 중부 내 륙지 방 一部가 頻度率이 높고, 全南北,

慶南의 南部地方이 頻度率이 낮다. 튜별 히 , 全 南은 <'"말〉系 地名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山間 벽지일수록 〈골〉地名이 많고, zp:野일수록 〈말〉

系地名이 많다는 견해도 있으나30) 이 주장은 江 原道에서만 어느 정도의 융當性을 나타내고 있 을 뿐, 기타 지역에서는 그러한 分布上의 特性L 을 찾치 어럽다.

(3)

<

'"洞〉

‘洞’ 의 字義는 ‘뼈整’ 의 뜻을 가지 나, ‘고을 (몸, 劉, 都城, 那)’ 을 指稱하는 漢字語로 사용 되었고, ‘고을’의 縮約型이 ‘골’이 되었다고 한 다 31) 朝蘇 時代에는 村, 별 등과 비슷한 意味로 混用되었다는 見解도 있다 32) 現地名의 用例에 서 ‘~洞’ 은 대 개 山으로 圍曉된 閒銷空間을 指 稱하는 경우에 쓰이고 있음을 보면, ‘洞’은 ‘골

(짝)’과 유사한 或은 同-한 意味후 使用된 것 을 알 수 있다.

(4) <'"村〉

三國史記, 三國遺事의 記錄에 보이 는 六村의

‘村’ 은 部族國家을 구성 하는 단위 로서 의 ‘村’ 으 로 人類의 集團 部落인 동시에 居住 地域의 擺

;융:을 包含하고 있다 33) <'"村〉이 언제부터 地名 接尾語로 쓰이 제 되 었는지 는 確實치 않으나, 비 교적 近代의 것으로 보는 이유는 태개 신흥 촌락 의 漢字地名 接尾語로 쓰이고 있기 때푼이다 34)

<'"村〉은 대체로 <'"말〉과 對應해서 갚은 意

味로 쓰이고 있다 35)

(5) <'"실〉

‘실’의 意味는 確實치 않으나, 現 地名에서는

‘~윤’ 에 對應해 서 나타나는 것 이 太部分이 다.

이졸 뒷받침하는 사질로, ‘질’윤 ‘골짜기’란 말 의 古語일 것으로 보는 見解도 있다. 즉, ‘찮’

블 ‘시내’라 읽을 때 ‘작은 내’ 즉, 실과 같이 29) 李內壽, 1968, “「마을」과 「두레」에 대하여 思想界, 1968年 4 月號 pp.192

rv

193.

30) 이 정 근, 1972, “韓國 自 然部落외 空間構造”, 서 울大 大學院 碩土學位論文, p.58.

31) 李軟柱, 1966, “훈島地方의 地名꿨 湖南文化짧究 4 호, 全南大 p.249.

32) 李聖學, 1975, op. cit, p. 55.

33) 李聖學, 1975, op. cit., p.54.

34) 洪淳釋, 1963, op. cit., p.7.

35) 申敬淳, 1973, “小地名語의 類型分類와 固有地名 對 漢字地名의 對應關係 鼎究” 淸?、['1敎大 論文集, 9輯 p

127.

(13)

( 양。)

.Jo ,--까 o - 20

폰렐 21 - 40

톨를클 41 - 60

認選 61 01 상

ø o

'---' 50Km

그림 3.

<

rv 실〉地名의 分布

‘가는 내(細JID ’로 생각하고, ‘시내’는 ‘질내’

의 ‘ E ’이 탈락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36) ‘실’

은 以上의 論述과 질제의 地名例 맞 그 分布의 特色에 서 볼 때

,

‘各’ 의 意、味로 使用되 었음이 거의 確實하다.

〈그림 3) 은 (r-v설〉地名의 分춰f 圖이 다. 경 기 , 강원, 전남에 分布가 적고 충북, 경남북의 內陸 山地에 많이 分布한다. 이것은 ‘실’이 ‘삼’의 意味일 것이라는 說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서지방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 으나 37) 全南의 풍島, 珍島, 新安 諸륨감, 경 남의 거제도, 남해도, 경기의 강화도 등지에 나타나 고 있다. 해안지방에 分布가적은 것은사실이다

(6) (r-v울(올))

<r-v울(올))의 語源에 對하여는 두 가지 見解 가 있다. 첫째는 ‘울〔올)’을 ‘벨(佳) , 불(火)’

의 품輯變化, ‘ H →빙→오/우’의 현상으로 考察

하는 것이다 38) 則, ‘울’은 古代 新羅, 百濟地 名의 火, (::lt, 夫里’에 해당되는 것으로 新羅 統 一 ·以後 그 標準語가 北上하여 블〉을〉울록 변하 여 충북, 경기에 까지 散在하게 되었다는 것이 다 39) 둘째는 ‘~골’의 기脫落에서 되었다고 보 는 것이다 40)

〈그림 4) 는 (r-v울〉地名의 分布圖이 다. (r-v울〉

地名은 경 기 • 충남지 방에 集中分布하고 있 다.

이 사실은 (r-v울〉地名의 北上說에 어긋나는 것 이 다. 그러 나, (r-v울〉地名이 北上을 完了한 추,

서울 • 경기 지방을 새로운 中心地로 하여 주위로

확산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은 可能하리략 본다.

(7) (r-v목〉

‘평’ 에 對應하는 地名 接尾語이 다. 주兌鉉짧〔授 는 ‘項’ 은 찮f[이 ‘목’ 으로 ‘마개 (關, 塞)’ 의 뢰11 借로 보았고 41) 梁柱東博士는 ‘猜펄’ ‘揮塞’ (노

ζ50 。

(%" )

C:=J

0 - 10

찮꽉靈 11 - 20 톨훌훌쿨 21 - 30

認蠻뽑 31 이상

æ키 o

L - - - J OOKm.

그림 4. <-rv 울(올)>地名 分布

36) 李熙昇, 1932, “地名짧究의 必휠” 한즙, 1 卷 2號, p.48.

37) 李敎柱, 1965, “全南地方의 地名에 關한 考察 國語國文學, 29號, p.412.

38) 金亨奎, 1962, 國語史船究, -~朝園, p.10.

39) 申敬淳, 1913, op.cit., p.128.

40) 崔範勳, 1976, 韓國語學論Zf(, 通文館, p.286.

41) 辛兌鉉, 1958, “三國史記地理志의 E타究” 慶熙大論文輯 1 輯, p.54.

- 7 1 -

(14)

무모기 • 노무마기)은 모두 長細한 山俠의 돗으 로 보았다 42) <목〉은 以上과 갇은 意味에 서 交 通上 몇衝地가 되 고 住民의 關心의 魚點이 되 었 을 것이다. 이 點은 ‘고개’나 ‘다리(橋)’가 주 는 image와 相通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5) 에 서 보면 分布가 전극적 이 나 內 l짧 산간지대에 많고 全南, 慶南의 海뿔, 도서지방 에 頻度率이 늪은 것은 〈목〉이 山練이나 海쨌을 指稱하는 語蘇일 가능성 을 크게 하는 것 이 다.

(8) <'"亨 (亨子))

‘훔’은 人그:構造物 中 가장 많이 촌락명의 接 尾語로 採用된 語離이다. 훔(亨子)은 촌락 공동 체 가 共有, 共用하는 共同集會의 場所이 다. 특 히, 農業 地帶에서는 共同 勞動과 결부띈 共同 休 息, 멧융樂 및 共同 察典을 위한 場所이다 43) 이와 갇은 의미와 機能을 가진 ‘훔’이 村落名에 많이 쓰이게 된 것은 쉽게 이해된다. <'"훔〉 系地名

I

앙 、、、

ø L

亡=그

0-7

텐꽉꽉 8-14

틀릎를 15-21

認擬 22 이상 그림 5. <rv 목〉地名의 分布

o 50Km

L..----.J

亡=그 o - 20 델품편 2 ! 40

툴를쿨 4! - hO

認꽉럼 6! 01 낭

('"亨, 훔子, 정이, 챙이)의 분포를 보면 (<그럼 6)), 全南北의 平野地帶에 分布가 많다. 이것은

‘훔 (亨子)’ 이 벼 농사을 中心으로 하는 村落 共同 體의 求心點이 되어 그것이 地名에 많이 反映된 것으로 블 수 있다.

(9) <'"山〉

‘山’ 은 단순히 景題的 擺念의 山이 아니 다. 事 實的 感覺의 山일 뿐만 아니 라, 象徵的, 神話的 意味의 怪鬼한 텅 어 리 (mass) 44) 로서 住民의 關心

과 信{fP의 對象이 되 기 도 한다. 村落名의 경 우 實在하는 山名에서 借用하는 경우도 많으나, 그 때 使用된 ‘山’은 이미 實體로서의 山이 가지는 意味範隱는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우기,

聚溶의 규모가 增大될 수록 그러 한 경 향은 강하 게 펀다. 都市名-那山, 좋山, 馬山 등의 山이 그러한 碩向의 擺念語로서 慣用的인 지명 접미어 로 轉換된 語離이다. ‘미(매, 메, 봐)’는 ‘山’

42) 梁柱東, 1969, op. cit., p.299.

43) ‘종훔’ 에 관한 論議는 다음 論文을 參照、

崔在律, 1966, “좋亨이 農村社會經濟에 미 친 影響 湖南文化昭究, 제 4 집 , 全南大, pp.1""24.

朴光淳, 1966, “쫓亨의 社會經濟的 機能의 推轉過程 湖南文化맑究 제 4 접 , 全南大, p.80.

44) 朴容淑, 1978, 韓國畵의 世界, 一志社, pp.58-60.

(15)

I Q:즈a o

<---1 50Km

( %0 )

亡=그

o

~

20 잖꽉텀 2 ì ~ 40 톨릎를 41 ~ 60

웰꽉협 61 이상

그림 7. <rv 뜸(땀)) 地名의 分布

의 닮[[借로 본다. 그려나, ‘미’는 現地名에서는

‘山’의 의미범주를 떠나 단순한 地名 接尾語로 쓰이 는 順向이 많다 45)

(10) <r-v뜸(땀))

한 마을 안에 서 몇 칩 씩 따로 한 군데 모여 사 는 區域46) 의 뜻을 가지 는 接尾語이 나, 그 語義 는 밝혀진 바 없다. 거의가 固有語 系에 연컬되 며 村落 形成에 서 tl、單位 區域 名稱으로 쓰여 지

고 있다 47)

忠北에서는 ‘헐(터)’에 對應하는 경우가 있 다 48) <그림 7) 에 의 하면, 충남, 전북, 경 남 서 부 등지에 밀집 분포한다. 全南에 分布가 적은 것은 小規模 村落이 地形圖에 萬錄되지 않은 때 문일 것이다.

3) 主愛 地名(接尾語)의 地域的 分布類型 村落名의 命名은 自然的, '"、文的 環境條件의 影響을 받는 것이 고, 環境條件은 地域的 差를

45) 洪淳釋, 1963, oþ. cit, p. 5.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地名이 地域的 分布類←

型을 달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과 같은 몇因듣이 地名의 分布類型에 影響을 줄 수 있다.

첫째, 접미어의 命名基盤은 大部分이 自然, A 文條件 中 具象的 對象物 즉, 地形, 士地利用,

農親, 村落共同體의 상징적 構造物에서 비롯되 었으며, 이들은 地域的 差가 현저한 것플로서 命名의 地域差에 影響을 주었다. 둘째, 地名接 尾語의 分찌]는 中心 地域에 서 周邊으로 가면 서 出現頻度가 변화팔 수 있다. 이 경우 地形 條件 이 變化블 折I制할 수도 있고, í足進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수치

표  1.  接꿇語의 種類(道別 出現頻度) 강 l 충|충|경!경
표  2.  接훌語의 類훨別 分훌훌
표  5&gt;  &lt;上下〉훌,  &lt;方뾰〉類 接頭語의 村落名, 里, 面名 에서의 顆度훌
표  8.  接尾語의 命名基盤에 따른 분류(出現頻度)
+6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ies and researches of internal marketing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internal marketing on the job satisfaction who work at hotel

Under the changes of banking situation in Korea, it is necessary for Korean regional-banks to set up management strategies to compete between banks and

The hypothesis and questionnaire were set up based on the previous study which had been studied by researchers to understand benefit segmentation of golfers of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Priciples of Criminology.. Learning to work in Group. New York : Teachers College. Social Theory and Social Structure. Creat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demand for housing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people live in

de henau, The conservation of stone, UNESCO... 남원 실상사

The fungal population of four storages was showed to be dominant species such a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and the order was Acremonium, Penicilliu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ocompatibility of several dental casting alloys(Gold, Dong Myung A-45, Dong Myung AP-35, Verabond, Rexillium, NPG) emplo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