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인관계성향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에서 신체외모 및 패션의

대인관계는 두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 상호간에 일어나는 역동적이 고 상호 복합적인 과정이며77), 본 연구에서의 영역은 지배우월, 동정수용, 사교우호, 과시도취의 4개 영역을 선택하였다. 지배우월은 지시, 충고, 자 기주장, 독단, 자만, 지나친 자존감의 의미를 담고 있다. 동정수용은 관용 적, 약자보호, 포용력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사교우호는 개방적, 활동적, 친밀, 친절, 동조적 의미를 담고 있다. 과시도취는 자기노출적, 과장적, 자 기과시의 의미를 담고 있다.

2) 대인관계 시 신체외모 및 패션연출의 중요성

대인관계 시 신체외모 및 패션연출의 중요성은 대인관계에서 몸매, 얼굴 생김새와 같은 신체외모나 옷차림, 의복브랜드, 신발, 명품가방 등과 같은 패션연출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를 의미한다.

3) 추구이미지

추구이미지는 외출복 차림시에 추구하고 싶은 이미지를 뜻한다.

77) 안범희(1985). 전게서.

4) 외출복 차림

외출복은 일상적인 외출을 의미하며 결혼식, 회갑연과 같은 특별한 외출 이 아닌 일상적인 외출복을 의미한다. 외출복 차림은 의복과 외모장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이나 원하는 이미지를 뜻하며 본 연구에서는 외출의복 과 헤어스타일 차림을 의미한다.

제3절 측정도구 1. 대인관계성향

대인관계성향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의 선택은 선행연구78)79)를 참고로 하 였으며, 그 영역은 지배우월, 동정수용, 사교우호, 과시도취로 각각 6문항 씩 선택되었다. 각 문항의 측정방법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그저 그렇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 로 5단계 평점법으로 조사하였다. 한편 각 변인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 여 Cronbach의 α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이때 문항삭제 시 α신뢰도와 상관 관계도 함께 검토하였다(표 5 ).

78) 상게서

79) 노선옥(2011). 대인관계성향, 생활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및 화장동기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인 내 용 문

항 수

문항 삭제 시 α 계수

신 뢰 도

지 배 우 월

Ÿ 남들에게 충고나 조언을 한다.

Ÿ 내가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시킬 만한 사람이 있 으면 시키길 잘한다.

Ÿ 어떤 모임에서나 내 주장을 이루려고 애쓴다.

Ÿ 남들로부터 잘날 척한다는 말을 듣는다.

Ÿ 친구들보다는 내가 유능하다는 생각으로 행동한 다.

Ÿ 나는 다른 사람의 의견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 지 않는다.

6

.499 .474 .389 .443 .445 .593

.593

동 정 수 용

Ÿ 남의 느낌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를 잘한다.

Ÿ 불쌍한 친구를 보면 도와주기를 좋아한다.

Ÿ 남을 비판하기에 앞서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Ÿ 구걸하는 사람을 보면 돈을 준다.

Ÿ 친구들은 고민이 있으면 나를 찾아온다.

Ÿ 나에게 잘못한 친구들과도 잘 어울린다.

6

.554 .401 .469 .500 .476 .486

.554

사 교 우 호

Ÿ 남들로부터 친절하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Ÿ 사교적인 모임에 참석하기를 좋아한다.

Ÿ 여럿이서 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협조한다.

Ÿ 여러 사람과 같이 어울리기를 잘한다.

Ÿ 다른 사람들은 나와 쉽게 친해질 수 있다고 생각 한다.

Ÿ 내 의견을 내세우기보다 다른 사람의 의견을 잘 따른다.

6

.562 .533 .555 .559 .628 .590

.628

과 시 도 취

Ÿ 여러 사람 앞에서 의견을 말하기를 좋아하고 때 로는 과장해서 말하기도 한다.

Ÿ 친구들과 어울리는 경우 내 이야기를 많이 하는 편이다.

Ÿ 사람들은 나는 꽤 관심 있게 보는 편이다.

Ÿ 친구들은 나를 부러워하는 눈치다.

Ÿ 남의 주목을 끌기 위해 가끔 유별난 행동을 하는 수가 있다.

Ÿ 다른 사람 앞에서 나의 집안일이나 나에 대한 자 랑을 한다.

6

.579 .626 .644 .634 .619 .605

.661

【 표 5 】대인관계성향의 문항 및 α 신뢰도계수 분석결과

【표 5】에서 보면, ‘지배우월’ 변인의 경우 ‘나는 다른 사람의 의견 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의 문항 제거 시 α 신뢰도가 .524에서 .59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며, 변인에 대한 이 문항의 상관관계도 .016으로

낮게 나타나 1문항을 삭제하여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동정수용’ 변인의 경우는 6개 문항 중 ‘남의 느낌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를 잘한다’의 문항 제거 시 α 신뢰도가 .528에서 .554로 다소 높 게 나타났으며, 전체 변인을 구성하고 있는 문항과의 상관관계가 .128로 낮 게 나타나 1문항을 삭제하여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교우호’ 변인의 경우는 ‘내 의견을 내 세우기보다 다른 사람의 의 견을 잘 따른다’의 문항 제거 시 α 신뢰도가 .616에서 .628로 다소 높았 으며, 전체변인을 구성하고 있는 문항과의 상관관계가 .197로 다소 낮게 나 타나 1문항을 삭제하여 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과시도취’ 변인의 경우는 6개 문항이었을 때 α 신뢰도가 .661로 높 게 나타났다.

2. 대인관계 시 패션 및 외모의 중요성

대인관계 시 패션 및 외모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중년여성의 외출복차림에서 나타나는 모습에서 조사하여 10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즉 의복, 외모연 출, 액세서리의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항목은 옷차림, 얼굴생김 새, 화장, 의복의 브랜드(상표), 헤어스타일, 몸매(체형), 말(언어), 신발, 명품가방, 보석이나 주얼리였다. 측정방법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에 1 점, ‘중요하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중요하다’ 4점, ‘매우 중요하다’ 5점의 5단계 Likert형으로 조사하였다.

3. 추구이미지

추구이미지는 선행연구80) 81)에서 10개 이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사용된 이미지는 ‘우아하고 여성적인 이미지’, ‘도시적이며 세련된 이미 지’, ‘편안해 보이는 이미지’, ‘독특한 이미지’, ‘지적인 이미지’, 80) 김유덕,김미영(2004). 중,노년층 여성의 의복추구 이미지 연구. 한국의류

학회지, 28(6), pp.746-757.

81) 이현정,김미영(2006). 의복추구이미지 집단에 따른 화장추구이미지의 차 이. 한국의류학회지, 30(4), pp.655-661.

‘날씬해 보이는 이미지’, ‘단정하고 깔끔한 이미지’, ‘청순한 이미 지’, ‘풍만한 이미지’, ‘젊어 보이는 이미지’였다. 측정방법은 5단계 Likert형으로 조사하였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 점, ‘그저 그렇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이었다.

분류 중년여성의 모습

스 커 트 차

바 지 차 림

【 표 6 】 실태조사에 의한 중년여성의 외출복 차림

각 아이템의 착용도에 대한 측정은 3단계로 하였으며, '전혀 착용하지 않 음‘ 1점, ’가끔 착용하는 편‘ 2점, ’자주 착용하는 편‘ 3점이었다. 중 년여성의 외출복차림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의 내용은 연구결과에서 제시하 였다.

중년여성의 외출복에 대한 예비조사는 대형마트, 백화점, 문화센터 등을 방문하여 중년여성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여 동의를 한 대상자를 중심으로 사진촬영을 하고 또한 연구자 지인 40-50대 여성의 외출복 차림의 사진을 촬영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표 6). 조사대상자는 광주광역시 거주 40, 50 대 중년여성이었으며, 조사기간은 2016년 2월 중이었다.

분석 내용은 사진으로 명확하게 분석되는 상하의 겉옷, 이너웨어, 헤어 색, 헤어질감, 가방, 스카프 여부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전체 65 장의 사진 중에서 명확하게 구분이 되는 사진 49장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 다.

1) 인구통계적 특성

인구통계적 특성은 표본이 한 곳에 치우치지 않도록 연령, 사회계층, 직 업을 고려하였다. 연령은 자신의 연령을 직접 기입하게 하였고, 직업, 사회 계층은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하게 하였다. 한편 사회계층은 3개 집단 즉 하 류층, 중류층, 상류층을 집단별로 상, 중, 하로 나누어 9개 항목으로 구분 하여 조사대상자가 보다 자신의 사회계층 집단에 가깝게 선택하도록 하였 다.

자료분석에서는 사회계층의 9개 항목을 3집단으로 재분류하였다. 즉 상류 층의 3개 집단과 중류층의 상집단을 상류층으로, 중류층의 중집단을 중류층 으로, 중류층의 하집단과 하류층 3개 집단을 하류층으로 분류하였다.

측정변수 내용 측정

방법 문항 수 문항출처

대인관계성향

Ÿ 지배우월, 동정수용, 사교우호, 과시도취의 4개 영역

5단계 Likert

척도

24 선행연구82) 대인관계시

신체외모 및 패션의 중요성

Ÿ 대인관계시 신체외모 및 패션이 미치는 중요성

5단계 Likert

척도

10 연구자 (예비조사)

추구이미지

Ÿ 패션이나 외모연출을 통하여 자신이 지향하는 이미지

5단계 Likert

척도

10 선행연구83)

84)

외출시 착용의복 및

헤어스타일

Ÿ 의복의 아이템별로 외출시 착용하는 정도 Ÿ 외출시 헤어스타일

3단계

평점법 20 연구자 (예비조사)

개인특성 Ÿ 연령, 사회계층, 직업 개방형

선택형 3 연구자

【 표 7 】 질문지의 구성

제4절 조사방법 및 연구대상

조사대상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임의표집하였다.

조사 시기는 2016년 3월이었으며, 질문지는 전체 420부가 배부되었으며, 그중 415부가 회수 되었다. 회수된 질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적합하 지 않은 질문지를 제외한 409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전체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특성의 분포는 【표 8】과 같다.

변인 N %

연령

40-44세 45-49세 50-54세 55-59세

99 132 103 75

24.2 32.3 25.2 18.3

직업

주부 사무직 자영업

영업 및 서비스 판매직 기타

166 92 71 56 24

40.6 22.5 17.4 13.7 5.9 사회계

상류층 중류층 하류층

128 166 115

31.3 40.6 28.1

합 계 409 100.0

【 표 8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40-44세 99명(24.2%), 45-49세 132명(32.3%), 50-54 세 103명(25.2%), 55-59세 75명(18.3%)이었다. 직업은 주부 166명(40.6%),

사무직 92명(22.5%), 자영업 71명(17.4%), 영업 및 서비스판매직 56명 (13.7%), 기타 24명(5.9%)로 나타났다. 사회계층은 상류층인 128명(31.3%), 중류층이 166명(40.6%), 하류층이 115명(28.1%)로 나타났다.

제5절 자료분석

본 연구의 조사되어진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각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중년기 여성의 외출복 스타일 분포도 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둘째, 대인관계성향 변인의 신뢰도를 위하여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 를 산출하였다.

셋째, 대인관계성향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군집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 시하였다.

넷째, 대인관계성향 집단과 외모 및 패션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대인관계성향 집단과 현재 자신의 헤어스타일과의 관계를 알아보 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추구이미지, 대인관계 시 신체외모 및 패션 영향이 중요성, 외출 복차림에 대한 관계를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