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미 술 교 육 전 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미 술 교 육 전 공"

Copied!
8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중 학 교 도 자 공 예 학 습 에 관 한 연 구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미 술 교 육 전 공

1 9 9 9

(2)

중 학 교 도 자 공 예 학 습 에 관 한 연 구

지 도 교 수 노 경 조

이 논 문 을 청 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 0年 7月 10日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미 술 교 육 전 공

민 아

1 9 9 9

(3)

유 민 아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 0 0 0 年 7 月 10 日

심 사 위 원 장 신 장 식

심 사 위 원 노 경 조

심 사 위 원 고 명 근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 목 차 -

논 문 개 요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3

Ⅱ .이 론 적 배 경 5

1. 미술교육에서의 입체 표현의 교육적 가치 5

가. 미술교육의 목표와 방향 5

나. 입체 표현의 의의와 교육적 가치 7

다. 청소년기에서 입체 표현의 중요성 11

2. 도예 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방향 13

가. 도자 예술의 개념과 특징 13

나. 도예 교육의 중요성 및 교육적 의의 16

다. 도예 교육의 방향 19

Ⅲ . 중 학 교 미 술 교 육 에 서 도 자 공 예 21

1. 도자 공예에 대한 교육 문헌 고찰 21

가.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에서 도자 공예 영역 21

나. 교과서에 대한 도자 공예 분석 29

2. 도자 공예의 교육 실태 분석 34

가. 도자 공예 지도 목표에 있어서의 문제점 34

(5)

나. 도자 공예 지도 내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35 다. 도자 공예 지도 방법에 있어서의 문제점 37

Ⅳ . 중 학 교 도 예 교 육 의 지 도 방 안 39

1. 도예 교육의 지도 방법 39

가. 발상 단계에서의 지도 39

나. 표현 활동의 지도 40

다. 감상 활동의 지도 42

2. 도예 교육의 효과적인 수업 방향 모색 43

가. 사례 연구 43

나. 바람직한 도예 교육의 지도 방안 54

다. 수업 방법 모형 제시 56

3. 도예 교육 지도의 실제 58

가. 도자 공예를 위한 지도 과정 58

나. 도자 공예 지도를 위한 학습 지도 기본 구조안 60

Ⅴ . 결 론 및 제 언 67

참 고 문 헌 71

부 록 74

S U M M A R Y 82

(6)

- 표 목 차 -

< 표- 1>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내용 22

< 표- 2> 중학교 1학년 미술 교과서 분석 (교학사) 30

< 표- 3> 중학교 2학년 미술 교과서 분석 (교학사) 31

< 표- 4> 설문 조사의 응답율 43

< 표- 5> 미술 수업의 시간에 대한 의견 44

< 표- 6> 미술 수업을 어렵게 느끼는 이유 44

< 표- 7> 재미있는 미술 수업을 위한 조건 45

< 표- 8> 미술 시간에서 재미있는 영역에 대한 조사 46

< 표- 9> 미술 시간에서 싫어하는 영역에 대한 조사 47

< 표- 10> 5번 영역을 싫어하는 이유 47

< 표- 11> 도자 공예 제작 과정에 대한 이해 48

< 표- 12> 도자 공예 수업을 해 본 경험 48

< 표- 13> 도자기 제작 과정 견학에 대한 경험도 49

< 표- 14> ‘흙으로 만들기’시간에 대한 의견 49

< 표- 15> 도자 공예 작품 보관에 대한 조사 50

< 표- 16> 도자기에 대한 관심도 조사 50

< 표- 17> 도자 공예 수업이 정서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51

< 표- 18> 도자 공예의 창의력 계발에 대한 조사 52

< 표- 19> 도자 공예의 표현력에 대한 조사 52

< 표- 20> 미술과 수업의 단계적 과정 58

< 표- 21> 지도 단계의 과정 58

< 표- 22> 도자 공예 지도안 62

(7)

- 그 림 목 차 -

< 그림- 1> 핀칭 성형 (빚어 만들기)의 제작 과정 77

< 그림- 2> 흙 가래 성형 (말아 올리기)의 제작 과정 78

< 그림- 3> 점토 판 성형 (흙 판으로 만들기)의 제작 과정 79

< 그림- 4> 핀칭 성형으로 만든 컵 80

< 그림- 5> 고리 모양의 필통 (투각 기법을 이용한 필통) 80

< 그림- 6> 굽 높은 발형 (점토 판으로 만든 그릇) 80

< 그림- 7> 뚜껑이 있는 기물 (속 파내기를 이용한 합) 80

< 그림- 8> 점토 코일 문양을 살린 항아리

(흙 가래 성형을 이용한 항아리) 81

< 그림- 9> 투각 기법을 이용한 촛대 81

< 그림- 10> 무늬를 넣은 컵 81

< 그림- 11> 여러 가지 기법을 이용한 주전자 81

(8)

논 문 개 요

도자 공예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생활이나 정서에 밀착하 여 왔으며, 인류 문화의 발달과 함께 성장해 온 가장 오래 된 예술 중의 하나이다

이는 무엇보다도‘흙’이라는 자연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고 낯설지 않 은 친밀한 재료라는 점에서 가능하였다.

흙을 이용한 입체 표현은 재료 자체의 느낌과 가소성을 통한 자유로운 표 현 활동 등 청소년의 인성 발달과 창의적 계발에 크게 도움을 준다.

그러나 도자 공예는 현재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데, 교사들의 이해 부족이나 시설의 특수성, 체계적인 교육의 미흡 등 이 그 이유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촉각 경험을 통한 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도예 교육의 중 요성을 강조하고, 청소년기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자 공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6차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서와 설문지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도 예 교육의 지도 방안을 연구하고, 도예 학습 방법에 기초를 제공하였다.

도예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효과적인 수업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실이 없는 경우 많은 학생들이 한꺼번에 작업하기가 불편하고 완성된 작품을 보관하기가 힘들므로, 작업 및 작품 보관을 위한 적절한 공 간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둘째, 미술 수업 시수의 부족으로 구상 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완성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차시 발상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시 간적 여유를 가지고 스스로 계획을 세워 작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여야 한

(9)

다.

셋째, 고학년이 될수록 청결에 대해 민감하므로 옷에 흙이 묻고, 지저분해 진 자리를 청소하는 것 때문에 흙 작업을 기피할 수 있다. 사전에 작업복 을 준비하고 청소 및 뒷정리의 시간을 충분히 주어야할 것이다.

넷째,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가마를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소성까지의 결 과물을 기대하기가 어려운데, 간단한 방법으로 소성을 체험해 보거나 도예 공방에 의뢰해서 소성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을 마련하여 효 과적인 도예 교육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교사는 발달 단계를 고려한 학생들의 개성의 차이에 주의를 기울 여야 하며,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수업이 되도록 발상 단계에서의 체계적 지도가 필요하다

여섯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도자 공예의 성형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지 않으므로 교사는 슬라이드나 참고 사진 등 다양한 학습 자료를 통해 도자 공예의 전반적인 지식을 학생들에게 충분히 이해시키도록 한다.

일곱째, 도자기가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도록 하기 위해 실제적 도예 교육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10)

Ⅰ . 서

1 . 연 구 의 필 요 성 및 목 적

미술교육은 단순한 기능 위주의 교육이 아니라 다양한 미적 체험을 통하 여 바른 지식을 깨우치게 하고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주며 좀더 의미있고 보람있는 자신의 삶을 추구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미술교육은 시각적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형적 표현 활동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게 하며, 또한 감각기관을 매체로 하여 받아들 여진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는 지적・감성적인 교육은 감각적 체험의 면에 서 표현의 가치를 느끼게 한다.

시각적 교육에 더 많이 치우쳐 있는 현실의 미술교육에서 입체 표현의 중 요성을 느끼고, 촉각 예술로서 감각기관을 통하여 형상화할 수 있는 체계 적 교육이 필요하다. 그 중 촉각 예술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미 술 재료는 많지만, 자유로운 표현과 느낌을 잘 반영하고 발산할 수 있는 재료로서 우리가 자주 접하고 친근감 있는 찰흙에서 표현의 자유를 느낄 수 있다.

도예는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생활이나 정서에 밀착되어 중 요한 사회적 기능을 하였으며, 인류문화의 발달과 함께 성장해 온 가장 오 래된 예술 중의 하나이다.

도자 공예는 국민의 생활과 밀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도자 기만큼 전 계층의 사람들이 사용한 것도 드물다. 또, 도자기는 그 시대의 삶과 희망이 담겨져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1)

(11)

이는 무엇보다도 흙이라는 자연 재료에서 가능할 수 있으며 현대의 미술 교육에서도 가장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친밀한 재료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 될 수 있다.

흙을 이용한 입체 표현의 교육은 재료 자체의 느낌뿐만 아니라 독특한 재 질감과 자유로운 표현에서 인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유로운 생 각과 느낌 등을 부드러운 감촉을 통해 내면적인 동요를 발산하여 심성을 순화시켜 주기 때문에 개인의 인성 발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재료의 친근감은 물론 사고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창의력을 향상시키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도자 공 예를 체계적으로 교육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에서 벗어나 감성적 정서 함양이 중요시되는 청소년들에게 미술교육 에서 전인적 인간을 만들 수 있도록 적절한 방법을 제시하여야 하며, 이것 은 도예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필수 요소 중의 하나이다.

도자 공예는 자유로운 형태 변화와 폭넓은 표현 활동과 같은 조형 능력의 신장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도자 공예는 현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인데, 교사들의 이해 부족과 시설의 특수성, 체계적인 교수 - 학습 방 법의 미흡 등이 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단지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도자 공예를 등한시하는 것보다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중 학교 교육과정에 맞는 효율적인 지도 방법을 찾아 창의적인 표현 능력을 개발해 주는 것이 중요하리라 본다.

또, 흙을 통하여 풍부한 감성을 계발하고, 화려한 역사를 지닌 훌륭한 도 자 예술의 전통을 바탕으로 현대의 도예가 발전할 수 있도록 도자 예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이 논문은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입체표현 활동 중 도자 공예를 바탕으

(12)

로 지도 방법을 제공하고, 도자 공예의 이해가 부족한 교사들에게 기초적 인 지식과 방법적인 면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학생들의 촉각 경험의 증진으로 인한 심신의 건강과 흙을 통한 창 의적 표현활동 그리고, 한국 도자 문화를 새롭게 인식하도록 하는 체계적 도예 교육을 그 목적으로 한다.

2 . 연 구 의 내 용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고찰하였다.

첫째, 미술교육에 있어서의 목표와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입체 표현의 특징과 교육적 가치를 살펴본다.

셋째, 도자 예술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본다.

넷째, 도예 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다섯째, 중학교 미술교육에서의 도자 공예의 교육 실태에 대해 분석한다.

여섯째, 중학교 도예 교육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 방향을 모색한다.

3 . 연 구 의 방 법 및 제 한 점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표현 활동의 찰흙 수업 은 많이 다루어지고 있지만 중학교 미술 수업은 초등학교 미술교육과의 연 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창의적 수업보다는 기능을 위주로 하는 미술 수업이라는 선입견에서 못 벗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에게 미술이 재미없거나 하기 싫은 과목이 아니라 자기 주도적 표현을 할 수 있는 적절한 과목이라는 것을 인식시키 며, 도자 공예의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고, 중학교 미술교육의 체계적인 도

(13)

예 교육을 연구하여, 이론적 개념을 통한 도예 교육의 중요성을 논한다.

도예 교육의 필요성 연구를 정립시키기 위해서는 입체 표현의 특징과 촉 각 예술의 필요성 등을 관련 문헌을 통해 고찰한다.

그리고 미술 지도에 있어서 도자 공예 제작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교사는 많지 않은데,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교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도예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발상 단계의 지도 방법과 실기 방법, 감상 방법으로 나누어 도자 공예의 수업 방향에 대한 학습 내용을 연구한다.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분석과 미술의 참여도, 도자 공예의 이해도, 도자 공예의 흥미도 등을 통해 미술교육에 있어서의 효과적인 수업 방향을 모색 한다.

(14)

Ⅱ . 이 론 적 배 경

1 . 미 술 교 육 에 서 의 입 체 표 현 의 교 육 적 가 치

가. 미술교육의 목표와 방향

미술교육은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주변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 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 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미술교육에서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2 )

첫째, 생활에서 미적 대상을 발견하고 느낄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정서를 풍부하게 해 주며 미술을 생활화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자세를 가지 도록 해 준다.

둘째, 동기유발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욕구를 북돋워 주고, 주제, 표현 방법, 조형 요소의 원리, 재료와 용구 등에 관한 체계적인 탐색 활동과 능 동적인 표현 활동을 통해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다.

셋째, 미술품에 대한 개인적인 반응이나 판단을 존중하고 창의적이며 비 판적인 사고력을 가지도록 한다. 또,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미술을 이해 하고 애호하는 태도를 가지게 하며, 전통 미술에 대한 자긍심을 길러 미술 문화 창조에 기여하도록 한다.

앞으로의 미술교육의 방향은 학생들의 자율성, 창의성 등이 존중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흥미, 발달 단계를 통해 개인차가 존중되어야 한다.

(15)

기본적이면서도 질적인 조형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교육은 미술교육에서 도 중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입시화, 물질화 사회에 대응하는 미술교육은 자율성과 창조성, 사고 력과 판단력을 기르고 이해할 수 있는 조형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미술교육 목표 및 내용의 핵심은 정의적 인격 형성에 충실해야 하며, 조 형 교육을 통한 여가 선용과 협동 작업, 전통 문화의 계승 등 주체적인 국 민으로서의 문화 의식을 향상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미술 교과는 표현 기능을 신장시켜 주는 교과이다.’그러므로 인간으로 서 자연 환경을 소중히 가꿀 줄 알고, 아름다운 자연을 풍요로운 정신세계 와 접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게 해 주어야 한다. 또한, 미술 교과는 미 적 체험과 감상을 통해 조화로운 삶을 영유할 수 있는 방법을 숙지하는 교 과이다.3 )

먼저 학생들의 개성과 인격을 존중하고 민주적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도 록 다음과 같은 교과 목표 달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첫째, 교사의 획일적인 지도 방법을 지양하고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을 통하여 학생의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학습 능력을 길러야 한다. 그리고 학 생들이 자연과 환경을 조화시켜 인간의 생활을 보다 풍요롭게 개선해 나가 려는 심미적인 태도와 능력을 기르는데 힘써야 한다.

둘째, 미술과 교육목표는 조형 활동의 경험을 통해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길러 창조성을 계발하고 정서를 함양시켜야 한다.

즉, 자기의 느낌과 생각을 구상, 또는 추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창조력 과 자연과 조형물에 대한 감상 능력 및 미적 문화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 는 능력을 기르는데 그 목표를 두어야 한다.

3) 김두삼, 미래지향적 미술교육의 실천적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예술교육연구소, 1997, p. 94

(16)

셋째, “우리는 종래의 교육 방법에서 탈피해야한다. 바람직한 인간으로 변화시키는 데 공식적인 수리 교육보다는 창조적인 예술 교육으로 그 진로 를 바꾸는 일이 시급하다.”4 )

미술교육은 점차 시대적, 사회적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새롭게 대 처하는 의식 개혁에 있다.

미술교육의 진정한 목표는 예술 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인간성의 육성과 창조적 미술교육인 것이다.

창의성은 앞으로의 사회에서도 가장 필요한 것이 될 것이며, 인간은 항상 새로운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정보화 시대, 기술 과학의 경쟁 시대, 문화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 미래는 창의성을 열어가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5 )

창의적인 관점에서 좀더 나은 방법적인 미술교육을 통한 노력은 시각적 표현 방법뿐만 아니라 입체 표현을 통한 촉각 예술에서도 미술교육의 목표 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좀더 나아가 아동 미술에서는 많이 다루어 진 바 있는 창의성 교 육에 대한 측면을 청소년기를 대상으로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연 구해야 한다.

나. 입체 표현의 의의와 교육적 가치

미술은 직접적인 삶과 미술 경험을 통해 개인의 인식 능력을 좀 더 폭넓 게 하고 활성화시켜 주며, 인간적인 기초를 튼튼히 다지게 해 준다.

여러 가지 재료와 다양한 작업 과정을 거쳐야 하는 미술 창작 활동은 마 음놓고 행동할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4) 김택용, 아동미술의 현장이론, 서울 : 한계레 출판사, 1979, p.16

5) 이규선, 김동영, 전성수,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미술교육학개론,

(17)

이러한 자유로운 공간 속에서 자기의 심상을 마음놓고 구체화시켜보는 경 험을 자주 갖게 하는 일은 ‘자아실현’이라는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성취 하는 길이다.

입체와 평면의 차이는 미술의 특징인 공간적・조형적・시각적인 면을 2차 원으로 표현하느냐 3차원으로 표현하느냐 하는 것이다. 입체와 평면을 함 께 표현하는 방법이 제시되면서 구분이 모호해지기도 하지만 미술의 본질 과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미술 표현의 영역 구분이 필요하다.

입체 표현은 3차원의 재료를 매체로 표현하는 것이다. 또, 실생활과 밀접 한 3차원의 공간에 표현하기 때문에 보편적 호소력을 더해주며, 공간에서 형태를 창조하는 점과 재료 및 과정을 아이디어에 결합하는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흥미를 끌게 한다.

입체 표현에 있어 조소와 공예, 건축 등이 고체인지, 무거운지 등의 단순 한 사실을 아는 데는 별로 시간이 걸리지 않으나, 각각의 특징들은 서로 비교하거나 상대적인 평가 방법을 통하여 서서히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입체 표현은 다양한 기법을 통한 재료의 구성 효과에 따라 무한한 변화와 깊은 내적 세계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체의 변화에 따라 공간의 효과와 함께 생명감이나 동세, 시간성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입체 표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6 )

첫째, 표현 매체 자체가 실제의 세계와 가까운 3차원의 표현이기 때문에 평면 표현에서 다루기 힘든 3차원의 세계를 표현할 수 있다. 주위의 대부 분의 것들이 입체 표현의 매체가 될 수 있는 반면 평면 표현의 경우에는 재료가 제한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입체 표현은 예전에 구할 수 있는 몇 가지 천연 재료로 한정되어 있지만, 요즘에는 전통적 재료, 버려진 폐물,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재료 등 주변의

6) 이규선, 김동영, 전성수, 전게서, p. 288

(18)

모든 것들을 재료로 이용하여 작품을 할 수 있다.

또한, 평면 표현에서는 선과 색 등이 강조되지만, 입체 표현에서는 형태가 매우 강조된다. 물론 평면 표현에서도 다른 수단을 통해 움직임을 표현하 려는 경우가 간혹 있으나 매우 제한적이며, 입체 표현 자체에서 느끼는 움 직임이나 덩어리 감 보다 덜하다.

둘째, 입체적인 재료는 새로운 사고를 자극한다.7 )

청소년의 정서나 사고, 자연에 대한 인상을 3차원으로 표현하는 것은 배 경에 대한 표현이 불가피하게 배제되기 때문에, 평면에서 자신의 욕구와 생각 등 표현하기 어려웠던 점을 입체 표현을 통해 새롭게 나타낼 수 있 다.

그러므로 입체 표현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재료와 용구의 사용법을 가 르치는 것은 학생들을 위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평면 표현은 표현 재료가 제한적이고 표현되는 주제나 내용, 기법 등이 강조되지만 입체 표현에서는 나무, 흙 또는 금속 등 재료 자체의 느낌을 그대로 살려 표현 가능하다. 그래서 재료의 특성에 따른 재질감을 직접 체 험 할 수 있다.

셋째, 대부분의 입체 표현은 다양한 차원의 학습이 가능하다.

형태를 발명해 냄으로써 그리고 그것을 상징화함으로써 진실로‘표현력’

을 갖게 되는 것이다.8 )

친근하지 않고 낯선 재료를 새로이 접하며 그것을 가지고 표현하는 것은 하나의‘도전’이며, 그 재료를 탐색하고 다루는데 적절한 표현을 통한 방 법을 학습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탐구는 자발적인 발견과 개성을 낳게 하며, 2차원에서 3차원으로

7) V . Low enfeld and W . Britt ain 1947, 인간을 위한 미술교육,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공역), 서울 : 미진사, 1995, p. 153

(19)

매체의 적용을 낳게 한다. 어린아이가 새로운 재료를 탐색하는 것을 자세 히 관찰해 보면, 그들은 표현 상의 극적인 진보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입체 표현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면, 입체 표현 은 재료와 용구가 다양하고, 유효하게 다룰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찾는 탐구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또, 실제의 형상을 자신의 이미지에 맞게 추상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창 조력을 신장시키게 한다. 이 과정에서 주어진 재료에 대하여 시각적 감각 이외에도 표면에의 촉감, 양감 등의 종합적인 조형 감각을 기르게 된다.

입체 표현은 부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감, 덩어리감 등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표현 형태로서의 공간적 의미를 통해 입체 감각과 공간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실제의 창작 과정에서 얻어진 경험을 통하여 3차 원의 공간을 볼 수 있는 안목과 미술에 대한 흥미를 일깨워야 할 것이다.9 )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입체적인 미술 재료는 많지만 정서와 미적 감각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재료여야 한다.

자신의 느낌과 생각이 잘 반영되고 입체 표현의 발달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재료로서 찰흙(점토)이 가장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미술교육자인 로웬필드(Low enfeld)는 찰흙의 특성을 가소성10 ) 즉, 작업 도중 계속 변화시킬 수 있는 성질11)이라 보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3차원 의 중요한 조형 재료로 생각했다.

9) 노부자, 미술교육에서 입체 개념 형상을 위한 기초연구, 한양대 사범대학 논문집, Vol 6, 1989,

10) 가소성 ( Plasticity ) - 빚는 대로 자유롭게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성질을 가소 성이라 한다. 찰흙은 딱딱한 나무나 철 등과는 달리 어린이가 빚는 대로 유연하게 형태가 변한다. 즉, 외력을 가해도 부서지지 않고 여러 형태로 변하고 그 외력을 제 거해도 변형된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을 가소성이라 한다.

11) Low enfeld and Britt ain , Gr eativ e and Ment al Growth , New York : T he Macmillan Co. In c, 1964, pp. 163~164

(20)

형태가 만지는 대로 자유롭게 변하는 가소성은 어떤 재료들보다도 자기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기에 적절하다.

또, 찰흙은 손의 움직임에 쉽게 반응하는 표면적인 성질1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찰흙은 점착성과 촉감성을 가지고 있어 찰흙으로 제작하는 과정 에서 형태의 크기와 위치, 모양에서 덧붙이거나 떼어내기, 파내기 등이 가 능하며, 어떤 재료보다도 촉감이 뛰어나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통한 창의적 학습이 가능하다.

흙은 입체적인 재료이며 재료의 본래의 성질로 인해 입체적이고 계속적으 로 변화하는 형태에 대한 적응성이 있다.

변화의 가능성 때문에 찰흙의 사용은 큰 장점이 될 수 있고 찰흙을 만지 는 경험을 통해 미적 체험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비판적인 인식을 가지고 표현에 임하도록 사고를 자 극할 수 있고, 재료 자체의 재질감에서의 촉각 경험은 찰흙 작업을 하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다. 청소년기에서 입체 표현의 중요성

청소년기13 )는 인간 발달에 있어서 하나의 단계로 고려되고 있기 때문에, 이 위기는 하나의 발상 단계에서 다음의 단계이다. 즉, 유년의 단계에서 성 숙의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 동안 아동 미술에 대한 지식과 이해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청소년 미술에 대한 이해는 거의 무시되어 왔다.

12) K. Gentle, Childr en and Art T eaching , Beckenhan : Cr oom Helm Ltd, 1985, p.163

13) 청소년기 ( adolescen ce ) : ‘adolescence’는 보통 사춘기로 번역되며 12~18세가

(21)

중등학교의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된다면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욕구 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교육과정은 청소년의 사고와 정서, 환경에 대한 반응을 표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의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청소년기에는 정서적인 정열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창의적 표현 욕구를 발산할 수 있는 적절한 시기이기도 하다.

중등 수준에서의 미술은 그 학생이 성인으로 생활하게 될 때 미술가가 되 든, 다른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든 창의성의 발달을 촉진시켜 주어야 한 다.14 )

창의성 발달을 통한 정서나 사고, 자연에 대한 인상을 3차원으로 표현하 는 것이 입체 표현의 특성이다.

청소년 시기에는 시각형과 촉각형으로 뚜렷하게 구분이 되는데, 시각형은 눈에 의해 사물의 외형으로부터 접근하며 세부에 대한 인식 없이 전체를 보고 전체적인 인상에 견주어 부분적 인상을 분석하고, 이러한 부분들을 새롭게 전체적으로 종합하는 것이다.

촉각형은 눈보다는 근육 감각이나 촉각적인 인상에 의하여 자신의 정서적 인 가치로 부분의 크기와 중요도를 결정하여 매우 주관적인 작업을 한다.

찰흙 작업은 배경에 대한 표현이 불가피하게 배제되기 때문에 회화로 자 신의 욕구와 이해를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많은 학생들은 흥미를 느끼게 된 다.

시각형인 학생들은 외형적인 형태의 크기, 비례의 차이에 관심을 기울이 게 되며, 반면에 촉각형인 학생은 주관적인 표현과 조각에서의 근육 지각 경험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는다.

14) V . Low enfeld an d W . Britt ain , 전게서, p.253

(22)

그리고 이 시기에는 종합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학생과 분석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학생이 발견되며,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학생도 있다.

중학교에서 입체 표현을 가르치는 주요한 목적은 특수한 전문가적인 훈련 을 하려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인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찰흙을 통한 입체 표현을 가르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찰흙은 입체 작업의 가장 일반적인 재료이며, 창의적인 개념을 다룰 수 있는 재료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2 . 도 예 교 육 에 대 한 중 요 성 및 방 향

가. 도자 예술의 개념과 특징

(1) 도자 예술의 개념

우리는 흔히 도자 예술을‘흙과 불의 예술’이라 한다.

즉, 흙으로 만들어 불에 구워진 예술의 형태를 도자 예술이라 하며, 좀더 학술적으로 정의하면 점토로 형태를 만들어 건조시킨 후 소성하여 완성하 는 유형의 예술품을 통틀어 도자 예술이라고 한다.

도예에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전승 도예와 현대 도예로 나눈다.

전승 도예는 과거 우리 조상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계승하는 방법으로 토 기, 청자, 분청사기, 백자 등이 있고, 현대 도예란 전승 도예 이외의 것으로 공예 도자, 조형 도자, 산업 도자, 환경 도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대 도예는 도예가 종합예술로 바뀌면서 재료도 다양해지고, 표현할 수 있는 기법도 다양하게 변화해 나가고 있다.

현대의 도자 예술은 이미 작품 속에서 회화성과 조형성을 중시하는 도자

(23)

조각 또는 도자 회화라고 불리 울 만큼 ‘종합 미술’의 성격이 강하다.

미술이라는 영역은 회화, 조각, 서예 등의 순수 미술 계열과 사진, 건축, 공예 등으로 불려지는 응용 미술 계열로 나누어진다.

서양에서의‘순수 미술’이라는 단어는 공예로부터 파생된 단어로 1888년 영국의 공예 작가인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 )에 의하여 미술 공예 모임에서 ‘미술 공예’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고,‘Craft s’라는 단어가 수공예라는 뜻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5 )

이러한 공예의 구분은 다시 재료별로 나뉘어지는데, 도자 공예 역시 공예 의 한 부분으로서, 흙으로 만들어 불에 구워진 실생활에 사용되는 도자기 종류를 일컬어 왔지만, 현대에 와서는 용도를 중시하는 공예라는 테두리에 서 작품을 표현하는 순수 미술의 성격으로 전향되고 있다.

도자 공예의 의미는 결국 도자 미술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자 예술을 통한 창의적 표현력은 기능의 영역 뿐 아니라 새로운 것을 창작해 나가면서 작가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다.

도예를 현대 도예라 묶어놓고 보면, 현대 도예는 조형성과 회화성의 강조 로 예술성에 입각한 다양한 도예 작품의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현대 도자 예술이 각자의 개성이 중시되는 회화성과 조형성 위주로 변화 되어 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각자 자기 스스로 작품을 완성함으로써 개성 의 표출과 미술교육으로서의 조형 의식이 강조되는 도자 예술을 발전해 나 아가야 할 것이다.

허버트 리드는 그의 저서『T he Meaning of Art』에서 도자 예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16 )

“도자기는 모든 예술 가운데 가장 단순하면서도 가장 어려운 예술이다.

15) 정동훈, 현대도자예술, 서울 : 디자인 하우스, 1994, p. 11

16) Herbert Read, T he Meaning of Art , London : F aber , 1931, pp. 32~33

(24)

즉, 가장 본질적인 예술이기 때문에 단순하고, 가장 추상적이기 때문에 어 렵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도자기는 최초의 예술 형태에 속한다. 인류가 글을 쓰기 전부터 그릇의 형태를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이 그릇들은 오늘 날까지도 감명을 주는 바가 있는 예술이다. 도자기는 가장 추상적인 본질 로부터 출발하는 조형 예술인 것이다.”

(2) 도자 예술의 특징 첫째, 물질성을 들 수 있다.

흙이라고 하는 물질은 단순하게 재료의 의미보다는 작품으로 표현될 수 있는 그 자체이기 때문에 흙에 의해 만들어야 하는 필연성을 엿볼 수 있 다. 물질성은 흙 자체가 갖는 특성에 맞게 형태와 표현을 발굴해 내는 것으로써 단순히 손에 의한 성형뿐만 아니라 유약을 바르거나 소성을 할 때에도 흙이라는 물질에 대한 변화이며, 이러한 것들에 대한 기술과 조형 의 추구는 끊임없이 발전되어야 한다.

둘째, 흙에 대한 관념성으로 유희에 대한 의미를 말한다.

흙을 매체로 작품을 만들면서 유희를 느끼고, 그 유희를 통하여 인간은 모든 욕구를 표현하고 구체화한다. 무감각하게 흙으로 장난하며 노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과 정신과의 자유로운 활동으로 도자기를 통해 자아를 표현하는 것이다.

셋째, 조형성이다.

흙을 재료로 하는 조형에는 흙 고유의 물리적 성질에 의해 형태를 만드는 방법과 만들어야 할 형태를 먼저 구상한 다음에 그것을 흙으로 형상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조형성에 의한 표현 방법이며 이런 조형 작품은 형상화하는 과정 에서 명확한 구상과 계획이 필요하다.

(25)

나. 도예 교육의 중요성 및 교육적 의의

미술 활동을 통해 스스로 삶에 대한 체험과 지각을 할 수 있는 것이 교육 의 본질이며 삶의 기초이다.

그렇다면 도예 교육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첫째, 흙이라는 자연 재료를 사용하여 가소성을 이용한 표현 재료에서 유 희적인 즐거움을 길러주고 친밀감을 느끼게 해 준다. 이것은“흙”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을 통해서 다른 어떤 재료보다도 신비스럽고 창조적인 전환 과정을 겪는다고 할 수 있다.

재료에서 느껴지는 표면의 특성과 실제로 작업한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 는 흥미로운 교육의 요소인 것이다. 또한, 점토는 유희로써 매체로의 가능 성을 제공하였고, 유약으로 인한 표면의 처리, 색의 과감성 등은 새로운 발 견과 같은 기쁨을 느끼게 한다.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평면적인 표현을 포기하게 되는데, 그것은 그리기 에 의한 표현 방법이 안정적이 아니기 때문이다.17 )

찰흙으로의 입체 표현은 좀더 안정성이 있고,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움직 일 수 있으며, 이야깃거리를 더 많이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흥미를 더욱 촉진시킨다. 이것은 평면 표현에서는 눈에 의한 사실성이 하 나의 엄격한 표준으로 심리적인 압박감을 주고 있는 것과도 대조되는 것이 다.

둘째, 도예 교육은 창의적인 사고를 발달시킨다.

흙을 이용한 표현 활동은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사고를 가능하게 하므로, 흙을 통해 표현되는 창조 행위는 욕구 충족을 위한 교육으로서도 매우 중 요한 분야이다.

17) 김춘일, 전게서, p. 210

(26)

청소년기의 창의성은 자기표현을 통한 창의적 교육으로 확산적 사고를 하 는데 도움이 된다.

제작 과정을 통해 수정이 용이하며, 작품의 형태나 기법뿐만 아니라 유약 의 종류에 따라서도 무한한 창조 활동을 할 수 있다.

셋째, 2차원적인 공간에서의 조형성 외에 3차원 입체 공간에 대한 조형성 의 능력을 길러 주면서 촉각 예술로서의 표현 활동을 돕는다.

도자 공예는 촉각을 다루는 매체로서 입체 표현을 통하여 미적 체험을 가 능하게 하는 미술교육의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오늘날의 실용적 필요성으로 보다 시각적 측면의 활동이 발전해 가고 있 는 반면 과학기술의 진보와 각종 디자인의 발달로 기술적 필요에 의한 손 작업의 낡은 형식은 점차 퇴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아동 미술 교육은 물건을 만지고 배우는 교육의 경험을 중요하게 판단하고 접근하는 반면 중학교에 들어서면서 미술교육은 초등학교에서의 미술교육과의 연계 성을 잃고 있으며, 다양한 재료를 가지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려는 욕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청소년기의 조형 교육은 손의 경험과 함께 표현의 과정을 통하여 재료의 재질감을 경험하는 새로운 자극을 필요로 한다.

재료의 물성을 느낄 수 있는 조형 활동을 통하여 올바른 재료의 사용은 물론 조형물이 가지는 의미를 더욱 잘 이해하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달 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넷째, 도예 교육은 정성과 노력을 통한 창작 활동으로서, 청소년의 인성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도예 교육을 통해 재료의 접촉으로부터 가질 수 있는 기능적인 면과 주관 적 감동으로 야기되는 정서적 안정은 건강한 인격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 다.

(27)

로웬필드(Low enfeld)는 사춘기에 해당하는 이들의 학습 특성을「무의식적 상상활동」에 있다고 보고 청소년기에는 기억력을 비롯한 제반 인지적 능 력이 절정에 달하는 시기로서, 이 시기의 지적 기초가 인생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 시기에는「표현력의 지각과 조형적 표현이 발 전하는 시기」라고 하였다.18 )

미술 교육자 E , Linderman은 「중등 학생들은 숨은 의미를 찾아내고 특 정 분야의 지식을 얻기 위하여 탐구하고 조사하고 실험하는데 열심이다.

이 시기는 미술 재료나 기법, 주제 등을 통해 사고력을 자극시킬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19 )

이러한 학생들의 특성을 알고 창의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교육적 자세가 필요하며 그들의 흥미에 따라 자유롭게 만들 수 있는 도자 공예 학습을 통 해 표현 욕구를 창의적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

청소년의 정서나 사고, 자연에 대한 인상을 찰흙을 통해 3차원적으로 표 현하는 것은, 이들에게 정서와 감정에 대한 인식을 더욱 크게 발달시키는 데 가치가 있다.

다. 도예 교육의 방향

미술은 학생들의 느낌이나 생각, 정서, 경험 등을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현재 수업의 보편적인 표현 방법에서 벗어나 도자 공예 의 재료의 특성을 살린 창의적인 표현 방법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도예를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직접 흙을 만지게 하는 것이 무 엇보다 중요하다.

18) 김재복, 미술과의 수업과 평가, 서울 : 일진사, 1984, pp.70~74

19) Earl W . Linderm an , 「Art & Cr aft s for th e classroom」, New York : Macmillan , 1984, pp.43~44

(28)

흙의 촉감과 흙을 만지는 일이 얼마나 재미있고 흥미로운지를 스스로 느 끼게 하고 자신이 직접 작품을 만들면서 창조의 기쁨을 누려야 한다.

도자기 제작 과정은 무시한 채 완성품의 결과에만 만족하던지 아니면, 처 음의 성형 과정으로만 끝난다든지 하는 이런 편의 위주의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모든 과정을 직접 체험할 수 있고, 관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예 교육의 지도 방안이 필요하다.

가마의 구조나 유약의 조성, 유약이 녹아 전혀 다른 색상으로 나타나는 소성 과정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다른 어떤 재료보다도 신비스럽고 창조적 인 매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도자 공예의 전 과정을 체험하기에는 대부분 학교의 시설이 매우 미흡한 편이다.

모든 과정을 무리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 만, 학교의 재정 상 갖출 수 없다면 다른 방법으로 문제점을 해결해 나아 가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현장 견학 계획을 세워 여주, 이천 등지에서 실시하는 주말 도 예 학교에 가서 소성 과정을 직접 참여해 보기도 하고, 각종 캠프나 문화 행사를 통해 자연스럽게 노천 소성을 해 보는 것도 일생을 통해 새로운 체 험으로 기쁨을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 소규모 도예 공방을 찾아가 도자기의 제작 과정을 거친 작품들을 감 상하고, 직접 참여하여 창작의 기회도 맛볼 수 있다.

도요지를 답사하거나 박물관을 찾아 관람하는 것도 도예의 이해를 돕고 작품을 만드는 발상 과정으로 좋은 방법이 된다.

미술은 우리 생활과 멀리 있는 것이 아니고, 특히 소질을 타고나는 특정 인만이 누리는 것이 아니다.

모든 학생들이 공감하고 흥미로울 수 있는 방향으로 도예 교육이 활성화

(29)

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학교 수준에 맞는 방법으로 실생활에 필요한 생활 용품을 직접 만들어 봄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재미와 흥미를 느끼며 도예에 대한 친밀한 생각을 갖게 될 것이다.

(30)

Ⅲ . 중 학 교 미 술 교 육 에 서 도 자 공 예

1 . 도 자 공 예 에 대 한 교 육 문 헌 고 찰

가. 중학교 미술교육 과정에서 도자 공예 영역

교육과정은 교육을 성립시키는 중요한 요소로서 교사와 학생, 교육 내용 을 들 수 있다. 미술과의 교육 내용은 가르쳐야 할 내용 선정이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이해와 표현, 감상 영역을 포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구성 이 중요하다.

그리고 교육과정은 목표, 계획, 교육 내용, 결과를 모두 포함하며, 학생들 에게 실천된 교육과정으로 다음 교육과정의 평가 자료로 쓰이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구성은 학문의 발전으로 인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전수, 교육 사상의 변화와 사회의 발전으로 인한 교육관의 변화, 그리고 이 에 따른 문제의식과 문제 해결 방법의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고, 각 과정에서의 미술교육의 흐름과 특성을 파악하여, 도예 교육 역할에 대해 분석해 보도록 한다.

(1)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제5차, 제6차, 미술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은 지금까지 6차례 걸쳐 개정되어 왔으며, 현재 제7 차 교육 과정을 새로이 공포하고 중학교 1학년은 2001년에, 중학교 2학년 은 2002년에, 중학교 3학년은 2003년에 각각 시행될 예정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대한 적절성의 계속적인 평가, 교육 이론의 발전, 사회 여건의 변화 등 내적, 외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31)

그렇다면 시대적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살펴보자.

< 표- 1>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20 )

교육과정 목표상의 특징 내용상의 특징 지도상의 유의점

제1차 교육 과정

・일용품의 선택 능 력

・조형품의 사용 능 력

・자연과 조형의 감 상을 통한 미적 정조의 배양

・표현 : 묘사, 의장, 배치, 배합, 공작, 제도, 서예

・이해와 기능 : 묘화, 도 안, 배치, 공작, 제도

・감상 : 일용품, 향토 공예 품, 건축, 동서 고금의 미 술작품

・지역이나 학교의 특 수성을 고려, 수정・

첨가 가능하다.

・지도내용의 범위와 지도 순서를 밝힘

・표현, 이해, 감상이 서로 관련되도록 지 도한다.

제2차 교육 과정

・창조・생산하는 즐거움

・창의적 표현 능 력

・생활을 미화・개 선할 수 있는 태 도와 습관

・조형품을 애호・

보존하는 마음과 태도

・묘화 : 사생적・추상적 표현, 판화 다각적 재료 의 표현, 협동제작

・조소 : 심상적・구상적 표현

・디자인 : 구성, 환경미화

・공작 : 재료의 성질과 기 능, 향토 재료의 활용, 용 도의 이해

・도법 : 도법의 이해와 기 능

・서예 : 조형적 가치의 이 해와 그 활용

・감상 : 조형품과 인간 생 활과의 관계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종합적 지도

・감상은 작가와 작품 에 대한 존경심, 미술 의 동향, 미술 문화의 교류 등을 지도한다.

・타 교과와의 연계, 생 활과 미술을 밀접하 게 지도한다.

・협동작품을 통해서 정서 순화와 근로 정 신을 함양토록 지도 한다.

20) 이규선, 김동영, 전성수, 전게서, pp.98~99

(32)

제3차 교육 과정

・정서 함양을 통한 품위 있는 인격육 성

・창조성의 육성

・표현 활동을 통한 개성의 확립

・전통미의 재발견과 창조적 발전

・회화 : 동식물・인물 그리기, 판화

・조소 : 부조, 환조, 관 찰 표현

・구성 : 형, 재질감, 색 의 기능과 생활

・디자인 : 학교・가정 생활, 사회・공공적 행사와 관련

・공예 : 일용품, 공예 품

・서예 : 심미성, 생활 에 활용

・감상 :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미술품, 회화・조소・공예품

・소재중심의 내용을 목 표 중심으로 하고, 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지 도한다.

・표현 기능의 지도 사항 을 강조한다.

・각 영역을 학년별로 세 분하여 단계적으로 지 도한다.

・학년 수준을 나타내기 위하여 2학년은‘효과 적’, 3학년은‘주체 적’이란 용어를 사용 하였다.

제4차 교육 과정

・전인 교육의 강조

・기초 학습 능력 배 양

・학년 목표를 계열 화하여 교과목표에 통합

・회화 : 구상 표현, 관 찰 표현, 판화 표현

・조소 : 구상・관찰 표 현

・디자인 : 구성, 시각 디자인, 환경 디자인, 공예

・서예 : 서사 표현, 서 각 표현

・감상 : 자연・조형품 의 감상

・학생의 흥미, 자율성, 창의성이 존중되게 지 도한다.

・표현 활동을 통해 즐거 움과 성취감을 갖게 한 다.

・표현 재료는 지역을 고 려하여 선택한다.

・표현 활동 속에 감상 활동이 유기적으로 이 루어지도록 한다.

(33)

제5차 교육 과정

・자기의 느낌을 주체 적이고 창조적으로 표현

・미적 감정이 풍부한 인간 육성

・창조성의 육성

・주체적 개성 육성

・자연과 조형품의 가 치 발견 및 애호할 수 있는 능력과 태 도

・관찰 표현 : 회화, 조소

・구상 표현 : 회화, 조소

・디자인표현 : 형과 색・

양감 표현, 시각 디자 인, 환경 디자인, 일용 품

・서예 표현 : 서사 표현, 서각 표현

・감상 : 자연 및 조형품 의 감상

・학생의 흥미, 자율성, 창의성이 존중되게 지도한다.

・표현 활동을 통해 즐 거움과 성취감을 갖 게 한다.

・표현 재료는 지역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표현 활동 속에 감상 활동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6차 교육 과정

・아름다움을 찾아 애 호할 수 있는 능력 과 태도

・느낌과 생각을 다양 하게 나타낼 수 있 는 능력

・재료 및 용구의 특 성을 알고 다양하게 활용하는 능력

・미술품의 가치를 분 석하고 존중하는 능 력과 태도

・미술과 생활

・느낌과 상상 나타내기

・보고 나타내기

・꾸미기와 만들기

・붓글씨로 나타내기

・작품감상

・지도는 학생의 자율 성, 창의성을 존중하 며 흥미와 발달을 고려한다

・전통미술에 대한 관 심과 이해를 높이도 록 한다.

・발상지도에 유의하 여 학습효과를 높인 다.

・표현과 감상을 병행 한다.

・미술과 생활에서 현 장 견학, 시청각 자 료의 활용으로 미적 관계를 이해한다.

(34)

제5차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은 인간 중심의 교육 이념을 기저로 인간 존 중의 교육 풍토를 조성하고 전인교육의 목적에 입각하여 지・정・의가 융 합되고 조화되도록 감성적 인간 육성을 강조하였다.

미술 교과 목표의 특징으로서 미술을 통한 정의적 인격을 형성하기 위하 여 다양한 조형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창조성과 감정이 풍 부한 개성적 인간을 육성하려 한 것이 그 특징이다.

특히, 미술의 여러 장르에 따라 지도하는 것에서 어느 정도 탈피하여 조 형활동에 중점을 두어 표현과 감상의 두 영역으로 나누었는데, 이것은 정 서적 함양에 중점을 두어야 할 시대적 흐름과 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노력 의 일환이었다.

조형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표현 활동을 강조하며 표현의 다 양성을 통해 개성을 중시하고 창조성을 바탕으로 한 미술교육은 도자 예술 을 통한 조형 활동으로서 얻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다루고 있지만 ‘조 소’라는 영역으로 한정지어 도예 교육에 대한 새로운 장을 마련하지는 못 하였다.

또, 재료 및 용구의 선택과 효과적인 활용 방법, 제재 선택, 표현 활동과 감상 활동의 유기적인 관계 등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참고 작품 및 감상 작품 제시 방법에 대한 미숙함과 교과서에 실제 지도 방법이 소홀히 제시 된 점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교육현장에서의 도자 공예 지도는 잘 이 루어지지 않았다.

제6차 교육과정은 제5차 교육과정의 부분적인 개정, 보완을 하였는데 미 술과 교육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에 중점을 두고 있다.21)

(35)

첫째로, 전인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성, 창조, 개성을 강조하 고, 둘째로, 미술과 생활의 밀접한 관련 속에서 미술을 이해하고 환경에 대 한 관심과 개선 의지를 갖도록 하며, 셋째로, 초・중등학교의 미술과 교육 내용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구체화와 체계화를 위하여 수준별로 유의해야 할 조형 요소나 원리, 재료 및 용구를 제시하며, 아울러 창조적인 표현 활 동을 더욱 강조하였다.

넷째로, 미적 감성을 계발하고 미적 가치관을 정립하기 위한 감상 지도를 강화하고, 다섯째, 우리 나라 미술의 전통성을 이해하고, 계승・발전할 수 있도록 전통 미술 지도를 강화하였으며, 아울러 지역사회의 미술에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미술을 생활에 활용해 보려는 노력이 역력하며, 현장 견학 등을 통해 직 접 체험으로 자연과 미술, 주변 환경과 미술, 생활과 미술, 지역사회와 미 술 등의 관계와 우리 나라와 다른 나라의 미술 문화 특성을 이해하며 표현 과 감상 활동에 서로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6차 과정의 특징은 미술 이해를 도입하기 위하여 미술과 생활의 영역을 신설하였고, 지금까지의 장르에서 벗어나 보고 나타내기, 느낌과 상 상 나타내기 등으로 영역을 설정하였으며 전통 미술 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한정지어졌던 영역을 거의 허물었으며, 표현 활동의 영역을 단원별로 적절 히 구성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도자 공예는 이렇게 나누어진 영역에서 예시 작품으로 활용되며, 찰흙 작 품의 감상의 폭을 넓혀준 계기가 된다.

그러나 참고 작품이나 본문 내용의 설명이 여전히 미비한 상태이며, 좀더 다양한 도예 교육의 표현 활동이 요구되는 바이다.

일상생활에 쓰여지고 있는 생활용품이나 다양한 작품들의 감상이 필요하 고, 표현 기법의 기본적인 표현 활동의 기회를 갖도록 하여 도자 공예와의

(36)

거리감을 좁히고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학습 이 필요하다.

도자 공예가 바로 생활과 밀접한 교육이며, 자발적 미술교육을 통한 창의 적 표현 활동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도자 공예는 제6차 교육과정에서 중요시해 왔던 자율성과 창의성뿐만 아 니라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을 한꺼번에 만족시켜 주며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에도 도움이 된다.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보면서 도자 공예의 의 의를 재정립하고 교과과정 및 교육 정책상에서의 개선점을 찾도록 하여야 겠다.

(2)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 활동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총괄 목 표를 표현 및 감상 능력, 창의성, 심미적인 태도로 함축하고 있다.

이는 심동적인 측면의 표현 및 감상 능력, 인지적인 측면의 창의성, 정의 적인 측면의 심미적인 태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22)

즉, 미술 활동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계발하며, 심미적인 태도를 함양하기 위하여 미술과의 내용인 미적 체험, 표현, 감상 영역 내의 각 제재 활동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미적 체험, 표현, 감상 활동은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중학교 과정에서의‘미적 체험’은 자연과 조형물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이해하고, 생활에서의 미술의 기능과 역할을 탐색하도록 하였다.

‘표현’은 발상력을 북돋워 주제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줌으로써 창의적 표현의 토대를 마련하도록 하였으며, ‘감

(37)

상’은 서로의 작품과 미술품을 보는 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계속 유 지하고, 시대와 양식에 따른 미술품의 특성을 이해하며 존중하도록 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미술과 총괄 목표는 제6차 교육과정에 서 지향하고 있는 목표와 그 방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화, 세계화 시대에 대비하여 사고력, 창의력, 정보 처리 능력, 세계 문화에 대한 이해력과 같은 고등 정신 능력을 활성 화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학습 분량을 조절하여 교육 범위를 적정화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미술의 장르별로 표현 재료, 용구, 기법이 새로워지고 세분화, 전문화되어 가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현재의 내용 체계를 그대로 따를 경우, 이미 분 화된 미술 장르별로 다시 대단히 복잡하게 세분화된 교과 구성이 불가피하 며, 각각이 지닌 다양한 표현 방법을 한 번씩만 경험하도록 진행하여도 배 정된 미술 교과 시간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장르에 대한 관습적 고정관념을 허물고 생동감 있는 수업을 진행 하기 위하여‘미술’활동을 ‘제작’으로 여기는 경직된 사고에서 벗어나 발전적이며 통합적인 체계를 구축하였다.

나. 교과서에 대한 도자 공예 분석

중학교 미술 교과서는 현재 8종의 교과서를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 다. 이 논문에서는 각 교과서가 거의 대동소이한 소재와 형식을 갖추고 있 다고 판단하고 중학교 1, 2학년을 위주로 8종의 교과서 중 교학사의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고, 천재 교육, 금성 교과서, 삼화 출판사 등 그 밖의 교과 서를 참고하는 수준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38)

미술 교과서의 체계는 제6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라 미술과 생활, 보고 나타내기, 느낌과 상상 나타내기, 꾸미기와 만들기, 붓글씨로 나타내기, 작 품 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원에서 찰흙을 재료로 한 공예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내용은 무 엇으로 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 도자 공예가 미술교육에 차지하는 비율은 얼마나 되며, 도자 공예의 구성과 내용이 적절하게 담겨 있는지를 평가해 보도록 한다.

(39)

(1) 교과서 분석

< 표- 2> 중학교 1학년 미술 교과서 분석 (교학사)

단 원 (소단원) 쪽 수 찰흙 작품 학습 내용 비중

◇미술과 생활 조형 작품에서 자연미와

조형미 찾기

◇보고 나타내기

・화면의 구성

・채소와 과일

・소조

10

18~19

・한강변의 풍경 을 그린 도자기

・찰흙으로 만든 토마토

・여인 흉상 (테라코타)

・화면을 짜임새 있게 구성 하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주제 표현

・소조의 뜻을 알고 양감 표 현

33%

◇느낌과 상상 나타내기

・동물 만들기

・투조와 석고형 뜨기

27

29

・ 말 ( 테 라 코 타 ) , 고슴도치

・추억(투조)

・동물의 특징을 살려 다양 하게 표현

・제작 기법을 이해하여 표현 10%

◇꾸미기와 만들 기

・입체 구성과 구조

・여러 가지 만들기

36

46

・양재 구성 (찰흙, 채색)

・사람 모양의 꽃병(찰흙), 운동화(도기)

・구조를 파악하여 구성한다.

・장식품이나 일용품을 만든 다.

・창의적 표현이 되도록 한다.

5%

◇작품 감상

・미술품의 감상

52

・백자 철회 포도 무늬 항아리,

・미식 축구형의 식기 요한나 슈 마이샤

・아름다운 조소, 공예, 건축 물을 감상해 보자.

・주제와 표현 특징을 살펴 본다.

7%

(40)

< 표- 3> 중학교 2학년 교과서 분석 (교학사)

단 원 (소단원) 쪽 수 찰흙 작품 학습 내용 비중

◇미술과 생활 ・조형물의 특징과 미술의

활용성을 비교

◇보고 나타내기

・인물 나타내기

・얼굴과 손・발의 표정

・동세의 표현

16

18

19

・지게를 진 아이, 자소상

(테라코타)

・얼굴(찰흙), 손(테라코타), 발(찰흙, 금분)

・용감한 사나이, 연인

(테라코타)

・사람의 모습을 관찰하여 특징을 나타낸다.

・얼굴, 손, 발등의 표정을 관찰하여 표현

・움직이는 느낌을 표현

13%

◇느낌과 상상 나타내기

・석고형 뜨기

・구조와 양감

26

27

・뜀틀 뛰어넘기 (찰흙)

・테라코타3 (테라코타)

・찰흙 부조의 석고형 뜨기 제작 방법을 알고 제작

・구조와 양감을 이해하고 표현

4%

◇꾸미기와 만들 기

・꽃병 만들기

・장식품과 일용품 41

・청화백자 진사채 십장생무늬

・예쁜이 인형 (색점토)

・여러 가지 재료와 방법으 로 꽃병을 만든다.

・장식품과 일용품을 감상 하여 쓸모 있게 제작

3%

◇작품 감상

・미술품의 감상

51

52

・기마 인물형 토기

・청자 상감 운학 무늬 매병

・조소의 표현 요소와 표현 기법 비교

・공예・건축의 요소와 표 현 기법 비교

6%

(41)

< 그 밖의 교과서>

천재교육의 미술 교과서에서는 중학교 1학년 과정 중「꾸미기와 만들기」

단원에서 ‘흙을 구워 만들기’가 있고 2학년 과정 중에는 「작품 감상」

단원에서 고려청자와 그리스 도기와의 차이점을 비교하면서 감상하는 내용 이 있다.

‘흙을 구워 만들기’에서 학습 제재는 흙을 구워 단단한 생활 용기를 만 드는 것으로 제작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성형 기법 또한 참 고 작품으로 간단히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소성 과정을 학생들이 직접 체 험 할 수 있도록 양철통에 왕겨와 톱밥을 이용한 소성 과정을 소개하고 있 다.

이것은 생활 속에서 필요한 물건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학생들에 게 도자 공예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단원이다.

금성 교과서에서는 중학교 1학년「꾸미기와 만들기」 과정 중‘흙을 이용 하여 만들기’단원이 있는데 도자기 만드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서 다 양한 모양의 그릇을 제시하고 있다.

이 단원에서는 찰흙의 부드러운 성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도자기 제작 가능성을 보여주어 학생들에게 친근감을 느끼게 하였으며, 유약에 따른 다양한 효과도 보여주려고 노력하였다

또한「느낌과 상상 나타내기」중에서‘입체로 나타내기’단원에서는 찰흙 이나 석고로 입체감을 살려 표현하면서 찰흙이 소조 표현에 좋은 재료라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삼화 출판사의 중학교 1학년 과정에서「보고 나타내기」중에‘찰흙으로 만들기’가 있는데, 이 단원에서도 찰흙의 특징에 따른 다양한 표현의 가 능성을 보여주며 학생들의 자유로운 창작 능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교과서를 살펴보면 체계적 도예 교육을 위한 제시 내

(42)

용이 미흡하며 다양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2) 교과서 분석을 통한 문제점 제기

현행 중학교 미술 교과서는 교육의 실질적인 지침이 되는 모델로 사용되 고 있으므로 교과서는 교육의 방향, 흐름, 효과 등에서 절대적인 것이다.

제6차 교육과정 개편으로 8종의 검인정 교과서가 채택되고 있는데, 때로 는 미술 교육의 본질을 떠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지나치게 방향을 지시하거나, 표현시켜 줌으로써 순수한 상상력이나 개성을 일방적 구체 사 례로 몰고 가는 단조로움과 천편일률적 창출의 소지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과서 분석을 통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한다.

첫째, 주제면 에서 각 교과서마다 학년의 수준을 고려하여 연계성이 있게 제시하였다고는 하나 학생들이 정할 수 있는 주제와 범위는 한정되었다.

또한 동일 주제의 반복이 학생들의 창의력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 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예와 관련된 참고 작품으로 항아리나 그릇 등에 국한되어 소개됨으로써 도자 공예란 조상들이 해왔던 것을 답습하는 것으 로 계승 발전시킨다는 생각을 갖게 할 수 있다. 도예를 주변의 자연 환경 에서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쳐 주제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생각의 폭 을 넓혀주어야 하며,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야 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기 주변에서 얻어지는 미적 경 험들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분위기와 생활의 밀접한 관련 속에서 다양한 재 료들이 유효 적절히 활용하는 교과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수준 차를 고려하여 학년간의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예시 작품을 신중히 제시하여야 한다. 예시 작품은 학생들의 자유로운 표현 욕 구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수준에 맞는 것이 중요하며 다양한 작품으로 도자 공예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도자 공예는 입체적

(43)

인 모양이나 그릇의 제작에 치우쳐 있어서 기능 면이나 기법 면의 이해가 어렵게 되어 있다.

셋째, 재료 및 표현 기법에서 교과서 대부분이 환조, 부조, 움직이는 조각 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저학년 과정의 표현 방법이 고학년에서도 비슷하 게 제시됨으로써 학생들에게 새로움보다는 해마다 반복된 재료와 기법으로 미술에 흥미를 잃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자 공예의 기법이 몇 가지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찰흙으로 자기 감정이나 표현 의도에 잘 맞는 모양 과 기법을 선택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찰흙의 성질을 알려 주어 호기심을 유도한다면 왕성한 표현 욕구를 갖게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와 같이 교과서 분석을 통해 도자 공예의 표현 활동 지도에 대해 알아 보았다.

2 . 도 자 공 예 의 교 육 실 태 분 석

가. 도자 공예 지도 목표에 있어서의 문제점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도자 공예와 관련된 구체적인 지도 목표와 영역별 목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제6차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조형 활동의 경험 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 능력을 기르고, 창조성을 계발하며 정서를 함양하 는 것을 교과 목표로 삼고 교과 내용과 관련된 4개의 하위 목표로 표현 활 동과 감상 활동에 관련된 행동 목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생활 속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애호하는 태도를 가지게 한다.

둘째, 자기의 느낌과 생각을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44)

셋째, 여러 가지 재료 및 용구의 특성을 알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넷째, 미술품의 가치를 발견하고 존중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게 한다.

이러한 목표들은 구체적이지 못하며 너무 포괄적이고 내용이 추상적이다.

교육과정의 개정 방침으로 다양한 표현 활동의 행동 목표를 제시하고는 있으나 도예 교육을 통한 다양한 표현 활동의 구체적인 목표가 없다. 도예 활동은 충분히 제6차 교육과정 미술과 지도 목표를 4개의 영역별로 적절히 지도할 수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도자 공예가 만들기 영역에만 치우쳐 표현 활동과 감상 활동의 유 기적 관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미술 지도를 위한 조소 수업의 시간 부족으로 그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조소 영역과 관련지어 도자 공예를 지도할 만한 수업 모델, 학습 지도안, 지역성을 고려한 단원 설정 운영 방안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자 공예에 대한 가치의 발견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주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수업 목표와 방안이 연구되어 의도적인 지도 목표가 제시 되어야 한다.

나. 도자 공예 지도 내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도예 교육은 단편적으로 흙을 이용한 만들기 작업으로 간주되어서 도예에 대한 지식의 이해나 다양한 표현 기법을 통한 창의성 교육으로서의 내면화 과정이 부족하다. 또한 6차 개정을 거치면서 민족 미술로서 위상을 갖지 못하고 서구 미술이 혼재 해 있는 상황에서, 교과서마다 연계성과 내용의 통일성도 미흡하게 느껴진다. 따라서 현행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참조

관련 문서

Thirdly, it appeared that social support had meaningful effect on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and in the case of the difference analysis by

외배엽성 간엽세포로부터 상아모세포 전구세포 (preodontobl ast)를 거쳐 상아 모세포가 분화하는 데에는 법랑모세포 전구세포 (preamel obl ast)의 존재가

24, 25 또한 Honjo등 26 의 연구에서 보면 gal ecti n-3발현을 차단하였을 때 유방암 세포주의 성장이 의의있게 억제되어 gal ecti n-3발현이 유방암

상수리나무군락의 층별 군락구조는 4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많 으며,대체로 교목층의 수관이 풍부하여 아교목층과 구분이 뚜렷한 현상 을 보이고,종조성은

Mounting media(Epovia, CrayValley Inc. Korea) and specimens which were mounted.. 마찰계수가 변하는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내마모성을

Infl ammatory peri odontaldi seases are often rel ated to acti vated phagocytosi ng l eukocytesand freeradi caloxygen producti on.Chl orhexi di ne(CHX)i seffecti ve i n i nhi bi

In thi s study,fordetermi ni ng on properTi N coati ng thi ckness when Ti N coati ng appl i ed to abutmentscrew,weused i mpl antsystem havi ng i nternalconi

유한요소 내부에 의한 공진 주파수와 실험에 의한 공진 주파수를 비교 함으로써 공명초음파법을 활용한 광학용 렌즈 및 페롤의 비파괴 검사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