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위암"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국내에서 처음 암을 진단받는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2012년 인 구 10만명당 445명이었으며, 암종별 발생현황을 보면 갑상선암, 위 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1) 암 사망분율은 폐암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간암, 위암 순이었다.1) 위암은 다빈도 발생암으로 사망률 도 높은 편에 속한다.

암을 진단받은 초기 단계는 환자에게 충격과 혼란을 주는 시기

로 불안의 발생빈도가 높으며,2) 암을 진단받은 시기에 약 50%의 환 자가 불안을 경험한다고 하였다.3) 특히, 위암 환자의 정서적 문제 중 에서 걱정과 두려움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4) 이렇게 심한 불안은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주어 치료나 예후에 부정적인 결과 를 가져와 여러 의료기관에서는 암환자를 위한 다양한 중재프로그 램을 통해 불안감 해소를 시도하고 있다.

불확실성은 질병에 대한 심각성, 불규칙한 증상, 증상의 애매모 호함으로 인해 나타나며,5) 암환자는 진단 및 치료 과정 중에 불확실 성을 경험한다. 재발에 대한 두려움이나 치료과정에서 오는 부작 용, 신체상의 변화, 성기능의 장애 등은 불확실성을 높게 인지하여 스트레스를 야기시키게 된다.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낮아지게 되며,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와 적응을 방해할 수 있 다.5,6) 이때 회복탄력성은 개인이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 으로 대처하여 이전의 적응 수준으로 성공적으로 복귀할 수 있는 긍정적인 힘을 의미하며,7) 불안, 희망, 우울, 불확실성, 가족지지 등 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8) 치료의 지연이나 중단 을 피하기 위해서 회복탄력성이 필요하며, 암환자의 회복탄력성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위암

홍연서1 · 박정윤2 · 김소희1 · 김선아1 · 김연희1

1서울아산병원 간호부, 2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Effects of a Navig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Gastric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ong,Yeon Seo1 · Park, Jeong Yun2 · Kim, So Hee1 · Kim, Sun A1 · Kim, Yeon Hee1

1Department of Nursing, Asan Medical Center, Seoul; 2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 University of Ulsan, Seoul, Korea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a navigation program would affect resilience, uncertainty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gastric cancer.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design was used with 103 participants recruited and randomly allocated in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n=50) received the naviga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information provisions and psy- chological support, prior to treatment. The control group (n=53) received standard care with general educational intervention only prior to treat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atients in the navigation program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scores for anxiety (F=5.86, p<.017). However uncertainty (F=0.22, p=.642) and resilience (F=1.06, p=.503)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avig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anxiety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gastric cancer. We suggest that further studies be conducted to investigate other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resilience and reducing the uncertainty of these patients.

Key Words: Stomach Neoplasms, Navigation Program, Anxiety, Uncertainty, Resilience

주요어: 위암,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불안, 불확실성, 회복탄력성

*본 논문은 제1저자 홍연서의 석사학위논문을 수정하여 작성한 것임.

*This article is a revision of the first author’s master’s thesis from Ulsan Universit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Park, Jeong Yun

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 University of Ulsan 88, Olympic-ro 43-gil,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5333 Fax: +82-2-3010-5332 E-mail: pjyun@ulsan.ac.kr Received: Aug 4, 2016 Revised: Sep 28, 2016 Accepted: Sep 28, 201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암환자는 암 진단을 받고 치료가 시작되기까지 의료기관 사정을 포함한 다양한 이유로 7일에서 25일 정도의 대기가 발생할 수 있다.

대기하는 동안 환자들은 자신에게 다가올 일에 대한 막연한 걱정 과 결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치료를 거부하거나 이탈을 결심하기도 한다. 9,10)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복잡한 암 치료 를 이해하도록 안내하는 과정으로,11) 처음 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위 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암 치료에 대한 환자의 경험 개선, 심리적 지지, 조정, 정보제공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내비게이션 프로그 램은 암 치료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암 생존율 을 높이기 위한 치료 전략으로서 암환자 간호중재 모델이 될 수 있으 며,12) 암 치료의 전반에 걸쳐 시기 적절한 의료서비스와 충분한 정보 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는 복잡한 암의 진단 및 치료과정 조 정, 환자 개인마다 시점에 맞춘 교육, 정서적 지지 제공, 혼재되어 있 는 정보를 통합하는 간호중재가 구조화된 것으로 기존에 의료진에 의해 획일적이고 일방적으로 제공되었던 교육과는 차이가 있다. 9)

기존에 암환자에게 제공되는 교육과 상담은 본격적인 치료가 시 작되는 시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치료 전에 불확실성과 두려움 을 어떻게 견디고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전문가의 도움이나 체계 적인 접근이 미미한 상태이다.9) 그리고 전문적인 교육이나 간호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암 치료 전 단계의 환 자에게 제공될 구조화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13) 이는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의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과 불안을 낮 추는 효과를 가져와 장기간의 암치료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에게 내비게이션 프 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내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암 신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불안에 미 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둘째, 위암 신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불확실성 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셋째, 위암 신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회복탄력 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위암 신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

기 위하여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를 시행하였다.

2. 연구 대상

위암을 처음 진단받은 후 2013년 10월부터 2015년 1월까지 A 종합 병원 위암센터에 방문한 환자 중 선정 기준을 만족한 자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 수는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불안감소에 효과가 있 었던 선행연구를14) 근거로 G*Power 3.1.9.2 프로그램을 통해 indepen- dent t-test(양측검정, 효과크기 0.25, 유의수준 0.05, 검증력 0.8)로 산 출한 결과 총 98명이었으며, 탈락률 20%를 예상하여 123명의 환자 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선정 기준은 위암을 처음 지단받은 자, 만 20세 이상인 자,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설문지 의 내용을 이해하고 응답할 수 있는 자,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 구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고, 위암 이외에 다른 암으로 치료를 받 은자와 정신과적 병력이 있거나 현재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고 있 는 자는 제외하였다.

연구대상자 기준에 적합한 대상자를 웹사이트(http://www.ran- domization.com)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 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으며, 배정표는 연구의 수행과 관련 없는 제 3자가 불투명한 봉투에 차폐하여 관리하였다. 연구에 등록된 대 상자 123명 중 연구 참여 중단을 원하거나 사후 설문지 작성을 포기 한 20명을 제외하고,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3회기를 모두 완료한 실 험군 50명과 대조군 5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Fig. 1).

3. 실험처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 1) 프로그램 개발

본 프로그램은 2012년 12월부터 준비하여 문헌고찰, 환자심층면

Fig 1. Study Design.

123 patients were randomized

Experimental Group 62 were allocated to Navigation Program

Control Group 61 were allocated to usual

care

12 patients follow-up didn’t carry out

8 patients follow-up didn’t carry out

50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53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3)

담, 예비프로그램 개발, 내용타당도 검증, 최종프로그램 확정 순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념틀은 환자내비게이션 모델15)과 내비게 이션 프레임웍13)에 근거하여 개발하였으며, 주요 개념은 치료 전 대기 기간에 정보제공, 심리적 지지와 격려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기간은 암 진단부터 치료 전까지 평균 25일 소요되었던 선 행연구16)를 바탕으로 4주, 총 90분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내용은 암병원에서 이용가능한 자원소개, 복잡한 일정조정, 질환 정보, 암의 진단 및 치료과정, 치료 전 자가관 리, 심리적 지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진단, 검사, 치료에 이르 기까지 각 시점에 맞추어 시기 적절하게 제공되는 간호를 통해 처음 경험하는 암 치료에 환자가 잘 적응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그램 수행의 구체적인 방법은 프로그램 내용에 해당하는 각 종 정보를 파워포인트로 제작하고, 그것을 아이패드에 구현하여 개별 적으로 외래 상담실과 병동 상담실에서 교육하였다. 환자에게 제공된 교육자료는 연구기관의 암교육정보센터에서 발행된 책자를 이용하 였다. 항목은 위암의 진단 및 치료과정의 이해에 대한 책자, 암환자 식 이에 관한 책자, 암환자 운동요법에 대한 책자,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책자, 위암 생존자의 격려 동영상을 제공하였다(Table 1). 개발된 내용 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간호부연구위원 회, 소화기내과 교수 1인, 암교육정보센터 코디네이터 1인, 위암센터 코 디네이터 1인으로부터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2) 프로그램의 운영

종양내과 병동 및 암병원 외래 경력을 가진 본 연구자 1인이 담당 하였다. 의료진 및 진료환경이 외생변수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 해 동일 진료과, 동일 의사의 위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 그램이 제공된 시점은 외래를 처음 방문한 날부터 시작하여 수술이 나 내시경점막하절제술을 위한 입원하는 날까지였다. 처음 위암 진 단을 받은 환자가 처음 외래를 방문하여 치료를 받기까지 평균 3회

의 병원 방문이 요구된다. 1회기는 진단과 검사처방을 받으며, 2회기 는 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를 결정하며, 3회기는 치료를 위한 입원을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3회의 병원방문 시점에 맞추어, 1회당 30분 씩, 실험군에게 개별 교육을 제공하였으며, 대기 기간이 1주일 이상 인 경우 추가로 전화 상담을 제공하였다. 1회기에는 의료진 소개, 위 암에 대한 질환 교육, 위암 진단검사, 위암에서 가능한 치료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2회기에는 결정된 치료에 대해 다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고, 3회기에는 수술이나 시술적 치료를 위한 입원 시점으로 치료 후 회복 및 빠른 사회 복귀를 격려하였다. 3회기 이 후는 치료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으로 해당분야 전문 의료진 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연계되므로 본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3회 기 이후 종료하였다. 모든 회기는 동일한 연구자가 수행하였다.

4. 연구도구 1) 불안

불안은 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불특정 위협에 대한 긴장, 우 려, 두려움 등의 정서적 반응으로 생리적 각성과 두려운 감정이 혼 합된 주관적인 느낌을 의미하며,17) 본 연구에서는 Spielberger17)가 개 발하고 Hahn 등18)이 번역, 타당성을 확인한 한국어판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중 상태불안 문항을 구매하여 허가를 받 고 사용하였다. 총 20문항으로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4 점까지의 4점 척도이며 점수 범위는 20~8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상태불안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Spielberger17)의 연구에서 Cron- bach’s α는 .95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94였다.

2) 불확실성

불확실성은 불충분한 단서로 인해 질병에 대해 적절하게 구조화 하지 못하거나 범주화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인지적인 상태로 어떠 한 대상이나 사건이 중요한지 알지 못하고, 결과를 정확히 예측하

Table 1. Navig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Gastric Cancer

Session Time (min) Method Activity

Session 1

(1st visit) 30 Face to face Introduction

Introduction to navigation program Encourage participation

Giving pamphlet & personal counseling Closing

Session 2

(2nd week) 30 Face to face/telephone Overview of treatment using CD & pamphle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mplication of operation and diet Strengthen of self-efficacy promotion through counseling Closing

Session 3

(3rd week) 30 Face to face Stress management

Q&A Closing CD= Compact disc; Q&A= Questions and answers.

(4)

지 못하여 결정할 수 없는 무능력함을 의미하며,5) 본 연구에서는 Mishel5)이 개발하고 Chung 등6)이 번역, 타당성을 확인한 한국어판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을 원저자인 Mishel의 허가 를 받아 사용하였다. 총 33문항으로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 렇다’ 5점까지의 5점 척도이며, 하부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1개 문항 은 총점 계산시 제외하여 점수범위는 32~160점이고 점수가 높을수 록 불확실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Mishel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1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85였다.

3)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처를 통해 이전의 적응 수준으로 복귀하는능력을 의미하며,19) 본 연구에서는 Connor와 Davidson19)이 개발하고 Baek 등8)이 번역, 타당성을 확인 한 한국어판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을 원저자 인 Davidson의 허가를 받아 사용하였다. 총 25문항으로 ‘전혀 그렇 지 않다’ 0점에서 ‘거의 언제나 그렇다’ 4점까지의 5점 척도이며 점수 범위는 0~1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을 의 미한다. Connor와 Davidson19)의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9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94였다.

5. 자료 수집

배정된 대상자에게 연구자가 연구에 대한 설명을 시행하고 연구 참여에 대한 서명동의서를 받았다. 실험군에게는 내비게이션 프로 그램을 제공하였고, 대조군에게는 기존에 제공해왔던 간호를 그대 로 제공하였다. 사전 설문조사는 위암센터 처음 방문일에 두 군 모 두에게 시행하였으며, 사후 설문조사는 수술 1일 전에 두 군 모두에 게 실시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A병원 임상연구심의위원회에 연 구계획서를 제출하고 승인을 얻었으며(과제번호: 2013-0834), A병원 간호부의 승인아래 A병원 위암센터에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 고, 각 연구 참여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연구자가 직접 설 명하였다. 언제든지 참여를 철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불이익은 없으며, 참여를 중지할 경우 해당 참여자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참 여중지를 밝힌 시점으로부터 즉시 일괄 폐기처리 될 것임을 알리 고, 연구참여 동의서에 서명을 받았다.

7.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일반적 사항은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고, 두 집단간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와 Indepen- 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둘째, 연구가설 검정은 반복측정 공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COVA)와 ANCOVA,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셋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이용하 였다.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평균 연령은 실험군 55.1±10.8세, 대조군 55.3±11.1세였으며, 성별 은 남자는 실험군 37명(74.0%), 대조군 38명(71.7%), 여자는 실험군 13 명(26.0%), 대조군 15명(28.3%)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 성 검증 결과 연령, 성별, 결혼상태, 동거가족, 교육 정도, 직업, 암의 진행 정도, 치료 방법, 치료 대기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어 두 집단은 동질하였다. 단, 종교유무에서는 대조군이 실험 군에 비해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Table 2).

2. 위암 신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 중재전 결과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안, 불확실성, 회복탄력성에 대한 사전 동 질성 검증 결과 불확실성과 회복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안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3. 위암 신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1) 불안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안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 며(F=26.60, p<.001),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F=2.47, p=.119), 시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시간에 따른 불안 정도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F=5.86, p=.017) 나타났다(Table 4).

2) 불확실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불확실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해 사 전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사전 불안 점수를 공 변수로 하여 반복측정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간 (F=1.50, p=.223), 시간경과(F= 0.30, p=.586), 집단과 시간의 상호작용(F= 0.22, p=.642)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5)

Table 2. Homogeneity Test of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N=103)

Characteristics Categories Exp. (n=50) Cont. (n=53)

χ 2 or t p n (%) or M±SD n (%) or M±SD

Age (year) <40

40~49 50~59 60~69

≥70

5 (10.0) 6 (12.0) 23 (46.0) 11 (22.0) 5 (10.0) 55.1±10.8

5 (9.4) 9 (17.0) 20 (37.8) 14 (26.4) 5 (9.4) 55.3±11.1

1.08

-0.10

.897

.919

Gender Male

Female 37 (74.0)

13 (26.0) 38 (71.7)

15 (28.3) 0.07 .793

Marital status Single

Married 3 (6.0)

47 (94.0) 1 (1.9)

52 (98.1) 1.17 .280

Family member Yes

No 46 (92.0)

4 (8.0) 49 (92.5)

4 (7.5) 0.01 .932

Education level ≤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14 (28.0) 17 (34.0) 19 (38.0)

15 (28.3) 22 (41.5) 16 (30.2)

0.85 .655

Religion Yes

No 19 (38.0)

31 (62.0) 33 (62.3)

20 (37.7) 6.06 .014

Employment Employed

Unemployed 39 (76.0)

12 (24.0) 40 (75.5)

13 (24.5) 0.00 .950

Monthly income

(10,000 won) <100

100~300 301~500

>500

10 (20.0) 19 (38.0) 12 (24.0) 9 (18.0)

6 (11.3) 22 (41.5) 16 (30.2) 9 (17.0)

1.71 .636

Caregiver Spouse

Offspring Others

35 (70.0) 11 (22.0) 4 (8.0)

37 (69.8) 8 (15.1) 8 (15.1)

1.78 .411

Diagnosis EGC

AGC 43 (86.0)

7 (14.0) 42 (79.2)

11 (20.8) 0.81 .367

Treatment OP

ESD 30 (60.0)

20 (40.0) 32 (60.4)

21 (39.6) 0.00 .969

Waiting days 21.66±12.47 25.74±16.56 -1.42 .160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EGC= Early gastric cancer; AGC= Advanced gastric cancer; OP= Operation; ESD= Endoscopic submucosal dis- section; Waiting days= from first cancer center visit day to first treatment day.

Table 3.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s at the Baseline (N=103)

Variables Range of scale Exp. (n=50) Cont. (n=53)

t p

M±SD M±SD

Anxiety 20~80 50.50±7.69 45.30±13.21 2.46 .016

Uncertainty 32~160 84.68±11.42 83.23±14.38 0.57 .573

Resilience 0~100 72.64±13.68 74.15±14.55 -0.54 .589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3) 회복탄력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기 위해 사 전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사전 불안점수를 공 변수로 하여 반복측정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간 (F= 0.30, p=.308), 시간경과(F= 0.12, p=.191), 집단과 시간의 상호작용

(F=1.06, p=.503)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위암 신환을 대상으로 치료대기 동안 환자 내비게

(6)

Table 4. Effects of a Navigation Program on Resilience, Uncertainty, Anxiety (N=103)

Variables Categories Exp. (n=50) Cont. (n=53)

Source F* p

M±SD M±SD

Anxiety Pretest

Posttest 50.50±7.69

43.34±10.58 45.30±13.21

42.72±9.80 G

G*T T

2.47 26.60 5.86

.119

<.001 .017 Uncertainty Pretest

Posttest 84.68±11.42

76.80±13.63 83.23±14.38

77.60±14.68 G

T G*T

1.50 0.30 0.22

.223.586 .642 Resilience Pretest

Posttest 72.64±13.68

74.18±9.80 74.15±14.55

73.38±12.11 G

T G*T

0.30 0.12 1.06

.308.191 .503

*ANCOVA: Pre-anxiety level as covariate; Exp.= Experimental group; Cont.= Control group; G= Group; T= Time; G*T= Group*Time.

이션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불안, 불확실성,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 과를 평가하였다.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암 진단부터 치료과정까지 암환자 가 느끼는 장벽을 해소해주고, 치료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암환자가 진단시점에서 당면한 경제적, 심리사회적 문제는 물론이 고, 치료 진행 동안 의료진과 환자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 의 문제를 조정하며, 의료이용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도록 돕는

다.13,15) 본 연구에서도 환자내비게이션을 통해 처음 위암을 진단받

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검사 및 진료 조정을 통해 의료이용의 접 근성을 도왔으며, 치료과정에 대한 교육과 치료 전 준비 교육 등을 통해 암치료의 시기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였고, 심리적 지지는 물 론 치료 후 회복까지 치료의 연속성을 유지하였다. 내비게이션 프 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 만족도, 치료기간, 비용효과, 대상자의 디스트레스나 불안, 우울 등이 사용되었으며,15,16) 본 연구 의 프로그램 효과 측정을 위해 대상자의 불안, 불확실성, 회복탄력 성을 측정한 것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중재 실험군과 대조군의 전 불안은 각각 평균 50.5점, 45.3점이었다. 이는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위암 환자의 수술 전 불안 점수가 42~43점이었던 것20) 과 진행성암 암환자의 입 원 치료 중 약 50점이었던 것21)과 비교했을 때 암 진단초기에 불안정 도가 높다는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 내비게이 션 프로그램 중재 후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42~43점으로 유의한 감 소를 보였으나 여전히 중증도의 불안이 있는 상태였다. 이는 내비게 이션 프로그램 중재 평가를 위한 사후 설문조사가 수술 1일전에 시 행되어 입원으로 인한 낯선 환경과 치료가 임박한 상황에서 일시적 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 긴장이 크게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 다. 추후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적절한 평가 시점에 대한 논의할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에서는 방문 상담 뿐만 아니라 치료대기가 1주일 이상이 되는 환자 의 경우는 전화 상담을 1회 제공하여 간단한 상담이나 문의사항을

해결해주었다. 전화 상담은 신체적, 정신적 지지를 제공하고 정보에 대한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진료 서비스 향상 및 비 용효과적이고,22) 환자중심으로 상호작용하는 교육이 위암 환자의 질병에 대한 대처를 향상시키고 지식 전달에 효과적이라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담당코디네이터는 연락처를 제공하여 직접적으로 연락 이 가능한 의료진이 되어 주었으며, 이는 암환자와 가족에게 의료 진의 의사소통이 부족한 문제를 향상하기 위한 노력으로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의 불확실성은 중재 전 83~84점에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적용 후 76~77점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기관이 상급 종합병원이라 Kwon 등16)의 연 구에서처럼 타 의료기관에서 암을 진단 받고 일정 기간이 지난 시 점에서 본 연구기관을 방문하여, 경유병원이나 여러 매체를 이용하 여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접했을 가능성 때문에 프로그램의 효과가 구현되는데 제한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회복탄력성을 보면, 본 연구의 대상자는 72~74점으로 나타났으 며,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연구에서 혈액암 환자는 71점23)인 것과 비교했을 때 본 연구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연구 대상자 중 기혼자가 94.0%, 가족과 함께 지내는 환자가 92.0%, 직업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76.0% 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회복탄력성과 결혼상태, 사회적 지지, 직업유무의 양의 상관 관계에 의한 긍정적인 영향과 80%이상이 조기 위암이었기 때문 희 망 요인이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24) 그러나, 개발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중재 후에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재 적용이 대부분 연구대상자가 외래를 방문하는 시점에 이루어 졌기에 각 회기당 중재시간이 30분 이내였다. 이는 대상자의 회복탄 련성 강화를 위한 중재 시간으로는 부족한 것으로 보이며, 중재의 횟수나 기간, 중재시간을 늘리거나 효과 측정을 위한 적절한 시점 을 찾을 필요가 있다. 추후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추 가되어 암환자가 진단을 받고 치료방법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

(7)

에서 치료에 잘 적응하도록 준비를 시켜주어 환자 스스로 치료를 계획하고, 치료에 앞서 신체적, 심리적, 가족적, 사회적 준비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암치료 전부터 환자에게 연속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진단부터 치료까 지 간호가 연속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암을 처음 진단받은 대상자의 불안과 불확실 성을 감소시키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치료 전 단계에서 정보제공이 불안을 감소시키 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중재가 필요할 것으 로 보인다. 또한, 추후 연구의 종속변수에 대한 효과뿐만 아니라, 검 사와 치료일정 조정에 따른 임상적 성과를 거둘 수 있게 재구성하 거나, 심리적 취약성이 높은 대상자들을 위해 호흡치료, 명상 등의 보완적인 접근을 더욱 강화하고 진단부터 치료종결, 생존자 과정까 지 지속적으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 고, 불확실성 및 불안을 감소시키는 간호를 위해 내비게이션 프로그 램을 개발 적용 후 효과와 개선점을 확인하기 위암 환자 120명을 대 상으로 총 90분간의 교육 및 상담을 3회에 나누어 진행한 결과,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이 나 불확실성에는 효과가 없었지만, 불안은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추후 암 진단 후 치료를 앞두고 있는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 한 간호중재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환자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치료 중, 치료 후까지 영향을 미 치는지를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위암 뿐만 아니라 다른 암종,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대상자, 암생존자 등 다양 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도 개발을 제언한다.

REFERENCES

1. Jung KW, Won YJ, Kong HJ, Oh CM, Cho HS, Lee DH, et al.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2. Cancer Res Treat. 2015;47(2):127-41.

2. Oh PJ. Correlation between mental adjustment to cancer and anxiety.

Asian Oncol Nurs. 2009;9(1):23-30.

3. Burgess C, Cornelius V, Love S, Graham J, Richards M, Ramirez A. De- pression and anxiety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five year obser- vational cohort study. BMJ. 2005;330(7493):702.

4. Wi ES, Yong J. Distress, depression, anxiety, and spiritual needs of pa- tients with stomach cancer. Asian Oncol Nurs. 2012;12(4):314-22.

5. Mishel MH. Uncertainty in illness. J Nurs Scholarsh. 1988;20(4):225-32.

6. Chung CW, Kim MJ, Rhee MH, Do HG. Functional status and psycho- social adjustment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 apy.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5;11(1):58-66.

7. Luthar SS, Cicchetti D, Becker B.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 2000;71(3):543-62.

8. Baek HS, Lee KU, Joo EJ, Lee MY, Choi K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 2010;7(2):109-15.

9. Suh EE, Park Y, Kim S. The patients’ experiences of the diagnosis and pre-treatment period of breast cancer.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8;15(4):495-503.

10. Cleeland CS. Symptom burden: multiple symptoms and their impact as patient-reported outcomes. J Natl Cancer Inst Monogr. 2007;37:16-21.

11. Freeman HP, Rodriguez RL. History and principles of patient naviga- tion. Cancer. 2011;117(S15):3539-42.

12. Campbell C, Craig J, Eggert J, Bailey-Dorton C. Implementing and measuring the impact of patient navigation at a comprehensive com- munity cancer center. Oncol Nurs Forum. 2010;37(1):61-8.

13. Fillion L, Cook S, Veillette AM, Aubin M, de Serres M, Rainville F, et al.

Professional navigation framework: elaboration and validation in a Ca- nadian context. Oncol Nurs Forum. 2012;39(1):58-69.

14. Ferrante JM, Chen PH, Kim S. The effect of patient navigation on time to diagnosis, anxiety, and satisfaction in urban minority women with abnormal mammogram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Urban Health. 2008;85(1):114-24.

15. Pedersen AE, Hack TF. The British Columbia Patient Navigation Model: a critical analysis. Oncol Nurs Forum. 2011;38(2):200-6.

16. Kwon IG, Hong JY, Baek HJ, Kim S, Nam SJ, Kim IR,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avigation program for newly diagnosed cancer pa- tients. J of Korean Clin Nurs Research. 2012;18(1):111-25.

17. Spielberger CD.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Wiley Online Library;

2010.

18. Hahn DW, Lee CH, Chon KK. Korean adaptation of Spielberger’s STAI (K-STAI). Korean J Health Psychol. 1996;1(1):1-14.

19.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ion Anxiety.

2003;18(2):76-82.

20. Han MS, Lee KY. The effect of back massage on degree of pain, state anxiety and quality of sleep of postoperative patients with gastrectomy.

Asian Oncol Nurs. 2012;12(1):69-76.

21. Lee KE, Lee Y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 health, anxiety and pain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5;18(1):25-34.

22. Faller H, Koch GF, Reusch A, Pauli P, Allgayer H. Effectiveness of edu- cation for gastric cancer patients: a controlled prospective trial compar- ing interactive vs. lecture-based programs. Patient Educ Couns.

2009;76(1):91-8.

23. Kwak SY, Byeon YS.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of patients with he- matologic malignancy. Korean J Adult Nurs. 2013;25(1):95-104.

24. Lee EK.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7;13(1):52-8.

수치

Fig 1. Study Design.
Table 1. Navig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Gastric Cancer
Table 3.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s at the Baseline   (N=103)
Table 4. Effects of a Navigation Program on Resilience, Uncertainty, Anxiety   (N=103)

참조

관련 문서

These results suggest that 0.45㎛ hydrophilic PTFE syringe filter(Advantec Toyo, Tokyo, Japan) could be suitable in the dissolution tests. The drug contents

With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e hypothesis that increased cardiac output in the patients who administered ketamine increased muscle blood flow, and this is th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body composition factors, blood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invigorate nature-experience in education program for alternative school so that self-esteem an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winter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by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the physical fitness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ilobalide inhibits the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the apoptotic cell death in FaDu human 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via both

Conclusion: We found that aroma foot reflex massage enhance on sleep, reduce depression levels in elderly with dementia patients. therefore this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This result, therefore, showed that as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physical activity and do self-directed exercise, it results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