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냉 매 에 대 한 포 화 액 체 밀 도 상 관 식 의 개 발 에 관 한 연 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냉 매 에 대 한 포 화 액 체 밀 도 상 관 식 의 개 발 에 관 한 연 구"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工 學 碩 士 學 位 論 文

냉 매 에 대 한 포 화 액 체 밀 도 상 관 식 의 개 발 에 관 한 연 구

A S tu dy on th e D e v e lopm e nt o f S atu rat e d L iqu id D e n s ity Corre lat io n fo r Re frig e rant s

國 民 大 學 校 大 學 院

機 械 工 學 科

1 9 9 9

(2)

냉 매 에 대 한 포 화 액 체 밀 도 상 관 식 의 개 발 에 관 한 연 구

A S tu dy on th e D e v e lopm e nt o f S atu rat e d L iqu id D e n s ity Corre lat io n fo r Re frig e rant s

指 導 敎 授

이 論文을 工學碩士學位 請求 論文으로 提出함

2000年 4月 20日

國 民 大 學 校 大 學 院

機 械 工 學 科

(3)

梁 廷 圭 의

工 學 碩 士 學 位 請 求 論 文 을 認 准 함

2000年 6月 7日

審 査 委 員 長 韓 華 鐸

審 査 委 員 全 雲 鶴

審 査 委 員 朴 慶 根

國 民 大 學 校 大 學 院

(4)

국문요약 ⅱ

List of T ables ⅲ

List of F igur es ⅳ

Nom enclatur e ⅴ

1. 서론 1

2. 상관식의 형태 결정 3

2.1 기존 상관식의 검토 3

2.2 새로운 상관식의 제시 6

3. 상관식의 계산 및 비교 9

3.1 물질의 선정 9

3.2 계수결정 및 기존식의 최적화 10

3.3 상관식의 성능비교 13

4. 결론 27

Refer ences 28

Abstract 33

Appendix 34

(5)

국 문 요 약

냉매로 쓰이는 CF C물질이 대기중의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사 실이 알려지면서 세계각국은 CF C냉매를 대체할 환경친화적인 냉매의 개발에 매진해왔다 . 선택된 물질을 냉매로 사용하기 위해 서는 상태량을 알아야 한다 . 특히 , 냉매의 수송 및 저장이 필요한 경우 포화액체밀도를 알아야 하며, 포화액체밀도를 온도의 함수 로 나타내는 상관식이 요구된다 .

포화액체밀도에 관한 기존의 상관식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 므로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지수를 결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포화액체밀도에 관한 기존의 상관식을 검토하고 새로운 형태의 상관식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새로 운 형태의 상관식은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 고전적인 상관식에서 첫항의 지수를 1/ 2로 고정하며 , 이 항의 계수가 임계점에서 무한 대가 되도록 하기위해 로그함수를 사용하였다 .

성능비교를 위한 대상물질로는 R- 134a, R - 32, R- 123, R- 125, R - 143a, 그리고 R - 152a를 선정하였고 A A D 와 R M S 로 기존의 상관 식과 새로운 형태의 상관식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식의 성 능을 비교한 결과 새로운 형태로 제시된 식이 전체평균 A A D 와 R M S 가 각각 0.24%, 0.49%로 기존식의 0.25%, 0.54%보다 적게나와 실험자료를 나타내는 성능이 다소 우수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형태의 상관식은 실험자료가 있는 모 든 온도 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실험자료가 충분히 있는 경우 사용이 적당하다. 또, 기존의 상관식과 비교하여 형태가 일정하므로 최적화 과정이 필요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6)

L i s t o f T a b le s

T able 1. Cr itical pr opert ies an d t h eir s ou r ces for r efrig er ant s 9

T able 2. E x am ple of calcu lat ion r esult s u sin g E q . (4 ) for R - 134a

(A oy am a , H ., et al., 1996 ) 17

T able 3. Opt im ized ex pon en t s of E q . (4 ) 17

T able 4. Coefficient s of E q . (4 ) 18

T able 5. Coefficient s of E q . (8 ) 18

T able 6. Com par is 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 r at ed liquid den sit y

corr elat ion s for R - 134a 19

T able 7. Com par is 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 r at ed liquid den sit y

corr elat ion s for R - 32 19

T able 8. Com par is 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 r at ed liquid den sit y

corr elat ion s for R - 123 20

T able 9. Com par is 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 r at ed liquid den sit y

corr elat ion s for R - 125 20

T able 10. Com p ar is on of p er for m an ce s of sat ur at ed liqu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143a 21

T able 11. Com p ar is on of p er for m an ce s of sat ur at ed liqu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152a 21

T able 12. Com p ar is on of t h e ov er all perform an ces of s at ur at ed liqu id

den sit y cor r elation s 22

(7)

L i s t o f F i g u r e s

F ig . 1 P lot of r v s Tr for R - 134a 8

F ig . 2 P lot of fun ct ion , Y = 1/ 2

{

c2+ c3ln + c4( ln )2

}

( c2= 1, c3= 0 .46559 , c4= 0 . 07052 ) 22

F ig . 3 P lot of r v s Tr for R - 134a u sin g E q . (4) 23

F ig . 4 P lot of r v s Tr for R - 134a u sin g E q . (8) 23

F ig . 5 D ev iation , for R - 134a u sin g E q . (4) 24

F ig . 6 D ev iation , for R - 134a u sin g E q . (8) 24

F ig . 7 D ev iation r atio, for R - 134a u sin g E q . (4 ) 25

F ig . 8 D ev iation r atio, for R - 134a u sin g E q . (8 ) 25

F ig . 9 R elativ e dev iation for R - 134a u sin g E q . (4 ) 26

F ig . 10 R elat iv e dev iat ion for R - 134a u sin g E q . (8) 26

(8)

N o m e n c l a t u r e s

P : P r es sur e [ kP a ]

T : T em per at ur e [ K ]

v : S pecific v olum e [m3/ k g ]

A n : Coefficient of E q . (3), (n = 1 , 2 , 3 , …) A A D : A b solut e av er a g e dev iat ion

B IA S : B IA S = 1

N DP i DE Vi ( % ) C : Con st ant

D E V : Dev iat ion (% )

Ni : Num ber ( Ni = 1, 2 , 3 , … ) N D P : Num b er of dat a point

R M S : R oot m ean squ ar ed dev iat ion Y : F un ct ion

ai : Coefficient s of E q . (4), ( i = 1 , 2 , 3 , …)

ci : Coefficient s of E q . (7) & E q . (8), ( i = 1 , 2 , 3 , …) f : F un ct ion

ki : Ex pon ent s of E q . (4), (ki= ni/ 3, i = 1 , 2 , 3 , …) m, n : Con st ant s of E q . (5)

wi : W eig ht in g fa ct or , (i = 1 , 2 , 3 , …)

(9)

Gre e k s

: Obj ect fun cion

, : Con st ant s of E q . (1) : Deviation r atio, =

es t

: Den sit y [kg/ m3]

: E st im at ed dev iat ion

x : E st im at ed st an dar d dev iat ion of x

y : E st im at ed st an dar d dev iat ion of y : V ariable of corr elat ion s , = 1 - Tr

: Dev iat ion , = y - f ( x )

S u b s c rip t s

c : Cr it ical pr oper t y cal : Calculat ed pr oper t y es t : E st im at ed

exp : Ex perim ent al pr opert y g : S at u r at ed v apor st at e l : S at u r at ed liquid st at e r : R edu ced pr opert y

(10)

1 . 서 론

냉매로 주로 쓰이는 염화불화탄소 (CF C) 물질은 1928년 발명된 이후로 냉매, 발포제, 분사제, 세척제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 그러나 M olin a 등( 1 )에 의해 대기중의 CF C물질이 성층권에 도달해서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CF C의 생산 과 사용을 규제하는 몬트리올 의정서( 2 )가 채택되었다 . 규제수단 은 CF C가 사용된 모든 제품의 수출입 무역규제와 CF C의 생산 , 조제 및 신기술의 이전을 제한하는 것이다 . 이러한 이유로 세계 각국은 CF C냉매를 대체할 환경친화적인 냉매의 개발에 매진해 왔다 . 대체냉매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냉매의 개발과 기 존의 냉매를 혼합해서 규제대상 냉매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 혼 합냉매를 개발하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

냉매로서의 검토 대상인 순수물질 또는 혼합물을 직접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기 전에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운전조건의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거동을 예측하여 냉매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 . 그런데 이 모의실험이 가능하려면 물질의 열역학적 성질을 알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장기간 의 정밀한 실험을 통한 열역학적 상태량의 측정이 필요하다 .

물질의 상태량중 포화액체밀도는 냉동・공조 분야에서 선택된 물질을 냉매로 사용하기 위하여 알아야 할 열역학적 상태량이며 특히, 냉매의 수송 및 저장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알아야 한다 . 어떤 물질이 포화온도와 포화압력에서 평형상태의 액체로 존재 할 때 포화액체 (S atu rat ed Liqu id )라 하며, 포화액체밀도는 이러 한 포화액체의 밀도를 말한다 . 포화액체밀도는 압력 - 비체적 - 온도

(11)

작되기 바로 직전의 상태이다 .

선택된 물질을 냉매로 사용하기 위해서 포화액체밀도를 모든 온도범위에서 정확하고 간결하게 나타내는 상관식이 필요하다 .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포화액체밀도에 관한 상관식은 Gu g g enh eim 식( 3 ), H ou - M ar t in 식( 4 ) 등이 있다 . 현재, 포화액체 밀도를 나타내는 식으로는 수정 H ou - M artin 식이 주로 쓰이고 있다 . 그러나 이 식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최적화 과정을 통해 지수를 결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포화액체밀도에 관한 기존의 상관식을 검토하 고 사용이 편리한 새로운 형태의 상관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

(12)

2 . 상 관 식 의 형 태 결 정

2.1 기존 상관식의 검토

포화 상태량의 예측은 대응상태 (Corr espon din g st at es ) 원리를 이용하면 최소한의 실험자료를 통하여 밀도 - 온도 관계를 일반화 함으로써 가능하다 . 대응상태 원리에 의하면 l/ cg / c

T / Tc의 일반함수로 나타낼 수가 있다 . 여기서, Tc는 임계온도,

c는 임계밀도, l, g는 각각 포화액체와 포화증기의 밀도이다 . 문헌상으로 몇몇의 포화액체밀도에 관한 상관식들이 제안되어 왔다 . 이와 관련하여 직선지름법칙 (rectilin ear diam et er law )으로 불려지는 다음의 관계가 알려져 있다 .

l+ g

2 = +

(

1 - TTc

)

(1)

여기서, 와 는 상수이다 .

Gu g g enh eim( 3 )은 여러 물질에 대한 실험자료를 그래프상에 표 시하고 직선지름법칙에 기초하여 포화액체밀도와 포화증기밀도 에 대한 다음과 같은 경험적인 일반상관식을 얻어내었다 .

l c

- 1 = 7

4

(

1 - TTc

)

1 / 3+ 34

(

1 - TTc

)

(2a )

g c

- 1 = ( - ) 7

4

(

1 - TTc

)

1 / 3+ 34

(

1 - TTc

)

(2b )

(13)

위의 두 식을 더해 보면 직선지름법칙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H ou - M ar t in( 4 )은 Gu g g en h eim 의 포화액체밀도에 관한 상관식 의 지수 1/ 3을 다른 값으로 대치하여도 식의 성능에는 큰 향상 이 없다는 것을 밝히고 Gu g g enh eim 식을 다항식으로 일반화하 여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 식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 즉, l

[ 1 - ( T / Tc) ]1/ 3의 멱급수 형태로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

l c

- 1 =

n = 1A n

(

1 - TTc

)

n / 3 (3)

또한, 무한급수인 식 (3)의 우변에서 차례로 4항만을 취하여 식을 구성하여도 실험자료를 나타내는 성능이 충분하다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2항의 Gu g g enh eim 식에 2항을 더한 결과가 된다 . 더욱 정밀한 결과를 원하는 경우에는 네개 이상의 항을 취하면 된다.

그러나 상관식에서 항의 수가 많다고 성능이 반드시 좋아지는 것 은 아니므로 실험자료를 잘 나타내는 최적의 항의 수를 통계적으로 선택해야 하고, 가능한 한 항의 수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항식 형태인 식 (3)의 항들 중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데 영향력 이 크다고 생각되는 항들을 최적화 과정을 통해 취사선택하여 4개 의 항으로 조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 1 = a1 k1+ a2 k2+ a3 k3+ a4 k4 (4)

여기서, = 1 - Tr이며 Tr = T / Tc는 환산 온도, r = l/ c

환산 포화액체밀도 그리고 ki는 지수이며 1/ 3의 정수배수로 할 수

(14)

있다 . 즉 , ki = Ni/ 3이며 Ni = 1, 2 , 3 , …이다 . 식 (4)는 포화액체 밀도를 온도만의 함수로 나타낸 것이며 현재 포화액체밀도를 나타 내는 상관식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용할 실험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순수물질의 포화액체 밀도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식들은 HBT 식( 5 ), T ait 식( 6 ), R a ck et t 식( 7 ), 수정 R a ck et t 식( 8 ), 그리고 Bhiru d 방법( 9 ) 등이 있 다 . 이들 중 HBT 식과 Rack ett 식이 포화액체밀도의 예측에 권 장된다 . 이 방법들은 혼합물에 대해서는 시험되지는 않았지만 순 수물질에 대해서는 HBT 식과 수정 Rack ett 식의 정확도가 대등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

(15)

2.2 새로운 상관식의 제시

성능이 좋은 상관식을 얻기 위해서는 실험자료로부터 상태량에 대한 간단하고 명확한 함수관계를 도출해 내어야 한다. ASHRAE

상태량표( 1 0 )에서 R - 134a의 포화액체밀도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환

산 상태량인 rTr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보면 Fig . 1과 같 다. Fig . 1에서 볼 수 있듯이 임계점 근방의 높은 온도 영역에서는 곡선의 굴곡이 크고, 낮은 온도 영역으로 갈수록 직선에 가까운 형 태를 가진다. 이러한 곡선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직선지름법칙에 근거한 고전적인 상관식은 임계점 근방에서의 거동을 표현하기 위 해 첫항의 지수로 1/ 2을 사용하였다.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 1 = m 1/ 2+ n (5)

여기서 m, n은 상수이다. Gu g g enh eim( 3 )은 첫항의 지수 1/ 2을 1/ 3 로 바꾸어 상관식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식 (2a)에서 소개된 포화액체밀도에 대한 Guggenheim 식을 를 이용하여 다시 표현하 면 다음과 같다.

r- 1 = 7 4

1 / 3

+ 3

4 (6)

식 (6)에서 첫항의 지수는 0.325에서 0.352사이의 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그 값이 확정되어 있지는 않다.

(16)

첫항의 지수 1/ 2을 1/ 3로 바꾼 Gu g g enh eim 의 시도를 재해석 해 보면, 지수를 1/ 2로 고정하고 항의 계수를 임계점에서 무한대가 되 도록 m 1/ 2 = ( mo - 1/ 6) 1/ 2 = mo 1/ 3으로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0일때 m = mo

- 1/ 6 가 된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 새로운 형태로 제시하고자 하는 식 은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 고전적인 상관식에서 첫항의 지수를 1/ 2로 고정하며, 첫항의 계수를 임계점에서 무한대가 되도록 하 였다 . 이러한 항의 표현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 에서는 로그함수를 이용하였다.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r- 1 =

{

c2+ c3ln + c4 ( ln )2

}

1/ 2 + c1 (7)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상관식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확정한다.

r- 1 = c1 + 1/ 2

{

c2+ c3ln + c4( ln )2

}

(8)

식 (8)은 식 (4)와 비교하면 결정해야 할 계수는 4개로 같다. 그러나 기존 식 (4)의 경우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최적화 과정을 통해 지수를 결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17)

F ig . 1 P lot of r v s Tr for R - 134a

(18)

3 . 상 관 식 의 계 산 및 비 교

3.1 물질의 선정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식 (4)와 새로운 형태의 식 (8)을 몇몇 물질 의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두 식은 모 두 포화액체밀도를 온도만의 함수로 나타내는 상관식으로 실험자료 가 충분히 있는 경우 사용이 적당하다. 성능비교를 위한 대상물질은 R - 134a, R - 32, R - 123, R - 125, R - 143a, 그리고 R - 152a를 선정하였 다. 이 6개 물질들은 냉매로 기존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어온 염화 불화탄소물질들(R - 11, R- 12 등)을 대체하는 오존파괴지수(Ozone Depletion P ot ential)가 0이거나 매우 작은 순수냉매, 또는 R - 22의 대체냉매로 쓰이는 두 혼합냉매 R- 407C와 R- 410A의 구성성분이다.

T able 1에는 본 연구에서 상관식을 결정하는데 사용한 임계값과 그 출처를 나열하였다. 여기서, 저자는 해당 참고문헌의 첫번째 저자만 을 나타내었다.

T able 1. Cr it ical pr oper t ie s an d t h eir s ou r ces for r efr ig er an t s

S u b st an ce Tc[K ] c[m3/ k g ] A ut h or Y ear Ref .

R - 134a 374.074 509.00 F ujiw ar a 1998 (11)

R - 32 351.330 429.04 V an P oolen 1997 (12)

R - 123 456.830 550.00 W eb er 1990 (13 )

R - 125 339.165 568.00 Ku w ab ar a 1994 (14 )

R - 143a 345.861 434.00 F ujiw ar a 1998 (11)

(19)

3.2 계수결정 및 기존식의 최적화

상관식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

y = f ( x ) (9)

실험값과 계산값의 차이를 라 하면

= y - f ( x ) (10)

이다 . 상관식의 계수들은 가중치 wi를 식에 포함하여 최소자승법 에 의해 다음 형태의 목적함수 를 최소화 하도록 결정하였다 .

=

N D P

i = 1 wi ( i)2 (11)

여기서, N DP는 데이터의 개수이다 . 가우스의 오차 전파 공식에 따르면 이론적 편차의 추정치 2은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 다 .

2 =

(

y

)

2 y2 +

(

x

)

2 x2 (12)

여기서, xy 는 각각 실험 측정값 xy에 대한 표준편차의 추정치이다 . 정확한 실험일수록 2이 작아지므로 가중치 wi

1/ 2에 비례하도록 한다 .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20)

wi = C / i2 (13)

여기서, C는 미지의 상수이다 . 실험으로 측정된 값들의 편차가 균일한 경우 각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가중치는 1이므로

wi = N DP (14)

가 되도록 한다 . 따라서 C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

C = N DP

N D P

i = 1 ( 1 / i

2)

(15)

그러나 처음 계산의 수행에서는 식이 정해지지 않으므로 / x/ y가 정의되지 않아 , wi및 상수 C가 결정되지 않는다 . 그러므로 처음 계산에서는 가중치 wi를 1로 하고 계수를 최소자 승법으로 계산하여 식의 형태를 결정하고 2을 계산한다 . 그러 면 C가 결정되며 각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 이후의 계산에서는 이렇게 얻어진 가중치를 상관식에 포함 하고 다시 식의 계수를 구하여 식을 결정한다 . 위의 과정을 모든 항의 계수가 수렴할 때까지 반복하여 식의 계수를 확정한다 .

기존 식 (4)는 형태가 결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최적화 과정을 통 해 지수를 결정해야 한다. 식 (4)의 첫항의 지수 k1은 임계점 근 방에서의 거동을 고려하여 1/ 3로 고정하고, 모든 항의 지수를

(21)

하지 않으므로 ki는 5보다 작은값을 갖도록 제한하였다. 다음으로, 가능한 모든 ki의 조합을 구성한다 .(즉, k1= 1/ 3 < k2< k3< k4 < 5이 다.) 식 (4)의 지수를 바꾸어 가면서 반복계산을 하여 가 가장 작은 것을 최적화된 식으로 결정하였다 . 단 , 임계점 근방의 거동 을 고려하여 계수 a1이 음수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식 (4)와 식 (8)에 대한 / y/ x는 부록에 나타내었다 .

(22)

3.3 상관식의 성능비교

T able 2에는 냉매 R - 134a에 대한 Aoyam a 등( 1 5 )의 실험자료와 식 (4)를 이용하여 계산된 결과를 예로 나타내었다. 다른물질에 대 한 계산 결과도 T able 2와 같은 형태로 얻어진다.

T able 3에는 최적화 과정을 통해 결정된 식 (4)의 지수들을 나타 내었다. T able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모든 경우 지수의 값들이 최대값으로 설정된 5를 넘지 않았다. 또, R- 152a를 제외한 모든 경 우 직선 성분을 의미하는 지수 ki가 1인 항이 나왔다.

T able 4와 T able 5에는 각각 식 (4)와 식 (8)의 계수들이 나와있 다. 직선지름법칙에 의하면 식 (8)에서 첫항의 계수 c1은 양수가 나오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T able 5에 나와있는 식 (8)의 계수 c1이 3개 물질에 대하여 음수였다. 이것은 식 (8)의 첫항을 제외한 나머지 항에 직선의 성분이 들어있어 계수 c1이 음수인 경우를 보 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식 (8)의 독립변수인 의 범위를 고려 한 적절한 범위 내에서 계수 c2, c3c4의 값을 적당히 조정하여 식 (8)의 두번째 항에 직선의 성분이 있음을 Fig . 2에 보였다. 임계 점 근방을 제외하면 식 (8)의 두번째항만으로 구성된 함수 Y가 직 선에 가까운 형태임을 Fig . 2를 통해 알 수 있다. T able 5에서 계 수 c1c3의 부호는 항상 반대가 되었다. 또, c1이 음수인 경우 두 번째 항의 계수중 c2값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식 (4)에서도 지수 ki가 1인 항의 계수가 음수인 경우가 있어 직선지름법칙에 어긋나는 경우가 있음을 T able 3과 T able 4의 검 토를 통해 알 수 있다.

(23)

F ig . 3과 F ig . 4에는 각각 식 (4)와 식 (8)을 이용하여 계산된 환 산 포화액체밀도 rTr에 대하여 실제 실험자료와 함께 나타내 었다. 두 그림을 통하여 식 (4)와 식 (8), 모두가 실제 실험자료를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 ig . 5와 F ig . 6에는 각각 식 (4)와 식 (8)을 이용하여 계산된 편 차, 를 Tr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c a l - ex p (16)

두 그림 모두 편차가 음이나 양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비 교적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임계점 근방에서 편차가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편차가 10이상으로 커지는 몇몇의 경우에 대 하여 절대값이 10이 되도록 하여 나타내었다.

F ig . 7과 F ig . 8에는 각각 식 (4)와 식 (8)을 이용하여 계산된 편 차비, 의 값을 Tr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es t

(17)

여기서, es t는 추정편차이며 구체적인 계산은 부록의 식 (A .1)과 식 (A .2)에 나타내었다. 두 식의 경우 모두 대부분의 데이터 포인트 에 대하여 는 ±1 내에 있어 추정된 편차보다 식으로 계산된 편차 가 작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임계점 근방으로 갈수록 의 값 이 ±1을 벗어나는 것을 보이며 이것은 임계점 근방에서 실험의 정 확도가 낮아지는 것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24)

최적화 과정을 거친 식 (4)와 식(8), 두 식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 해 확정된 두 상관식에 대한 상대편차, DE V를 알아 보았다. D E V 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DE V = ca l - ex p e x p

100 ( % ) (18)

여기서, ca l은 상관식으로 계산된 포화액체밀도 , ex p는 실험자료 에 주어진 포화액체밀도이다.

F ig . 9과 F ig . 10에는 각각 식 (4)와 식 (8)에 대하여 식 (18)로 정 의된 DE V를 Tr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Fig . 9과 Fig . 10을 통하여 식 (4)와 식 (8), 두 식 모두 대부분의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D E V 가 ±1% 내에 있으며 임계점 근방을 제외하면 0.5%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식 (18)로 계산된 DE V를 이용하여 A A D 와 R M S 를 계산한다.

A A D 와 R M S 및 R M S 의 계산에 사용되는 BIA S는 다음의 식으로 정의된다.

A A D = 1

N DP i | DE Vi | ( % ) (19)

R M S = 1

N DP - 1 i ( DE Vi- B IA S )2 ( % ) (20)

B IA S = 1

N DP i DE Vi ( % ) (21)

(25)

T able 6에서 T able 11까지는 대상물질인 6개의 냉매에 대하여 각 냉매마다 저자별로 A A D 와 R M S 를 나열하였다. 여기서, 저자는 해 당 참고문헌의 첫번째 저자만을 나타내었다. T able 6에서 R- 134a의 실험자료 중 Aoyama 등( 1 5 )과 Kabata 등( 1 6 )의 경우 다른 저자들의 경우에 비해 A A D 와 R M S 가 비교적 크다. 그 이유는 이들 저자의 자료가 임계점 근방의 데이터 포인트를 다수 포함하고 있고 임계점 근방의 상태량 측정은 정확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T able 8에서 R - 123의 실험자료 중 T anikaw a 등( 1 7 )의 경우와 T able 10에서 R - 143a의 실험자료 중 Aoyam a 등( 1 5 )의 경우도 같은 이유로 A A D 와 R M S 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T able 12에는 각 대상 냉매에 대한 A A D 와 R M S 및 전체평균 A A D 와 R M S 를 나타내었다. A A D는 식 (8)이 총 6개의 물질 중 3 개 물질에 대하여 식 (4)보다 작았으며 R M S 는 식 (8)이 총 6개의 물질 중 4개 물질에 대하여 식 (4)보다 작았다. A A D 로 비교할 때 두 식은 동등한 성능을 보인다. 통계적으로는 분산의 의미가 있는 R M S 가 작은 것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식 (8)이 식 (4) 에 비해 다소 우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식

(8)의 전체 평균 A A D 와 R M S 모두가 식 (4)보다 작았다.

따라서 식 (8)이 기존의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 식으로 주로 쓰 인 식 (4)보다 실제 실험자료를 나타내는 성능이 다소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6)

T able 2. E x am ple of calcu lat ion r esult s u sin g E q . (4) for R - 134a (A oy am a , H ., et al., 1996 )

T [K ] T ex p[k g/ m3] c a l es t

374.07 0.01 549.8 0.9 538.46 - 11.3 35.60 - 0.32

373.91 0.01 588.9 0.6 586.75 - 2.14 5.43 - 0.40

373.88 0.01 591.0 1.3 591.26 0.26 6.01 0.04

373.33 0.01 633.0 1.0 638.24 5.24 3.53 1.48

372.24 0.01 678.0 0.7 685.07 7.07 2.33 3.03

T able 3. Optim ized ex pon en t s of E q. (4 )

S u b st an ce k1 k2 k3 k4

R - 134a 0.3333 1.0000 2.0000 2.3333

R - 32 0.3333 0.6667 1.0000 1.3333

R - 123 0.3333 0.6667 1.0000 4.3333

R - 125 0.3333 0.6667 1.0000 1.3333

R - 143a 0.3333 1.0000 1.3333 1.6667

R - 152a 0.3333 0.6667 3.6667 4.0000

(27)

T able 4. Coefficien t s of E q . (4 )

S u b st an ce a1 a2 a3 a4

R - 134a 2.00436 1.11252 - 1.74798 1.62150

R - 32 1.64189 2.04587 - 2.51049 1.97432

R - 123 1.82871 0.55936 0.26640 0.61285

R - 125 2.55595 - 4.02667 1.00218 - 6.64458

R - 143a 1.88678 1.94955 - 1.64878 0.51805

R - 152a 1.83619 0.81569 9.06642 - 1.07051

T able 5. Coefficien t s of E q . (8 )

S u b st an ce c1 c2 c3 c4

R - 134a - 0.22541 2.99671 0.02514 0.07426

R - 32 1.43705 1.59930 - 0.52910 0.00492

R - 123 0.46300 2.26448 - 0.21986 0.43184

R - 125 - 4.77853 7.01485 1.55137 0.24060

R - 143a - 0.74472 3.41606 0.19552 0.08468

R - 152a 0.67154 2.18720 - 0.28798 0.03561

(28)

T able 6. Com paris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r at ed liqu 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134a

A u th or s Ref . N D P

A A D (% ) R M S (% )

E q . (4 ) E q . (8 ) E q . (4 ) E q . (8)

Ba su (18 ) 9 0.1519 0.1624 0.2483 0.2652

K ab at a (16 ) 9 0.8400 0.8453 1.4441 1.4898

F u ku shim a (19 ) 3 0.0896 0.0993 0.0252 0.0288

M aezaw a (20) 25 0.1962 0.1791 0.1860 0.1868

P iao (21) 7 0.1791 0.1730 0.1846 0.1841

M orr ison (22) 26 0.1447 0.1506 0.2054 0.2084

Niesen (23 ) 12 0.0910 0.0893 0.0728 0.0836

A oy am a (15 ) 5 0.8686 0.9599 1.2358 1.3702

Defib au g h (24 ) 26 0.0591 0.0696 0.0881 0.1011

T able 7. Com paris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r at ed liqu 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32

A u th or s Ref . N D P

A A D (% ) R M S (% )

E q . (4 ) E q . (8 ) E q . (4 ) E q . (8)

M albr un ot (25 ) 15 0.1660 0.1582 0.2248 0.2138

W idiat m o (26 ) 22 0.0892 0.0874 0.1091 0.1087

(29)

T able 8. Com paris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r at ed liqu 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123

A u th or s R ef . N D P

A A D (% ) R M S (% )

E q . (4 ) E q . (8 ) E q . (4 ) E q . (8)

Og u ch i (27 ) 10 0.0267 0.0350 0.0445 0.0410

W eb er (13 ) 17 0.1670 0.1845 0.19645 0.2187

F u ku shim a (19 ) 2 0.1599 0.2058 0.2261 0.2910

T anik aw a (17 ) 19 0.6905 0.6593 1.5155 1.3048

M orr ison (22) 18 0.1624 0.1659 0.2263 0.2334

Y ok oy am a (28 ) 28 0.0759 0.0954 0.0730 0.1094

Defib au g h (24 ) 20 0.0187 0.0247 0.0209 0.0285

T able 9. Com paris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r at ed liqu 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125

A u th or s R ef . N D P

A A D (% ) R M S (% )

E q . (4 ) E q . (8 ) E q . (4 ) E q . (8 )

Defib au g h (29 ) 9 0.3777 0.3003 0.5349 0.3890

W idiat m o (26 ) 25 0.2867 0.2538 0.3772 0.3514

(30)

T able 10. Com par is 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r at ed liqu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143a

A u th or s R ef . N D P

A A D (% ) R M S (% )

E q . (4 ) E q . (8 ) E q . (4 ) E q . (8 )

W idiat m o (26 ) 17 0.6461 0.6473 0.1310 0.1396

A oy am a (15 ) 13 1.0086 0.9662 1.8037 1.7754

Defib au g h (24 ) 20 0.1012 0.0970 0.1739 0.1692

T able 11. Com par is on of per for m an ces of sat ur at ed liquid den sit y cor r elat ion s for R - 152a

A u th or s R ef . N D P

A A D (% ) R M S (% )

E q . (4 ) E q . (8 ) E q . (4 ) E q . (8 )

H ig a sh i (30) 6 0.593 0.7010 0.8427 1.0187

S at o (31) 25 0.2001 0.1924 0.2400 0.2233

Iso (32) 2 0.2039 0.2013 0.2883 0.2846

Defib au g h (33 ) 29 0.0309 0.0209 0.0361 0.0251

Defib au g h (24 ) 26 0.0547 0.0611 0.1235 0.1288

(31)

T able 12. Com par is on of t h e ov er all per for m an ces of sat ur at ed liqu id den sit y corr elat ion s

S ub st an ce NDP

A A D (% ) R M S (% )

E q . (4 ) E q . (8) E q . (4) E q . (8)

R - 134a 122 0.2139 0.2184 0.5231 0.5440

R - 32 37 0.1203 0.1161 0.1653 0.1618

R - 123 114 0.1927 0.1980 0.6594 0.5690

R - 125 34 0.3108 0.2661 0.4166 0.3556

R - 143a 50 0.5330 0.5205 0.9827 0.9671

R - 152a 88 0.1283 0.1320 0.2773 0.3140

A v er a g e 0.2532 0.2426 0.5041 0.4853

F ig . 2 P lot of fu n ction , Y = 1/ 2

{

c2+ c3ln + c4( ln )2

}

( c2= 1, c3= 0 .46559 , c4= 0 . 07052 )

(32)

F ig . 3 P lot of r v s Tr for R - 134a u sin g E q . (4 )

(33)

F ig . 5 Dev iat ion , for R - 134a u sin g E q. (4 )

F ig . 6 Dev iat ion , for R - 134a u sin g E q. (8 )

(34)

F ig . 7 Dev iat ion r at io, for R - 134a u sin g E q . (4 )

(35)

F ig . 9 Relativ e dev iation for R - 134a u sin g E q. (4 )

F ig . 10 Relat iv e dev iat ion for R - 134a u sin g E q . (8 )

(36)

4 . 결 론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 새로운 형태의 상관식을 제시하였다.

포화액체밀도에 관한 고전적인 상관식에서 첫항의 지수를 1/ 2로 고 정하고 이 항의 계수를 임계점에서 무한대가 되도록 로그함수를 이 용하여 상관식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였다.

기존에 포화액체밀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식 (4)와 새로운 형태 의 식 (8)을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A A D 와 R M S 를 계산하여 성능을 비교, 평가 하였다. 대상물질로는 현재 R - 11과 R12의 대체냉매로 사용중인 순수냉매 R - 134a와 R- 123, R - 22의 대체냉매로 쓰이는 혼 합냉매 R- 407C와 R- 410A의 구성성분인 R - 125과 R- 32, 이밖에 R - 152a과 R - 143a를 선정하였다.

두 상관식은 실험자료가 있는 모든 온도 범위에서 사용이 가능 하며 실험자료가 충분히 있는 경우 사용이 적당하다.

식 (8)은 식 (4)와 비교하면 최소자승법으로 결정해야 할 계수의 개수는 4개로 같다. 그러나 식 (8)은 지수가 고정되어 형태가 일정 하고 최적화 과정이 필요없으므로 식 (4)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또, 두 식의 성능을 비교하면 새로운 형태로 제시된 식 (8)이 전체평균 A A D 와 R M S 가 각각 0.24%, 0.49%로 식 (4)의 0.25%, 0.54%보다 적게나와 실험자료를 나타내는 성능이 다소 우수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새로운 형태의 상관식은 기존 상관식에 비교 하여 성능이 다소 우수하며 형태가 일정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37)

R e f e re n c e s

(1) Molina , M . J ., and Row land, F . S ., 1974, Str at ospheric sink for chlorofluor om ehanes : Chlorine at om cat aly zed destruct ion of ozone, Natur e, Vol. 249, pp. 810- 814.

(2) Montr eal Pr ot ocal on Sub st anes T hat Deplet e the Ozone Lay er , 1987, F inal Act , Unit ed Nations Environm ent Progr amm e.

(3) Guggenheim , E . A ., 1945, "T he principle of Corr esponding St at es," T he Journal of Chemical Phy sics , Vol. 13, No. 7, pp . 253- 261.

(4) Hou , Y. C., and Mart in , J . J ., 1957, "Phy sical and T herm odynamic Properties of T rifluorom ethane," A .I.Ch .E Journal, Vol. 5, No. 1, pp. 125- 129.

(5) Hankin son , R . W ., and T hom son , G. H ., 1979, "A new correlation for saturat ed densit ies of liquids and their mixtur es,"

A .I.Ch .E Journal, Vol. 25, pp . 653.

(6) Dym ond, J . H ., and Malhotra , R ., 1988, "T he T ait equation : 100 y ear s on ," J . Chem . Eng . Dat a , Vol. 15, pp. 514.

(7). Rackett , H . G., 1970, "Equation of St at e for S atur at ed Luquids ," Journal of Chemical and Engineering Dat a, Vol. 15, No.

4, pp. 514- 517.

(8) Spencer , C. F ., and Danner , R . P ., 1972, "Improv ed equation for pr ediction of sat ur at ed liquid den sity ," J . Chem . Eng . Dat a , Vol. 17, pp. 236.

(9) Bhirud, V . L., A .I.Ch .E Journal, 1978, Vol. 24, pp. 1127.

(38)

(10) ASHRAE , 1997, A SHRAE Handbook F undam ent als Volum e, Chap . 18, A SHRAE , Atlant a, GA .

(11) F ujiw ar a, K ., Nakam ur a, S ., and Noguchi, M ., 1998, "Critical P aram et er s and Vapor Pr essur e Measurem ent s for 1,1,1- T rifluoro ethane (R - 143a )," J . Chem . Eng . Dat a, Vol. 43, pp. 55- 59.

(12) Van P oolen , L . J ., Holcomb , C. D., Niesen V . G., 1997,

"Critical t emper ature and den sity fr om liquid- vapor coexist ence dat a : applicat ion t o r efriger ant s R32, R 124, and R 152a," F luid Phase Equilibria, Vol. 129, No. 1- 2, pp . 105- 111.

(13) W eber , L. A . and Levelt Senger s, J . M . H ., 1990, "Critical par am et er s and satur ation den sities of 1,1- dichlor o- 2,2,2- t rifluoro- ethane," F luid Phase EquilibrIa, Vol. 55, pp . 241.

(14) Kuw abar a, S .(1992) Priv at e comm unicat ion as in W idiat m o, J . V ., S at o, H ., W at anabe, K ., 1994, "S aturat ed- liquid den sities and vapor pressur es of 1,1,1- trifluoroethane, difluorom et hane, and pent afluoroethane," J . Chem . Eng . Dat a, Von . 39, No. 2, pp . 304- 308.

(15) Aoyam a, H ., Kishizaw a, G., S at o, H ., and W at anabe, K ., 1996, "Vapor - Liquid Coexist ence Curv es in the Critical Region and t he Critical T emperatures and Den sities of 1,1,1,2- T etrafluoroethane (R - 134a ), 1,1,1- T rifluor oethane (R - 143a ), and 1,1,1,2,3,3- Hex afluor opropane (R - 236ea )," J . Chem . Eng . Dat a, Vol. 41, pp. 1046- 1051.

(16) Kabat a, Y. et al., 1989, "Mea surem ent of the v apor - liquid coexist ence curv e and the critical param et er s for

(39)

(17) T anikaw a , S . et al., 1990, "Measur em ent s of the critical par am et er s and t he vapor - liquid coexist ence curv e in the critical r egion of HCF C- 123," J . Chem . Eng . Dat a , Vol. 35 pp. 381.

(18) Ba su , R . S ., and W ilson , D. P ., 1989, T herm odynamic properties of 1,1,1,2- t etrafluoroethane (R - 134a )," Int . J . T herm ophy s, Vol. 10, pp. 591.

(19) F uku shim a , M . et al., 1990, "Measur em ent s of the PVT properties of HCF C123 and HF C134a ," T ran s . JAR, Vol. 7, No. 3, pp. 243- 256.

(20) Maezaw a, Y. et al., 1990, "Saturat ed liquid densit ies of HCF C 123 and HF C 134a," J . Chem . Eng . Dat a , Vol. 35, pp . 225.

(21) Piao, C. C. et al., 1990, "An experim ent al st udy for PVT properties of CF C alt ernativ e refrigerant 1,1,1,2- t et rafluoroethane,"

A SHRAE . T r ., Vol. 96, No. 1, pp. 132- 140.

(22) Morrison , G., and W ard, D . K ., 1991, "T herm odynamic properties of t w o alt ernativ e r efriger ant s : 1,1- dichloro- 2,2,2- t rifluoroethane (r 123) and 1,1,1,2- t etrafluoroethane (r 134a )," F luid Phase Equilib ., Vol. 62, pp. 65.

(23) Niesen , V . G. et al., 1994, "Coexisting den sities and vapor pressur es of refriger ant s r - 22, r - 134a , and r - 124 at 300- 395 K,"

F luid Phase Equilib ., Vol. 97, pp. 81- 95.

(24) Defibaugh , D. R ., and Moldov er , M . R ., 1997, "Compressed and S atur at ed Liquid Densit ies for 18 Halogenat ed Or ganic Compounds," J . Chem . Eng . Dat a , Vol. 42, pp . 160- 168.

(40)

(25) Malbrunot , P . F . et al., 1968, "Pr essur e- v olum e- t emperature behavior of difluorom et hane," J . Chem . Eng . Dat a, Vol. 13, pp. 16.

(26) W idiat m o, J . V ., S at o, H ., W at anabe, K ., 1994,

"Saturat ed- liquid den sities and v apor pres sures of 1,1,1- trifluoroethane, difluorom ethane, and pent afluor oet hane," J . Chem . Eng . Dat a, Vol. 39, No. 2, pp . 304- 308.

(27) Oguchi, K ., and T akaha shi, Y ., 1989, "Measur em ent of satur at ed liquid den sity of HCF C- 123," Proc. T ent h Japan symposium on T herm ophy sical Properties , pp. 55.

(28) Yokoyam a, C., T akaha shi, S ., 1991, "Saturat ed liquid den sities of 2,2- dichloro- 1,1,1- trifluoroethane (HCF C- 123), 1,2- dichloro- 1,2,2- trifluoroethane (HCF C- 123a ), 1,1,1,2- t et rafluoroethane (HF C- 134a )," F luid Phase Equilib, Vol. 67, pp. 227- 240.

(29) Defibaugh , D . R ., Morrison , G., 1992, "Compres sed liquid den sities and satur ation den sities of pent afluoroethane (R 125),"

F luid Phase Equilibria, Vol. 80, pp. 157- 166.

(30) Higashi, Y. et al., 1987, "Measurem ent of v apor pr essur e, v apor liquid coexist ence curv e and critical param et er s of r efrigerant 152a ," JSME Int . J ., Vol. 30, pp. 1106.

(31) Sat o, H . et al., 1987, "S aturat ed liquid densit y of 1,1- difluor oet hane (r 152a ) and therm odynamic properties along the v apor - liquid coexist ence curv e," F luid Pha se Equilib ., Vol. 36, pp.

167- 181.

(32) Iso, A ., and Uem at su, M ., 1989, "T herm odynamic properties of 1,1- difluor oethane in t he supercritical and high den sity r egion s ," Phy sica A , Vol. 156, No. 1, pp. 454- 466.

(41)

(33) Defibaugh D. R ., and Graham Morrison, 1996, "Com pr essed Liquid Den sities , S atur at ed Liquid Den sities, and Vapor Pr essur es of 1,1- Difluor oethane," J . Chem . Eng . Dat a, Vo. 41, pp. 376- 381.

(42)

A b s t ra c t

A S tu dy on th e D e v e lopm e nt of S aturat e d Li qui d D e n s ity Correl ation f or R e frig eran t s

by Y ang , J ung - K y u

D ep t. of M echanical E ng ine ering Graduate S chool, K ook m in Univ ers ity .

S eoul, K orea

T he fact that CF Cs destr oy ozone lay er has m ade m any r esearcher s t o identify envir onm ent ally accept able r efrigerant s t hat w ould replace t he CF Cs . When w e u se the select ed r efrigerant s , w e mu st know the properties of the refrigerant s . Mor eov er corr elation that r epr esent s the satur at ed liquid densit y a s function of t emper ature is requir ed especially , for t ran sport ation and st orage of r efrigerant s . T he existing correlat ion of satur at ed liquid den sity is t o be optimized t o det erm ine exponent s . T he correlation also has a defect that the form of correlation is also v ariable. In this study w e fir st r eview t he existing corr elation of sat ur at ed liquid den sity and t hen pr esent a new corr elation . T he correlat ion pr esent ed has a fir st t erm of w hich exponent is 1/ 2 and of w hich coefficient is a logarit hm ic funct ion which div er ges at critical point . S elect ed m at erials for inv estigation ar e R - 134a, R - 32, R - 123, R - 125, R - 143a and R - 152a . P erform ances of the t w o correlations ar e compar ed by A A D and R M S . T he new correlation show ed bet t er perform ance t han existing correlat ion in an ability t o r epr oduce the experim ent al dat a . T he new corr elation can be u sed w her e dat a point s exist , and ar e abundant . It is also convenient t o u se t he

(43)

A pp e n dix

상관식의 일반적인 형태는 y = f ( x ) 이고, = y - f ( x ) 이라 하면 ,

E q. (4 )의 경우

r- 1 = a1

k 1+ a2

k2+ a3

k3+ a4 k4

이다. 여기서, x = T , y = , 그리고 = 1 - Tr 이다.

그러므로,

y = 1

c

x =

x

= ( a1k1 k1- 1

+ a2k2 k2- 1

+ a3k3 k3- 1+ a4k4 k4- 1) 1 Tc

es t

2=

( )

2 2+

(

T

)

2 T 2 (A .1)

이다. 여기서, T 와 는 실험 데이터의 편차이다.

E q. (8 )의 경우

r- 1 = c1 + 1/ 2

{

c2+ c3ln + c4( ln )2

}

이다. 여기서 x = T , y = , 그리고 = 1 - Tr 이다.

그러므로,

(44)

y = 1

c

x =

x

=

{

c1+ 2c2 + c3

(

ln2 - 2

)

+ c4

(

4 ln 2+ ( ln )2

)}

T1c

es t

2=

( )

2 2+

(

T

)

2 T 2 (A .2)

이다. 여기서, T 와 는 실험 데이터의 편차이다.

참조

관련 문서

이점이 될 수 있다.왜냐하면 고객만족,서비스 품질,고객 충성도는 종사 원의 믿음과 행동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Bi tneretal. ,1990).즉,만족 한 종사원의

참여 실태에 따른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대중무용에 관 한 인식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참여 동기에 따 른

이렇듯,과거에 성급히 도입되어 실패한 수많은 제도와 같은 전처를 밟지 않도록 하 기 위해 정부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발주방식을 선정하여 건설

2 006년 상반기 우리나라의 스위스 수출 30 대 주요 품목을 보면 전 품목이 공산품 으로 향후 한-스위스 교역에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성을 비교 연구한 결과 이성분계 블렌드는 전형적인 불상용성을 보였지만 삼성분 계인 PP/PE/EPDM의 경우 EPDM의 함량 증가에 따라 블렌드 점도가 증가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상황적 요인과 관련하여 만족과 신뢰가 충성도에 미치는 관계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데 만족과 충성도간의 관계는 상황적 요인에 영향을 크게

셋째,우리나라 농지 유동화의 방향은 경영규모별 농가호수가 양극으로 분화되어 가는 가운데 기계등 자본장비가 충실하고 영농의욕이 강한,소수의 규모가 큰 농가 가

잔존 치아수로 비교할 경우 제일대구치 건강도가 10점 이내인 경우 1로 볼 때 11-20 점은 약 2배,31-40점은 3배로 제일대구치 건강도에 차이가 있었다.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