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과학 문명의 발달과 사회 문화적인 발달로 인류 21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과학 문명의 발달과 사회 문화적인 발달로 인류 21"

Copied!
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집단음악치료가 정신과 보호병동 입원 환자들의 우울, 불 안, 대 인관 계 에 미치 는 영 향

The Effect of Mental Hospital Patient’s Depress, Anxiety and Relationships by Group Music Therapy

최 애 나*신 유 선**

Choi, Ae Na Shin, You Seon

*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예술치료학과 대우전임강사 교신저자( : aena617@hanmail.net) Department of Art Therapy, Daejeon University

**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예술치료학과 석사 Department of Art Therapy, Wonkwang University Vol. 46, No. 4, pp. 233~254, 2007.

< 요 약 >

본 연구는 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집단음악치료를 실시 하여 우울 불안 증상의 감소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 고 있다.

연구대상은 S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중인 환자 중 실험집단 13 ,명 통제집단 13명으 로 구성하여 음악치료를, 2006 7 11일부터 2006 9 20일까지 총 15회기 주(

분 로 진행하였다 1~2 , 60 ) .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기 위해 두 집단에게 우울척도(BDI : Beck’s depression

상태 특성불안척도 대인관계

Inventory), - (STAI :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변화척도(RCS : Relationship Change Scale)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를 공변량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최종분석대상은 퇴원으로 인해 실험집단 10 ,명 통제집단 9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울 불안이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고 대인관계의, 영역에서는 민감성과 의사소통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대인관계 전체 척도상의 평균 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도입하 여 우울 불안의 감소와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으로써, 음악치료의 중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핵심어 : 집단음악치료 정신과 보호병동 입원 환자 우울 불안 대인관계, , , ,

(2)

Ⅰ 서 론.

세기를 사는 현대인들은 과학 문명의 발달과 사회 문화적인 발달로 인류 21

역사이래 최고의 혜택을 누리고 살고 있으나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우리 인간의 , 삶은 개인 중심적으로 변하게 되고 인간관계는 더욱더 각박하게 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 속에서 현대인들은 정신건강을 위협받고 있으며 정신질환자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은 대부분 불 . 안하고 우울한 증세를 호소하게 되며 불안과 우울한 증세는 지속적으로 증가하 고 있다.

우울 불안 증상은 통상 함께 나타나는 복합장애로 대부분 재발의 반복 등 만 성화로 이어져 무력감과 대인관계결여 퇴행현상 등으로 정상적인 생활 유지가 ,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체장애를 유발 시킬 수도 있어 방관할 수 없는 문제로 부 각되고 있다 나혜숙 ( , 2003).

정신질환자의 일차적인 치료는 약물치료라 할 수 있겠는데 대뇌의 화학질의 균형을 맞추는 데에는 약물치료가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만으로 정신분열증의 퇴행된 행동양상이나 사회적 고립 대인 , 관계에서의 철퇴 사회기술 부족 등은 가르칠 수 없으며 약물의 필요성만큼이나 , , 부작용의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정신질환자들이 치료를 받 . 고 퇴원을 한 후에도 사회적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해 결국 증세가 악화되거나 지시된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아 재입원되는 사례가 종종 있는 것이다 박영 ( 숙 , 1995). 또 점차 사회적 지지망이 감소하게 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의미 있는 대인관계에서의 능력이 감퇴되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사회복귀의 기초가 . 되고 의사소통을 통해 존재하는 인간 상호간의 대인관계에 애로를 느낀다는 뜻 은 대부분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사회 기술이 부 족함을 의미한다 김원희 ( , 1980). 따라서 정신병리 증상의 호전과 더불어 사회생 활로 복귀하도록 돕는 것이 궁극적인 치료라고 할 수 있겠는데 이러한 치료적 , 방향에서 볼 때 음악치료는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교류 활동을 통해 사회적인 상황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음악치료 기법은 예술 심리 치료 중 가장 오랜 . 역사 속에서 이용되어져 왔으며 매개체인 음악이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정 , 서적 안정과 무의식의 깨달음 기억력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과학적인 치료기법 , , 이며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촉진하고 카타르시스에 의해 , 미해결 감정해소와 심박동수 및 호흡 변화 등 생리적 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이 음악은 불안과 걱정을 진정 완화시켜 부정적인 정

(Bruscia, 1987). ,

(3)

서반응을 긍정적인 정서반응으로 유도하는 힘이 있어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 기까지 정신건강 치료에 활용되어 왔으며 , Platon 은 음악을 통해 몸과 마음의 건강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Michel, 1985). 음악은 인간에게 정신통합 의 도구가 될 뿐만 아니라 생물 심리 사회적 모델로써 임상 (Psychosynthesis)

의 새로운 치료기법으로 개발 될 수 있다 임은희 ( , 1997) 고 하였다 이에 본 연 . 구는 정신과 보호 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즉흥연주 감상 , , 명상음악 자연음악 가창 , , , Song discussion, Song writting, 음악과 동작 등으 로 구성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환자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고 성취감 을 부여함으로써 우울 불안 증상의 감소와 대인관계향상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 하는데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음악치료가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의 우울감소에 효과가 , 있을 것인가?

둘째 집단 음악치료가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의 불안의 하위요소인 , 상대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셋째 집단 음악치료가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의 불안의 하위요소인 , 특성 불안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넷째 집단 음악치료가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의 전체적인 불안감소 , 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다섯째 집단 음악치료가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들의 대인관계 기술 ,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Ⅱ 이론적 배경.

정신질환의 개념 및 증세 1.

정신질환의 개념을 의학적 정의에 의해서 살펴보면 신체질환에서와 같이 단순

한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보기 어렵고 또한 사회적 생물체의 적응이 안 된 정신

생물학적 기능장애라고 정의한다 이정균 ( , 1987). 정신질환의 개념은 단순히 병

리학적인 용어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사회 문화에 따라 역사진행 과정에 의

해 의미가 변하는 사회역사적 개념이기 때문에 일의적으로 규정짓기는 매우 어렵

다 그렇다면 정신질환으로 간주될 만큼 적절하지 못하다고 판단되는 행동의 한 .

계는 흔히 어떤 행동이 일어나는 빈도 지속기간 강도와 그 행동을 둘러싼 여러 , ,

상황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기분 변화를 경험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

(4)

있는 일이다 그러나 우울감이 빈번하게 찾아오고 빈도 . ( ), 한번 올 때마다 몇 개 월씩 지속되고 지속기간 ( ), 정도가 너무나 심해서 강도 ( ), 한 개인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자살을 시도한다면 우울하다 라고 하는 이 감정이 여기 ‘ ’ 서는 부적응 상태에 해당될 수 있다 즉 다양한 행동들이 사회 안에서 허용되지 . , 만 이 행동들 중 같은 것이라도 그 당사자의 기능을 방해하거나 그를 완전히 기 능 마비의 상태로 몰아버린다면 이때에는 정신질환의 증세가 있다고 간주한다.

에 의하면 정신질환은 개인에게 발생되고 있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행 DSM-IV

동적 심리적 증후군이나 양상으로서 이런 증후군이나 양상은 현재의 고통이나 , 무능력을 동반하거나 고통스런 죽음이나 통증 자유의 상실의 위험을 증가시킨 , 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나 증상이 문화적으로 허용될 만한 것이 아니며 개인에 . 게 행동적 심리적 또는 생물적 기능장애로 나타난다 , (American Psychiatric 정신질환이 있다는 증거는 성숙이 고착되고 자기실현에 한계가

Association). ,

오고 퇴행적 행동이 나타나며 기능의 상실 또는 장애가 오며 감정의 왜곡과 같이 나타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특정한 소인 . (Predisposing factor) 을 가진 사 람에서 삶의 과정 중에 감당하기 어려운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 즉 , , , 유발인자 (Precipitating factors) 가 왔을 때 대응전략 (Coping strategies) 과 방 어기제 (defense mechanism) 를 사용하여 조정 극복되는데 이것이 너무 크거나 , , 누적되어 적응 범위를 넘어서면 그대로 감정 반응이 표현되거나 또는 그 적응 과 정이 병적이 된다 이리하여 적응적 행동 즉 증상이 나타난다 민성길 . , ( , 1995).

정신장애 및 증상이란 결국 소인이 있는 개인이 스트레스를 극복하지 못할 때 비 적응의 결과로 나타나며 정신장애를 치료한다는 것은 환자로 하여금 병적인 방어 기제를 인식토록 하여 증상을 해소하고 건강하고 성숙한 방어기제로 바꾸도록 하 며 생산적인 대응 전략을 세우게 함으로써 비적응적 행동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 , 이라 할 수 있다 민성길 ( , 2001).

정신질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2.

정신질환자들의 치료에 음악은 집중력을 증가시키고 기분전환에 도움을 주고 ,

정서조절을 도와주고 지적자극을 주어 자기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

재사회화를 돕는 기능을 수행했다 정신질환자는 음악적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

외부와 접촉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언어로 자신을 표현하지는 못하지 .

만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가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개개인의 현실 능력을 알도록 한다 신지연 ( , 2006).

(5)

지난 30 년간 정신질환의 원인과 이해를 위한 많은 발전들이 있었으며 약물학 적 정신 사회적 치료법들에서 좀 더 나은 진전들이 있었다 , .

음악치료는 부적응적인 행동의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는데 자주 이용되어 왔다 이는 음악이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예술매체이며 . , 치료적인 필요에 다양하게 부응할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치료 도구이기 때문이 다 그러나 환자의 기능 수준에 따라 음악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한다 .

권혜경

( , 2002).

정신과에서의 음악치료는 환자가 사회구성원으로서 한 인격체로 생활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르는 정신 재활치료를 담당하는데 많은 연구가들은 정신과 환자 들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는 즉흥적 음악치료활동이 사회적 위축과 정서적 무기력을 보 Unkefer(1990)

이는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에게 개인교류 상호관계 능력의 증진과 정신병리적인 , 행동 (BPRS) 의 개선을 보고하였다 .

는 음악치료 활동이 정신과 환자들의 긴장이완 정서 사고변화

Thaut(1989) , ,

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히었다.

국내에서 이뤄진 정신과에서의 음악치료 효과를 입증한 여러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김희정 (2000) 은 정신과 환자들에게 음악치료가 적용될 때 환자들이 지각하는 음악치료 목적 영역에 대한 수용도를 고찰한 결과 환자들은 치료적 음 악활동이 즐거움을 제공해 주며 자신의 집중력 지속력 향상과 의사소통 기술 ,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정신과 환자가 인식한 음악치료 목적 영역 ‘ ’에서 보고 한 바 있다.

김성희 (2000) 는 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지가기한 삶의 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음악치료가 특히 정서의 긍정적 변화와 자신의 행동 통제감에 있어서 환자들이 스스로 지각하는 만족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접근법 이었음을 시사했다.

최애나 (2000) 는 음악치료가 정신질환의 사회적응의 중요부분을 차지하는 대 인관계기술과 정신병리 행동 (BPRS) 에 치료적 효과를 검증한 결과 특히 대인관 계기술에서 만족감 의사소통 개방성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고 정신병적 행동 , , 전반에 있어서는 불안 우울증 경향이 감소되었다고 보고했다 , .

전희순 (2002) 은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활동에 참여한 환자들

과 음악 감상만 한 집단의 자아존중감과 그룹 응집력을 조사한 결과 음악치료

활동 집단이 음악 감상만 한 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

했다.

(6)

나유미 (2002) 는 음악치료가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경험하는 불안성과 충동성 의 감소에 효과가 있고 정신분열증 환자의 자기 통제력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규정 (2002) 은 정신질환의 음성증상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인본주의와 게슈 탈트이론에 근거를 두고 정신과적 초기면담에 있어 음악의 사용은 환자의 정서적 안정 및 자기표현과 치료사에 대한 신뢰도를 갖는데 효과적이며 관계 형성을 이루 는 시간도 앞당길 수 있다고 했다 개인선호도에 맞는 음악과 선곡하는 과정에서 . 환자의 정신적 상처와 관련된 주제가 있는 가사 등을 세션내에서 구조화 활용한다 면 환자들이 보다 편안하고 솔직한 상태에서 면담에 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임정연 (2003), 나해숙 (2003), 고현진 (2003) 은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우리정서에 맞는 다양한 예술 통합기법을 접목하여 정신과에 입원 중인 우울 불안장애 내담자와 사회복귀 재활집단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우울 불 , , 안증상의 감소와 대인관계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음악적 자극을 통해 정신질환자들의 기분을 재활성화 시키고 표현적 활동적인 방법을 통하여 자신의 감정 유출을 도와준다 , .

정신질환자에 대한 음악치료 효율성을 입증한 국내외 여러 연구 결과들은 음 악치료가 환자의 정신재활 및 사회적응적인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연구 대상 1.

본 연구 대상은 전주시 소재 S 병원 신경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 자 26 명을 대상으로 입원 실험집단과 입원 통제집단에 각각 13 명씩 배치하였 다 음악치료 실시 기간 중 퇴원으로 인해 . 7 명이 제외되어 최종 분석 대상은 입 원 실험집단 10 , 명 입원통제집단 9 명으로 총 19 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음 . 악치료는 2006 년 7 월 11 일부터 2006 년 9 월 20 일까지 총 15 회기로 주 1~2 회 분으로 진행되었다 음악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주치의와 사회복지사로부

60 .

터 약 1 시간 동안 진행될 음악치료에 참여 가능한 자로 연령이 20 세 이상 55 세 이하인 자이며 학력이 중졸 이상인자로 질문지 내용을 이해할 수 있고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를 선정하였다.

집단 구성에 있어서 남녀 비율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설정하였다.

(7)

표 은 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한 환자들 중 음악치료를 실시한 입원

< 3-1>

실험집단의 13 명의 일반적인 특성들을 열거한 것이다 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 . 한 환자들 중 음악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13 명의 일반적인 특성들은 다음과 같다.

연구 설계 2.

이 름 성별 나이/ 진단명 입원 횟수 일반적 특성 이○○ F / 27 정신

분열증 3 중국과 미국 유학 후 발병 나○○ M / 40 정신

분열증 19 농대졸업 미혼,

외아들로 어머니와 생활

박○○ F / 25 품행장애 5 고 중퇴 부모님이 이혼하고 새엄마와 생활1 , 박○○ F / 53 정신

분열증 4 고졸이후 발병 환청 심함 결혼해서 남매를 둠, , 안○○ F / 54 정신

분열증 7 24살에 발병, 2남 녀를 둠 셋째아들이 정신병4 , 원입원 중 말이 없고 환청 심함,

김○○ M / 54 정신

분열증 6 중졸, 27세 발병 어머님과 생활 말없고 수동적, , 장○○ F / 31 정신

분열증 1 고졸 두 아이 출산 후 이혼 차분하고 인상이 좋음, , 유○○ M / 37 양극성 6 대학중퇴 어머님과 생활 시를 잘 짓고 편지를 잘 씀, , 박○○ M / 40 정신

분열증 4 고졸 부모님 안계시고 형님과 생활 말이 없음, , 최○○ M / 38 정신

분열증 5 고졸, 28세 발병 순종적이고 착함 배려를 잘함, , 이○○ F / 35 정신

분열증 8 중졸 변덕스럽고 병원에서 도주를 잘함, 유○○ M / 31 양극성 6 대학중퇴, 19세 발병

채○○ F / 21 품행장애 1 대학재학중 춤 잘 추고 명랑 반항적, ,

표 실험집단의 일반적인 특성

< 3-1>

이 름 성별 나이/ 진단명 입원

횟수 일반적 특성

김○○ M/28 정신분열증

음성 3 고졸 어머님과 생활 오토바이사고 후 발병 외래, , , 치료 후 입원

이○○ M/35 정신지체 2 고졸 부모 돌아가시고 누나와 생활 교도소에서 옴, ,

표 통제집단의 일반적인 특성

< 3-2>

(8)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2 집단 사전사후 측정실험설계이고 실험처리 효과를 보 , 기위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공변량분석 (ANCOVA) 을 실시하였다 .

측정도구 3.

우울 척도

1) (BDI : Beck’s Depression Inventory)

척도는 Beck(1967) 이 우울의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 증상을 측정하 , , , 기 위해 개발한 자기 보고형 검사이다.

문항 점 척도 점 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우

21 , 4 (0~3 ) ,

울 점수로 사용하였다 총점은 . 0-63 점으로 0-9 점은 정상 , 10-15 점은 가벼운 우울증 , 16-26 점은 중정도의 우울증 , 24-63 점은 심한 우울증으로 분류하며 점 , 수가 높을수록 우울 성향이 높아짐을 의미하고 Cronbach 의 신뢰도 계수 (a) 는

이었다 .84 .

이 름 성별 나이/ 진단명 입원

횟수 일반적 특성

이○○ F/42 불안장애 2 고졸, 3년 전 이혼하고 초등 년 아들 있음 히스3 , 테리한 모습

김○○ M/33 정신

분열증 5 발병 시기 불분명 미혼 어머니와 생활, ,

김○○ F/44 양극성 5 고졸 중 때 발병 결혼해서 남 녀의 자녀를 둠, 2 , 1 1 서○○ M/48 양극성 3 고등학교 중퇴 미혼 유머 있고 변덕스러움 원양, , ,

어선에서 일한 적 있음 김○○ F/52 정신

분열증 1 3년 전 남편 사망 이후 발병 박○○ M/29 양극성 2 고졸, 26살 발병, 2남 녀 중 장남1 윤○○ M/37 정신

분열증 7 고졸 발병 시기 정확하지 않음, , 2남 녀 중 넷째5 강○○ M/28 정신

분열증 2 가벼운 정신지체가 있음 부모와 생활 미혼, , 양○○ M/34 정신

분열증 3 고졸 아버지와 생활 발병 시기 정확하지 않음, , 김○○ F/24 정신

분열증 4 부모와 함께 생활 어머니가 정신분열병으로, med 복용중임

최○○ F/20 정신

분열증 5 군산 후생원 생활 고, 1 중퇴 중학교 시절 발병, , 합기도를 잘하고 특히 엄마를 그리워함

(9)

상태 특성 불안 척도

2) - (STAI :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상태 특성 불안척도는 불안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 Spielberger(1970) 가 제작하고 김정택 (1978) 이 번안한 것으로 정신장애가 없는 정상적인 성인의 불 안 상태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임상적로 정신과 환자의 불안 및 불안한 . 집단의 불안을 판별해 주는 유용한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다 총 . 40 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4 점 척도 (1-4 ) 점 이며 상태불안을 측정하는 문항 , 20 , 개 특성불 안을 측정하는 문항 20 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 Cronbach 의 신뢰도 계수는 .83 이었다 .

대인관계 변화 척도

3) (RCS : Relationship Change Scale)

이 척도는 Schlein 와 Guerney 가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 여 개발한 자기 보고형 검사로서 총 25 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문선모가 번안한 (1980) 척도를 사용하였다 .

하위 척도로는 친근감 민감성 만족감 의사소통 개방성 신뢰감 이해성 등 , , , , , , 의 일곱 개 영역이 있고 5 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원만한 것을 의미하고 신뢰도 계수는 .83 이었다 .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목표 및 구성 4.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1)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우울 상태 , 특성 불안과 대인관계 기술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음악치료는 총 . 15 회기로 진행하도록 구성 하였다.

제 회 1 ~3 회까지를 초기 단계로 보고 치료사와 내담자들 간의 Rapport 형성 및 그룹간의 신뢰감 형성을 목표로 삼았다.

제 회 4 ~9 회까지를 중기 단계로 보고 목표는 자기 자신을 스스로 지각하는 과 정에서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켜 자존감이 향상 되는 것을 목표로 삼아 궁극적 으로는 우울과 불안이 감소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종결단계는 10 ~15 회 회까지로 보고 자신에 대한 정체감을 확립시켜 자신감을 갖게 되어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음악치료 프로그램 치료과정 2)

총 15 회기로 구성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요약하면 다음 < 표 3-3> 과 같다 .

(10)

단계 회기 목표/목적 활 동 내 용 준비물

1

치료사와 그룹원의 라포형성

음악치료에 대한 설명

그룹원들 소개

음악선호도 조사

Water CD, CD Player, 필기도구

2

그룹원들간의 관계형성/

신뢰감형성

신체이완 릴렉스( )

에그쉐이커 돌리면서 그룹원이름외우기

만남 노래 부른 후 의미 있는 만남에

대해 대화나누기

Bluewater CD, 에그쉐이커 키보드, ,

만남노래악보

3 자각능력향상

음악치료에 쓰이는 악기소리 들려주고 사

용법 설명

자신을 대표할 수 있는 악기선택 후 연주

하기

악기로 표현했던 것을 언어로 표현한 후

함께 즉흥연주

Egg Pass game을 한 후 벌칙으로 춤추기

게더링드럼, 키즈드럼 오션드럼, ,

마라카스 귀로, , 카바사 클레터필러, , 션더튜브 패들드럼, , 핑거심벌 핸드벨 등,

4 자신감향상 표현기술향상

신체이완 릴렉스( )

내가만일 노래 부른 후 가사 개사하기

(Song Writting)

개사한 노래 부른 후 악기로 표현하기

연주 후 피드백나누기

내가만일악보

키보드, 필기도구

5 감정표현

능력향상

음악 감상할 곡에 대한 설명

음악 감상하면서 느낌적기

한 사람씩 느낌 발표하기

The Power of love, I will be 물의요정 there, ,

Waltz op.410

6

자존감향상/

불안감과 긴장감완화

넌 할 수 있어 노래 부른 후 가사 개사

하기

개사한 노래 부른 후 피드백 나누기

핸드벨 연주하기

그룹원들 앞에서 지휘하기

넌 할 수

있어 악보 키보드 , , 핸드벨 지휘봉,

7

스트레스조절기술 향상 우울감소 /

명상음악 감상하기

음악 감상하면서 느낌적기

서로의 느낌 공유하기

명상음악

8

입원에 대한 내관증진 현실인식 / 우울증상의

완화

국악명상음악 감상하기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을 색종이에

이름적기

종이비행기 접어 한사람씩 날려 보내기

치료사는 누구를 적었는지 동기나 이유

물어보기

국악명상음악 아리랑 ( , Emptiness 세상에서 아름다운

것들), 색종이

9 운동능력향상 불안감소 /

신체이완 릴렉스( )

음악에 맞춰 오이리트미 동작하기

피드백나누기

키보드, Bach Preludio I

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치료과정

< 3-3>

(11)

Ⅳ 연구 결과.

우울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 1.

음악치료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을 알아보기 위해 보호병동에서 치료를 받는 명의 환자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보았다

26 .

먼저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우울 점수 , 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 < 표 4-1> 에 나타나 있다 .

10 자아성찰/

만족감증진

신체이완 후 음악 감상

표현하고 싶은 낱말카드 고르기

치료사와 함께 즉흥연주

피드백나누기

Yanni (Once

uponatime, Oneman’s dream),

낱말카드

11

사회성향상/

의사소통 능력향상

음악 감상할 곡에 대한 설명

가요 감상 후 가사토의하기

자신의 소감 발표하기

꿍따리 샤바라

바꿔

어머나

사는 게 뭔지

12

문제해결 능력향상/

이해성증진

명상 음악 감상하기

빈의 자기법 사용하기

악기로 표현하기

지금의 느낌 말하기

자연명상음악 음악치료악기

13

대인관계 능력향상 / 개방성 친근감,

신체이완

희망사항 노래한 후 그룹원 이름 넣어

가사 만들기 서로의 장점 말하기

희망사항

악보 키보드,

14 자기문제인식/

만족감 증진

나는 문제 없어 노래 부르기

노래가사 토의하기

③ 지금의 느낌 간직한 채 사랑하는 사람에게 편지쓰기

한사람씩 낭독하기

나는 문제 없어

악보 키보드 편지지, , , 필기도구 연주음악,

15

긍정적사고 능력향상/

대인관계 능력향상

음악치료시간의 느낀 점 말하기

자신의 장점 말하고 음악치료시간에 경험

한 것을 적용하도록 약속하기

내일을 향해 를 힘차게 부른 후 마지막

세션 종결하기

내일을 향해 악보

,

키보드

(12)

표 의 결과를 보면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 4-1> ,

우울 사전 점수는 각각 49.31 , 47.69 점 점으로 모두 심한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음악치료를 실시한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우 . 울 사후 점수는 각각 25.46 , 44.77 점 점으로 실험집단은 중정도의 우울증 증세 를 보여 우울증 증세가 완화된 것을 보이나 통제집단의 경우는 여전히 심한 우 울증을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음악치료를 실시한 . ,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우울증 개선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과연 이러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는지 확인하 , 기 위해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집단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공변량분석 (ANCOVA) 을 실시하였다 .

표 에 분석된 결과를 살펴보면 공변량인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미

< 4-2> ,

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 사전 점수를 통제하여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의 집단별 사후 점수 차이를 검증하였다 집단별 우울 사후 점수 .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F=257.70, p<.001) 를 보였고 이는 음악치 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우울 점수가 낮아 졌음을 의미한다 즉 우울에 대한 음악치료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전 . , . 점수를 고려한 실험집단의 우울 사후 점수는 25.26 점이고 통제집단의 우울 사 , 후 점수는 44.97 점으로 나타났다 .

우울 사전점수 사후점수 사후

M SD M SD 평균

실험집단 49.31 3.07 25.46 2.18 25.26 통제집단 47.69 2.78 44.77 3.79 44.97

표 집단별 우울증 사전 사후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 4-1> ㆍ

Source DF SS MS F

집단 1 2423.12 2423.12 257.70***

공변인 량( ) 1 13.27 13.27 1.41

오차 23 216.27 9.40

전체 25 2652.65

***p<.001

표 우울증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 4-2> (ANCOVA)

(13)

상태불안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 2.

음악치료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을 알아보고자 불안의 하위변인인 상태불안에 대해 보호병동에서 치료를 받는 2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 보았다 먼저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상태 . , 불안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 < 표 4-3> 에 나타나 있다 .

표 을 보면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상태불

< 4-3> ,

안 사전 점수는 각각 36.46 , 36.15 점 점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상태불 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음악치료를 실시한 후의 실험집단과 . 통제집단의 상태불안 사후 점수는 각각 22.77 , 32.54 점 점으로 실험집단의 상태 불안 수준이 통제집단의 상태불안 수준에 비해 많이 낮아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상태불안 증세 , 가 호전됨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러한 효과가 통계적 . , 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집단 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는 공변량분석 (ANCOVA) 을 실시하였다 .

상태 사전점수 사후점수 사후

M SD M SD 평균

실험집단 36.46 0.78 22.77 1.74 22.74 통제집단 36.15 1.21 32.54 1.71 32.57

표 집단별 상태불안 사전 사후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 4-3> ㆍ

Source DF SS MS F

집단 1 620.35 620.35 202.65***

공변인 량( ) 1 1.13 1.13 0.37

오차 23 70.41 3.06

전체 25 691.88

***p<.001

표 상태불안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 4-4> (ANCOVA)

(14)

표 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공변량인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미치는

< 4-4> ,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이 사전 점수를 통제하여 실험집단과 통 , 제집단의 집단별 사후 점수 차이를 검증하여 보았다 집단별 상태불안의 사후 .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F=202.65, p<.001) 를 보였고 이는 음 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상태불안 점수 가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즉 상태불안에 대해서 음악치료는 효과가 있다고 할 . , 수 있다 사전 점수를 고려한 실험집단의 상태불안 사후 점수는 . 22.74 점이고 , 통제집단의 상태불안 사후 점수는 32.57 점으로 나타났다 .

특성불안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 3.

음악치료가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불안의 하위변인인 특성불안에 대해 보호병동에서 치료를 받는 2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 보았다 먼저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특성 . , 불안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 < 표 4-5> 에 나타나 있다 .

표 를 보면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특성불

< 4-5> ,

안 사전 점수는 각각 35.92 , 36.38 점 점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특성불 안 수준이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음악치료를 실시한 후의 실험집단과 . 통제집단의 특성불안 사후 점수는 각각 23.00 , 32.15 점 점으로 실험집단의 특성 불안 수준이 통제집단의 특성불안 수준에 비해 많이 낮아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특성불안 증세 , 가 호전됨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러한 효과가 통계적 . , 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집단 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는 공변량분석 (ANCOVA) 을 실시하였다 .

특성 사전점수 사후점수 사후

M SD M SD 평균

실험집단 35.92 0.95 23.00 1.58 22.98 통제집단 36.38 1.61 34.15 1.14 34.17

표 집단별 특성불안 사전 사후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 4-5> ㆍ

(15)

표 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공변량인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미치는

< 4-6> ,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이 사전 점수를 통제하여 실험집단과 통 , 제집단의 집단별 사후 점수 차이를 검증하여 보았다 집단별 특성불안의 사후 .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F=410.09, p<.001) 를 보였고 이는 음 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특성불안 점수 가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즉 특성불안에 대해서 음악치료는 효과가 있다고 할 . , 수 있다 사전 점수를 고려한 실험집단의 특성불안 사후 점수는 . 22.98 점이고 , 통제집단의 특성불안 사후 점수는 34.17 점으로 나타났다 .

불안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 4.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포함한 전체적인 불안에 대하여 음악치료가 미치는 효 과를 알아보고자 보호병동에서 치료를 받는 26 명의 환자에 대해 음악치료 효과 를 알아보았다 먼저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 . , 의 불안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 < 표 4-7> 과 같다 .

표 을 살펴보면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불

< 4-7> ,

안수준에 대한 사전 점수는 각각 72.38 , 72.54 점 점으로 모두 심한 불안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악치료를 실시한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

Source DF SS MS F

집단 1 808.65 808.65 410.09***

공변인 량( ) 1 0.34 0.34 0.17

오차 23 45.35 1.97

전체 25 854.35

***p<.001

표 특성불안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 4-6> (ANCOVA)

불안 사전점수 사후점수 사후

M SD M SD 평균

실험집단 72.38 1.19 45.77 2.86 45.78 통제집단 72.54 2.33 66.69 2.02 66.68

표 집단별 불안 사전 사후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 4-7> ㆍ

(16)

의 불안수준에 대한 사후 점수는 각각 45.77 , 66.69 점 점으로 실험집단의 불안 수준이 통제집단의 불안수준에 비해 많이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불안수준의 호전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과연 이러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 , 과를 의미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집단별 사후 점수 의 차이를 검증하는 공변량분석 (ANCOVA) 을 실시하였다 .

표 에 분석된 결과를 살펴보면 공변량인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미

< 4-8> ,

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이 사전 점수를 통제하여 실험집단 과 통제집단의 집단별 사후 점수 차이를 검증하였다 집단별 불안수준에 대한 사 . 후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F=450.63, p<.001) 를 보였고 이는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불안수준이 호전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불안에 대한 음악치료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 .

사전 점수를 고려한 실험집단의 불안 사후 점수는 45.78 점이고 통제집단의 , 불안 사후 점수는 66.68 점으로 나타났다 .

대인관계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 5.

음악치료가 대인관계에 있어서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보호병동에서 치 료를 받는 2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음악치 . , 료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대인관계 점수를 측정하 였으며 측정 결과는 , < 표 4-9> 에 나타나 있다 .

Source DF SS MS F

집단 1 2845.54 2845.54 450.63***

공변인 량( ) 1 1.84 1.84 0.29

오차 23 145.24 6.31

전체 25 2992.62

***p<.001

표 불안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 4-8> (ANCOVA)

(17)

표 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의 실험집단과 통

< 4-9> ,

제집단의 대인관계에 대한 사전 점수는 각각 40.77 , 41.77 점 점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악치료를 . 실시한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대인관계에 대한 사후 점수는 각각 48.69 점 , 39.77 점으로 실험집단이 대인관계에 있어서 통제집단에 비해 원만한 대인관 계를 보여줌을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 . 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원만한 대인관계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 다 이 때 이러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의미하는지 확인하기 하 . 고자 사전 점수를 공변량으로 하고 집단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하는 공변량 분석 (ANCOVA) 을 실시하였다 .

표 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공변량인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미치

< 4-10> ,

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이 사전 점수를 통제하여 실험집단과 , 통제집단의 집단별 사후 점수 차이를 검증하였다 집단별 대인관계에 대한 사후 .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F=35.53, p<.001) 를 보였고 이는 음 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대인관계에 있 어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대인관계에 있어 음악치료 . , 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전 점수를 고려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사후 . 점수는 48.60 점이고 통제집단의 불안 사후 점수는 , 39.87 점으로 나타났다 .

대인관계 사전점수 사후점수 사후

M SD M SD 평균

실험집단 40.77 3.14 48.69 2.84 48.60 통제집단 41.77 3.61 39.77 4.55 39.87

표 집단별 대인관계 사전 사후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

< 4-9> ㆍ

Source DF SS MS F

집단 1 517.54 517.54 35.53***

공변인 량( ) 1 10.08 10.08 0.69

오차 23 335.00 14.57

전체 25 862.62

***p<.001

표 대인관계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 결과

< 4-10> (ANCOVA)

(18)

V 결 론.

본 연구는 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중인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2006 년 7 월 일부터 월 일까지 총 회기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내담자들

11 9 20 15

의 우울 불안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 . 신경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한 정신질환자 중 실험집단 13 , 명 통제집단 13 , 명 총 26 명을 대상으로 측정도구는 Beck 의 우울척도 (BDI : Beck’s Depression

의 상태 특성불안척도

Inventory), Spielberger - (STAI : State-Trait Anxiety

및 와 의 대인관계 변화척도

Inventory) Schlein Guerney (RCS : Relationship 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사용하였다

Change Scale) .

실험집단은 음악치료 첫 치료 세션을 시행하기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1 회기에 60 분씩 15 회기의 음악치료 회기가 끝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

통제집단은 우울 불안 대인관계 능력의 사전사후 검사만 실시하였다 , , .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설계는 두 집단 사전사후 측정 실험설계이고 실험처리 효과를 보기위해 통 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t-test 를 실시하였다 .

실험설계는 사전측정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와 사후측정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에 대해 각각 SPSS 10.0k 를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 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기법을 사용하여 우울 불안이 감소하고 대인관계 능력이 , 향상될 것이라는 가설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음악치료는 보호병동에 입원한 실험집단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긍 , 정적인 영향이 있다.

둘째 집단음악치료는 보호병동에 입원한 실험집단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긍 , 정적인 영향이 있다.

셋째 집단음악치료는 보호병동에 입원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기술을 향상시 , 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

넷째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한 입원 실험집단과 음악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입 , 원 통제 집단 간에는 우울 불안 대인관계 능력 모두 차이가 있다 , , .

입원통제집단에서도 병원치료 효과로 인해 우울 불안의 부정적 정서요인이 ,

조금 감소했고 대인관계능력이 호전되기는 하였지만 음악치료를 받은 입원 실험

(19)

집단의 결과만큼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를 받은 .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우울 불안의 요인이 감소되었고 대인관계 능력은 , 향상됨을 알리며 음악치료의 효과를 잘 설명하고 있다.

참 고 문 헌

고현진 (2003). 정신질환자의 음악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 , 단국대학교.

권혜경 (2002). 음악치료학개론 권혜경 음악치료센터 . .

김성희 (2000). 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지각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 .

김윤희 (1981). 정신과 입원환자의 입원기간에 따른 불안정도에 관한 연구 . 간호 학회지, 11(1), 45-63.

김희정 (2000). 정신과 환자가 인식한 음악치료의 목적영역 미간행 석사학위 .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

나해숙 (2003). Gestalt 집단음악치료가 내담자의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에 ,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 , .

민성길 (2001). 최신정신의학 제 개정판 4 . 서울 : 일조각 .

박영숙 (1995). 음악요법이 정신질환자의 우울과 정신병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 .

신지연 (2006). 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음악치료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 논문 원광대학교 , .

이규정 (2002). 정신질환자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관계형성에 대한 음악의 효과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 .

이정균 (1987). 정신의학. 서울 : 일조각 .

임은희 (1997). 불안 우울증세를 호소하는 클라이언트의 사회적응을 위한 음악 ,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 , .

임정연 (2003). 치료적 음악활동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 및 음성증상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

전희순 (2002). 치료적 음악활동이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존감 그룹 응집력 , 증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 , .

최애나 (2000). 음악치료가 정신질환자의 대인관계기술과 정신병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 , .

(20)

Bruscia, K. E. (1987). Improvisational models of music theraoy. Phoenixville, PA : Barcelona Publishers.

Michel, D. E. (1985). Music Therapy : An introduction, including music in special education(2nd ed.).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Thaut, M. H. (1989). T he influenc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on self-rated changes in relaxation, affect and thought in psychiatric prisoner-pat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26, 155-166.

Unkefer, R. (1990). Mus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 New York : Schirmer.

(21)

<Abstract>

The Effect of Mental Hospital Patient’s Depress, Anxiety and Relationships by Group Music Therapy

Choi, Ae Na Shin, You Seon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for patients in mental hospital who have problem with depression, anxiety and relationship.

Normally, patients I mental hospital shows depression and anxiety as they got into the hospital, and it makes continuing in regression of mental problem and it makes risks in relationship with people and cannot accept normal life so they return to the hospital. Therefore the purpose of therapy is to make people live like normal people and help them in mental side. In the way of therapy, we see music therapy uses lingual or non-lingual method to contact people into a normal life and let them experience it, so it can decrease anxiety and worries.

This experiment was patients in mental hospital, and it had purpose of what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gives to depression, anxiety and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Experiment group was managed with 13 member in experiment group and 13 member of control group.

They had experiment on music therapy from 11 July 2006 to 20 Sep 2006. It was 15 session which take once or twice per week(1 Hour session).

To know impact of music therapy, we have been measured by BDI(Beck’s Depression Inventory), STAI(State Teait Anxiety Inventory), RCS(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putted result in T-test.

The final experiment was for 10 members of experiment group and 9 members of control group.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ed that experiment group have been

show that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more than control group,

and for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was almost same.

(22)

This experiment shows the importance of music therapy which was for patients in mental hospital who suffered from depression, anxiety and relationship.

Key Words : group music therapy, patients in mental hospital, depression, anxiety and relationship

논문접수 : 2007. 11. 5 / 수정본 접수 : 2007. 12. 11 / 게재 승인 : 2007. 12. 14

수치

표 은 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한 환자들 중 음악치료를 실시한 입원&lt;3-1&gt; 실험집단의 13 명의 일반적인 특성들을 열거한 것이다 정신과 보호병동에 입원
표 의 결과를 보면 음악치료를 실시하기 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lt;4-1&gt;, 우울 사전 점수는 각각 49.31 , 47.69점 점으로 모두 심한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음악치료를 실시한 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우
표 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공변량인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미치는&lt;4-4&gt;,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이 사전 점수를 통제하여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의 집단별 사후 점수 차이를 검증하여 보았다 집단별 상태불안의 사후
표 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공변량인 사전 점수가 사후 점수에 미치는&lt;4-6&gt;,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이 사전 점수를 통제하여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의 집단별 사후 점수 차이를 검증하여 보았다 집단별 특성불안의 사후
+2

참조

관련 문서

Changes in functional physical fitness, after the experiment compared to before the experiment in the group of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DL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cale of hopelessness depression in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the group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had 14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 which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reduction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ge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to maintain their mental status, to enhance socially adaptative abilities and recover confidence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ion pattern of the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inferior alveolar n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