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육정책에서 공공성 논리 비판과 정부실패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보육정책에서 공공성 논리 비판과 정부실패"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사회통합센터 Working Paper 12 - 05

보육정책에서 공공성 논리 비판과 정부실패

현진권

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 소장

전희경

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 정책팀장

2012년 12월

(2)

Ⅰ. 서론

보육정책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보육은 공공성이 높으므로, 정부주도로 모든 국민들에 게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보육정책방향은 별다른 차이가 없고, 무상보육을 확대한다는 것이 기본방향이다. 또한 정치권에서 여야당 할것없이 모두 무상보육 확대를 정치상품으로 내세웠다.

정책목표인 보육의 공공성 강화는 기본적으로 보육에 대한 정부투자를 확대하여 공공부문 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목표의 이면에는 민간부문의 서비스 질이 낮으므로 공 공부문이 주축이 되어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것이며, 궁극적으로 양질의 보육서비스 를 공공부문이 모두 제공해야 함을 내포하고 있다. 물론 보육의 사회적 기능이 높고, 민간 시장이 충분한 역할을 할수 없을 경우에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시장에서 약 90% 정도를 민간시장이 담당하고 있고, 정부의 시장규제 정책의 개선을 통해 시장이 효율적으로 보육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을 경우에는, 정부의 투 자확대를 통한 공공성 강화는 오히려 정부재원의 낭비로 귀결될 수 있다. 특히 공급자에 대 한 정부보조정책은 시장의 효율성을 달성하지도 못하면서, 정부부문의 팽창이라는 부작용을 가지게 된다. 보육시장에 대한 현행규제는 가격규제와 영리법인의 시장진입 금지를 들수 있다. 이러한 시장규제는 그대로 둔채, 정부주도의 투자확대와 감독을 강화하는 정책방향은 정부재원의 낭비를 초래하기 쉽고, 보육의 정부실패라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

보육관련 정책입안자 및 전문가들이 정부개입을 확대하기 위해 사용하는 논리가 “공공 성”이다. 자발적인 시장형성이 가능한 영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억제하는 것은 공 공성에 대한 이해가 경제학에서 제시하는 방향과 다르기 때문으로 유추할 수 있다1). 일반 적으로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은 정부에서 많이 이루어지며, 정부역할의 중요한 한 부분이기 도 하다. 그러나 시장을 무시하고 정부에서 독점하게 되면, 여러 가지 경제적 왜곡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사회복지 분야에서 정부제공에 대한 논리적 근거로서 “공공성(publicness)"

을 많이 사용한다. 경제학에서는 공공성에 대해, 비경합성(non-rivalry)과 비배타성 (non-excludability)이라는 두가지 특성들을 통해 "공공재(public goods)"를 정의하고 정부 개입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2). 특히 Buchanan 교수로 대표되는 공공선택이론(public choice theory)에서는 공공재는 정부개입과 아무런 논리적 연관성이 없음을 주장하였다.

즉 공공재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정부가 과도하게 개입하 면 대부분 재화들이 공공재가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정부실패 (government failure)"라는 왜곡현상을 낳음을 규명하였다. 시장실패와 함께 정부실패라는 두가지 형태의 실패가 야기하는 왜곡을 직시하면서, 최적의 역할분담을 강조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보육관련 정책입안자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공공

1) 보육을 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으며, 김인경(2012), 김현숙(2008), 현진권(2005) 등을 들수 있다.

2) 공공재에 대한 대표적인 정의이며, 경제학 원론에서 교과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Mankiw(2004)를 참조하기 바란다.

(3)

성 강화를 통한 정부개입 확대정책의 문제점을 경제학 관점에서 설명하는데 있다. 공공성 논리를 통한 정부개입 확대에 대해서는 공공선택이론에서 논의된 기존문헌들을 통해서 정부 실패라는 사회비용을 강조한다. 아울러 민간시장에 대한 규제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설명하 고, 정부와 시장이 역할분담하는 보육정책방향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주요결론 은 시장실패와 함께 정부실패라는 사회비용도 확실히 존재하므로, 정부개입은 최적수준 관 점에서 접근하여야 하며, 민간시장에 대해 가격규제와 영리법인 진입금지라는 규제를 철폐 함으로써, 정부개입없이 자율적인 시장기능에 의해 사회후생을 높일수 있다는 것이다. 시 장기능을 불신하고, 정부개입은 클수록 좋다는 보육관련 정책입안자와 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논리체계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Ⅱ절에서는 공공재, 사유재와 같은 재화성격과 정부개입 필요성에 대해 기존의 문헌고찰을 통해 보육정책에서 정부개입 수준에 대해 살펴본다. 제Ⅲ 절에서는 경제적 관점에서 정부개입 확대를 주장하는 논거를 제시하고, 아울러 보육규제정 책의 경제적 효과를 살펴본다. 제Ⅳ절에서는 보육정책 방향에 대해 토론하고, 제Ⅴ절에서 결론짓는다.

Ⅱ. 정부는 어느 정도 개입해야 하나?: 문헌고찰

1. 보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실태

보육정책을 논하기에 앞서, 보육에 대한 인식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정책은 인식에 의 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보육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공공성’이다. 공공성은 경제학적 용어 가 아니므로, 정의하기 어렵지만, 공공성이란 인식은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보육의 공공성 을 강조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시장을 규제하고, 정부개입을 확대하자는 것이다. 따라서 보 육 공공성이란 인식을 가지게 되면, 정부개입 강화는 자연스러운 연결고리가 된다. 정부개 입은 결국 무상보육 확대와 시장규제라는 두개의 정책수단으로 구체화된다. 그러나 정부개 입을 확대하면, 결국 정부실패라는 결과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논의되 는 실상을 보면, 보육의 공공성이란 인식에만 빠져있고, 궁극적으로 정부실패라는 사회적 비용에 대해서는 무감각하다. 이를 간단히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보육 공공성이 한국에서 보편적인 인식이므로, 구체적인 예를 들면, 2012년 11월에 민주

(4)

노총 여성위원회와 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보육협의회 등 11개 노동 시민사회단체에서,

“보육 공공성 강화를 위한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과 보육노동환경개선을 위한 공동대책위”를 출범하였다. 한국에서 비교적 잘 알려진 시민단체인 여성단체연합, 여성민우회, 참여연대, 경실련에서는 모두 무상보육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언론매체에서 무상보육을 주장하 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여야당 할것없이 모두 무상보육을 주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공성은 경제학에서 정의되지 않는 개념이지만, 공공재는 경제학에서 정교하게 개발되었 다. 공공재는 철학적인 논의대상이 아닌, 비경합성과 비배타성이란 특성에 의해 구분되어 진다. 공공재 정의로 볼 때, 보육은 절대 공공재가 아니며, 사적재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보육의 공공성을 강조함에 따라 보육이 마치 공공재인 양 오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러나 공공재라고 해도 정부에서 모두 제공해야 한다는 논리는 성립되지 않는다. 본고에서는 공공경제학에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문헌을 통해서, 보육이 사적재화이지만, 만약 공공재 라고 해도, 절대 정부가 모두 제공해야 함을 의미하지 않음을 검토한다. 아울러 보육이 사 적재화이지만, 정부가 개입하지 말아야 함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많은 사적재화의 공급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예는 무수히 많다. 따라서 공공재와 사적재화로 구분하는 것과 정부개입 여부와는 별개의 문제임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공공경제학에서 “공공재의 사적 제공(private provision of public goods)”과 “사유재의 공적재화(public provision of private goods)”라는 연구영역에서 잘 개발되어 있다.

2. 공공성과 정부실패3)

경제학에서 공공성에 본격적인 연구는 Samuelson(1954)의 “공공재” 정의를 통해 이루어 졌다. 공공재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기준 은 비경합성과 비배타성 특성을 만족하는 재화를 의미한다4).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보육 은 공공재가 아닌 사유재이다5).

공공성 논리를 포함한 공공재 이론을 재검토해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이러한 논리를 통 해 정부팽창이 너무도 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공공재 논리를 통해 시장실패를 설명하 면서, 정부의 시장개입을 자연스럽게 정당화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정부개입이 시장보다 더 잘 기능할 수 있다는 확신만 있으면, 정부개입의 논리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6). 그러나 시장실패의 논리에 못지않게, 정부실패에 대한 폐해에 대해서는 주로 공공선택이론을 바탕 으로 많은 연구가 있다7). 정부팽창은 공공부문의 본질적인 속성이라는 관점에서 Wagner의

3) 이 절의 내용은 공공성 논리를 공영방송에 응용해서 비판한 김진영과 현진권(2008)과 같은 내용이다.

4) 경제학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과서인 Minkiw(2004)에 의한 공공재 구분방법이다.

5) 공공재 정의가 경제적 의미인 만큼, 보육을 공공재로 만들 수 있는 경제적 환경은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예 를들면, 정부의 총예산을 모두 국공립 보육시설을 만드는데 사용할 경우에는 비경합성과 비배타성 특성이 없 어지므로, 공공재가 될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극단적인 경우이며, 일반적인 경제적 환경에서는 사유재로 정의하 는 것이 보편적이다.

6) “the most important shortcoming in taking public expenditure theory as a theory of public expenditure.. is that a failure of the market to meet some theoretical test of resource allocation does not imply that a government could do any better.” (Holcombe, 2000; p. 275)

7) 대표적으로 Balcerowicz(2004), Bjornskov, Dreher, and Fischer(2007), Holcombe(2005), Kau and Rubin(2002), Tanzi(2005) 등을 들수 있다.

(5)

정부팽창이론, 리바이던 가설(Leviathan hypothesis)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들 이론이 이론적 배경없이 실증적인 현상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반면, 공공선택이론에서는 정치적 시 장에서 정부크기가 결정됨을 좀더 논리적으로 보여준다. 즉 정부팽창이 결국 정치시장 (political market)에 의해 결정되므로, 정치적 수요과 공급행위를 규명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정치적 수요는 기본적으로 중위자투표이론(median voter theorem)에 의 해, 중위자가 큰 정부에 대한 수요가 높기 때문에 정부팽창의 한 요인이 된다. 또한 정치 공급자인 관료 및 정치인들은 일반 민간시장에서의 경제주체와 꼭 같이 사적이윤을 추구하 므로, 정부팽창이 이들의 사적이해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적 수요와 공급이 서로 정부팽창으로 작용하므로, 정부팽창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본질적으로 효율적 운영에 대한 유인책이 없으므로, 비효율적인 낭비요소가 존재할 수 밖에 없으나, 이러한 비용은 정부팽창으로 인한 추가적인 사회비용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낮다.

즉 정부팽창으로 인해 민간에 대한 규제강화, 민간부문의 지대추구행위(rent seeking behavior)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국가경제에 훨씬 해를 끼치게 되는 것이다8). Balcerowicz(2004)는 정부팽창은 정부실패로 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가장 큰 문제점 은 경제적 자유에 대한 제약이며, 이로 인해 시장경제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야기되는 사회비용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수준보다 훨씬 크다고 주장한다.

온정적인 차원에서 일반인들의 정치적 지지를 받는 정부지출로 가난한 계층을 위한 복지 지출의 확대를 들수 있다. 이는 따뜻한 정부의 기능을 확대하는 것이나, 필연적으로 정부팽 창을 야기하며, 이는 곧 민간경제를 위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국가경제성장 을 저해하여, 가난한 계층을 위한 정책이 거꾸로 가난한 계층을 더 가난하게 되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Lee and McKenzie(1988)는 감성을 자극해서 합리화하는 가난한 계층을 위 한 정부지출확대도 결국은 정부팽창의 논리에 지나지 않으며, 진정으로 가난한 계층을 위한 정책은 정부팽창을 헌법으로 막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9). 또한 사회가 발전하 기 위해서는 정부가 필요하지만, 정부의 팽창본질을 어떠한 형태로던 제약하지 않으면, 거 꾸로 정부가 국민들의 자유를 남용하고, 경제적 풍요함을 저해한다고 설명하였다10).

공공재 논리는 정부팽창을 위한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지만, 정부팽창의 논리로 호 소력을 가지는 이유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복지지출을 억제해야 한다는 자유주의자들의 시각에 대해 경제적 약자에 대한 배려나 사랑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 향이 있다. 이 또한 아무런 객관적 검증없이 주장하는 것이며, 정책의 장기적인 효과를 볼 때, 경제적 약자를 위해서는 정부팽창을 통한 방법보다는 민간시장 활성화를 통하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경제적 약자에 대한 배려 혹은 사랑이 결여되었다고 할 수 는 없는 것이다11).

8) Cho and Kim(2001)은 한국자료를 사용하여 퇴직공무원들이 본인들이 규제하던 민간영역에 재취업하는 실태 를 분석하고서, 공무원과 기업들의 사적이윤 측면에서 이해관계가 일치하기 때문에 부패를 야기하는 제도적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9) “classical liberals have more reason to express their concern for the poor because it is their proposals for constitutional limits on government, rather than the government-transfer proposals of their opponents, that will do the most to reduce the problem of poverty." (p. 407)

10) “while government was necessary for a free and prosperous society, it would abuse our freedom and reduce our prosperity unless tightly constrained." (p. 405)

11) 이에 대해 Lee and McKenzie(1988; p. 407)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While there is no reason

(6)

결론적으로 공공재 이론은 시장실패를 논리적으로 뒷받침해 주지만, 단순히 정부개입을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 시장실패로 인해 경제의 비효율성이 발생하듯이, 정부개입은 또 다른 형태의 경제적 비효율성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좋은 정책이란 시장실패와 정부실패로 인한 비효율성 수준을 서로 비교한 후,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12).

3. 사유재와 정부제공

보육은 사유재이지만, 정부개입이 필요한 부분이다. 여기에서는 사유재인데 왜 정부가 개 입해야 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개입함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살펴본다. 아울러 보육시장 에서 정부개입이 꼭 필요로 하는 논리를 보여준다.

공공재 이론과 정부제공 간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음을 규명하는 또 다른 방법은 정부 에서 제공하는 많은 재화가 사유재라는 사실이다. <표 2>는 2013년도 정부의 예산안을 분 야별로 나누어 보여준다. 이들 대분류한 각각의 지출에 대해 공공재인지 사유재인지를 명 확하게 구분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인 기준으로 구분해 볼때, 사회복지, 교육, 농 어촌 지원, 산업 중소기업 지원, 문화 관광 분야는 공공재 특성이 없는 사유재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이들 분야에서도 공공재 지출에 할당되는 세부지출이 있겠지만, 공유재로 구분 된 분야에서도 사유재 성격을 가지는 세부지출이 많을 것이므로, 대략적인 구분에 의해 살 펴본다. 정부가 2013년도에 지출하는 전체 예산액 중에서 사유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59%이다. 전체 예산에서 공무원들의 인건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일반공공행정을 제외 하고, 사유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71%를 차지한다. 또한 분야별 지출액을 보면, 가장 지출액 이 많은 사회복지와 교육이 모두 사유재임을 볼때, 정부역할이 가장 큰 영역이 공공재가 아 님을 알수 있다. 따라서 공공재 이론이 정부제공과 깊은 연관관계를 가지는 논리를 암묵적 으로 전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정부는 공공재 보다는 사유재 지출에 더 많은 비중을 보여 준다. 결론적으로 재화의 성격을 공공재와 사유재로 구분하는 것과 정부제공 간에는 아무 런 논리적 연관관계가 없음을 보여준다.

to believe that classical liberals are, as a group, more compassionate than are those who favor expanding government transfers, there is certainly no reason to believe that classical liberals are less compassionate."

12) Gwartney and Wagner(1988)은 경제학의 진정한 가치는 서로 다른 체제들 간의 효율성을 비교할 수 있음 을 강조하고, 시장실패와 정부실패도 이러한 시각에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In the language of economics, the world is beset not only by market failure but also by government failure. Therefore, we must understand how both market and political processes work before we canjudge which is likely to be more consistent with economic efficiency and the general welfare. Merely because the market fails to meet somone's hypothetical idealized conditions for economic efficiency, it does not follow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will improve the situation." (p. 23)

(7)

분야 지출액(조원) 전체 예산액 대비(%) 재화의 성격 보건 ᐧ 복지 ᐧ 노동

교 육 국 방 SOC 농림 ᐧ 수산 ᐧ 식품

R&D

산업 ᐧ 중소기업 ᐧ 에너지 공공질서 ᐧ 안전

환 경 문화 ᐧ 체육 ᐧ 관광

외교 ᐧ 통일

97.1 49.1 34.6 23.9 18.3 16.9 15.7 15.0 6.3 4.8 4.1

34.0 17.2 12.1 8.4 6.4 5.9 5.5 5.2 2.2 1.7 1.4

사유재 사유재 공공재 공공재 사유재 사유재 사유재 공공재 공공재 사유재 공공재

합계 285.8 100

<표 1> 2013년도 정부 예산안 (일반공공행정비 제외)

주: 일반공공행정은 57.3조원이며, 이를 포함한 전체 예산규모는 342.5조원임

그러면 정부는 왜 사유재 제공에 많은 정부재원을 사용하는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 다. 사유재의 정부제공(public provision of private goods)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크게 두 가지로 볼수 있다. 첫째는 재화의 외부성 때문이다. 교육과 같은 재화는 양의 외부성 (positive externality)를 발생하므로, 시장에 의한 교육의 공급수준은 사회적 최적수준보다 낮으므로, 정부제공을 통해 사회적 최적수준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둘째는 재분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이다. 재분배 기능이란 정부지출을 통해 실제로 미래소득이 재분배될 수도 있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재분배에 대한 사회적인 욕구가 높기 때문이다13).

사유재의 정부제공에 대한 이론으로 가치재(merit goods)을 들수 있다. 가치재는 Musgrave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된 개념으로 Eecke(1998)의 정의에 따르면, “시장배분에 의해 이루어진 자원배분에 대해 정부가 만족하지 못할 때, 소비자의 기호에 관계없이 정부 가 개입할 정도도 중요한 재화”이다14). 가치재의 논리적 근거는 시장체제 속에서 국민들이 최소한 필요로 하는 재화에 대해 정부가 개입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치재는 경제 학의 전통적인 분석틀인 개인의 선택문제가 제기되지 않고, 온정적인 차원에서 규범적인 접 근을 하므로 경제문제라기 보다는 사회적 선택의 문제로 평가받고 있다15). 따라서 가치재 13) Gouveia(1997)은 의료분야의 공공 및 민간지출을 설명하면서, 공공분야의 지출은 정치적 선택문제라고 하였

다. “economists have not emphasized enough that the provision of health care by government is a political choice." (p. 222)

14) “A merit good is defined as a good which is so important that when the competent authorities are dissatisfied with the level of consumption in the free market, they can intervene, even against the wishes of consumers."

15) Gouveia(1997)은 가치재와 연관해서 의료지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there is a widespread perception that health care is a merit good, on for which society is unwilling to accept the level of inequality in consumption resulting from market allocations. It is not obvious exactly what this means in terms of the primitives of the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but one possibility might be the explicit consideration of some form of altruism on the part of voters." (p. 239)

(8)

논리는 전통경제학 틀에서 벗어나므로, 대부분의 재정학 교과서에서는 가치재에 대한 설명 은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극히 한정되어 있다16).

사유재의 정부공급에 대해서 경제적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 일반적으로 정부에서 저소득층에 대해 지원을 할때, 소득보조와 현물보조로 나눌 수 있다. 경제학에서 는 정부의 소득보조가 저소득층이 스스로 선택하게 함으로써, 이들 계층의 효용을 더 높일 수 있으므로 소득보조가 우월하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이는 정부가 소득에 대한 정보를 완 전히 파악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실제로 소득정보가 없을때는 소득보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때 사유재의 정부제공을 통해 소득수준을 자발적으로 표출하게 하는 메카니즘이 될수 있다17). 즉 정부에서 제공하는 재화의 질이 높지 않으면, 고소득층은 자연스럽게 시장 에서 사유재를 소비할 것이므로, 저소득층은 정부제공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경제적 효율성 과 함께, 소득재분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정부에서 제공하는 사유재와 시장에서의 사유재 간에 어떠한 관계를 가지느냐에 따라 소득표출의 메카니즘(self-selection mechanism) 여부가 결정된다. 만약 두 재화가 완전한 대체재일 경우에는 고소득층은 정부 에서 생산하는 재화의 질에 만족할 수 없으므로, 자연스럽게 시장에서의 사유재를 소비하겠 지만, 만약 보완재일 경우에는 다른 결론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제공의 사유재와 시장에서 사유재가 보완재로서 작용할 때는 파레토 개선(Pareto improvement)을 달성할 수 있다. Besley and Coate(1991)는 사유재의 공적제공과 함께 조세정책을 고려하면서, 정 부가 소득에 대한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조세정책을 통하는 것보다, 사유재의 공적제공 수 단이 훨씬 효율적이라고 설명하였다18).

사유재의 정부제공은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한 정책 시사성을 준다. 즉 정부에서 제공하는 사유재의 질을 낮추어서, 저소득층만 소비하게 함로써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평가 할 수 있다19). 한국의 경우, 보육정책의 기본방향으로 “공보육 체계구축을 통한 보편적 보 육서비스의 확대”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정부제공의 사유재의 질을 높여서 보편적인 서비 스로 확대하자는 방향으로, 시장에서의 사유재를 구축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고소득층의 보육소비를 민간시장의 사유재로 옮기게 하는 소득표출의 메카니즘이 전혀 작동하지 않게 하는 정책방향이다. 이러한 정책방향은 경제적 비효율성과 소득재분배 기능의 약화시킴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제공하는 무상보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국민들의 복지를 높이는 것으로 잘못알고 있다.

사유재의 정부제공에 대한 논리가 세수확보 차원인 경우도 있다. Bergstrom and Blomquist(1996)은 보육을 예로 들어, 근로소득세, 정부의 보육지원, 여성의 노동공급 간의

16) 가치재에 대한 연구로는 Eecke(2003, 1998), Mann(2006) 등을 들수 있다.

17) Thun and Thun(2001)은 정부제공에서 정보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publicly provided goods can be used as a device to select income groups.”(p. 625).

18) "universal public provision allows the government to use its revenues in a targeted fashion, since only the poor participate. This is likely to permit more significant redistribution to the poor than would be possible using only uniform lump-sum grants."(p. 984)

19) Blomquist and Christiansen(1995)는 이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It may also be socially desirable that only the low-skill person accepts the public provision. To obtain this outcome through self-selection it may be necessary to reduce the public provision to a level which implies underconsumption for the low-skill person." (p. 567)

(9)

관계를 이론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세수확보 효과를 보여주었다. 즉 정부에서 보육지출을 높 이면, 여성의 노동공급을 확대함으로써 세원규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소득세제의 노동 공급 억제효과를 완화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세수증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 는 소득세율이 높은 스웨덴과 상대적으로 낮은 미국을 대상으로 모의분석한 결과, 스웨덴의 경우에는 보육지원율이 50-100%, 미국의 경우에는 15-30% 수준을 보여주었다.

사유재의 정부제공이 이루어지는 많은 영역은 재분배 기능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정부예산이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 영역에 너무 많이 지출하게 되면, 국가경제의 자원배 분 왜곡이란 비용을 치루게 된다. 즉 정부에서 제공하는 재화가 사유재이므로, 이 재화에 대한 민간영역이 존재하므로, 정부제공으로 인해 민간투자를 직접적으로 구축하는 결과를 가진다. 또한 사유재를 많이 제공할수록 정부가 제공해야 할 공공재의 과소공급으로 인해 민간부문의 투자수익율을 떨어뜨려, 결국은 민간투자를 간접적으로 위축시키게 된다.

Lopez and Galinato(2007)는 이러한 관계를 1985-2001년 간 라틴아메리카 15개국의 농 업부문에 대한 공공지출 자료를 공공재와 사유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대부분 국가들은 정치적인 이유로 인해 사유재에 과다 지출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 공 공재는 과소공급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사유재에 대한 정부제공은 온정적인 차 원에서 정부의 선한 행위로 평가할 수 있지만, 그에 따른 국가경제 전체차원에서의 비용이 반드시 존재하는 것을 동시에 인식할 필요가 있다.

Ⅲ. 경제적 해석

1. 정부개입 확대를 주장하는 이유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정부개입을 강조하는 의견에는 대체로 정부개입의 비용을 고려하지 않거나, 비용에 대한 개념이 없는 경향이 있다. 비용에 대한 개념이 있다고 해도, 정부가 지 출하는 예산액만을 생각하고, 재원확보방안도 고소득층으로부터 확보하면 된다는 사고가 일 반적이다. 따라서 정부개입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정부개입 비용에는 정부의 직접지출비용 만을 고려하므로, 정부실패를 야기할 만큼 높은 사회비용을 수반한다는 논리를 이해하지 못 한다. 여기에서는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정부개입의 직접비용으로는 국회의 예산승인에 의해 결정되는 정부의 지출액을 들수 있다. 이 비용은 비교적 개념이 단순하므로, 대부분 사람들이 쉽게 정부개입의 비용으로 이 해하고 있다. 둘째 비용으로는 정부가 시장개입을 하게 됨으로서 야기되는 비용이다. 정부 가 팽창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민간경제에 규제를 강화하게 되고, 이는 민간경제의 자원배분 효율성을 저해하게 된다. 물론 시장경제가 작동하지 못하는 영역에 있어서는 정부개입의 순 기능이 있지만, 민간영역에서 자발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질수 있는 영역에 정부개입이 있을 경우에는 자원배분에 왜곡을 가져다 준다20). 셋째 비용은 민간영역은 해당 산업에 이로운 입법과 규제를 현실화하기 위해 정치인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각도의 로비활동을 하게 된

20) Balerowicz(2004)는 규제를 경제적 자유를 침해하는 대표적인 정책으로 보고, 규제강화가 가능한 이유는 헌 법에서 경제적 자유를 지키려는 의지가 약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10)

다. 이러한 비용은 기업이 정상적인 생산활동에 투입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부개입이 커짐에 따라 기업의 생산활동에 저해하는 사회적 비용이 된다. 넷째 비용은 정부의 예산은 주로 세금으로 충당되며, 세금은 민간경제에 심각한 자원배분의 왜곡현상을 야기하며, 이를 초과부담(excess burden)이라 한다21). 따라서 정부개입의 전체비용은 정부지출액 뿐아니 라, 규제비용, 지대추구 비용, 세금의 초과부담액을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22).

정부개입비용 = 정부지출액 + 규제비용 + 지대추구 비용 + 세금의 초과부담

일반적으로 경제학적 사고에 익숙하지 않은 전문가나 정책입안자들은 공공성을 강조하면 서, 정부개입의 비용으로 정부지출액 만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정부개입의 비용 은 위의 네가지 형태의 사회비용을 모두 고려해야지, 사회 최적인 정부개입 수준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정부팽창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정부팽창이 사회최적 수준이라고 주 장할 수 있다. 사회최적인 정부개입수준에 대해 두가지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는 근본적인 이유는 정부개입에 대한 사회적 비용에 대한 인식차이에 기인한다.

<그림 1>을 통해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자. 정부개입에 따른 사회적 한계편익 은 정부개입 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므로, MB로 표현할 수 있다. 반면 정부개입에 따른 네 가지 형태의 비용을 모두 포함한 사회적 한계비용은 정부개입수준이 높을수록 커지므로, MC0이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최적수준의 정부개입수준은 Q0이며, 이때 정부개입 한단위의 가격은 P0이다. 그러나 정부팽창을 주장하는 전문가나 정책입안자들은 정부개입의 사회비 용으로 정부지출액만을 고려하므로, 정부개입에 따른 한계비용은 MC1이 된다. 따라서 정 부개입 수준은 Q1으로 Q0보다 높은 수준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큰 정부와 작은 정부에 대 한 논쟁은 결국은 정부개입에 따른 사회비용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큰 정부를 주장하는 측은 정부개입에 따른 사회비용으로 경제학적 틀에서의 비 용개념에 익숙하지 않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

정부개입의 사회적 비용은 동태적 관점에서 항상 일정하지 않다. 특히 세계경제가 개방화 됨에 따라 정부의 제도도 표준화되는 추세이고, 세계추이에 벗어나면, 이에 따른 비용은 시 간이 갈수록 커진다. 세금의 예를 들면, 개방화 이후로 법인세율이 점차로 인하하고, 각국 간에 세금인하 경쟁이 치열하게 일어나고 있다23). 이는 세금인하라는 세계적인 조세정책 추 이에 벗어나서, 재원조달 확대라는 측면에서 세율을 높이게 되면, 초과부담의 비용은 더 커 지게 마련이다. 이러한 논지는 규제비용과 지대추구 비용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개 방화는 필연적으로 경쟁이 더 치열해 짐에 따라, 비효율적인 자원배분을 야기하는 정책으로 인한 사회비용은 점차로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개방화로 인한 정부개입의 전체비용 은 동적인 관점에서 보면, 점차로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를 앞의 그림을 통해 그

21) Feldstein(1997)의 추정치에 의하면 미국에서 세금 1불에 해당하는 초과부담액은 1.6불으로, 세금액수보다 세금으로 인해 야기되는 초과부담액이 더 높다.

22) 세금비용의 중요성에 대해 Feldstein(1997; p. 212)은 다음과 표현하고 있다. “There are many fascina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issues to be addressed in public finance. But none is more important than measuring the effects of tax rate changes and the costs of incremental tax revenue.”

23) OECD 국가들의 법인세 최고한계세율의 평균치 변화를 보면, 1996년 37.6%, 1998년 35.9%, 2000년 34%, 2002년 31.4%, 2004년 30%로 인하하는 추이를 확연하게 알수 있다.

(11)

효과를 설명해 보자. 개방화로 인해 정부개입의 한계비용이 커지므로 MC1에서 MC2로 변 화하게 된다. 따라서 사회적 최적수준은 Q0에서 Q3으로 정부개입수준이 점차로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24).

<그림 1> 정부개입 수준의 결정과정

MB MC0 MC2

MC1

P2

P0

P1

Q2 Q0 Q1 정부개입수준 비용

2

. 보육 규제정책의 경제적 효과

보육시장은 민간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이 비영리법인을 제외하더라도 약 70% 수준을 차 지할 정도로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육의 시장기능은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으며, 근본적인 원인은 시장규제에 있다. 현재 보육가격은 보육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 시장 가격이 존재하지 않고, 정부에서 제시한 규제가격으로 책정되어 있다. 아울러 영리법인은 공급자로서 시장진입이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두가지 형태의 시장규제가 전체 국민 의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그림 2>를 통해 살펴본다.

정부규제가 없을 경우, 보육시장의 균형은 보육의 수요곡선 D와 공급곡선 S에 의해 시장 가격 P*와 거래량 Q*로 균형점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정부는 보육시장에 대해 가격 PR으로 규제하게 됨으로써, 기존이 수요곡선 D 하에서는 수요량은 Q1R인 반면, 공급량은 Q0R 이 되 어 수요와 공급양 간에는 차이를 발생하여 (Q1R - Q0R)만큼 초과수요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 인 현상이다. 그러나 공급자는 규제가격으로는 규제없을때의 보육서비스의 질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보육서비스 질은 자연히 낮아지게 되고, 이는 곧 보육수요가 하락하는 현상를 낳 게 된다. 이는 곧 수요곡선이 D에서 D'로 이동함을 의미하며, 규제가격 PR 하에서 시장량은

24) 1980년 이후로 개방화가 진전됨에 따라 선진국에서 “작은 정부로의 개혁” 추이는 여기서 설명하는정부개입 에 따른 사회비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12)

Q0R이 된다. 이때 가격규제 정책으로 인해 희생되는 사회후생 수준을 살펴본다. 가격규제 가 없을 경우에 소비자와 공급자가 얻게 되는 사회후생은 (A+D)인 반면, 가격규제로 인해 수요가 낮아짐에 따라 사회후생수준은 D가 된다. 따라서 가격규제정책으로 인한 사회후생 의 손실수준은 A로 나타난다. 이는 가격규제가 없으면, 추가적으로 (Q*-Q0R) 만큼 거래가 더 일어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제로 인해 현실화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영리법인에 대한 시장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정책의 의미를 살펴본다. 영리법인 은 보육시장에 자본투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보육의 공급비용을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영리법인의 시장진입이 가능하게 되면, 보육공급곡선이 S에서 S'로 우측으로 이동하 게 한다. 따라서 새로운 공급곡선 S'와 기존의 수요곡선 D와의 교차점인 P**의 시장가격이 형성되고, 거래량은 Q**이 된다. 결과적으로 규제가격보다 높지만, P** 시장가격 하에서 추 가적으로 (Q** - Q0R) 만큼 보육서비스가 더 거래된다. 따라서 영리법인의 시장진입이 사회 후생 측면에서 의미하는 바를 살펴보면, S'와 D에 의해 새로운 보육시장이 형성됨으로써 얻 게 되는 총사회후생 수준은 (A+B+C+D)이다. 따라서 가격규제가 없을때의 사회후생수준인 (A+D)와 비교할 때, (B+C) 만큼의 사회후생 증가를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격규제와 영리법인 시장진입 금지라는 규제가 있는 현 상태에서는 Q0R 만큼의 보육서비스가 거래되 고 있으나, 규제철폐를 통해 Q** 만큼 보육서비스 거래량이 증가하므로, (Q** - Q0R) 만큼의 추가적인 보육서비스량을 얻을 수 있다.

(13)

Ⅳ. 보육정책의 방향

1. 정부개입의 필요성

보육은 공공재가 아니고, 사적재화이다. 그러나 보육은 일반 사적재화와 달리, 정부가 반 드시 시장에 개입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두가지 형태의 시장실패를 들수 있다25).

첫째, 보육은 경제적 외부효과(externality)를 가진다. 영유아 시기에 사회적으로 바람직 한 수준의 보육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면, 성장 후에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시장에만 맡겨 둘 경우, 소득이 충분하지 않은 저소득 계층의 영유아들은 보 육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되어, 미래에 사회적으로 더 높은 비용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26).

25) 보육의 시장실패에 대한 논의는 현진권(2005), Reishus(1989)에서 종합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26) Heckman and Klenow(1997)는 청소년기 교육에 대한 투자 효과는 미비한 반면, 영유아기의 투자는 그 효 과가 매우 큼을 여러 가지 연구결과를 통해 보여주었다. 영유아기에 정부에서 1단위 투자할 경우, 긍정적인 효과가 8.7단위가 나타남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14)

둘째, 저소득 계층에 대한 자본시장의 불완전성(capital market imperfection)을 들수 있 다. 저소득 계층의 경우에는 보육서비스가 필요하지만, 소득이 없으므로 서비스를 수요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저소득 계층에 대해서는 자본시장이 불완전하여, 미래의 소득을 담보로 대출받을 수 없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저소득층에 대한 보육서비스는 근본적으로 정부가 시장에 개입해서 해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정부가 보육시장에 개입해야 하는 당위성이 있으므로, 보육재정의 확충은 바람직한 정책 방향이다. 그러나 확대된 보육재정의 대상계층을 어떻게 잡는냐가 중요하다. 정부가 보육시 장에 개입해야 하는 시장실패의 논리 속에는 대상계층을 정확하게 명시하고 있다. 즉 저소 득 계층에 대해서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라는 것이다.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시장 에 개입하라는 것은 절대 아니다.

2. 정부와 시장의 역할정립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보육정책의 기본방향은 시장과 정부의 역할분담으로 요약할 수 있 다. 우선 정부에서 제공하는 공공보육과 시장기능에 의해 배분되는 민간보육 간의 관계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공공보육과 민간보육 간의 관계를 보완재인가 혹은 대체재인가에 따라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들은 보완재라기 보다는 대체재로 보는 것 이 일반적이며, Thun and Thun(2001) Besley and Coaste(1991) 등에서도 대체재로서 정 부와 시장과의 기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그림 3>은 정부와 시장기능에 대한 정부의 보육정책방향을 간단하게 보여준다. 소득에 따른 보육수요는 일정소득 Ia 이상일 경우에 소득이 높을수록 보육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요자들의 소득에 따른 수요곡선이 주어졌을때, 현재의 보육정책 방향 은 정부에서 사회적으로 필요로 하는 보육서비스 수준인 Ca을 수요자들의 소득수준과는 관 계없이 일률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소득수준이 Ib 이상인 수요자들은 정부에서 제공하는 보육서비스 수준인 Ca보다 높은 수요가 있으나, 규제정책을 통해 공급을 불가능하게 만든 다. 따라서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보육서비스 수준에 만족하지 못하는 수요 자는 개인 보육인을 고용하거나, 직접 보육하게 된다. 이처럼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 장에서 거래되지 못하는 보육서비스량은 <그림 2>에서 (Q** - Q0R)으로 나타난다.

보육정책의 기본방향은 수요자의 수요가 시장에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으로 꼭 필요로 하는 보육서비스를 낮은 소득으로 인해 제대로 소비하지 못할 경우에는 정부가 개입 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그림 4>와 같다. 개인소득으로는 보육에 대한 수요가 없는 소득수준이 Ia 보다 낮은 계층에 대해서는 정부가 무상으로 Ca 수준의 보 육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다. 그러나 소득이 Ia 보다 높은 계층으로 자발적인 보육수요가 있는 계층에게는 소득수준에 반비례해서 정부가 수요자 보조를 할 필요가 있다. 즉 Ia 와 Ib

사이에 있는 소득계층에 대해서는 소득수준과 연계해서 수요자 보조정책을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에서 제공하는 보육서비스 수준은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서비스를 정부재 원으로 비용할때의 수준인 Ca보다 지원대상을 줄일 경우에는 높은 서비스 수준인 Cb를 제

(15)

공할수 있다. 또한 높은 자발적인 수요가 있는 소득이 Ib보다 높은 계층에 대해서는 정부가 개입할 필요가 없이, 시장기능에 모두 맡기는 것이다.

(16)

<그림 3> 현재의 보육정책방향

소득

민간의 보육수요곡선

정부의 보육정책

0 Ca

Ia Ib

<그림 4> 시장친화적인 보육정책방향

I

a

I

b

C

b a

소득 보육서비스량

민간의 수요곡선 q보육서비스량

(17)

3. 시장규제의 철폐27)

보육정책의 방향은 정부와 시장이 경쟁관계가 아닌 보완관계를 가지고 역할분담이 이루어 져야 한다. 자발적인 시장거래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정책방향은 두가지 형태의 시장규제를 철폐하는 것이다.

첫째, 가격규제가 철폐되어야 한다. 영유아 양육시장에 대한 가격규제가 서비스 질을 낮 추는데 결정적인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규제되고 있는 민간시장에서 창출하는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민간의 투입요소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여 생산 물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고, 둘째는 가격규제를 철폐하고 경쟁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전자 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정부에서 선호하는 방식인 반면, 비효과적이고 비효율적이다. 반면, 후자의 방법은 시장경제 원리에 해법을 찾는 것으로 행정비용이 오히려 낮아지고, 질적 제 고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둘째, 영리법인의 시장진입이 허용되어야 한다. 지역별 영유아 양육서비스 수요자들의 다 양한 수요형태는 정부에서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우리나라의 영유아 서비스 질 수준이 낮 다는 비판이 높은 현실에서, 정부주도의 질 제고에는 한계가 있다. 이는 양육서비스 질 강 화를 빌미로 정부기능만이 높아져서, 관료적인 기구팽창과 투입요소에 대한 규제강화라는 부작용만 낳게 될 뿐, 실제로 질적 개선효과는 투입재원규모에 비해 매우 낮은 것이 공공부 문의 속성이다. 우리나라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영유아 양육서비스의 질에 대한 수 요는 매우 다양하며, 이는 시장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메카니즘을 디자인해야 한다. 양육서 비스는 초기에 높은 고정비용이 소요되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며, 규모의 경제가 높은 특성을 가지므로, 영리법인의 진입을 통해 시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Ⅴ. 결론

보육정책의 방향은 보육에 대한 인식에 의해 결정된다. 현재의 정책방향을 요약하면, 보 육은 공공성이 높으므로, 정부가 주도가 되어 모든 국민들에게 똑같은 보육서비스를 공급하 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방향의 이론적 기반인 “공공성”이란 개념적으로 불완전하고 자의적 이다. 보육정책에서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두가지 형태의 왜곡을 발생시킨다. 첫째, 시장을 규제함으로써 시장기능이 작동하지 못하게 한다. 둘째, 정부개입을 확대하면서, 자원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보육정책 방향을 바르게 잡기 위해서는 보육의 공공성이란 인식을 바꿔야 한다. 공공선택이론에서는 공공재라고 반드시 정부에세 제공해야 함을 의미하지 않고, 오히 려 정부에서 과다하게 제공하면, 사적재화라도 공공재가 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공공성 혹은 공공재 논리는 정부개입을 타당하게 하는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되지 못한다. 보육은 공공재가 아닌, 사유재이지만, 정부개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개입수준에 대해 시장역할과의 균형된 시각이 필요하다. 시장실패와 함께 정부실패라는 경제적 왜곡현상을 동시에 고려하 면서, 정부와 시장의 최적 역할분담을 해야 한다.

27) 여기서 주장한 내용은 현진권(2005)과 같다.

(18)

보육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은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을 통해서이다. 보육서비스의 외부 불경제 효과가 높은 만큼, 시장에서 충족시키지 못하는 일정소득 이하 계층에 대한 보육서 비스는 정부에서 무상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일정소득 수준이상의 계층에게는 다양한 수요가 시장기능에 의해 해결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민간부문의 보육서비스 질이 낮은 근 본원인은 시장규제에 있다. 즉 영리법인의 시장진입을 금지하고, 가격을 규제하고 있기 때 문이다. 따라서 보육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시장의 정부규제를 철폐해야 한다.

보육시장에 대한 규제 철폐없이 모든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보육재정의 확대는 재정낭비를 초래할 뿐이다.

참고문헌

김진영, 현진권, “공공성 논리와 정부팽창행위: 공영방송의 경우,” 『재정학연구』제1권 제4 호 (통권 제59호), 2008, p. 201-226.

김인경, 「보육정책의 목표와 설계」, 한국개발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2012-05, 2012.

김현숙, “보육료 지원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차등보육료 확대방안,” 『재정학 연구』, 제1 권 제2호, 한국재정학회, 2008, p. 61-103.

현진권, “보육재정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정책제언: 정부와 시장의 역할분담”, 『재정논집』

제19집 제2호,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5, p. 179-204.

Balcerowicz, Leszek, "Toward A Limited State,"

Cato Journal

, Vol. 24, No. 3, Fall, 2004, p. 185-204.

Bergstrom, Ted, Soren Blomquist, "The Political Economy of Subsidized Day Care,"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Vol. 12, 1996, pp. 443-457.

Besley, Timothy, Stephen Coate, "Public Provision of Private Goods and The Redistribution of Incom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 Vol. 81, 1991. pp.

979-984.

Bjornskov, Christian, Axel Dreher, and Justina Fischer, "The bigger the better?

Evidence of the effect of government size on life satisfaction around the world,"

Public Choice

, Vol. 130, 2007, p. 267-292.

Blomquist, Soren, Vidar Christiansen, "Public Provision of Private Goods as a Redistributive Device in an Optimum Income Tax Model,"

Scandinavian Journal of

(19)

Economics

, Vol. 97, No. 4, 1995, pp. 547-567.

Cho, Joonmo, and Iljoong Kim, "Jobs in the Bureaucratic Afterlife: A Corruption-Facilitating Mechanism Associated with Law Enforcement,"

Southern Economic Journal

, Vol. 68, No. 2, 2001, p. 330-348.

Eecke, W. Ver, "Adam Smith and Musgrave concept of merit good,"

Journal of Socio-Economics

31, 2003, p. 701-720.

Eecke, W. Ver, "The concept of a merit goods the ethical dimenstion in economic theory and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or the transformation of economics into socio-economics",

Journal of Socio-Economics

, Vol. 27, Issue 1, 1998, p.

133-154.

Feldstein, Martin, "How Big Should Government Be?,"

National Tax Journal

, Vol. 50, No. 2, 1997, p. 197-213.

Gouveia, Miguel, "Majority Rule and the Public Provision of a Private Good,"

Public Choice

, Vol. 93, 1997, pp. 221-244.

Gwartney, James, and Richard Wagner, "The Public Choice Revolution,"

The Intercollegiate Review

, Spring, 1988, p. 17-26.

Heckman, James and Peter Klenow, "Human Capital Policy", mimeo, 1997.

Holcombe, Randall, "Public Goods Theory and Public Policy,"

The Journal of Value Inquiry

, Vol. 34, 2000, p. 273-286.

Holcombe, Randall, "Government Growth in the Twenty-first Century,"

Public Choice

, Vol. 124, 2005, p. 95-114.

Kau, James, and Paul Rubin, "The Growth of Government: Source and Limits,"

Public Choice,

Vol. 113, 2002, p. 389-402.

Lee, Dwight, and Richard McKenzie, "Helping the Poor Through Governmental Poverty Programs: The Triumph of Rhetoric over Reality," in. Public Choice and Constitutional Economics, edited by James Gwartney and Richard Wagner, JAI Press Inc. 1988.

Lopez, Ramon, and Gregmar Galinato, "Should government stop subsidies to private goods? Evidence from rural Latin America,"

Journal of Public Economics

, Vol. 91,

(20)

2007. p. 1071-1094.

Mankiw, Gregory, Principles of Economics, South-Western, 2004.

Mann, Stefan, "Merit Goods in a Utilitarian Framework,"

Review of Political Economy

, Vol. 18, No. 4, p. 509-520.

Niskanen, W., Bureaucracy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Chicago, Aldine Atherton, 1971.

Reishus, David, "Financing child care: who will pay for the kids?",

National Tax Journal

, September, 1989, pp. 249-259.

Samuelson, P., "The Pure Theory of Public Expenditur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 36, 1954, p. 387-389.

Tanzi, Vito, "The Economic Role of the State in the 21st Century,"

Cato Journal

, Vol. 25, No. 3, Fall, 2005, p. 617-638.

Thun, Claudio, Marcel Thun, "Repeated Interaction and the Public Provision of Private Goods,"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 Vol. 103, No. 4, 2001, pp.

625-643.

참조

관련 문서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nnounced on 27 August that it will introduce a bill granting financial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to foreign invest- ment

External trading partners know the reality that ASEAN is not a common market, making it easier for countries such as the US to pull out of the

The mission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s to promote policies that will improve the economic and social well-being of people

… The (general government) sector does not include public corporations, even when all the equity of such corporations is owned by government units... + 범위에

Facing these kinds of economic circumstance, to implement prediction for the Korean economy of this year itself is not easy job because the economic

An optical element does more than merely allow light(visible, ultraviolet or infrared)to pass through it, rather the passage of light must be altered in some way,

The European Commission has launched an initiative to ensure that EU competition law does not stand in the way of collective agreements that aim to improve the working

 Thermodynamics does not tell us how fast a reaction occur or how the rate depends on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