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원도 전략산업의 누출구조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강원도 전략산업의 누출구조분석"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 강원대학교 경영대학 경제무역학부 부교수, 강원도 춘천시 효자 2동 192-1 전화:033-250-6131, fax:033-257-2271. e-mail:hmji@kangwon.ac.kr 응용경제 제6권 제2호

2004년 9월, 한국응용경제학회

강원도 전략산업의 누출구조분석

지 해 명*

논문 초록

강원도의 전략산업인 생물산업(정밀화학군), 의료정밀기기(정밀기기산업군), 문화산업 등 전략산업에서는 상당 부분의 투입요소를 서울, 경기 등 수도권 지 역에서 공급받고 있으므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지역전략산업의 성장내지는 수 요증대가 강원도의 성장, 즉 역내소득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작을 것으 로 전망된다. 기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기업저변의 확대, 역내자원의 이 용률 제고라는 난제를 해결해야 한다. 강원도의 경우 시장이 부족하여 타 지역 기업의 이전이나 창업이 어려우므로 기존 관련기업이나 기업의 창업을 위하여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방향을 제시하면 개발의 위 험을 낮추기 위하여 첨단제품보다는 표준화된 공정을 갖춘 상품부터 특화를 유 도하는 것, 역외수요보다는 역내수요를 파악하여 지역내 제품대체를 추구하는 것, 안정적인 수요보장은 상대적으로 생산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주게되므로 중 소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와 같은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JEL 분류번호:R0, R3

핵심주제어:누출구조, 승수효과, 다지역 산업연관모형, 전략산업

(2)

Ⅰ. 서 론

1990년대 후반부터 추진되어 온 지역산업발전계획은 신산업 위주의 개발정책 으로서 지역의 경제적 여건보다는 정책적 의도가 주로 반영되는 현상을 보였 다.1) 산업발전 정책의 결실은 사업종료 후 6년 정도 지나서 평가하는 관행이 있지만2) 현 시점에서 보면, 지역에 따라서는 전략산업 선정의 오류, 육성전략의 부재 등으로 지역의 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이 관련 공공재를 공 급한다고 해도 이 산업이 지역경제의 성장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 라고 판단하기 어려우며, 혹은 상당한 비용을 치르고 이러한 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아닌지 이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990년대 말이래 강원도는 춘천 생물산업(정밀화학산업), 강릉 해양생물산업(정밀화학)/신소재, 원주 의료기기산 업(정밀기기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 중에 있으며, 문화산업도 핵심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데,3) 강원도의 전략산업에 대해서도 입지적합성 및 구체적 육성 전략에 관한 회의적인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급․수요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바 공급측면에서 는 투입구조에 근거한 연관산업의 존재여부와 내부투입비중이 검토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건이 생산비용을 결정한다.4) 수요측면에서 산업의 경쟁력 혹은 성장 가능성은 시장규모나 역내․외 수요에 의존하며5) 제품주기․시장성6) 등도 산업

1) 산업의 집적지 형성, 특화도, 입지적합성, 혁신역량, 정책요인 등이 그 조건으로 제시되었 으나 대부분 지자체의 정책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관해서는 산업연 구원․산업단지관리공단(2001)을 참조.

2) EDA(1997, 1998).

3) 1995년의 비용조건을 토대로 하면 생물산업이 속한 정밀화학군의 생산비용은 전국평균 의 120%, 의료기기산업은 전국평균, 문화산업은 106% 정도로 나타났다. 지해명(2001) 참조. 동 연구보고서에서는 Cella(1996)’s approach를 이용하였다. 강원도의 비용 및 수 요조건은 <부표 1>을 참조할 것.

4) McCann(1995), Cella(1996) 참조.

5) Rosenstein-Rodan(1943), Hirshman(1960), Nurkse(1953) 참조.

6) Vernon(1966) 참조. 신산업․상품의 경우 시장성이 입증되어야 하는 불확실성․위험이 수반되며, 표준화된 제품의 경우에도 그 지속성이 지역개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 이다.

(3)

의 사활을 결정하게 된다. 거래비용의 측면에서 보아 지역․도시의 산업발전경 로와의 적합성도 검토되어야 하는바, 특히 지역의 전략산업은 중장기적인 전망 에 근거하여 선정되어야 하므로 만약 일반적인 산업의 발전경로와 다르다면 육 성에 많은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이다.7) 이러한 조건에 근거하여 산업을 선정하 게 되면 역내 자원․상품의 이용도가 높고, 동 산업이 엥클라브 형태가 아닌 다 른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산업발전의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 는 불확실성을 낮추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에서 육성하는 산업이 지역의 경 제성장에 기여해야 할 것인바 계획의 입안단계에서 이러한 조건을 감안한 정량 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 략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누출률(1-내부화비율)이다. 즉 누출비 중은 연관산업․내부투입비중 등을 포괄하는 산업의 공급능력이 충족되고 그 산업에 대하여 일정한 수요가 유발된다고 할 때 산업이 지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서, 수요에 대비한 상대적인 역내․외 성장효 과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기능하게 된다. 수요가 일정하다면 역내에 연관산업이 많을수록, 내부투입비중이 높을수록 생산비용이 낮아지게 되며, 누출률이 낮아진 다.8) 누출률이 낮을수록 역내수요로 환류되는 부분이 커지므로 동 지표는 산업 의 지역경제에 대한 성장성을 대표하는 주요한 지표로서 이용이 가능하다.9)

본고에서는 강원도 전략산업의 지역경제에 대한 상대적인 기여도를 평가하고 관련 발전전략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략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었을 경우의 지역별 누출구조를 분석하기로 한다. 2000년 다지역 산업연관모형(MRIO)의 승

7) 거래비용 측면에서 볼 때 제조업은 광역시의 외곽에 입지하며, 생산자서비스는 주 로 광역시에서 성장하고, 기타서비스는 지역의 인구와 시장규모에 비례하여 성장 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Holmes & Stevens(2002).

8) 생산비용은 승수를 매개하지 않으며, 유발된 수요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누출률보 다 협의의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다. 누출률은 생산이 이루어진다는 결과적인 성과를 측 정하는 지료로서 기능한다고 볼 수 있다.

9) 누출률은 승수분석 혹은 일반적인 다지역 모형의 의태분석에서 지역의 수요증대가 어느 정도 타 지역의 생산을 증대시키는가 혹은 지역 내에서는 어느 정도 유발효과를 보이는 가 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지만 생산비용․승수․수요를 연계시킨다는 개념상의 차별성을 고려하여 동 개념을 적용한다. 이는 다지역 경제구조하에서 공간적인 연계 정도를 부각 시키며, 나아가 어느 지역으로 수요가 분산되는지 구분한다는 측면도 분석상의 우월한 부분이다.

(4)

수분석을 토대로 하여 우선 16개 지역별 해당산업의 누출성향을 분석하고, 강원 도 전략산업의 누출구조, 전국 및 강원도의 산업연관효과, 결과로서 나타나는 전략산업의 지역산업별 성장기여도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Ⅱ. 분석방법론

1. 다지역 산업연관모형(MRIO)의 체제

다지역 산업연관모형은 지역기술계수․지역교역계수를 추정하는 방식에 따라 서 지역간 산업연관모형(IRIO : Isard Model)과 다지역 산업연관모형(MRIO : Chenery and Moses Model)으로 분류된다. 지역간 산업연관모형은 조사방식 (survey)에 의거하여 지역기술계수 및 지역 간 교역계수를 구축하기 때문에 실 제 지역별 산업연관구조를 대표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0) 단일지역모형을 지 역의 교역비중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방법도 이용되지만 이 경우 지역간 파급효 과 및 환류효과를 밝히는데 어려움이 따르므로 다지역 모형을 이용하는 것이 구조분석에 적합하다.

현실에서는 이용 가능한 자료가 제한되어 있으며, 조사를 위한 비용의 과다 등으로 대체로 MRIO형의 모형을 구축하여 이용하는바 본고에서 이용되는 모 형 역시 MRIO 방식에 따라서 구축되었다. 지역별 기술계수(technical coefficient), 지역별 부가가치, 지역별 최종수요를 추정하여 데이터 셋을 구축 한 후에 지역 간 교역계수를 추정하며, 지역별 기술계수, 부가가치, 최종수요, 교역계수를 결합하는 순서로 모형이 구축된다.11) 다지역 산업연관모형(MRIO) 에서는 각 지역이 독자적인 경제단위로 기능하며, 지역간 교역계수가 지역경제 를 연계하게 된다. 지역별 투입계수에 의해서 지역별 경제적 파급효과의 격차가 발생하게 되며, 지역별 투입계수는 지역 간 교역계수와 결합됨으로써 지역 내․

외에서 공급하는 중간투입재와 최종재의 규모(지역수요의 주입 및 누출)를 결정 한다.

지역별․산업별 부가가치 항목에는 지역․산업별 부가가치율의 차이가 반영 10) Miller & Blair(1995), Polenske(1980).

11) 지해명 외(2003) 참조.

(5)

되어 있으므로 지역․산업별 최종수요변화에 따른 승수효과의 격차를 평가할 수 있다. 다지역 산업연관모형 내에서 각 지역의 경제변수들은 교역계수에 의하 여 연계되어 있으므로 한 지역의 수요변화는 수요가 발생한 지역과 경제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타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고에서 이용되는 모형은 16개 행정구역별 특별시․광역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품 및 서비스의 생 산과 지역별 이․출입 구조 역시 16개 행정구역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산 업연관표의 기준이 되는 전국표의 최근 작성시점이 2000년이었으므로 동 분석 에서 이용되는 MRIO모형 역시 2000년 전국 산업연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구축 되었다.

2. 승수분석방법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승수의 정태분석에서는 수요측면에서의 분석, 공급측면의 분석, 혼합모형(mixed exogenous / endogenous approach)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자본스톡을 매개한 동태분석도 이용된다. 수요측면의 승수분석은 최종수 요(민간소비, 정부소비, 원천투자․운용투자, 수출 등)가 변화되었을 때의 경제적 인 파급효과를 추정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이 방식은 모든 지역․산업이 초과생 산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 즉 부가가치 생산요소인 노동과 자본이 최종수요 의 변화를 충족시킬 수 있을 만큼 공급되는 경제나 유휴생산설비․유휴노동력이 있는 상황, 즉 생산요소의 공급에 제한이 없다는 가정 하에 적용된다.

공급측면에서의 분석방법은 생산물의 투입구조 측면에서 승수를 분석하는 방 식으로 화폐가치로 평가한 부가가치 생산요소의 변화, 예를 들면 노동력의 부족 등이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평가하기 위한 기법이다. 특정한 생산부문에서 부가 가치 생산요소의 감소가 나타날 경우 해당 산업뿐만 아니라 그 생산의 감소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경제전체에 대한 충격을 분석하는데 적합하다. 혼합모형 은 모형의 일부 내생부문(중간투입)과 외생부문(최종수요)을 서로 바꾸어 승수 분석을 행하는 방식이다. 특정산업의 생산능력이 제한될 경우 일반적인 수요측 면에서의 분석은 현실적으로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하므로 이 방식이 이용된다.

수요측면의 승수분석과는 달리 외생인 생산량 변화에 따른 수요측면의 파급효 과를 내생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 산업의 생산의 변화가 타 산업의 생산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혼합모형의 변형형태

(6)

인 Ritz-Spaulding의 방식이 이용되기도 한다.12) 동태분석에서는 현기의 생산 에 필요한 중간투입, 최종수요뿐만 아니라 각 산업이 필요로 하는 차기의 자본 스톡 규모에 기반을 두고 현기와 차기의 생산규모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경제적 파급효과의 추정보다는 현행 기술구조 및 자본스톡에 기반을 두고 경제성장을 전망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현재의 분석에서는 강원도의 전략산업이 일정한 공급능력을 갖춘 조건하에서 동 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었을 경우에 나타나게 되는 지역산업별 누출구조 를 평가하고 있으므로 생산요소의 공급에 제한이 없다는 가정 하에 이용되는 수요측면의 승수분석을 적용하기로 한다.

3. 누출구조의 분해

누출구조를 중심으로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바 2지역으로 구성된 다지역 산업 연관모형을 상정하고 그 개념을 분석하기로 한다.

A

L은 지역 L의 투입계수 행렬, AM은 지역 M의 투입계수행렬, CLMi 은 상품 i의 지역 L에서 지역 M 으로의 이출로 표기한다. 교역계수행렬을 대각화하면 아래와 같이 표기된다.

C

LM= ꀌ

︳︳

︳︳

︳︳

︳︳

︳︳

︳︳

︳︳

︳︳

C

LM 1

: :

C

LM n

ˆ

C

LM= ꀎ

︳︳

︳︳

︳︳

︳︳

︳︳

︳︳

︳︳

︳︳

︳︳

︳︳

c

LM1 0 … 0

0

c

LM2 … 0 :

0 0 … cLMn

,L = L,M,M = M,L

12)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3), Miller & Blair(1985) 참조.

(7)

A

L= ꀌ ꀘ

︳︳

︳︳

ꀍ ꀙ

︳︳

︳︳

a

L11

a

L12

a

L21

a

L22

, AM= ꀌ ꀘ

︳︳

︳︳

ꀍ ꀙ

︳︳

︳︳

a

M11

a

M12

a

M21

a

M22

ˆ

C

LL= ꀌ ꀘ

︳︳

︳︳

ꀍ ꀙ

︳︳

︳︳

c

LL1 0

0

c

LL2

, CˆML= ꀌ ꀘ

︳︳

︳︳

ꀍ ꀙ

︳︳

︳︳

c

ML1 0

0

c

ML2

ˆ

C

LM= ꀌ ꀘ

︳︳

︳︳

ꀍ ꀙ

︳︳

︳︳

c

LM1 0

0

c

LM2

, CˆMM= ꀌ ꀘ

︳︳

︳︳

ꀍ ꀙ

︳︳

︳︳

c

MM1 0

0

c

MM2

지역별 투입계수와 지역교역계수의 곱은 아래와 같이 표기된다.

ˆ

C

LL

A

L = ꀌ ꀘ

︳︳

︳︳

ꀍ ꀙ

︳︳

︳︳

c

LL1

a

L11

c

LL1

a

L12

c

LL2

a

L21

c

LL2

a

L22

, CˆML

A

L = ꀌ ꀘ

︳︳

︳︳

ꀍ ꀙ

︳︳

︳︳

c

ML1

a

L11

c

ML1

a

L12

c

ML2

a

L21

c

ML2

a

L22

ˆ

C

LM

A

M = ꀌ ꀘ

︳︳

︳︳

ꀍ ꀙ

︳︳

︳︳

c

LM1

a

M11

c

LM1

a

M12

c

LM2

a

M21

c

LM2

a

M22

, CˆMM

A

M = ꀌ ꀘ

︳︳

︳︳

ꀍ ꀙ

︳︳

︳︳

c

MM1

a

M11

c

MM1

a

M12

c

MM2

a

M21

c

MM2

a

M22

X

L, XM은 각 지역의 생산량,

Y

L, Y M을 각 지역의 최종수요로 표기 하면, 균형식은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1) XL= CˆLL

A

L

X

L+ CˆLM

A

M

X

M+ CˆLL

Y

L+ CˆLM

Y

M (2) XM= CˆMM

A

M

X

M+ CˆML

A

L

X

L+ CˆMM

Y

M+ CˆML

Y

L

각 지역의 기술계수와 최종수요는 교역계수에 의해서 서로 연계되어 있으므 로 L지역의 최종수요의 변화는 L지역뿐만 아니라 M지역에도 파급된다.

(3) (I - CˆLL

A

L) XL- CˆLM

A

M

X

M= CˆLL

Y

L+ CˆLM

Y

M (4) - CˆML

A

L

X

L+ ( I - CˆMM

A

M) XM= CˆML

Y

L+ CˆMM

Y

M

(8)

파급효과를 분해하기 위하여 YM= 0라 하면, 식 (4)는 (5)식과 같이 정리되 며, 식 (5)를 식 (3)에 대입하면 식(6)이 도출된다.

(5) XM= ( I - CˆMM

A

M) - 1( CˆML

Y

L+ CˆML

A

L

X

L) (6) (I- C

ˆ

LL

A

L) XL- C

ˆ

LM

A

M( I - C

ˆ

MM

A

M)- 1

( C

ˆ

ML

A

L

X

L+ C

ˆ

ML

Y

L) = C

ˆ

LL

Y

L

식 (6)의 좌변에서 (I - CˆLL

A

L) XL은 L지역 최종수요의 변화가 지역내 부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며, 좌변의 두 번째 항은 두 지역간 경제적 연계로 인한 효과로서, L지역의 수요변화가 M지역의 산업생산에 영향을 미치며(파급 효과: spill-over), 이로 인해 M지역의 생산변화가 다시 L지역의 산업생산에 파급되는 효과를 포괄한(환류효과: feed-back). 여기에서 파급효과를 매개하는 ˆ

C

ML이 지역간 누출규모의 일부를 결정하는 교역계수이며, 이 교역계수와 지 역의 산업연관관계를 나타내는 지역간 기술계수와 결합되어 누출규모가 결정된 다. 또한 CˆLM에 의하여 M지역의 생산변화가 다시 L지역으로 환류되는 크기 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주지되어야 할 것은 최종수요의 처리방식이다. (Miller & Blair, 1985)는 최종수요의 변화에 따른 파급효과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두 가 지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한 지역의 최종수요가 교역계수를 통하여 지역 별로 배분되어 다른 지역의 생산과정으로 주입되는 방식이다.

(7)

(

XXML

)

=

( (

0 II 0

)

-

(

ˆCˆCMLLL ˆCˆCMMLM

)

(

A0 L A0M

) )

- 1

(

ˆCˆCMLLL ˆCˆCMMLM

)

(

YYML

)

두 번째, 지역별 수요가 다른 지역의 최종수요로 배분되지 않고 직접 자기지 역의 생산과정에 주입되는 방식이다.

(9)

(8)

( X X

ML

)

=

( (

0 I

I 0 )

-

(

ˆ

C

ˆ

C

MLLL ˆ

C

ˆ

C

MMLM

)

( A

0 L

A

0M

) )

- 1

( Y Y

ML

)

(8)과 같은 승수분석은 생산과정만이 지역별로 서로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에서 특정한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게 되면 수요가 발생한 지역의 생산과정을 통하여 생산물이 공급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의 승수분석에서도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였다.13) 정리하면 생산유발계수는 (9),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10), 고용유발계수는 (11)과 같이 표기된다. 여기에서

A

V 는 부가가치율의 대각 행렬을 나타낸다. lˆ 은 고용유발계수의 대각행렬을 의미한다.

(9)

X = ( I - C A)

- 1․Y (10) V = AV( I - C A)- 1․Y (11) L =l․

ˆ

( I - C A)- 1․Y

Ⅲ. 산업별 누출구조 분석

강원도 전략산업의 최종수요 변화는 강원도의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타 지역 의 경제활동의 변화를 유발하게 되며, 타 지역의 생산변화는 다시 강원도로 환 류된다. 다지역 경제모형의 특성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지역간 경제적 연계는 지 역간 상품교역계수 및 지역내외 투입구조로 구체화되며, 이러한 부분이 결합되

13) 이러한 방식을 따르면 앞의 기법에 비하여 지역내 승수가 과대평가되는 경향을 갖는다.

이 방식을 적용한 이유는 소비지출이 해당 지역에서 이루어지며, 또한 산업 육성이 지역 개발의 수단이 되기 위해서도 유통부문이 타지역으로부터 단순히 상품을 공급받아 소비 하는 형태보다는 산업에 소요되는 상품과 서비스가 지역 내 생산과정을 통하여 공급되어 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론적․현실적으로 타당하다. 이것이 Miller &

Blair(1985)가 제기한 특정지역수요(regional specific demand)의 개념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이러한 승수분석방식이 모든 지역에 적용되었으므로 승수와 관련된 공간적 편의 (spatial bias)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본다.

(10)

어 지역의 누출규모를 결정하게 된다.

수요변화에 따른 전략산업의 누출규모 분석은 전국의 각 지역별 특정산업의 누출규모 분석, 강원도 전략산업의 전국 지역별 누출구조, 전국 산업연관효과, 강원도 산업연관효과로 구분되어 서술되며, 각 부분은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최종수요는 정밀화학(생물산업을 포괄), 정밀기기(의료기기포함), 문화산업에 각각 1,000억원 규모의 최종수요의 증가가 나타나며, 모든 산업에서 해외수요(수입수요)로의 누출은 없는 것으로 가정하였다.14)

1. 정밀화학산업의 누출구조

(1) 지역별 누출구조

생물분야(BT)는 대내외 시장규모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부가가치율이 매우 높으므로 자본의 회임기간이 길고 위험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강원도를 포함한 전국의 8개 지역이 생물산업을 지역의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였다. 생물산 업은 현재 국내에서 공간되는 통계자료에서는 자체의 계정을 갖지 못하고 있으 며, 특히 산업연관구조 자체가 아직은 불확실한 상태에 있으므로 정밀화학군에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이 현재의 관행으로 되어 가고 있다. 정밀화학군의 평균적 인 승수를 적용할 경우 전국의 16개 지역의 평균적인 누출률은 50.3%(지역내 승수 49.7%)로 나타나고 있으며, 생산유발계수의 평균은 2.64, 누출이 제외된 지역별 지역내 생산, 부가가치, 고용유발효과는 각각 1,317억원, 435억원, 547명 으로 나타나고 있다.15)

14) 모든 지역에서 최종수요를 ‘1,000억원’으로 설정하였으므로 부가가치는 모두 “1,000억원”

이 된다. 승수분석에서 지역의 최종수요가 해외수요로 누출되지 않을 경우 최종수요와 부가가치의 합은 같게 된다. 수식으로는 쉽게 정리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언하면 최종수요는 필요수량의 화폐 가치를 나타내며 부가가치는 필요량(화폐가치)을 생산한다 는 의미이다. 생산된 재화와 관련하여 투입은 자연에 존재하는 상품 이전의 자원이며, 이를 인간의 노동과 장비를 이용하여 가공한 형태가 상품이며, 따라서 나타난 상품의 가 치가 바로 부가가치가 되고, 이것이 바로 필요수량의 화폐가치이다. 생산유발효과는 이러 한 필요수량을 생산하기 위하여 수반되는 즉 간접적인 생산가지 포함된 경제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15) 부가가치 및 고용유발효과는 생산유발효과에 부가가치율과 고용계수를 곱하여 계산하므로 생산부문의 누출률이 타 부문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부가가치 및 고용의 내부파급

(11)

누출률을 기준으로 보면 서울, 울산, 전남, 경기 등이 동 산업의 지역경제성장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구, 인천, 경남의 경우에는 승수가 큼에도 불구하고 누출규모가 크기 때문에 정밀화학산업의 지역내 성장기여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강원도의 누출규모는 전국 평균과 같은 것으로 나 타나고 있지만 승수(생산유발계수)가 전국평균 2.64에 미달하는 2.28로서 동 산 업이 지역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바는 작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강원도 의 정밀화학산업이 타 산업과 연관관계가 깊지 않음을 보이는 것이다. 부가가치 는 생산유발효과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고용유발효과는 전국 평균 이하에 머물고 있다.

<표 2> 지역별 정밀화학산업의 누출구조

전국생산 유발계수

누출률 (%)

지역별 생산 지역별 부가가치 지역별 고용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명)

비중 (%) 서 울 2.30 30.8 1,593.0 69.2 640.6 64.1 952 64.2 부 산 2.71 50.9 1,332.9 49.1 440.7 44.1 650 45.4 대 구 2.71 58.3 1,127.7 41.7 310.7 31.1 500 33.6 인 천 2.68 53.7 1,242.5 46.3 393.1 39.3 476 38.0 광 주 2.59 57.7 1,094.5 42.3 346.4 34.6 469 34.7 대 전 2.52 56.1 1,106.5 43.9 412.5 41.2 448 36.4 울 산 3.26 36.1 2,085.8 63.9 508.7 50.9 660 52.1 경 기 2.51 45.1 1,376.6 54.9 519.5 51.9 576 46.6 강 원 2.28 50.3 1,132.8 49.7 458.4 45.8 459 39.5 충 북 2.59 57.6 1,098.0 42.4 385.5 38.6 440 35.5 충 남 2.57 54.0 1,181.4 46.0 441.3 44.1 451 39.9 전 북 2.65 58.1 1,111.1 41.9 372.7 37.3 455 35.3 전 남 3.20 40.1 1,919.7 59.9 420.1 42.0 662 48.5 경 북 2.59 52.9 1,218.1 47.1 482.8 48.3 489 43.8 경 남 2.73 54.4 1,245.8 45.6 413.6 41.4 517 40.2 제 주 2.37 49.2 1,206.7 50.8 413.2 41.3 553 39.2 평 균 2.64 50.3 1,317.1 49.7 435.0 43.5 547 42.1

효과비중은 전체 부가가치 및 고용에서 각 지역이 차지하는 단순한 비중을 의미한다.

(12)

<표 3> 강원도 정밀화학산업의 누출구조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명)

비중 (%)

서 울 330.5 14.5 165.3 16.5 268 23.1

부 산 47.3 2.1 26.3 2.6 34 2.9

대 구 15.2 0.7 8.0 0.8 13 1.1

인 천 80.5 3.5 32.7 3.3 41 3.6

광 주 8.5 0.4 4.9 0.5 7 0.6

대 전 28.7 1.3 14.3 1.4 18 1.5

울 산 29.6 1.3 9.3 0.9 10 0.8

경 기 318.2 14.0 145.1 14.5 167 14.4

강 원 1,132.8 49.7 458.4 45.8 459 39.5

충 북 61.5 2.7 30.2 3.0 31 2.6

충 남 82.9 3.6 36.7 3.7 37 3.2

전 북 34.3 1.5 17.0 1.7 19 1.6

전 남 41.1 1.8 16.4 1.6 18 1.5

경 북 39.2 1.7 20.1 2.0 21 1.8

경 남 27.6 1.2 13.3 1.3 16 1.4

제 주 3.0 0.1 1.9 0.2 2 0.2

합 계 2,281.0 100.0 1,000.0 100.0 1,161 100.0 (2) 강원도의 누출구조

정밀화학산업에 1,000억원의 수요가 발생하게 되면 2,281억원의 생산, 1,000 억원의 부가가치, 161명의 고용증대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생산유발효과는 1억 원당 2.28억원, 고용을 기준으로 하면 1억원당 약 1.16명의 고용유발효과를 시 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국적인 파급효과 중 강원도에서 나타나는 효과는 전국 생산유발효과의 49.7%인 1,132.8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의 45.8% 458.4억원, 고용유발효과의 39.5%인 459명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내부 파급효과의 비중 에서 강원지역의 경우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에 비하여 고용유발효과가 매 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타 지역에 비하여 강원지역의 역내 고용 창출능력이 낮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강원지역 수요의 누출은 생산을 기준으로 하면 서울은 전체의 14.5%인 330.5

(13)

억원, 경기도는 14%인 318.2억원, 충남과 인천이 약 3.%대의 파급효과를 보이 게 된다. 기타 지역에서는 1∼2%대의 유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하면 서울이 16.5%인 165.3억원, 경기도가 14.5%인 145.1억원, 충남이 3.7%인 36.7억원 정도의 영향을 받으며, 기타지역에 대한 효 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용유발효과를 보면 서울지역의 고용이 생 산이나 부가가치 유발효과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3.1%), 경기도는 생산이나 부가가치비중과 유사한 14.4%대의 유발효과를 보 이고 있다. 이와 같이 강원도의 정밀화학산업은 공간적으로 인접한 서울, 경기 도와 깊은 경제적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산업의 저변이 취약하고 경제규모가 작은 강원도의 입장에서는 정밀화학의 경우 수요의 상당한 부분이 수도권으로 누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제적인 유대는 강 원도의 입장에서 보면 역내에 연관산업이 덜 발달하여 타 지역에서 중간재를 공급받아야 하며, 또한 역내 자원, 내지는 역내 투입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 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3) 전국 산업연관효과

생산을 기준으로 전국의 산업연관효과를 보면 전국 생산유발효과인 2,281억 원의 47.8%인 1,090.2억원이 생물산업을 포함하는 정밀화학에서 나타나고 있으 며, 농림어업 13.5%, 음식료 및 담배 7.8%,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의 생산을 전체의 5% 정도 증대시키는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비중을 근거로 할 때 강원도의 정밀화학업은 정밀기기업과 유사한 제 조업에의 의존률을 보이고 있다.16)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보면 지역산업별 부가 가치율의 차이가 반영되어 생산유발효과와는 다소 다른 경향을 보이는데, 정밀 화학은 전체의 42.1%, 농림어업은 전체의 18.5%,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가 전 체의 8%순으로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부가가치율에서 의 순위변동은 산업에서 원자재 등 중간투입보다는 인력ㆍ자본 등 부가가치 생

16) 제조업의 경우 서비스업에서 생산되는 재화보다는 제조업 재화의 투입비중이 높은 것으 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의존률(dependency ratio) 분석, 즉 투입구조를 산업 별로 구분하여 각 산업에 중간투입재를 공급하는 산업의 순위에 따라 분석할 경우 나타 나게 되는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에 대해서는 민경휘(1998),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2003) 등을 참조할 수 있다.

(14)

<표 4> 강원도 정밀화학산업의 전국 산업연관효과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명)

비중 (%)

농림어업 309.0 13.5 184.8 18.5 133 11.4

광 업 53.9 2.4 29.6 3.0 35 3.0

음식료및담배 177.9 7.8 52.8 5.3 63 5.4

섬 유 3.9 0.2 1.3 0.1 3 0.3

의 류 1.2 0.1 0.3 0.0 1 0.1

신 발 0.1 0.0 0.0 0.0 0 0.0

목재종이 25.2 1.1 6.7 0.7 14 1.2

석유화학고무 97.2 4.3 27.9 2.8 18 1.5

정밀화학 1,090.2 47.8 421.3 42.1 427 36.8

비금속광물 18.8 0.8 6.3 0.6 11 0.9

1차금속및금속 21.8 1.0 6.0 0.6 8 0.7

기 계 8.9 0.4 2.8 0.3 6 0.5

전기및가전 4.6 0.2 1.5 0.1 2 0.2

반도체 1.4 0.1 0.5 0.1 0 0.0

정보통신기기 2.5 0.1 0.6 0.1 1 0.1

정밀기기 3.3 0.1 0.8 0.1 3 0.2

자동차 3.8 0.2 0.9 0.1 1 0.1

조 선 0.1 0.0 0.0 0.0 0 0.0

항공우주 0.2 0.0 0.0 0.0 0 0.0

기타수송장비 0.2 0.0 0.0 0.0 0 0.0

가구및기타제조 2.3 0.1 0.8 0.1 2 0.2

전력가스수도 46.0 2.0 19.9 2.0 11 0.9

건 설 8.7 0.4 3.8 0.4 10 0.9

도소매 62.2 2.7 37.2 3.7 104 9.0

음식숙박업 17.1 0.7 6.6 0.7 25 2.1

물 류 22.2 1.0 11.4 1.1 32 2.8

해상물류 1.2 0.1 0.2 0.0 0 0.0

문 화 15.6 0.7 6.7 0.7 16 1.4

정보통신서비스 19.0 0.8 11.3 1.1 6 0.5

금융및보험 68.6 3.0 46.7 4.7 75 6.5

부동산사업서비스 113.1 5.0 79.7 8.0 56 4.8

공공행정및국방 0.0 0.0 0.0 0.0 0 0.0

교육및사회보장 32.1 1.4 21.3 2.1 61 5.3

사회및기타서비스 48.5 2.1 10.4 1.0 34 2.9

합 계 2,281.0 100.0 1,000.0 100.0 1,161 100.0

(15)

산요소를 많이(혹은 고가의 인력․장비) 사용하기 때문이다.

산업별 고용계수(유급고용자)를 토대로 한 고용유발효과는 정밀화학이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계수에 미치지 못하는 36.8%(427명), 농림어업이 11.4%(133 명), 도소매업이 전체의 9%인 194명, 기타 금융 및 보험이 다음 순위의 고용창 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전국적인 관점에서 보면 물론 산업이 중분류로 되어있 다는 한계(aggregation bias)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원도의 정밀화학산업이 농림어업에 기여하는 바가 크므로 서비스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은 정밀기기업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 강원 산업연관효과

정밀화학산업의 최종수요 증가가 강원도의 산업에 미치는 효과를 먼저 생산 의 측면에서 보면 강원도 생산유발효과인 1,132.8억원의 88.4%인 1,001.6억원 이 정밀화학(생물산업 포함)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농림어업이 74.9억원인 6.6%

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의 생산유발효과가 서비스업이나 일부 제조업에 부분적 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반하여 강원도의 경우에는 일부산업에서만 그 효과가 집 중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즉 지역내 연관산업이 많이 발달해 있 지 않으며, 소요되는 대부분의 투입재가 정밀화학 내부에서 공급되고 있음을 보 여주는 것이다. 부가가치 역시 전체 부가가치 458.4억원의 85.3%인 391.1억원 이 정밀화학에서 창출되고 있으며, 약 10% 정도인 43.3억원만이 농림어업에서 발생하게 된다. 고용의 경우에도 이러한 경향이 유지되어 정밀화학, 농림어업에 서 각각 전체 고용 459명의 85.6%, 7%의 고용창출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하에서는, 전남의 예와 같이, 바람직한 산업간 연관관계가 형성되 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지역의 성장동력으로서 기능하기 어려운 측면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역내 생산비용이 타 지역에 비하여 커질 수 있으며, 만약 역내에서 시장을 점유하지 못할 경우에는 지역 내에 생산기반 을 뿌리내리기 어렵다는 점이다. 지속적인 자금투입으로 이 한계를 극복할 수 있지만 성장과정에서 상당한 규모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생산을 기준으로 하여 보면 강원도의 정밀화학산업은 산업에서 수요가 증대되었을 경우 강원지역의 산업발전에 자체유발효과의 11.6%, 전국 정밀화학산업에 자체유발효과의 8.1%, 전국산업생산에 자체유발효과의 56.1%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다른 지역에 비하여 투입재의 내부화 내지는

(16)

<표 5> 강원도 정밀화학산업의 강원 산업연관효과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명)

비중 (%)

농림어업 74.9 6.6 43.4 9.5 32 7.0

광 업 3.1 0.3 1.8 0.4 2 0.4

음식료및담배 28.1 2.5 8.9 1.9 10 2.2

섬 유 0.0 0.0 0.0 0.0 0 0.0

의 류 0.0 0.0 0.0 0.0 0 0.0

신 발 0.0 0.0 0.0 0.0 0 0.0

목재종이 0.2 0.0 0.1 0.0 0 0.0

석유화학고무 0.4 0.0 0.2 0.0 0 0.0

정밀화학 1,001.6 88.4 391.1 85.3 393 85.6

비금속광물 6.2 0.6 2.2 0.5 4 0.8

1차금속및금속 0.4 0.0 0.1 0.0 0 0.0

기 계 0.1 0.0 0.0 0.0 0 0.0

전기및가전 0.1 0.0 0.0 0.0 0 0.0

반도체 0.0 0.0 0.0 0.0 0 0.0

정보통신기기 0.0 0.0 0.0 0.0 0 0.0

정밀기기 0.2 0.0 0.1 0.0 0 0.0

자동차 0.0 0.0 0.0 0.0 0 0.0

조 선 0.0 0.0 0.0 0.0 0 0.0

항공우주 0.0 0.0 0.0 0.0 0 0.0

기타수송장비 0.0 0.0 0.0 0.0 0 0.0

가구및기타제조 0.0 0.0 0.0 0.0 0 0.0

전력가스수도 2.4 0.2 1.3 0.3 1 0.1

건 설 0.6 0.1 0.3 0.1 1 0.2

도소매 2.3 0.2 1.7 0.4 4 0.8

음식숙박업 1.0 0.1 0.6 0.1 1 0.3

물 류 0.6 0.1 0.3 0.1 1 0.2

해상물류 0.0 0.0 0.0 0.0 0 0.0

문 화 0.4 0.0 0.2 0.0 0 0.1

정보통신서비스 0.6 0.1 0.4 0.1 0 0.0

금융및보험 1.7 0.2 1.3 0.3 2 0.4

부동산사업서비스 3.0 0.3 2.3 0.5 1 0.3

공공행정및국방 0.0 0.0 0.0 0.0 0 0.0

교육및사회보장 2.5 0.2 1.8 0.4 5 1.1

사회및기타서비스 2.2 0.2 0.5 0.1 2 0.3

합 계 1,132.8 100.0 458.4 100.0 459 100.0

(17)

<표 6> 지역별 정밀기기산업의 누출구조

전국생산 유발계수

누출률 (%)

지역별 생산 지역별 부가가치 지역별 고용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명)

비중 (%) 서 울 2.63 35.1 1,708.9 64.9 578.4 57.8 1,529 68.0 부 산 2.67 50.7 1,318.3 49.3 459.8 46.0 1,122 54.6 대 구 2.79 58.5 1,159.6 41.5 327.2 32.7 987 45.6 인 천 2.91 57.7 1,232.4 42.3 314.3 31.4 969 45.3 광 주 2.48 54.8 1,119.4 45.2 401.4 40.1 950 49.4 대 전 2.64 58.0 1,110.4 42.0 341.9 34.2 940 45.1 울 산 3.12 47.4 1,641.5 52.6 415.2 41.5 1,015 53.9 경 기 2.89 40.7 1,711.5 59.3 509.9 51.0 1,215 58.4 강 원 2.59 57.7 1,095.1 42.3 323.9 32.4 932 42.2 충 북 2.80 60.2 1,116.2 39.8 341.0 34.1 910 45.9 충 남 2.91 58.8 1,197.1 41.2 332.0 33.2 947 47.3 전 북 2.57 55.7 1,138.9 44.3 354.0 35.4 948 47.1 전 남 2.85 40.6 1,695.1 59.4 449.2 44.9 1,127 57.6 경 북 3.05 48.7 1,563.9 51.3 415.4 41.5 1,112 54.4 경 남 3.05 56.4 1,330.5 43.6 343.3 34.3 1,053 48.3 제 주 1.00 0.0 1,000.0 100.0 122.6 12.3 845 100.0 평 균 2.68 48.8 1,321.2 51.2 376.8 37.7 1,038 53.9 지역내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평가된다.

2. 정밀기기산업의 누출구조

(1) 지역별 누출구조

현재 구축된 모형의 산업분류에서는 의료기기산업이 정밀기기산업군의 한 업 종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원주의 의료기기산업은 정밀기기산업의 평균적인 승 수가 적용되고 있다. 전국 지역별 정밀기기산업의 누출구조를 보면 48.8%로 나 타나고 있는바 이는 1,000억원의 수요가 발생하게 되면 지역 내에 나타나는 효 과는 전체효과의 51.2%이며, 그외의 부분은 타 지역으로 누출됨을 의미한다.

평균 생산유발효과는 2.68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별 생산, 부가가치, 고용의

(18)

내부파급효과 비중은 각각 51.2%(1,321.2억원), 37.7%(376.8억원), 53.9%

(1,038명)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주도의 경우에는 정밀기기산업 자체가 없어 타 지역/타 산업과의 연관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으므로, 이를 예외로 하 면, 누출률이 작은 지역으로는 서울, 전남, 경기, 울산 등의 순이며, 생산유발계수 가 높은 지역은 울산, 경남, 경북, 인천, 충남 등이다. 지역별 생산유발계수와 누 출률을 감안한 지역 내 성장기여도는 경기, 서울, 전남, 울산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강원도의 생산유발계수는 전국 평균과 비교될 수 있지만 누출률이 57.7%

로 전국평균에 비하여 매우 높아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의 측면에서 지역경제의 성장에 기여하는 바는 타 지역에 비하여 낮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2) 강원도의 누출구조

강원지역의 정밀기기산업에 대한 수요증가가 전국에 미친 경제적 효과는 생 산유발효과를 기준으로 하면 총 2,569.8억원이며,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000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2206명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투입된 금액 대비 생산유발효 과는 1억원당 2.59억원, 고용을 기준으로 하면 1억원당 약 2.21명으로 정밀화학 에 비하여 높은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를 보이고 있다.

수요증가에 의하여 강원도 내에 파급되는 효과는 전국 생산유발효과의 42.3%

인 1,095.1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의 32.4%인 323.9억원, 고용유발효과의 42.2%인 932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밀화학과 비교했을 때 국가전체적인 파 급효과는 정밀기기산업이 우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생산 및 부가가치유 발효과의 지역내 비중이 낮으며, 또한 절대규모도 작은 것으로 나타난다. 정밀 기기산업의 고용계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정밀화학산업에 비하여 고용창출효과 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타 지역으로 누출되는, 지역별 누출구조를 생산을 기 준으로 보면 서울이 생산의 23.8%인 616.2억원, 경기도는 생산의 16.8%인 435 억원, 인천은 3.9%인 101.2억원의 순으로 높은 유발효과가 나타나게 되며, 기타 지역에서는 1∼2% 내외의 파급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보 면 서울이 28.7%인 287.2억원, 경기도가 17.9%인 178.5억원, 인천이 4.1%인 41.1억원의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기타지역에 대한 파급효과는 미미한 수준이 다. 부가가치의 지역외 파급효과에서 강원도 정밀기기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생산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에 있다는 점이 주지되어야 할 것이다. 타 지역에 서 나타나는 고용유발효과를 보면 서울의 고용유발효과가 높으므로 타 지역의

(19)

<표 7> 강원도 정밀기기산업의 누출구조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억원)

비중 (%)

유발효과 (명)

비중 (%)

서 울 616.2 23.8 287.2 28.7 606 27.5

부 산 46.4 1.8 26.5 2.6 38 1.7

대 구 21.8 0.8 12.4 1.2 22 1.0

인 천 101.2 3.9 41.1 4.1 74 3.3

광 주 10.7 0.4 6.4 0.6 11 0.5

대 전 31.5 1.2 16.3 1.6 30 1.4

울 산 24.0 0.9 8.4 0.8 10 0.5

경 기 435.0 16.8 178.5 17.9 328 14.9

강 원 1,095.1 42.3 323.9 32.4 932 42.2

충 북 42.3 1.6 20.1 2.0 34 1.5

충 남 52.7 2.0 23.5 2.3 36 1.6

전 북 24.2 0.9 12.6 1.3 21 1.0

전 남 30.3 1.2 12.5 1.3 18 0.8

경 북 29.9 1.2 15.5 1.6 23 1.1

경 남 25.4 1.0 13.1 1.3 20 0.9

제 주 3.0 0.1 1.8 0.2 3 0.1

합 계 2,589.8 100.0 1,000.0 100.0 2,206 100.0

경우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에 비하여 낮은 고용유발효과를 보이게 된다.

서울은 총고용의 27.5%인 606명, 경기도는 총 고용의 14.9%인 328명, 인천이 3.3%인 74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강원도의 정밀기기산업의 고용창출효과는 정밀화학업종에 비하여 우월하지만 수요증가에 의한 효과의 40% 이상이 수도권으로 누출되어 오히려 수도권의 경 제성장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타 누출되는 부분도 대체로 수도권 이나 인접한 충청권으로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전국 산업연관효과

생산을 기준으로 강원 정밀기기산업의 전국 산업연관효과를 보면 전국 생산 유발효과 2,589.8억원 중에서 정밀기기산업은 49.1%인 1,272.9억원,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가 8.3%인 214억원, 교육 및 사회보장이 5.6%인 143.9억원 순으로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Graduate school Natural Science Regional Infrastructure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Natural Science Animal Resource Science Graduate school Natural Science Animal

Keywords: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Platform, EDISON Platform,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tructural Equation

Key words: Tolerance, Innovation, the aged welfare policy, silver industry, improvement of quality of elderly life,

Ministry of Economic Affairs, R.O.C. Innovation and Incubation Center, National Kaohsiu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Institute For Information

“YouTube - The Secret History of Silicon Val- ley” ü &lt; “Selling Silicon Valley: Frederick Terman’s Model

Key Words: Carbon tax, labor migration, tax regime, welfare effect, fossil fuel demand,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double dividend hypothesis..

Keywords □ acute coronary syndrome, discharge medication patterns, Korea, tertiary hospital, follow-up evaluation, troponin-T,

Degree Centrality The counts of how many connections a node has Popularity or influence of a node (e.g., word, person) in the network Betweenness Centrality The extent to whi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