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63

I. 서론

최근 광주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던 삼성전자 에어 컨, 세탁기, 냉장고 등 일부 생산 라인이 베트남으 로 이전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전력공사 본사가 나주시로 이전됨에 따라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광주광역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되고 있다. 이처럼 광주광역시는 지역경제와 관련되 어 호재와 악재가 공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광주광역시의 주력 산업은 기아자동차 생산 공 장이 위치하고 있어 자동차산업이 된다. 이로 인해 광주광역시는 전기 자동차를 지역 특화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이 언급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기 자동차를 지역 특 화 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는 재

고의 여지가 있다.

이처럼 광주광역시가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고려할 사안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그 중 에서도 현재의 광주광역시가 직면하고 있는 산업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주광역시 산업구조를 연구한 선행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 광역시의 산업구조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 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산업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석 방법 이 있겠지만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활용하고자 한다. 뒤에서 자세히 기술하겠지만, 산업연관표는 산업별로 투입액과 산출액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임상수*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산업구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구조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투입과 산 출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산업연관표를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산업과 타지역 산업 간 관계에도 주목하고 있어 지역까지 고려한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한다. 광주지역의 산업구조는 산업별 투입 및 산출 규모에 관한 분석과 산업별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광주 지역은 주로 운송장비와 전기 및 전자기기, 도소매서비스가 생산의 주를 이루는 반면 광주 지역 경제 규모에 기여하는 정도는 공공행정 및 국방, 도소매서비스, 운송장비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볼 때, 광주지역은 운송장비와 도소매서비스가 중요한 산업이다. 더욱이 운송장 비와 도소매서비스는 타산업에 비해 타지역에 대한 중간투입 의존도 역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운송장비와 도소매서비스는 효율성이 높은 산업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핵심주제어: 부가가치유발계수, 생산유발계수, 지역산업연관표

본 논문은 한국연구재단과 지식경영연구원에서 정한 연구윤리규정을 준수함

* 임상수(제 1저자)_조선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happylims@chosun.ac.kr)

논문접수 : 2017. 08. 17Ⅰ심사일 : 2017. 08. 20Ⅰ게재확정일 : 2017. 08. 28

(2)

Ⅰ한국비즈니스리뷰 Vol.10, No.2

64

산업구조를 분석하기 좋은 툴이다. 특히 본 연구가 광주광역시를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산 업 측면에서 있어 타지역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 해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의 산업구조와 함께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선행연구와 함께 분석방법론을 검토한다. 제Ⅲ장에서는 지역산업연관분석 결과를 기술하고. 제Ⅳ장에서는 이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 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선행연구 및 분석방법론 검토

1. 선행연구 검토

본 연구는 광주지역의 산업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 한 선행연구에는 김소연․류수열(2017), 임상수 외 (2017), 박추환․정영근(2011), 김민수․김기웅(2010), 채종훈(2010), 박승규․김의준(2009), 윤갑식(2008) 등이 있다.

먼저 김소연․류수열(2017)은 울산광역시 3대 주 력산업인 석유화학산업, 조선산업, 자동차산업의 구 조변화와 성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지역산업연관 표를 활용했으며, 이들 3대 산업의 성장 요인은 주 로 수출에 의한 것이었고 석유화학산업과 자동차산 업의 총산출과 총수요 증가율은 상승세를 보인 반 면 조선산업은 증가율이 둔화되었음을 보였다. 임상 수 외(2017)는 전통문화산업과 제조업의 성격을 동 시에 지니고 있는 도자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했으며, 영남 권은 도자산업 중 타일과 벽돌, 경기권은 생활도자 기와 위생도기를 중심으로 지역별 특화 전략을 마 련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박추환․정영근(2011)은 육 상물류기지의 지역별 파급효과 분석을 위해 전국

16개 광역시들을 5+2 경제권역으로 구분하여 분석 했다. 분석 결과 육상물류산업의 전․후방연쇄효과가 기타 물류산업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전체 산업 평 균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2005 년 기준 생산유발효과는 8,225억원, 부가가치유발효 과는 4,136억원, 수입유발효과는 127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수․김기웅(2010)은 고양시 산업 구조 를 분석하기 우해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통신 및 방송 산업이 연관효과 및 승수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부가가치유발효과가 큰 산업은 운수 및 보관과 금융 및 보험인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성장 잠재력이 높은 첨단 산업인 통신 및 방송산업이 고양시에서의 위상이 높은 것은 산 업 정책의 효과성에 의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채종 훈(2010)은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조선산업 이 전남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전남지역의 조선산업에 대한 최 종수요는 1,908,800백만원이고 이로 인해 유발되는 생산유발효과는 3,038,624백만원, 부가가치유발효과 는 940,656백만원, 고용창출효과는 13,361명인 것 으로 나타났고 조선산업의 생산유발계수와 영향력 계수는 29개 산업 부문 중 6위로 높은 수준을 보이 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승규․김의준(2009)는 일자리 창출 및 산업 성장 구조 관련 연구의 한계인 권역 별 구분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산업연관표를 바탕으 로 권역별 추업계수변화, 국내수요증감효과, 수출증 가효과, 중간재수요효과, 수입대체효과로 분해하여 산업구조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권역별 산 업 성장은 산업구조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았고, 산 업구조변화 요인 중 국내 수요증감효과와 중간재수 요효과가 두드러졌고 이 중 국내 수요증감효과가 중간재수요효과보다는 산업의 성장을 결정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윤갑식(2008)은 인천경제의 지역 간 교역구조를 분석한 결과, 인천경제는 서울․경기 지역과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고 인천지역의 생산은 서울․경기지역의 최종수요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천지역의 최종수요는 기타

(3)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65 지역의 생산을 더 많이 유발하고, 인천지역의 재화

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기타지역으로부터 중간재를 더 많이 구입하는 반면 생산된 재화는 서울․경기지 역으로 더 많이 판매되고 있음을 보였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은 특정 지역의 특정 사업 또는 산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거나 또는 특정 지역의 산업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지역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후자와 관련된 연구이며, 광주지역을 대상으로 산업 구조를 살펴본 선행연구는 전무하기 때문에 본 연 구는 광주지역의 산업구조를 분석한 첫 번째 연구 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지역산업연관 표의 구조인 투입산출과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 파 급효과를 살펴보았으므로, 본 연구 역시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의 분석 툴을 벤치마킹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이하 광주)의 산 업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투입산출구조 분석과 경제 적 파급효과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2. 분석방법론 검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한다. 지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산 업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역산업연관표의 구

조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다음은 지역산업연 관표의 구조를 요약한 것이다.

여기서  은 지역의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지역의 투입액을 의미한다. 또한   은 지역의

부문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지역의 부문 투입 액을 의미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식 1)

지역산업연관표의 생산유발계수행렬과 부가가치 유발계수행렬은 산업연관표와 동일하지만, 지역 간 거래가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역이 포함된다는 점이 다르다.

생산유발계수행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식 2)

<표 1> 지역산업연관표 구조

중간수요 최종수요

1지역 … 지역 m지역 1지역 지역 m지역 총산출

중 간 투 입

1지역           

⋮ ⋮ ⋮ ⋮ ⋮ ⋮ ⋮ ⋮

k지역           

⋮ ⋮ ⋮ ⋮ ⋮ ⋮ ⋮ ⋮

m지역                 

부가가치 

총투입 

(4)

Ⅰ한국비즈니스리뷰 Vol.10, No.2

6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역 부문 최종수요 1단위 증가에 따른

지역  부문 생산 증가액,

  

  

 : : 지역  부문 최종수요 1단

위 증가에 따른 생산유발계수

또한 생산유발계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 다. 이는 지역 부문 최종 수요 1단위 증가로 유 발되는 생산은 지역(자기지역)과 타지역으로 구분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    

(수식 3)

 : 지역 부문 최종 수요 1단위 증가에 따른

지역의 생산유발계수,

  : 지역 부문 최종 수요 1단위 증가에 따른 지역 외 국가들의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행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식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역 부문 최종수요 1단위 증가에 따른

지역  부문 부가가치 증가액,

  

  

 : : 지역  부문 최종수요 1단 위 증가에 따른 부가가치유발계수

생산유발계수와 마찬가지로 부가가치유발계수 역 시, 자기지역 부가가치유발계수와 타지역 부가가치 유발계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  은 비 록 지역 부문 최종 수요가 1단위 증가하더라도 부가가치는 다른 지역으로 유출될 수 있음을 보여준 다.

     

(수식 5)

 : 지역  부문 최종수요 1단위 증가에 따른  지역의 부가가치유발계수,

  : 지역 부문 최종수요 1단위 증가에 따른 지역 외 국가들의 부가가치유발계수

III. 광주지역 산업 특성 분석

1. 투입산출구조 분석

먼저 광주의 산업구조를 산출액 측면에서 살펴보 면, 현대․기아자동차 소재지라는 점이 반영되어 운 송장비의 비중이 21.7%로 가장 크다. 산출액은 그 지역의 생산 활동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산출액 비중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생산 활동이 활발하다 는 것을 의미한다. 운송장비 다음으로 산출액 순을 살펴보면, 전기 및 전자기기, 도소매서비스, 건설, 금융 및 보험 서비스, 공공행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기계 및 장비, 교육서비스 순이었 다.

(5)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67 반면, 부가가치 규모 측면에서 살펴보면 공공행

정 및 국방이 가장 컸다. 부가가치는 광주의 경제적 규모를 살펴보는 GRDP의 측정 단위가 된다. 따라 서 광주의 경제 규모는 부가가치의 합으로 계산되 며, 부가가치가 클수록 경제 규모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광주의 경우, 경제 규모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공공행정 및 국방에 이어 도소매서비스, 운송장비, 교육서비스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소매

서비스, 운송장비, 교육서비스, 전기 및 전자기기, 부동산 및 임대, 금융 및 보험서비스 순이었다.

이처럼 산출액과 부가가치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 은 아니다. 특히 산출액은 투입액과 부가가치의 합 으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부가가치는 효율성을 측정 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산출액 대비 부가가치 비율은 광산품, 공공행정 및 국방, 부동산 및 임대, 교육서비스, 사업지원서비스 순이었다. 사

<표 2> 광주의 산업별 산출액 및 부가가치

(단위: 백만 원)

  산출액 부가가치 산출액

비중

부가가치 비중

산출대비 부가가치

운송장비 12,344,963 2,441,936 21.7% 9.7% 19.8%

전기 및 전자기기 7,474,180 2,174,918 13.1% 8.7% 29.1%

도소매서비스 4,598,170 2,632,912 8.1% 10.5% 57.3%

건설 4,071,909 1,296,352 7.2% 5.2% 31.8%

금융 및 보험 서비스 3,616,819 1,895,032 6.4% 7.5% 52.4%

공공행정 및 국방 3,527,212 2,700,442 6.2% 10.7% 76.6%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3,497,857 1,785,087 6.1% 7.1% 51.0%

기계 및 장비 3,387,525 938,717 5.9% 3.7% 27.7%

교육서비스 3,331,968 2,366,769 5.9% 9.4% 71.0%

부동산 및 임대 2,741,884 1,968,866 4.8% 7.8% 71.8%

화학제품 2,728,496 457,163 4.8% 1.8% 16.8%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2,481,853 882,154 4.4% 3.5% 35.5%

문화 및 기타 서비스 2,009,076 939,623 3.5% 3.7% 46.8%

음식료품 1,658,129 401,322 2.9% 1.6% 24.2%

금속제품 1,657,100 472,606 2.9% 1.9% 28.5%

운송서비스 1,644,386 747,584 2.9% 3.0% 45.5%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1,573,485 921,939 2.8% 3.7% 58.6%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1,476,197 597,592 2.6% 2.4% 40.5%

사업지원서비스 1,093,114 706,264 1.9% 2.8% 64.6%

1차 금속제품 1,083,448 178,083 1.9% 0.7% 16.4%

기타 제조업 제품 및 임가공 921,101 290,154 1.6% 1.2% 31.5%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648,563 271,197 1.1% 1.1% 41.8%

섬유 및 가죽제품 412,360 91,455 0.7% 0.4% 22.2%

목재 및 종이, 인쇄 386,088 92,150 0.7% 0.4% 23.9%

농림수산품 270,932 162,735 0.5% 0.6% 60.1%

비금속광물제품 245,810 45,930 0.4% 0.2% 18.7%

전력, 가스 및 증기 232,777 54,075 0.4% 0.2% 23.2%

정밀기기 149,788 47,856 0.3% 0.2% 31.9%

석탄 및 석유제품 18,944 4,821 0.0% 0.0% 25.4%

광산품 7,017 5,720 0.0% 0.0% 81.5%

주. 업종별 순서는 산출액 기준으로 내림 차순으로 정리됨.

(6)

Ⅰ한국비즈니스리뷰 Vol.10, No.2

68

장 산업으로 분류되는 광산품을 제외할 경우, 모두 서비스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광주는 고부가 가치 산업을 바탕으로 경제 규모를 확대할 필요성 이 있고 이를 위해서는 서비스 산업에 대한 발전 방안 역시 강구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광주의 최종수요에 대한 타지역 의존도 를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최종수요는 소비, 투자, 수 출, 기타로 구성되고 소비는 민간소비지출과 정부소 비지출, 투자는 민간고정자본형성과 정부고정자본형 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최종수요 역시 광주지 역과 타지역으로 구분되며 이 중 광주 지역 최종수 요의 타 지역 의존도는 민간소비지출이 56%, 정부 소비지출이 7.5%, 민간고정자본형성이 38.5%, 정부 고정자본형성이 28.3%를 기록했다. 민간 부문의 경 우, 타 지역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의 최종수요 중 소비는 27조 6,125억원으로 전체의 56.2%를 기록했고, 투자는 14.6%, 수출은 29.3%를 기록했다. 이처럼 수출 비중이 높은 것은 자동차 산 업이 지역 주력 산업인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광주 산업의 타지역 의존도를 살펴보기 위해 중간투입액을 살펴본다. 광주의 중간투입 규모 를 살펴보면, 자동차 산업이 포함된 운송장비가 8조 6,447억원으로 가장 컸고, 전기 및 전자기기가 3조 9,058억원, 건설 2조 5,608억원, 화학제품 1조 7,665억원, 음식점 및 숙박업 1조 4,511억원, 음식 료품 1조 849억원 순이었다. 산출액과 마찬가지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공존하고 있는 산업구조의 형 태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투입 중 광주 자체의

투입이 아닌 타지역으로부터의 투입 비중은 전반적 으로 50% 이상을 보이고 있어 타지역 의존도가 높 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전력, 가스 및 증기 투입의 타지역 의존도는 93.4%에 달하고 있으며 섬유 및 가죽제품,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 농림수산품, 목재 및 종이, 정밀기기 등도 80% 이상을 보이고 있다. 광주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산업이 포함된 운 송장비의 타지역 투입 의존도는 57.6%로 다른 산업 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타 지역 의존도가 높다. 이처럼 타지역 의존도가 높다 는 것은 그만큼 외부에서 투자가 많이 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산업의 자생 능력 이 낮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다.

2.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지금까지는 광주 지역의 산업 구조를 투입산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광주 지역의 산업으로 인해 타지역 산업 역시 동반 성장할 수 있고, 반대 로 타지역 산업으로 인해 광주지역 산업이 동반 성 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역 간 관계를 분석하 기 위해서는 산업연관표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던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가 산출되어야 한 다. 이전 장에서 생산유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 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므로, 본 장에서는 생산유발 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 산출 결과를 바탕으로 광 주 지역의 산업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정 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특정 산업의 최종수 요 1단위가 증가할 때 이로 인해 경제 전체에 유발

<표 3> 광주의 최종수요별 타지역 의존도

(단위: 백만 원)

최종수요 B/A

계(A) 광주 타지역(B)

소비 민간소비지출 20,664,852 9,095,339 11,569,513 56.0%

정부소비지출 6,947,635 6,428,999 518,636 7.5%

투자 민간고정자본형성 5,856,794 3,603,445 2,253,348 38.5%

정부고정자본형성 1,315,653 943,165 372,488 28.3%

수출 14,375,210 14,375,210 0 0.0%

(7)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69 되는 직간접적인 생산량을 의미한다. 그런데 지역산

업연관표를 활용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지 역의 특정 산업에 대한 다른 지역의 다른 산업에 대한 생산유발효과와 같이 지역적 특성이 반영되게 된다. 예를 들어, 운송산업의 광주지역에 대한 전남 지역의 광산품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는 광주지역 운 송산업 부문에서 최종수요 1단위 증가로 인해 전남 지역 광산품의 생산은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살펴보

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운송산업의 광주지역 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는 크게 광주지역 운송산업의 최종 수요 1단위 증가로 인해 유발되는 광주지역 생산 증가와 타지역 생산 증가로 구분된다.

우선, 광주 지역의 생산유발계수를 산출한 결과, 1차 금속제품, 운송장비, 금속제품이 각각 2.69, 2.62, 2.56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차 금속제품 최종수요 1단위 증가로 인해 유발되는 경

<표 4> 광주의 산업별 생산유발계수

  생산유발계수

계 자기지역 타지역

농림수산품 1.70 1.09 0.62

광산품 1.30 1.07 0.23

음식료품 2.26 1.16 1.10

섬유 및 가죽제품 1.73 1.08 0.66

목재 및 종이, 인쇄 2.37 1.17 1.20

석탄 및 석유제품 2.38 1.22 1.15

화학제품 2.32 1.14 1.18

비금속광물제품 2.36 1.17 1.19

1차 금속제품 2.69 1.19 1.50

금속제품 2.56 1.25 1.31

기계 및 장비 2.36 1.25 1.11

전기 및 전자기기 2.08 1.24 0.84

정밀기기 2.09 1.14 0.95

운송장비 2.62 1.40 1.22

기타 제조업 제품 및 임가공 2.28 1.21 1.07

전력, 가스 및 증기 1.94 1.05 0.88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2.00 1.25 0.75

건설 2.31 1.20 1.11

도소매서비스 1.71 1.24 0.46

운송서비스 1.76 1.17 0.59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2.13 1.15 0.98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1.91 1.27 0.65

금융 및 보험 서비스 1.71 1.27 0.44

부동산 및 임대 1.47 1.17 0.3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1.64 1.16 0.48

사업지원서비스 1.58 1.18 0.40

공공행정 및 국방 1.37 1.10 0.27

교육서비스 1.47 1.11 0.36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1.78 1.15 0.63

문화 및 기타 서비스 1.96 1.21 0.74

(8)

Ⅰ한국비즈니스리뷰 Vol.10, No.2

70

제 전체의 생산 증가가 2.69라는 것을 의미한다. 광 주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산업이 포함된 운송장비 의 경우 생산유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에 석탄 및 석유제품, 목재 및 종이, 인쇄, 비금속광 물제품, 기계 및 장비, 건설 순으로 생산유발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유발계수가 제일 작은 산업은 공공행정 및 국방과 교육서비스로 각각 1.37과 1.47을 기록했다.

반면 광주 지역의 자기 지역 생산유발계수를 산 출한 결과, 운송장비가 1.4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 났고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와 금융 및 보험서비 스가 각각 1.27로 운송장비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광주의 생산유발계수와 자기 지 역의 생산유발계수가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비록 광주 지역에서 최종수요가 증가하더라도 투입산출 구조에 따라 타지역에서 생산이 증가할 수 있기 때

<표 5> 광주의 최종수요 항목별 산업별 생산유발계수

A B C D E

농림수산품 0.003 0.000 0.000 0.000 0.001

광산품 0.000 0.000 0.000 0.000 0.000

음식료품 0.007 0.001 0.000 0.000 0.029

섬유 및 가죽제품 0.001 0.000 0.000 0.000 0.012

목재 및 종이, 인쇄 0.002 0.002 0.002 0.002 0.003

석탄 및 석유제품 0.000 0.000 0.000 0.000 0.000

화학제품 0.002 0.001 0.012 0.014 0.086

비금속광물제품 0.000 0.000 0.014 0.017 0.001

1차 금속제품 0.001 0.001 0.005 0.005 0.020

금속제품 0.002 0.001 0.007 0.013 0.037

기계 및 장비 0.003 0.001 0.024 0.008 0.120

전기 및 전자기기 0.008 0.003 0.020 0.015 0.339

정밀기기 0.000 0.001 0.001 0.003 0.003

운송장비 0.004 0.002 0.005 0.017 0.542

기타 제조업 제품 및 임가공 0.003 0.001 0.006 0.005 0.010

전력, 가스 및 증기 0.006 0.003 0.001 0.001 0.002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0.008 0.009 0.001 0.001 0.002

건설 0.001 0.003 0.552 0.662 0.001

도소매서비스 0.031 0.006 0.019 0.015 0.039

운송서비스 0.022 0.005 0.005 0.006 0.010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0.041 0.012 0.003 0.003 0.009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0.029 0.008 0.011 0.006 0.005

금융 및 보험 서비스 0.084 0.014 0.015 0.016 0.013

부동산 및 임대 0.076 0.013 0.024 0.006 0.00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0.004 0.002 0.063 0.094 0.003

사업지원서비스 0.012 0.010 0.003 0.004 0.004

공공행정 및 국방 0.003 0.492 0.001 0.001 0.001

교육서비스 0.080 0.178 0.000 0.000 0.000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0.058 0.235 0.002 0.003 0.001

문화 및 기타 서비스 0.072 0.033 0.004 0.003 0.003

광주지역 생산유발계수 계 0.563 1.038 0.801 0.922 1.300

타지역 생산유발계수 계 1.232 0.482 1.359 1.255 1.062

전지역 생산유발계수 계 1.795 1.520 2.160 2.178 2.362

주. A: 민간소비지출, B: 정부소비지출, C: 민간고정자본형성, D: 정부고정자본형성, E: 수출을 의미함.

(9)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71 문이다.

실제로 타지역 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 산유발계수가 큰 1차 금속제품의 타지역 생산유발 계수가 1.5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주 에서 1차 금속제품 최종수요 1단위 증가로 인해 타 지역 생산이 1.5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서 광주가 타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의 미한다. 예를 들어, 광주광역시 지방자치단체가 광 주 지역의 1차 금속제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10 억원의 정부지출을 한다면 이로 인해 광주 지역은 11.9억원의 생산이 유발되는 반면 광주 외의 지역 에서 15억원의 생산이 유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주광역시 10억원을 지출하여 26.9억원의 생산을 유발했지만 이 중 15억원은 타지역에서 유발되었으 므로 타지역의 생산유발계수는 일종의 유출이다.

다음으로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계수를 산출 하여, 광주지역 산업별 특징을 살펴본다. 최종수요 는 민간소비지출, 정부소비지출, 민간고정자본형성, 정부고정자본형성, 수출의 다섯 가지로 살펴본다.

광주지역 민간소비지출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광주지역의 생산은 0.563 유발되고 1.232가 타지역 생산으로 유발된다. 또한 광주지역 정부소비 지출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되는 광 주지역의 생산은 1.038 증가하고, 타지역의 생산은 0.482 증가한다. 또한 광주지역의 민간고정자본형성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되는 광주지역 의 생산은 0.801 증가하고, 타지역 생산은 1.359 증가한다. 광주지역 정부고정자본형성 1단위가 증가 할 경우 이로 인해 광주지역 생산은 0.922 증가하 고 타지역 생산은 1.255 증가한다. 그리고 광주지역 에서 수출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광주지 역 생산은 1.3 증가하고 타지역 생산은 1.062 증가 한다. 광주지역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계수를 비 교한 결과, 우리나라 경제 전체에 걸친 생산유발계 수는 수출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정부고정자본형성 과 민간고정자본형성 순이다. 다음으로 광주지역 생 산유발계수는 수출이 가장 크고 정부소비지출, 정부

고정자본형성 순이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볼 때, 광주 지역의 산업별 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 히 광주지역의 수출 증가는 자기지역에 대한 생산 유발효과 뿐만 아니라 타지역의 생산유발효과 역시 크기 때문에 수출 활성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은 무 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또한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계수를 산업별로 살펴본다. 우선 수출에 의한 광주지역 생산유발계수 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운송장비가 0.542로 가장 컸 고 전기 및 전자도 0.339로 컸다. 이는 광주지역에 서 수출 1단위가 증가하면 이로 인해 운송장비는 0.542, 전기 및 전자는 0.339의 생산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정부 소비지출에 의한 광 주지역 생산유발계수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공공행 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서비스 등 주로 공적 서비스 부문의 생산유발계수가 큰 것으로 나 타났다. 반면 정부고정자본형성에 의한 광주지역 생 산유발계수를 살펴본 결과, 건설업이 0.662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점으로 미루어볼 때, 광주광역시 지방자치단체의 투자와 지출은 주로 건설업과 공공행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지, 교 육서비스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광 주의 민간고정자본형성에 대한 자기지역 산업별 생 산유발계수 역시 건설업이 0.552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광주의 민간소비지출에 대한 자기 지역의 산업별 생산유발계수는 금융 및 보험, 교육 서비스, 부동산 및 임대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 등 주로 개인 서비스와 관련된 산업에서 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산 활동과 달리 경제 규모와 관련되어 있는 것은 부가가치이므로, 부가가치유발 계수를 산출한다. 광주의 부가가치유발계수가 가장 큰 산업은 부동산 및 임대업과 광산물로 각각 0.92 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높은 산 업은 공공행정 및 국방 0.9, 교육서비스 0.88, 사업 지원서비스 0.87, 도소매서비스 0.86이었다. 반면 운송장비는 0.65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광주광역시

(10)

Ⅰ한국비즈니스리뷰 Vol.10, No.2

72

지방자치단체가 광주지역의 운송장비 산업(자동 차 산업이 포함됨)을 육성하기 위해 10억원의 지출 을 계획했다면, 이로 인해 운송장비 부분에서 6.5억 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된다. 그런데 부동산 및 임대 업을 육성하기 위해 10억원의 지출을 계획한다면, 이로 인해 9.2억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된다. 따라서 운송장비 산업보다는 부동산 및 임대업 발전을 위 해 정부가 지출하는 것이 부가가치유발 측면에서는 좀 더 바람직하다. 이처럼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높은

산업은 광산품을 제외하고 주로 서비스 산업에 포 함되어 있다.

그런데 부가가치유발효과 역시 자기 지역 부가가 치유발효과와 타지역 부가가치유발효과로 구분된다.

광주의 자기 지역 부가가치유발효과가 가장 큰 산 업은 광산품 0.85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공 공행정 및 국방 0.81, 부동산 및 임대업 0.8, 교육 서비스 0.76, 사업지원서비스 0.73의 순을 보였다.

광산품은 사장 산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를 제

<표 6> 광주의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계 자기지역 타지역

농림수산품 0.82 0.64 0.17

광산품 0.92 0.85 0.07

음식료품 0.71 0.32 0.39

섬유 및 가죽제품 0.45 0.25 0.19

목재 및 종이, 인쇄 0.68 0.31 0.38

석탄 및 석유제품 0.77 0.36 0.41

화학제품 0.53 0.22 0.31

비금속광물제품 0.61 0.26 0.35

1차 금속제품 0.58 0.23 0.35

금속제품 0.72 0.37 0.35

기계 및 장비 0.66 0.36 0.31

전기 및 전자기기 0.62 0.37 0.24

정밀기기 0.65 0.37 0.29

운송장비 0.65 0.30 0.35

기타 제조업 제품 및 임가공 0.72 0.39 0.33

전력, 가스 및 증기 0.43 0.25 0.18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0.75 0.53 0.23

건설 0.72 0.40 0.32

도소매서비스 0.86 0.69 0.16

운송서비스 0.69 0.53 0.16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0.75 0.43 0.32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0.79 0.54 0.25

금융 및 보험 서비스 0.84 0.66 0.18

부동산 및 임대 0.92 0.80 0.1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0.83 0.66 0.17

사업지원서비스 0.87 0.73 0.14

공공행정 및 국방 0.90 0.81 0.09

교육서비스 0.88 0.76 0.12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0.79 0.59 0.20

문화 및 기타 서비스 0.79 0.55 0.23

(11)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73 외할 경우 공공행정 및 국방이 광주 자기지역 부가

가치유발계수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공공행정 및 국방은 산업으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결국, 부동산 및 임대업의 자기지역 부가 가치유발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지 역 부가가치유발효과가 큰 산업은 광산품을 제외하 고 모두 서비스 산업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광주지역에 타지역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높은 산업은 석탄 및 석유제품으로 0.41을 기록했 다. 음식료품의 경우 0.39, 목재 및 종이 0.38, 비 금속광물제품, 1차 금속제품, 금속제품, 운송장비는 각각 0.35를 기록했다. 광주광역시 지방자치단체가 광주 지역의 자동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10억원 을 투자할 계획이라면, 이로 인해 6.5억원의 부가가 치가 창출되고 이 중 3억원은 광주지역의 부가가치 로 나머지 3.5억원은 타지역의 부가가치로 나타난

<표 7> 광주의 최종수요 항목별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

A B C D E

농림수산품 0.002 0.000 0.000 0.000 0.001

광산품 0.000 0.000 0.000 0.000 0.000

음식료품 0.002 0.000 0.000 0.000 0.007

섬유 및 가죽제품 0.000 0.000 0.000 0.000 0.003

목재 및 종이, 인쇄 0.000 0.000 0.000 0.001 0.001

석탄 및 석유제품 0.000 0.000 0.000 0.000 0.000

화학제품 0.000 0.000 0.002 0.002 0.014

비금속광물제품 0.000 0.000 0.003 0.003 0.000

1차 금속제품 0.000 0.000 0.001 0.001 0.003

금속제품 0.000 0.000 0.002 0.004 0.011

기계 및 장비 0.001 0.000 0.007 0.002 0.033

전기 및 전자기기 0.002 0.001 0.006 0.004 0.099

정밀기기 0.000 0.000 0.000 0.001 0.001

운송장비 0.001 0.000 0.001 0.003 0.107

기타 제조업 제품 및 임가공 0.001 0.000 0.002 0.002 0.003

전력, 가스 및 증기 0.001 0.001 0.000 0.000 0.000

수도,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0.003 0.004 0.001 0.001 0.001

건설 0.000 0.001 0.176 0.211 0.000

도소매서비스 0.018 0.004 0.011 0.009 0.022

운송서비스 0.010 0.002 0.002 0.003 0.005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0.015 0.004 0.001 0.001 0.003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0.012 0.003 0.004 0.002 0.002

금융 및 보험 서비스 0.044 0.007 0.008 0.009 0.007

부동산 및 임대 0.054 0.009 0.017 0.004 0.005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0.002 0.001 0.037 0.055 0.002

사업지원서비스 0.008 0.006 0.002 0.002 0.003

공공행정 및 국방 0.002 0.376 0.001 0.001 0.000

교육서비스 0.057 0.127 0.000 0.000 0.000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0.030 0.120 0.001 0.001 0.000

문화 및 기타 서비스 0.034 0.015 0.002 0.002 0.002

광주지역 생산유발계수 계 0.300 0.685 0.287 0.324 0.334

타지역 생산유발계수 계 0.468 0.178 0.438 0.396 0.306

전지역 생산유발계수 계 0.768 0.863 0.725 0.720 0.641

주. A: 민간소비지출, B: 정부소비지출, C: 민간고정자본형성, D: 정부고정자본형성, E: 수출을 의미함.

(12)

Ⅰ한국비즈니스리뷰 Vol.10, No.2

74

다. 결국, 현행 광주 지역의 자동차산업은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자기지역은 낮고 타지역은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최종수요 항목별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산출하여, 광주지역 산업별 특징을 살펴본다. 광주 지역 민간소비지출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광주지역의 부가가치는 0.3 증가하고 타지역 부가가 치는 0.468 증가한다. 또한 광주지역 정부소비지출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되는 광주지역 의 부가가치는 0.685 증가하고, 타지역의 부가가치 는 0.178 증가한다. 또한 광주지역의 민간고정자본 형성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유발되는 광 주지역의 부가가치는 0.287 증가하고, 타지역 부가 가치는 0.438 증가한다. 광주지역 정부고정자본형성 1단위가 증가할 경우 이로 인해 광주지역 부가가치 는 0.324 증가하고 타지역 부가가치는 0.396 증가 한다. 그리고 광주지역에서 수출 1단위가 증가할 경 우 이로 인해 광주지역 부가가치는 0.334 증가하고 타지역 부가가치는 0.306 증가한다. 광주지역 최종 수요 항목별 부가가치유발계수를 비교한 결과, 우리 나라 경제 전체에 걸친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정부소 비지출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민간소비지출과 정부 고정자본형성 순이다. 다음으로 광주의 지역 내 부 가가치유발계수는 정부소비지출이 가장 크고 수출 이 두 번째로 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볼 때, 광주 지역의 산업별 부가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는 생산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최종수요 항목별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산업 별로 살펴본다. 생산유발계수와 마찬가지로 우선 수 출에 의한 광주지역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운송장비가 0.107로 가장 컸고 전기 및 전자 산업도 0.099로 컸다. 이는 광주지역에서 수출 1단위가 증가하면 이로 인해 운송장비는 0.107, 전 기 및 전자는 0.099의 부가가치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정부 소비지출에 의한 광주지역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생산유발계

수와 마찬가지로 공공행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 지, 교육서비스 등 주로 공적 서비스 부문의 부가가 치유발계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민간고정자 본형성과 정부고정자본형성에 의한 광주지역 내 산 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살펴본 결과, 건설업이 각 각 0.176과 0.211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IV. 결론

본 연구는 광주 지역의 산업 구조를 살펴보기 위 해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산업별 특징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주의 산업 중 산출 규모가 가장 큰 업종 은 자동차 산업이 포함된 운송장비업이었고, 전기 및 전자기기, 도소매서비스, 건설, 금융 및 보험 서 비스, 공공행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기계 및 장비, 교육서비스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광주의 산업 중 부가가치 규모가 가장 큰 업종 다시 말해 경제 규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업종은 공공행정 및 국방, 도소매서비스, 운송장비, 교육서비스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광주의 산업 중 효율성이 가장 큰 업종은 광산품, 공공행정 및 국방, 부동산 및 임대, 교육서 비스, 사업지원서비스 등 서비스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광주 지역 최종수요의 타 지역 의존도를 살펴본 결과, 민간소비지출이 56%, 정부소비지출이 7.5%, 민간고정자본형성이 38.5%, 정부고정자본형 성이 28.3%으로 민간 부문의 타 지역 의존도가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광주지역 중간투입의 타지역 의존도를 살펴본 결과, 전력, 가스 및 증기, 섬유 및 가죽제 품,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 농림수산품, 목재 및 종이, 정밀기기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광주의 생산유발계수를 산출한 결과, 1차 금속제품, 운송장비, 금속제품 순으로 높았다. 반면 광주 지역의 자기 지역 생산유발계수를 산출한 결

(13)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75 과, 운송장비,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금융 및 보

험서비스 순인 것으로 나탔다. 또한 광주의 생산유 발효과 중 타지역 생산유발효과를 분석한 결과, 1차 금속제품이 제일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계수를 산출 하여, 광주지역 산업별 특징을 살펴본 결과, 수출에 의한 생산유발효과가 가장 컸고 정부소비지출, 정부 고정자본형성 순이었다. 광주지역 생산유발계수 중 자기지역 생산유발계수 역시 수출이 가장 크고 정 부소비지출, 정부고정자본형성 순이었다.

여덟째, 최종수요 항목별 생산유발계수를 산업별 로 살펴본 결과, 수출에 의한 광주지역 생산유발계 수는 운송장비, 전기 및 전자 순으로 컸고, 정부 소 비지출에 의한 광주지역 내 생산유발계수를 산업별 로 살펴보면 공공행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지, 교육서비스 등 주로 공적 서비스 부문의 생산유발 계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광주의 산업별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산출 한 결과, 부동산 및 임대업, 광산물, 공공행정 및 국 방, 교육서비스, 사업지원서비스, 도소매서비스 순이 었고 운송장비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광주의 부가 가치유발계수 중 자기지역 부가가치유발계수는 광 산품, 공공행정 및 국방, 부동산 및 임대업, 교육서 비스, 사업지원서비스의 순을 보였다. 다음으로 타 지역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높은 산업은 석탄 및 석 유제품, 음식료품, 목재 및 종이, 비금속광물제품, 1 차 금속제품, 금속제품, 운송장비 순이었다.

열 번째, 광주의 최종수요 항목별 부가가치유발 계수를 산출한 결과, 정부소비지출, 민간소비지출, 정부고정자본형성 순이었다. 광주의 최종수요 항목 별 부가가치유발계수 중 자기지역 부가가치유발계 수는 정부소비지출, 수출 순이었다. 수출에 의한 광 주지역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운 송장비, 전기 및 전자 산업 순이었다. 반면 정부 소 비지출에 의한 광주지역 부가가치유발계수를 산업 별로 살펴보면, 공공행정 및 국방, 보건 및 사회복 지, 교육서비스 순이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광주는 주로 운 송장비와 전기 및 전자기기, 도소매서비스가 생산의 주를 이루는 반면 광주 지역 경제 규모에 기여하는 정도는 공공행정 및 국방, 도소매서비스, 운송장비 순인 것으로 볼 때 운송장비와 도소매서비스가 중 요한 산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운송장비 와 도소매서비스는 타산업에 비해 타지역에 대한 중간투입 의존도 역시 작다. 그러나 운송장비와 도 소매서비스는 효율성이 높은 산업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광주의 주력 산업이 자동차 산업이고 최근 한국전력공사의 나주 이전으로 인해 광산업 역시 주력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 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력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효율성을 제고시킬 필요성이 있고 최근 4 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이 이와 같은 효율성과 밀 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광주광역시는 자동차산업과 광산업이 주력산업으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대책 을 마련해야 한다.

한편 광주의 산업 구조와는 관계없지만, 광주의 생산유발효과를 확대하고 자기지역의 부가가치유발 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수출 활성화 정책을 마 련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운송장비와 전기 및 전자 기기의 수출에 의한 부가가치유발효과가 크기 때문 에 이들 산업에 대한 수출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왜냐하면, 광주광역시 지방자치단체의 소비지 출과 고정자본형성은 주로 건설업과 공공서비스에 편중되어 상대적으로 산업 지원 전략이 미흡한 것 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광주지역의 산업구조를 지 역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독창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광주지역 산 업 발전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 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광주의 중장기 산업 발전 정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14)

Ⅰ한국비즈니스리뷰 Vol.10, No.2

76

참고문헌

김민수․김기웅(2010). “지역산업연관분석모형에 의한 고양시 산업구조 분석”. 산업과 경영, 제17권 1호. pp. 1-16.

김소연․류수열(2017).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울 산광역시 3대 주력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 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0권 1호.

pp. 1-15.

박승규․김의준(2009).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권역별 산업성장의 구조변화분석”. 경제연구, 제27권 3호. pp. 79-103.

박추환․정영근(2011). “지역간 산업연관분석을 이용 한 육상물류기지의 지역별 파급효과 분석”.

지역연구, 제27권 4호. pp. 3-25.

윤갑식(2008). “인천경제의 지역간 교역구조와 산업 연관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권 1호.

pp. 45-58.

임상수․이종하․윤상용․주원(2017). “도자산업의 경제 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 30권 2호. pp. 397-416.

채종훈(2010).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남지역을 중 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4권 1호. pp.

33-53.

(15)

Vol.10 No.2 August 2017

지역산업연관표로 분석한 광주의 산업구조에 관한 연구 77

Abstract

A Study on the Structure of Industry Analyzed by 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Gwangju Province

Sang soo, Lim*

This paper is trying to examine the structure of industry in Gwangju. It is common to use the input-output table tha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by industry to examine it.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industry in Gwangju area and other regional industries. So this paper uses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And the analysis to examine the industry structure is divided into two analyses. One is to analyze the size of input and the size of output for each industry. And another is to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each industry.

The results show that Gwangju is mainly produced by transportation equipment,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But the contribution to GRDP in Gwangju is found to be larger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defense,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than in other industries. Based on these results,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are important in Gwaungu. Furthermore, those industries are less dependent on intermediate inputs to other regions than other industries. Nonetheless, transport equipment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s are not included in highly efficient industries, so there is a need to prepare government measures to improve efficiency.

Key words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 1st Author,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conomic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 Chosun University(happylims@chosun.ac.kr)

참조

관련 문서

This equipment generates, uses and can radiate radio frequency energy and, if not installed and us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may cause harmful interference

When considering use of the Sanken Products for any applications that require higher reliability (such as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its control systems, traffic

B0 Automatic operation start (GOT) M11 Axis 1 Synchronous control mode B1 Home position return (GOT) M12 Axis 2 Synchronous control mode B2 Error reset (GOT) M13

By Edward Lear • Adapted for ReadingA–Z Illustrated by

Divisio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Electronics Engineering,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Here, we analyzed the status of the blood banks for their transfusion services and equipment, and especially for the smaller hospitals. The questionnaires

On the production side, the manufacturing sector decreased 3.2 percent, which was mainly due to the declines in transport equipment and general machinery

Abstract –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requirements for electrical equipment in potentially explosive atmospheres and describes how these are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