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ttps://doi.org/10.11111/jkana.2020.26.2.73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김 미 영

1

· 이 지 애

2

· 두 은 영

3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교수1,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생2, 명지병원 간호부 교육행정과장3

Factors Influencing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Kim, Miyoung

1

· Lee, Jihae

2

· Doo, Eun-Young

3

1Professor, College of Nursing, Ewha Womans University

2Graduate Student,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3Nursing Administrator, Department of Nursing, Myongji Hospita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on their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4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admitted to a general hospital. Using a structured-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31, 2018.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IBM SPSS/WIN 22.0. Results: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was pos- itively correlated with e-health literacy (r=.87, p<.001). Factors influencing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were e-health literacy (

β

=.87, p<.001), subjective health statues (

β

=.17, p=.011), health concerns (

β

=-.15, p<.001), number of questions during the hospital treatment (

β

=.14, p=.003), and education (

β

=-.14, p=.048). The input variables explained 70.8% of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althcare providers should provide reliable online health information to patients and encourage health-oriented attitudes in order to communicate about health information that patients obtained from online.

Key Words: Chronic disease; Health communication; Health literacy

주요어: 만성질환, 건강 대화, 건강 리터러시 Corresponding author: Lee, Jiha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52 Ewhayeodae-gil, Seodaemun-gu, Seoul 03760, Korea.

Tel: +82-2-3277-6694, Fax: +82-2-3277-2850, E-mail: jeaniewings@naver.com Received: Aug 5, 2019 | Revised: Oct 11, 2019 | Accepted: Dec 10, 2019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1. 연구의 필요성

오늘날 인터넷 테크놀로지 발달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 션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고 있다[1]. 환자들은 그동안 자신 의 건강관리 및 질병치료 과정에 기존의 수동적인 자세에서 질 병과 자신의 건강상태를 알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 하였다[2].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의 활용은 환자의 지식을

넓히고 환자 스스로가 자신의 건강을 통제한다는 강한 인식을 제공해 줌으로써 건강과 관련한 환자의 참여 증가를 촉진하였 다[3]. 의료인과 환자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환자의 질 환과 관련한 의사결정에 환자의 참여를 이끌고 아울러 의료인 은 환자의 목소리를 들을 기회를 통해 더 포괄적인 케어계획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과 환자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 션을 위한 기술은 환자중심케어에 중요한 원동력이다[3].

2018년 보건복지부 조사에 의하면, 20세 이상 성인의 58.2%

가 고혈압을, 23.9%가 당뇨병을 경험하고 있어[4] 그 수가 결코

(2)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만성질환자들은 질병의 단계와 절차를 이해하고, 일관되게 약물을 복용하는 등 지속적인 자기 돌봄이 요구되며, 다양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변경하면서 건강상태를 조절해 간다[5]. 이러한 과정에서 환자들은 본인에게 적합한 치 료법을 위해 여러 경로로 정보를 습득하여 치료법을 확인하고 선택하며[5], 이 중에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습득은 가장 대표적 인 경로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인터넷이용률은 90.3%, 인터넷 접속률은 99.5%이며[6], 모바일인터넷을 이용하는 목적이 ‘자 료 및 정보습득’이 대부분이고,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의 과반수 이상이 모바일인터넷을 통해 삶의 질이 상승되었다고 응답하 였다[7]. 미국에서도 인터넷 이용률은 76.2%로[5], 의료서비스 이용, 인터넷 뱅킹, 오락, 사회화 등 광범위한 용도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8]. 인터넷을 이용하여 건강 관련 정보를 적극 적으로 찾고 활용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e-헬스 리터러 시 개념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9].

e-헬스 리터러시(e-health literacy)는 온라인상에서 건강정 보를 추구하고, 탐색하며, 이해, 평가하는 능력이자, 건강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서 얻어진 지식을 적용 및 전달하는 능력이다 [10]. e-헬스 리터러시는 개인의 건강을 관리하는 관련 지식의 수준을 의미하며,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9] 자 가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 의 e-헬스 리터러시를 파악하는 것은 개인의 건강관리를 이해 하고 도움을 제공하는데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정보기술 강국 이라는 명성에 비해 온라인 건강정보 이용과 그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11], e-헬스 리터러시 중 건강과 관련 한 정보를 구분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12].

의료인과 환자 간에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은 환자를 미래 의 자신의 건강케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한다는 의미에 서 중요하다. 따라서 의료인은 환자의 요구를 확인하고 커뮤니 케이션에 필요한 기술과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3]. 그러나 환 자들은 의료인이 자신의 말에 경청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온 라인에서 습득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거나 의료진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다[3]. 환자와 의료인과의 대화가 원활하지 않으 면, 환자들은 자신의 말을 꺼내기를 두려워하고[12] 치료의사 결정에 소극적으로 임하게 된다[2]. 의료진이 먼저 온라인상의 건강정보에 대해 물어볼 때 환자는 의료진과의 커뮤니케이션 이 향상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12].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간호사가 환자의 말을 공감하는 친화적인 의사소 통을 하고 적절한 건강 정보를 제공할 때 환자의 신뢰만족도가 높은 의사소통이 가능하였다[13]. 특히 만성질환자는 의료인 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였을 때 의료인과의 관계가 좋아지

고, 질병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14]. 이 러한 결과는 건강케어에 대한 환자참여를 높이기 위해 의료진 이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을 의미한다.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1]에서 남녀의 인터넷 사용 정도가 많을수록 e-헬스 리터러시가 증가하며, 의사와의 의사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가 인 터넷을 통해 습득한 정보가 많을수록 의사와의 의사소통이 활 발한 것으로 나타났다[15]. 국내에서 2004년에 조사된 연구에 의하면, 인터넷상에서 건강정보를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이용과 행동변화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16]에서 대상 자의 20.5%가 인터넷에서 찾은 정보를 의사와 상의한 적이 있 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당뇨병 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의사 와 환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5]. 이와 같이 국내 ․ 외 선행문헌에서 e-헬스 리터러시가 의사 -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는 있지만 국내에 서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는 한 편으로 제한되어 있다.

특히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 매체가 대중화된 오늘날 의료진은 인터넷상에서 건강정보를 습득하는 의료소비자에 대한 관심 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 선행문헌에 서는 의료인을 주로 의사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였지만 본 연구 에서는 의료인을 의사뿐 아니라 건강정보를 교환하는데 중요 한 역할을 하는 간호사를 포함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e-헬스 리터 러시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 로써 만성질환자들이 자신의 건강케어와 관련한 의사결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돕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자 시도되었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 환자 커뮤니케이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만성질환자와 의료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 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 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및 인터넷 사용 관련 특성에 따른 e-헬스 리터러시, 의료인-환자 커 뮤니케이션의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3)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환자 커 뮤니케이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 (IRB No.: 166-2)의 승인 후, 서울시에 소재하는 3개의 종합병 원에서 당뇨병 또는 고혈압을 진단받고 내과외래를 이용하는 성인 대상자를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대상자 수는 G*Power 3.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을 기준으로 유의수준 .05, 검정력 .95, 중간효과의 크기인 .15[9], 예측변수 11개(e-헬스 리터러시, 일반적 특성 3개, 건강 관련 특성 5개, 인터넷 사용 관 련 특성 2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최소로 필요한 표본 수는 178명이었다. 탈락율을 고려하여 배부된 자료는 186부였고, 이 중 누락된 문항이 있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184부(99%)가 최종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3. 연구도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 령, 학력), 건강 관련 특성(주관적인 건강상태, 건강에 대한 관 심, 만성질환의 진단명과 진단받은 시기, 외래 이용 시 의료인 에게 질문횟수), 인터넷 사용 관련 특성(인터넷 사용시간과 활 용 목적)으로 구성되었다.

1) e-헬스 리터러시

e-헬스 리터러시는 Norman과 Skinner [10]가 개발한 e-health (e-health Literacy Scale)를 Lee 등[1]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총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의 점수는 ‘전 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 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5점 Likert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Norman과 Skinner [11]의 도구 개발 당시 Cronbach’s ⍺는 .88이었으며,

Lee 등[1]의 연구에서의 Cronbach’s ⍺는 .88이었고, 본 연구 에서의 Cronbach’s ⍺는 .93이었다.

2)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은 Oh와 Lee [15]가 Dutta-Bergman [17]의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Provider-physician Com- munication)’ 척도와 Tran 등[18]의 ‘커뮤니케이션에서의 환 자의 확신(How to Talk to Your Doctor)’ 척도를 수정 ․ 보완 하여 개발한 의사-환자 간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총 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의 점수는 ‘전혀 그 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은 편이다’ 2점, ‘보통이다’ 3점, ‘대체 로 그런 편이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5점 Likert 척도이 다. 원 도구에서는 환자가 의료인과 상담 시 의사소통에 대한 적극성과 진료참여 정도에 대한 의도를 미래형으로 질문한 내용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환자가 내과 외래를 방문한 후 의 료인(의사, 간호사)과의 실제적인 커뮤니케이션 정도를 질문하 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도구의 문항에서 ‘의사’ 용어 대 신에 ‘의료인’을, 미래형 시제 대신에 과거형으로 동사 시제를 바꾸어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의료인과 환자 간에 커뮤니 케이션이 높음을 의미한다. Oh와 Lee [15]가 개발한 도구의 신뢰 도 Cronbach's ⍺는 .90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 는 .92였다.

4. 자료수집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 이후 2018 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서울시 소재 3 개 종합병원의 간호부서장에게 공문을 전달하고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자료수집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내과 외래 책임자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여 모집 문건을 통 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에 대한 허락을 받았다. 연구에 자발적으 로 참여하고자 하는 대상자는 유선 상으로 대상자가 원하는 날 짜와 시간을 정한 후, 내과외래 대기실에서 연구자가 면대면으 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서면으로 획득한 후 설문조 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전에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의료인 에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가 지칭되며, 설문 문항 중 ‘진료 시 질 문 횟수’는 의사와의 면담 뿐 아니라 간호사로부터 받는 교육에 대한 질문 횟수도 포함한다는 것을 설명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 도록 하였다. 설문을 작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15~20 분이었으며, 연구자는 설문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4)

5. 자료분석

본 연구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 이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e-헬스 리터러시, 의료인- 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는 백분율과 평균, 표준편차 등 기 술통계로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e-헬스 리터러시, 의 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의 차이는 t-test, ANOVA로, 사 후 검증은 Scheffé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 석하였다.

 e-헬스 리터러시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6.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소속된 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 를 거쳐 승인(IRB No.: 166-2)을 받은 후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 연구참여 절차 및 방법, 익명성 및 비밀 보장 등에 관한 사항을 설명하였으며, 연구참여 의 자발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구참여에 동의하지 않거나 동의 를 철회하더라도 어떠한 불이익이 없음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 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는 ‘성별, 나이, 최종학력, 인터넷 사용 시간, 인터넷 활용목적, 건강상태, 건강관심정도, 질환 진단명, 질환을 진단받은 기간, 진료 받는 동안 질문횟수’이며, 수집된 개인정보는 잠금 장치가 있는 사물함에 보관하여 연구책임자 만 접근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연구가 종료된 시점부터 3년간 보관한 후 파쇄기로 파쇄될 것임을 설명하였다. 대상자가 동의 를 철회한 경우 참여자가 연구에 참여한 기간 동안 수집된 자료 는 즉시 폐기하고 개인정보를 포함한 연구자료는 본 연구 이외 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참여 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2,000원 상당의 사무용품을 지급하였다.

연 구 결 과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및 인터넷 사용 관련 특성

대상자 총 184명 중 여성이 57.1%(105명), 남성이 42.9%(79

명)이었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만 46.9±11.6세이었고, 교육 정도는 대졸 이상이 54.3%(100명)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진 단명은 주로 당뇨병 63.6%(117명)과 고혈압 30.4%(56명)이었 으며, 만성질환으로 진단받은 기간은 평균 4.87±3.61년이었 다. 대상자의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건강하다’가 43.5%(80명),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는 ‘매우 관심있다’가 70.1%(129명)로 가 장 많았다. ‘진료 받는 동안 질문횟수’는 평균 3.34±2.07회였 다. 대상자의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은 3시간 간격으로 분류되 었으며[19], 평균 2.39±0.69시간이었다. 인터넷의 주된 활용 목적은 정보검색이 64.1%(118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14.1%(26명) 순이었다(Table 1).

2.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 환자 커뮤니케 이션 정도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는 5점 척도상 평균 2.92±0.93점 이었다.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은 ‘나는 인터넷에서 어렵지 않 게 유용한 건강정보를 찾는 방법을 알고 있다’(3.33±1.09점)이 었으며, 가장 낮은 문항은 ‘나는 인터넷에서 찾은 건강정보가 양질의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2.35±1.12점)이었다. 대상자 의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는 5점 척도상 평균 3.12±

0.95점이었으며, 평균이 가장 높은 문항은 ‘나는 치료방법을 선 택하기 전에, 잘 이해하지 못한 점에 대해 의료인에게 적극적으 로 물어본다’(3.55±1.09점)이었으며, 평균이 가장 낮은 문항 은 ‘나는 만성질환과 관련한 나의 경험에 대해 의료인에게 이 야기한다’(2.85±1.12점)이었다(Table 2).

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관련 특성 및 인 터넷 사용 관련 특성에 따른 e-헬스 리터러시와 의 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의 차이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F=5.92, p<.001), 학력(F=10.11, p<.001)이, 건강 관련 특성 에서는 주관적인 건강상태(F=5.34, p=.006), 건강에 대한 관심 정도(F=2.03, p=.041), 진료 동안 질문횟수(F=4.10, p=.002) 가, 인터넷 사용 관련 특성에서 인터넷 사용시간(F=2.55, p=

.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의료인-환자 커뮤니케 이션 정도는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F=5.83, p<

.001)이, 건강 관련 특성에서는 주관적인 건강상태(F=2.04, p=

.043)와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F=3.19, p=.044), 진료 동안 질 문횟수(F=3.80, p=.025)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able 3).

(5)

Table 1. Socio-demographic, Health Related, Internet Usag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84)

Variables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M±S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Gender Female

Male

105 79

(57.1) (42.9)

Age (year) 20~29

30~39 40~49 50~59

≥60

15 34 53 52 30

(8.2) (18.5) (28.8) (28.3) (16.2)

46.9±11.6

Education ≤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11 73 100

(6.0) (39.7) (54.3)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

Diagnosis Diabetes

Hypertension Diabetes and hypertension

117 56 11

(63.6) (30.4) (6.0)

Diagnostic period (year) 4.87±3.61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y Ordinary Unhealthy

80 42 62

(43.5) (22.8) (33.7) Health concern Very interested

Ordinary Not interested

129 42 13

(70.1) (22.8) (7.1) Number of question

during the hospital treatment (time)

None 1~5 6~10

>10

11 94 66 13

(6.0) (51.1) (35.9) (7.0)

3.34±2.07

Internet usage related characteristic

Internet usage time (hour) <1 1~<3 3~<6

≥6

13 96 66 9

(7.0) (52.2) (35.9) (4.9)

2.39±0.69

Internet usage purpose Searching

Social network service Online shopping Game

118 26 20 20

(64.1) (14.1) (10.9) (10.9)

4.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 환자 커뮤니 케이션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의 상 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r=.87, p<.001) 를 나타냈다. 즉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의료인-환자 커 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5.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하기 위해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 낸 변수 중 학력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 진료 동안 질문횟수 및 e-헬스 리터러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 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독립변수 중 학력, 주관적인 건강상태,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는 더미변 수로 처리하였다.

먼저 독립변수에 대한 회귀분석의 기본 가정 사항을 점검하 기 위해 다중공선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공차한계(tolerance) 는 0.30~1.00로 1.0 이하이었고,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u- ence Factor [VIF])는 1.08~3.29로 모두 10 이하였으며, 독립변 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90 이하로 나타나 독립변수 간에는 다

(6)

Table 2. Level of e-health Literacy and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N=184)

Variables Categories M±SD

e-health literacy 1. I know how to find useful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3.33±1.09 2. I know how to use the internet to solve my health problems. 3.23±1.13 3. I know what health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internet. 3.08±1.08 4. I know where to find useful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3.05±1.17 5. I know how to use the health information I found on the internet. 3.01±1.17 6. I have the ability to evaluate health information found on the internet 2.53±1.14 7. I can tell if the health information I found on the internet is good. 2.35±1.12 8. I'm confident in using internet health information to make health decisions. 2.78±1.06

Average 2.92±0.93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1. When I consult with a healthcare provider, I do my best to have an effective consultation.

3.38±1.09

2. Before choosing a treatment option, I ask healthcare providers about all matters that I don't understand.

3.55±1.09

3. When I find some information regarding my disease, I bring them to the healthcare provider.

3.18±1.16

4. I try to get practical information for my disease management from healthcare providers for my disease management.

2.93±1.11

5. I tell healthcare providers about my experiences of living with diseases. 2.86±1.19 6. When I communicate with a healthcare provider, I fulfill my role as a good

patient.

2.85±1.12

7. When I see a healthcare provider, I try to communicate more things with the healthcare provider

3.08±1.18

Average 3.12±0.95

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다중회귀모형에서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e-헬스 리터러시(β=.87, p<.001), 주관 적인 건강상태(β=.17, p=.011),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β=-.15, p<.001), 학력(β=-.14, p=.048), 진료 동안 질문횟수(β=.14, p=.003)이었으며, 이 중 e-헬스 리터러시가 가장 중요한 예측 변수이었다. 본 연구의 다중회귀모형은 건강제공자-환자 커뮤 니케이션 정도에 대해 .78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45.32, p<.001).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의료인과 환자 간의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

시는 미국의 만성질환자나 만성폐쇄성폐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17,18]와 국내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9]에서의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e-헬스 리터러시에 영향 을 미치는 대상자들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그 연유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만성질환자는 주로 40~50대를 이루었지만 선행연구에서 국내 만성질환자는 20~40대로 구성되어 있어 연령의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연령 이 75.1세 이상은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에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에[20]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 이용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 되므로 e-헬스 리터러시 점수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사료된 다. 반면에 미국의 만성폐쇄성폐질환자는 평균 나이가 66.19세 이었지만 만성폐쇄성폐질환 협회의 회원으로 대부분 백인이 고 교육수준이 높아 대상자들을 편중 선택하였음을 제한점으 로 제시하였으므로[21] 점수들이 기본적으로 높았을 것이라 사료된다. 대상자들은 e-헬스 리터러시 중 인터넷에서 유용한

(7)

Table 3. e-health Literacy and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Health Related,

Internet Usage Related Characteristics (N=184)

Variables Characteristics Categories

e-health literacy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M±SD t or F (p)

Scheffé́ M±SD t or F (p) Scheffé́

Socio-

demographic characteristic

Gender Female

Male

24.86±6.73 21.37±7.97

1.71 (.184)

23.19±6.06 20.05±6.97

2.31 (.102) Age (year) 20~29a

30~39b 40~49c 50~59d

≥60e

29.67±7.22 25.26±7.32 23.74±6.45 21.88±7.46 19.93±7.22

5.92 (<.001) a>d, e

27.00±6.30 23.59±6.12 21.60±5.58 21.62±6.80 18.10±6.82

1.47 (.233)

Education ≤Middle schoola High schoolb

≥Collegec

15.73±3.17 22.19±7.43 25.05±7.18

10.11 (<.001) a<b<c

14.09±4.70 21.42±6.68 23.00±6.20

5.83 (<.001) a>b, c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

Diagnosis Diabetes

Hypertension Both

24.18±7.28 21.80±7.43 22.55±8.96

2.00 (.137)

22.19±6.75 21.27±5.93 21.9±8.92

.43 (.647)

Subjective health statues

Healthya Ordinaryb Unhealthyc

29.60±5.36 19.24±5.42 18.10±4.41

5.34 (.006) a>b>c

27.30±4.57 18.24±5.68 17.24±3.71

2.04 (.043) a>b, c Health concern Very interesteda

Ordinaryb Not interestedc

24.53±7.44 22.05±6.79 15.92±4.69

2.03 (.041) a>b, c

23.09±6.55 20.48±5.39 13.92±4.69

3.19 (.044)

a>c Number of

question during the hospital treatment (time)

Nonea 1~5b 6~10c

>10d

12.73±2.32 18.80±4.28 29.82±4.22 32.54±4.48

4.10 (.002) a, b<d

12.45±3.44 18.02±4.39 27.20±3.70 30.23±2.83

3.80 (.025) a<b<c<d

Internet usage related characteristic

Internet usage time (hour)

<1a 1~<3b 3~<6c

≥6d

13.38±2.02 22.83±6.82 25.92±7.18 24.56±8.78

2.55 (.030) a, b<d

12.62±4.52 21.60±6.29 23.71±5.89 24.00±7.09

12.47 (.500)

Internet usage purpose

Searching

Social network service Online shopping Game

22.40±7.39 27.81±7.47 23.40±5.09 23.20±8.25

1.71 (.184)

21.03±6.54 25.50±6.24 21.35±4.95 22.35±7.83

.16 (.850)

Table 4. Correlation Matrix of e-health Literacy and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N=184)

Variables e-health literacy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r (p) r (p)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87 (<.001)

Diagnostic period (year) .14 (.058) .13 (.063)

정보를 찾는 방법에 가장 높게 응답한 반면, 인터넷에서 찾은 건강정보가 양질인지를 판단하는 문항에는 가장 낮은 응답을 나타냈다. 이는 정보검색은 휴대폰, 컴퓨터 등을 통해 간편하

게 가능한 반면 매체를 통해 획득한 건강정보가 적절한 정보인 지 판단하는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문헌에서도 만성폐쇄성폐질환자들은 인터넷에서 건강정보의 질을 구분

(8)

Table 5. Predictors of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by Multiple Leaner Regression Analysis (N=184)

Variables Categories B SE β t p Tolerance VIF

Education ≤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reference)

-0.36 -0.07

0.18 0.20

-.14 -.66

-2.00 0.51

.048 .613

0.92 0.75

1.08 2.05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y (reference) Ordinary

Unhealthy

1.23 2.58

0.76 1.00

.21 .17

3.00 2.57

.079 .011

0.95 0.30

2.43 3.29 Health concern Very interested (reference)

Ordinary Not interested

0.24 -2.23

0.04 0.77

.17 -.15

-0.62 -2.88

.539

<.001

1.08 0.37

0.30 2.66 Number of question during

the hospital treatment

1.49 0.49 .14 3.03 .003 0.77 1.28

e-health literacy 0.77 0.03 .87 23.44 <.001 1.00 1.00

R2=.72, Adj. R2=.71, F=45.32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제시하였다[21]. 이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를 구분하기 어려운 이유에는 출처의 범위가 상 당히 다양하다는 것과 고도로 기술적인 언어가 제시되며[22], 인터넷을 통해 이용할만한 정보의 질과 정확성 및 안전을 파악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23]. 따라서 추후에 의료진은 환자들이 이용하는 건강 관련 웹사이트를 조사해야 하며, 이러 한 결과물이 축적된다면 인터넷을 통해 얻은 건강정보의 적절 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도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본 연구에서는 e-헬스 리터러시 점수 중 인터넷에서 찾은 건 강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냈지만 Lee 등[9]이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e-헬스 리 터러시 점수가 낮은 이유로 획득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 거나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으로 보았 다. 따라서 추후 e-헬스 리터러시 조사 시 대상자들이 결과를 적 용하거나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만성질환자의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는 본 연구와 동일한 도구를 사용한 선행연구[15]와 비교해 볼 때 더 낮은 점 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Oh와 Lee [15]의 연구에서는 온 라인상에서 당뇨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당뇨병 환자가 의사와 얼마나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의도를 측 정한 반면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가 내과외래 방문 시 의료진과 실제로 의사소통을 한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 다. 의료인과 환자 간의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는 요인으로 환자 들은 의사가 온라인 건강정보에 대해 의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인식하였고 환자들이 비록 인터넷을 통해 건강정보 를 활용하더라도 의료인과 건강정보에 대한 대화를 나누지 않

았음을 제시하였다[24]. 그러나 의사가 환자들에게 온라인 건 강 정보를 찾았는지를 직접 물어 보는 등 의사가 주도하는 질문 이 있을 때 환자와 의사간에 의사소통이 촉진될 수 있었다[12].

한편으로 환자가 질문을 할 때 의사와 환자 간의 의사소통이 촉 진되었다[25]. 이는 환자가 의사의 요구나 지시를 충실히 따르 기보다 의료진에게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행동에 참여할 때 치료 성과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여[2] 의료인뿐 아 니라 환자도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e-헬스 리터러시는 대상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중 연령과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20-29 세인 대상자군이 50세 이상의 대상자군보다 e-헬스 리터러시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e-헬스 리터러시가 높았다는 연구결과[26]를 뒷받침한다. 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 각종 매체를 통해 건강 관련 지식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았다[1,21]는 주장에 근거해 볼 때 연령이 낮을수록 테크놀로지에 익숙한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e-헬스 리터러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성인의 학력이 e-헬스 리터러시에 중요 한 요인임을 제시한 연구[1,26]와 일치하였다.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에 대한 건강 관련 특성에서는 주 관적인 건강상태와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 진료 동안 질문횟수 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인 식할수록 e-헬스 리터러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는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인터넷상에 서 헬스 리터러시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는 선행연구[1,9]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보통 이

(9)

상’인 경우가 관심이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군보다 e-헬스 리 터러시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 강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e-헬스 리터러시가 높게 나타난 연 구결과[27]를 뒷받침한다. 본 연구의 만성질환자 중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하는 군이 아울러 건강에 대한 관심도 가 높아 온라인 건강정보를 더욱 적극적으로 탐색하였을 것으 로 예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진료 받는 동안 의료인에게 하는 질문횟수가 10회 이상인 경우가 5회 미만인 군보다 e-헬스 리 터러시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료 동안 의료 인에게 하는 질문횟수는 당뇨병 환자가 인터넷을 통해 질병 관 련 정보를 얻음으로써 의료인에게 더 많은 질문을 하게 되었다 는 선행연구[28]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는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정보를 추구하는 행위와 관련이 있 으며[9], 건강 관련 행위는 e-헬스 리터러시의 영향요인[27]이 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이렇듯 e-헬스 리터러시는 만성질 환자가 지각하는 건강이나 질병의 위험성, 건강에 관심을 가지 는 정도와 의료인에게 질문하는 횟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 므로 단순히 정보격차의 수준에서 뿐 아니라 건강을 관리하는 측면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대상자의 e- 헬스 리터러시에 대한 인터넷 사용 관련 특성 중에서는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하루에 인터넷을 이 용하는 시간이 1시간 이상인 대상자군은 인터넷을 이용하지 않는 대상자군보다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 다. 이는 전자기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인터넷 이용 빈도가 높 을수록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1,21]

를 뒷받침한다.

본 연구에서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는 대상자의 인 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 이 고졸 이상인 경우 중졸 이하의 대상자군보다 의료인-환자간 의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일수록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 도가 높게 나타난 선행연구[1]와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결과 는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건강제공 자와의 의사소통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 의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에 대한 건강 관련 특성에서 는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 진료 동안 의료 인에게 하는 질문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군이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보통 이하인 대상자군보다, 건강에 관심이 있는 대상자군이 관심이 없는 경우보다, 진료 동안 의료인에게 질문하는 횟수가 많을수 록 의료인-환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헬스케어 제공자가 진료 시 쉽게 설명해주고 환자 를 동등하게 대해 주었을 때 대상자의 주관적인 건강수준이 높 게 나타난 선행연구[29]와 환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와 의 료진과 환자 간에 의사소통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1]를 뒷받 침한다. 의료인이 환자중심 커뮤니케이션을 할수록 환자가 본 인의 진료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는 연구결과[2]에 근거 해보면, 의료인과 환자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진료 동안 환자의 질문횟수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대상자의 e-헬스 리터러시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1]를 지지한다. 또한 환자들 이 온라인상에서 습득한 건강정보가 양질인지를 판단하기 위 해 의료인과 소통한다는 연구결과[12]를 통해 환자가 인터넷 을 통해 자신의 질환에 관한 정보를 탐구하고 평가하는 것과 의 료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과는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그러나 환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습득한 건강정보를 의료인 과 공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30]에서는 이러한 이유가 의료인이 무관심한 경우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의료인 은 환자와 의사소통 시 환자가 의사표현을 하도록 먼저 질문하 고 경청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대상자의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는 e-헬스 리터러시, 주관적인 건강상태, 건강에 대한 관심 정도, 진료동안 질문횟수, 학력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e-헬스 리터러시는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만성질환자들은 e-헬스 리터러시 중 컴퓨 터 이용능력은 원활하나 건강정보의 질적인 수준을 구별할 수 있는 건강정보능력에는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의료진은 헬스 리터러시를 통해 얻는 정보의 질적인 수준을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환자들의 e-헬스 리터러시를 사정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중 요하다고 본다. 또한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건강에 대한 관심정 도가 높고 진료 동안 의료인에게 하는 질문횟수가 높을수록 의 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자 들이 의료인과 적극적으로 대화하는 것은 환자 중심 의료서비 스를 향상시키고[3]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건강지향적인 태 도를 독려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 로, 본 연구의 회귀모형에서 대상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의료인 -환자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양질의 건강정보를 획득하고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으며[26], 이러한 능력을 토대로 진료 시 의

(10)

료인과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종합 적으로 볼 때, 간호사는 만성질환자와 의사소통 시 환자의 개인 적 특성을 고려해야 하고, 폐쇄형 질문보다 개방형 질문을 하 는 등의 의사소통전략의 필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만성질환자 가 자신의 질환과 건강관리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건강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간호학적 의의를 살펴보면, 본 연구 의 만성질환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획득한 건강정보를 올바르 게 판단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을 나타냈으므로 간호사들은 인 터넷에서 얻은 건강 관련 정보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이러한 측면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e- 헬스 리터러시가 의료인과 환자와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특히 연령이 높고 교육 수준이 낮으며 건강지향이 낮은 대상자들이 기본적인 건강정보를 얻고,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나타냈으며 이는 정보의 격차나 왜곡으로 인해 건강 불균형의 문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대상자군을 교육할 때 이 러한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만성질환자 와 의료인과의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원활할 때 환자들이 자신 의 건강관리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므로[2] 환자와 의료인 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는 환자들이 온 라인을 통해 얻은 건강정보를 활용할 때 의료전문요원과 상담 하여 확인하도록 교육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의료인-환자 의 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 의 결과, 만성질환자의 e-헬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의료인-환 자 커뮤니케이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e-헬스 리터러시, 주관 적인 건강상태,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 진료 동안 질문 횟수, 학 력 순으로,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의료인-환자 커뮤니케이션 총 변화량의 .7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환자가 온라인을 통해 얻은 건강정보에 대해 의료인과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려면 e-헬스 리터러시가 높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의료진이 환 자에게 양질의 신뢰가 있는 온라인 건강 정보를 안내하고 건강 지향적인 태도를 독려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일개 지역의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기 때문에 추후에는 의료인과 환자의 커뮤니케이션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의료환경 변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의료인과 환자의 커뮤니케이션 정도와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환자의 입장에서만 측정하였으므로 추후 연구 에서는 의료인과 환자의 입장을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의료인- 환자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 다. 또한 본 연구의 만성질환자들은 온라인을 통해 얻은 건강정 보를 올바르게 판단하는 데 가장 큰 어려움을 나타냈으므로 추 후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얻은 건강정보의 적절성을 판단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연구를 시도해 볼 것을 제언 한다.

REFERENCES

1. Lee BK, Byoun WJ, Lim JL.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e- health literacy on doctor-patient communication.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010;27(3):89-125.

2. Lee JH, Kim CJ. Effect of doctors' patient-centered communica- tion on the patient satisfaction and treatment outcomes: Focus- ing on medicating effect of patient particip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1):249-260.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249

3. Carr DD. Motivational interviewing supports patient centered- care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New York Nurses Association. 2017;45(1):39-43.

4. Shin JW, Cho BH, Choi BR, Shin JY, Cheon MK, Lee YJ. 2019 Medical service experience survey. Sejong: KIHASA; 2019.

5. Bodenheimer T, Lorig K, Holman H, Grumbach K. Patient self-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 in primary car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2;288(19):2469-2475.

https://doi.org/10.1001/jama.288.19.2469

6.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R). Internet usage survey. Statis- tical information report. Sejong: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8.

7.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Mobile internet usage survey.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5.

8. Ryan C. Computer and Internet Use in the United Stated: 2016 [Internet].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8. [updated 2018, August 8; cited 2018 September 25] Available from

https://www.census.gov/library/publications/2018/acs/acs -39.html

9. Lee S, Son H, Lee D, Kang H. The influence of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 vior on the interne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ellness. 2017;12(4):55-67.

https://doi.org/10.21097/ksw.2017.11.12.4.55

10. Norman CD, Skinner HA. eHEALS: The eHealth Literacy Scal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06;8(4):e27.

https://doi.org/10.2196/jmir.8.4.e27

11. Park HS. U-Healthcare, grow is promising. Asia Business Daily.

(11)

April 23, 2009. Available from:

https://cm.asiae.co.kr/article/2009042306023925316.

12. Silver MP. Patient perspectives on online heal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ith doctors: A qualitative study of patients 50 years old and over.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5;

17(1):1-15. https://doi.org/10.2196/jmir.3588

13. Lee JH, Shin EJ, Park JH, Kim MY, Moon H. Nurses' communica- tion strategies for trust-satisfaction improvement of outpati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17(1):619-633.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1.73

14. Cappuccio A, Bugliaro F, Caimmi SME, Caldarelli V, Caminiit L, D'Auria E, et al. Consesnsus communication strategies to improve doctor-patient relationship in paediatric severe asth- ma. Italian Journal of Pediatrics. 2019;45(1):1-7.

https://doi.org/10.1186/s13052-019-0623-0

15. Oh HJ, Lee BK. The effect of computer-mediated social support in online communities on patient empowerment and doctor-pa- tient communication. Health Communication. 2012;27(1):30-41.

https://doi.org/10.1080/10410236.2011.567449

16. Rye SW, Ha YJ.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4;97:71-86.

17. Dutta-Bergman MJ. The relation between health-orientation,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An individ- ual difference approach. Health Communication. 2005;18(3):

291-303. https://doi.org/10.1207/s15327027hc1803_6 18. Tran AN, Haidet P, Street RL, O'Malley KJ, Marin F, Ashton

CM. Empowering communication: A community-based inter- vention for patients. Patient Education Counselling. 2004;52(1):

113-121. https://doi.org/10.1016/S0738-3991(03)00002-8 19. Park JW, Kim MY. A comparison study of e-health literacy and

self-care agency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non-health de- partment wome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 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7;23(4):439-449.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4.439

20. Martinez CH, St Jean BL, Plauschina CA, Rogers B, Beresford J, Martinez FJ, et al. Internet access and use by COPD patients in the national emphysema/COPD association survey. BMC Pulmonary Medicine. 2014;14(1):66.

https://doi.org/10.1186/1471-2466-14-66

21. Stellefson ML, Shuster JJ, Chaney BH, Paige SR, Alber JM,

Chaney JD, et al. Web-based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eHealth literacy among patient living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Health Communication. 2018;33(12):

1410-1424. https://doi.org/10.1080/10410236.2017.1353868 22. Madrigal L, Escoffery C. Electronic health behaviors among

US adults with chronic disease: Cross-sectional survey. Jour- 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9;21(3):e11240.

https://doi.org/10.2196/11240

23. Eysenbash G. The new health-related top-level domains are coming: Will Cureforcancer.health go to the highest bidder?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4;16(3):e73.

https://doi.org/10.2196/jmir.3358

24. Francis Lau MP, Karim K. From benefits evaluation to clinical adoption: Making sense of health information system success in Canada. Healthcare Quarterly. 2011;14(1):39-45.

https://doi.org/10.12927/hcq.2011.22157

25. Cegala DJ, Chisolm DJ, Nwomeh BD. Further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patient participation on physicians' communica- tion style. Patient Education Counselling. 2012;89(1):25-30.

https://doi.org/10.1016/j.pec.2012.03.022

26. Tennant B, Stellefson M, Dodd V, Chaney B, Chaney D, Paige S, et al. eHealth literacy and web 2.0 health information seek- ing behaviors among baby boomers and older adult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5;17(3):e70.

https://doi.org/10.2196/jmir.3992

27. Lee SM, Nam YH.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be- 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2018;19(2):77-86.

28. Aponete J, Nokes KM. Electronic health literacy of older His- panics with diabet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17;32 (3):482-489. https://doi.org/10.1093/heapro/dav112 29. Paige SR, Kreiger JL, Stellefdon M, Alber JM. eHealth literacy

in chronic disease patients: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the eHealth literacy scale (eHEAL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17;100(2):320-326.

https://doi.org/10.1016/j.pec.2016.09.008

30. Wong DK, Cheung M.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eHealth literacy among patients attending a primary care clin- ic in Hong Kong: A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9;21(3):e10831.

https://doi.org/10.2196/10831

수치

Table 1. Socio-demographic, Health Related, Internet Usag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N=184)
Table 2. Level of e-health Literacy and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N=184)
Table 3. e-health Literacy and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Health Related,
Table 5. Predictors of Healthcare Provider-patient Communication by Multiple Leaner Regression Analysis  (N=184)

참조

관련 문서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일반적인 구성은 탄력성을 가진 단결정 실리콘 막에 4개의 저항기를 달고 이 저항기들을 휘트스톤 브리지(전기 저항 측정기) 회 로와

두 효과가 서로 반대로 작용하는 경우를 조심하라(순 효과는 항상 뚜렷하 지 않다). 사실, 최대 온난 이류는 일반적으로 발달히는 저기압에서 양의

구름이 만들어지고 강수과정이 나타나는 지구 대류권에서 기화열은 융해열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지표부근 대기에서는 등온선과

불안정한 대기에서는 단열 냉각이 상승 운동에 미치는 효과 또는 단열 승 온이 하강 운동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에, 불안정은 오메가(상승 과 하강

따라서, 고도가 높은 단일층 구름에서 대류권 냉각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반면, 고도가 낮은 단일층 구름에서 대류권 냉각이 가장 크게 일어난다.... 나머지 4%는

여름철 집중호우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형태는 중규모 대류계(Mesoscale Convective Systems, MCSs)이다... 하층제트는

빙정의 균질 핵생성은 빙정핵 또는 응결핵을 포함하지 않은 순수한 과냉각 수적의 동결이나 온도가 0°C 이하인 수증기 가 과포화 상태에서 빙정핵이 없이 수증기 분자들 간의

최근 국민 생활수준 향상으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다소 보수적인 예보보다는 나타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예보를 요구하고 있으며, 동네예보 가 이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