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의言語와文字중국의言語와文字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의言語와文字중국의言語와文字"

Copied!
19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국의 言語와 文字

(2)

1. 언어

 오늘날 중국의 56개 민족이 사용하는 언어는 약 80종 이상

 언어학적으로 5개 語系에 10개 語族, 16개 語支로 분류

(3)

(1)시노티베트어계(漢藏語系)

 중국어라고 부르는 漢語, 티베트버마어족(藏緬語族), 캄타 이어족(壯侗語族), 묘요어족(苗瑤語族)로 나뉨

 31개 민족이 사용

 사용 인구가 2000년 현재 74,420,936명(중국 전체 인구의 5.99%)인 가장 큰 언어 집단

<한어(漢語)>

 회족, 써족, 거라오족, 투쟈족 등이 사용

<캄타이어족(壯侗語族)>

 장태어갈래(壯傣語支): 장족언어(壯語), 부의족언어(布依 語), 따이족언어(傣語)

 동수어갈래(侗水語支): 뚱족언어(侗語), 수이족언어(水語), 무라오족언어(仫佬族語), 마오난족 언어(毛南語), 랍가어 (拉珈語, 랍가拉珈라고 자칭하는 요족瑤族이 사용)

 리어 갈래(黎語支): 리족언어(黎語)

(4)

<티베트버마어족(藏緬語族)>

 티베트어갈래(藏語支): 티베트족언어(藏語), 먼바족언어 (門巴族語), 로바족언어(珞巴語, 語支 분류가 어려운 언어 로 보기도 함)

 강어갈래(羌語支): 강족언어(羌語), 푸미족언어(普米語)

 이어갈래(彛語支): 이족언어(彛語), 리수족언어(傈僳語), 나시족언어(納西語), 라후족언어(拉祜語), 하니족언어(哈 尼語)

 아창어갈래(阿昌語支): 아창족언어(阿昌語), 재와어(載佤 語, 징퍼족의 일부가 사용)

 징퍼어갈래(景頗語支): 징퍼족언어(景頗語)

 언어갈래(語支)를 정하기 어려운 언어: 투쟈족언어(土家 語), 바이족언어(白語), 지노족언어(基諾語), 두룽족언어 (獨龍語), 누족언어(怒語), 가융어(嘉戎語, 格魯로 자칭하 는 티베트족藏族이 사용) , 로바족언어(珞巴語)

(5)

<묘요어족(苗瑤語族)>

 묘어갈래(苗語支): 묘족언어(苗語), 포노어(布努語, 布努로 자칭하는 瑤族이 사용)

 요어갈래(瑤語支): 요족언어(瑤語), 써족언어(畬語)

<어족(語族)을 정하기 어려운 언어>

 거라오족 언어(仡佬族語)

 징족 언어(京語): 베트남어와 같은 언어로서, 그 어계를 정 하기 어려워 시노 티베트 어계로 잠정 분류하기도 하지 만 오스트로아시아 어계의 언어로 보기도 함

(6)

(2)알타이어계(阿爾泰語系)

 18개 민족이 사용

 사용 인구는 2000년 현재 29,502,274명(중국 전체 인구의 2.37%)

<만퉁구스어족(滿通古斯語族)>

 만족어갈래(滿語支): 만족언어(滿語), 시버족언어(錫伯語), 허저족언어(赫哲語)

 퉁구스어갈래(通古斯語支): 오로첸족언어(鄂倫春語), 어원 커족언어(鄂溫克語)

(7)

<몽고어족(蒙古語族)>

 語支 구분을 하지 않음

 몽고족언어(蒙古語), 다우르족언어(達斡爾語), 투족언어 (土族語), 똥샹족언어(東鄕語), 보안족언어(保安語), 동부 위구어(東部裕固語: 恩格爾)

<투르크어족(突厥語族)>

 서흉어갈래(西匈語支): 위구르족언어(維吾爾語), 카자흐족 언어(哈薩克語), 싸라족언어(撒拉語), 우즈베크족언어(烏 孜別克語), 타타르족언어(塔塔爾語)

 동흉어갈래(東匈語支): 키르기즈족언어(柯爾克孜語), 서부 위구어(西部裕固語: 堯乎爾)

(8)

<한국어>

 언어학적으로 언어계통을 규명하기 어려워 알타이 어계로 잠정 분류

 조선족언어(朝鮮語)

(9)

(3)오스트로아시아어계(南亞語系)

 2000년 현재 506,427명(중국 전체 인구의 0.04%)이 사용

<몬크메르어족(孟高棉語族)>

 와덕앙어갈래(佤德昻語支): 와족언어(佤語), 더앙족언어 (德昻語), 부랑족언어(布朗語)

(10)

(4)인도유럽어계(印歐語系)

 2000년 현재 56,637명(중국 전체 인구의 0.005%)이 사용.

<이란어족(伊朗語族)>

 동이란어갈래(東伊朗語支): 고산족언어(高山語)

<슬라브어족(斯拉夫語族)>

 동슬라브어갈래(東斯拉夫語支): 러시아족언어(俄羅斯語)

(11)

(5)말레이폴리네시아어계(南島語系)

 2000년 현재 4,461명(중국 전체 인구의 0.0004%)의 고사 족이 사용

<인도네시아어족(印度尼西亞語族)>

 고산족언어(高山語)

(12)

 이처럼 중국의 언어는 매우 많은 어계(語系) ‧ 어족(語族)

‧ 어지(語支)로 나누어지며, 징족 언어(京語)처럼 어계 구 분이 어려운 언어, 거라오족 언어(仡佬族語) ‧ 조선족 언어 (朝鮮語)처럼 어족 구분이 어려운 언어 등이 있음

(13)

2. 문자

 1949년 10월 1일, 中華人民共和國 성립 이전까지 19개 민 족이 24종의 문자를 창제하여 사용하였음

 한(漢): 한문(漢文)

 몽고(蒙古): ①몽고문자(蒙古文), ②신강 몽고문자(新疆蒙 文. 托忒蒙古文)

 티베트(藏): 티베트문자(藏文)

 위구르(維吾爾): 위구르문자(維吾爾文)

 카자흐(哈薩克): 카자흐문자(哈薩克文)

 키르기즈(柯爾克孜): 키르기즈문자(柯爾克孜文)

 조선(朝鮮): 한글(朝鮮文)

 묘(苗): 방괴병음묘문(方塊拼音苗文)

(14)

 징퍼(景頗): 징퍼문자(景頗文)

 이(彛): 이족문자(彛文)

 장(壯): 방괴장자(方塊壯字. 한문을 모방하여 창제)

 라후(拉祜): 라후족문자(拉祜文)

 시버(錫伯): 시버문자(錫伯文)

 러시아(俄羅斯): 러시아 키릴문자(俄羅斯文)

 요(瑤): 방괴요문(方塊瑤文. 한문을 모방하여 창제)

 와(佤): 와족문자(佤文. 라틴문자 자모 형식)

 리수(傈僳): ①리수족문자(傈僳文. 라틴문자 자모 형식),

②율속음절문자(傈僳音節文字)

 바이(白): 방괴백문(方塊白文. 한문을 모방하여 창제)

 따이(傣): ①태륵문(傣仂文, 또는 傣泐文), ②태나문(傣哪 文), ③태붕문(傣繃文), ④금평태‧단문(金平傣文, 傣端文)

(15)

蒙古文

(16)

蒙古文

(17)

蒙古文

(18)

蒙古文

(19)

新疆蒙文. 托忒蒙古文

(20)

新疆蒙文. 托忒蒙古文

(21)

藏文

(22)

藏文

(23)

藏文

(24)

維吾爾文

(25)

維吾爾文

(26)

維吾爾文

(27)

위그르족文字

(28)

위그르족文字

(29)

위그르족文字

(30)

柯爾克孜文

(31)

哈薩克文

(32)

哈薩克文

(33)

哈薩克文

(34)

柯爾克孜文

(35)

柯爾克孜文

(36)

方塊拼音苗文

(37)

方塊拼音苗文

(38)

方塊拼音苗文

(39)

景頗文

(40)

景頗文

(41)

彛文

(42)

彛文

(43)

彛文

(44)

彛文

(45)

彛文

(46)

方塊壯字

(47)

拉祜文

(48)

錫伯文

(49)

錫伯文

(50)

키릴문자

(51)

俄羅斯文 ,러시아 키릴문자

(52)

俄羅斯文 ,러시아 키릴문자

(53)

方塊瑤文

(54)

方塊瑤文

(55)

舊傈僳文

(56)

傈僳音節文字

(57)

傈僳音節文字

(58)

方塊白文

(59)

方塊白文

(60)

方塊白文

(61)

傣泐文

(62)

傣泐文

(63)

傣泐文

(64)

傣哪文

(65)

傣哪文

(66)

傣繃文

(67)

金平傣文, 傣端文

(68)

金平傣文, 傣端文

(69)

金平傣文, 傣端文

(70)

(2)中華人民共和國 성립 이후

 12개 민족이 15종의 라틴자모 형식의 신 문자 창제

 장(壯): 신창장문(新創壯文)

 부이(布依): 신창부의문(新創布依文)

 묘(苗): 검동묘문(黔東苗文), 상서묘문(湘西苗文), 천검전 묘문(川黔滇苗文), 전동북묘문(滇東北苗文)

 뚱(侗): 신창뚱문(新創侗文)

 하니(哈尼): 신창하니문(新創哈尼文)

 와(佤): 친창와문(新創佤文)

 리(黎): 신창리문(新創黎文)

 나시(納西): 신창라시문(新創納西文)

 바이(白): 신창바이문(新創白文)

(71)

 투(土): 신창투족문(新創土族文)

 징퍼(景頗): 신창재와문(新創載瓦文)

 리수(傈僳): 신창리수문(新創傈僳文)

(72)

라틴문자

(73)

新創壯文

(74)

新創壯文

(75)

新創布依文

(76)

黔東苗文

(77)

湘西苗文

(78)

川黔滇苗文

(79)

滇東北苗文

(80)

新創侗文

(81)

新創哈尼文

(82)

新創佤文

(83)

新創佤文

(84)

新創黎文

(85)

新創納西文

(86)

新創白文

(87)

新創白文

(88)

新創載瓦文

(89)

新創載瓦文

(90)

新創傈僳文

(91)

新創傈僳文

(92)

 文字를 創製하는 기본 방식으로 有形物의 形象을 線으로 표시하는 방법. 즉 그림을 簡素化 하는 것임

 例)日, 月, 火, 山, 女, 川, 木

漢字는 여섯가지 방법에 의해 창제되었다고 하는데 그것을 「六書」라고 함 가. 創製法

象形

 점이나 線 따위를 짜 맞추어 抽象的인 事物을 表示하거나, 旣存의 象形文字 에 간단한 記號를 붙여 位置․動作․性質을 나타냄

 例) 上. 下, 立, 大, 甘, 一, 二, 三, 四, 本, 末, 凹, 凸 指事

(3)漢字의 創製法 ‧ 特性 ‧ 長短點

(93)

 두 개 이상의 旣存의 文字를 모아 한 글자를 만들고, 또 그 뜻도 합성하는 것

 例) 武=戈+止 明=日+月 好=女+子 信=人+言 星=日+生 格=木+各 會義

 諧聲이라고함

 旣存의 文字 두 개를 합하여 한 글자를 만들고 한 쪽은 뜻을, 한 쪽은 音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

 許愼의 [說文解字]에 수록된 9,353字 가운데 7,696字가 形聲法에 의해 만들 어졌음

形聲

(94)

 戔(전, jian)(얕다․적다)이 붙의면 모두 「얕다」 혹은 「적다」의 意味를 지 님

 辰(신, chen)(움직이다)이 붙으면 모두 움직인다는 意味를 지님 淺(천, jian): 물이 얕다

盞(잔, jian): 그릇이 작다 棧(잔, zhan): 나무가 작다

賤(천, jian): 재물이 적다 錢(전, qian): 돈이 적다

震(진, zhen): 구름이 움직이는 것 唇(脣)(순, chun):입의 움직이는 부분

娠(신, shen): 여인이 애를 배서 배가 움직이는 것 振(진, zhen): 손이 움직이는 것

晨(신, chen):해가 움직여 뜰 때

(95)

轉注

 어떤 한 글자를 딴 뜻으로 轉用하는 것. 경우에 따라서는 그 音을 바꾸기도 함

 例)「樂」을 「중국발음: 웨, 한국발음: 악」로 읽어 「풍류」를 뜻하던 것을 「중 국발음: 러, 한국발음: 락」으로 읽어 「즐기다」는 뜻으로 전용하거나, 혹은 「 중국발음: 야오, 한국발음: 요」로 읽어 「좋아하다」는 뜻으로 전용하는 것.

그리고 「惡」을 「중국발음: 어, 한국발음: 악」으로 읽어 「악하거나 모질다」

는 뜻으로 쓰던 것을 「중국발음: 우, 한국발음: 오」로 읽어 「미워한다」는 뜻 으로 전용하는 것

 그런데 일설에는 部首가 같은 글자의 경우 그 部首가 가지고 있는 뜻을 지니 도록 하는 것이라고도 함

 例)考․孝가 「老」部에 속함으로 「長壽하다」는 意味를 지님. 超, 趨가 「走」部 에 속함으로 「달린다」는 意味를 지님

(96)

 어떤 뜻을 지닌 音을 적는데 적당한 글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音이 같은 글자를 빌어서 표기하는 것

 例)外國名稱(伊太利, 獨逸, 英國), 比丘尼 假借

(97)

 單音節이며 同音字가 많음. 例) 중국음 yi(이)로 발음되는 글자의 경우, 고 려대 민족문화연구소 발행 [中韓辭典]에 수록된 것을 보면 一 · 伊 · 衣 · 依

· 醫 · 儀 · 夷 · 姨 · 以 등등 159자. 동음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TV에는 일 상적인 대화내용도 자막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음

 藝術的이고 音樂的이며 簡潔함

 表意文字 나. 特性

(98)

 單音節이기 때문에 複合해서 造語할 수 있는 造語力이 있음

 文字構成의 方法을 體得하게 되면 글자의 習得이 便利함.

 同音字가 너무 많아 視覺을 통해야 뜻을 알 수 있음

 文字를 익히는 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림

 法則의 缺如, 普遍性의 缺如.([論語]卷12: 齊景公問政於孔子. 孔子對曰, 君君 臣臣父父子子.)

다. 長短點

장점

단점

(99)

(4)납서족의 동파문자

 상기의 39종의 문자 외에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突厥文 ‧ 回鶻文 ‧ 察合台文 ‧ 于闐文 ‧ 焉耆龜玆文 ‧ 栗特文 ‧ 西夏 文 ‧ 八思巴文 ‧ 契丹文(契丹大字와 契丹小字로 나뉨) ‧ 女 眞文 ‧ 滿文 ‧ 東巴圖畫文字‧ 沙巴圖畫文字 ‧ 東巴象形文 字 ‧ 哥巴文 ‧ 水書 등의 17종의 고대 문자가 있음

(100)

회골 문자

(101)

회골 문자

(102)

파사파문자

(103)

滿文

(104)

哥巴文

(105)

哥巴文

(106)

水書

(107)

水書

(108)

水書

(109)

水書

(110)

水書

(111)

 17종의 고대문자 가운데 동파문자는 최근 나시족의 동파 문화가 각광을 받으면서 사용자가 점차 늘고 있음

 나시족의 서부방언구 문자

 이 문자를 동파문자로 호칭하는 것은 東巴敎의 經師인 東 巴가 주로 사용하였다는 데에서 기인

 현재까지 확인된 동파문자의 수: 1,400여 자

 동파문자는 象形文字ㆍ表音文字ㆍ附加文字로 구성

(112)

 동파문자의 주축을 이룸

 물체의 모양을 본떠서 만듦 상형문자

(113)

 동파東巴

(114)

 태양

 달

(115)

 설산

(116)
(117)
(118)
(119)
(120)

 당나귀

 염소, 젓가락

(121)

 컵, 냄비

(122)

<반구대 암각화>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태화강 상류 암각화

 높이 2.7m 너비 9.7m

 시대: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신라시대

 상형문자의 전단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표음문자

 언어의 뜻과 관계없이 사람의 말소리를 기호로 나타내는 문자

(137)

바위(岩)를 의미하는 문자가 표음문자에 속함

 이 문자는 닭(鷄)을 의미하는 단어와 바위(岩)를 의미하는 단어의 독음讀 音이 서로 같아 닭(鷄)을 의미하는 상형문자를 가차假借한 것임

(138)

부자(富)를 의미하는 문자도 표음문자에 속함

 이 문자는 치아(齒)를 의미하는 단어와 부자(富)를 의미하는 단어의 독음 이 서로 같아 치아(齒)를 의미하는 상형문자를 가차한 것임

(139)

부가문자

 기존의 상형문자에 각종 선이나 점을 추가 하여 만든 문자

(140)

 사람(人)

(141)

 말하다, 내려가다

(142)

 납서족, 장족藏族, 한족, 백족, 이족, 보미족

(143)

 남자, 여자, 여자 아이,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

지, 할머니, 장인, 장모, 형

(144)

 남동생, 누나, 여동생, 조카, 질녀, 손자, 손녀,

아내, 남편

(145)

 원수, 능력 있는 사람, 兵, 춤추는 것, 사망, 놀

라는 것

(146)

 고통스러운 것, 숨는 것, 죽었다 살아나는 것,

배 고품, 배가 부른 것, 발을 뻗는 것

(147)

하늘(天)

(148)

天搖, 번개치다,벼락이 나무에 떨어지

다, 벼락이 사람을 치다

(149)

맑은 날, 흐린 날

(150)

太陽

(151)

日出, 日沒, 햇볕을 쐬다, 햇볕이 대지를

비치다

(152)

(153)

(154)

(155)

霧, 虹

(156)

(157)

暴雨, 雨雹

(158)

(159)

旋風, 바람에 낙엽이 떨어지다

(160)

春, 夏, 秋, 冬

(161)

(162)

夜, 半夜

(163)

大地

(164)

人間, 田地, 良田, 秧田

(165)

地裂, 地震, 天地交合

(166)

(167)

泉, 上流, 下流, 浪

(168)

江, 瀑布, 洪水, 山洪

(169)

상형, 표음, 부가문자를 조합해서 사용

기존의 상형문자, 표음문자, 부가문자를 조합해서 다양한 의미를 나타냄

(170)

 새 집을 짓다, 손님

(171)

 유색을 타고 계곡을 건너다, 남녀가 성 교를 하다

 다리, 말타다

(172)

 재능 있는 사람, 계단을 오르다

 물건을 끌다, 꿈꾸다

(173)

 말다툼하고 무기를 가지고 싸울 일이 발 생하다, 뛰어넘다

 부부, 글씨를 쓰다

(174)

 사람을 죽이다, 상의하다

 물을 건너다, 머리를 감다

(175)

 머리를 빗질하다, 물길을 내다

 수렵, 남녀가 사랑하다

(176)

 남녀가 만날 약속을 하다, 누어서 잠자다, 노

래도 하고 춤도 추다, 물을 마시다, 임신하다 ,

가죽을 무두질하다

(177)

 전쟁하다, 손으로 비벼서 새끼를 꼬다, 좋은

소식을 듣다, 맷돌을 돌리다, 출산하다, 죽적

을 불다, 모이다, 때리다

(178)

 디딜방아를 찧다, 돌을 쪼아 깨다, 쇠를 불에

달구어 망치로 두드리다, 타작하다, 구현을

불다, 장봉을 설치하다, 도끼로 나무를 찍어

넘어뜨리다, 묘목을 파종하다

(179)

 작살로 물고기를 잡다, 학습하다, 혼례

를 치르다, 등산하다

(180)

 심신안녕心神安寧, 술 마시러 가다, 교

외로 소풍가다, 인생쾌락人生快樂

(181)

겨울은 가고 봄은 온다

저는 밥을 하러 가야 합니다

(182)

당신의 잠든 모습이 꼭 작은 돼지처럼

귀엽습니다

(183)

 납서족 중에는 현재까지도 일상생활 중에 이 동파문자를 사용하는 사람 이 적지 않음

납서족의 일상생활 중의 동파문자 사용

(184)

담배를 피우지 마시오

(185)

관광객은 석판 길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시오

(186)

 복이 문으로 들어와 사업이 번창한다

(187)

 쓰레기 넣는 곳

(188)

 현재에도 사용자가 많기 때문에 동파 문자는 언어학자들에 의해 살아 있 는 古文字로 불리고 있음

(189)

동파문자를 이용한 동파화 제작

 현재 많은 납서족 화가들이 동파문자를 이용하여 동파화를 그리고 있음

(190)

‘논갈이하다’를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191)

‘활 쏘다’를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192)

‘노래도 하고 춤도 추다’를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193)

활쏘는 것을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사냥감을 추격하다’를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194)

‘직조하다’를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195)

‘피리를 불면서 양떼를 돌보다’를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196)

‘깊은 산속에서 양떼를 방목하다’를 의미하는 동파문자를 그린 동파화

참조

관련 문서

주상하이 한국

現代 韓國漢字音 -ju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ui형으로 대응된다.. 現代

現代語가 flj用되는 것은 기껏해야 악센트의 再構를 위해서 려르와니아語의 現代語가 參考될 따름이다. 노오만 1핑土 CNor.. nonsharp 또는 nonflat vs.. Karlgren

古文之所常禁者 亦有三 一稗史也 一語錄也 一俚諧也

그리고 音素의 對應은 續極的언 類似흘 同伴하고 있으므로 그 原因。1 1JiJ컨 대 , 日本語에서 짧球語에의 借用 可能性을 크게 하고 있으며 兩 言語가 親族關係에

따라서, 이들 곁말을 考察함에 있어서는 全즙 同즙語에 의한 語 歡와 部分 同흡語에 의한 語敵로 나누어 살펴 보기로 한다.. 異本間의 수용 관계는 35 張本과

이와같이 중국의 古琴악보인 減字讀와 한국의 거문고 악보인 合字讀는 모두 악기의 연주 수법(手法)을 기보하던 手法讀라는 점에서 공동점이 있고, 더우기 악보의 구조적인변에서

族의 言語外에 다릎 數個語에 서 補充짜加하고 있다.. ;韓國語와 Indogerman語 ; 韓國語의 Indogerman語族에 所屬에 關한 田:. 究) (Heidelberg , Julius Gro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