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isk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br />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isk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br />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bstract : Osteoporosis is a common complication, following kidney transplantation, which pro- foundly contributes to morbidity. Since bone loss can lead to fracture,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quality of life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Using the pre-transplant bone mineral density (BMD) data, post-transplant change in the BMD of recipients was retrospectively evalu- ated. Risk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atient-related factors, surgical methods and lab values-related factors, and pharmacotherapy-related factors.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include patients aged over 18 years old, who received kidney transplant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8.

Bone mineral density is expressed as T-score in 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est, and a lower T-score means lower bone mineral density. By selecting the lowest T-score in lum- bar and femur, this study compared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kidney transplanta- tion.

A total of 86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verage difference of T-score was 0.12 in lumbar and -0.08 in femur before and after transplantation. There were 37 patients who experi-

신장이식 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병원 약제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a

Risk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Hyun Jee Kim, Ju Hee Hong, Hyang Sook Kim, Hye Sook Lee, and Jung Mi Oh

a

Department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01 Daehak-ro, Jongno-gu, Seoul, 110-744, Korea, College of Pharm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151-742, Korea

a

회원학술보고

(2)

1.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이식 환자의 장기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이식 후 나타나는 합병증을 예방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는 것이 중요해졌다. 신장이식 후 나타날 수 있 는 여러 합병증 중에서 골밀도 감소는 골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부 분이다. 신장 이식환자들의 경우, 이식 후 골밀도 감 소가 나타난다

1)

. 하지만 Stehman-Breen CO et al.

에 따르면 신장 이식 환자들의 골밀도 감소를 초래하 는 요인에 대해서는 의견이 각각 다르며 골밀도 감소 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환자의 나이, 체질량지수, 투석기간 및 비타민 D 결핍 증이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며 이식 전에 환자가 갖고 있는 기저질환 (갑상선 항진증, 당뇨, 호르몬 결핍증, 염증성 질환) 또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 고되었다. 과거에 이식을 한 경력이 있는 환자가 낮은 골밀도를 보이며, 고칼슘혈증, 저인산혈증, 및 대사성

산증 같은 체내 전해질 이상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고 한다

2)

. 약물요법 중에서 면역억제 목적으로 투여하 는 corticosteroid, cyclosporine, tacrolimus와 같은 calcineurin inhibitor도 골밀도를 감소시킨다.

Corticosteroid는 장내 칼슘 흡수 저하, 소변에서 칼슘 배출 촉진 및 조골세포(osteoblast)에 의한 골형성을 감소시키며 골재흡수를 증가시켜 골밀도 감소를 유발 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3)

. Cyclosporine은 골재흡수 및 골감소를 증가시켜‘high-turnover’ 양상의 골다공 증을 유발한다

4)

. 이전 연구에 따르면 cyclosporine이 tacrolimus보다 골밀도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고 한다

5)

.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식 후 조기에 투여된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밀도 감소에 예방효과를 나타낸 다고 밝혀졌다. 골다공증의 치료약물은 크게 동화작 용 제제(anabolic agent)와 항흡수 제제(antire- sorptive agent)로 분류된다. 이중 동화작용 제제는 골형성을 자극하는 조골세포에 주로 작용하고, 항흡 수제제로는 호르몬치료제(estrogen norethindrone, enced bone loss in lumbar, and 43 patients experienced bone loss in femur.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atients who took vitamin D supplements to prevent bone loss experienced less bone loss in lumbar,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take any medication. Also, patients who took steroid dose over 2.5mg/day experienced greater bone loss in the femur.

It can be concluded that patients who take high dose of steroid should closely monitor bone health to prevent bone loss. Aggressive use of vitamin D supplement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prevent bone loss. Further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find the role of pharmacists in order to prevent bone loss in patients with kidney transplantation.

[Key words] kidney transplantation, DEXA, bone mineral density

투고일자 2012. 4. 4; 심사완료일자 2012. 4. 17; 게재확정일자 2012. 4. 18

(3)

tibolone), 칼시토닌, 비타민 D제제, 칼슘제제 그리고 bisphosphonate 제제 등이 있다

6)

.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3 차 의료기관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를 추적 조사 하여,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종합적으 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골밀도 감소는 이식 후 초기 6-12개월 동안 가장 급격히 일어나며, 이식 후 골밀 도 감소가 지속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에서 이식 후 2년 이내에 bone metabolism이 정상화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므 로 연구기간을 3년으로 설정하였다

7)

.

기저질환 및 환자의 일반적 특성, 전해질 수치 및 환 자의 약물요법을 고려하여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였다. 약물요법 측면에서는 구체적으로 corticosteroid 용량 및 종류 전환이 골밀도 감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골밀도 감 소 예방을 목적으로 처방하는 골다공증 치료제의 처 방현황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만 18세 이 상의 성인환자 445명중 이식 수술 전후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DEXA) 검사를 시행하여 골밀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는 환자를 대상 으로 하였다. DEXA 검사를 신장 이식 전과 그리고 수술 후 3년 이내에 시행한 환자로 대상군을 제한하 여, 최종 86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전자 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을 후 향적으로 검토하여,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 대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DEXA 검사를 하지 않 았거나, 이식 수술 전이나 후에만 시행하여 수술 전 후의 골밀도 증감을 비교할 수 없는 환자, 신장과 신 장 이외의 타 장기를 동시에 이식한 환자는 본 연구 에서 제외하였다.

골밀도는 DEXA 검사에서 도출된 T-score을 이용 하여 이식 전후 수치의 변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DEXA 검사의 측정부위는 요추부 및 대퇴부의 값을

대표값으로 하고 측정시점은 수술 전 및 수술 후 3년 이내로 한정하여, 3년 이내에 여러 번 골밀도를 확인 한 경우, 연구시점으로부터 가장 최신의 검사결과를 반영하였다. T-score을 바탕으로 primary analy- sis를 시행하였으며, T-score의 차이가 0보다 작으 면 골밀도 저하군으로, T-score의 차이가 0과 같거 나 크면 골밀도 유지 및 상승군으로 구분하였다. 이 두 군으로 sub-analysis연구를 시행하여, 각 군에 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친 인자를 파악하였다.

통계 분석은 window용 SPSS version 12.0을 이 용하였다. 연속변수의 비교는 Independent T-test 를 사용하였고, 범주형 자료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에서 p-value가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3. 연구결과

1) 환자군의 특성

연구 대상 환자는 총 86명이었으며 환자들의 일반 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평균연령은 43.2±11.7 세였다. 여성이 50명(58%)으로, 남성보다 더 많은 비 율을 차지하였다. 이식 전 환자의 기저질환으로는 당 뇨가 16명 (1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식 전에 투석 을 받은 환자는 71명 (83%)이었다. 투석을 받은 환자 중에서 51명 (72%)은 혈액투석을, 20명 (28%)은 복 막투석을 시행하였다. 신장 이식 전 투석시간은 13- 6527일로 환자마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평균 투석 기간은 약 3.5년이었다. 생체이식을 받은 환자가 61 명으로 사체이식을 받은 환자 25명보다 많았으며, 수 술 후 6개월 이내에 급성 거부반응을 보인 환자는 11 명이었다. 이식 후에 저칼슘혈증 및 고인산혈증을 보 이는 환자에게서 골밀도 감소가 더 빠르게 일어난다 는 보고가 있는데, 이식 후 1년째 저칼슘혈증을 보인 환자는 4명, 고인산혈증을 보인 환자는 4명이었다.

이식 후에 모든 환자는 면역억제 목적으로 cal-

cineurin inhibitor를 복용하였으며, 종류는 ta

crolimus와 cyclosporine이었다. 50명의 환자가

tacrolimus를 복용하였고, 36명의 환자는 cyclos

(4)

porine을 복용하였다. 연구 대상 환자 중 73명의 환 자가 이식 후 corticosteroid요법으로 pred- nisolone을 복용하였다. 이식 후 corticosteroid prednisolone에서 골밀도에 영향이 적다고 알려진 deflazacort로 전환한 환자는 13명이었다

8)

. 이식 후 초기 6개월 동안 복용한 daily steroid dose는 환자 에게 투여된 총 steroid 용량을 prednisolone으로 환산하여 복용한 총 일수로 나눠서 얻은 값으로 그 범위는 1.64-17.60mg/day였으며 환자마다 개인적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하루 복용한 스테로이드 용량 이 2.5mg 이하인 환자는 71명, 하루 복용한 스테로 이드 용량이 2.5mg를 초과한 환자는 15명이었다. 이 식 후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 복용한 약물은 크게 bisphosphonate계열, 칼슘보충제, 및 비타민 D로 구분하였으며, 환자가 2가지 이상 약물을 복용한 경 우 복수 선택하였다. 환자가 골다공증 예방 목적으로 투여받은 약물로는 bisphosphonate 계열 약물이 14건, 칼슘보충제가 38건, 비타민 D가 30건이었다.

2) 환자군의 골밀도 변화 양상

전체 환자의 약 50%가 요추부 및 대퇴부에서 골밀 도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요추부 및 대퇴부에서 각 각 다른 골밀도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요추부에서 골밀도 저하를 보인 환자는 37명으로, 대퇴부에서 골밀도 저하를 보인 환자 43명 보다 작았다. 요추부 에서 평균 T-score 차이는 0.12로 골밀도가 조금 상승한 수치를 보였으나, 대퇴부에서 평균 T-score 차이는 -0.08으로 감소한 수치였다.(Table 2)

전체 대퇴부

전체 골밀도 저하군 골밀도 유지∙상승군

86 37 (43.02%) 49 (56.98%)

0.12 -0.17 0.33 골밀도 저하군 ΔT-score

86 43 (50%) 43 (50%)

-0.08 -0.53 0.38 환자수 ΔT-score

Table 2. Changes of bone mineral density in

kidney transplant patients

*HRT=Hormone replacement therapy

환자적 특성

나이 성별 (여성:남성) 폐경 여부 (예:아니오) HRT* 여부 (예:아니오) 당뇨 여부 (예:아니오) 갑상선기능 이상 여부 (예:아니오) 투석 여부 (예:아니오) 투석종류 (HD:CAPD) 투석기간

A. 수술 및 전해질 수치 사체이식:생체이식

이식 후 6개월 이내 급성거부반응 여부 (예:아니오) 이식 후 1년째 혈중 칼슘 농도범위 8.4-12mg/dL I. Hypocalcemia(<8.8mg/dL)

II. Normal (8.8-10.5mg/dL) III. Hypercalcemia(>10.5mg/dL) 이식 후 1년째 혈중 인 농도범위 1.3-5.3mg/dL I. Hypophosphatemia (<2.5mg/dL) II. Normal (2.5-4.5mg/dL) III. Hyperphosphatemia(>4.5mg/dL) B. 약물요법

이식 후 복용한 calcineurin inhibitor (Cyclosporine:Tacrolimus) 이식 후 복용한 corticosteroid (Prednisolone:Deflazacort)

이식 후 초기 6개월 스테로이드 (mg/day) 용량 범위 2.5 이하: 2.5 초과 이식 후 복용한 골다공증 치료제 Bisphosphonate계열 (1가지 이상 복용한 경우 복수선택) 칼슘보충제

비타민 D

환자수 (%)

43.15±11.69세 50 (58):36 (42) 25 (50):25 (50) 4 (8) :46 (92) 16 (19):70 (81) 8 (9):78 (91) 71 (83):15 (17) 51 (72):20 (28) 13~6527일 1343.79±1501.44

25 (29):61 (71) 11 (13):75 (87)

4 (4.7) 77 (89.5) 5 (5.8) 4 (4.7)

78 (90.6) 4 (4.7)

36 (42):50 (58) 73 (85):13 (15) 1.64~17.60 71:15 14 (16) 38 (44) 30 (3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5)

3) 각 인자가 골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환자의 기초 정보 조사를 바탕으로 골밀도에 영향 을 미치는 인자를 환자적인 측면, 수술 및 전해질 수 치적인 측면, 약물요법 측면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 다. 나이, 성별, 기저질환, 투석여부 및 기간과 같은 환자적인 측면은 이식 후 골밀도 감소에 유의하게 영 향을 미치지 않았다. 사체이식 및 생체이식 여부, 이 식 후 1년째 환자의 전해질수치 역시 이식 후 골밀도 감소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약물 요법 중에서 비타민 D 투여여부가 요추부 골밀도 변 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나타냈고, 이식 후에 투여된 비타민 D는 골밀도 감소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p=0.339). 대퇴부에서는 이식 후 초 기 6개월 동안 투여된 daily steroid dose가 유의하 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여된 daily steroid dose가 클수록, 더 많은 골밀도 감소가 일 어났다(p=0.0125).(Table3, 4)

4. 고찰 및 결론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성 인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 후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전 연 구에서는 여성

9)

, 마른 체형

10)

, 고령

11)

, 오랜 기간 투석

12)

, 당뇨가

13,14)

신장 이식 후골밀도 감소를 유발하는 위험인자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환 자적인 특성은 골밀도 변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대상 환자 중 요추부에서는 43%, 대퇴부에서는 50%에서 골밀도 감소가 일어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따라서 골밀 도 감소는 특정 환자군에서만 나타나는 합병증으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모든 신장이식 환자를 모니터링 하여 수술 전부터 골밀도 감소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고 사료된다. 하지만 연구기간 동안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는 총 445명이었으나, 신장이식 수술 전과 후에 DEXA 검사를 한번도 하지 않은 환자는 109명 (24.5%)이었다. 수술 전에만 DEXA검사를 통해 골 밀도를 검사한 환자는 161명 (36.2%) 밖에 되지 않

았다. 수술 전 DEXA검사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대 다수의 환자가 대퇴부 또는 요추부에서 음의 T- score값을 보이며 같은 연령대에 비해서 골밀도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장이식 수술 전에 요추부에서의 평균 T-score는 -0.48이었으며, 대 퇴부에서 평균 T-score는 -0.40이었다. WHO 기 준에 따르면 환자의 T-score가 -1에서 -2.5인 경 우 osteopenia로, -2.5이하인 경우 osteoporosis 로 분류한다

15)

. Osteopenia로 진단받은 환자가 51명 (31.7%)으로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osteoporosis 에 해당하는 환자는 8명 (5.0%)이었다.

Osteoporosis 기준에 해당하는 환자 중에서 T- score가 -3보다 작으며 심각한 골밀도 감소상태를 보인 환자도 5명 (3.1%)이 있었다.(Table 5)

이전 연구에서는 이식 후 고칼슘혈증, 저인산혈증 을 경험한 환자에서는 골밀도 저하가 일어난다고 밝 혀졌지만, 본 연구에서 혈중 칼슘 및 인수치는 골밀 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 해외에 서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식 후 1년 이내에 발 생하는 급성거부반응 및 이식종류(생체, 사체이식여 부)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하지만 한 국인을 대상으로 이전 연구와 동일하게 시행한 연구 에서는 이식 후 1년 이내에 발생하는 급성거부반응 과 사체이식 및 생체이식 여부는 골밀도에 영향을 미 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식 후에 약물요법이 유일하게 골밀도 변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식 후 초기 6개월 동안 스테로이드를 고용량으로 복용한 환자에 게서 골밀도 감소 위험이 증가하였다.

이전의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면

역억제제로 투여된 일일 스테로이드 용량이 2.5mg

이상 또는 이하일 때,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보고되었다

16)

. 해당 연구에서 일일 스테로이

드 용량이 2.5mg이하인 환자 군에서 vertebral

fracture risk는 스테로이드를 복용하지 않은 대조

군에 비해 1.55배였으며, 일일 스테로이드 용량이

2.5-7.5mg인 군에서는 risk가 2.6배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

구에서도 대상환자의 이식 후 초기 6개월 동안 복용

한 daily steroid dose를 산출하여 스테로이드가 골

(6)

A. 환자적 특성 나이

여성:남성

폐경 여부 (예:아니오)

HRT*여부 (예:아니오)

당뇨 여부 (예:아니오)

갑상선기능 이상 여부 (예:아니오)

투석 여부 (예:아니오)

HD:CAPD

투석기간(범위)

사체이식:생체이식

이식 후 6개월 이내 급성 거부반응여부 (예:아니오)

B. 수술 및 전해질 수치 이식 후 1년째 혈중 칼슘 농도(mg/dL)

I. Hypocalcemia (<8.8mg/dL) II. Normal (8.8-10.5mg/dL) III. Hypercalcemia (>10.5mg/dL)

이식 후 1년째 혈중 인 농도(mg/dL) I. Hypophosphatemia (<2.5mg/dL)

II. Normal (2.5-4.5mg/dL) III. Hyperphosphatemia (>4.5mg/dL)

저하군 (n=37)

49.19±11.30세

23:14

12:11

1:22

8:29

3:34

34:3

23:11

853.32±994.51일

10:27

5:32

1 33

3

1.3~5.3 1 33

3

유지∙증가군 (n=49)

49.90±12.38세

27:22

13:14

3:24

8:41

5:44

37:12

28:9

1302.78±1709.66일

15:34

6:43

3 44

2

2.1~5 3 45

1

P-value

0.62

0.51

0.39

0.78

0.53

0.74

0.06

0.69

0.02

0.72

0.78

0.69

0.28

0.10

0.37

Odds ratio (95% CI)

1.01 (0.97-1.05)

0.75 (0.31-1.79)

1.18 (0.39-3.58)

0.36 (0.035-3.76)

1.41 (0.48-4.20)

0.78 (0.17-3.48)

3.68 (0.96-14.15)

0.67 (0.24-1.90)

0.19 (0.22-1.10)

1.191 (0.46-3.07)

1.194 (0.33-4.28)

0.44 (0.044-4.47)

0.50 (0.079-3.17)

0.46 (0.044-4.57)

0.24 (0.024-2.46)

Table 3.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at lumbar

(7)

저하군 (n=43)

유지∙증가군

(n=43) P-value Odds ratio (95% CI) Table 4.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at femur

A. 환자적 특성 나이

여성:남성

폐경 여부 (예:아니오)

HRT* 여부 (예:아니오)

당뇨 여부 (예:아니오)

갑상선기능 이상 여부 (예:아니오)

투석 여부 (예:아니오)

HD:CAPD

투석날짜

44.28±12.27세 20-68

20:23

13:7

1:19

12:31

5:38

35:8

25:10

1040.44일±1473.10 13~6527

42.02±11.10세 23-60

30:13

12:18

3:27

4:39

3:40

36:7

26:10

1272.02일±1533.95 25~6501

0.44

0.03

0.09

0.53

0.03

0.46

0.78

0.72

0.56

1.01 (0.98-1.05)

2.65 (1.10-6.43)

2.79 (0.86-9.01)

0.47 (0.046-4.91)

3.77 (1.11-12.86)

1.75 (0.39-7.85)

0.85 (0.28-2.60)

0.96 (0.34-2.71)

0.718 (0.52-0.75)

1.40 C. 약물요법

이식 후 복용한 calcineurin inhibitor (Cyclosporine:Tacrolimus)

이식 후 복용한 corticosteroid (Prednisolone:Deflazacort)

2.5 이하:2.5 초과

Bisphosphonate계열

칼슘 보충제

비타민 D

14:23

32:5

10:27

5(13.51)

14(37.84)

8(21.62)

22:27

41:8

40:9

9 (18.37)

24 (48.98)

22 (44.90)

0.51

0.30

0.60

0.38

0.30

0.03

1.34 (0.56-3.20)

1.25 (0.37-4.19)

0.84 (0.42-1.65)

0.69 (0.21-2.28)

0.63 (0.27-1.51)

0.34 (0.13-0.89)

*HRT=Hormone replacement therapy 이식 후 복용한

골다공증 치료제 복수선택 이식 후 초기 6개월 스테로이드 (mg/day)

(8)

사체이식:생체이식

이식 후 6개월 이내 급성거부 반응 여부 (예:아니오)

B. 수술 및 전해질 수치 이식 후 1년째 혈중 칼슘 농도(mg/dL)

I. Hypocalcemia(<8.8mg/dL) II. Normal(8.8-10.5mg/dL) III. Hypercalcemia(>10.5mg/dL)

이식 후 1년째 혈중 인 농도범위 I. Hypophosphatemia(<2.5mg/dL)

II. Normal(2.5-4.5mg/dL) III. Hyperphosphatemia(>4.5mg/dL)

C. 약물요법

이식 후 복용한 calcineurin inhibitor Cyclosporine:Tacrolimus 이식 후 복용한 corticosteroid

Prednisolone:Deflazacort

이식 후 초기 6개월 2.5 이하:2.5 초과

스테로이드 (mg/day) Bisphosphonate 계열

칼슘 보충제 비타민 D

11:32

5:38

3 37

3

1 33

3

19:24

36:7

33:10

6 (13.95) 18 (41.86) 13 (30.23)

14:29

1:42

1 41

1

3 45 1

26:17

37:6

40:3

8 (18.60) 20 (46.51) 17 (39.53)

0.48

0.13

0.72

0.59

0.77

0.46

0.66

0.72

0.01

0.50 0.83 0.37

(0.55-3.58) 5.53 (0.62-49.44)

0.44 (0.044-4.47)

0.50 (0.079-3.17)

0.46 (0.045-4.57)

0.24 (0.024-2.46)

0.83 (0.35-1.95)

0.83 (0.26-2.72)

2.88 (1.26-6.62)

0.71 (0.22-2.25)

0.91 (0.39-2.13)

*HRT=Hormone replacement therapy

연구기간 동안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 수 DEXA 검사를 한번도 하지 않은 환자 수 신장이식 전에만 DEXA 검사를 한 환자 수 수술 전정상 골밀도를 보인 환자 수 (T-score >-1) 수술 전 Osteopenia로 분류되는 환자 수 (T-score -1~-2.5) 수술 전 Osteoporosis로 분류되는 환자 수 (T-score -2.5~-3) 수술 전 Severe Osteoporosis로 분류되는 환자 수 (T-score<-3)

445 109 (24.5%) 161 (36.2%) 102 (63.3%) 51 (31.7%)

3 (1.86%) 5 (3.11%)

Table 5.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DEXA test and their T-score

이식 후 복용한

골다공증 치료제 (복수선택)

(9)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daily steroid dose가 2.5mg 이하인 환자에 비해서 2.5mg 초과인 환자에게서 골밀도 감소가 일어날 odds ratio 가 2.88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연구와 비슷 한 경향을 보이며, 요즘 이식 후 환자들에게 steroid- free protocol을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근거가 된다.

비타민 D를 복용하는 군에서 복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골밀도 감소에 대한 odds ratio가 0.34배로 감 소한다. 최근 신장이식 직후부터 골다공증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이 골절예방에 더욱 효과적이라고 보고 되고 있으며, 초기 사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 다. 따라서, 골밀도 감소 위험이 큰 환자에서 비타민 D를 포함한 적극적인 약물요법을 통해 환자의 골밀 도 감소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에 골밀도 감소를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prospective study가 필요하다 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1) Stehman-Breen C.O., Sherrard D.J., Alem A.M., et al. : Risk factors for hipfractures among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 ease, Kidney Int, 58, 2200-5 (2000) 2) Vantour L.M., Melton III L.J., Clarke B.L.,

Achenbach S.J., Oberg A.L., McCarthy J.T. : Long-term fracture risk following renal transplantation:a population-based study. OsteoporosInt, 15, 160-7 (2004) 3) Grotz W.H., Mundinger A., Gugel B.,

Gugel B., Exener V.M., Kirste G., et al. : Bone mineral density after kidney trans- plantation, A cross-sectional study in 190 graft recipients upto 20 years after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59, 982-6 (1995)

4) Stewart P.J., Stern P.H., Cyclosporines : Correlation of immunosuppressive activi-

ty and inhibition of bone resorption, Calcif Tissue Int, 45, 222-226 (1989) 5) El Haggan W., Barthe N., Vendrely B.,

Chauveau P., Berger F., Aparicio M. : One year evolution of bone mineral den- sity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receiving tacrolimus versus cyclosporine, Trans plant Proc, 34, 1817-8 (2002) 6) LaClair R.E., Hellman R.N., Karp S.L., et

al. : Prevalence of calcidiol deficiency in CKD - a cross-sectional study across latitudes in the United States, Am J Kidney Dis, 45, 1026-33 (2005)

7) Cayco A.V., Wysolmerski J., Simpson C., et al. : Post transplant bonedisease - evi- dence for a high bone resorption state, Transplantation, 70, 1722-8 (2000) 8) Lippuner K., Casez J.P., Horber F.F.,

Jaeger P. : Effects ofdeflazacort versus prednisone on bone mass, body composi- tion, and lipid profile - a randomized, double blind study inkidney transplant patients, J Clin Endocrinol Metab, 83, 3795-3802 (1998)

9)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im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techinical report series, Geneva, 843 (1994)

10) Kim H.J. :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Posttransplant Bone Mineral Density Loss, Korean J Surgical Society, 69, 315-321 (2001) 11) Abbott K.C., Oglesby R.J., Hypolite I.O., et al. :

Hospitalization forfractures after renal transplantation in the United States.

AnnEpidemiol, 11, 450-7 (2001)

12) Ball A.M., Gillen D.L., Sherrard D., et

al.: Risk of hip fracture amongdialysis

and renal transplant recipients, JAMA,

(10)

288, 3014-8 (2002)

13) Nisbeth U., Lindh E., Ljunghall S., Back man U., Fellstrom B. : Increasedfracture rate in diabetics mellitus and females after renal transplantation, Transplan tation, 67, 1218-22 (1999)

14) Ambuhl P.M., Meier D., Wolf B., Dydak U., Boesiger P., Binswanger U. : Metabolic aspects of phosphate replace- menttherapy for hypophosphatemia after renal transplantation - Impact on muscular phosphate content, mineral metabolism, and acid/base homeostasis, Am J Kidney Dis, 34, 875-883 (1999) 15) Van Staa T.P., Leufkens H.G., Abenheim

L., Zhang B., Cooper C. : Use oforal cor-

ticosteroids and risk of fractures, J Bone

Miner Res, 15, 993-1000 (2000)

참조

관련 문서

: Bone response to unloaded titanium implants with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 A histomorphometric study in the canine mandible.. : Early

Bone transplants, autogenous bones, allogenic bones, xenogenic bones, and synthetic bone substitutes have all been used as bone graft materials.. However,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are the most important family of growth factors for bone regeneration and possess a wide array of biological activities,

Histopathologic findings of control group at 4 weeks show little bone- implant contact (BIC) around the implant (asterisks) and new-bone formation in the defect

In 4-week group, the group filled with bone graft with decortication revealed larger new bone formation area than shown in the group that had a defect area

Histologic evaluation of early human bone response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2. Histologic evaluation of human bone integration on machined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that underlie in markers of bone formation, products of the osteoblast

of mineralized cancellous bone allograft(Puros) and anorganic bovine bone matrix(Bio-oss) for sinus augmentation: Histomorphometry at 26 to 32 weeks af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