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경계와 운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신경계와 운동"

Copied!
10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신경계와 운동

1. 신경계의 구조와 특성 2. 신경 세포와 자극의 전도 3. 수용기와 운동

4. 반사와 운동

5. 중추신경계의 운동조절

(2)

1. 신경계의 구조와 특성

(3)

신경계의 특성

– ① 흥분성(excitability)

• 수용기부터 전달되는 신호결과

– ② 전달기능(conduction)

• 자극과 신호가 신경섬유를 따라 전달

– ③ 통합 특성(integration)

• 입력되는 모든 자극 신호를 종합

(4)

신경계의 기능

1. 내부 및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시 2. 감각정보를 통합

3. 인체의 여러 계통에서 일어나는 수의 반

응 및 불수의 반응 조절

(5)
(6)

신경계의 분류

(7)

신경계의 기능적 분류

감각영역 운동영역

체성감각 내장감각 체성운동 자율운동

(8)

중추신경계(CNS)

말초신경계(PNS)

대뇌 척수

자율신경계

체성신경계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운동신경 감각신경

원심성 계통

구심성 계통

신경계의 분류

(9)

1) 중추 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

구성

▫ 뇌, 척수 (개재 뉴런)

기능

▫ 모든 자극을 통합, 수정, 동작 유발, 정보저장

과정

 말초신경계에서의 자극과 신호 받아 통합

 운동신경을 통해 골격근에 명령

▫ 적절한 반응

▫ 예) 야구 투구, 테니스 발리, 뜨거운 난로에서 손을 떼는 것

(10)

2) 말초 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 교감 신경

▫ 내장(심장, 소화기관)과 말초(피부분비선, 혈관, 골격근 소동맥)의 표적 에 신경 분포

▫ 부교감 신경

▫ 폐, 심장, 소화관 등의 내장 기관에 분포(but, 신장기관에는 적게 분포)

▫ 체성신경계 (somatic nervous system)

▫ 구심성

▫ 감각신경(피부, 미각, 촉각, 골격근, 관절)

▫ 원심성

▫ 운동신경(골격근 흥분)

(11)

•척수신경이란 척수를 드나드는 31쌍의 말초신경을 말하며,

•신체 각 부위로부터 받은 감각 신호는 척수의 후근(감각섬유가 주행한다)에서 구심성으로 들어 가 대뇌로 전달되며,

•신체를 움직이는 명령이 되어 척수의 전근(운동섬유가 주행한 다)에서 나와 근육으로 전달된다.

•감각섬유는 피부에서 온각, 냉각, 통각, 촉각을 대뇌로 전달한다.

(12)

척수신경은 몇 개로 중복되어 신경총을 형성하 고, 사람의 운동이 신경의 분포와 지배를 통해 일어나도록 절묘하게 기능하고 있다.

손가락을 움직여서 물건을 잡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근육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경신경 8쌍은 주로 경부, 횡격막, 팔을 지배한다.

·흉신경 12쌍은 주로 늑간부를 지배한다.

.요신경 5쌍은 주로 하지를 지배한다.

·천골신경 5쌍은 주로 둔부, 음부, 항문부를 지배 한다.

·미골신경 1쌍은 항문부근와 외음부를 지배한다.

(13)

신경계의 기능

(14)

3)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연계

• 감각 신경과 운동신경(근육)의 조화로운 정보 교환

– 예) 100m달리기에서 총소리 듣고 출발

• 감각 정보의 입력

– 척추 수준에서의 연계 – 운동반사

– 뇌간 수준에서의 연계 – 잠재 의식적인 운동 반응 – 소뇌 수준에서의 연계 – 운동제어, 협응

– 시상 수준에서의 연계 – 다양한 감각 구분

– 대뇌 피질 수준에서의 연계 – 주위와 종합하여 반응

(15)

신경계 구조

(16)

3)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상호 교신 체계

(17)

2. 신경 세포와 자극의 전도

(18)

신경은 어떻게 전달되는가?

(19)

1) 신경 세포의 구조와 종류

(1) 신경 세포의 구조

– 수상돌기

• 세포체에서 뻗어 나온 나뭇가지 모양

• 세포체로 자극을 전달

– 자극→축삭을 따라 전도→축삭말단에서 화학물질 방출 – 미엘린 수초(myelin sheath)

• 보다 빠른 자극전달

– 랑비에 결절(nodes of Ranvier)

(20)

• 신경세포의 구조와 종류

– 수상돌기+ 세포체+ 축삭

(21)

1) 신경 세포의 구조와 종류;

구심성 신경세포(afferent nerve cell)

구심성 신경계는 구심성 신경세포로 구성

말단에 자극의 특수한 형태에 반응- 활동전위 유발하는 감각수용기 있음

자극 정보 교환 활발

세포체가 척수와 연결

긴 축삭말단은 수용기⇒세포체로 뻗어 있음

짧은 축삭은 세포체⇒척수로 뻗어있음

말초신경계의 주된 신경

(22)

1) 신경 세포의 구조와 종류;

원심성 신경세포(efferent nerve cell)

• 원심성 신경계의 구성 세포

• 세포체는 중추신경계 안에 위치

• 중추신경계에서 정보를 효과기로 전달

• 원심성 축삭은 중추신경계 내에 존재

• 원심성신경이 지배하는 근육으로 연결되어 효과기에 통합된 결과를 보냄

(23)

1) 신경 세포의 구조와 종류; 개재 신경세포 (interneuron)

• 구심성과 원심성 사이 를 말함

• 말초신경계의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

(24)

신경 세포의 종류와 위치

(25)

2) 신경 세포의 흥분

• 막전압

– 세포와 세포외액 사이의 전압차

• 흥분(excitation)

– 막전압의 변화

• 세포막의 전압변화

– 세포활동 통합을 위한 정보단위로 여겨짐

(26)

용어 정리

극화(polarization)

세포막을 중심으로 +, -극이 서로 대치하고 있는 상태

탈분극(depolarization)

신경원과 근세포의 형질막에는 특수한 이온(주로 나트륨과 칼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채널 (ion channel)이 있으며 자극을 받으면 먼저 나트륨 채널이 열리게 되고 나트륨 이온이 세포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세포막의 안쪽에 양전하가 많아지며 이것이 어떠한 문턱값(역치

threshold)을 넘으면 모든 나트륨 채널이 열려 세포막 안과 밖의 전위차가 거의 없어지게 된다.

▫ 과분극(hyperpolarization)

만일 안정시 막전위가 더욱 큰 음전하를 띄게 되어 세포막을 교차하는 전위차가 증가하게 된다면 세포막의 분극화 현상은 더욱 가중되고, 이러한 상태를 과분극(HYPERPOLARRIZATION)이라고 한다.

막전위의 변화는 어떤 신호를 받아들이거나 전달하는데 이용되며, 세포 내에서 또는 세포간의 정보 를 통합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는 2가지 형태로서, 점증 전위와 활동전위로 구분되며, 이 두전기적 현상은 이온들의 이동에 의해 생성된다.

전위가 안정시보다 더 커졌다. 즉, -극이 더 많아졌다.

재분극(repolarization)

탈분극된 후 다시 안정시 전위수준(①)으로 돌아온 상태

(27)

2) 신경 세포의 흥분

1) 신경세포의 전기적 특성

– 전위차

• 세포 내에는 음전하(-60mV~-100mV)

• 이온 이동하는 힘-전기력(electrical force)

– 이온 농도의 차

• 세포내액(K+, Mg++, P-)/세포외액(Na+, Ca++, Cl-)차

• K는 세포 밖으로, Na는 세포 안으로 이동하려는 힘

(28)

근육세포 내외의 이온 농도

항목 세포내 세포외

(mmol/l) 안정막 전위 : -70mV

Na

+

12 145

K

+

155 4

Cl

-

4 120

(29)

전위의 이동

(30)

(2) 막전위(membrane potential)

안정막 전위(resting membrane potential)

▫ 흥분성 조직세포가 전위의 변화를 보이지 않을 때

▫ 세포안이 60~100mV 음전하(-)를 띤다.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 일단 자극을 받으면 발생

막전위

▫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전하가 일을 할 수 있는 가능성

▫ 전위를 가진다는 의미

▫ 서로 반대되는 전하끼리 당기고 같은 전하끼리 미는 경향

(31)

(3)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 안정시(-70mV)  시작단계  최고전위(+30mV)

 재분극  과분극

• 활동 전위와 이온

▫ 탈분극이 Na+통로를 열어 Na+ 투과도를 증가시키면 세포 안으로 확산  세포 안에 양성자 증가  K+ 통 로 열림  재분극  과분극(K+통로가 늦게 닫혀)

• 투과도 변화의 기전

▫ 과분극 시 Na+ 투과도 감소, 탈분극 시 투과도 증가

(32)

(3)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역치(threshold) – 역치 자극

• 막을 탈분극 시키기 충분히 큰 자극

– 감각 세포에 흥분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한의 자극의 세기 를 말한다. 역치가 작을수록 예민하다

– Na+유입이 K+방출 보다 많아야 탈분극 – 역치값

• 안정시보다 약 15mV 탈분극

• 안정막 전위 -70mV라면?

– 55mV가 역치값

(33)

• 실무율의 법칙(all-or-none)

– 정의 : 자극의 세기가 역치 이상에 이르면 자극을 더 크게 주어도 수용기 세포의 빈응은 더 커지지 않고 일정하다.

– 역치 이상의 자극에서도 진폭이 큰 활동전위가 발생 되지 않는다.

• 단일 근섬유나 단일 뉴런에서만 성립된다.

조직(근육)에서는 자극이 강해질수록 반응하는 세포수가 증 가하기 때문에 실무율이 적용되지 않는다.

(34)

(3) 활동전위(action potential)

• 활동전위의 전파

– 막의 인접부위에 새로운 활동전위를 일으킴

– 신경 흥분이 신경섬유 끝까지 연속적 탈분극으로 전달

– 활동전위 전파는 흥분 위치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가능

– 불응기

• 하나의 자극 후에 두 번째 자극에 둔감

(35)

활동전위

(36)

활동전위의 각 단계별 변화와 이온 통로의 개폐

안정수준(①)에서 상승단계(②)를 거쳐 최대(③)에 이르고 재분극(④), 과분 극(⑤)으로 다시 안정수준(①)으로 돌아온다.

(37)

활동전위의 진행과정

: 안정-탈분극(Na

+유입)-재분극(K+방출)

(38)

Na+-K+의 투과

(a) 나트륨 이온 확산-세포막 탈분극

(b) 칼륨이온은 세포외부로 확산-세포막 재분극

(39)

3) 신경의 연접(nerve to nerve junction)

• 신경자극의 전달 : 시냅스 통해 가능

nm; 빛의 파장을 나타내는 단위. 1나노미터는 1미터의 10억 분의 1이다.

(40)

(1) 신경연접부의 기능

• 시냅스(synapse)?

• 뉴우런과 뉴우런, 뉴우런과 근육 사이의 접촉부

• 시냅스의 특징

– 시냅스 전막 쪽 전달물질 저장 – 시냅스 후막에는 수용기 존재

– 시냅스 전막-후막쪽으로 오직 한 방향으로 진행

– 시냅스에서의 전달은 빈번하게 일어날수록 그 전달이 확실함 – 시냅스 부위에는 많은 화학물질의 작용이 가능

(41)

연접 전 -후 신경원 연접부의 구조

(42)

신경연접과 근신경연접부의 비교

유 사 점 차 이 점

전기적 활성이 직접 전도되는 것을 막는 좁은 간격이 두 세 포 사이에 존재한다.

시냅스는 두 뉴우런간의 연접을 지칭하고 신경근연접은 운동뉴런과 골격을 섬유간 에 존재하는 연접을 지칭함

신경전달물질을 축삭종말에 저장하여 활동전위가 종말에 도달하면 Ca++에 의해 자극되 어 세포외배출(exocytosis)이 진행

신경연접에서는 활동전위가 1 : 1로 전달 되고 근 신경연접에서는 시냅스후뉴우런 의 EPSP(흥분성시냅스후전위)가 충분치 못하므로 충분히 가중되어야 활동전위를 일으킬 수 있음

전달물질과 수용체가 결합되 면 막에 있는 특수한 통로를 열어 이온의 움직임을 변화시 켜 막전위를 변화시킴

신경근연접에서는 항상 촉진성(EPP;end- plate potential)이나, 시냅스에서는 EPSP 이거나 IPSP이므로 근수축의 억제는 IPSP 를 통해서 CNS에서만 가능함

(43)

(2) 신경연접부의 형태

• 발산

– 적은 수의 시냅스전뉴런이 많은 수의 시냅스 후뉴우런과 접속된 경우

• 수렴

– 많은 수의 시냅스전뉴런이 적은 수의 시냅스

후뉴우런과 접속된 경우

(44)

(3) 신경 연접에서의 정보 전달 방법

전기적 시냅스

▫ 자극이 직접 다음 뉴런으로 전달(심장과 평활근, gap junction)

▫ 배아기에 많고 신경계가 발달할수록 화학적 시냅스로 대치

· 화학적 시냅스

▫ 쉽게 단위막을 역치수준으로 탈분극

흥분성 전달물질

▫ 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억제성 전달물질

▫ 감마-아미노부티릭산, 글리신

(45)

(4) 시냅스 전달의 촉진

흥분성시냅스후전위(EPSP;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 막전위를 작게 하여(+전압) 활동전위를 쉽게 하는 흥분작용 a. 국부적인 탈분극 일어남

b. Ca2+가 신경전달물질을 방출 c. 수용기와 결합

d. 막투과성 변화 e. 이온의 이동

f. 역치 수준 이상인 경우 활동전위 발생

g. 시간적, 공간적 가중(전기적 자극의 중합)에 의해 발생

(46)

(4) 시냅스 전달의 억제

• 억제성시냅스후전위(IPSP;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막 전위를 크게 하여(-전압) 활동전위 어렵게 하 는 억제작용

– 과분극 발생 - 뉴런 작용 억제 - 흥분 감소

– 가중은 있으나 전위 변화의 방향이 반대(억제작

용)

(47)

흥분성 시냅스후 전위

(48)

억제성 시냅스후 전위

(49)

4) 근육과 신경의 연접

• 근신경 접합부의 구조

– 신경 접합부에 자극이 도달하면 아세틸콜린 이 나와서 자극이 시냅스 공간을 통과하여 근 섬유 내에 전위를 일으킨다

– 억제성이 없다

(50)

4) 근육과 신경의 연접

• 아세틸콜린의 작용 기전

 시냅스 후막에 있는 수용기와 결합

 후막에 탈분극 유도

 신경흥분이 전달

 정보의 전달, 근수축, 내분비선의 분비 활동

 말초에서는 촉진성 전달물질, 뇌간부, 대뇌피질

에서는 억제성 반응 보임

(51)

근신경 연접과 운동단위

(52)

근신경 연접부의 작용기전

(53)

근신경 연접부의 작용기전

(54)
(55)

Synaptical transmission (chemical)

A : Neuron (Presynaptic) B : Neuron (Postsynaptic)

① Mitochondria

② Synaptic vesicle full of neurotransmitter

③ Autoreceptor

④ Synaptic cleft

⑤ Neurotransmitter receptor

⑥ Calcium Channel

⑦ Fused vesicle releasing neurotransmitter

⑧ Neurotransmitter re-uptake pump

(56)

아세틸콜린의 대사 순환

(57)

3. 수용기와 운동

(58)

3. 수용기와 운동

수용기

▫ 인체 내외에서 입력되는 여러 변화를 받아들이는 신경세포들

외수용기

▫ 촉각, 압각, 온도감각, 시각, 청각, 후각

내수용기

▫ 혈관의 수축력이나 정보 자극을 수용 (내장벽 등에서)

고유감각수용기

▫ 운동 관련 감각 기관, 운동시 관절, 건, 인대, 골격근 등 자세 조 절

▫ 근방추, 골지건기관, 관절수용기

(59)

(1) 근방추(muscle spindle)-근방추의 구조

• 근육에 관련된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

• 추외근 섬유와 추내근 섬유로 구성

– 감마운동신경

• 양쪽 끝에 분포된 운동신경(감마형)

– 알파운동신경

• 추외근 섬유를 지배하는 큰 운동신경

(60)

근방추의 운동신경(알파 및 감마운동신경)

(61)

(1) 근방추 – 기능

• 근방추의 기능

– 신전에 민감 –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전달 – 알파운동신경 자극- 근육 수축

– 길이변화의 속도와 근섬유 최종길이에 민감 – 과보상

• 처음에 필요이상 수축 후 되돌아옴

• 국부신전이라 함

– 수축이 커질수록 과보상도 커진다

(62)

(1) 근방추 – 감마시스템

• 감마 뉴런

– 뇌의 대뇌피질에 있는 운동중추로부터 직접 자극 – 추외근육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활성화 가능

– 감마 뉴런 발달 -> 감각신경말단 흥분 -> 추내근

섬유 따라 척수 전달 -> 척수에서 알파운동뉴런

을 흥분 -> 협력근 수축

(63)

(1) 근방추 – 알파-감마동시 활성화

• 기능

– 근육을 계속해서 수축할 수 있게, 근육을 부 드럽게 해줌

– 근방추의 민감성 유지

• 근육이 수축해 있으면 근방추도 짧아져 민감성이 떨어지게 됨

• 감마뉴런에 의해 이를 다시 늘려 민감성 유지

(64)

골지건 기관(Golgi tendon organ)

• 근방추와 유사, 근육과 힘줄(tendon)의 연결 부위

• 골지건 기관의 구조

– 근육이 발현한 장력에

비례하여 수축하면 반응함 – 알파운동신경에 억제성

자극을 가함

(65)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

• 골지건 기관의 기능

▫ 주로 힘줄에 위치한 곳이 근수축에 의해 가해지는 신전 에 의해 활성화

▫ 방추는 신전에 의해 촉진, 신전에 의한 장력의 증가로 힘 줄기관이 흥분하면 골지건 기관을 자극하여 근육 억제

• 부상에 대한 보호기능

▫ 주동근 수축억제

▫ 길항근 흥분 – 수축력 감소

(66)

(3) 관절수용기

• 힘(tendon), 인대(ligament), 근육, 관절막 등 위치

– 관절의 각도, 가속도, 압력에 의해 변형된 정 도에 관한 정보를 중추신경으로 전달

– 사지의 위치를 알 수 있게 기준 제공, 자세에

대한 반사도 가능하게 한다.

(67)

감각수용기와

신경경로

(68)

4. 반사와 운동

(69)

1) 근 긴장(muscle tonus)

이완되어 안정시 근육의 신전에 대한 저항과 탄성

근 긴장은 신경계의 반사작용으로 유지

활동성 긴장

▫ 신경계 활동을 통한 근의 부분적인 수축 때문에 발생

수동성 긴장

▫ 근 혹은 결체조직의 자연스런 탄성력

경련성

▫ 근육의 긴장이 정상보다 클 때

신전반사

▫ 근 긴장을 유지하는 근본이 되는 신경 기전

(70)

2) 슬개건 반사(patellar tendon reflex)

• 높은 의자에 앉아 다리를 늘어뜨린 다음 무 릎의 힘줄을 치면 근방추가 흥분

• 방추 자극이 척수에 전달되면 대퇴신근은 단 일 시냅스로 흥분되어 대퇴사두근을 수축

• 대퇴이두근은 이중 시냅스로 억제되어 이완

(71)

슬개건 반사

(72)

반사작용

(73)

도피 반사

(74)

3) 척수 반사

척수

▫ 뇌와 말초신경계의 구심성 신경과 원심성 신경 사이에 위치

▫ 뇌의 관여 없이도 신경정보 통합 처리 역할

압정을 밟는 경우

▫ 밟은 발 : 잘 구부러짐(신근 억제, 굴근 흥분)

▫ 반대 발 : 척수의 반대쪽으로 가로질러간 경로가 활성화되어 반사적으 로 무릎의 신근 흥분, 굴근을 억제

▫ 교차신전반사

 압정을 밟은 다리를 구부릴 때 반대쪽다리가 체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도와줌

(75)

5. 중추신경계의 운동 조절

(76)

1) 대뇌의 운동조절

• 대뇌의 주운동피질은 운동을 수의적으로 조절

• 추체로

– 직접 척수의 운동뉴런에 연결

– 운동피질에서 자극을 척수의 전근으로 보내는 통로 역할

– 추체외로

– 나머지 원심로를 통틀어

(77)
(78)

(1) 대뇌의 전운동영역

자세의 조정, 관절 굴곡 등 근육군의 협력운동

손상

– 습관화된 복잡한 운동에 곤란 – 추체외로와 관계가 깊다.

추체로(pyramidal tract)

– 골격근의 수의운동을 관장하는 전도로 – 특수하고 정밀한 운동(글쓰기, 말하기 등) – 중뇌, 교, 연수를 경유

– 교차성

• 좌측 대뇌반구는 우반신 운동 지배

• 우측 대뇌반구는 좌반신 운동 지배

• 대뇌피질 운동영역에 장애가 오면 반대쪽 마비 초래

(79)

추체로와 추체외로

(80)

추체로

(81)

추체외로(extrapyramidal tract)

연수의 추체를 통과하지 않은 모든 신경 통로

대근육 동원, 자세유지 등에 관여

동작의 조정과 무의식적 운동을 관장 : 소뇌, 뇌간

학습과 훈련에 의한 무의식적 운동 관련

추체로

▫ 한 개 또는 소수의 근육을 수축시키는 특수하고 정밀한 운동(말 하기, 쓰기 등)의 변화 초래

추체외로

▫ 많은 근육이 동원되는 크고 일반적인 운동패턴(신체자세 유지 등) 변화

(82)

(2) 소뇌(cerebellum)

• 신체 평형과 자세 조정, 운동 조절에 관여

• 대뇌의 자문기관 구실

• 대뇌피질에서 형성된 수의운동의 계획, 준비, 시동을 보완해주는 역할

• 소뇌의 구조

▫ 대뇌 후방, 뇌간 위에 위치

▫ 전정소뇌 : 근긴장과 수의운동기술조절

▫ 척추소뇌 : 수의운동을 계획하고 시작

▫ 대뇌소뇌 : 균형 유지, 안구 운동 조절 담당

(83)

소뇌의 구조

(84)

소뇌의 기능

자극은 추체로를 거처서(P)

근육에 적절한 흥분을 초래(E)

소뇌에 대뇌피질의 의도된 운동계획 전달(c)

운동 수행 후 고유수용기 정보가 척수소뇌를 거쳐 소뇌로 보내진다(d)

효과기로 부터 구심성 흥분(d)과 대뇌피질로부터의 원심성 흥분(c) 이 소 뇌에 폭주

소뇌에서 운동상황이 비교, 분석

제동효과

▫ 위치, 속도, 방향 예측 :사지를 원하는 지점에서 멈추도록

스피드의 지각

▫ 테니스 공 맞추기, 물체와 충돌하지 않기, 야구 공 잡기

(85)

소뇌의 신경 조절

(86)

도피반사와 결합된 신전반사

(87)

(3) 지각의 입력과 운동기술

• 잠재기억

– 숙달된 기술은 대뇌의 감각영역에 기억 되었다가 즉시 재생 – 고유수용기 -> 소뇌 -> 대뇌피질의 감각영역 -> 운동피질로 연

결되어 있음

– 일단 학습되면 잠재기억에 존재하다 사용가능

– 축적된 잠재기억과 차이가 있으면 소뇌를 통해 수정 – 유리컵에 담긴 물컵을 잡아서 마실 때

– 빠른 동작은 운동영역에 축적되어 감각신경 피드백 없이도 사 용 가능

(88)

2) 자율 신경 조절

• 호흡, 순환, 소화, 대사, 분비, 체온, 생식 등

• 무의식적으로 조화롭게 자율적으로 처리

• 감각 및 운동 신경계와 상호작용, 대뇌에서

통합

(89)

(1) 교감 및 부교감 신경계

교감신경

▫ 싸우느냐 달아나느냐를 결정하는 신경(fight-or-flight)

부교감신경

▫ 휴식 및 소화 신경(resting & digesting)

자율신경절

▫ 뉴런 세포체 집합으로 중추신경계 밖에 위치

절전뉴런(preganglionic neuron)

▫ 세포체는 중추신경계, 축삭은 자율신경절 위치

절후뉴런(postganglionic neuron)

▫ 세포체는 자율신경절에, 축삭은 효과기 위치

(90)

교감 신경계 및 부교감 신경계의 영향

(91)

(92)

(2) 중추 신경성 조절

동맥압의 조절

▫ 적정 혈압 유지 : 산소와 영양분 공급과 노폐물 제거 위한 혈액 순환에 중요

▫ 구심성 정보

 혈관벽의 수용기 -> 연수의 심장혈관 중추로 전달

▫ 원심성 정보

 교감/부교감신경 -> 심장 -> 심박수와 수축력 조절

▫ 교감신경

 심박수, 수축력 증가, 혈관수축

▫ 부교감신경

 심박수 감소

(93)

심장의 자율신경계 조절

(94)

혈압 조절

(95)

(3) 운동시 골격근의 혈류량 조절

• 운동시에는 20% 정도 가던 혈액이 거의 90%까지 증가

• 단, 뇌로 가는 혈액량은 변화하지 않는다.

• 혈류 재분배

– 운동에 불필요한 내장기관 혈관수축, 골격근

혈관 확장

(96)

휴식기와 최대운동 시 혈류 재분배

(97)

*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여

분의 그림

(98)
(99)
(100)

(101)
(102)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운동섬유와

감각섬유 사이의 관계

(103)
(104)

신경의 전달

(105)
(106)
(107)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