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ystematic Review: A Comparison of Clinical Evaluation of Body Weight Reduction in Functional Food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Systematic Review: A Comparison of Clinical Evaluation of Body Weight Reduction in Functional Foods"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우리나라 20세 이 상 성인의 27.4%가 과체중, 3.2%가 비만으로 나타났

다. 전체적으로는 과체중 이상 인구가 30.6%로 남자 는 32.4%, 여 29.4%이었다. 과체중 인구의 증가는 만 성질환의 유병률 증가로 이어진다. 30세 이상 성인 중 고혈압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34.4%, 여자는 26.5%

다이어트 기능표방 식품에 대한 임상평가 비교

인제대학교 부설 다이어트연구소

강재헌․김경아․한정순

Systematic Review: A Comparison of Clinical Evaluation of Body Weight Reduction in Functional Foods

Jae Heon Kang, MD, PhD., Kyung A Kim, PhD., Jung Soon Han, PhD.

Obesity Research Institute of Inje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새롭게 도입된 건강기능식품제도에서 다이어트 관련 기능을 주장하는 제품의 기능성 평가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다이어트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표시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국내에서 이루어진 일반식품을 포함하여 다이어트 관련 인체실험에 관한 논문들을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다이어트 기능성 소재에 대한 임상실험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표본의 크기와 임상실험 기간도 다양하 여 일관성 있는 기준이 적용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다이어트 효과의 평가를 위해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 등이 측정되었고, 부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혈압, 혈액성상, 간기능, 신장기능 등을 검사하였으나 위해성을 언급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임상실험은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윤리적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안정성과 효율적인 기능 성 평가를 위해 체중감량효과에 대한 평가기준, 체지방 감량에 대한 평가 기준, 부작용의 평가 기준, 표 본의 크기나 기간 등 실험방법에 대한 표준 연구계획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중심단어: 다이어트, 기능성 식품, 인체실험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교신저자: 김경아, 서울시 중구 저동 2가 64번지, 서울백병원 인당관 다이어트연구소

Tel: 02)2272-0960, Fax: 02)2272-0960, E-mail: kadream@hotmail.com, Mobile: 011-9631-5902

*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시행한 용역연구개발사업의 보고서임.

(2)

이었고, 당뇨병 8.6%,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남자 8.8%, 여자 9.7%이었다1,2).

2001년 현재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연 간 1조 17억원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정부는 성인 비만율을 20% 이하, 청소년의 비만율을 15% 이하로 낮추는 것을 2010년 국민건강증진의 주요 목표로 설 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시행전략으로 비만에 대한 정확한 정의와 측정방법을 모색키로 한 바 있다. 비만 이 건강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면서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 급격하게 늘고 있다. 20세 이상의 30.6%는 자 신의 체중상태를 비만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24.3%는 체중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1∼3).

비만은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행동수정요법을 병행 해야 최상의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4∼5), 이러한 방법이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실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소위 다이어트 제품에 많은 관심을 두게 된다. 체 중감소용 의약품인 리덕틸(1998년), 제니칼(1999년)이 미국 FDA의 허가를 받은 바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2000, 2001년부터 지방흡수 억제제인 제니칼과 식욕 억제제인 리덕틸 등 비만치료 의약품이 시판되고 있다

6). 식품으로는 초저열량식, 저열량식 식품과 식이섬유 가공식품, 건강보조식품, 일반 식품의 형태로 저열량, 무열량 식품이나 일부 다류제품, 생식제품 등 다양한 유형의 제품들이 다이어트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이들의 유용성에 대한 근거는 매우 미약하다7,8). 소비자의 관심 증대와 제도적 미비로 인해, 다이어 트 제품으로 인한 문제점이 계속 지적되고 있다. 소비 자의 71%가 다이어트 제품의 광고내용을 신뢰하지 않 고 있으며 실제 다이어트 광고의 71.3%의 광고가 허 위․과장성이 있고, 광고사전심의제를 위반한 광고가 65.0%에 달하고 있다7).

다이어트는 체지방의 감소로 인한 체중감량이 목표 이지만 이로 인한 건강상의 위해가 없어야 한다. 그러 나 체중의 감소는 식생활 이외에 생활양식이나 운동, 유전, 심리적 요인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단기적으로 체중감량의 효과가 나타나 더라도 이를 장기간 유지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다이어 트에 대한 제품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많은 소비자들이 다이어트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실제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심각 한 상황에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식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제품이 소비자 에게는 좋은 제품을 제공하고 산업체에는 제품의 품질 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그 기 능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8∼10). 우리 나라는 2002년 8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이하 건강기능식품법)을 제정하고, 2003년 8월부터 이를 시행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법에서는 소위 기준 규격형과 개별인정형을 두고 있는데, 개별인정형을 위 해서는 기능별로 인정기준을 개발하여야 수행하였다

11).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이어트 관련 건강기능식품의 기 능성 표시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에서 이루어진 일 반식품을 포함하여 다이어트 관련 인체시험을 검토하 고 분석하여 다이어트 기능성 식품의 임상시험을 위한 평가기준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 법

국내에서 식품의 다이어트 기능에 관한 연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발표 논문을 검색하였다. 논문 검색 은 한국학술정보에서 운영하는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를 이용하였으며, 발표기 간을 1997년부터 2004년 7월 현재까지로 한정하여

“비만”, “체중조절”, “체지방”, “adipocyte”, 개별 다이 어트 소재명을 검색어로 사용하였다. 국내 보고된 인 체실험의 경우 검색된 논문은 총 24종으로 이들을 정 리, 분석하였다.

결 과

1. 인체실험에 대한 일반 연구 동향

Table 1은 인체실험의 일반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 이다12∼35).

조사된 논문의 수는 총 24개였으며, 제품의 주요 성 분, 대상자 특성, 실험기간, 실험군 구성, 체중감량과 안정성에 대한 평가, 부작용의 보고, 중도 탈락률 등에 대한 항목을 살펴보았다. 제품의 주 성분을 보면 한방

(3)

약제 추출물이 5건으로 가장 많았고22,23,28,31,34)

, 식이섬 유소 보충에 대한 것이 4건20,26,27,30)

, 생식 등 대체식에 대한 것이 4건13,19,25,32)

, 녹차에 대한 것 2건16,21), 홍삼 에 대한 것 2건17,24), 가르시나아 캄보지아에 대한 것 2

13,35)이었다. 기타 성분으로 대두단백12), 고추29), 포

14), 감식초15), 크레아틴18) 등에 대한 논문이 있었다.

연구방법 중 이중맹검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거나12) 요가 없는 2건16,21)를 제외한 21개의 논문 중에서 이중 맹검으로 진행된 것은 한 건33)이었고 예비실험을 실시 한 것으로 보고한 경우는 4건15,20,27,30)

이었다.

대부분의 건강기능식품은 pre-clinical study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의약품과는 달리 인체시험을 1회만 실시하므로 phase 1, 2 study 없이 바로 phase 3 study 를 하는 셈이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은 복합 성분인 경우가 흔하므로 효과를 측정하기가 어려우므로 표본 수의 결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36). 이러한 어려움 을 감안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인체시험을 할 때에는 사 전에 동물실험과 예비실험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 다.

기능성 식품의 경우 위약의 제조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의약품의 경우 분량이 적어 캡슐이나 정제로 만 드는데 문제가 없으나, 용량이 큰 기능성 식품의 경우 캡슐이나 정제 등의 형태로 만드는데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위약을 만들어도 제형, 맛, 향 등을 맹검하기가 어렵다. 특히 다이어트 식품, 대체식 등의 식사대용식 의 경우 열량의 문제 때문에 이중맹검법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시험 중 발생되는 중도탈락률은 결과에 중요한 영향 을 미칠 수도 있는 것으로 논문에 중도탈락률이 언급 된 경우는 6건12,13,19,20,32,33)

이었고, 중도탈락률에 대한 언급은 없으나 초기 시작과 최종인원이 같은 경우가 6 16,25,26,27,28,30)

이었으며, 언급되지 않은 경우가 10건

14,15,17,18,22,23,24,31,34,35)

이었다.

이들 연구의 제한 점으로는 연구기간이 단기간이고

19) 실험군과 대조군의 관리와 추적에 문제점을 보고하

였으므로12,19), 중도탈락률 방지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실험군 중 위약을 사용한 경우는 5건15,18,24,33,35)

이었 고, 예비 실험을 실시한 경우는 4건15,20,27,30)

이었다. 제

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해서는 없다고 보고한 경 우가 1건13) 이었고 나머지 논문에서는 부작용에 대해 서는 언급이 되지 않았다. 다이어트 기능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체지방의 감소와 인체에 대한 유해성 여부 가 입증되어야 한다. 다이어트의 기능을 나타내기 위 해서는, 체지방의 감소가 유의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이에 따른 혈액학적, 조직학적, 병리학적 손 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 지를 주의 깊게 관찰, 조사할 필요가 있다.

실험결과를 보면 임상시험 후 체중감소를 보고한 것 은 18건12∼14,16∼18,20,22∼25,27,29,30,32∼35)

이 있었고, 체지방 감소는 16건12,13,16,17,20,22,24∼27,29,30,32∼34, 35)

이 보고되었 다. 임상시험 참여 후 오히려 체지방 함량이 증가하였 다는 보고도 2건23,31) 있었다. 허리둘레의 감소는 3건

22,30,33)

에서 보고되었고, WHR감소는 7건12,13,20,27,30,32,34)

에서 보고되었다. 혈액검사 결과 임상시험 후 총 콜레 스테롤 농도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것은 15건

12,14,15,16,18,19,22,24∼27,29,30,32,34)

이 있었으나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 것도 한 건33)있었다.

2. 시험 대상 및 실험 설계

Table 2를 보면 인체시험대상의 성별은 일반적으로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66.7%로 가장 많았으 며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8.3%로 빈도가 적 었다. 비만인을 대상으로 하는 빈도는 조사 논문 중 체 지방 %를 기준으로 분류한 경우는 6건 (25%)이었고, BMI를 기준으로 분류한 경우 9건 (37.5%)으로 62.5%

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를 평가한 경우도 41.7%나 있었다.

실험대상의 연령은 20~30대가 대부분으로 66.7%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산모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도 2건 (8.3%)이 있었다.

연령에 있어서 다양한 연령군을 포함시킨 연구의 경

12,13) 허리, 엉덩이 둘레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각

연령군에 따라 다른 체중 감소현상을 보였으며, 40세 이상군의 경우 초기에는 지방 감소현상이 일어나다가 후반기부터는 근육감소 현상이 일어났다. 그리고 30세 군과 30세 미만군에서는 지방 감소현상이 지속적으로 일어난다고 보고되었다. 이처럼 연령은 다이어트 식품

(4)

Table 1. Summary of Clinical Trials of Functional Food for Obesity in Korea main

Ingredients

Subject

(mean age) Period Assessment Results Present

Weight loss effect Health effect

Soy protein12) 61 healthy female (18-57yrs : 35.6yr)

21 (weeks)

weight, BMI, WHR, body fat composition, LBM, abdominal CT

lipid profiles(TC, TG, HDL, LDL, FFA), liver function, kidney function, thyroid, change of sex hormone, insulin, blood glucose, urine

TC, blood glucose↓

HDL, TG, FFA ∆ weight, BMI, WHR, body fat composition ↓

1997

meal replacement13)

63 obese female 10-40 yr

3 (months)

weight, obesity rate,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 weight, body fat ,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 WHR ∆

1997

Grape diet14) 17 obese female(20.0yr)

6

(days) weight, BMI

lipid profile(TC, TG,) protein, blood glucose, GPT, GOT,Ca, P

weight, BMI, total protein, TG↓, TC, ↑

GPT, GOT, P↓

1997

sport-drink with vinegar15)

10 obese male(18.5yr)

1 (days) -

RQ, blood glucose, lipid profile(TC, TG, LDL, HDL, FFA), insulin, glucagon

RQ, LDL ↓

blood glucose, TG, FFA, HDL

1997

Green tea16)

98 obese subjects (BMI > 25) male 49, female 49 (45.7yr)

12

(weeks) weight, BMI, body fat composition

BP, lipid profile (TC, TG, HDL, LDL), uric acid, ALT, AST, r-GTD

weight, body fat↓

TC, TG, LDL uric acid ↓ HDL ∆

1998

Red ginseng compound17)

30 subjects(16-58yr) male 10,female 20 4

(weeks) weight, BMI, WHR, body fat composition

norepinephrine, ephinephrine, WBC β3

receptor, cAMP

weight, BMI, body fat ↓ epinepfrine, WBC β₃receptor, cAMP ↑

2000

Creatine supplements118)

12 male case 6(22.3yr) placebo(21.0yr)

12 (weeks)

weight, body fat composition

lipid profile (TC, TG, HDL)

weight ↑

TC, TG ↓ 2001

meal

replacement19) 54 obese female (BMI > 25) (30.0yr) 6

(weeks)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skinfold test, body fat composition

BP, lipid profile(TC, TG, HDL LDL, FFA), blood chemistry(RBC, WBC, Hb, Hct), liver function, kidney function,, thyroid, blood glucose, urine

TC, Hb, Thyroid ↓

Blood glucose, TG, FFA, WBC

2002

Dietary fiber20)45 female (24.6yr) classify by BMI

75 (days)

weight, BMI, obesity rate, LBM, WHR, skinfold test, body fat composition

-

energy, fat intake ↓ weight, BMI, WHR↓

body fat ↓ LBM ∆

2002

Green tea21) 92 subjects(59.5yr) male 41, female 51

cross-sec tional study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body fat composition

BP, lipid profile(TC, TG, HDL, VLDL, LDL, FFA), AI, LHR, liver function, kidney function

energy, fat intake ↓ weight, BMI, WHR, body fat, LBM, BP ∆

LDL, LHR ↓

2002

oriental herbs mixture22)

25 obese female(34.0yr) (BMI > 26 or fat %

> 30%)(40.9yr)

3 (months)

weight, BMI, waist, hip and belly circumference, body fat composition

BP, lipid profile, liver function, protein, blood glucose

weight, BMI, body fat, waist, hip and belly circumference ↓ blood glucose ↓

total protein, sGOT ↑ sGPT, TC, HDL↓, TG ↑

2002

oriental herbs mixture23)

38 female after parturition control 19(30.4yr) case 19(29.0yr)

2 (months)

weight, body fat

composition Hb, liver function weight ↓

body fat ↑ 2002

Red ginseng

product24) 28 health female (fat % > 30)(18.5yr) 12

(weeks)

weight, body fat composition, LBM

lipid profile (TC, TG, HDL, LDL)

weight, body fat, ↓ TC, TG, LDL ↓

LBM, HDL↑ 2002

(5)

main Ingredients

Subject

(mean age) Period Assessment Results Present

Weight loss effect Health effect

meal replacement25)

27 obese hyperlipidemic female(52.7yr)

(weeks)12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skin fold test, body fat composition

BP, purse, blood chemistry(RBC, WBC, Hb, Hct, MCH, MCV, MCHC), protein, albumin, ALP, lipid profile, liver function, kidney function

energy and fat intake ↓ BP, hip ∆

weight, BMI, waist, body fat

WBC, GOT, GPT, BUN ↓ MCV, total bilirubin, HDL ↑ TC, LDL, TG↓

2003

Dietary fiber26) 34 college female

(20.3yr) 3

(months)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body fat composition

Hb, lipid profile(TC, TG, HDL, LDL), liver function, kidney function

fiber intake ↑ weight, BMI ∆ WHR, body fat ↓ Hb,HDL,LDL,GOT,GPT ∆ TC, TG ↓

2003

Dietary fiber27) 47 female (26.2yr) 2 (months)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body fat composition

lipid profile(TC, TG, HDL, LDL),

energy intake ↓

weight, BMI, body fat ,WHR

TC, LDL, LHR ↓

2003

oriental herbs mixture28)

40 subjects male 8 (40.1yr) female 32 (42.9yr)

4 (weeks)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body fat composition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TC, TG, HDL, LDL),GPT

weight, obesity rate, BMI, WHR, body fat↓

hip circumference, VLDL, GPT ∆

TC, LDL, HDL ↓

2003

Fermented red

pepper29) 16 obese female (fat% >30) (21.5yr) 8

(weeks)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skinfold test, body fat composition

fasting glucose. protein, albumin, bilirubin, ALP, lipid profile(TC, TG, HDL, LDL) RMR

LDL, HDL ∆ weight, body fat, BMI,

skinfold(abdominal) ↓ 2003

Dietary fiber30) 47 female (26.2yr) 2

(months) weight, BMI, WHR, body fat composition

lipid profile (TC, TG, HDL, LDL VLDL LHR)

energy intake ↓

weight, BMI body fat, WHR, TC, LDL↓

HDL, VLDL, LHR ∆

2003

oriental herbs mixture31)

105 postpartum female (BMI > 25) control 51 (29.3yr) case 54 (29.1yr)

2

(months) weight, BMI, body fat

composition - weight, BMI ↓

body fat ↑ 2003

meal

replacement32) 36 obese female

(38.5yr) 8

(weeks)

weight, BMI, chest, arm, waist and hip circumference, WHR, skinfold test, body fat composition, LBM

Hb, Hct, albumin, total protein, TC, TG, blood glucose

weight, BMI, body fat ↓chest, arm, waist and hip

circumference↓

skin fold ↓ TG, TC ↓

2003

Garcinia Cambogia33)

55 subjects (BMI > 23) female fat %> 25%

male fat %> 27%

3 (months)

BMI, waist circumference, WHR, skinfold test, body fat composition, LBM

lipid profile(TC, TG, HDL, LDL, FFA), blood glucose, insulin

BMI,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skinfold test, ↓ TG ↓

TC, HDL ↑

2003

oriental herbs mixture34)

50 subjects (BMI 21~34) (27.0yr)

60 (days)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skinfold test, body fat composition

BP, blood glucose, lipid profile (TG, TC, HDL, LDL, VLDL), GPT

weight, 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ody fat ↓ blood glucose, TC ↓ 2003 Garcinia

Cambogia35) 36 female (30~40yr) 6

(weeks) weight, BMI, body fat

composition - weight, BMI, body fat ↓ 2004

TC : Total cholesterol

RBC : Red blood cell, WBC : White blood cell, Hb : Hemoglobin, Hct : Hematocrit MCH : Mean corpscular hemoglobin, MCV : Mean corpscular volume

MCHC: Mean corp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AI : Atherogenic index = (Total cholesterol - HDL) / HDL LHR : LDL / HDL

∆: N.S.

(6)

의 기능성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므로12) 적절한 연령군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기능성식품의 인체시험도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시 험이므로 인체시험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고려를 위해 윤리위원회 통과 및 연구대상자의 동의서 작성이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윤리위원회 에 서 기능성식품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하는 병원이 많으 며, 윤리위원회의 심의기준이 약품에 맞추어져 있어 심사에서 통과가 어렵다36).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인체 시험에 적합한 별도의 윤리위원회 규정을 정하고, 이 에 따라 윤리위원회를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 다.

실험기간은 9∼12주가 37.5%로 가장 많았으며 13∼24주로 비교적 장기간 실험하는 경우가 24건 중 5건 (20.8%)이었다. 다이어트 기능성 식품의 경우 효 능의 크기가 작고 효능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이 길 수 있다. 기능성식품의 특성상 효능의 크기가 작고 효

능이 나타나기까지 장기간 관찰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효능 확인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섭취 기 간을 고려해야 한다. 문제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통계 적 유의성 확인이 어렵거나 충분한 임상시험 기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표본의 크기는 40명 이하인 군이 41.7%였고 60인 이상인 경우도 5건 (20.8%)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으 로 구성된 실험은 총 14건으로 58.3%이었다.

3. 효과평가 항목

다이어트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한 항목을 Table 3에 나타내었는데, 이는 체중감량 효과와 안정 성에 대한 평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체중, 체지방, 혈액 성분, 기타 식이섭취로 분류할 수 있다. 실험방법 중 대상자의 체중은 총 23건 (95.8%)에서 측정되었고, 1건15)에서는 언급되지 않았 다. 체질량 지수는 20건 (83.3%)에서 측정하였다. 체 Table 2. Tendency of Methods for Clinical Trials

(n=24)

Variables n %

Criterion of grouping

Body fat % 6 25.0

BMI 9 37.5

Common People 10 41.7

Etc. 3 12.5

Age

18∼39 16 66.7

40∼59 4 16.7

Whole age 4 16.7

Sex

Male 2 8.3

Female 16 66.7

Male and Female 6 25.0

Sample size

<20 4 16.7

20∼39 6 25.0

40∼59 9 37.5

>60 5 20.8

period of trials

< 4 week 4 16.7

5∼8 week 4 16.7

9∼12 week 9 37.5

13∼24 week 5 20.8

> 24 week 0 0

cross sectional study 1 4.2

Organization Case + Control group 14 58.3

Control group only 10 41.7

(7)

지방 감소의 정도로 다이어트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도 대부분의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체지방은 주로

BIA로 측정되었으며 허리둘레 (54.2%)나 피부두겹두 께 (20.8%)로 측정한 경우도 있다. 그 외에 비만도 3 Table 3. Assesment Items of Clinical Trials

(n=24)

Variables n %

Items for effects

Weight 23 95.8

BMI 20 83.3

Waist girth 13 54.2

Chest girth 1 4.2

Arm girth 1 4.2

Thigh girth 1 4.2

Body fat Percentage 22 91.7

WHR 10 41.7

Lean body mass 1 4.2

Obesity rate 2 8.3

Standard weight 1 4.2

Skinfold test 5 20.8

Hip girth 12 50.0

Abdominal CT 1 4.2

Items for Safety

Blood pressures 6 25.0

CBC 3 12.5

Uric acid 1 4.2

Insulin 3 12.5

BMR 1 42

Urine test 2 8.3

Function of kidney 4 16.7

Biochemical test

Total cholesterol 18 75.0

Triglyceride 18 75.0

HDL 16 66.7

LDL 14 58.3

LHR (LDL/HDL Ratio) 3 12.5

VLDL 3 12.5

Free fatty acid 6 25.0

Protein 5 20.8

albumin 3 12.5

Function of liver 9 37.5

Hematocrit 3 12.5

AI (Atherogenic index) 1 4.2

Bilirubin 2 8.3

ALP 1 4.2

estrogen 1 4.2

Thyroid hormone 2 8.3

Glucose 10 41.7

Electrolites 2 8.3

Intake of nutrients

Energy intake 9 37.5

Food dairy 12 50.0

Frequency of food intake 1 4.2

(8)

건, 복부지방 CT 촬영한 경우도 1건 있었다.

사전에는 “diet”를, (라틴어의 "하루의 음식"의 뜻에 서) 명사로 ① 일상의 음식물, ② (치료, 체중조절을 위한) 규정식, 식이요법, (병원 등의) 규정식 일람표, 동사로 (환자에게) 규정식을 주다, 규정식을 취하다 의 뜻으로 풀이하고 있으나, 식품에서 “다이어트”는, 단 순히 살을 뺀다의 의미 정도로 사용된다. “살을 뺀다”

는 의미를, 건강과 관련하여 검토할 경우, 체중 감소 에 앞서 “체지방”의 감소가 우선되어야 한다36). 따라 서 다이어트 기능성 식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단지 체중이 줄어드는 것만이 아니라 체지방의 감소에 대한 지표도 함께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이어트 기능성 식품의 임상시험의 안정성을 평가 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혈액 성분 은 혈중 중성지방 18건, 총 콜레스테롤 18건, HDL-콜 레스테롤 16건, LDL-콜레스테롤 14건으로 혈중 지질 의 농도를 측정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혈중 인지질 농도를 측정한 경우도 3건이었다. 그리고 비만 또는 체지방량과 상관관계를 가지며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 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농도를 측정한 경우도 3건이었 다. 혈중 포도당 농도 (10건), GOT, GPT 농도 (9건)를 측정한 경우도 있었다.

혈중 중성지방농도는 체지방량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지표이지만 콜레스테롤 농도는 체지방량과 상 관관계가 크지 않으므로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다이어 트의 효과 평가에 적합한 지표이고 총 콜레스테롤과 HDL,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소재의 지질 대사 를 개선하는 부가적인 효과 평가에 적합한 지표라고 하겠다. 혈중 포도당 농도도 비만과의 직접적 관계를 볼 수 없으며 비만으로 인해 유도되는 인슐린 저항성 이나 당뇨병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혈중 GOT, GPT는 실험소재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안전성 평가에 적합한 지표이다.

영양소 섭취에 대한 조사는 영양소 섭취량 조사 9 건, 식사일지 작성 12건, 식품섭취 빈도 조사 1건 등이 었는데, 식사량과 운동량의 평가가 어려우므로 적절한 효과의 입증을 위해서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6,19)

.

최신 연구 지표로 백혈구내 베타3 수용체, 노르에피

네프린, 에피네프린, cAMP 등이 측정된 경우도 1건17) 있었다.

식품의 건강에 대한 유익성, 다양한 효과는 질병의 예방, 완화, 치료 등의 의약품적인 효능·효과와 구분되 어야 한다. 건강기능식품의 인체적용시험 경우는 대조 군과의 예상되는 효능차 (expected difference)가 적어 효과를 입증하기가 어려우므로 적절한 바이오마커를 이용하고, 효능 확인에 필요한 최소한의 섭취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안전성에 대한 위험도는 의약품보다 훨씬 적다고 할 수 있으나 일상적으로 장기간 복용하 게 되므로 인체적용시험 전 안전성의 확인이 인체적 용시험 시 체계적으로 조사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체 적용시험의 평가는 적절한 시험방법, 피험자보호 등 최소한의 General Guideline 하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고 판단된다.

결론 및 제언

대부분의 건강기능식품은 pre-clinical study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며, 특히 다이어트 기능성 소재로 개발 된 제품의 효능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8∼10). 게다가 의약품과는 달리 인체시험을 1회만 실시하므 로 phase 1, 2 study 없이 바로 phase 3 study를 하는 셈이다. 그리고 건강기능식품은 복합 성분인 경우가 흔하므로 effect size를 결정하기 어려워 sample size 결정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36). 이러한 어려움을 감 안하여 건강기능식품의 인체시험을 할 때에는 사전에 동물실험과 pilot study를 할 필요가 있다.

다이어트 기능성 제품의 경우 Placebo 제조가 불가 능한 경우가 많다. 의약품의 경우 분량이 적어 capsule 이나 정제로 만드는데 문제가 없으나, 용량이 큰 기능 성 식품의 경우 capsule이나 정제 등의 형태로 만드는 데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placebo를 만들어도 제형, 맛, 향 등을 blinding하기 어렵다. 특히 다이어트 식품, meal replacement diet food나 생식 등의 식사대용식 의 경우 열량의 문제 때문에 이중맹검법이 불가능하다

36). 따라서 제품의 효능을 평가 할 수 있는 Biomarker 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다이어트 기능성 식품의 경우 효능의 크기가 작고

(9)

효능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이 길 수 있다. 기능성식 품의 특성상 효능의 크기가 작고 효능이 나타나기까지 장기간 관찰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효능 확 인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섭취 기간을 고려해야 한다.

문제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통계적 유의성 확인이 어 렵거나 임상시험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각 연구에서 제한점으로 연구기간이 단기간이고 실험 군과 대조군의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안한 바

12,19)

와 같이 장기간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 생각된다.

기능성식품의 인체시험도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시 험이므로 인체시험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고려를 위해 윤리위원회 통과 및 연구대상자의 동의서 작성이 필요 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윤리위원회에 서 기능성식품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하는 병원이 많으 며, 윤리위원회 의 심의기준이 약품에 맞추어져 있어 심사에서 통과가 어렵다36). 따라서 건강기능식품 인체 시험에 적합한 별도의 윤리위원회 규정을 정하고, 이 에 따라 윤리위원회를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인체시험에서는 다이어트 기능성 식품의 효과 를 평가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 되고 있으나 이들의 실험방법과 평가기준은 일관성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기준마련이 필요하다.

현재 체중감량의 바이오마커로는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허리 엉덩이 둘레비, 체지방량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체지방량은 임피던스 또는 DEXA 또는 복부 CT로 측정할 수 있다. 그 외 인체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혈압과 심전도, 혈액 생화학 수치로 지질 성상, 간기능 검사, 신장 기능 검 사, 요검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비만의 과학적인 바이오마커와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효 과 평가와 위해성 평가에 대해 필수 평가항목의 선정 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들 임상시험은 인체 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피험자의 안전과 윤리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이어트 기능성 소재에 대한 임상시험의 안 정성과 효율적인 기능성 평가를 위해서는 윤리적 기 준, 체중감량효과에 대한 평가기준, 부작용의 평가 기 준, 표본의 크기나 기간 등 실험방법에 대한 표준 연구

계획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This review’s objective is to give a critical summary of studies that focused on physiologic measures relating to subjectively rated weight loss.

Biomarkers of weight loss may be used as a tool for assessing the efficiency of functional foods for weight reduction and for understanding the regul- ation of food intake and energy balance. We made a distinction between biomarkers of weight reduction or dangerous effect related to functional food.

Various studies showed that physiological measures related to weight loss and blood concentrations of biomarkers associated with weight loss.

Several currently available biomarkers for weight reduction are decreases in weight, body fat compo- sition, waist in weight loss effects, which have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biochemical changes during participation; lipid profiles, liver function, kidney function, which have been implicated in both weight reduction and related health effects.

The next challenge in this research area is to identify efficiency and rational standard of functional food for weight reduction that have an effect on biomarkers of weight reduction, injurious effect.

These criterions may help consumers and develo- pment to maintain exploration their new ingredients at a level consistent with a healthy body weight.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Obesity, Functional food, Clinical trail

참 고 문 헌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1). Korea health industry department.

2002.

(10)

2. 박혜순, 오상우, 강재헌, 박용우, 최중명, 김용성, 최웅환, 유형준, 김영설.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 요인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를 바탕으로-. 대한비만학회지 2003;12(1):1-13.

3. 강재헌, 김남순. 한국의 비만 추이. 대한비만학회 지 2002;11(4):329-336.

4.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 고려의학 2001.

5. 대한비만학회. 임상비만학의 최신지견 대사증후군.

2002.

6. 이상엽. 현재 사용 중인 비만 약제에 대한 이해와 임상적용. 대한비만학회 연수강좌 12(2):25-44, 2003.

7. 소비자보호원 생활경제국 표시광고팀. 다이어트 식품 광고 실태 조사. 2000.11.

8. 임경숙. 비만치료에 사용되는 대용식품 선택의 길 라잡이.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학술대회 2003;

3(1):S85-S94.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다이어트 상품의 올바른 선 택을 위한 소비자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한국보 건산업진흥원. 2001.5.

10. 소비자보호원. 다이어트 제품 피해 실태 조사 2002.11.

11.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정(안) 입안예고.

식품의약품안전청 공고 제 2003-62호. 2003.6.28.

12. 조남한, 이득주, 김상만, 이은주. 고단백 저칼로리 균형식에 의한 체중 및 건강위험 감소효과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7;6(1):67-73.

13. 이혜양. 알로에가 첨가된 다이어트프로그램 S - 28 의 체중조절 효과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비만학 회지 1997;6(1):75-84.

14. 박귀선, 한진숙, 김현주, 임민경. 포도 식사가 일부 과체중 여대생들의 체중조절과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Korean Nutrition Society 1997;30(7):825- 831.

15. 김기진, 배영상, 이순천, 이원재, 이인규, 윤여경, 류전수, 박형국, 하원호. 감식초 음료 섭취가 비만 자의 신체활동시 지방대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i Aerobic Exercise 1997;1(1):48-58.

16. 김상만, 윤수진, 김광민, 이득주. 사람에서 녹차의

혈중지질지표 개선효과에 대한 전향적연구. 한국 지질 동맥경화학회지 1998;8(1):S10-19.

17. 오승준, 김영설, 박철영, 김서운, 양인명, 김진우, 최영길, 팽정령, 신현대. 홍삼 복합제의 체지방 감 소 작용 기전의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2000;9(4):

209-218.

18. 이석인, 이신언, 박동호. 크레아틴 구강 섭취가 근 력, 체지방, 혈중지방 및 HDL 콜레스테롤에 미치 는 영향. J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1;15:

671-684.

19. 이복기, 이규래, 박미현. 식사 대용식을 사용한 단 기간의 체중 조절 -한국인 비만 성인 여성에서 식 사 대용식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2002;

11(2):131-141.

20. 이성희, 최애진, 송수진, 류정민, 노숙령, 황영희.

식이 섬유소 및 실크 펩타이드 보충이 영양소 섭 취상태 , 체적지수 및 복부 비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2;

8(2):175-184.

21. 백송남, 양정례, 진현화, 김양하. 녹차 섭취가 혈중 지질 성상에 미치는 효과. Korean Nutrition Society 2002;35(8);854-862.

22. 박순영, 최중명, 김동현, 최경식, 최봉근, 윤태영, 유동준. 저열량영양식품 섭취에 따른 비만여성의 체중감량 효과에 관한 연구. J Korean Society Health Statistics 2002:27(1):89-97.

23. 김상만, 정화영, 임재연, 황보식, 권석형. 한방 복 합제가 산모의 체중조절 및 관절통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Food & Nutr 2002;15(3):267-271.

24. 김성수, 박효윤, 변용현, 황부근, 이재현, 심영제, 박채규, 박명한, 양재원. 장기간 홍삼복방제 투여 가 혈중 지질 및 체지방 변화에 미치는 영향. J Ginseng Res 2002;26(2):67-73.

25. 한종현, 박성혜. 규칙적인 생식섭취가 고지혈증 환 자의 영양소 섭취상태, 체지방 및 혈청의 지질조 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003;36(6):

589-602.

26. 이성희, 조병남, 홍이진, 이민숙, 주상섭, 김동명, 진동규, 노숙령. 녹차와 실크 펩타이드 및 캡슐 소

(11)

재 함유 조성물이 여대생들의 복용 기간별 체지방 및 혈청 지질 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32(5):715-722.

27. 이민숙, 김동명, 조병남, 구성자, 주상섭, 진동규, 이성희. 누에고치 유래 실크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이 섬유소 보충이 체지방 및 혈청 지질 대사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2003;46(2):1-7.

28. 문근아, 최선미, 김선향, 김성수, 강지연, 윤유식.

비만 및 대사성증후군 위험인자에 대한 천연물 식 품의 인체 및 동물 효능연구.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32(8):1394-1400.

29. 장은재, 김동건, 김진만, 서형주, 오성훈. 비만여대 생을 대상으로 고추발효추출물의 체중감량 효과에 대한 연구.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32(3):479-484.

30. 이성희, 김동명, 구성자, 주상섭, 박형근, 홍이진, 이민숙, 진동규. 저분자 펩타이드와 녹차잎 및 식 이 섬유소 함유 SG-30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영양 소 섭취 상태, 복부 비만 및 혈청 지질 성상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2003;

12(1):30-43.

31. 김상만, 양재혁, 임재연, 박정우, 권석형, 황보식.

한방복합제에 의한 산후체중 조절요법이 출산후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Food & Nutr 2003;16(1):54-59.

32. 하태열, 김나영. 현미를 주원료로 한 생식이 과체 중/비만 여성의 비만도와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 향. Korean Nutrition Society 2003;36(2):83-190.

33. 이선희, 정주혜, 송찬희, 김경수, 성봉주. Garcinia Cambogia(HCA), L-Carnitine, Soy Peptide 기능 성 음료의 운동시 체지방 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 한비만학회지 춘계학술대회 2003:97-98.

34. 정은희, 윤승원, 이홍석, 윤유식, 유경미, 황인경.

장내의 탄수화물과 지방 흡수 억제를 통한 체지방 및 비만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03;19(1):107-113.

35. 김유희, 유재욱, 이유진, 김경범, 조대헌, 항진영.

Phaseolus vulgaris, Garcinia cambogia(HCA)가 함유된 다이어트 식이 조성물의 체지방 개선 및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33(3):518-522.

3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다이어트 관련 기능성평가체 계 구축. 2003.11. 식품의약안정청.

수치

Table  1.  Summary  of  Clinical  Trials  of  Functional  Food  for  Obesity  in  Korea main

참조

관련 문서

The automotive industry has demand for fossil fuel depletion, safety regulations, environmental-regulations and a driver convenience intensify the body

Effect of mulberry leaf powder containing the lactic acid bacteria on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in a constipation mode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Changes

Analysis of body characteristics on olive flounder ( Paralichthys oilvaceus ) fed on the extruded and moist pellets (body weight, body length, body height and body width) · ·

Sudden physical change causes students to have psychological nervous status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singing which has the greatest weight in music education,

Fourth, for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traits according to weight lifters’ education, while there was a high difference in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 A structural steel bulk weight factor of 47% of total topsides weight (i.e. equipment + bulks + structural) has been used for integrated deck areas, and : 50% of total

n The magnitude of the buoyant force acting on a floating body in the fluid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fluid which is displac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