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여대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여대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 청구논문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여대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type and career of dance experience on University Women' s Fitness

2 0 0 0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 대학원 운동처방 및 재활전공

이 재 경

(2)

Ⅰ . 서 론 1

1 . 연구의 필요성 1

2 . 연구의 목적 3

3 . 연구 문제 3

4 . 연구의 제한점 4

5 . 용어의 정의 4

Ⅱ . 이 론 적 배 경 5

1 . 무 용 5

2 . 체 력 9

3 . 선행 연구 12

Ⅲ . 연 구 방 법 14

1 . 연구 대상 14

2 . 실험 도구 14

3 . 실험 절차 15

4 . 실험 방법 16

5 . 자료 처리 19

(3)

Ⅳ . 결 과 및 논 의 2 0

1 . 신체구성 2 0

2 . 근 력 2 7

3 . 순발력 3 1

4 . 유연성 3 5

5 . 평형성 3 8

6 . 민첩성 4 1

Ⅴ . 결 론 및 제 언 4 6

1 . 결 론 4 6

2 . 제 언 4 7

참 고 문 헌 4 8

A B S T R A C T 5 3

(4)

표 목 차

표 1 . 피험자의 무용 참여의 형태 그룹별 일반적 사항 14

표 2 . 실험 도구 14

표 3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신체구성 2 0

표 4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신체구성 2 3

표 5 . 신체구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2 6

표 6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근력 2 7

표 7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근력 2 8

표 8 . 근력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3 1

표 9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순발력 3 1

표 10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순발력 3 2

표 1 1 . 순발력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34

표 12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유연성 3 5

표 13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유연성 3 6

표 14 . 유연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3 7

표 15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평형성 3 8

표 16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평형성 3 9

표 17 . 평형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4 1

표 18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민첩성 4 1

표 19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민첩성 4 3

표 2 0 . 민첩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4 5

(5)

그 림 목 차

그림 1 . 체력의 구성요소 1 1

그림 2 . 실험 절차 15

그림 3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체지방률 2 1

그림 4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체지방량 2 1

그림 5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제지방량 2 2

그림 6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수분량 2 2

그림 7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체지방률 2 3

그림 8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체지방량 24

그림 9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제지방량 24

그림 10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수분량 2 5

그림 1 1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악력 2 7

그림 12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배근력 2 8

그림 13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악력 2 9

그림 14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배근력 2 9

그림 1 5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순발력 3 2

그림 16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서전트 점프 3 3

그림 1 7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좌전굴 3 5

그림 18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좌전굴 3 6

그림 19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눈감고 외발서기 3 8

(6)

그림 2 0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눈감고 외발서기 3 9 그림 2 1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Si d e- s t ep 4 2

그림 2 2 .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전신반응 4 2

그림 2 3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Si d e- s t ep T es t 4 3 그림 2 4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반응시간 T e s t 4 4

(7)

Ⅰ . 서 론

1 . 연구의 필요성

인간의 기본 능력은 신체적 활동력과 정신적 발달이 서로 조화됨으로써 생명 체로서의 건강한 신체가 유지됨으로써 발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산업화, 기계화는 좌업생활군의 확대를 초래하였으며,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신체 활동력의 축소에서 오는 현대 질병을 앓는 등 건강을 위협받고 있다. 우리 나라도 점차 선진국 대역에 가까와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건강의 소중함에 대 한 인식이 강해져 건강 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운동에 관심을 갖고 많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데, 특히 여성의 경우 건강과 미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무용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무용의 본질은 인간의 신체 움직임에 기본을 두고 있으며, 신체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무언의 표현으로써 표현에 필요한 테크닉을 자 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무용신체육성이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대부분의 무용수 들은 신체의 균형과 미를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추구하면서도 테크닉을 효과적 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체육성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실정이다.

체력에 관한 정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데, W .H .O ( 1967 )에서 체력이란 주어진 조건하에서 근육 운동이 요구되는 작업을 만족스럽게 수행하는데 필요 한 능력 이라 정의하였으며, Cu r et on ( 1974 )은 병이 없고, 치아가 좋고 청력, 시력이 정상이며 정상적인 정신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신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오랫동안 작업을 하더라도 능률이 저하되지 않음을 뜻한다고 하 였다.

무용 수행에 대한 움직임을 체력면에서 고찰해 보면 위치의 변화, 방향의 결

(8)

정, 거리의 의미, 운동의 범위, 거리 이동의 소비시간, 수행속도 등 운동의 발견 능력, 조정능력, 지속능력을 지탱하는 근, 호흡, 순환, 신경계가 총동원되는 총 체적 m ech an ism에 의해 수행되는 전신운동(Sor en s en , 1982 )으로써, 무용은 신체 운동의 기본이 되는 걷기, 달리기, 뜀뛰기, 돌기, 흔들기, 굽히기, 밀기, 당기기, 오르내리기 등의 운동을 함으로써 유연성, 평형성, 지구력, 민첩성, 도 약력 등의 체력요소가 육성(윤정옥, 1987 )될 수 있다. 또한 무용은 움직임의 특징상 폭발적인 힘을 내야 하는 시간은 짧으나, 실제 수행시간은 짧게는 3분에 서 길게는 1시간이상 유지되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복합형이라 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자신의 사상, 감정을 행위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테크닉은 고도의 기술과 전문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무용수의 체력은 동작의 안전한 수행과 더불어 무대 수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 소라 할 수 있다.

Br ook s ( 198 8 )와 Coh en & McAr dle ( 198 2 )는 무용과 체력과의 관계론적 관점에서 무용 수행력과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평형성 그리고 심폐지 구력과 상호관계를 규명한 뒤 무용수행에 있어서 체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 며, Ast r an d (1986 )는 무용숙련도가 높은 무용수일수록 최대 심박수와 최대산 소섭취량이 높았으며, Bu sh ey (1966 )는 동일 무용집단에서 무용경력이 많을수 록 체지방과 안정시 심박수가 낮다고 하였다. 국내 연구로는 김민희( 1988 )는 무용전공별 신체효율지수와 5분간의 승강운동 후 혈중 젖산의 축적정도를 비교 한 후 발레, 현대, 그리고 한국무용 순, 그리고 무용경력이 많을 수록 양호함을 보고하였고, 도정님(1994 )은 무용과 면역체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일반 집단의 여성보다 발레집단이 면역체의 활성화 정도가 증가현상을 관찰하여 무용에 의한 생리적 적응현상이 운동의 효과와 동일하게 나타남을 보고하는 등, 무용에 의한 인체의 생리학적 효과에 무용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무용 수행과 경력에 관련된 체력의 발달에 대한 전공별 접근 연

(9)

구는 다소 있지만, 무용 전공별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과의 체력 전반에 관한 종 합적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용 참여의 형태와 경력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봄으로써 건강 체력의 트레이닝 방법으로써의 무용의 효과와 무용수의 수행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체력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2 .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용 참여의 형태(외국무용, 한 국무용, 비참여)와 경력(7년 이상, 7년 미만, 미경험)에 따른 집단간의 신체구 성, 근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의 차이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3 . 연구 문제

무용 참여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문 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 1)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신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2 )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근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3 )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순발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4 )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5)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평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6 )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이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10)

4 . 연구의 제한점

1)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대학교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 ) 체력 요인 중 무용 동작과 관련된 체력요인인 신체구성, 유연성, 근력, 순 발력, 민첩성, 평형성으로 제한하였다.

3 ) 피험자의 전공 및 경력 외의 체력에 미칠 수 있는 외생 변인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4 ) 실험 당시 피험자의 일상적 생활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5 . 용어의 정의

1) 무 용(Da n ce )

신체적 움직임(ph ysical m ovem en t )에 의해 표현되는 예술적 행위로서, 인 간의 신체가 존재함으로써 성립되는 예술이며 정신과 육체를 조화시킨 운동 (Lab a n , 1879 )이다. 일반적으로 유럽 대륙에서 생성, 발전된 발레(Ba llet )와 미국에서 이사도라 던컨에 의해 생긴 현대무용(Mod er n Da n ce) , 각 지역의 특 성이 동작으로 연결된 민족 전통무용으로 구분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크게 외국 무용(발레와 현대무용)과 민족 전통무용(한국무용)으로 구분하였다.

2 ) 체 력(P h ysica l fit n e s s )

주어진 조건하에서 근육 운동이 요구되는 작업을 만족스럽게 수행하는데 필요 한 능력(W .H .O . , 1967 )으로, 무용에 관련된 체력으로는 신체구성(Body com p osit ion ) , 근력(St r en gt h ) , 유연성(F lexibilit y ) , 민첩성(Agilit y ) , 평형 성(Balan ce) , 순발력(P ower )등이 있다.

(11)

Ⅱ . 이론적 배경

1 . 무 용

무용이란 신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신체의 움직임을 뜻하며, 인류 의 발생과 더불어 생겨나 민족의 체험과 더불어 역사와 함께 발전함에 따라 무 용의 개념도 점차 달라지게 되었다.

‘무용은 육체의 율동과 영혼의 매개자이다’라는 플라톤의 무용에 대한 정의 는 오랫동안 무용의 정의로 통용되어 왔으나 현재 무용 철학가들의 정의와 다소 다르다. 무용이 신체의 운동임은 명백한 사실이지만 신체적 움직임의 측면만을 생각한다면 일상 생활의 움직임이나 노동과 별반 다를 것이 없으며, 단지 그 시 대의 무용적 현상을 보는 관점을 표현했기 때문이다. 근대 이후의 무용은 창조 성의 표현이라는 것을 강력히 주장하기에 이르렀으며, 내면적인 개인 자신의 감 정과 사상을 표현하려는 것이 최고의 주장이고 예술에서 창조성의 비율이 가장 중요시 되면서 무용학자 렘멜은 무용이란 항상 흐르고 움직이고, 그 움직임 속 에 멈추고 또 흐르는 독특한 인간의 표현이다 라고 정의하였으며, 이것은 무용의 본질이 명백해지고 무용 창작의 방법론이 확립되고 나서야 비로소 완전해질 수 있었다. 요약하자면 무용이란 인간의 신체운동 혹은 움직임의 공간형식에 의하 여 우리들의 사상이나 감정 및 감각을 표현하고, 아울러 미적 가치관을 나타내 는 예술이라 해도 무관할 것이다(송수남, 1988 ) .

한편 무용은 교육의 측면에서 신체 교육이라는 광범위한 의미에서 무용의 동 작 교육은 주어진 동작으로 말미암아 자발적인 형태와 리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신체적・정신적・미학적인 측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으며, 무용이 신체조건을 향상시키고 무용수의 복지에 기여되었을 때 좀 더 바람직한 결과일 것이다(육완

(12)

순, 1992 ) .

무용의 교육적 가치를 지적, 정의적, 심리적, 운동의 영역으로 나누어보면 다 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 신체적 효과이다. 무용은 신체운동의 기본이 되는 걷 기, 달리기, 뜀뛰기, 흔들기, 굽히기, 떨기, 밀기, 당기기 오르내리기 등과 같은 운동과 움직임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이므로 균형, 지구력, 민첩성, 협응 성, 정확성과 같은 체력요소의 육성을 기대할 수 있다(송수남, 1982 ) . 특히 자 아의식이 발달되는 성장기의 무용 경험은 신체운동을 아름답게 행할 수 있는 태 도를 길러 주며, 고도의 협응력을 소유한 체력을 길러주는 중요한 효과가 있다.

둘째, 무용을 통한 지적・정신적인 효과를 들 수 있다. 교육의 목적인 인간 완 성이란 이상적인 인간, 즉 정신적인 측면에서 고찰할 때 지적・정신적 발란스가 조화된 발달을 이루는 진선미의 문화적 가치를 인지하고 이해하며 추구할 수 있 는 능력을 소유한 인간을 가르킨다(정범모, 1972 ) . 무용은 다각적인 경험을 기 초로 한 창작활동이므로 풍부한 지식이 있을 때 창작활동이 이루어지며, 정서적 불안정은 자기 표현의 기회를 줌으로써 완화될 수 있고, 무용은 인간의 미적 욕 구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자기 표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송수남, 1982 ) . 셋째, 사회적인 효과를 들 수 있다. 무용은 신체를 표현함으로써 이루 어지는 예술로서 이는 타인에게 자기를 전달하고, 전달된 사실이 타인에게 옮겨 져 의사소통(Commu n icat ion )으로써 집단 전달로 나타나고, 사상의 교환과 더 불어 전체에 파급되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창조적인 실현을 경험할 수 있게 된 다.

또한 무용 동작을 미학적으로 분석하면 이동 운동과 비이동 운동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동 운동이란 운동 요소의 적용이 신체 자신의 공간 영역에서 벗어나 서 행하는 운동을 의미하여 비이동 운동이란 제자리에서 신체 자신의 공간 영역 에서 행하는 운동을 뜻한다. 무용의 동작은 이동 운동과 비이동 운동의 복합적 인 형태에 의해 이루어져 두 방향으로 되어있거나 이 두 방향의 운동이 결합되

(13)

는 운동에 속해 있다.

무용에서 주로 이용되는 걷기, 달리기, 뜀뛰기, 돌기 등의 기초적인 공간 운 동 중 각종 운동의 기본이 되는 것은 걷기와 달리기 운동이며 극히 초보적인 운 동이다. 무용은 이 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운동으로 끝나게 되므로 시작과 마무리의 중요성에 따라 매우 중요한 운동이라 볼 수 있으며, 간단하나 미적 표 현의 근원이 되므로 섬세한 훈련이 필요하다.

진동 운동은 리듬을 느끼게 하는 기본적인 운동으로써 어떠한 하나의 지점을 고정시키고 일정한 방향을 운동하는 힘과 그 힘의 소실로서 반대 방향으로 움직 이는 수평 반복운동을 말하며, 파동운동은 파도와 같이 발생될 하나의 운동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그 힘이 소실되기 전에 같은 성질의 운동이 겹쳐 지며 반복되는 수평운동으로써 특히 이 운동은 중심 이동을 원활히 연속시키는 데서 중요한 요인이 되는 운동이다.

진동 운동과 파동 운동이 주로 수평선상에서 운동하는 반면에 굴신 운동은 관 절의 구조와 근육에 의하여 상하, 좌우, 전후 등으로 광범위하게 운동할 수 있 다. 즉, 굴신 운동은 수평 운동과 교차되는 수직 선상으로 운동하는 힘을 갖추 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중심이동이 수평선상에서 이루어질 때에는 각종 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데 수직선상의 운동일 때에는 키에 대한 제한을 받게 된다. 또 신체는 전후면이 그 구조가 차이가 있어서 굴신 운동에서는 생리적인 제한을 받 게 된다. 인간이 일상 생활에서 일어나는 움직임 중에 무거운 물건을 쥔다든가 드는 일 따위는 고통이 따르게 되며 이러한 고통이나 비애와 같은 감정 표현을 무용에서 표현할 때는 굴신 운동으로 나타내게 된다.

도약 운동은 중력에 대한 저항력과 해방감에 의하여 공간의 정점을 구성하는 성질을 지닌 운동으로서 수직 이동의 극한인 굴신의 최대 운동이라고 볼 수 있 다. 이 운동은 집결된 힘을 일시에 위로 폭발시키는 운동으로서 운동 요인 중에 서 최대의 역동성을 지닌 운동으로 진동 운동이 수평 선상의 리듬을 느끼게 하

(14)

는 운동이라면 그와 대치되는 수직선상에서 리듬을 느끼게 하는 운동이다. 즉, 중력에 대항하는 힘으로 도약하는 운동과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운동의 연속은 리듬의 기본적인 형이 되므로 따라서 뛰어오르는 운동은 감정 표현을 위한 인자 라고도 할 수 있다.

회전운동은 도는 운동을 말하며, 공간을 도형으로 이동하는 신체를 제자리에 서 자전시키는 운동의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자전은 가속도적인 Sp eed감과 Th r ill을 주며 전후의 운동을 연결시키는데 효과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회전 운동이 온 몸을 이용한 운동이라면 휘돌기 운동은 신체의 일부분을 이용한 것으로 특히 팔의 휘돌리기는 어깨의 원만한 운동성에 의하여 자유자재 로 휘돌릴 수 있다. 따라서 휘돌리기 운동은 여러 가지의 원을 공중에 그리는 원운동이 되며 시간적 연장력을 가지고 입체감을 느끼게 한다. 또한 공간에 그 려가는 선은 무용 감각을 지배하게 되므로 원운동은 극히 중요한 요소가 된다.

우리의 인체는 각 관절의 구조에 따라서 차츰 지점으로 퍼져 나가게 되어 있으 며 각 분절마다 도는 운동을 하게끔 조직되어 무용의 기반이 되고 있다.

비틀기 운동은 평형상태를 벗어나서 운동의 음영을 만드는 불안정성 운동이지 만, 불안정 속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거나 질서감을 얻음으로써 새로운 의미의 법 칙을 발견하듯이 신체의 규칙적인 교차이동에 대항하여 다양한 변화로 운동성을 발전시키는 가치 있는 운동이라 하겠다.

평균 운동은 평형(Balan ce)을 지켜가며 하나의 포즈(P os e)를 구성하는 정적 평형과 여러 가지의 운동 속에서 아름다운 평형을 구성하는 동적 평형의 두 가 지가 있는데, 이러한 평균 운동은 어디까지나 정확한 연습에 의하여 그 기능이 숙달되므로 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무 용의 구성에서는 안정 상태에서 불안정 상태로, 불안정 상태에서 안정 상태로 그 흐름이 시시각각 변하므로 운동의 평형에 대한 즉흥적인 감각과 운동 능력이 향상되어야 한다. 따라서 평균 운동의 충분한 연습은 무용 작품 구성시의 중요

(15)

한 연습 단계가 된다.

또한 정상적인 입체를 거꾸로 세우는 역립 운동과 구르는 운동은 일상 생활에 서 흔히 하지 않는 추상성과 기계성을 지닌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운 동이 갖춘 고도의 Bala n ce와 역동감은 신체의 표현성을 극한으로 확대하여 간 다. 이러한 운동은 곡예사(Acr ob a t )가 많이 수행하는 운동으로써 표현의 필요 성에 의해 하게 되며, 표현 무용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 셈이 된다. 또 구르기 에서는 제한된 수직의 운동성을 위로 확대하려는 도약운동에 비하여 아래로 내 리미는 역할을 하기 위한 기능이라고 볼 수 있으며 운동의 가능성을 확대하는데 도움이 되는 운동이다(윤정옥, 19 87 ) .

2 . 체 력

체력은 영어로 P h ysical fit n es s라는 말에 해당되는데, 이것을 직역하면 신 체적성 으로 인간 생활의 근원적 En er gy로서 모든 운동 능력의 요인이 되기 때 문에 체력에 대한 것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여러 가지로 표현되고 있다. 체력은 그 요소가 많으며 그것을 분류하는데도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무용이나 체조처럼 미적 표현이 중요시되는 연기 중심의 경기 종목이나 신체 활 동에서는 체력 요소 중에서 특히 유연성, 평형성, 순발력, 근력이 중요한 요소 이다.

W .H .O ( 1967 )에서는 체력이란 주어진 조건하에서 근육 운동이 요구되는 작 업을 만족스럽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이라 했는데, 현대인에게 있어서 체력 은 곧 생활 능력으로 가결되며, 생존의 가치관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 한 체력은 순수한 P h ysical fit n es s와 Em ot ion al fit n es s나 Men t al fit n es s ,

(16)

Socia l fit n ess로 분류할 수 있으며 모두를 통합하여 Tot a l fit n ess로 표현하 고 있다.

Cu r et on은 체력을 병이 없고, 치아가 좋고 청력, 시력이 정상이며 정상적인 정신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신체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오랫동안 작업을 하더라도 능률이 저하하지 않음을 뜻한다고 하였으며(김종선 외, 1972 ) , La r son ( 1976 )은 신체적 소질에 의해 구성되며 동작에 대한 최소한의 Cost 로 그 소질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기술을 만족 스럽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체력의 요소 등이 상호 보완작용을 유지하면서 각 각 특성을 발휘할 때 가장 효과적인 체력의 구성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력의 내용은 그림 1과 같이 구분한다.

신체구성(Body comp osit ion )은 근육, 지방, 뼈 및 신체를 구성하고 있는 다 른 조직의 상대적인 비율을 말하며, ACSM (1998 )에 의하면 여성의 경우 체지 방이 20~2 5%인 경우 정상이며 2 5~30 %인 경우 과체중, 3 0 % 이상인 경우 에는 비만으로 판정한다. 근력(St r en gt h )은 외력을 발휘하여, 무거운 중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능력으로 자신의 신체를 통제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유연성 (F lexibilit y )은 관절에서 행해질 수 있는 운동의 범위로, 근육의 길이, 관절의 구조나 인대나 건 등의 다른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민첩성(Agilit y )은 공간에서 신체의 방향을 빠르고 정확하게 바꿀 수 있는 능력이고, 평형성 (B a la n ce )은 정지하거나 움직이는 동안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이며, 순발력 (P ower )은 짧은 순간에 에너지를 힘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근력과 근 수축의 속도를 바탕으로 한다.

(17)

그림 1. 체력의 구성요소

(18)

3 . 선행 연구

강미애(1994 )는 무용 전공별 체력을 측정한 결과 유연성, 민첩성에서 현대무 용, 발레, 한국무용 전공자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근력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평형성은 한국무용과 발레 전공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지구력은 현대무 용 전공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김명미(1996 )는 무용전공 여대생의 체격, 신체조성, 체력특성을 검토한 결과 체격면에서 발레 전공자가 상대적으로 작고, 신체조성에서는 발레 전공 학생들 은 모든 항목에서 낮은 수치이며 한국무용 전공학생이 상완배부, 견갑골, 복부, 장골능부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반면 현대무용 전공 학생들은 대퇴전부, 하 퇴배부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체력특성에서는 현대무용 전공자가 순발력, 근력이 높으며, 발레 전공자들은 유연성, 평형성 종목에서 높은 기록을, 한국무 용 전공자는 민첩성에서 높은 기록을 나타냈다.

박귀숙(1989 )은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학년별 체형 및 신체구성의 변화를 분 석한 결과 모든 전공 학생들이 골격 및 근육 발달이 우수하며, 체지방율, 제지 방량, 제지방율에 있어서 각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나타냈 다.

박남현(1984 )은 무용수의 체력요인 형성에 관한 연구에서 체격특성은 발레 무용수가 다른 군에 비하여 작지만 상지장과 하지장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며, 순발력은 현대무용수 집단이 유의하게 우수하고 유연성에 있어서는 발레 무용수 가 우수하며 민첩성 요인중 왕복달리기에서는 현대무용수가, Side st ep t est에 서는 한국무용수 집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성현(1998 )은 무용 전공 학생과 일반 여대생의 신체조성과 유연성에 관한 연구에서 체지방율, 체지방량, St an din g t ru n k flexion , Tr u n k ext en sion , F r on t split 에서 무용 전공 학생이 유의하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9)

성재형(199 5)은 4년제 대학 한국무용 전공자 경력 5년 이상인 학생을 대상 으로 숙련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결정변인을 제시하기 위한 형태적, 생리적, 심 리적 변인을 연구 분석한 결과 중 생리적 변인인 근지구력, 평형성, HR , blood glu cose , la ct a t e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0)

Ⅲ . 연구 방법

1 .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총 4 3명으로 서울시내 소재의 K대학교에 재학중인 여학생 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실험 전에 실험의 목적과 내용, 절차에 대해 설명을 듣고 실험 대상으로 참가할 것을 동의하였으며, 피험자들의 전공은 외국무용 14 명, 한국무용 17명, 일반 12명이었다. 피험자들의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피험자의 무용 참여의 형태 그룹별 일반적 사항

외국무용 한국무용 비참여

M S D M S D M S D

연 령 19 .3 6 ±0 .74 19 .5 3 ±0 .94 2 0 .0 0 ±1.76 신 장 16 2 .8 4 ±5 .0 1 16 1.4 1 ±4 .69 15 9 .8 0 ±4 .38 체 중 5 5 .2 3 ±6 .52 5 3 .4 7 ±3 .95 54 . 16 ±6 .83

2 . 실험 도구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에 따른 체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실험 도구는

<표 2 >와 같다.

표 2. 실험 도구

기기 제조사(국가) 모델명 용 도

신장계 J e nix (Ko re a ) DS - 10 2 신장측정

체중계 Ka s (Ko re a ) 15 0A 체중측정

Im p e d a nc e 길우(Ko rea ) G IF- 8 9 1DX 체구성측정 체력 측정 기기 He lma s (Ko re a ) S H- 9600

D, E, F, G , H, I, J , N

종합체력측정

(21)

3 . 실험 절차

본 연구의 실험 절차는 그림 2과 같다.

그림 2. 실험 절차

(22)

4 . 실험 방법

무용 동작과 관련이 있는 체력 특성인 신체구성, 근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 성, 순발력의 체력요소(김미명, 1996 ; 이정화, 1990 )는 국민대학교 스포츠산 업 대학원 부설 웰니스 센터에서 숙련된 연구원에 의해 측정되었다. 실험에 참 가하는 피험자는 오전 1 1시에 실험을 시작하는 것으로 하여 실험 30분전에 도 착해서 실험 의도와 절차 및 실험 방법상의 주의 사항에 대한 설명을 듣고 2 0 분 이상 안정을 취하였으며, 신체 움직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신체구성을 가장 먼저 측정하였고 근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성, 순발력의 순으로 측정하였 다.

1) 측정 방법

( 1) 신체구성

신체 조직의 전기전도성 차이에 근거하여 측정하는 생체전기저항기계인 Im p eda n ce를 이용하여 체지방율, 체지방량, 제지방량, 수분량을 측정하였으며, 기계 특성상 피험자는 검사 2시간 전부터 금식을 하였고 측정 전 실내 온도가 약 20℃인 장소에서 20분간 침대에 누워 안정을 취했다.

측정 자세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누운 자세에서 중족골과 중지골, 중수골과 수근골을 알코올로 닦아 낸 후 전극을 접지시키고 측정이 완료될 때까지 움직이 지 않도록 하였다.

(23)

(2 ) 근력

H사 SH- 96 00 D , E기계를 이용하여 악력과 배근력을 측정한다.

① 악력은 악력계를 쥐고 손가락 제 2관절이 직각이 되도록 잡고 팔을 이 몸에 닿지 않도록 벌려서 최대한 세게 쥐었다 놓는 것을 2회 반복하여 높은 수 치를 채택하도록 한다.

② 배근력은 상체를 30°로 숙여서 손잡이를 잡고 천천히 당기다가 최대한 당기는 것을 2회 반복하여 높은 수치를 채택하도록 한다.

(3 ) 유연성

H사 SH- 96 00 G기계를 이용하여 좌전굴 t est 를 실시한다. 발바닥을 90도로 세워 발판에 대고 무릎을 편 상태에서 손끝이 발끝을 향하게 하여 가능한 앞으 로 숙이도록 하며 발바닥을 중심으로 도달한 수치를 ±로 측정하도록 하며 2회 실시하여 낮은 수치를 채택하도록 한다.

(4 ) 민첩성

H사 SH- 9600 N , I기계를 이용하여 Side- st ep t est 과 전신반응 t est 를 실 시한다.

① Side- st ep은 가운데 선을 중심으로 양발을 벌리고 서 있다가 좌, 우 1m 바깥쪽으로 한 발씩 내딛는 것으로 2 0초 동안 실시하도록 한다.

(24)

② 전신 반응은 센서가 부착된 발판에 서 있다가 기계에서 나는 신호음을 듣는 즉시 가능한 빨리 발판에서 발을 떼도록 하며, 2회 실시하여 낮은 수치를 채택하도록 한다.

(5) 평형성

H사 SH- 9 600 H기계를 이용하여 눈감고 외발서기를 실시한다. 양 발을 벌 려 손은 허리에 얹고 눈을 감은 상태로 서 있다가 한쪽 발로 서고 반대쪽 발은 서있는 발에 무릎이 직각이 되도록 하여 발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측 정하도록 한다. 신체가 많이 흔들려 발의 위치가 움직이거나 눈을 뜨면 검사자 임의로 측정을 중단하는 것으로 2회 실시하여 높은 수치를 채택하도록 한다.

(6 ) 순발력

H사 SH- 9 600 F 기계를 이용하여 서전트 점프를 실시한다. 센서가 부착된 발 판에 서서 무릎만 약간 굽혔다가 가능한 높이 뛰었다가 발판에 다시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기계에서 거리로 환산하는데 공중에서는 무릎을 굽 히지 않도록 하며, 2회 실시하여 높은 수치를 채택하도록 한다.

(25)

5 . 자료 처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Win d ows용 SP S S 8 .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피험자의 일반적 사항은 t - t est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고, 무용 의 형태 및 경력별 그룹간의 체력특성은 On e- way AN OVA를 이용하여 유의 차를 보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그룹간에는 Sch effe를 이용하여 사후처리하 였다. 본 연구의 유의수준은 α= 0 .0 5로 설정하였다

(26)

Ⅳ . 결과 및 논의

서울지역 K대학교 여대생 4 3명을 대상으로 무용 참여의 형태(외국무용 14 명, 한국무용 17명, 비참여 12명)와 경력(미경험 12명, 7년 미만 16명, 7년 이상 15명)별 체력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신체구성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에 따른 신체구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Im p eda n ce를 이용한 신체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무용 형태 집단별 신체구성 관련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3 >과 같다.

표 3.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신체구성

외국무용 한국무용 비참여

M SD M SD M SD

체지방률(%) 24 .7 2 ±2 .89 24 .9 3 ±2 .18 2 7 .8 2 ±4 .19 체지방량(kg) 13 .70 ±2 .56 13 .33 ±1.57 15 .15 ±3 .27 제지방량(kg) 4 1.53 ±4 .67 40 .05 ±3 .15 39 .0 1 ±4 .89 수 분 량(l) 30 .4 1 ±3 .4 1 29 .32 ±2 .30 28 .5 7 ±3 .58

<표 3 >과 그림 3에서 보면 체지방률은 외국무용 그룹이 24 .72±2 .89 % , 한 국무용 그룹이 24 .93±2 . 18 % , 비참여 그룹이 27 .8 2±4 . 19 % 이었고 이 중 외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간에 p <.0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27)

그림 3.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체지방률

<표 3 >과 그림 4에서 보면, 체지방량은 외국무용 그룹이 13 .70±2 .56k g , 한 국무용 그룹이 13 .33±1.57k g , 비참여 그룹이 15 . 15±3 .27k g으로 비참여 그 룹의 체지방량 수치가 높게 나왔으나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4.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체지방량

<표 3 >과 그림 5에서 보면, 제지방량은 외국무용 그룹이 4 1.53±4 .67k g , 한

(28)

국무용 그룹이 4 0 .0 5±3 . 15k g , 비참여 그룹이 39 .0 1±4 .89k g 이었으며 유의 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5.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제지방량

<표 3 >과 그림 6에서 보면, 수분량은 외국무용 그룹이 30 .4 1±3 .4 1L , 한국 무용 그룹이 29 .32±2 .30L , 비참여 그룹이 2 8 .57±3 .58L로 유의한 차는 없 었다.

그림 6.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수분량

(29)

한편, 무용 참여의 경력 집단별 신체구성 관련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4 >와 같다.

표 4.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신체구성

미경력 7 년 미만 7 년 이상

M S D M S D M S D

체지방률(%) 2 7 .8 2 ±4 .19 24 .8 2 ±2 .57 24 .8 5 ±2 .47 체지방량(kg) 15 . 15 ±3 .28 13 .8 1 ±2 .34 13 .17 ±1.70 제지방량(kg) 39 .0 1 ±4 .89 4 1.57 ±4 .64 39 .8 1 ±2 .84 수 분 량(l) 28 .57 ±3 .58 30 .44 ±3 .39 29 .14 ±2 .07

<표 4 >와 그림 7에서 보면 체지방율은 미경험 그룹이 2 7 .82±4 . 19 % , 7년 미만 그룹이 24 .82±2 .57 % , 7년 이상 그룹이 24 .8 5±2 .4 7 % 이었고, 이 중 미경험 그룹과 7년 미만 그룹간에 p <.0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7.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체지방률

<표 4 >와 그림 8에서 보면, 체지방량은 미경험 그룹이 15 . 15±3 .28k g , 7년

(30)

미만 그룹이 13 .8 1±2 .34 k g , 7년 이상 그룹이 13 . 17±1.70k g 이었으며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8.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체지방량

<표 4 >와 그림 9에서 보면, 제지방량은 미경험 그룹이 3 9 .0 1±4 .89k g , 7년 미만 그룹이 4 1.57±4 .64 k g , 7년 이상 그룹이 39 .8 1±2 .84 k g 이었고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9.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제지방량

(31)

<표 4 >와 그림 10에서 보면, 수분량은 미경험 그룹이 2 8 .57±3 .58L , 7년 미만 그룹이 3 0 .44±3 .39L , 7년 이상 그룹이 29 . 14±2 .07L 이었으며 역시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10.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수분량

신체구성은 크게 수분, 지방, 고형질로 되어 있으며, 그 중 체중은 체지방체 중과 제지방체중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체지방은 영양의 섭취대사와 밀접한 관 계가 있고 제지방 체중은 근의 발달에 관련되고 있으며 무용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체중과 체지방률이 감소하는 것은 많은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체지방을 연소시킴으로써 체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소인영, 2000 ) .

이길주(199 5)의 연구에서는 체지방율과 체지방량에 있어 일반 학생이 무용전 공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으며, 반대로 제지방량은 무용전공 학생이 일반 학 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고하였다.

김미명(1996 )의 연구에서 체지방률이 무용전공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 었으나 발레전공, 현대무용전공, 한국무용전공 그룹이 각각 일반전공 그룹과 유 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났으며, 또한 소인영(2000 )의 연구에서는 신체조성 측 정 결과 무용전공 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성현(1998 )의 연구에서는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이 무용전공 학생들과 일반

(32)

학생들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본 연구에서 체지방률에서 형태별로는 외 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에서, 경력별로는 7년 미만 그룹과 미경력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한다 하겠다.

무용 참여의 경력별 신체구성 결과 중 7년 미만 그룹과 미경력 그룹간에서만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차이난 것은 7년 미만 그룹의 경우 7년 이상 그룹에 비해 완성도 측면에서 미흡하므로 다양한 기본 기능의 연습에 치중함으로써 7년 이상 그룹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고 무용의 특징상 경력 초반에는 동작의 반 복 연습이 주로 이루어지다가 점차 동작의 정확성 연습과 정서적인 면이 중시되 기 때문에 다른 그룹에 비해 체지방률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신체구성 관련 변인에 있어서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별 그룹간 차이 유무 를 규명하기 위하여 적용한 일원변량분석(On e- way ANOVA)의 검증 결과는 <

표 5>와 같다.

표 5. 신체구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Sourc e df s s ms F p

체지방률(%)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77 .65 378 .00 455 .65

38 .82 9 .45

4 . 11 .024*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77 .32 378 .33 455 .65

38 .66 9 .46

4 .08 .024*

체지방량(kg )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4 .57 242 .97 267 .54

12 .29 6 .0 7

2 .02 .146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6 .78 240 .76 267 .54

13 .39 6 .02

2 .22 .12 1

제지방량(kg )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42 .04 706 .92 748 .96

2 1.02 17 .6 7

1. 19 .3 15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49 .54 699 .43 748 .96

24 .77 17 .49

1.42 .254

수 분 량(L)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2 .27 377 .62 399 .89

11.14 9 .44

1. 18 .3 18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6 .42 373 .48 399 .89

13 .2 1 9 .34

1.4 1 .255

*p< .05

(33)

2 . 근 력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에 따른 근력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악력 테스 트와 배근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무용 참여의 형태 집단별 근력 관련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6 >과 같다.

표 6.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근력

외국무용 한국무용 비참여

M S D M S D M S D

악 력(kg ) 2 5 .0 1 ±3 .57 2 3 .38 ±3 .74 2 0 .2 6 ±4 .23 배근력(kg ) 63 .07 ±17.27 63 .47 ±20 .08 47 .83 ±12 .90

<표 6 >과 그림 1 1에서 보면, 악력은 외국무용 그룹이 2 5 .0 1±3 .57k g , 한국 무용 그룹이 2 3 .38±3 .74 k g , 비참여 그룹이 20 .26±4 .23k g으로 외국무용 그 룹과 비참여 그룹에서 p <.0 1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1.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악력

(34)

<표 6 >과 그림 12에서 보면, 배근력은 외국무용 그룹이 63 .07±17 .27k g , 한국무용 그룹이 6 3 .4 7±20 .08k g , 비참여 그룹이 4 7 .83±12 .9 0k g으로 유의 한 차가 없었다.

그림 12.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배근력

한편, 무용 참여의 경력 집단별 근력 관련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7 >

과 같다.

표 7.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근력

미경력 7 년 미만 7 년 이상

M S D M S D M S D

악 력(kg ) 2 0 .0 6 ±4 .23 24 .5 1 ±4 .63 2 3 .6 9 ±2 .44 배근력(kg ) 47 .83 ±12 .90 67 . 12 ±2 1.43 59 .20 ±14 .53

<표 7 >과 그림 13에서 보면 악력은 미경험 그룹이 20 .06±4 .23k g , 7년 미 만 그룹이 24 .5 1±4 .63k g , 7년 이상 그룹이 2 3 .69±2 .44 k g로, 이 중 미경험

(35)

그룹과 7년 미만 그룹간에 p <.0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3.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악력

<표 7 >과 그림 14에서 보면, 배근력은 미경험 그룹이 4 7 .83±12 .90k g , 7년 미만 그룹이 67 . 13±2 1.4 3k g , 7년 이상 그룹이 59 .2 0±14 .53k g로, 이 중 미경험 그룹과 7년 미만 그룹간에 p <.0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4.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배근력

(36)

근력은 무용 동작에 있어 P u ll (한 팔이나 두 팔을 뻗쳐 사물을 신체를 향하여 끈다든지 몸을 가볍게 앞으로 기울여 무릎을 굽히고 팔을 위로 당기는 동작)을 반복 연습함으로써 역현상이 일어나 사물의 무게에 따라서 더 강한 힘이 생겨 강한 근육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이정화(1990 )의 연구에서는 악력 테스트 결과 일반 전공학생이 무용전공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허정(1997 )과 강미애(1994 )의 연구에서는 근력이 외국무용 전공생과 한국무 용 전공생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김미명(199 6 )의 연구에서 배근력 측정 결과 외국무용 전공과 한국무용 전공, 일반 전공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박해경 ( 19 9 3 )의 연구에서는 무용 경험이 많을 수록 근력이 높다고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형태별에서는 악력에서만 외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별에서는 악력과 배근력에서 7년 미만 그룹과 미경 력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선행 연구들과 어느 정도 일치한다 하겠다.

악력에서 외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Ba llet 의 P a s de deu x (남녀가 파트너가 되어 함께 추는 2인무)에서 손을 잡 아 체중을 분산시키면서 균형을 잡는 동작 등 상대방을 잡는(H old ) 기술이 많 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악력과 배근력 또한 신체구성 결과와 마찬가지로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 중 7년 미만 그룹과 미경력 그룹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났는데, 이것 역시 진학을 목적으로 한 연습의 결과 근육이 발달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근력 관련 변인에 있어서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별 그룹간 차이 유무를 규 명하기 위하여 적용한 일원변량분석(On e- wa y ANOVA)의 검증 결과는 <표

(37)

8 >과 같다.

표 8. 근력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Sourc e df s s ms F p

악 력(kg )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162 .64 586 .99 749 .62

8 1.32 14 .6 7

5 .5 1 .008 **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147 .34 602 .29 749 .62

73 .6 7 15 .06

4 .89 .0 13*

배근력(kg)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068 . 15 12 158 .83 14226 .98

1034 .07 303 .97

3 .40 .043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553 . 16 11673 .82 14226 .98

1276 .58 29 1.84

4 .37 .0 19*

*p< .05 , **p< .0 1

3 . 순발력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에 따른 순발력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 전트 점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 무용 참여의 형태 집단별 서전트 점프 변 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9 >와 같다 .

표 9.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순발력

외국무용 한국무용 비참여

M S D M S D M S D

서전트

점프(c m) 3 6 .0 7 ±4 .08 38 .0 6 ±9 .24 2 5 .7 5 ±3 .4 1

(38)

<표 9 >와 그림 15에서 보면 서전트 점프는 외국무용 그룹이 36 .07±

4 .08cm , 한국무용 그룹이 3 8 .06±9 .24 cm , 비참여 그룹이 2 5 .7 5±3 .4 1cm로 외국 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비참여 그룹과는 각각 p <.0 1, p <.00 1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5.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순발력

한편, 무용 참여의 경력 집단별 서전트 점프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0 >과 같다.

표 10.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순발력

미경력 7 년 미만 7 년 이상

M S D M S D M S D

서전트

점프(c m) 2 5 .7 5 ±3 .4 1 3 6 .8 8 ±7.07 3 7 .4 7 ±7.84

<표 10 >과 그림 16에서 보면 서전트 점프 테스트는 미경험 그룹이 2 5 .7 5±

3 .4 1cm , 7년 미만 그룹이 36 .86±7 .07 cm , 7년 이상 그룹이 37 .4 7±

(39)

7 .84 cm로, 7년 미만 그룹과 7년 이상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 으나 미경험 그룹간에는 모두 p <.00 1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6 .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서전트 점프

무용 동작 중 기본 동작인 H op (한 발로 마루를 밀어내며 뛰는 동작) , j u mp (몸의 모든 부분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면서 한 발이나 양 발로 공중으로 뛰어 신체를 옮기는 동작) , Galloppin g (빠른 속도로 뛰기)등은 순발력을 요구하는 동작들이다.

박남현(1984 )의 연구에서 서전트 점프 테스트 결과 외국무용전공, 한국무용 전공, 일반전공 순서로 나타났으며 허정(1997 )의 연구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없 었으나 발레전공, 한국무용전공, 현대무용 전공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강미 애( 1994 )의 연구에서는 현대무용전공 학생과 발레전공 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 가 없었으나, 현대무용전공 학생과 한국무용전공 학생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정화(1990 )의 연구에서는 일반 전공 학생이 무용전공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외국무용전공 학생이 한국무용 학생보다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보 고하였다.

(40)

김미명(1996 )의 연구에서는 St ep-j u m p 테스트에서 무용전공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무용 전공 학생과 일반 전공 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고, 박해경( 1993 )의 연구에서는 무용 경험이 있는 집단이 무용 경험이 없는 집 단에 비해 유의하게 순발력이 높게 나왔으며, 무용 경험이 있는 집단 중에서는 경험이 많을 수록 순발력이 좋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별로 외국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외국무용 전공, 한국무용 전공 그룹이 각각 비참여 그룹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별로는 7년 이상 그룹과 7년 미만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그룹 모두 미경력 그룹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선행 연 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무용의 경우 Gr an d J et t e (다리를 펴고 공중을 나는 듯이 뛰는 동작)이나 한국무용의 경우 연풍대(공중으로 뛰어 몸을 회전시키며 앉았다 가 일어나는 동작)등 몸을 위로 높게 띄우는 것을 응용한 동작이 많아 각근력 등 하지 근육이 발달하여 형태별로는 비참여 그룹, 경력별로는 미경력 그룹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순발력 관련 변인에 있어서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별 그룹간 차이 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적용한 일원변량분석(On e- way AN OVA)의 검증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순발력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Sourc e df s s ms F p

서전트 점프 (c m)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1156 .86 17 10 . 12 2866 .98

578 .43 42 .75

13 .53 .000***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1129 .24 1737 .73 2866 .98

564 .62 43 .44

13 .00 .000***

***p< .00 1

(41)

4 . 유연성

무용 참여의 형태에 따른 유연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좌전굴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좌전굴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2 >와 같다.

표 12.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유연성

외국무용 한국무용 비참여

M S D M S D M S D

좌전굴(c m) 2 6 .2 5 ±4 .52 24 .0 5 ±6 .80 8 .8 0 ±6 .4 1

<표 12 >와 그림 17에서 보면 좌전굴에서 외국무용 그룹이 26 .2 5±4 .52cm , 한국무용 그룹이 24 .0 5±6 .8 0cm , 비참여 그룹이 8 .80±6 .4 1cm로 외국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비참여 그룹과는 모두 p <.0 0 1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7.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좌전굴

(42)

한편, 무용 참여의 경력 집단별 좌전굴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3 >과 같다.

표 13.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유연성

미경력 7 년 미만 7 년 이상

M S D M S D M S D

좌전굴(c m) 8 .8 0 ±6 .4 1 2 6 . 14 ±5 .25 2 3 .8 7 ±6 .48

<표 13 >과 그림 18에서 보면, 좌전굴 t est 는 미경험 그룹이 8 .80±6 .4 1cm , 7년 미만 그룹이 26 . 14±5 .2 5cm , 7년 이상 그룹이 23 .87±6 .4 8cm로, 7년 미만 그룹과 7년 이상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경험 그룹 간에서는 모두 p <.00 1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8.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좌전굴

유연성은 여러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체조나 무용에서 매우 중요한데, 이는 미적 표현이나 연기적 경기에서 중요하며, 국소적인 관절의 원활한 가동성이 크 게 요구되는 각종 Sp or t s 선수의 중요한 체력 요소중의 하나이다(이긍세,

1982 ) .

강미애(1994 ) , 허정(1997 ) , 박성현(1998 )의 연구에서는 외국무용 전공 학

(43)

생과 한국무용 전공 학생간에 유연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박남현( 1984 )은 무용수의 체력요인에 관한 연구에서 유연성 테스트 결과 발레전공학생이 한국무용과 일반학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김미명(1996 )의 연구에서는 무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외국무용 전공과 한국무용 전공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반 학생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정화(19 90 )의 연구에서도 무용전공 집단간에는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외국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무용의 참여 형태별 그룹 중 외국무용 그룹, 한 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고 경력별 그룹 중 7년 이상 그룹, 7년 미만 그룹이 미경력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결과와 일치 한다 하겠다.

무용의 참여 형태별 그룹 중 한국무용 동작의 경우 관절의 가동성이 큰 움직 임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외국무용 그룹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전공 수업과 부전공 수업의 비중이 거의 없는 대학 무용 전공생의 수업과정에서 비롯 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이 경력별 그룹간의 결과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연성 관련 변인에 있어서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별 그룹간 차이 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적용한 일원변량분석(On e- way AN OVA)의 검증 결과는 <표

14 >와 같다.

표 14. 유연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Sourc e df s s ms F p

좌전굴 (c m)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322 .32 1454 .29 3776 .62

116 1. 16 36 .36

3 1.94 .000***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322 .32 1454 .29 3776 .62

116 1. 16 36 .36

3 1.94 .000***

(44)

5 . 평형성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에 따른 평형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눈감고 외발서기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무용 참여의 형태 집단별 눈감고 외발서기 변인 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5>와 같다.

표 15.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평형성

외국무용 한국무용 비참여

M S D M S D M S D

눈감고

외발서기(s e c ) 6 5 .78 ±39 .95 8 7 .5 9 ±8 1.10 24 .3 3 ±24 .3 1

<표 15>와 그림 19에서 보면 눈감고 외발서기에서 외국무용 그룹이 6 5 .78±

39 .9 5초, 한국무용 그룹이 87 .59±8 1 . 10초, 비참여 그룹이 24 .33±24 .3 1초 로 외국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 외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한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간에서 p <.0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19.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눈감고 외발서기

(45)

한편, 무용 참여의 경력 집단별 눈감고 외발서기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

표 16 >과 같다.

표 16.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평형성

미경력 7 년 미만 7 년 이상

M S D M S D M S D

눈감고

외발서기(s e c ) 24 .3 3 ±24 .3 1 7 1.5 6 ±48 .98 8 4 .34 ±8 1.24

<표 16 >과 그림 20에서 보면, 눈감고 외발서기 테스트는 미경험 그룹이 24 .33±24 .3 1초, 7년 미만 그룹이 7 1.56±4 8 .98초, 7년 이상 그룹이 84 .34

±8 1.24초로, 7년 미만 그룹과 7년 이상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미 경험 그룹과 7년 이상 그룹간에는 p <.0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20.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눈감고 외발서기

평형성은 신체를 일정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 동작의 평형, 미, 능률, 균형, 안정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정화, 19 90 )으로, 무용에서 매

(46)

우 중요한 요소로써 무용의 기교 발휘와 에너지 소비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시 된다.

강미애(1994 )의 연구에서 무용 전공별로 평형성은 발레 전공생이 한국무용 전공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다고 보고하였으나, 김미명(1996 )의 연구에서 외국 무용전공과 한국무용전공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무용참여 유무에 따라 무용참여 학생이 비참여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고, 허 정( 1997 )의 연구 결과 역시 무용 전공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 다.

이정화(1990 )의 연구에서는 학년이 높을 수록 평형성이 좋다는 결과는 보고 하였으며, 박해경( 1993 )의 연구에서는 무용 경험이 있는 집단이 무용 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해 평형성이 유의하게 좋고, 경험이 많을 수록 좋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본 연구 결과에서 형태별에서는 한국무용 그룹과 외국무용 그룹간에 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한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력별에서는 7년 이상 그룹과 미경력 그룹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하겠다.

외국무용의 경우 Ar ab esqu e (한 쪽 다리로 서서 다른 다리를 펴서 뒤로 들고 서는 동작)나 At t it t u de (한 쪽 다리로 서서 앞 또는 뒤로 든 다리를 90로 구부 린 동작)등 균형을 잡는 동작이 많으며 한국무용 또한 한 다리를 든 상태로 서 서 상체를 움직이거나 천천히 중심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균형 감각을 요구 하는 동작을 많이 반복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을 오랜 기간동안 연습한 결과가 평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한국무용은 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내면적으로는 많은 근력, 평형성과 호흡법이 요구되는 동작 이 많으며(성재형, 199 5) , 감정 이입시 시선이 한 곳에 집중되기 보다 분산되 거나(산조 등) 눈을 지긋이 감는(살풀이 등) 경우가 많아 눈감고 외발서기 테스 트에서 비참여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47)

평형성 관련 변인에 있어서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별 그룹간 차이 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적용한 일원변량분석(On e- way AN OVA)의 검증 결과는 <표

17 >과 같다.

표 17. 평형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Sourc e df s s ms F p 눈감고

외발서기 (s e c .)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833 1.67 132494 .63 160826 .30

14 165 .83 33 12 .37

4 .28 .02 1*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25944 .22 134882 .08 160826 .30

12972 . 11 3372 .05

3 .85 .030*

*p< .05

6 . 민첩성

무용 참여의 형태에 따른 민첩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Sid e- st ep 테스 트와 전신반응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집단별 민첩성 관련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 차는 <표 18 >과 같다.

표 18.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민첩성

외국무용 한국무용 비참여

M S D M S D M S D

S id e - ste p

(회) 3 2 .2 1 ±4 .08 3 1.94 ±5 .69 2 7 .4 2 ±3 .55 전신반응

(m/ s e c ) 0 .2 1 ±3 .93 0 .2 1 ±6 .98 0 .2 6 ±7.16

(48)

<표 18 >과 그림 2 1에서 보면 Sid e- st ep t est 에서 외국무용 그룹이 32 .2 1±

4 .08회, 한국무용 그룹이 3 1.94±5 .69회, 비참여 그룹이 27 .4 2로 외국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비 참여 그룹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 21.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Side- step

<표 18 >과 그림 22에서 보면, 전신반응 t est 에서는 외국무용 그룹이 0 .2 1±

3 .93m/ sec , 한국무용 그룹이 0 .2 1±6 .98m/ sec, 비참여 그룹이 0 .26±

7 . 16m/ sec로 모든 그룹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22.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전신반응

(49)

한편, 무용 참여의 경력 집단별 민첩성 관련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표 19 >

과 같다.

표 19.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민첩성

미경력 7 년 미만 7 년 이상

M S D M S D M S D

S id e - ste p

(회) 2 7 .4 2 ±3 .55 3 2 .0 6 ±4 .68 3 2 .0 7 ±5 .39 전신반응

(m/ s e c ) 0 .24 3 ±9 .82 0 .2 12 ±4 .5 1 0 .2 08 ±6 .79

<표 19 >과 그림 23에서 보면 Side- st ep Test 는 미경험 그룹이 27 .4 2±

3 .55회, 7년 미만 그룹이 32 .0 6±4 .6 8회, 7년 이상 그룹이 3 2 .07±5 .39회 로, 7년 미만 그룹과 7년 이상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미경험 그룹 간에는 모두 p <.0 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그림 23.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Side- step Test

<표 19 >과 그림 24에서 보면 반응시간 Test 는 미경험 그룹이 0 .24 3±

(50)

9 .83m/ sec , 7년 미만 그룹이 0 .2 12±4 .5 1m/ s ec, 7년 이상 그룹이 0 .208±

6 .79m/ sec로, 모든 그룹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림 24.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반응시간 Test

민첩성은 현대 무용에 있어서 Tu rn (신체를 회전하는 움직임으로 신체의 방향 변화에 기본적인 동작) , 발레에서는 Bat t em en t s F r app es Sin gle (양 다리, 양 발을 강하게 하여 속도를 빨리 해주는 동작)과 한국무용의 움직임 연속 (Su ccession ) , 변화(Ch a n ge ) , 흐름(F low )을 반복적으로 시행함과 관련이 깊 다.

허정(1997 )의 연구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현대무용전공 학생이 발레 전공 학생과 한국무용전공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강미애(19 94 )의 연구에서는 현대무용전공, 발레전공, 한국무용전공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박남현( 1984 )의 연구에서는 한국무용전공 학생이 외국무용전공 학생이나 일반 전공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김미명(1996 )의 연구에서 Side- st ep t est에서 무용전공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무용전공 집단과 일반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박해경( 1993 )의 연구에서는 무용 경험이 있는 집단이 무용 경험이 없는 집단에

(51)

비해 좋고, 경력이 많을 수록 민첩성이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는 형태별로는 Side- st ep t est에서만 외국무용 그룹과 한국무용 그룹이 비참여 그룹과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별에서는 Side- st ep t est에 서 7년 이상 그룹과 7년 미만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두 그룹 모두 미경력 그룹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하겠다.

무용 동작의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감정적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외국무용의 경우 Gliss a de (공중에서 다리를 옆으로 벌려 한 쪽에서 다른 한 쪽으로 중심을 이동하는 동작) , 한국무용의 경우 돌기(한 쪽, 또는 방향을 바꿔가며 몸을 연속 으로 회전시키는 동작)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동작들이 민첩성에 영향을 미쳐 비경험 그룹과 무용 그룹간에 차이를 보였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 동작들은 무용의 시작 단계에서 기본적으로 배우기 때문에 무용 경력별 그룹간 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미경력 그룹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민첩성 관련 변인에 있어서 무용 참여의 형태 및 경력별 그룹간 차이 유무를 규명하기 위하여 적용한 일원변량분석(On e- wa y ANOVA)의 검증 결과는 <

표 20 >와 같다.

표 20. 민첩성 관련 변인의 그룹간 일원변량분석

Sourc e df s s ms F p

Side - ste p (회)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187 .46 874 .2 1 106 1.6 7

93 .73 2 1.85

4 .29 .02 1*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186 .89 784 .79 106 1.6 7

93 .44 2 1.87

4 .27 .02 1*

전신반응 (m/ s e c )

형태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9265 .66 20 1525 .00 2 10790 .66

4632 .83 5038 .12

0 .92 .40 7

경력

Betwe e n Within Tota l

2 40 42

9360 .45 20 1430 .2 1 2 10790 .66

4680 .22 5035 .75

0 .93 .403

*p< .05

(52)

Ⅴ . 결론 및 제언

1 . 결 론

무용 경험의 형태와 경력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무용 경 험의 형태별 그룹(외국무용 14명, 한국무용17명, 미경험 12명)과 무용 경험의 경력별 그룹(미경험 12명, 7년 미만 16명, 7년 이상 15명)을 대상으로 신체구 성, 근력, 순발력, 유연성, 평형성, 민첩성을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 경험의 형태별 그룹간의 신체구성 중 체지방률에서는 외국무용 그 룹과 비참여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p <0 .0 5)가 나타났으나, 체지방량, 제지방량, 수분량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근력 중 악력은 외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p <0 .0 5)가 나 타났으나, 배근력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순발력과 유연성에서는 외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 한국무용 그룹과 비참 여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평형성에서는 한국무용 그룹과 비참여 그룹간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민 첩성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무용 경험의 경력별 체지방률에서는 미경험 그룹과 7년 미만 그룹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나, 체지방량, 제지방량, 수분량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 나지 않았다.

근력은 미경험 그룹과 7년 미만 그룹간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순발 력과 유연성에서는 7년 미만 그룹과 7년 미경험 그룹, 7년이상 그룹과 미경험

(53)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평형성에서는 미경험 그룹과 7년 이상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민첩성에서는 7년 미만 그룹과 7년 이상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 았으나 각각 미경험 그룹간에는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무용은 체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특히 한국무용보다는 외국무용이 체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 또한 경력 측면 으로만 볼 때 7년 미만의 무용도 체력 향상에는 충분한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 다.

2 . 제 언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에서는 한국무용 그룹과 외국 무용 그룹만으로 나누어 측정하였으 나, 추후의 연구에서는 한국무용, 발레, 현대무용과 같이 보다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2 . 본 연구에서는 경력을 7년 내외로만 나누어 측정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 는 취미로 무용을 하는 아마추어 무용수와 직업으로 무용을 하는 프로 무용수의 체력측정이 필요하다.

(54)

참 고 문 헌

강미애( 1994 ) . 무용전공 여대생의 체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강상조 ( 19 8 8 ) . 체육통계 . 서울 : 보경출판사 공응대 ( 19 8 8 ) . 운동생리 . 서울 : 형설출판사

김말복( 1987 ) . 무용예술론 - 표현과 그 의미. 서울 : 도서출판 금광 김말복( 1994 ) . 무용의 철학. 서울 : 예전사

김매자( 1992 ) . 춤의 세계사. 서울 : 박영사

김명미( 1996 ) . 무용전공여대생의 체격, 신체조성 및 체력특성에 관한 연구. 계 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미연 ( 19 8 9 ) . 무용분류에 따른 신체적성요인의 비교분석 . 영남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김복희 , 김화숙 ( 19 8 1) . 현대무용 테크닉 . 서울 : 보진재출판사 .

김인순( 1989 ) . TH I에 의한 무용수의 건강상태에 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선 외( 1972 ) . 기초체육교육. 서울 : 보신문화사.

김현희( 1996 ) . 무용 전공 여고생들의 체지방 비율과 관련 식사 변인에 대한 조 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귀숙( 1989 ) . 무용전공학생의 체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박남현( 1984 ) .무용수의 체력요인 형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박성현( 1998 ) . 무용 전공 학생과 일반여대생의 신체조성에 따른 유연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해경 ( 19 9 3 ) . 무용이 기초운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성재형( 199 5) . 한국무용의 숙련도 추정을 위한 형태, 생리, 심리적 분석. 한양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소인영 (2 0 0 0 ) . 대학 무용 전공별 신체조성 및 순환 능력에 관한 연구 . 우 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수남( 1988 ) . 무용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학구사 육완순, 이희선( 1992 ) . 무용교육과정. 서울 : 금강

윤정옥 ( 19 8 7 ) . 무용전공 여학생과 일반 여학생의 체력 발달에 관한 비교 연구 .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길주 ( 19 9 5 ) . 무용전공 대학생의 체형과 체력에 관한 연구 . 원광대 체력 과학연구 17 ( 1) , p p 104 - 1 14 .

이정화( 1990 ) . 무용전공생의 체격 및 체력에 관한 연구 - 여자고등학교・여자 대학교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경태 외 ( 19 9 7 ) . 운동생리학 . 서울 : 대한미디어

정미령( 1997 ) . 대학 여자 무용수의 섭식장애 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정옥조( 198 5) . 영양과 무용가에 관한 연구 - 대학연령의 여성무용인에게 있어 서 비타민 B 복합체와 철분 결핍의 관계. 무용한국 19 , p p 104 - 1 10 . 조정희( 1998 ) . 무용전공여대생과 일반여대생의 정신건강상태 비교연구. 이화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치

그림 1. 체력의 구성요소
그림 2. 실험 절차
그림 3. 무용 참여의 형태별 그룹간 체지방률 &lt;표 3 &gt;과 그림 4에서 보면, 체지방량은 외국무용 그룹이 13 .70±2 .56k g , 한 국무용 그룹이 13 .33±1.57k g , 비참여 그룹이 15
그림 23. 무용 참여의 경력별 그룹간 Side- step Test
+2

참조

관련 문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태도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연령과 최종학력에 따 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같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학력에 따라서는 인구 통계적 특성이 참여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았다 합기도 수련자를

03kg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집단의 평균을 비 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사후에서는 유의 한 차이가

3 3mg/ dL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이정분( 1992) 의 무용전공학생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을 분석한 결과는 우울증,강박성,대인민감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1)남자 수영선수집단과 일반인집단간의 최대힘효율은 60〬/sec에서 좌측 내회전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120〬/sec에서 우측 내회전근에서

19c m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 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85%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사후검사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