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Correlation Between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Correlation Between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ournal of Korean Spine Surg.

Vol. 13, No. 2, pp 81~86, 2006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ong-Moon Sohn,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hosun University Hospital 588 Seosuk-Dong, Dong-Gu, Gwangju 501-717, Korea

Tel: 82-62-220-3147, Fax: 82-62-226-3379, E-mail: hmsohn@chosun.ac.kr

본 논문의 요지는2005년도 대한척추외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이 논문은 2003년도 조선대학교 연구 보조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경추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의 상관관계

유재원∙손홍문∙이자용∙이철갑

#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산업의학과학교실#

The Correlation Between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Jae-Won You, M.D., Hong-Moon Sohn, M.D., Ja-Yong Lee, M.D., Chul-Gab Le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

– Abstract –

Study ddesign: This is a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graphic and clinical results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for treating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s.

Summary oof LLiterature RReview: ACDF is a successful procedure for treating the degenerative cervical spine. Many studies have reported on radiographic results and clinical outcomes of this procedure.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nges of the radiographic parameters and the clinical results after ACDF.

Materials aand MMethods: 26 patients who had single level ACDF performed for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s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 2000 and Dec, 2004 were evaluated. All the patients underwent autologous iliac bone graft and plate fixation.

The radiographic parameters, including the disc height, the disc space angulation and the spinous process distance were mea- sured at the preoperative period, post operative 1 month and the last follow up period, respectively. The clinical changes were measur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neck and arm pain at the preoperative and last follow up period. The corre- lations between the radiographic parameters and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by Pearson correlat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disc height (6.7-7.9 mm) as well as disc space angulation (kyphosis: 1.1 , lordosis:

3.4 ). The reduction in the neck pain VAS score (63.9-33.1) and the arm pain VAS score (57.9-29.7) was significant. None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adiographic parameters and the clinical outcomes were significant (p>0.05).

Conclusion: Although the clinical outcomes improved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adi- ographic parameters and clinical results after performing single 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for the degenera- tive cervical disease.

Key WWords: Degenerative cervical disease,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Disc height, Disc angle, Spinous process distance

(2)

서 론

퇴행성 경추 질환은 보존적인 치료 후에도 호전이 없 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된다. 수술방법에는 전방이 나 후방 도달법에 의한 감압술 및 유합술이 있으나

Robinson과 Smith

1)에 의해 소개된 전방 감압술과 유합술 은 후방으로 돌출된 추간판이나 골극을 병변이 있는 전 방에서 제거하여 신경을 감압시키고 자가 골편을 삽입 하여 감소된 추간판 높이를 회복하며, 또한 병변 부위를 유합함으로써 척추의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 어 특히 두 분절 이하의 병변이 있을 때 많이 이용된다.

골 이식물은 최근에 공여부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여 러 가지 골이식 대체물들이 소개되어 좋은 결과를 보고 하고 있지만 장기 추시가 필요하며 아직까지는 자가 장 골 이식술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에서 이상적인 이식물의 높이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삽입된 골편이 높은 경우 추간공의 높이 및 넓이뿐만 아니라 척추관의 직경도 커지게 하여 압박된 신경을 감압할 수 있지만 추간판 높이가 과도하게 신장 될 경우 척추체 종판에 과도한 압박력이 생겨서 이식물 의 실패나 하강, 불유합이 발생한 가능성이 있고 후방 관절에는 압박력이 줄어들고 관절막은 신연되어 수술 후 경부 동통이 초래되어 좋지 않은 임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2,3,4,5,6,7)

.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 수술 후에

는 이식골의 유합외에도 추간판 높이의 회복, 국소 후만 의 회복 등 여러 가지 방사선학적 검사를 하게 되는데 골유합에 대한 연구나 임상 결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되 어있지만 방사선학적 검사와 임상적 호전과의 상관관 계에 대한보고는 드문 실정이다8,9)

.

이에 저자들은 퇴행성 경추 질환에 대한 단 분절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 술 후 경부통 및 상지통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식물에 의 해 변화된 경추부의 방사선학적 검사치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 까지 퇴행성 경추 질환으

로 단 분절 전방 추간판 제거술과 유합술을 받고 최소 6 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26예를 대상으로 하였 다. 평균 연령은 55세(35~74)이었고 남자가 15예, 여자 가 11예 이었으며 경추 신경근증이 21예, 경추증성 척수 증이 5예 이었다. 전례에서 standard left-side Smith-

Robinson 도달법을 이용하여 자가 장골 이식술과 금속

판을 이용한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이중 14예는 전통적

인 추간판 제거술을, 12예는 현미경적 추간판 제거술을 시행하였고 전례에서 자가 장골 이식 및 전방 금속판 이 식술을 병행하였다. 수술 부위는 제 3-4 경추간이 3예, 제 4-5경추간이 6예, 제 5-6 경추간이 11예, 제 6-7 경추 간이 6예 이었다. 방사선학적 변화는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 이내, 최종 추시시의 추간판 높이, 추간판 각, 극

돌기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경추 측면 방사선 사진을 이 용하여 추간판 높이는 추간판 중간 부위에서 상위 척추 체의 하부 종판과 하위 척추체의 상부 종판과의 거리를 측정하였고, 추간판 각은 상위 척추체의 하부 종판의 선 과 하위 척추체의 상부 종판의 선이 만나는 각을 측정하 였으며, 극돌기간 거리는 상위 경추 극돌기의 가장 후하 위의 점에서 하위 경추 극돌기의 같은 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Fig. 1). 관찰자간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측 정치는 2명의 척추외과 의사와 1명의 정형외과 수석 전 공의가 측정한 수치의 평균치를 이용하였다. 임상적 변 화는 수술 전과 최종 추시시의 경부통과 상지통의 VAS

(Visual analogue scale)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방사선적

계측치와 임상적인 결과는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 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Fig. 1. Radiograph showing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

DH, disc height; A, disc space angle; SP, spinous process distance.

(3)

결 과

최종 추시 기간은 평균 15.1개월(10~32개월)이었다.

1. 방사선학적 계측치의 변화

추간판 높이는 수술 전 6.7 ± 1.1 mm에서 수술 후 1개 월에는 8.8 ± 1.5 mm로 증가하였다가 최종 추시시에는

7.9 ± 1.5 mm 로 약간 감소하였다. 추간판 각은 수술 전

후만 1.1 ± 1.6�에서 수술 후 1개월에는 전만 3.4 ±

2.8�로 호전되었다가 최종 추시 시에는 전만 1.8 ± 2.4�

로 약간 감소하였다. 극돌기간 거리는 수술 전 17.1 ±

4.9 mm에서 수술 후 1개월에는 15.6± 4.7 mm로 감소였

다가 최종 추시 시에는 15.9 ± 5.3 mm 로 유지되었다

(Table 1).

2. 임상 결과의 변화

경부통의 VAS는 수술 전 63.9 ± 6.9에서 수술 후 1개

월에는 35.3 ± 8.5로 상당히 호전되었으며 최종 추시 시 에는 33.1 ± 6.1 로 약간 더 호전되었다. 상지통의 VAS 는 수술 전 57.9 ± 7.7에서 수술 후 1개월에는 33.1 ±

3.5로 상당히 호전되었으며 최종 추시 시에는 29.7 ± 2.9 로 약간 더 호전되었다(Table 1).

3. 방사선 계측치와 임상 결과와의 상관관계

최종 추시시의 추간판 높이와 경부통 및 상지통의

VAS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0.030, 0.091 이었으며, 추간

판 각의 상관계수는 각각 -0.065, -0.123이었고, 극돌기간 거리와의 상관계수는 각각 -0.058, 0.053이었다(Fig. 2,

3). 세가지 방사선 계측치 모두 임상적 결과와는 거의 무

시될 수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도 큰 의미가 없었다(p>0.05).

4. 전통적 감압술과 현미경적 감압술의 비교

전통적인 감압술을 받은 14예의 경부통 및 상지통의

Table 1. Changes of radiographic parameters and clinical results.

Preop PO 1M Last F/U

DH (mm)* 6.7±1.1 8.8±1.5 7.9±1.5

A ( ) 1.1±1.6 -3.4±2.8- -1.8±2.4-

SP (mm) 17.1±4.90 15.6±4.70 15.9±5.30

Neck VAS§ 63.9±6.90 35.3±8.50 33.1±6.10

Arm VAS§ 57.9±7.70 33.1±3.50 29.7±2.90

* DH: disc height

A: disc space angle

SP: spinous process distance

§VAS: visual analogue scale

Fig. 2. Correlation between final disc height and neck pain and arm pa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r, correlation coefficient.

(4)

평균 VAS는 수술 전 각각 63.8과 57.8에서 수술 후 각각

32.9과 29.5로 호전되었으며, 현미경적 감압술을 받은 12예의 경부통 및 상지통의 평균 VAS는 수술 전 각각 63.6과 53.6에서 수술 후 각각 33.6과 29.4로 호전되었으

나 두 군간의 임상적 호전의 차이는 없었다(Mann-Whit-

ney test, p>0.05).

고 찰

퇴행성 경추 질환에는 추간판 퇴행증, 골극 및 추간판 탈출에 의한 신경근증과 척수증이 있는데, 저자들의 경 우 추간판 퇴행증은 대부분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되어 수술의 적응증을 구분하기가 어렵고 수술 후의 예후도 신경근증이나 척수증보다 예견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 여 단순한 추간판 퇴행증은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아서 본 연구는 신경근증과 척수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결과를 판정하였다. 또한 경추 척수증은 신경근증과 전 혀 다른 질환으로 볼 수 있지만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 던 증례들은 모두 단 분절의 추간판 탈출에 의해 척수증 과 신경근증의 증상을 나타내어서 연구대상에 포함을 시켰다. 경추증성 신경근증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1940 년대에 이 질환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압박된 신경 근에 대한 감압술로 후방 부분 추궁 절제술을 이용하였

는데10)

, 경막외 정맥 출혈에 의해 수술 시야가 좋지 않고

골극이나 탈출된 추간판을 제거하기 위해 신경근에 손 상을 줄 가능성이 많은 단점이 있어, 1950년대 후반

Smith와 Robinson

1)이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을 보고한 이후, 전방 도달법은 전방에서 직접 병변에 접근 함으로써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병변 부위를 더 쉽고 안

전하게 제거할 수 있고, 성공적인 골유합을 이룸으로써 계속적인 골극의 형성을 방지하며, 유합으로 이루어진 안정성으로 인해 이미 존재하던 골극도 퇴축이 가능하 고, 또한 협소화 된 추간판 간격을 신연시킴으로써 추간 공을 확장시켜 신경근에 대한 감압을 가능하게 하는 장 점이 있어 최근까지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다11,12)

.

전방 추간판 제거술 후 추간판을 신연 시키고 골이식을 하게 되는데 추간판 신연이 임상 증상을 호전 시키는지 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오히려 과도한 신연은 이식골 과 경추체 경계부위에 압박력을 증가시켜 이식골의 붕 괴를 초래할 수 있고 추간판 높이의 증가와 추간공의 높 이의 증가와 비례하지 만은 않는다5,7,13)

. 본 연구의 결과

에서도 추간판의 높이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최종 평가에서 평균 1.2 mm 증가했지만 추간판의 높이 호전 정도와 임상적 증상과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추 간판 각은 술전 평균 후만 1.1�이었으며 추간판 각을 교 정하기 위해 전례에서 이식골의 높이가 전방이 후방보 다 약간 높게 하여 삽입하였으며, 최종 평가에서 평균

1.8�로 전만 상태로 유지되었으나 역시 임상 증상의 호

전과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이는 Laing 등14)의 보 고와도 유사하다. 극돌기간 거리는 추간판의 높이가 증 가할수록 또는 추간판각의 후만각이 커질수록 거리가 넓어지는데 수술 전 평균 17.1 mm에서 최종 결과 15.1

mm

로 변화하였지만 이 또한 임상결과와 특별한 상관 관계가 없었고 실지로 이 수치는 앞의 다른 두 가지 변 수에 의하여 변화하므로 단독으로 평가하는 것은 큰 의 미가 없어 보인다.

1980년대 후반부터 미세 수술 기구의 발달로 경추증

성 신경근증에 대한 전방 감압술에 미세 현미경 수술이 시도되어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고15)

,

최근에는 척추

Fig. 3. Correlation between final disc space angle and neck pain and arm pa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r, correlation coefficient.

(5)

수술에 수술 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이 자주 이용되는데 각각의 결과만 보고되었지 전통적 전방 감압술과 비교 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이 초기 14예 는 전통적 방법, 후기 12예는 현미경적 감압술을 시행하 여서 이 두 군의 임상 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두 군 간에 임상적 호전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퇴행성 경추 질환에 대한 단분절 전방 감압술 및 유합 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최종 추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 학적 결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추간판 높이, 추간 판 각, 극돌기간 거리 모두 환자들의 경부통이나 상지통 의 호전 정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퇴행성 경추 질환의 수술적 치료 후 임상 결과는 병변의 직접적인 제 거가 관계가 있으며 간접적인 방사선 상의 호전은 특별 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01) Smith GW, Robinson RA: The treatment of certain cer- vical spine disorders by anterior removal of the interverte- bral disc and interbody fusion. J Bone Joint Surg 1958;

40-A: 607-624.

02) Albert TJ, Smith MD, Bressler E, Johnson LJ: An in vivo analysis of the dimensional changes of the neurofora- men after anterior cervical diskectomy and fusion: a radi- ologic investigation. J Spinal Disord 1997;10:229-233.

03) An HS, Evanich CJ, Nowicki BH, Haughton VM: Ideal thickness of Smith-Robinson graft for anterior cervical fusion. A cadaveric study with computed tomographic cor- relation. Spine 1993;18:2043-2047.

04) Bayley JC, Yoo JU, Kruger DM, Schlegel J: The role of distraction in improving the space available for the cord in cervical spondylosis. Spine 1995;20:771-775.

05) Truumees E, Demetropoulos CK, Yang KH, Herkowitz HN: Effects of disc height and distractive forces on graft

compression in a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model.

Spine 2002;27:2441-2445.

06) Olsewski JM, Garvey TA, Schendel MJ: Biomechanical analysis of facet and graft loading in a Smith-Robinson type cervical spine model. Spine 1994;19:2540-2544.

07) Truumees E, Demetropoulos CK, Yang KH, Herkowitz HN: Failure of human cervical endplates: a cadaveric experimental model. Spine 2003;28:2204-2208.

08) Jenis LG, An HS, Simpson JM: A prospective compari- son of the standard and reverse robinson cervical grafting techniques: radiographic and clinical analyses. J Spinal Disord 2000;13:369-373.

09) Kwon B, Kim DH, Marvin A, Jenis LG: Outcomes fol- lowing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the role of interbody disc height, angulation, and spinous process distance. J Spinal Disord Tech 2005;18:304-308.

10) Spurling RG, Scoville WB: Lateral rupture of the cervi- cal intervertebral discs. A common cause of shoulder and arm pain. Surg Gynecol Obstet 1944;78:350-358

11) Garvey TA, Transfeldt EE, Malcolm JR, Kos P: Out- come of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s per- ceived by patients treated for dominant axial-mechanical cervical spine pain. Spine 2002;27:1887-1895.

12) Bohlman HH, Emery SE, Goodfellow DB, Jones PK:

Robinso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arthrodesis for cervical radiculopathy. Long-term follow-up of one hun- dred and twenty-two patients. J Bone Joint Surg 1993;75:1298-1307.

13) Farmer J, Albert TJ, Balderston RA, Vaccaro A:

Foraminal pressure changes during intervertebral distrac- tion simulating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J Spinal Dis- ord 1998;11:307-311.

14) Laing RJ, Ng I, Seeley HM, Hutchinson PJ: Prospective study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after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Br J Neurosurg 2001;15:319-323.

15) Kozak JA, Hanson GW, Rose JR, Trettin DM, Tullos HS: Anterior discectomy, microscopic decompression, and fusion: a treatment for cervical spondylotic radiculopathy.

J Spinal Disord 1989;2:43-46.

(6)

※ 통신저자 : 손 홍 문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588 조선대병원 정형외과

Tel: 82-62-220-3147 Fax: 82-62-226-3379 E-mail: hmsohn@chosun.ac.kr

연구계획: 퇴행성 경추 질환의 수술적 치료 후 방사선학적 변화와 임상적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전향적 방법으로 분 석하였다.

연구목적: 퇴행성 경추 질환으로 단 분절 전방 추간판 제거술과 유합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방사 선학적 변화와 임상적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 까지 퇴행성 경추 질환으로 단 분절 전방 추간판 제거술과 유합술을 받 고 최소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5세(35~74)이었다. 남자가 15례 여 자가 11례 이었으며, 전례에서 자가 장골 이식술과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을 병행했다. 방사선학적 변화는 수술 전 과 수술 후 1개월 이내, 최종 추시시의 추간판 높이, 추간판 각, 극돌기간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임상적 변화는 수술 전과 최종 추시시의 경부통과 상지통의 VAS score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방사선적 계측치와 임상적인 결과는 Pear- 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추간판의 높이는 평균 6.7 mm에서 7.9 mm로, 추간판 각은 평균 후만 1.1�에서 전만 3.4�로 호전되었다. 경부통 의 VAS는 평균 63.9에서 33.1로, 상지통의 VAS는 평균 57.9에서 29.7로 호전되었다. 그러나 세 가지 방사선 계측치 모두 임상적 결과와는 거의 무시될 수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으로도 큰 의미가 없었다(p>0.05).

결론: 퇴행성 경추 질환에 대한 단분절 전방 감압술 및 유합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최종 추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 적 결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임상 결과는 의미있는 호전을 보였지만 추간판 높이, 추간판 각, 극돌기간 거리 모두 환자들의 경부통이나 상지통의 호전 정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퇴행성 경추 질환의 수술적 치료 후 임 상 결과는 병변의 직접적인 제거가 관계가 있으며 간접적인 방사선 상의 호전은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 료된다.

색인단어: 퇴행성 경추 질환, 전방 추간판 제거술 및 유합술, 추간판 높이, 추간판 각, 극돌기간 거리 국 문 초 록

수치

Fig. 1. Radiograph showing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
Table 1. Changes of radiographic parameters and clinical results.
Fig. 3. Correlation between final disc space angle and neck pain and arm pa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참조

관련 문서

GDP impact of COVID-19 spread, public health response, and economic policies. Virus spread and public

Development of Dental Digital Radiographic system using CMOS and Evaluation of Imaging Properties..

Micro- and nano-sized pores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lloy using PEO and anodization methods, and the pore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Zr

Each group was measured periotest value(PTV)to evaluate clinical mobility and performed radiographic examination to evaluate marginal bone loss..

Percutaneous endoscopic cervical discectomy (PECD) is an effective minimally invasivesurgery for soft cervical disc herniation in properly selected cases..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al outcomes including bone fusion and subsidence that occurred after

A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of fixed partial dentures (FPDs) prepared by dental school students: a retrospective study.. A retrospective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the Multiple Allergosorbent Test-Chemiluminescent Assay(MAST-CLA) and Clinical Severity of Chronic Urticaria. A study of food all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