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증 례 보 고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증 례 보 고 - "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터키안 및 주변 해면정맥동, 사골동, 접형동에 발생한 용종성 혈관내피 과증식증

- 증 례 보 고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1 해부병리학교실2

임용철

1

·조경기

1

·안영민

1

·윤수한

1

·조기홍

1

·심 철

2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of the Sella, Cavernous Sinus, Ethmoid and Sphenoid Sinus

- Case Report -

Yong Chull Lim, M.D.,1 Kyung Gi Cho, M.D.,1 Young Min An, M.D.,1 Soo Han Yun, M.D.,1 Ki Hong Cho, M.D.,1 Chull Shim, M.D.2

Department of Neurosurgery,

1

Neuropathology,

2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PEH), usually originates in extracranial soft tissue, is considered a reactive proliferation of endothlium and an unusual form of thrombus organization. However the occurance of PEH in the cranial cavity is very rar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a PEH involving intracranial sella, parasella, cavernous sius, ethmoid and sphenoid sinus in an 11-year-old boy.

The patient was presented with sudden right visual disturbance. Magnetic resonance image showed a well-enhanced mass in the right cavernous sinus extending into the ethmoid and sphenoid sinus. The cere- bral angiography demonstrated a vigorous tumor staining supplied by both internal and external carotid arteries.

The right fronto-temporal craniotomy and subtotal resection of the tumor were performed. The mass was comprised in a highly vascular red-black nodular tissue associated with a mixture of fresh and organizing thrombi.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papillary structures lined by endothelium within vascular space with organized thrombus. While the patient was waiting for second operation in order to remove remaining small tumor in the ethmoid and sphenoid sinues, the lesion exhibited rapid regrowth and the size became to the preoperative size at three months after operation.

At reoperation, gross total removal was accomplished by a combination of trans-cranial and trans-sphe- noidal approaches.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given.

KEY WORDS: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Intracranial·Gross total removal·Radiotherapy.

서 론

용종성 혈관내피 과증식증(papillary endothelial hyper- plasia, PEH)은 일반적으로 두개외 연부조직에서 발생하고, 이미 있었던 혈관이나 혈관기형1,6)에서 발생하거나 혈전의 비정상적인 기질화에 따른 병변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13).

이 질환은 조직학적으로 기질화하는 혈전(organizing throm- bi) 및 혈관육종(angiosarcoma)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고 양 성의 생물학적인 특성을 갖는다.

두개강내에 발생하는 PEH은 매우 드물고, 국내에서는 아 직 보고된 바 없는 질환으로, 본 교실에서는 터키안 및 주변 해면정맥동, 사골동, 접형동까지 침범한 PEH의 1례를 수술 로 치험하였기에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2)

증 례

11세된 남자 환아로 매우 빠르게 진행하는 우안의 시력저 하를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신경학적 검사상 우안 시력은 수지분별(finger count)이 15cm에서 가능하였고, 유두부종 소견이 관찰되었다.

뇌자기공명영상상 터키안 및 주변 해면정맥동, 접형동, 사 골동에 위치한 조영증강이 매우 잘되는 종괴(5×3×3cm)가 관찰되었고, 우측 시신경을 압박하고 있었으며, T1 강조영상 상 동등신호강도, T2 강조영상상 고신호강도를 보였으며 균 질한 조영증강 소견을 보였다(Fig. 1). 뇌 혈관조영 검사상 주로 외경동맥의 분지에서 공급되는 종양착색을 볼 수 있었 다(Fig. 2).

Fig. 1.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 A:Axial T1 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e showing isointense to slightly hy- pointense signal in sellar, parasellar, sphenoid sinus. B, C:Contrast axial and sagittal magnetic resonance images showing strongly enhancing large mass.

Fig. 2. Right external carotid angiogra- phy demonstrates a tumor blush.

Fig. 3. Magnetic resonance images at three months after the first operation. The mass was extended into the sellar, parasellar regions, sphenoid sinus and ethmoid sinus. Right cavernous sinus was encircled by the mass with invasion of leptomeninges.

A A

A A B B B B C C C C

(3)

비강경유 조직생검(trans-nasal biopsy)상 용종성 혈관 내피 과증식증으로 진단되어, 개두술 및 경막외 접근(right fronto-temporal craniotomy and extradural approach) 으로 종양을 절제하였다. 수술 소견상 종양내 혈관이 매우 풍부하여 출혈이 심했으며 내경동맥과 시신경 등의 주위 구 조물과 유착이 심하였으나 터키안 주변 및 해면정맥동내에 위치한 두개강내 종양은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비 강 및 사골동에 위치한 종양은 경막외 접근으로는 수술시야 가 좁아 후에 경접형동접근법(trans-sphenoidal approach) 으로 절제하기로하고 일부 종양을 남겨놓고 수술을 마쳤다.

환자는 수술후 경과가 호전되어 우측 시력은 좋아졌으며, 수술 3개월후에 비강 및 사골동에 일부 남아있는 종양을 제 거하기 위하여 추적 검사한 뇌자기공명촬영상(Fig. 3) 비강 과 사골동에 국한되어있던 종양이 빠르게 수술전 크기로 자 라서 터키안 및 주변 해면정맥동까지 침범하였다. 2차 수술 시 경막외접근법과 경접형동접근법을 병용하여 종양을 완전 제거하고 복직근(musculi rectus abdominis)을 이용하여 천 측두동정맥(superficial temporal artery and vein)과 문합

을 시행, 두개저의 결손부위를 재건하였다. 수술후 의식은 명 료하였으며 신경학적 결손은 나타나지 않았다.

종양은 완전 제거 되었으나 향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사선치료(5500cGy)를 시행하였다. 조직검사상 혈관내피 세포(endothelial cell)의 얇은 층을 갖는 용종성 구조의 특 징적인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4). 수술후 12개월에 시행한 뇌 자기공명영상상 종괴는 전절제 되었으며, 재발의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5).

고 찰

용종성 혈관내피 과증식증(papillary endothelial hyperpl- asia, PEH)은 1923년 Pierre Masson11)에 의해 치핵의 혈 관총(hemorrhoidal plexus)에 발생한 내피의 종양(heman- gioendotheliome vegetant intravasculaire)으로 처음 보고 되었다. 이후 Intravascular angiomatosis, Masson’s ps- eudoangiosarcoma, Masson’s hemangioma1,6,7) 등으로 알려져 왔으나 병리학적 고찰을 통해 현재는 과증식을 동반

Fig. 4. A:Numerous papillary projections with fibrin core, lined by thin endothelial cells(H-E, original magnification×100). B:Plump endothelial cells lacking pleomorphism or mitosis(H-E, original magnification×400). C:An immunohistochemical preparation using the antibody CD34 highlights the complex vascular network(original magnigication ×200).

Fig. 5. Magnetic resonance images at 12 months after the second operation. There was no evidence of remnant tumor. Cavernous sinus and sphenoid sinus was filled with muscle flap graft.

A A

A A B B B B C C C C

(4)

한 기질화된 혈전(organized thrombi)의 비정상적인 형태 또는 종양신생의 변화가 아닌 양성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1983년 Enzinger와 Weiss는 혈관내 혈전이 내피의 혈관 강내 성장으로 인해 미세한 용종의 형태로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하였고4), 1990년 Albrecht은 기질화한 혈전과 PEH의 면역표현형(immunophenotype)의 형성과정을 기술하면서 이들이 형성과정에서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음을 주장하였 다1). 1994년 Levere는 PEH의 DNA flow cytometric an- alysis를 통해 혈관내피의 과증식이 endothelial basic fib- roblast growth factor의 분비에 의한 autocrine loop를 통 해 나타남을 기술하였다10). 즉, 국소적인 혈류의 저항으로 인 한 혈전형성의 가속화로 혈전의 기질화가 나타나고, 이로 인 하여 용종성 혈관내피 과증식증이 발생된다고 하였다.

1983년 Hashimoto등은 91례의 PEH를 임상적, 조직학 적으로 전형적인 형태, 혼합형, 제 3 형의 3가지 형태로 분류 하였다6). 전형적인 형태는 원발성으로 기존의 확장된 혈관 (주로 정맥혈관)내에서 발생하며 주로 사지말단, 두경부의 피하에 위치하는 특징을 보인다. PEH가 진행하여 크기가 증 가하면 혈관이 확장되어 혈관벽에 가성섬유피막(fibrous ps- eudocapsule)이 형성되며 종종 병변 혈관의 파열로 혈관외 (extravascular)에서 증식하기도 한다. 혼합형은 이차성으로 기존의 혈관질환, 즉 혈관종(angioma), 동정맥기형(arteriov- enous malformation), 화농성 육아종(pyogenic granulo- ma), 림프관종(lymphangioma), 혈관과오종(vascular ha-

martoma)에서 발생한 형태로 혈관내에서의 국소적인 변화 를 동반하는 형태다. 제 3 형 또는 혈관외형(extravascular form)은 드물고, 이는 혈관외의 기질화한 혈종에서 발생하며 위의 두가지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1993년 Pins은 314개의 증례를 분석하여 전형적인 형태는 56%, 혼 합형은 40%, 혈관외형은 4%의 발생을 보인다고 보고한 바 있다13).

PEH는 주로 두경부, 사지의 피부에서 발생하며 현재까지 320여 증례가 보고되었으며13) 이는 피부와 피하종양의 2%

를 차지한다. 그러나 드물게 피부이외의 근육, 소화기계, 비뇨 기계, 상기도 점막, 심장1,6,8,13) 및 척수내15,17) 발생하며 발생 연령은 광범위하며 여성에서 약간 더 호발한다(M:F=1:

1.2). 주로 서서히 증식하는 결절로 압통을 동반하고 대개는 직경 2cm 크기의 단일한 결절이나 드물게 다발성6)을 보이 는 경우도 있다.

두개강내의 발생은 매우 드물고 문헌상 현재까지 12례가 보고되었으며, 터키안 주위의 병변은 2례가 보고되었다.3,5,9) 두개강내 PEH는 병변의 위치에 따라 증상을 나타내며 주로 국소압박과 두개강내압상승에 의한다(Table 1). 뇌실질내 출혈, 두개강내 정맥동에 발생하는 경우 정맥혈 유출의 폐쇄 에 의한 두개강내압상승에 의한 증상발현이 보고되었다. 증 상의 발현기간은 대체로 짧아서 수 주에서 수 개월내에 나타 난다. 12례중 8증례에서 축외(extraaxial)에 위치하고, 4례 에서 뇌실질내의 발생을 보였다. 5례에서 혈관내의 발생을

Table 1. Clinical feature of reported intracranial PEH Authors age/

sex Clinical presentation Underlying vascular

malformation Surgery Course

Nagib et al.(1982) 16 yrs/F Neurocutaneous disseminated

form, sezure - Subtotal Local recurrence 19 months later

Chen et al.(1984) 3.5 mos/F Signs of raised intracranial

pressure, seizure - Biopsy Died 6 months later Izukawa et al.(1987) 55 yrs/F Hemianopsia, sensory dysphasia,

hemiparesis, seizure

Cavernous

hamangioma Total No follow up

Sickler and

Lanford.(1990) 12 days/F Signs of raised intracranial

pressure - Subtotal Recurrence 2 months later, treated by chemotherapy Wen et al.(1991) 15 yrs/F Signs of raised intracranial

pressure - Subtotal No progression for 6 months Patt et al.(1992) 27 yrs/F Unilateral deficit of cranial

nerves Ⅲ, Ⅴ, Ⅵ, headache Venous angioma Total No recurrence for 6 months Tsuji et al.(1994) 18 yrs/F Seizure, hemiparesis Arteriovenous

malformation Total No recurrence for 2 yrs Kristof et al.(1997) 70 yrs/F Transient diplopia - Subtotal Recurrence 3 months later,

treated by irradiation

51yrs/M Diplopia - Subtotal No progression

24 yrs/F Diplopia Cavernoma Total No progression for 4 months Duong et al.(1997) 51yrs/F Signs of raised intracranial

pressure, visual field defect - Total No recurrence for 6 months Hagiwara et al.(1999) 29yrs/F Headache, gait disturbance - Total No recurrence for 21 months Present case(2000) 11yrs/M Visual impairment - Subtotal, complete

removal 3months later

Recurrence 3 months later, treated by reoperation

(5)

보였으며, 3례에서 혈관외 발생, 4례에서는 수술후의 혈종이 나 혈관내에서의 발생이 추정된다. 다발성으로 발생한 두개 강내 PEH는 2례였으며, 12례중 10례는 여성에서 발생하여 두개강내에서의 발생에 있어서는 명백히 여성에서 호발하였 고 원인은 알 수 없으나 호르몬의 영향을 의심할 수 있다.

방사선학적 진단검사상(Table 2), 뇌전산화단층촬영 소견 은 다양하나 이를 시행한 7례 중 4례에서 중등도의 고음영 을 보였고, 조영증강 촬영상 8례 중 5례에서 균질하게 강한 조영증강소견을 보였으며, 2례에서는 조영증강 되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는 뇌전산화단층촬영상 고음영의 소견을 보였으 며 조영증강 촬영상 균질하게 조영증강소견을 보였다. 뇌자 기공명영상상 5례 중 4례에서 T1 강조영상상 동등신호강도, T2 강조영상상 5례 모두 고신호강도로 나타나며 균질한 조영 증강을 나타냈으며 본 증례에서도 같은 소견을 보였다. 뇌혈 관 조영영상상 8례중 4례에서 무혈관성, 4례에서 혈관성 종 괴의 양상을 보였으며 본 증례에서는 주로 외경동맥의 분지 에서 공급되는 종양착색으로 혈관성 종괴의 양상을 보였다.

터키안 및 주변 해면정맥동, 사골동, 접형동까지 침범한 PEH는 혈관종성 수막종(angiomatous meningioma), 혈관 육종(angiosarcoma) 및 혈관기형(vascular malformation), 즉 해면상 혈관종(cavernous hemangioma), 동정맥기형 (arteriovenous malformation), 모세혈관확장증(capillary telangiectasia)과 감별해야 하며, 조직학적으로 주위 조직과

의 경계, 단층의 내피세포를 갖는 용종성 구조와 단일한 세 포성을 가지고 있으며 침윤성과 괴사는 나타나지 않는 특징 을 보인다.

두개강내 PEH 중 4례에서 조직학적으로 혈관기형을 동 반하였고, 3례에서는 혈전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동반하는 혈 관의 기형이나 연관된 혈전이 관찰되지 않았던 경우 두개강과 두개강외 피부에서 다발성으로 발생한 신경피부성(neurocu- taneous) PEH 1례가 보고되기도 하였다12). 본 증례에서는 조직학적으로 혈관기형은 동반하지는 않았으나 혈전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개외 PEH는 완전절제로 치유 가능하며 예후는 매우 좋 은 반면 두개강내 PEH는 수술적 치료시 출혈 및 수술의 기 술상의 어려움으로 완전절제가 힘들고 수술후 합병증 발생 의 가능성이 있다. 두개강내 PEH의 수술후 경과에 있어서 는 완전절제를 시행한 6례중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5례 모 두 재발은 하지 않았지만3,7,9,13) 부분절제를 시행한 6례 중

4례2,9,12,16)에서 첫 수술후 2개월에서 19개월 사이에 재발하

였고, 사망한 1례12)에서는 신생아의 경우로 재발의 경과가 매 우 빨랐다. 재발을 경험한 4례중 2례9,16)에서는 뇌혈관 조영 영상상 혈관성(vascular)이었으며, 무혈관성(avascular)을 보였던 1례12)에서는 신경과 피부에 다발성으로 발생한 경우 였다. 본 증례에서도 혈관기형을 동반하지는 않았지만 혈관 조영검사상 혈관성의 종양으로 첫 번째 수술시 일부 남아있

Table 2. Radiological findings of reported intracranial PEH

CT MRI Authors Age/sex

Non-enhanced Enhanced T1WI T2WI Enhanced Angiography Nagib et al.(1982) 16 yrs/F - Marked, homogeneous - - - Avascular Chen et al.(1984) 3.5 mos/F Mildly high Marked, homogeneous - - - -

Izukawa et al. (1987) 55 yrs/F Mixed density Not enhanced - - - Avascular Sickler and

Lanford.(1990) 12 days/F - - Isointensity - - Hypervascular

Wen et al.(1991) 15 yrs/F Not detected - - High intensity - Hypervascular Patt et al.(1992) 27 yrs/F - Marked, homogeneous - - - Hypervascular Tsuji et al.(1994) 18 yrs/F High

(hematoma) Not enhanced - High intensity - Avascular Kristof et al.(1997) 70 yrs/F - - Isointensity - Marked,

homogeneous Hypervascular

51 yrs/M - - Isointensity High intensity Marked

homogeneous Avascular 24 yrs/F Mildly high Mildly

enhanced - High intensity Slightly

enhanced -

Duong et al.(1997) 51 yrs/F Mildly high Marked,

homogeneous Isointensity - Marked

homogeneous - Hagiwara

et al.(1999) 29 yrs/F Mildly high Marked, homogeneous

Low

intensity High intensity Marked

homogeneous - Present case(2000) 11 yrs/M High Marked,

homogeneous Isointensity High intensity Marked

homogeneous Hypervascular T1WI, T1-weighted image;T2WI, T2-weighted image;(-), not done or not described

(6)

던 종양이 3개월만에 빠른 속도로 다시 원래 크기로 재발하 였다. 따라서 재수술시 종양을 완전 절제하였으나 두개저의 결손 부위를 복직근으로 재건하여 수술 후 뇌 자기공명영상에 서 종양의 완전절제 되었는지의 확인이 어려웠으며, 1차 수 술 후 3개월만에 원래 크기로 재발한 종양이어서 방사선 치 료를 시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두개강내의 PEH는 조직학적으 로 양성이나 수술수기상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혈 관조영검사상 혈관성의 경향을 보이거나, 혈관기형을 동반한 경우, 신경과 피부에 다발성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는 적극적 인 완전절제를 시도해야 하며 부분절제시 재발의 경향이 높 기 때문에 방사선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결 론

두개강내의 PEH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혈관종성 수막종, 혈관육종 및 혈관기형(해면상 혈관종, 동정맥 기형, 모세혈관 확장증)과 감별해야 하며, 조직학적으로 주위 조직과의 경 계, 단층의 내피세포를 갖는 용종성 구조와 단일한 세포성을 가지고 있으며 침윤성과 괴사는 나타나지 않는 양성의 특징 을 보이지만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부분절제시 재발의 빈도가 높으며, 특히, 방사선학적 검사상 혈관성의 경향이 있 거나 혈관기형을 동반한 경우, 혹은 신경과 피부에 다발성 PEH를 동반한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완전절제를 시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논문접수일:2001년 1월 31일

논문채택일:2001년 10월 27일

교신저자:조 경 기

442-749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원천동 산5 아주대학교병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전화:031) 219-5661, 5230 전송:031) 219-5238

E-mail:sandori@madang.ajou.ac.kr

References

1. Albrecht S, Kahn HJ:Immunohistochemistry of intravascular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J Cutan Pathol 17:16-21, 1990

2. Chen TJ, Kuo TT:Giant intracranial Masson’s hemangioma.

Report of a fatal case. Arch Pathol Lab Med 108:555-556, 1984

3. Duong DH, Scoones DJ, Bates D, et al:Multiple intracerebral intravascular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Acta Neurochir (Wien) 139:883-6, 1997

4. Enzinger FM, Weis SW:Soft tissue tumors. St Louis:Mosby, 1983, pp414-418

5. Hagiwara A, Inoue Y, Shakudo M, Wakasa K, Sato K, Ohata K,

et al:Intracranial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occurrence of a case after surgery and radiosurgery. J Comput Assist To- mogr 23:781-785, 1999

6. Hashimoto H, Daimaru Y, Enjoji M:Intravascular papillary en- dothelial hyperplasia.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91 cases.

Am J Dermatopathol 5:539-546, 1983

7. Izukawa D, Lach B, Benoit B:Intravascular papillary endoth- elial hyperplasia in an intracranial cavernous hemangioma.

Neurosurgery 21:939-941, 1987

8. Kim HS, Park EJ, Lee JH, Nam JH, Lee MC, Park CS, et al:

Intravascular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in the kidney of a child. Virchows Arch 436:398-400, 2000

9. Kristof RA, Van Roost D, Wolf HK, Schramm J:Intravascular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of the sellar region. Report of three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Neurosurg 86:558- 563, 1997

10. Levere SM, Barsky SH, Meals RA:Intravascular papillary en- dothelial hyperplasia:A neoplastic “actor” representing an ex- aggerated attempt at recanalization mediated by basic fibrob- last growth factor. J Hand Surg[Am] 19:559-564, 1994 11. Masson P:Hemangioendothelioma vegetant intravasculaire.

Paris:Bull Soc Anat, 1923, Vol 94, pp517-523

12. Nagib MG, Sung JH, Seljeskog EL:Neurocutaneous Masson’s vegetant intravascular hemangioendothelioma. Neurosurgery 11:800-803, 1982

13. Patt S, Kaden B, Stoltenburg-Didinger G:Intravascular pa- 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at the issura orbitalis superior:

A case report. Clin Neuropathol 11:128-130, 1992 14. Pins MR, Rosenthal DI, Springfield DS:Florid extravascular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Masson’s pseudoangiosarco- ma) presenting as a soft-tissue sarcoma. Arch Pathol Lab Med 117:259-263, 1993

15. Porter DG, Martin AJ, Mallucci CL, Makunura CN, Sabin HI:

Spinal cord compression due to Marson’s vegetant intravascu- lar hamangioendothelioma. Case report. J Neurosurg 82:125- 127, 1995

16. Sickler GK, Langford LA:Intracranial tumor-forming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a case report. Clin Neuropathol 9 125-128, 1999

17. Taricco MA, Vieira JO Jr, Machado AG, Ito FY:Intravascular p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causing cauda equina compres- sion:case report. Neurosurgery 45:1478-1480, 1999 18. Tsuji N, Tsubokawa T. Katayama Y, Yamamoto T, Nemoto N:

Artriovenous malformation occluded by Masson’s vegetant in- travascular haemangioendothelioma and complicated with int- racerebral haematoma. Neurol Res 16:148-150, 1994 19. Wen DY, Hardten DR, Wirtschafter JD, Sung JH, Erickson DL:

Elevated intracranial pressure from cerebral venous obstruction by Masson’s vegetant intravascular hemangioendothelioma.

Case report. J Neurosurg 75:787-790, 1991

참조

관련 문서

Pseudomeningoceles are formed by extravasation of cerebrospinal fluid through a dural defect into soft tissue. Most pseudo- meningoceles are iatrogenic and occur in the posterior

몇몇 연구자들은 조기 수술적 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보존적 치료를 우선 적으로 시행하고 보존적 치료가 실패하였을 경우 수술적

퇴행성 슬관절 관절염에서 인공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UKA)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 비해 십자인대를 보존함으로써 보다

활막 연골종증은 Jaffe 2) 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활액막 결체 조직의 연골성 화생에 의해 다발성 관절 내 유리체가 발 생하는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 골연골 골절, 박리성

골내 결절종은 일반적으 로 관절에 인접한 골단이나 연골하골에 위치하여, 연골하골 낭종(subchondral bone cyst) 또는 골내 점액낭종으로도 불리웠다. 그러나

화농성 관절염 치료의 기본 원칙은 관절을 적절히 배농하 고,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병행하며, 관절을 안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것이다. 관절 배농 방법은 크게 세

Lui 8) 는 감입 나사못 고정 위치가 비골 끝에 위치하는 거종 인대의 부착부는 관절경적으로 도달 할 수가 없어서 전거비 인대만 고정할 수 있음으로, 거골하 관절

17) Sekiya JK, Elkousy HA and Fu FH: Recurrent pretibial ganglion cyst formation over 5 year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rthroscopy, 20: 317-21,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