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Association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Association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서구화된 식생활이 늘어나면서 비만 인구가 늘어나고 이러한 비 만 인구의 증가가 의료비 증가로 이어지면서 비만은 중요한 공공보 건의료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1)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여 건강에 위해를 미칠 수 있는 상태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25 kg/m2 이상으로 정의한다.2) 비만은 일반적으로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은 신체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 나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 행동장애와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 다.3,4) 비만인 사람에게서 우울증이나 소극적 성격, 적응장애가 관찰 되며 심한 경우 정신사회적 장애를 유발하여 폭력적, 공격적인 행동 으로 이어지기도 한다는 연구들이 있다.5,6) 우울장애는 정신과 질환

The Association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Hye-Rim Jeon1, Ji Eun Lee1, Soo Lee1, Kyung-Do Han2, Suk Won Park1, Ji Hyun Kim1, Jin Hee Yoon1, Kyung-Hwan Cho1, Yang-Hyun Kim1,*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Department of Medical Statistics,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Background: Obesity is one of the public health problems in South Korea. It has been known that various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eases, such as depression, are associated with obesity. Some studies have found that subjects with obesity, who had higher rates of depression, exhibited more weight change. Therefore, we evaluated relationship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7,813 participants (7,550 men and 10,263 women) from the 2010 to 2012 Korea National Health Survey. Depression was estimated based on cases of depression that had been diagnosed by a physicia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Results: The weight gained during the past 1 year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on (odds ratio [OR]=1.566, 95% confidence interval [Cl]=1.218–2.013, P=0.002). This associ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women (OR=1.603, 95% CI=1.210–2.122). Compared to the obesity group (body mass index ≥25), the non-obesity group had a higher adjusted OR for depression (OR=1.670, 95% CI=1.195–2.334). Those aged 40 to 60 years (OR=1.797, 95% CI=1.284–2.515) and over 60 years (OR=1.889, 95% CI=1.003–3.557) had higher ORs for depression, while those aged under 40 yea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Weight gain in the past 1 year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especially in subjects who are female, non-obese, and aged over 40 years.

Further research using a prospective design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Keywords: Weight Change; Depression; Obesit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

Received July 8, 2016 Revised September 13, 2016 Accepted September 17, 2016

Corresponding author Yang-Hyun Kim Tel: +82-2-871-1160, Fax: +82-2-928-8083 E-mail: mrchir@naver.com

Copyright © 2017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한국 성인에서 체중변화와 우울증과의 관계: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년)를 중심으로

전혜림

1

, 이지은

1

, 이 수

1

, 한경도

2

, 박석원

1

, 김지현

1

, 윤진희

1

, 조경환

1

, 김양현

1,

*

1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2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7.7.4.497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7;7(4):497-50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2)

Hye-Rim Jeon,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으로 남자에서는 평생 유병률이 12%, 여 자에서는 21%로 보고되고 있다.7) 우울증의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V (DSM-V) 진단 기준8)에 따르면 2주 이상 의 우울한 기분 외에도 체중 변화는 우울증 진단을 위한 하나의 증 상으로 포함되어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비만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들의 결 과는 다양하며 논란이 있다.9) 1976년에 런던 근교에 살고 있는 40–65 세의 남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비만인 사람들에게서 오히려 우울증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증상이 더 낮게 나타난다는

‘Jolly fat theory’가 나왔으나,10) 이후 Roberts 등11,12)과 Carpenter 등13)의 연구들에서는 비만할수록 우울증 유병률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 고했다. 또한 우울증과 비만과의 관계를 알아본 메타분석에서는 비 만과 우울증이 서로의 발생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혀 비만과 우울증의 발생 중 어떤 것이 선행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연령과 성별 등에 따라 결과가 다양하다.3,14)

앞서 살펴본 것처럼, 대부분의 연구가 비만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하지만 체중 변화와 우울증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 다. 특히 아직까지 한국인을 대상으로 체중 변화와 우울증과의 관계 에 대해 연구한 것은 없었다. 이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민건강영 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에서 최근 1년간의 체중 변화와 우울 증의 유병률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의 주관으로 2010년부 터 2012년까지 실시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보건 정책 수립 및 사업평가의 지표로 활용되 며, 세계보건기구와 경제협력개발기구에 제공되는 자료로서, 1998 년 이후 매년 국민의 건강과 영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관련 설문조 사, 영양조사, 검진조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국을 대표하는 독립적 인 확률표본으로 매년 4,600가구, 10,000–20,000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전동의를 얻은 이후 조사에 참여한 총 25,534 명 중 만 19세 미만(5,935명)과 결측자(1,786명)를 제외한 17,813명(남 성 7,550명, 여성 10,26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질병관 리본 부 연구 윤리 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되어 시행되었다 (2011-02CON-06-C, 2012-01EXP-01-2C).

2. 신체 계측, 비만 및 체중 변화의 정의

일반적인 특성은 조사자의 개별면접을 통하여 수집한 건강설문 조사 자료 중 성별, 연령, 신체계측자료를 이용하였다. 키는 0.1 cm 단 위로 측정하였으며, 체중은 0.1 kg 단위로 신발을 벗고 가벼운 옷을 입은 상태로 측정하였다. BMI는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2)으로 나 누어 계산하였고, 비만의 정의는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의 In- 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에서 제안한 25 kg/m2 이상으로 하였 다.2) 건강설문조사 내용 중 ‘최근 1년간 체중 변화 여부’에 대해서 ‘예’

라고 대답한 사람 중 ‘변화 없음’, ‘체중 감소’, ‘체중 증가’에 대답한 사 람으로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3. 건강행태 특성

흡연 여부, 음주 여부, 운동 여부를 독립변수로 고려하였으며 이는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현재 흡연군은 평생 동안 적어도 100 개비 이상 흡연한 사람으로, 현재 흡연하는 자로 정의하였으며, 과량 음주군은 지난 한 달간 하루에 적어도 30 g 이상의 알코올을 마신 자 로 정의하였다. 운동은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15) 중등도와 고강도 이상의 정기적 운동을 하 는지 여부로 평가하였으며 중등도 운동은 매주 5회 이상, 회당 30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경우로, 고등도 운동은 매주 3회 이상, 회당 20 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4. 우울증의 정의

정신건강 항목은 자가기입 설문지를 통해 조사되었으며, 우울증 의 정의는 의사에 의해 진단받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5. 인구 사회경제적 특성

나이, 교육 정도, 직업의 유무, 소득 정도, 배우자 유무, 도심거주 여부를 조사하였다. 나이는 19–39세, 40–59세, 60세 이상의 3군으로 나누었다. 교육 정도는 9년 이상 교육을 받은 유무로 나누었으며, 소 득 정도는 가구의 수입을 4분위로 나누어 가장 낮은 분위(Q1)에 해 당하는 유무로 나누었다.

6. 통계분석

자료는 SAS 프로그램 ver.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복합표본설계를 위해서 survey procedure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 범주형 변수는 % (표준오차)로 제시하 였고 카이제곱 검정을 하였다. 체중 변화에 따른 우울증의 유병률은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체중 변화에 따른 우울증의 유병률 에 대한 교차비와 신뢰구간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

(3)

전혜림 외. 한국 성인에서 체중변화와 우울증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하였다. 두 가지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모델 1에서는 나이와 성을, 모 델 2에서는 나이, 성, BMI, 흡연, 음주, 운동, 배우자, 직업, 교육정도와 수입을 보정하였다. 유의수준은 양측검정으로 P-value 0.05를 기준 으로 이 값 미만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연구의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세 연령 대 모두에서 지난 1년 동안에 체중이 변하지 않은 군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19–39세, 40–59세에서는 체중이 증가한 군이 더 많았고, 60 세 이후에는 체중 증가보다는 체중 감소가 더 많았다(P<0.001). 남성 의 비율, 현재 흡연자,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비율, 낮은 수입의 비율 은 체중이 감소한 군에서(all P<0.001), 과량 음주자와 9년 이하 교육 받은 사람의 비율, 비만의 비율 및 우울증 진단 여부는 체중이 증가 한 군에서 높았다(all P<0.05). 배우자와 직업이 있는 사람은 체중이 변하지 않은 군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both P<0.001).

Figure 1은 체중 변화 세 군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을 비교하였다.

체중 변화가 없는 군에 비하여 체중이 감소한 군, 체중이 증가한 군 순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 다(P<0.001). 연령, 성별, 비만 유무에 따른 변화를 보면, 연령에서는 체중 변화가 없는 군, 체중 감소군, 체중 증가군 순으로 우울증의 유 병률이 높았으며 세 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9–39세와 40–59세 모두 P<0.001, 60세 이상 P=0.008). 성별에 따른 우울증의 유 병률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체중 변화 3군 모두 남녀 차이를 보였다. (both P<0.005). 비만에 따른 우울증의 유병

률도 세 군 모두 비만 비비만인 군에서 차이를 보였다 (비비만군 P<0.001, 비만군 P=0.008) (Figure 2).

Table 2에서 체중 변화 3개 군 중 변하지 않는 군을 기준으로 우울 증의 유병률에 대한 교차비를 구하였다. 나이와 성별을 보정했을 때 체중 감소군과 체중 증가군 모두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았으나(교차 비는 각각 1.398과 1.853), 모든 변수를 보정한 모델 2에서는 체중이 변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체중 변화가 증가한 군에서만 우울증이 약 57% 더 관찰되었다(교차비, 1.566; 신뢰구간, 1.218–2.013).

이를 각각 연령, 남녀, 비만 유무에 따라 나누어서 모든 변수를 보 정하여 분석해 보았을 때, 체중이 변하지 않는 군에 비해서 체중이 증가한 40–59세, 60세 이상인 군에서 우울증의 유병률이 높았고, 여 성에서(교차비, 1.603; 신뢰구간, 1.210–2.122) 그리고 비비만인 군에서 (교차비, 1.670; 신뢰구간, 1.195–2.334) 우울증이 유병률이 높았다 (Table 3).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최근 1년 동안 체중이 증가한 군에서 체중 변화가 없는 군에 비해 우울증의 유병률이 약 1.57배 더 높았다. 이러한 현상 은 나이가 40대 이상인 군에서, 여성에서, 그리고 비비만인 군에서 더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우울 성향이 더 높다.16,17) 여성의 체중 증가에서 우울증이 더 높은 이유는 기본적으로 여성의 우울 성향이 높은 상태에서 남성에 비해 체중 증가와 비만에 대해 더 부 정적인 사회적 편견과 인식이 있는 것이 그 원인으로 보인다. 이상적 인 체형에 대한 남녀의 인식은 차이가 있다.18) 체중은 특히 여성에서

No change 5.0

4.5

3.0

1.5

P<0.001

0.0

Decreased Increased Depression (total)

Figure 1. Weight change during past 1 year increased the risk of de- pression (odds ratio, 1.566; 95% confidence interval, 1.218–2.013;

P=0.002).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with weight change Characteristic

Weight change during last 1 year No change

(n=12,036)

Decreased (n=2,553)

Increased

(n=3,224) P-value

Age (y) <0.001

19–39 52.3 (0.9) 14.9 (0.6) 32.8 (0.8) 40–59 71.4 (0.6) 12.5 (0.5) 16.1 (0.5)

≥60 75.8 (0.8) 18.4 (0.7) 5.7 (0.4)

Men (yes) 50.4 (0.5) 51.7 (1.2) 44.3 (1.1) <0.001 Current smoking (yes) 22.6 (0.5) 30.2 (1.2) 23.3 (1.0) <0.001 Heavy drinking (yes) 9.5 (0.4) 11.1 (0.8) 11.4 (0.8) 0.041 Regular exercise (yes) 18.4 (0.5) 22.9 (1.1) 20.5 (1.0) <0.001 Spouse (yes) 81.3 (0.6) 75.6 (1.4) 78.4 (1.5) <0.001 Occupation (yes) 66.2 (0.6) 61.6 (1.3) 61.7 (1.1) <0.001 Education ≤9 years (yes) 67.5 (0.8) 66.3 (1.3) 85.5 (0.8) <0.001 Income (Q1) (yes) 16.5 (1.6) 22.0 (1.1) 10.4 (0.8) <0.001 Obesity (yes) 27.7 (0.5) 27.8 (1.1) 48.5 (1.1)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 (standard error). P-value from χ2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4)

Hye-Rim Jeon,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임상상의 섭식장애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체형과 자존감(self-es- teem)을 평가하는 데 영향을 주며, 체형에 대한 불만족은 낮은 자존 감을 갖게 한다.19,20) 체중 변화와 우울증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알아 본 다른 연구21)에 따르면, 절제하는 섭식(restrained eating), 감정적인 섭식(emotional eating),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섭식(external eating) 세 가지 행태 중 우울증상과 스트레스로 인해 과식하는 감정적인 섭식 에서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Goldschmidt 등22)과 Konttinen 등23)

이 시행한 단면 연구에서 감정적인 섭식으로 인한 비전형적 우울증 과 비만 사이에 관련이 있었으며, Clum 등24)의 연구에서도 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체중 증가에 따른 우울증의 유병률이 젊은 연령에 비해서 40세 이상 중장년과 60세 이상 노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A B

C

19 39 10

8

6

4

2

0

40 59 >60

Age (y) No change

Increased Decreased

Men 8

6

4

2

0

Women Men vs. Women

No change Increased Decreased

BMI<25 kg/m2 6

4

2

0

Non-obese vs. obese No change

Decreased Increased

BMI>25 kg/m2

Figure 2.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subjects with weight change according to age, sex, and obesity during last 1 year. (A) P<0.001 in subjects aged 19–39, P<0.001 in subjects aged 40–59 and P=0.008 in subjects aged more than 60. (B) P=0.004 in men, P<0.001 in women. (C) P<0.001 in non-obese group and P=0.008 in obese group.

BMI, body mass index.

Table 2. OR for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subjects with weight change

Weight change during last 1 year

OR (95% CI)

Model 1 Model 2

No change 1 1

Decreased 1.398 (1.084–1.801) 1.206 (0.920–1.580) Increased 1.853 (1.473–2.330) 1.566 (1.218–2.013)

P-value <0.001 0.002

Model 1 was adjusted for age and sex. Model 2 was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smoke, drink, exercise, spouse, occupation, education, and income.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s.

Table 3. Odds ratio for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subjects with weight change by age, sex, and obesity

Subgroup Weight change during last 1 year

No change Decreased Increased

Age (y)

19–39 1 (reference) 1.306 (0.675–2.526) 1.348 (0.810–2.245) 40–59 1 (reference) 1.044 (0.665–1.640) 1.797 (1.284–2.515) ≥60 1 (reference) 1.090 (0.676–1.758) 1.889 (1.003–3.557) Men 1 (reference) 0.812 (0.348–1.896) 1.186 (0.610–2.306) Women 1 (reference) 1.207 (0.888–1.640) 1.603 (1.210–2.122) Non-obese 1 (reference) 0.967 (0.690–1.354) 1.670 (1.195–2.334) Obese 1 (reference) 1.431 (0.816–2.510) 1.399 (0.900–2.111) Data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s). Adjusted for age, sex, body mass index, smoking, drinking, exercise, spouse, occupation, educa- tion, and income.

(5)

전혜림 외. 한국 성인에서 체중변화와 우울증과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Shin25)에 의하면, 중년기는 젊은 시절에 꿈꾸던 인생의 목표와 성취 를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늙어가고 있다는 사실과 죽음의 필연성에 대한 인식으로 인하여 삶의 무의미함과 공허감이 찾아드 는 과도기라 하였다. 특히 노인의 우울증에는 여러 질환이나 기능 상 실, 사별과 같은 생활 사건이나 재정적 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 이 영향을 미치므로,26) 젊은 층에 비해 체중 증가가 우울증과 연관 될 수 있는 변수로 생각될 수 있다.

비만과 우울증과의 관계는 논란이 있다. Luppino 등3)은 미국인들 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비만군(BMI, 30 kg/m2 이상)에서 우울증과 의 연관성이 비만 정도가 심할수록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 고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비만과 우울증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 구에 따르면 BMI 25.0–29.9 kg/m2인 비만군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오 히려 낮았다.27) 또한 체중 변화와 우울증과의 관계를 알아본 본 연구 에서는 국내의 비만군에서는 체중 변화가 우울증 유병률 증가와 의 미 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비만군에서는 체중 증가군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본래 비만이 아니었으나 체중 증가로 인해 본인의 체형에 대한 불안이 증가하고 비만이 될 수 있다 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우울증을 야기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체 중 변화와 우울증의 상호관계에 대해서 호주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 로 알아본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은 다음 3년 동안 체중 증가를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라는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으 나 체중 증가가 우울증을 일으키는 독립적인 원인은 될 수 없다는 결과를 보였다.28)

기존의 연구와 달리 체중 변화와 우울증과의 관계를 알아본 이번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비만인 군에서는 체중 변화에 덜 민감하고 오 히려 비비만인 군에서 특히 체중 증가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 로 생각해 볼 수 있다. 2014년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격 특성과 BMI 를 비교한 연구29)에서 남성은 더 개방적이고(more openness), 덜 양심 적(less conscientiousness)일수록 비만하며, 여성은 더 수용적이고 (more agreeableness) 덜 신경질적(less neuroticism)일수록 비만한 것으 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만인 사람이 오히려 심리적 변화에 대해서 더 관용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흔히 ‘비만 역설(obesity paradox)’이 기존의 심혈관 질환에서 나타났 으나 이러한 정신적인 부분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준다.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먼저 단면 연구의 한계로, 체 중 변화와 우울증과의 인과관계를 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우 울증을 진단받은 사람들 중 체중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어 우울증 과 체중 변화 중 어떤 것이 선행하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기 가 어렵다. 또한 모든 자료가 설문조사로 수집되었고 후향적으로 검

토되어 참가자들은 지난 일년간의 체중 변화에 대해 잘못 대답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우울증이 의사의 진단으로만 정의되어 현재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 중 의사로부터 진단이 되지 않은 사람이 배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비비만인 군을 과체중인 군 (BMI, 23 kg/m2 이상 25 kg/m2 미만)과 정상 체중, 저체중인 군(BMI 18.5 kg/m2 미만)으로 세분화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표성이 있으며 체중 변화와 우울증에 관한 상호 관계를 한국인을 대상으로 알아본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강점 이 있다.

결론적으로, 지난 1년간 체중 증가한 사람에서 우울증이 더 높게 관찰되었다. 특히 체중이 증가한 경우에 40대 이후, 여성, 그리고 비 비만인 경우에 우울증이 있지 않은지에 대해 고려하는 것이 임상적 으로 필요할 수 있다. 향후 체중 변화가 우울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요 약

연구배경:

최근 비만은 우리나라에서 공공의료 문제로 대두되고 있 으며 관심이 높다. 비만은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들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중 증가는 우울증의 주요한 원인으로 생 각해볼 수 있고 우울증과 비만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어 왔 다.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최근 1년간의 체중 증가에 따른 우울증 유 병률을 성별과 연령, 비만의 정도에 따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실시된 제5기 국민건강영양 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19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체질량지 수를 평가하여 비만 여부를 나누었고, 나이에 따라 그룹을 세분화 하였다. 우울증은 의사의 진단을 받은 군으로 한정하여 설문조사를 토대로 평가하였다.

결과:

최근 1년간의 체중 변화가 없는 군에 비해 체중이 변화한 군에 서 우울증 유병률이 높았으며, 체중 변화가 없었던 군과 감소한 군에 비해 증가한 군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가장 높았다. 또한 비만인 군 보다 비비만군에서 체중 증가에 따른 우울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 으며, 여성과 40세 이상의 중장년층,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최근 1년간의 체중 증가군에서 우울증 유병률이 높았으며, 이 러한 현상은 여성과 고령, 비비만군에서 더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중심단어:

체중 변화; 비만; 우울증;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6)

Hye-Rim Jeon,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REFERENCES

1. Oh YH. Problem with and policy agenda for public health services in Korea.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p. 62-82.

2.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Inter- national Diabetes Institut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 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 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3. Luppino FS, de Wit LM, Bouvy PF, Stijnen T, Cuijpers P, Penninx BW, et al.

Overweight, obesity,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Arch Gen Psychiatry 2010; 67: 220-9.

4. van der Merwe MT. Psychological correlates of obesity in women. Int J Obes (Lond) 2007; 31 Suppl 2: S14-8; discussion S31-2.

5. Puhl R, Brownell KD. Bias, discrimination, and obesity. Obes Res 2001; 9:

788-805.

6. Herva A, Laitinen J, Miettunen J, Veijola J, Karvonen JT, Läksy K, et al. Obesi- ty and depression: results from the longitudinal Northern Finland 1966 birth cohort study. Int J Obes (Lond) 2006; 30: 520-7.

7. Kessler RC, McGonagle KA, Zhao S, Nelson CB, Hughes M, Eshleman S, et al. Lifetime and 12-month prevalence of DSM-III-R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 Gen Psychiatry 1994; 51: 8-19.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

). Arlingt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2013.

9. Mathers CD, Loncar D. Projections of global mortality and burden of dis- ease from 2002 to 2030. PLoS Med 2006; 3: e442.

10. Crisp AH, McGuiness B. Jolly fat: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psychoneu- rosis in general population. Br Med J 1976; 1: 7-9.

11. Roberts RE, Kaplan GA, Shema SJ, Strawbridge WJ. Are the obese at greater risk for depression? Am J Epidemiol 2000; 152: 163-70.

12. Roberts RE, Strawbridge WJ, Deleger S, Kaplan GA. Are the fat more jolly?

Ann Behav Med 2002; 24: 169-80.

13. Carpenter KM, Hasin DS, Allison DB, Faith MS.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and DSM-IV major depressive disorder, suicide ideation, and sui- cide attempts: results from a general population study. Am J Public Health 2000; 90: 251-7.

14. Blaine B. Does depression cause obesity?: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of depression and weight control. J Health Psychol 2008; 13: 1190-7.

15. Hagströmer M, Oja P, Sjöström M.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 study of concurrent and construct validity. Public Health Nutr 2006; 9: 755-62.

16. Weissman MM, Bland R, Joyce PR, Newman S, Wells JE, Wittchen HU. Sex differences in rates of depression: cross-national perspectives. J Affect Dis- ord 1993; 29: 77-84.

17. Blazer DG, Kessler RC, McGonagle KA, Swartz MS.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major depression in a national community sample: the Na- tional Comorbidity Survey. Am J Psychiatry 1994; 151: 979-86.

18. Fallon AE, Rozin P.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esirable body shape. J Abnorm Psychol 1985; 94: 102-5.

19. Thomas CD. Stable vs unstable weight history, body-image, and weight con- cern in women of average body weight. Psychol Rep 1991; 68: 491-9.

20. Ogden J, Evans C. The problem with weighing: effects on mood, self-esteem and body imag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1996; 20: 272-7.

21. van Strien T, Konttinen H, Homberg JR, Engels RC, Winkens LH. Emotion- al eating as a mediator between depression and weight gain. Appetite 2016;

100: 216-24.

22. Goldschmidt AB, Crosby RD, Engel SG, Crow SJ, Cao L, Peterson CB, et al.

Affect and eating behavior in obese adults with and without elevated de- pression symptoms. Int J Eat Disord 2014; 47: 281-6.

23. Konttinen H, Männistö S, Sarlio-Lähteenkorva S, Silventoinen K, Haukkala A. Emotional eating, depressive symptoms and self-reported food con- sumption. A population-based study. Appetite 2010; 54: 473-9.

24. Clum GA, Rice JC, Broussard M, Johnson CC, Webber LS. Associations be- tween depressive symptoms, self-efficacy, eating styles, exercise and body mass index in women. J Behav Med 2014; 37: 577-86.

25. Shin HS. Effects on depressive disposition of middle-aged women by style of living. Korean J Woman Psychol 2002; 7: 29-45.

26. Ki BS. Geriatric depression. J Korean Geriatr Soc 1999; 3: 61-71.

27. Kim JY, Chang HM, Cho JJ, Yoo SH, Kim SY.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pression in the Korean working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0;

25: 1560-7.

28. Singh G, Jackson CA, Dobson A, Mishra GD. Bidirectional association be- tween weight change and depression in mid-aged women: a population- based longitudinal study. Int J Obes (Lond) 2014; 38: 591-6.

29. Shim U, Kim HN, Roh SJ, Cho NH, Shin C, Ryu S, et al. Personality traits and body mass index in a Korean population. PLoS One 2014; 9: e90516.

수치

Figure 1. Weight change during past 1 year increased the risk of de- de-pression (odds ratio, 1.566; 95% confidence interval, 1.218 –2.013;
Table 3. Odds ratio for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subjects  with weight change by age, sex, and obesity

참조

관련 문서

Comparison of the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Overweight, Obesity between South Korean families and North Korean refugees families 15 Table 5.. Comparison of the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ge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