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s and Chronic Diseases 비타민 D와 만성 질환과의 관련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s and Chronic Diseases 비타민 D와 만성 질환과의 관련성"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교신저자: 정유석,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대사관길 22, 󰂕 140-743,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Tel: 02-709-9458, Fax: 02-709-9459, E-mail: ssnki@daum.net

비타민 D와 만성 질환과의 관련성

정유석, 유병욱, 오정은, 이덕철1, 이홍수2, 조주연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1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교실,

2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대목동병원 가정의학교실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s and Chronic Diseases

Yoo-Seok Chung, M.D., Byung-Wook Yoo, M.D., Ph.D., Jung-Eun Oh, M.D., Ph.D., Duk-Chul Lee, M.D., Ph.D.

1

, Hong-Soo Lee, M.D., Ph.D.

2

, Choo-Yon Cho, M.D., Ph.D.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oon Chun Hy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san,

1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

Mokdong Hospital, Ew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 Vitamin D deficiency is prevalent worldwide, not only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but also in normal adults. Because the situation is especially severe in Korea. So, we take a look at the degree of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which are common in primary care and vitamin D level.

Methods: 200 patients above the age of 20,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Soonchunhyang University from June of 2009 to May of 2010 were chosen.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patients' drug history and afflicted disease and the average serum 25-hydroxyvitamin D, 1,25- dihydroxyvitamin D levels were obtained and we looked into their relationships to the diagnosed chronic disease or possessed chronic disease such as like diabetes, hypertension, osteoporosis, hyperlipidemia.

Results: In our study a serum 25(OH)D level lower than 80 nmol/dL (32 ng/mL) was considered vit D deficient.

127 patients (63.5%) were deficient in vit D and 126 patients (73%) were beyond adequacy. The serum 25(OH)D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cholesterol (P=0.01), triglyceride (P=0.049),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P=0.001),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P=0.007). The serum 1,25 (OH)

2

D

3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riglyceride (0.018). The serum 25(OH)D level was not shown any significant effect by Fasting plasma glucose,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Low density lipoprotein. The serum 25(OH)D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existing diseases as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steoporosis or newly diagnosed as same above at admitted. also, the serum 1,25 (OH)

2

D

3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sence of existing diseases as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osteoporosis or newly diagnosed as same above at admitted. Preexisting treatment history or newly diagnosed at admission of diabetes (P=0.003) and hypertension (P=0.009) showed a significant inversely proportional correlation to the serum 1,25 (OH)

2

D

3

level and of hyperlipidemia showed a significant directly proportional relationship to the serum 1,25 (OH)

2

D

3

level (P=0.008).

Conclusion: About a two-thirds of those surveyed is found to have vitamin D deficiency. Vitamin D, in addition to its role in bone metabolism,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e genesi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So, it is considered that a further p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usefulness of vitamin D will be needed for chronic diseases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Key Words: Vitamin D Level, Chronic Disease

(2)

비타민 D는 골격 성장 및 유지, 칼슘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호르몬이고,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뿐만 아니라 골격계 이외의 조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세포 증식 및 세포 분화의 조절, 면역기능 조절, 그리고 항암 작용 등의 기능도 있음이 보고되었고, 당뇨병, 비만 및 대사 증후군과의 관련성도 있음이 보고 된 바 있어 그 임상적 가치에 대해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비타민 D는 파장 290∼315 nm의 자외선 B (Ultraviolet-B, UV-B)에 의해 피부에서 생성되거나 음식을 통해 서 섭취되는데, 비타민 D가 다량 함유된 식품은 흔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통한 섭취는 제한적이다. 비타 민 D

2

(Ergocalciferol)는 효모나 식물에 존재하고, 비타민 D

3

(Cholecalciferol)는 연어, 고등어 등 기름진 생선, 달걀노른자, 유제품 등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인체의 비타민 D 영양 상태는 식이를 통하여 섭취되는 것 보다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에서의 합성되는 양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인체의 비타민 D의 영양 상태는 간에서 수산화를 거친 25-OH vitamin D

3

의 혈중 농도로 평가할 수 있다.

7-dehydrocholesterol (Provitamin D

3

)이 290∼315 nm 파장의 자외선을 받아 프리비타민 D (previtamin D

3

)로 전환된다. 프리비타민은 온도에 의해 비타민 D로 이성화(Isomerization)된다. 비타민 D는 활성이 없고, 간과 신장에서 수산화가 되어야 생리적 활성이 있는 1,25(OH)

2

D

3

(Calcitriol)로 전환된다. 비타민 D는 혈액내로 들어와 vitamin D binding protein (VDBP)과 결합하여 간으로 이동한다. 간에서 D-25-수산화효소(Hydroxylase) 에 의해 수산 화된 25(OH)D는 혈액에 가장 많은 농도로 존재하는 비타민 D이다. 이 효소는 엄격하게 조절되 는 효소가 아니기 때문에 피부의 비타민 D 생성이 증가하거나 섭취가 증가하면 25(OH)D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생리적 활성이 없는 25(OH)D는 신장에서 1α-hydroxylase에 의하여 수산 화되어 활성 호르몬인 1,25(OH)

2

D

3

(Calcitriol)로 활성화 된다. 1α-hydroxylase의 활성은 부갑상선호르몬, 저인산염혈증에 의해 증가 된다. 이외에도 성장호르몬, 프로락틴, IGF-1 등이 calcitriol의 생산을 증가시킨다.

1,25(OH)

2

D

3

은 장의 칼슘 흡수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으로 음식으로 섭취된 칼슘의 흡수를 증가 시킨다. 99% 이상이 비타민 D 수용체(VDR)를 통해 작용하며 이는 장내에 주로 존재하여 장세포 내에서 calbidin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소장에서 상피세포의 칼슘 통로를 활성화 시켜 세포내로 칼슘의 이동을 증가 시키며, 소장에서 상피세포의 칼슘 통로를 활성화시켜 세포 내로 칼슘의 이동을 증가시키고, 신장에서는 칼슘과 인 배설을 감소시킨다.

골격과 무기질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인 뼈, 신장, 소장에 활성형 비타민 D인 1,25(OH)

2

D

3

(Calcitriol)과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하는 비타민 D 수용체(Vitamin D receptor, VDR)가 존재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장, 위장, 췌장, 뇌, 피부, 성선, 면역세포 등 여러 장기와 조직에 VDR이 존재한다는 것은 비타민 D가 골격계의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최근 비타민 D 및 VDR이 칼슘과 연관 없는 비골격성 건강의 유지와 질병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시험관내, 역학적 근거들이 증가하 고 있다. 이들의 일부는 무기질 항상성이나 골격대사에 관여하지 않는 장기들이다.

그 동안 비타민 D와 질병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주로 골다공증이나 골연화증 등의 골격 질환에

국한되어 진행되어 왔다. 비타민 D와 일차적으로 연관 있는 장기인 뼈, 신장, 소장은 무기질 대사와 신경

근육계에 관여하지만, 비타민 D의 효과는 무기질과 골격의 항상성유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비타민 D

농도가 낮거나 VDR의 유전적 변형이 있는 경우 골연화증, 골다공증뿐만 아니라 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의 악성 종양

2-5)

, 고혈압

6)

, 당뇨병

7)

, 면역 장애와 연관된 질환 등이 증가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3)

비타민 D와 심혈관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최근 알려지고 있는데, 불충분한 비타민 D 영양, 칼슘 섭취의 부족, 위도가 높은 곳에 거주하는 것은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독립적으로 기여한 다. 몇몇 임상 연구에서 정상 혈압의 남성이나 원발성 고혈압 환자의 혈청 1,25(OH)

2

D

3

(Calcitriol) 농도와 혈압 또는 혈청 레닌 활성도가 역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졌으며, 비타민 D의 생성과 연관이 있는 UV-B의 조사와 혈압의 상승, 고혈압의 유병률도 역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6)

또 비타민 D 보충제를 투여하 면 원발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이 낮아지고, calcitriol을 투여하면 혈압, 혈청 레닌 활성도, 안지오텐신 II 농도 도 낮아진다는 보고도 있다.

Li 등은 VDR-null mice에서 레닌과 안지오텐신 II생산이 수배 증가하여, 고혈압, 심근비대 등이 발생하고, 정상적인 쥐에서 calcitriol 생산을 억제하면 레닌의 생산이 증가하고, calcitriol을 주사한 경우 레닌을 억제한 다고 보고 하였다. 이 연구는 비타민 D에 의한 레닌의 조절은 칼슘대사와는 관계없고 VDR과 연관된 기전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밝혔다.

8)

소규모의 임상적인 시도들에서 비타민 D 보충이 혈압

9,10)

, 좌심실 비대

11)

, inflammatory cytokines

12)

의 감소를 유도했다. 반면에 칼슘과 비타민 D의 보충이 Woman's health Initiative에서 cardiovascular events 의 감소와 연관 이 없다고 보고되기도 하였다.

13)

이러한 상반된 결과들은 여러 인자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14)

첫째, Women's Health Initiative 골절 예방과 관련한 임상적인 시도였고, 심혈관계 위험성에 대하여 계획되어진 것이 아니었다.

15)

둘째, 치료 목적으로 사용된 비타민 D의 용량인 400 IU/d는 비타민 D 결핍을 교정하기 위해서 필요하거나 이전의 심혈관계 연구 들에서 사용하였던 용량인 800 IU/d 보다 한참 부족한 용량이었다.

12,14)

셋째, 위약 그룹에 속한 환자들은 비타민 D의 섭취를 제한하지 않았다. 그 결과 위약 그룹에 속한 환자들은 평균 400 IU/d의 비타민 D를 섭취 하였다. 마지막으로 25(OH)D의 base-line 수치가 측정되지 않았다. 이리하여 Women's Health Initiative의 연구는 비타민 D를 보충하는 것이 비타민 D 결핍이 있는 것보다 더 이득이 있는지의 여부는 설명할 수 없었다.

이와는 반대로 비타민 D 결핍이 있고, 다수의 심혈관계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비만한 사람들에서 비타민 D가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낮춘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13)

정상적인 PTH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25(OH)D의 높은 농도인 30 ng/mL를 초과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심혈관계 보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이상적인 농도는 정상적인 PTH 농도나 골 대사를 위한 농도와는 다르다.

21,22)

최근 연구에서 25(OH)D 의 농도가 30 ng/mL 미만으로 낮을 경우 심혈관계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또한 부적절한 비타민 D 농도에서는 칼슘의 흡수가 제한되며 이는 부갑상선호르몬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골의 재흡수와 골소실은 가속화된다.

24)

게다가 낮은 비타민 D농도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보이는 근력 약화, 근골격계의 통증, 노인에서의 낙상 위험의 증가, 낙상으로 인한 골절과 관련된다.

25)

현재까지 적절한 비타민 D의 농도에 대해서 세계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진 않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전문 가들은 비타민 D의 골겨계와 비골격계에 대한 다양한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비타민 D의 적정 농도는 25(OH)D가 30 ng/mL 이상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26,27)

비타민 D는 당뇨병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최근 몇몇 연구에서 인슐린 저항성과 베타 세포의 기능 부전에 비타민 D 부족이 함께 보고되었으며, 비타민 D는 면역조절물질로 작용하여, 췌장 베타 세포의 파괴와 제 1형 당뇨병과 연관이 있는 시토카인의 생산과 림프구 증식을 감소시켜 당뇨병의 발생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7)

또한 베타 세포는 VDR을 발현하고 있고 1,25(OH)

2

D

3

(Calcitriol)에 반응 하여 인슐린 분비가 증가된다.

미국에서 1988∼1994년에 시행된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25(OH)D를 측

(4)

정한 약 6,0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25(OH)D 농도를 4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비스페인계 백인 의 경우 25(OH)D 농도가 제일 높은 군의 당뇨병 발생 위험도가 0.25로 감소하였고, 멕시코계 미국인의 당뇨 병 발생 위험도는 0.17로 감소하였으나 흑인의 경우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아 25(OH)D 농도와 당뇨 병 발생 위험도에 있어 민족 간에 차이가 있었다.

28)

Chiu 등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경구 당부하 검사와 고혈당클램프를 시행하여 25(OH)D 농도와 인슐린 민감성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비타민 D 결핍이 있는 대상은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성 증후군의 위험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29)

앞에서 언급했듯이 1,25(OH)

2

D

3

(Calcitriol)과 calcitriol 유사체들을 포함한 VDR 리간드는 항증식(Antiprolife- ration), 분화촉진(Prodifferentiation), 면역조절(Immunomodulation)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선, 제1형 당 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크론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여러 가지 종양의 치료제로 시험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타민 D와 연관된 비골격계 질환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 D 영양 상태가 골다공증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에서도 불충분하고,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D 불충분은 특히 심하다고 알려져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D 불충 분의 정도와 일차의료 현장에서 접할 수 만성 질환과 비타민 D의 혈중 수준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가정의학과를 통해 입원한 20세 이상 의 환자 중 혈청 25(OH)D, 1,25(OH)

2

D

3

농도를 측정한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방법

1) 과거력 및 질병 상태 조사: 환자를 일대일로 면접하여 일반사항으로는 연령, 성별을 조사하고, 현재 환자가 가지고 있는 만성 질환의 과거력(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양) 및 진단 연도, 과거력과 관련 하여 현재 복용 중인 약물(혈압강하제, 혈당강하제, 지질저하제, 골다공증약)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2) 신체계측 및 혈압 측정: 환자의 입원 시점에서 신장, 체중을 측정하였고, 계측치로부터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체중(kg)/[신장(m)]

2

를 산출하였다. 신장은 정면을 본 상태에서 신발을 벗고 직립자세 를 취하게 하여 귀와 눈이 수평이 되게 하여 신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체중은 얇은 옷만 입은 상태 에서 전자저울로 측정하였다.

혈압은 최소 5분 이상 안정 후 대상자가 편하게 앉은 자세에서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수은 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공복 혈당 및 당화 혈색소 측정: 본 연구 대상자의 혈액은 12시간 금식 후 정맥혈을 채취하여 분석하였 으며 공복 혈당은 Hexokinase법으로 자동 생화학 분석기(Hitachi의 Autonomic analysis 7600-110)로 측정하였고, 장기간의 혈당 조절지표로 사용되는 당화혈색소(Glycosylated hemoglobin, HbA1c)는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법으로 TOSHO A1c 2.2로 측정하였다.

4) 혈청 지질 농도 측정: 채혈된 혈액 중 2.5 cc는 항응고 EDTA가 첨가된 tube 2개에 담아 잘 혼합하였고,

나머지 혈액은 plain tube에 넣어 실온에 30분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기(Kubota 8420)를 이용하여 3,000

(5)

Table 1. The classification of blood pressure (BP) of adults - JNC 7*,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Classification Systolic BP mmHg

Diastolic BP mmHg Normal

Prehypertension (Pre HT) Stage1 Hypertension (Stage1 HT) Stage2 Hypertension (Stage2 HT)

<120 120∼139 140∼159

≥160 and

or or or

<80 80∼89 90∼99

≥100

*JAMA 2003, May 21:289(19):2560-2572.

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 후 혈청 성분만을 분리하였다.

혈청 콜레스테롤은 효소법을 이용하였으며 중성지방은 glycerol phosphate oxidase (glycerol 소거법)로 혈청 HDL-콜레스테롤은 direct method (항체저해법)으로 자동 생화학분석기인(Hitachi의 Autonomic analysis 7600- 110)으로 분석하였으며 혈청 LDL-콜레스테롤은 Firedward식

30)

에 의해 계산하였다.

[L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HDL-cholesterol)−(Trigliceride/5)]

5) 혈청 25(OH)D 및 1,25(OH)

2

D

3

, 칼슘 및 부갑상선호르몬의 측정: 혈청 25(OH)D는 25(OH)D 키트 (BIOsource의 25-OH vitamine D

3

RIA kit)를 이용하여 Radioimmunoassay법으로 γ-Counter로 분석하였고 혈철칼 슘은 OCPH method로 자동생화학 분석기인 (Hitachi의 Autonomic analysis 7600-110)으로 분석하였다.

1,25(OH)

2

D

3

는 1,25-dihydroxyvitamin D

125

I RIA kit (IDS의 1,25-dihydroxyvitamin D

125

I RIA kit)를 이용하여 Radioimmuno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혈청 intact PTH는 CIS bio international의 ELSA intact PTH IRMA kit를 이용하여 Radioimmunoassay으로 측정 하였다.

6) 진단 질환

① 고혈압의 진단: 본 연구에서 사용한 고혈압의 진단 기준은 2003년 미국국립보건원에서 발간한 JNC-7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보고서 [Chobanian et al., 2003]와 2004년 대한고혈압학회 [혈압분류의 기준 및 지침]에서 제시 한 내용[대한고혈압학회, 2007]을 근거로 하여 분류하였다(Table 1).

② 골다공증의 진단: 골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가장 적절한 측정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31)

이를 바탕으로 1994년에 WHO에서는 T-score에 근거를 둔 골다공증의 정의를 발표하였으며

32)

, 이 정의에 따르면, 골다공증은 T-score≤−2.5이며, 같은 성의 젊은 성인의 골밀도와 비교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있다. 본 연구는 WHO의 골다공증의 정의에 근거하여 골다공증을 진단하였다.

③ 고지혈증의 진단: 이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에서 제시하는 고지혈증의 기준은 Table 2와 같다.

④ 당뇨의 진단: 이 연구에 사용한 ADA guideline 2010의 당뇨 진단 기준은 Table 3과 같다.

7) 통계 분석: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간 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고, 둘째, 상관관계분석에서 나온 결과를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 대상 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05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1. 일반적 및 임상적 특징

1) 일반적인 특성: 연구대상자는 총 200명으로

(6)

Table 2.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hyperlipidemia mg/d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Normal

Borderline High

<200 200∼239

≥240 >200

<130 130∼159

≥160

Table 3.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diabetes 1.

2.

3.

4.

AlC≥6.5%. The test should be performed in a laboratory using a method that is NGSP** certilfied and standardized to the DCCT*** assay.*

OR

FPG≥126 mg/dL (7.0 mmoL/L). Fasting is defined as no caloric intake for at least 8 h.*

OR

Two-hour plasma glucose ≥200 mg/dL (11.11 mmoL/L) during an OGTT.

The test should be performed as describ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using a glucose load containing the equivalent of 75 g anhydrous glucose dissolved in water.*

OR

In a patient with classic symptoms of hyperglycemia or hyperglycemic crisis, a random plasma glucose ≥200 mg/dL (11.1 mmoL/L).

*In the absence of unequivocal hyperglycemia, criteria 1∼3 should be confirmed by repeat testing. **NGSP (National Glycohemoglobin Standardization Program). ***DCCT (Dia- betes Control and Complications Trial).

여자 130명(65.0%), 남자 70명(35.0%)이며, 그들의 일 반적 특성은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연령은 21 세에서 94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남자 44.70±15.82세, 여자가 56.21±18.17세로 전체 평균 연령은 52.18±

18.19세였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42명(21.0%)으로 가 장 많았다.

연구대상자의 신체계측치 및 혈압의 특성은 Table 4와 같다. 신장은 남녀 평균 161.55±10.20 cm로 나타 났고, 체중은 남녀 61.30±13.11 kg의 평균값을 나타 내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체중 상태를 표준체중백분 율 (percent ideal body weight, PIBW)에 의해 90% 미만

이면 저체중, 90∼110% 미만이면 정상체중, 110∼120% 미만이면 과체중, 120% 이상을 비만으로 정하였을

33,34)

전체 환자 중 저체중군은 34명(17%), 이상체중군은 81명(40.5%), 체중관리가 필요한 과체중과 비만군

은 79명(39.5%)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 (BMI) 기준치는 WHO 기준에 의하면 저체중 18.5 kg/m

2

미만, 정상이 18.5∼24.9 kg/m

2

, 과체중 25.0∼30 kg/m

2

, 비만이 30.0 kg/m

2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우리나라 비만학회의 경우 저체중이 18.5 kg/m

2

미만, 정상이 18.5∼22.9 kg/m

2

, 과체중이 23∼24.9 kg/m

2

, 1단계 비만이 25.0∼29.9 kg/m

2

, 2단계 비만은 30.0 kg/m

2

이상으로 한 단계 더 나누어져 있다.

35)

체질량지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남자 평균이 23.99±4.04 kg/m

2

로 과체중에 해당하였으며 여자 평균은 23.08±3.99 kg/m

2

로 과체중에 해당하였다.

연구대상자 혈압의 특성은 남자의 경우 평균 수축기 혈압 125.57±10.44 mmHg, 이완기 혈압 80.00±7.80 mmHg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수축기 혈압 124.65±12.76 mmHg, 이완기 혈압 79.54±9.63 mmHg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이 있는 경우의 일부 대상자는 혈압강하제를 복용하는 상태였으므로 고혈압 환자의 혈압 관리 기준인 수축기 140 mmHg 이하, 이완기 90 mmHg 이하와 비교하였을 때 정상 범위로 간주하여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생화학적 지표들의 특징

연구대상자들의 생화학적 지표들의 특징은 Table 5와 같다.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은 남자가 평균

130.44±66.17 mg/dL, 여자가 129.94±61.09 mg/dL로 나타났으며, 전체 연구 대상자의 평균은 130.11±62.70

mg/dL였다. 당화혈색소(HbA1c)는 남자가 5.98±1.10%, 여자가 6.19±1.17%로 전체 평균은 6.12±1.15%로 나타

났다.

(7)

Table 4.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 (%)

Characteristics Male

70 (35.4)

Female 130 (64.6)

Total 200 (100.0)

Age (years)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89 90∼99

14 (20.0) 19 (27.1) 14 (20.0) 9 (12.9) 6 (8.6) 7 (10.0)

1 (1.4) 0 44.70±15.82*

10 (7.7) 23 (17.7) 15 (11.5) 20 (15.4) 20 (15.4) 30 (23.1) 10 (7.7) 2 (1.5) 56.21±18.17

24 (12.0) 42 (21.0) 29 (14.5) 29 (14.5) 26 (13.0) 37 (18.5) 11 (5.5) 2 (1.0) 52.18±18.19 Anthropometric and

blood pressur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ight (cm) Weight (kg) PIBW (%) BMI (kg/m

2

) SBP (mmHg) DBP (mmHg)

171.28±6.75 70.38±12.77 109.78±18.71 23.99±4.04 125.57±10.44

80.00±7.80

156.18±7.42 56.37±10.41 107.01±18.41 23.08±3.99 124.65±12.76

79.54±9.63

161.55±10.20 61.30±13.11 108.00±18.52 23.40±4.02 124.98±11.98

79.70±9.02

*Mean±SD. PIBW: percent ideal body weight, BMI: body mass index,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Table 5.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Male (N=70) Female (N=30) Total (N=200) FPG (mg/dL)

HbA1c (%) T-cholesterol (mg/dL) Triglyceride (mg/dL) LDL-cholesterol (mg/dL) HDL-cholesterol (mg/dL) PTH (pg/mL)

25(OH)D (ng/mL) 1,25(OH)

2

D

3

(pg/mL) Total calcium (mg/dL)

130.44±66.17 5.98±1.10 157.97±48.92 135.76±115.58 92.17±37.40 38.00±11.26 35.06±22.38 28.87±19.89 57.62±27.22 8.82±0.64

129.94±61.09 6.19±1.17 172.62±43.36 110.784±79.63 100.03±36.84 47.31±13.85 38.02±23.10 31.42±20.95 58.09±27.64 8.89±0.49

130.11±62.70*

6.12±1.15 167±45.77 119.41±94.07 97.32±37.13 44.09±13.71 36.99±22.84 30.53±20.57 57.93±27.42 8.87±0.54

*Mean±SD. FPG: fasting plasma glucose, HbA1c: glycosylated hemoglobin, PTH: parathyroid hormone.

Table 6. Classification of serum 25(OH)D in the subjects by stage

Classification Serum 25(OH)D N (%) Deficiency

Insufficiency Hypovitaminosis D Adequacy Toxicity Total

<25 nmoL/L 25≤ <50 nmoL/L 50≤ <100 nmoL/L 100≤ <250 nmoL/L

250 nmoL/L≤

17 (8.5) 56 (23.0) 73 (36.5) 52 (26.0) 2 (1.0) 200 (100) 혈중지질치에 대하여서는 남자의 경우 총콜레스테

롤 농도가 157.97±48.92 mg/dL, 중성지방이 135.76±

115.58 mg/dL, LDL-콜레스테롤의 농도가 92.17±37.40 mg/dL,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38.00± 11.26 mg/dL 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172.62±

43.36 mg/dL, 중성지방이 110.784±79.63 mg/dL, LDL-콜

레스테롤의 농도가 100.03±36 mg/mL, HDL-콜레스테

롤의 농도는 47.31±13.85 mg/dL로 나타났다. 부갑상선

(8)

Table 7. Serum concentrations of 25(OH)D and 1,25(OH)

2

D

3

in the subjects by age

Age 25(OH)D 1,25(OH)

2

D

3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89

20.224±9.585*

24.789±15.569 38.201±24.471 36.093±25.288 36.350±19.383 30.594±20.791 26.440±21.959

66.382±42.072 60.997±29.425 59.383±30.591 50.802±19.515 57.463±20.533 55.163±22.891 57.611±13.961

*Mean±SD

Table 8.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ronic disease Chronic disease N (%) Hypertension

Diabetes Osteoporosis Hyercholesterolemia

51 (25.5) 40 (20.0) 26 (13.0) 22 (11.0)

호르몬은 남자가 평균 35.06±22.38 pg/m로 측정되었 고, 여자에서는 38.02±23.10 pg/m로 나타났다. 혈청 총 칼슘(Total calcium)의 경우는 남자에서 평균 8.82±0.64 mg/dL였으며 여자의 경우는 평균 8.89±0.49 mg/dL로 나타났다. 혈청 25(OH)D의 농도는 전체 평균 30.53±20.57 pg/dL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28.87±19.89 pg/dL, 여자는 31.42±20.95 pg/dL로 측정되었다. 혈청 1,25(OH)

2

D

3

의 농도는 전체 평균 57.93±27.42 pg/dL로 나타 났으며 남자는 57.62±27.22 pg/dL, 여자는 58.09±27.64 pg/dL로 측정되었다.

3. 혈청 25(OH)D의 단계별 분류에 따른 결과

연구 대상자의 혈청 25(OH)D를 단계별로 분류하면 Table 6과 같다. 혈청 25(OH)D를 결핍정도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여 결핍(deficiency), 불충분(insufficiency), 저비타민D증(hypovitamninosis D), 적절(adequacy), 그리 고 중독(toxicity)으로 분류하였을 때

36)

결핍이 17명으로 8.5%에 해당하였고 불충분 56명(28%), 저비타민D증 73명(36.5%)이었고, 적절 52명(26.0%)이었으며, 남녀 전체에 있어 비타민 D 부족은 73%로 나타났다. Thomas 등

37)

은 290명의 입원 환자 중 57%인 164명이 비타민 D가 결핍이었고 그 중 22%는 심한 비타민 D 결핍으로 보고하였는데 비타민 D를 권장량 이하를 섭취하는 사람의 69%가 비타민 D 결핍이었으며 비타민 D 결핍은 입원 환자에서도 흔히 보인다고 하였다. 한편 혈청 25(OH)D 농도가 80 nmol/dL (32 ng/mL) 이하일 경우 비타 민 D 불충분으로 판단하는 경우 200명의 입원 환자 중 63.5%인 127명이 비타민 D 불충분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D 농도가 적절한 환자는 52명으로 26.0%에 불과하였다.

4. 연령대 별 혈청 25(OH)D와 1,25(OH)

2

D

3

농도

연령대 별 혈청 25(OH)D와 1,25(OH)

2

D

3

농도는 Table 7과 같다.

5. 만성 질환의 질환별 특징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하여 진단 받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골다공증과 같은 만성 질환의 질환별 특징 은 Table 8과 같다. 과거력은 입원 이전에 이미 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 지질저하제, 혈당강하제, 골다 공증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하였다.

만성 질환 중 당뇨는 40명(20.0%), 고혈압은 51명(25.5%), 골다공증은 26명(13.0%), 고지혈증은 22명(11.0%) 로 나타났다.

6. 혈청 25(OH)D 및 1,25(OH)

2

D

3

와 변인과의 상관관계

Table 9와 같이 혈청 25(OH)D 및 1,25(OH)

2

D

3

와 변인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혈청 25(OH)D의 경우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9)

Table 9. Correlation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of 25(OH)D, 1,25(OH)

2

D

3

and variable factors

25(OH)D 1,25(OH)

2

D

3

Sex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Weight

Fasting plasma glucose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0.059

−0.071

−0.010

−0.024 0.065 0.031

−0.038 0.232**

0.143*

0.232**

0.194*

0.008 0.008

−0.059 0.027

−0.061

−0.042

−0.072

−0.101 −0.171*

0.094

−0.083

*P<.05, **P<.001.

Table 10. Biochemical indicators affecting the serum concen- tration of 25(OH)D

Beta coefficient P value Fasting palsma glucose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0.089 0.045

−0.155 0.176 0.241 0.237

0.630 0.825 0.610 0.246 0.054 0.351 R Square: .570

Std. Error: 19.3629

Adjusted R Square: .325 F (p): 1.547 (.034)*

*P<0.05.

(HDL-choelestero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또 한 1,25(OH)

2

D

3

와 중성지방(Triglyceride)은 의미 있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혈청 25(OH)D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형 전체의 타당성은 F=1.547 (P=.034)로서 통계적으로 모형전체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R²=.325으로서 독립변수가 혈청 25(OH)D의 전체변량을 약 32.5% 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 로 나타나 위의 모형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대체로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VIF는 2보다 작으므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1) 혈청 25(OH)D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화학적 지표: 생화학적 지표들이 혈청 25(OH)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 Table 10과 같다. 공복혈당(Fasting plasma glucose), 당화혈색소(HbA1c),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은 혈청 25(OH)D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혈청 1,25(OH)

2

D

3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형 전체의 타당성은 F=1.475 (P=.041)로서 통계적으로 모형전체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R²=0.269으로서 독립변수가 혈청 1,25(OH)

2

D

3

의 전체변량을 약 26.9% 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모형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대체로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VIF는 2보다 작으므 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1) 혈청 1,25(OH)

2

D

3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화학적 지표: 생화학적 지표들이 혈청 1,25(OH)

2

D

3

의 농도

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 Table 11과 같다.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 당화혈색소(HbA1c), 총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holestero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holesterol)은 혈청 1,25

(OH)

2

D

3

의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Table 11. Biochemical indicators affecting the serum concen- tration of 1,25(OH)

2

D

3

Beta coefficient P value Fasting plasma glucose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0.048

−0.028

−0.072

−0.086 0.047

−0.039

0.818 0.901 0.823 0.606 0.721 0.886 R Square: 0.269

Std. Error: 23.210

Adjusted R Square: 0.019 F (p): 1.475 (.041)*

*P<0.05.

Table 12. Correlation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of 25(OH)D, 1,25(OH)

2

D

3

and chronic disease

25(OH)D 1,25(OH)

2

D

3

Diabetes Osteoporosi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0.012 0.035 0.138 0.044

−0.186*

−0.015 0.076 −0.202**

*P<.05, **P<.001.

9. 혈청 25(OH)D 및 1,25(OH)

2

D

3

와 만성 질환간의 상관관계

Table 12와 같이 혈청 25(OH)D 및 1,25(OH)

2

D

3

와 만성 질환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만성 질환은 당뇨, 골다공증, 고지혈증, 고혈압을 포함하였으며, 이들 만성 질환과 혈청 25(OH)D 및 1,25(OH)

2

D

3

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혈청 25(OH)D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 골다공증, 고지혈증의 만성 질환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1,25(OH)

2

D

3

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과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혈청 25(OH)D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

모형 전체의 타당성은 F=1.556 (P=.033)로서 통계적으로 모형전체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R²=.187으로서 독립변수가 당농도의 전체변량을 약 18.7% 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 나 위의 모형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대체로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VIF는 2보다 작으므로 다중공선 성 문제는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당뇨병(β=0.004, t=0.037), 고혈압(β=−0.076, t=−0.671), 고지혈증(β=0.154, t=1.482), 골다공증(β=0.062, t=0.592)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았던 경우 1,25(OH)

2

D

3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1,25(OH)

2

D

3

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질환

모형 전체의 타당성은 F=3.327 (P=.001)로서 통계적으로 모형전체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R²=.333으로서 독립변수가 전체변량을 약 33.3% 정도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모형의 종속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대체로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VIF는 2보다 작으므로 다중공선성 문제 는 크게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당뇨병(β=−.305, t=−3.063), 고혈압(β=−.278, t=−2.683)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았던 경

우 1,25(OH)

2

D

3

의 농도에 반비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지혈증(β=.260, t=2.730)의

경우에는 1,25(OH)

2

D

3

농도에 정비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β=0.079,

t=0.817)의 경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Table 14. Chronic disease affecting the serum concentration of 1,25(OH)

2

D

3

Beta coefficent P value Diabetes

Osteoporosi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0.305 0.079 0.260

−0.278

0.003*

0.417 0.008*

0.009*

R Square: 0.333 Std. Error: 20.218

Adjusted R Square: 0.233 F (p): 3.327 (.001)**

*P<.05, **P<.001.

Table 13. Chronic disease affecting the serum concentration of 25(OH)D

Beta coefficient P value Diabetes

Osteoporosis Hyperlipidemia Hypertension

0.004 0.062 0.154

−0.076

0.971 0.555 0.142 0.504 R Square: 0.187

Std. Error: 19.872

Adjusted R Square: 0.067 F (p): 1.556 (.033)*

*P<0.05.

고 찰

비타민 D는 주로 피부에서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고 일부는 계란 노른자, 기름진 생선, 유제품 등의 음식 으로부터 흡수된다. 비타민 D는 체내에 들어와서 간에서 1차 수산화 과정을 거쳐 25(OH)D가 되어 혈중에 돌아다니는 주된 비타민 D가 된다. 25(OH)D는 생물학적 활성도가 낮아 같은 분자량의 1,25(OH)

2

D

3

와 비교 할 때 칼슘 흡수에 대한 효과는 400분의 1에 불과하다.

38)

25(OH)D는 신체 내 비타민 D가 부족한지 또는 충분한지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되며, 신장에서 2차 수산화 과정을 거쳐 활성형 비타민 D의 형태인 1,25(OH)

2

D

3

가 되어 혈청 칼슘대사에 중요한 조절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39)

비타민 D의 혈청 농도는 측정시점 전에 대상자가 받은 일조량과 음식 섭취에 따라 변동양이 크고, 1,25 (OH)

2

D

3

의 혈청 농도는 정상인에서 생리적으로 조절하여 작용하므로, 혈중 반감기가 2∼3주 정도인 25(OH)D를 측정하여 체내 비타민 D의 상태를 평가한다.

40)

비타민 D는 골격 성장 및 유지, 칼슘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호르몬이고,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뿐만 아니라 골격계 이외의 조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1)

세포 증식 및 세포 분화의 조절, 면역기능 조절, 그리고 항암 작용 등의 기능도 있음이 보고되었고, 당뇨병, 비만 및 대사 증후군과의 관련성도 있음이 보고 된 바 있어 그 가치에 대해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골격과 무기질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인 뼈, 신장, 소장에 활성형 비타 민 D인 1,25 (OH)

2

D

3

(calcitriol)과 높은 친화력으로 결합하는 비타민 D 수용체(vitamin D receptor, VDR)가 존재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장, 위장, 췌장, 뇌, 피부, 성선, 면역세포 등 여러 장기와 조직에 비타민 D 수용체가 존재한다는 것은 비타민 D가 골격계의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최근 비타민 D 및 비타 민 D 수용체가 칼슘과 연관 없는 비골격성 건강의 유지와 질병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시험관내, 역학적 근거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일부는 무기질 항상성이나 골격대사에 관여하지 않는 장기들이다.

또한 25(OH)D가 1,25(OH)

2

D

3

(calcitriol)로 변화 되는데 필요한 효소가 신장 이외의 조직에서도 발견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직에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25(OH)

2

D

3

(calcitriol)이 신장

이외의 조직에서 생산되는 것은 1,25(OH)

2

D

3

(calcitriol) 이측분비(paracrine) 또는 자가분비(autocrine)조절을 통

해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들이 증가하

고 있다.

(12)

본 연구에서는 25(OH)D의 농도가 총콜레스테롤(P<0.001), 중성지방(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P<0.001),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P<0.001)에 있어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 났고, 1,25(OH)

2

D

3

와 중성지방(P<0.01)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지혈 증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하여 진단 받은 경우 1,25(OH)

2

D

3

농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타민 D와 지질 대사와의 상관관계가 명확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혈청 25(OH)D의 농도와 지질 대사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아직 일관된 연구결과를 보이지 않고

있다.

41-43)

비타민 D 부족이 총 콜레스테롤 농도 상승과 연관이 있음을 관찰한 연구도 있으며

41,43)

, 혈청

25(OH)D의 농도와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의 모든 관계에서 연관성을 보지 못한 연구도 있었다.

42)

최근 몇몇 연구에서 인슐린 저항성과 베타 세포의 기능 부전에 비타민 D 부족이 함께 보고되었으며, 비타민 D는 면역조절물질로 작용하여, 췌장 베타 세포의 파괴와 제1형 당뇨병과 연관이 있는 시토카인의 생산과 림프구 증식을 감소시켜 당뇨병의 발생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7)

미국에서 1988∼1994년에 시행된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25(OH)D를 측 정한 약 6,0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25(OH)D 농도를 4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비스페인계 백인 의 경우 25(OH)D 농도가 제일 높은 군의 당뇨병 발생 위험도가 0.25로 감소하였고, 멕시코계 미국인의 경우 는 0.17로 감소하였으나 흑인의 경우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아 민족 간의 차이가 있었다.

28)

Chiu 등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경구 당부하 검사와 고혈당클램프를 시행하여 25(OH)D 농도와 인슐린 민감성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비타민 D 결핍이 있는 대상은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성 증후군의 위험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29)

본 연구에서는 1,25(OH)

2

D

3

의 농도와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 하여 당뇨병을 받은 경우에서 유의 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임상 연구에서 정상 혈압의 남성이나 원발성 고혈압 환자의 혈청 1,25(OH)

2

D

3

(calcitriol)농도와 혈압 또는 혈청 레닌 활성도가 역상관관계가 있다고 밝혀졌으며, 비타민 D의 생성과 연관이 있는 UV-B의 조사와 혈압의 상승, 고혈압의 유병률도 역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6)

또 비타민 D 보충제를 투여하면 원발 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이 낮아지고, calcitriol을 투여하면 혈압, 혈청 레닌 활성도, 안지오텐신 II 농도도 낮아 진다는 보고도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비타민 D 결핍과 고혈압과의 잠재적인 관련성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고혈압은 심혈 관 비대와 vascular remodeling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비타민 D 결핍은 cardiac and vascular remodeling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고혈압은 심혈관계에 대한 비타민 D 결핍의 부정적인 영향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연구 데이터들은 비타민 D 결핍이 직접적으로 고혈압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한

다.

16,17)

또한 급성심근경색

18)

, 뇌졸중(Stroke)

19)

, 심혈관계 질환

20)

이 있는 환자들에서 25(OH)D 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1,25(OH)

2

D

3

농도와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은 경우에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5(OH)

2

D

3

의 농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P<0.01)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일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 추출 연구하였고,

입원 환자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면서 질환에 대한 치료가 중심이 되어, 비타민 D 부족에 관련한 증상의

확인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퇴원 이후의 비타민 D 감소와 관련한 증상 경감의 확인이 이루어지

지 않았다는 것이다. 둘째, 연구군의 숫자가 200명으로 적어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제한점

(13)

을 갖는다. 셋째, 연구대상자가 다발성 질병 질병을 갖고 다양한 약물을 투여 받고 있어 질병, 약물간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앞으로 입원을 요구 하는 환자 뿐 아니라 코호트 연구 등을 통하여 입원이 필요하지 않는 정상 생활자, 채용 신검 그리고 생애 주기별 건강 검진 시 샘플링을 통하여 더 많은 연구대상자를 포함하는 등의 잘 고안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이 연구는 한 대학병원에 입원할 정도의 고혈압 등의 심장질환, 당뇨, 골다공증 및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 환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비타민 D의 혈중 농도와 비타민 D 결핍의 유병 상태를 알아보고, 25(OH)D 및 1,25(OH)

2

D

3

에 영향을 미치는 생화학적 지표 및 만성질환들에 대한 상관관계 등에 대해 알아본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대상자 200명의 혈청 25(OH)D의 농도는 30.53+20.57 pg/dL (남자 28.87+19.89 pg/dL, 여자 31.42+20.95 pg/dL)이었고, 1,25(OH)

2

D

3

의 농도는 전체 57.93+27.42 pg/dL (남자 57.62+27.22 pg/dL, 여자 58.09+27.64 pg/dL)인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25(OH)D를 결핍 정도에 따라 5단계(결핍(Deficiency), 불충분(Insufficiency), 저 비타민D증(Hypovitiaminosis D), 적절(Adequacy) 및 중독(Toxicity))로 분류하였을 때 결핍(Deficiency) 17명(8.5%), 불충분(Insufficiency) 56명(28%), 저비타민D증(Hypovitiaminosis D) 73명(36.5%), 적절(Adequacy) 52명(26%) 등으 로 나타나 비타민 D의 부족은 73%인 것으로 나타났다.

2. 25(OH)D는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Cholesterol)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holesterol)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 나고 있고, 1,25(OH)

2

D

3

와 중성지방(Triglyceride)은 유의미한 음과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고혈압이나 골 다공증,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들의 경우에는 혈청 25(OH)D 농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만성 질환 중에서 고혈압과 당뇨는 1,25(OH)

2

D

3

의 농도에 반비례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있어 고혈압과 당뇨가 있는 환자는 1,25(OH)

2

D

3

의 농도가 낮게 측정됨을 보여주고 있다.

3. 생화학적 지표 공복 혈당, 당화혈색소,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등은 혈청 25(OH)D, 1,25(OH)

2

D

3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타민 D는 골대사와 관련된 역할 이외에 고혈압과 당뇨 유병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평균 수명의 증가와 함께 고혈압과 당뇨 발생 및 유병이 증가하고 있는 우리 나라의 경우, 그리고 혈중의 비타민 D의 농도가 대단히 낮은 실정에 대유하여 볼 때, 비타민 D 부족과 만성질환 등과 관련된 더욱 폭넓고 전향적인 종적 연구의 필요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참고문헌

1. Holick MF. Sunlight and vitamin D for bone health and prevention of autoimmune disease, cancer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m J Clin Nutr 2004;80(6 Suppl):S1678-8.

2. Giovannucci E. The epidemiology of vitamin D and cancer incidence and ortality: a review (United States). Cancer Causes and Control 2005;16:83-95.

3. Freedman DM, Dosemeci M, McGlynn K. Sunlight and mortality from breast, ovarian, colon, prostate, and non-melanoma skin cancer: a composite death certificate based case-control study. Occup Environ Med 2002;59:257-62.

(14)

4. Grant WB. An estimate of premature cancer mortality in the U.S. due to inadequate doses of solar ultraviolet-B radiation. Cancer 2002;94:1867-75.

5. Apperly FL. The relation of solar radiation to cancer mortality in North America. Cancer Res 1941;1:191-5.

6. Rostand SG. Ultraviolet light may contribute to geographic and racial blood pressure differences. Hypertension 1997;32:150-6.

7. Mathieu C, Badenhoop K. Vitamin D and type 1 diabetes mellitus: state of the art. Trends Endocrinol Metab 2005;16:261-6.

8. Sepulveda JL, Mehta JL. C-reactive protei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critical appraisal. Curr Opin Cardiol 2005;20:407-16.

9. Lind L, Wengle B, Wide L, Ljunghall S. Reduction of blood pressure during long-term treatment with active vitamin D (alphacalcidol) is dependent on plasma renin activity and calcium status: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Am J Hypertens 1989;2:20-5.

10. Pfeifer M, Begerow B, Minne HW, Nachtigall D, Hansen C. Effects of a short-term vitamin D(3) and calcium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and parathyroid hormone levels in elderly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1;86:1633-7.

11. Park CW, Oh YS, Shin YS, Kim CM, Kim YS, Kim SY, et al. Intravenous calcitriol regresses myocardial hypertrophy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Am J Kidney Dis 1999;33:73-81.

12. Schleithoff SS, Zittermann A, Tenderich G, Berthold HK, Stehle P, Koerfer R. Vitamin D supplementation improves cytokine profiles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Am J Clin Nutr 2006;83:754-9.

13. Hsia J, Heiss G, Ren H, Allison M, Dolan NC, Greenland P, et al. Calcium/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cardiovascular events. Circulation 2007;115:846-54.

14. Michos ED, Blumenthal RS.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ulation 2007;115:827-8.

15. Jackson RD, LaCroix AZ, Gass M, Wallace RB, Robbins J, Lewis CE, et al. Calcium plus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the risk of fractures. N Engl J Med 2006;354:669-83.

16. Li YC, Kong J, Wei M, Chen ZF, Liu SQ, Cao LP. 1,25-Dihydroxyvitamin D(3) is a negative endocrine regulator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J Clin Invest 2002;110:229-38.

17. Forman JP, Giovannucci E, Holmes MD, Bischoff-Ferrari HA, Tworoger SS, Willett WC, et al. Plasma 25-hydroxyvitamin D levels and risk of incident hypertension. Hypertension 2007;49:1063-9.

18. Scragg R, Jackson R, Holdaway IM, Lim T, Beaglehole R. Myocardial infarctio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plasma 25-hydroxyvitamin D3 levels: a community-based study. Int J Epidemiol 1990;19:559-63.

19. Poole KE, Loveridge N, Barker PJ, Halsall DJ, Rose C, Reeve J, et al. Reduced vitamin D in acute stroke. Stroke 2006;37:243-5.

20. Cigolini M, Iagulli MP, Miconi V, Galiotto M, Lombardi S, Targher G. Serum 25-hydroxyvitamin D3 concentrations and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Diabetes Care 2006;29:722-4.

21. Bischoff-Ferrari HA, Giovannucci E, Willett WC, Dietrich T, Dawson-Hughes B. Estimation of optimal serum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for multiple health outcomes. Am J Clin Nutr 2006;84:18-28.

22. Achinger SG, Ayus JC. The role of vitamin D in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and cardiac function. Kidney Int Suppl 2005:S37-S42.

23. Wang TJ, Pencina MJ, Booth SL, Jacques PF, Ingelsson E, Lanier K, et al. Vitamin D deficienc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2008;117:503-11.

24. 김홍승, 윤도식, 이미덕, 원영준, 신영구, 정춘희 : 폐경기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골밀도에 대한 연구. 대한 골대사학회지 1996;3:157-62.

25. Bischoff-Ferrari HA, Giovannucci E, Willett WC, Dietrich T, Dawson Hughes B. Estimaion of optimal serum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for multiple health outcomes. Am J Clin Nutr 1996;84:18-28.

26. Cakatay U, Telci A, Kayali R, Akeay T, Sivas A, Aral F. Changes in bone turnover on deoxypyridinoline levels in diabetic patients.

Diabetes Res Clin Pract 1998;40:75-9.

27. Sosa M, Dominguez M, Navarro MC, Segarra MC, Hernandez D, de Pablos P, et al. Bone mineral metabolism is normal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Diabests Complications 2005;10:201-5.

28. Scragg R, Sowers MF, Bell C. Serum 25-hydroxyvitamin D, diabetes, and ethnicity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2004;27:2813-8.

29. Chiu KC, Chu A, Go VLW, et al. Hypovitaminosis D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β cell dysfunction. Am J Clin Nutr 2004;79:820-5.

30. Frid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a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se. Cli Chem 1972;18:499-502.

31. Council of the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Guidelines for the early detection of osteoporosis and prediction of fracture

(15)

risk. S Afr Med J 1996;86:1113-6.

32. Kanis JA.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synopsis of a WHO report.

WHO Study Group. Osteoporos Int 1994;4:368-81.

33. Buckingham KW. Effect of dietary polyunsaturated/saturated fatty acid ratio and dietary vitamin E on lipid peroxidation in the rat. J Nutr 1986;114:1425-35.

34. 채범석. 사람의 영양학. 아카데미 서적; 1998. p39.

35.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ifining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10-11

36. Zittermann A. Vitamin D and disease preven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cardiovascular disease. Prog Biophys Mol Biol 2006;92:39-48.

37. Thomas MK, Lloyd-Jones DM, Thadhani RI, Shaw Ac, Deraska DJ, Kitch BT, et al. Hypovitaminosis D in medical inpatients, N Engl J Med 1998;19:338:777-83.

38. Ovesen L, Brot C, Jkobsen J. Food Cot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25-Hydroxyvitamin D: a Vitamin D metabolite to be reckoned with? Ann Nutr Metab 2003;47:107-13.

39.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3rd ed. 대한골대사학회. 2005. p.278-87.

40. Holick MF, Degroot Lj, Besser GM, Cahill Jr GF, Marshall JC, Nelson DH, et al. Vitamin D, biosynthesis, Metabolism, and Mode of Action, Endocrinology 2nd ed. Philadelphia: WB sanders Co; 1989. p902-26.

41. Parfit AM, Gallaghter JC, Heney RP, Jonston, Neer R, Whedon GD. Viatamin D and bone health in the elderly. Am J Clin Nutr 1982;36:1014-3.

42. Auwerx J, Bouillon R, Kesteloot H.: Relation between 25-hydroxyvitamin D3, apolipoprotein A-1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teriosclero Thromb 1992;12:671-4.

43. Chiu KC, Chu A, Go VLW, Saad MF. Hypovitaminosis D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cell dysfunction. Am J Chin Nutr 2004;79:820-5.

44. Grimes DS, Hinddle E, Dyer T. Sunlight: cholesterol and coronary hear disease. QJM 1996;89:579-89.

(16)

= 국문요약 =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비타민 D 영양 상태가 골다공증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에서

도 불충분하고, 우리나라의 비타민 D 불충분은 특히 심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비타민 D 불충분의 정도와 일차의료 현장에서 접할 수 있는 만성 질환과 비타민 D 혈중 수준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2009년 6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순천향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한 20세 이상의 20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입원 환자들에게 설문지를 통해 과거 병력 및 약물복용력 등을 조사하였고, 혈청 25-hydroxyvitamin D, 1,25-dihydroxyvitamin D 등을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으며 과거 병력 중 당뇨병, 고혈압, 골다공증, 고지혈증의 만성 질환이 있거나 만성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와 비타민 D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서 혈청 25(OH)D 농도가 80 nmol/dL (32 ng/mL) 이하일 때 비타민 D 불충분으로 봤을 경우 200명의 입원 환자 중 63.5%인 127명이 비타민 D 불충분으로 나타났고, 적정도(Adequacy)에 미치 지 못하는 경우는 126명(73%)인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25(OH)D의 경우 총콜레스테롤(P=0.01), 중성지 방(P=0.049), 고밀도콜레스테롤(P=0.001), 저밀도콜레스테로(P=0.007)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5(OH)

2

D

3

와 중성지방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P=0.018).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 당화혈색소(HbA1c), 총 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고밀도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저밀도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혈청 25(OH)D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25(OH)D의 경우 만성 질환인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의 과거 병력 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은 경우에 있어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25(OH)

2

D

3

의 경우 당뇨병, 고혈압의 과거력이 있거나 입원 시 진단 받은 경우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은 혈청 25(OH)D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P=0.003), 고혈압(P=0.009)으로 치 료를 받았거나 새로 진단 받은 경우 1,25(OH)

2

D

3

농도에 반비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고, 고지혈증(P=0.008)의 경우에서는 1,25(OH)

2

D

3

농도에 비례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론 : 조사대상자의 약 2/3에서 비타민 D 부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비타민 D는 골대사와

관련된 역할 이외에 고혈압과 당뇨 발생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만성 질환의 증가와 함께 비타민 D 사용의 임상적인 유용성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심 단어 : 비타민 D, 만성 질환

수치

Table  1.  The  classification  of  blood  pressure  (BP)  of  adults  -  JNC  7*,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Table  2.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hyperlipidemia  mg/dL  Total
Table  4.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  (%)  Characteristics Male 70  (35.4) Female 130  (64.6) Total 200  (100.0)     Age  (years)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89 90∼99 14  (20.0)19  (27.1)14  (20.0)  9  (12.9)6  (8.6)  7  (10.0)1
Table  8.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ronic  disease  Chronic  disease  N  (%) Hypertension Diabetes Osteoporosis Hyercholesterolemia 51  (25.5)40  (20.0)26  (13.0)22  (11.0) 호르몬은 남자가 평균 35.06±22.38  pg/m로 측정되었 고,  여자에서는  38.02±23.10  pg/m로 나타났다
+4

참조

관련 문서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hildren's impulsiveness and aggression by gender i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A low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DL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osteo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go-resilie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experience and students with low experience in

Mean density of intertidal invertebrate communities in Yongjeong (H1) according to the tidal levels at each investigation stations (H, High tide level; M, middle tide level; L,

Values of Glucose, T-protein, T-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Blistered fluid caused by Buhang blistering --- 19..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