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인에서 갑상선 호르몬은 관동맥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인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인에서 갑상선 호르몬은 관동맥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인가?"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3

Korean Circulation J 2005;35:43-48 ⓒ 2005, The Korean Society of Circulation

한국인에서 갑상선 호르몬은 관동맥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인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1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원광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학교실

2

윤경호

1

·정명호

1

·강동구

1

·김계훈

1

·임상엽

1

·이연상

1

·이상현

1

·홍서나

1

·홍영준

1

김주한

1

·안영근

1

·조정관

1

·박종춘

1

·김남호

2

·오석규

2

·정진원

2

·강정채

1

Is Thyroid Hormone a Risk Factor of Coronary Atherosclerosis in Korean Patients?

Kyung Ho Yun, MD

1

, Myung Ho Jeong, MD

1

, Dong Goo Kang, MD

1

, Kye Hun Kim, MD

1

, Sang Yup Lim, MD

1

, Yeon Sang Lee, MD

1

, Sang Hyun Lee, MD

1

, Seo Na Hong, MD

1

, Young Joon Hong, MD

1

, Ju Han Kim, MD

1

, Young Keun Ahn, MD

1

,

Jeong Gwan Cho, MD

1

, Jong Chun Park, MD

1

, Nam-Ho Kim, MD

2

, Seok Kyu Oh, MD

2

, Jin-Won Jeong, MD

2

and Jung Chaee Kang, MD

1

1

The Heart Cente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wangju,

2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Iksan,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Overt and subclinical hypothyroidism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developing athe- rosclerosis and adverse changes in blood lipid. There has been no data regarding the effects of a normal range of thyroid hormone on the presence of coronary atherosclerosis. Subjects and Methods:We studied 125 consecutive patients (age:

60.0±11.1 years, male: female=84: 41) who underwent diagnostic coronary angiography. The clinical diagnoses on admission were stable angina (32.0%), unstable angina (53.6%),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14.4%). The thyroid hormones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free thyroxine and free 3-iodothyronine], serum lipid levels,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 homocysteine and fibrinogen levels were measured. The coronary angiog- raphic results were compared with laboratory findings. Results:The angiographic diagnoses of coronary artery disea- se were no significant stenosis in 41 patients (32.8%), single vessel disease in 47 patients (37.6%) and multivessel disease in 37 patients (29.6%). The serum TSH levels showed a trend toward higher levels in the patients with multivessel disease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 no significant stenosis (1.22±0.96 uIU/mL vs. 0.73±0.53 uIU/mL, respectively, p=0.053). According to the levels of TSH (<1.0 uIU/mL and ≥1.0 IU/mL), the incidence of multivessel disease was signi- 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high serum TSH levels (23.1% vs. 40.0%, respectively, p=0.038). A significant correla- 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levels of TSH and the monocyte count (r=0.251, p=0.005), hsCRP level (r=0.208, p=0.023) and homocysteine level (r=0.279, p=0.002). Conclusion:The high level of serum TSH is associated with multivessel disease, abnormal inflammatory markers and high homocysteine levels. (Korean Circulation J 2005;35:43-48)

KEY WORDS:Thyroid gland;Coronary disease;Arteriosclerosis.

서 론

죽상동맥경화증과 이로 인한 허혈성 심질환은 산업화된 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망 원인이 되는 심각한 질환이다. 죽

상동맥경화증은 복합적 요인이 관여하는 질환으로 병태생리 와 위험인자의 규명에 많은 발전이 있어 왔다. 나이, 흡연, 고 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이 이미 밝혀져 있으며, 최근 C-reactive protein 등 염증인자와 혈중 homocysteine 농

논문접수일:2004년 8월 17일 심사완료일:2004년 10월 31일

교신저자:정명호, 501-757 광주광역시 동구 학1동 8번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전화:(062) 220-6243·전송:(062) 228-7174·E-mail:myungho@chollian.net

(2)

도가 주목받고 있다.

1-7)

다양한 갑상선 이상 상태가 심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8)9)

그러나 일반적으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죽상동맥경화증의 주요 독립 위험 인자로 여겨지지는 않았 다. 최근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노인 여성에서 관동맥 죽상경화증과 심근경색증의 위험인자임이 보고 되었다.

10)

갑 상선기능저하증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와 LDL 콜레 스테롤 농도가 증가되고, 혈관내피세포의 기능 이상이 초래 되며 이러한 이상은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 환자 뿐 만 아니 라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도 관찰된다.

11)

따라서 이러 한 요인들이 죽상동맥경화증의 발생이나 진행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갑상선기능과 죽상동맥경화의 위 험인자와의 관련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현성이건 불현 성이건 갑상선기능 이상을 가진 환자들에서 이루어졌으나, 실제 임상에서 대부분의 환자는 정상 범위의 갑상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상 범위의 갑상선 기능을 보이더라도 호르몬의 변화가 관동맥 죽상경화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알려지 지 않았으며, 본 연구는 갑상선 질환이 없는 한국인 환자들 을 대상으로 갑상선 호르몬이 관동맥 죽상경화증의 위험인 자가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2004년 5월부터 7월까지 흉통으로 진단적 관동맥 조영술 을 시행받기 위해 처음 입원한 128명의 연속적인 환자를 대 상으로 하였다. 갑상선기능 이상으로 치료를 받고 있거나, 새 롭게 갑상선기능 이상이 진단된 환자는 제외하였고,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amiodarone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도 제외되었다.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일차적 관동맥 중 재술을 받은 경우도 제외하였다.

3명의 환자에서 갑상선기능 이상이 발견되어 모두 125명 의 환자(연령 60.0±11.1세, 남자:여자=84:41)가 본 연 구에 포함되었다. 제외된 환자들은 1명에서 현성 갑상선기 능항진증이, 2명에서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진단되었 다. 포함된 환자들의 입원시 임상진단은 안정형 협심증 40 명(32.0%), 불안정형 협심증 67명(53.6%), 급성 심근경색 증이 18명(14.4%) 이었다.

방 법

대상 환자들에 대해 입원시 병력 조사를 통하여 관동맥 질 환의 위험인자인 흡연력, 당뇨나 고혈압의 기왕력, 가족력 등을

조사하였고, 과거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의 병력 여부도 조사 하였다.

관동맥 조영술은 금식 상태에서 대퇴동맥을 이용하여 Jud- kin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모르는 2인 의 검사자가 결과를 판정하였고, 정상 혈관에 비해 50%이상 의 협착을 보이는 경우를 의의있는 것으로 하였다.

관동맥 조영술 시행 당일 아침에 정맥 채혈을 시행하여 즉 시 생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갑상선 호르몬은 thyroid stim- ulating hormone(TSH), free thyroxine(FT4), free 3- iodothyronine(FT3)을 측정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 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 sity lipoprotein-cholesterol;LDL-C), Apolipoprotein A1(Apo A1), Apolipoprotein B(Apo B), lipoprotein(a) [Lp(a)] 등 혈청 지질 농도를 측정하였고, 백혈구 수, 단핵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등의 염증반응 지표를 측정하였고 fibrinogen, fi- brinogen degradation product(FDP), homocysteine 농도 등을 측정하였다. 혈청 TSH, FT4, FT3 농도는 상품화된 키 트(RIA-ghost, CIS Bio International, France)를 이용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고, 정상범위는 각각 TSH 0.4~

4.5 uIU/mL, FT4 0.7~2.0 ng/dL, FT3 2.0~4.5 pg/mL이 었다.

통 계

통계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모든 측정 치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관동맥 질환의 정도에 따른 각 측정치의 차이는 independent T test와 ANOVA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갑상선 호르몬 농도와 다른 위 험인자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하여 검증하 였다. 관동맥 질환의 독립적인 예측인자를 알아보기 위해 mul- 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검정을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에서 p값은 0.05이하를 의미 있는 것으로 하여 선택하 였다.

결 과

대상 환자의 평균나이는 60.0±11.1세였고, 남자는 84명 (67.2%)이었다. 입원시 임상진단은 안정형 협심증 40명 (32.0%), 불안정형 협심증 67명(53.6%), 급성 심근경색증 이 18명(14.4%) 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TSH는 1.04±

1.00 uIU/mL, FT4 1.23±0.37 ng/dL, FT3 2.69±0.54

pg/mL였다. 관동맥 조영술상 유의한 협착이 없었던 환자는

(3)

41명(32.8%), 단일혈관질환 47명(37.6%), 두혈관질환 26 명(20.8%), 세혈관질환 11명(8.8%) 이었다. 두혈관질환이 나 세혈관질환을 가진 환자를 다혈관질환군으로 분류하여 각 각의 임상양상을 비교하였다.

관동맥질환의 심한 정도에 따른 임상적 소견으로는 주로 다 혈관 질환에서 흡연(p=0.010), 당뇨병(p=0.030)의 병력이 많았고, 검사실 소견에서 유의한 협착이 없는 환자에 비해 백 혈구 수(p=0.002), 단핵구 수(p=0.032), ESR(p<0.001), 중성지방(p=0.032), fibrinogen(p=0.001) 등이 증가되어 있었고, HDL-C(p=0.020), Apo A1(p=0.022) 등이 감소 되어 있었다. 갑상선 호르몬은 TSH가 다혈관질환일수록 증 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Table 1).

TSH를 0.5 uIU/mL 단위로 구분하였을 때 다혈관질환의 빈 도는 0.5 uIU/mL 이하(31명)에서는 25.8%, 0.5~1.0 uIU/

mL는 (48명) 20.8%, 1.0~1.5 uIU/mL는 (22명) 36.4%, 1.5~2.0 uIU/mL는 (11명) 36.4%, 그리고 2.0 uIU/mL 이상(13명)에서는 53.8% 였다. 이 중 1.0 uIU/mL을 기준 하였을 때 가장 대상 환자가 많았고, 다혈관질환의 유병율 차

이가 컸다.

TSH 농도 1.0 uIU/mL를 기준으로 환자군을 분류했을 때 TSH가 높은 환자들에서 단일 혈관 이상 관동맥 질환이 있 는 경우가 많았고(57.7% vs. 82.2%, p=0.004), 두혈관질 환 이상의 다혈관질환인 경우가 많았다(23.1% vs. 40.0%, p=0.038). 또한 혈중 단핵구수와 ESR 등이 더 높았고(p=

0.020, p=0.016), Apo B/A1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

0.016)(Table 2). TSH가 1.0 uIU/mL 이하인 경우 유의한 협착이 없는 환자가 42.3%, 다혈관 질환이 23.1%이었고, 1.0 uIU/mL 이상인 경우 유의한 협착이 없는 환자가 17.7%, 다 혈관 질환이 40.1%로서 TSH가 높은 경우 다혈관 질환이 많 은 분포를 보였다(p<0.01)(Fig. 1).

TSH 농도는 단핵구수(r=0.251, p=0.005), hsCRP(r=

0.208, p=0.023), homocysteine(r=0.279, p=0.002)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FT3 농도는 ESR(r=-0.329, p<0.001), hsCRP(r=-0.225, p=0.015), FDP(r=-0.309, p=0.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3).

관동맥 질환의 존재를 예측하는 독립적인 인자로는 총콜레

Table 1.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verity of coronary atherosclerosis

No significant stenosis (n=41) Single vessel disease (n=47) Multivessel disease (n=37) p Age (yr)

*57.34±12.88 *60.40±*9.78 *62.54±10.07 0.112

Male (%) 19 (46.3)

*41 (87.2)* *24 (64.9)* 0.000

Smoking (%)

06 (14.6) 14

( 29.8)

*

17 (45.9)* 0.010

Hypertension (%) 15 ( 36.6) 16 ( 34.0) 20 ( 54.1) 0.144 Diabetes (%)

05 (12.2) 11

( 23.4)

*

14 (37.8)* 0.030

Family Hx (%)

05 (12.2) 06 (12.8) 07 (18.9) 0.645

Previous MI (%)

03 (07.3) 00 (000.) 04 (10.8) 0.086

Previous PCI (%)

03 (07.3) 07 (14.9) 08 (21.6) 0.198

TSH (uIU/mL) 0.73±0.53 1.17±1.28 1.22±0.96 0.053 FT4 (ng/dL) 1.31±0.49 1.13±0.28 1.27±0.25 0.053 FT3 (pg/mL) 2.82±0.58 2.60±0.55 2.65±0.45 0.144 WBC (×10

3

/mm

3

) 6.39±1.65 8.09±2.32* 8.10±3.24* 0.002 Mono (×10

3

/mm

3

) 0.42±0.19 0.49±0.26 0.63±0.52* 0.032 ESR (mm/hr) 6.40±5.79 10.60±11.41* 23.00±20.95* 0.000 hsCRP (mg/dL) 0.41±1.23 1.01±2.57 1.78±4.51 0.140 TC (mg/dL) 185.40±36.66 182.51±32.60 191.24±41.48 0.554 TG (mg/dL) 91.50±60.42 94.23±48.86

*125.24±76.39* 0.032

HDL-C (mg/dL) 53.05±13.59 48.32±13.78 43.61±12.53* 0.020 LDL-C (mg/dL) 121.42±33.93 119.00±32.14 131.56±37.27 0.318 Apo A1 (mg/dL) 133.68±25.92 122.23±25.76 117.56±26.41* 0.022 Apo B (mg/dL) 95.53±23.47 96.39±18.31 104.22±24.32 0.164

Apo B/A1 0.74±0.22 0.83±0.25 0.93±0.30* 0.006

Hcy (umol/L) 10.08±9.25 9.96±2.65 10.95±3.27 0.718 Fibrinogen (mg/dL) 233.71±56.12 265.74±89.51 310.98±108.11* 0.001 Hx: history, MI: myocardial infarction,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SH: thyroid stimulating hormone, FT4: free thyroxine, FT3:

free 3-iodothyronine, WBC: white blood cell, Mono: monocyte, ESR: erythrocyte seclimentation rate,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C: total cholesterol, TG: triglyceride,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po

A1: apolipoprotein A1, Apo B: apolipoprotein B, Hcy: homocysteine. *: p<0.05 vs. no significant stenosis

(4)

스테롤, HDL-C, Apo A1, Apo B 농도였으며(각각 p=0.034, 0.005, 0.022, 0.025),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는 예측인자가 되지 못하였다(Table 4).

고 찰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정상범위의 갑상선 기능을 보이는 환 자일지라도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증가되어 있을수록 관동 맥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많으며, 특히 다혈관 질환이 많다 는 것을 제시하였다.

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관동맥 질환의 높은 유병율은 이미 알려져 있으며,

12)

최근에는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서도 관동맥 질환의 위험이 증가함이 알려지고 있다. Rotter- dam study

10)

에서는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동맥경화 나 심근경색증의 발생률이 좀 더 높았고, 갑상선 호르몬 치 료 후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12%정도 내렸다고 보고하였다.

갑상선기능이 심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가 될 것인 지는 논란이 있어왔다. 일부 보고에서는 노인 여성에서 갑상 선 자극 호르몬의 증가가 관동맥질환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10)13)14)

말초혈관 질환의 위험도 또한 증 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15)

그러나 남성을 많이 포함 하는 다른 연구에서는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였다.

16)

본 연구 에서는 남성이 더 많이 포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갑상선기능 이 심혈관 질환의 새로운 위험인자가 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동맥경화에 관련된 위험요

Table 2. Patient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erum levels of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1.0 uIU/mL (n=78)

TSH ≥1.0 uIU/mL (n=45) p Age (yr)

060.69±11.42 058.58±010.36 0.155

Male (%) 48 (61.5) 35 (77.8) 0.064 Smoking (%) 19 (24.4) 18 (40.0) 0.054 WBC (×10

3

/mm

3

) 7.32±2.22 7.75±2.95 0.111 Mono (×10

3

/mm

3

) 0.43±0.21 0.63±0.48 0.020 ESR (mm/hr) 11.08±13.15 16.42±18.21 0.016 hsCRP (mg/dL) 0.87±2.97

01.36±3.26 0.286

TC (mg/dL) 185.00±35.63 187.24±39.26 0.725 LDL-C (mg/dL) 121.81±33.01 125.73±37.85 0.597 Apo A1 (mg/dL) 127.23±23.91 119.06±30.56 0.190 Apo B (mg/dL) 97.87±22.21 99.28±22.52 0.868 Apo B/A1 0.79±0.23 0.89±0.32 0.016 Hcy (umol/L) 9.32±2.66 11.89±8.78 0.063 Lipoprotein (a)

( mg/dL)

27.86±23.64 30.49±25.00 0.802 Fibrinogen (mg/dL) 262.92±80.85 277.41±106.73 0.351

≥ 1VD (%) 45 ( 57.7) 37 ( 82.2) 0.004 Multi VD (%) 18 ( 23.1) 18 ( 40.0) 0.038 WBC: white blood cell, Mono: monocyte, ESR: erythrocyte secli- mentation rate,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C:

total 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po A1: apolipoprotein A1, Apo B: apolipoprotein B, Hcy: homocy- steine, VD: vessel disease

Table 3. Relationship between thyroid hormone levels and la- boratory parameters by Pearson correlation

TSH FT4 FT3

r p r p r p

Monocyte

-.251 .005 -.101 .274 -.043 .642

ESR

-.132 .159 -.034 .721 -.329 .000

hsCRP

-.208 .023 -.147 .114 -.225 .015

TC

-.103 .257 -.143 .120 -.002 .984

HDL-C -.039 .707 -.204 .046 -.032 .755 LDL-C

-

.171 .092 -.244 .016 -.121 .240 Hcy

-

.279 .002

-

.028 .763 -.104 .259 Apo B/A1

-

.161 .077 -.008 .934 -.090 .332 FDP

-.171 .070 -.089 .350 -.309 .001

Fibrinogen -.014 .886 -.158 .095 -.126 .187 ESR: erythrocyte seclimentation rate, TSH: thyroid stimulating hormone, FT4: free thyroxine, FT3: free 3-iodothyronine, Mono:

monocyte,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cy: homocysteine, Apo A1:

apolipoprotein A1, Apo B: apolipoprotein B, FDP: fibrinogen de- gradation product

Table 4.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Variables Odds ratio 95% CI p

TC 1.22 1.01-1.47 0.034

HDL-C 0.45 0.25-0.78 0.005

Apo A1 1.43 1.05-1.96 0.022

Apo B 0.62 0.41-0.94 0.025

TSH 2.51 0.12-52.78 0.553

FT3 0.01 0.19-52.57 0.423

FT4 3.16 0.00-0.92 0.057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po A1: apolipoprotein A1, Apo B: apolipoprotein B, TSH: thyoid stimulating hormone, FT3: free 3-iodothyronine, FT4: free thyroxine

Fig. 1. Relation between percent prevalence of absent, single vessel, or multivessel coronary artery disease and subsets of TSH level. Trend achieves significance at p<0.01. VD: vessel disease, TSH: thyoid stimulating hormone.

0%

20%

40%

60%

80%

100%

TSH <1.0 uIU/mL TSH >1.0 uIU/mL

Muilti VD Single VD No significant

stenosis 23.1%

34.6%

42.3%

40.1%

42.2%

17.7%

(5)

인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주로 경동맥 내막- 중막 두께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으며,

17)18)

현재까지 여러 연 구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증가, Apo B/A1 비율의 증가, lipoprotein(a)의 증가와 같은 혈 중 지질 농도의 변화가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19-22)

이외에도 혈관내피세포의 기능이상,

23)24)

혈액응고와 섬유소 용해에 관련된 인자들의 이상

25)26)

들이 보고 되고 있다. 염증 반응과 관련하여 hsCRP의 증가는 논란이 되고 있다. 혈중 hsCRP 농도는 많은 연구에서 죽상동맥경화증과의 관련성이 밝혀지고 있고, 불안정성 협심증 환자에서 단기 사망률을 예 측할 수 있는 지표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갑상선 기능 이상에서 hsCRP가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는가 하면,

27)

그 렇지 않다는 보고도 많다.

28)29)

이상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는 갑상선 기능이 정상인 환 자들에 대해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더욱이 실제 관동맥 질 환이 의심되는 협심증 환자들에서 갑상선 기능에 대한 연구 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Auer 등

30)

은 정상 갑상선 기능을 보 이는 흉통 환자에서 FT3가 낮을수록 다혈관질환의 유병율 이 높음을 보고하였다. 그들은 TSH보다 FT3가 더 다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는데, 적은 수의 단면 연구이므 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 외의 다른 연구는 아직 보고 된 바 없어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두 갑상선 기능이 정상인 환자를 대상으 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TSH 농도는 단핵구수, hsCRP, ho- mocysteine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FT3 농도는 ESR, hsCRP, FDP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염증반응의 지표들인 단핵구수나 ESR, hsCRP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실제 협심증 환자들에서는 갑상선 호르몬 이 염증반응에도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단면 연구인 점을 들 수 있다. 환 자를 추적관찰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갑상선 호르몬의 변 화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지 알 수는 없었다.

그러나 최소한 혈중 지질 농도나 염증인자, homocysteine 에 영향을 미쳐 다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높일 수 있음을 밝 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정상 갑상선 기능을 가진 환자라고 하더라도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증가는 관동맥 죽상경화증의 중증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혈중 지질 농도 뿐 아니라 염증인자나 homocysteine과도 관련이 있었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 상으로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갑상선 호르몬 치료에 대 한 반응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든 협심증 환 자에서 갑상선 호르몬 농도를 적극적으로 측정하여야 할 것 으로 사료된다.

요 약

배경 및 목적

정상 범위의 갑상선 기능을 보이더라도 갑상선 호르몬의 변화가 관동맥 죽상경화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갑상선 질환이 없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갑상선 호르몬이 관동맥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가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흉통으로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받기 위해 입원한 125명의 환자(연령 60.0±11.1세, 남자:여자=84:41)를 대상으 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입원시 임상진단은 안정형 협심 증 40명(32.0%), 불안정형 협심증 67명(53.6%), 급성 심 근경색증이 18명(14.4%) 이었다. TSH, free T4, free T3,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LDL 콜레스테롤, Apo A1, Apo B, lipoprotein (a), 단핵구 수, ESR, hsCRP, homocys- teine 등을 측정하여 관동맥 병변의 정도와 비교하였다.

결 과

관동맥 조영술에서 유의한 협착이 없었던 환자는 41명 (32.8%), 단일혈관질환 47명(37.6%), 두혈관질환 26명 (20.8%), 세혈관질환 11명(8.8%) 이었다. 갑상선 호르몬은 TSH가 다혈관질환일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6). 혈중 TSH 농도 1.0 uIU/mL 를 기준으로 환자군을 분류했을 때 TSH가 높은 환자들에서 한 혈관 이상 관동맥 질환이 있는 경우가 많았고(57.7% vs.

82.2%, p=0.004), 다혈관질환인 경우가 많았다(23.1% vs.

40.0%, p=0.038). TSH 농도는 단핵구수(r=0.251, p=

0.005), hsCRP(r=0.208, p=0.023), homocysteine(r=

0.279, p=0.002)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관동맥 질 환의 존재를 예측하는 독립적인 인자로는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Apo A1, Apo B 농도였으며(각각 p=0.034, 0.005, 0.022, 0.025),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는 예측인자가 되지 못하였다.

결 론

한국인에서 정상 갑상선 기능을 가진 환자라고 하더라도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증가는 관동맥 죽상경화증의 중증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혈중 지질 농도 뿐 아니라 염증인자나 homocysteine과도 관련이 있다.

중심 단어:갑상선;관동맥 질환;동맥경화증.

REFERENCES

1) Toss H, Lindahl B, Siegbahn A, Wallentin L. Prognostic influence

of increased fibrinogen and C-reactive protein levels in unstable

(6)

coro-nary artery disease. Circulation 1997;96:4204-10.

2) Anderson JL, Carlquist JF, Muhlestein JB, Horne BD, Elmer SP. Evaluation of C-reactive protein, an inflammatory marker, and infectious serology as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nd myocardial infarction. J Am Coll Cardiol 1998;32:35-41.

3) Lee SH, Kim JY, Lee HH, et al. The severity of extent of coro- nary atherosclerosis related to plasma homocysteine. Korean Circ J 2000;30: 31-8.

4) Kim KH, Jeong MH, Shin JH, et al. The role of chronic infection and inflammation in Korea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 sease. Korean Circ J 2000;30: 1107-24.

5) Park OY, Jeong MH, Kang KT, et al.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homocysteine in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Circ J 2000;30:1357-65.

6) Kim TI, Chae SC, Yang DH, et al. Short-term prognostic value of CRP in th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Korean Circ J 2000;30:1387-94.

7) Kim SG, Kim YD, Kim SG, et al. Plasma homocysteine concen- tration and genotype variation of enzyme as risk factors in pa- 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Circ J 2001;31:757-66.

8) Biondi B, Palmieri EA, Lombardi G, Fazio S. Effects of subcli- nical thyroid dysfunction on the heart. Ann Intern Med 2002;

137:904-14.

9) Klein I, Ojamaa K. Thyroid hormone and cardiovascular system.

N Engl J Med 2001;344:501-9.

10) Hak AE, Pols HA, Visser TJ, Drexhage HA, Hofman A, Witte- man JC. Subclinical hypothyroidism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therosclerosis and myocardial infarction in elderly women.

Ann Intern Med 2000;132:270-8.

11) Duntas LH, Mantzou E, Koutras DA. Circulating levels of oxi- dized low-density lipoprotein in overt and mild hypothyroidism.

Thyroid 2002;12:1003-7.

12) Cappola AR, Ladenson PW. Hypothyroidism and atherosclerosis.

J Clin Endocrinol Metab 2003;88:2438-44.

13) Tieche M, Lupi GA, Gutzwiller F, Grob PJ, Studer H, Burgi H.

Borderline low thyroid function and thyroid autoimmunity: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Br Heart J 1981;46:202-6.

14) Dean JW, Fowler PB. Exaggerated responsiveness to thyrotrophin releasing hormone: a risk factor in wo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Br Med J 1985;290:1555-61.

15) Powell J, Zadeh JA, Carter G, Greenhalgh RM, Fowler PB.

Raised serum thyrotrophin in women with peripheral arterial disease. Br J Surg 1987;74:1139-41.

16) Heinonen OP, Gordin A, Aho K, Punsar S, Pyorala K, Puro K.

Symptomless autoimmune thyroiditis in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1972;1:785-6.

17) Nagasaki T, Inaba M, Henmi Y, et al. Decrease in carotid in- tima-media thickness in hypothyroid patients after normalization

of thyroid function. Clin Endocrinol 2003;59:607-12.

18) Volzke H, Robinson DM, Schminke U, et al. Thyroid function and carotid wall thickness.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

2145-9.

19) Jung CH, Sung KC, Shin HS, et al. Thyroid dysfunction and their relation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lipid profile, hsCRP, waist hip ratio in Korea. Korean J Med 2002;63:273-82.

20) Ganotakis ES, Mandalaki K, Tampakaki M, et al. Subclinical hypothyroidism and lipid abnormalities in older women attending a vascular disease prevention clinic: effect of thyroid replacement therapy. Angiology 2003;54:569-76.

21) Monzani F, Caraccio N, Kozakowa M, et al. Effect of levothyro- xine replacement on lipid profile and intima-media thickness in subclinical hypothyroidism: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2099-106.

22) Jeong WJ, Kim YS, Park BH, et al.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hypercholesterolemic adults and influence of serum TSH on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Korean J Med 2002;62:187-93.

23) Papaioannou GI, Lagasse M, Mather JF, Thopson PD. Treating hypothyroidism improves endothelial function. Metabolism 2004;

53:278-9.

24) Nagasaki T, Inaba M, Henmi Y, et al. Change in von Willebrand factor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hypothyroid patients with normal thyroid function after levothyroxine replacement therapy. Eur J Endocrinol 2004;150:125-31.

25) Erem C, Kavgaci H, Ersoz H, et al. Blood coagulation and fi- brinolytic activity in hypothyroidism. Int J Clin Pract 2003;57:

78-81.

26) Canturk Z, Cetinarslan B, Tarkun I, Canturk NZ, Ozden M, Du- man C. Hemostatic system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 sease in women with subclinical hypothyroidism. Thyroid 2003;

13:971-7.

27) Jublanc C, Bruckert E, Giral P, et al. Relationship of circulating C-reactive protein levels to thyroid status and cardiovascular risk in hyperlipidemic euthyroid subjects: low free thyroxine is associated with elevated hsCRP. Atherosclerosis 2004;172:7-11.

28) Christ-Crain M, Meier C, Guglielmetti M, et al. Elevated C-reac- tive protein and homocysteine value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ypothyroidism?: a cross-sectional and a double-blind, place- bo-controlled trial. Atherosclerosis 2003;166:379-86.

29) Suh JY, Lee WY, Park JS, Kim SW. Plasma CRP, apolipoprotein A-1, apolipoprotein B and Lp ( a ) according to thyroid function status. Korean J Med 2003;64:388-95.

30) Auer J, Berent R, Weber T, Lassnig E, Eber B. Thyroid function

is associated with presence and severity of coronary atheroscle-

rosis. Clin Cardiol 2003;26:569-73.

수치

Table 1.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verity of coronary atherosclerosis
Table 3. Relationship between thyroid hormone levels and la- la-boratory parameters by Pearson correlation

참조

관련 문서

Whether to be or not the effect of tacrolimus has been examined in two ways : one is comparing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C-reactive protein (CRP) before

82 year-old female patient with traffic accident, (A,B,C) Initial x-rays show open fracture of left distal femur(AO 33-C3, Gustilo-Anderson II) with patella

저탄소원의 전력 생산량을 기존 탄소중립 공표안보다 확대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재생 에너지, 원자력 활용과 수소 생산 확대를 언급함.. ■ 보고서에서는 2050

Increased immunolocalization was observed in the stratum lacunosum-moleculare (black arrows in B and C) and in stratum pyramidale (white arrows in G and

부산항 그린 모니터링 시스템 부산항 관광정보 시스템 부산항 e-Marketplace 시스템 부산항 배후물류부지 지원시스템.

pottery, tableware, cookware, building materials, aerospace materials, to nuclear materials (e.g., UO 2 pellets, waste forms, etc.)... A’ a’ B’ b’ C’

qRT-PCR for VSMC synthetic phenotype protein, cellular retinol binding protein 1(CRBP-1) and connexin 43, from thoratic aorta showed that CRBP-1 expression was increased by 70%

 Effects of salt on hydrate-containing phase equilibria were experimentally determined for H-Lw equilibria and predicted for three-phase ( H-I-V C2H6 , H-L W -V C2H6 , H-L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