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특별기획(Ⅳ)] 안전수준 평가 시스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특별기획(Ⅳ)] 안전수준 평가 시스템"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론

화재 폭발 독성물질 누출에 의한 중대산업사고 (Major Industrial Accident)의 발생위험이 높은 가 스산업 및 취급업체들의 대부분은 설계를 포함한 기

술적인 요소들과 관리적인 요소들을 위주로 안전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생산과 취급상의 물리 적인 요소들과 이를 통제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사 내 절차와 각종 문서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평가할 뿐 발의 중요성과 더불어 재난로봇의 실질적인 활용도

검증을 위한 표준 테스트베드 구축도 요구되고 있다.

재난 현장이 아닌 일반 공간에서도 제자리를 찾아 돌 아오지 못하는 사례가 기존 로봇의 운용에서 많이 발 견되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911사태 발생시 로봇 활 용의 실패이후 테스트베드에서의 검증 노력이 핵심을 이루고 있다. NIST가 FEMA와의 협력으로 Disaster City, Texas에 구축한 재난로봇 표준시험환경을 참고

로, 한국형 표준 테스트베드 개발 및 구축도 본 재난 대응로봇 연구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 및 실용화와 관 련해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이다.

향후 발전을 위한 제언: e-Science의 접목 최근 들어 IT 기술의 접목을 통한 모니터링 및 위 기대응 연구가 국내·외에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소방방재청에서도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로봇이외에 도 현장의 정보수집을 위한 USN 및 이동로봇개발사 업을 지원중에 있는데, 정확도와 해결가능한 문제의 규모에서 기존 차원을 뛰어 넘는 피해전파시뮬레이션 의 연구 및 개발은 성능기반설계(PBD), 관련 교육 및 대규모의 사고현장대응을 위해서도 개발 및 지원 이 꼭 필요한 부분이다. 그동안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 어왔던, 사고로 인한 화재의 수치해석적 시뮬레이션 및 피해예측을 위한 발전된 tool을 개발해 네트워크와 컴 퓨터의 성능을 최대로 활용하는 그리드기반위에서 관 련 연구자들이 쉽게 활용 가능한 e-Science 환경으로 구축하면, 외국의 유사 사례에서도 확인되듯이, 우리 주위와 산업현장에서 사고와 연관된 위험(risk)과 안전 (safety) 문제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 관리하는데 개발된 도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될 전문지식들의 공유 와 아울러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안전수준 평가 시스템

백 종 배

충주대학교 안전공학과, jbbaek@cjnu.ac.kr

그림 7. 로봇 기반의 이동식 센서와 고정식 센서를 이용한

누출원 tracking.

(2)

대상사업장이 실제로 안전보건목표달성을 위해 얼마 나 노력하고 있으며 경영자와 관리자를 포함한 전 직 원들의 안전의식이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안전보건의 특성상 사업장에서 경영자를 비롯 한 전 직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 지만, 이를 측정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론적 접근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경영자와 관리자들 은 근로자들에게 지나치게 생산성에 치중한 작업을 하도록 요구하고 근로자 개개인들도 작업에 대한 지 식이나 잠재된 위험요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실 수를 유발함으로써 중대사고발생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나타나고 있다. 사고발생의 중요한 원인이 되 는 불안전한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접근방법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관련자들의 안전 의식 및 가스안전에 대한 노력정도를 측정하는 안전 문화 측정방법 및 도구의 개발 적용을 통해 사전지표 를 만들어 과거의 전통적인 안전관리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시설에 대한 안전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많은 선진외국에서는 안전문화 측정 방법들은 개발하 여 적용하고 있다. ETI 연구과제의 이 세부과제에서 주로 검토한 영국의 안전문화측정 도구에 대해 안전 문화의 개념과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안전문화

가스를 생산하거나 취급하고 있는 사업장은 가스가 갖고 있는 잠재위험 때문에 항상 중대사고의 발생위 험이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위험산업의 안전수준은 해당 경영자의 의사결정과 조치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안전관리가 효과적으로 수행되기 위 해서 안전문화는 사업장의 믿음과 가치의 핵심부분이 되어야 하며 일상적인 모든 활동에 흡수되어야 한다.

안전문화의 뿌리는 해당 사업장의 방침(Policy)과 관련된 모든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Johnson &

Johnson사의 경우, 회사의 사명(Mission)과 철학

(Philosophy)에 근로자들과 인근 주민들의 안전과 관 련된 회사의 관점을 명확하게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안전지침서와 교육훈련을 통해 해당 내용을 구체적으 로 보완하여 안전관리를 위한 기준으로써 제공하고 있다.

영국의 안전보건청(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에서는 이러한 안전문화(Safety Culture) 와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의 특성을 파악하고 안전문화와 안전성과의 연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1998년 이후에 발표된 80여권의 안전문화관련 연구문 헌들을 정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결과물을 제시하고 있다.

①‘문화’는 조직 내에서 조직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유된 가치를 설명하는 개념이 다. ‘안전문화(Safety Culture)’는 조직문화의 한 부분으로써 안전보건성과에 대해 조직원의 태도와 믿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며‘안전분위 기(Safety Climate)’는 근로자의 태도와 인식 에서부터 구별되는 안전문화의 현재상태를 의미 한다.

② 조직의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핵심이 되는 영향 력은 경영자에게 있으며 관리계층별로 서로 다 른 방법으로 안전보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③ 하부문화(Subculture)는 일관된 안전문화정착 을 방해하며 동일한 조직 내에서도 근로자들이 서로 다른 작업조건을 경험할 때 발생하기 쉬우 며 근로자들이 작업하는 방식에 따라 위험을 보 는 시각도 다르게 된다.

④ 생산목표 달성과 집단별 성과에 대해 제공되는 금전적인 보너스는 안전문화 정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 서 사업장 내에서 어떻게 개개인의 안전의식을 향상 시키는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하는데 기본체계는 [그림 1]과 같다.

(3)

안전문화 측정도구 사례

안전문화측정도구 개발에 가장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곳은 영국의 HSE(안전보건청)로서 1990 년대 중반부터 학계 및 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아래와 같은 안전문화측정도구들을 개발하여 배포하 고 있다. HSE에서 개발한 안전문화 측정도구들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1) HSCST(Health and Safety Climate Survey Tool) 영국 HSE에서 1997년 12월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안전문화측정도구로서 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은 일 반도구이며 2001년 1월 현재 500여개의 업체에서 사 용하고 있으며, 각 기업체에서 안전보건의 핵심적인 측면에 대한 조직원들의 관점을 파악하여 안전보건에 대한 조직원의 참여를 향상시킴으로써 안전보건을 향 상시키고 우수한 부분과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 하고 시간에 따른 안전보건문화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작성자에 대한 일반정보(개 인정보, 업무내용)를 제외하고 총 10개의 평가항목에 71개의 질문사항이 있으며 각 항목 당 수준에 따라 1 점(Strongly disagree)∼5점(Strongly agree)을 부여 하는 Likert형 5점 척도로 평가한다.

2) OSQ(Offshore Safety Questionnaire)

1994년도에 해양원유가스산업(Offshore oil & gas

industry)에 국한하여 개발했던‘Offshore Risk Perception Questionnaire’를 1996년에 Aberdeen University에서 보완하여 육상의 가스산업이나 발전 소까지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한 안전문화측정도구 이다. 이 도구는 사업장의 안전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우수한 부분과 취약한 부분을 강조하 고, 인간과 조직차원의 요소들에 대한 중요성을 집중 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가스산업의 위험성에 대한 인 식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정기적으로 평가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른 안전문화향상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도구는 153개의 질문사항과 12개의 일반정 보, 11개의 개인별 사고경험조사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3) OSCQ(Offshore Safety Climate Questionnaire) 영국의 Aberdeen University에서 해양원유가스산 업을 대상으로‘safety benchmarking programme’

수행을 위해 개발한 도구로서 이 도구를 이용업체가 기존의 OSQ(Offshore Safety Questionnaire) 이용 업체 중 가장 우수한 사례에 속한 우수업체의 안전문 화수준과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문화수준 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도구는 업무 형태와 사고경험 등의 10개의 일반정보 이외에 80개 의 질문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점 척도와 5점 척 도를 기준으로 작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림 1. 안전문화의 체계도.

(4)

4) CSCQ(Computerized Safety Climate Questionnaire) 영국의 Robert Gordon University에서 해양원유가 스산업에서의 교육훈련을 위해 개발해 무료로 제공하 고 있는 측정도구로서 Likert형 5점척도로 평가되는 49개의 질문사항으로 구성되었다.

5) LSCAT(Loughborough University Safety Climate Assessment Toolkit)

영국의 Loughborough University에서 해양원유가 스산업을 대상으로 개발하여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LSCAT는 43개의 질문항목으로 구 성되어 있고 각 질문에 대해 5점척도 상에서 평가를 하게 되어 있다.

6) QSCQ(Quest Safety Climate Questionnaire) 영국의 Quest Evaluations and Databases Ltd.에서 개발한 도구로서 초기에는 해양원유가스산업에서의 교육훈련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수정판은 전반적인 업 종에서 사용할 수 있다. QSCQ는 12가지 분류에 319개 의 질문항목이 있으며 각 질문에 대해서 7점척도 상에 서 평가하도록 되어 있으며 1999년 현재 영국의 5개 업체와 미국의 3개 업체에서 이 도구를 사용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6가지의 측정도구들은 주요 세부항 목, 일반정보 항목, 사고이력 항목별로 세부항목의 수 에 차이가 있으며 각 항목종류별 세부항목 수는 [표 1]과 같다.

안전문화 측정사례 및 시행효과 조사

영국의 안전보건청(HSE; Health and Safety Executive)에서는 2001년에 안전보건관련 전문조사 연구기관인 영국의 Keil Centre에 위탁하여 1997년 12월부터 배포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HSCST(Health and Safety Climate Survey Tool)의 사용상의 효율 성 및 효과성을 조사함으로써 HSCST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eil Centre에서는 3단계로 조사를 수행 하였다. 조사연구결과 전체 응답자의 97%가 HSCST 의 사용에 있어서 만족하고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그 답변 주요내용은 사업장의 현재의 안전문화수준을 개 괄적으로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것으로 현재의 안전보건협의(arrangement)의 긍정적인 측 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파악하는 것과 안전보건관리시 스템 개선을 위한 가능성(opportunity)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었다. 사업장 내 안전보건목록 (profile)을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도구로서 안전보건 문제에 있어 근로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기초가 되고 현 안전보건규정 및 절차서 상의 문제점을 파악 할 수 있고 제대로 준수되고 있지 않은 부분을 파악할 수 있는 등 사업장 내 근로자 참여와 안전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결론

앞에서 검토한 HSCST 등 6가지의 안전문화 측정 도구들은 모두 외부의 감사나 감독기관의 평가를 목 적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개별 사업장에서 자체적 으로 활용하도록 개발된 도구들이다. 그러나 사업장 의 안전에 대한 몰입 및 지원수준, 신뢰문화, 책임의식 등의 전문화요소들을 측정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 은 동일하기 때문에 가스관련 사업장의 평가에 적용 하기 위한 목적이라도 측정항목 상에는 별 차이가 없 을 것으로 판단된다. ETI 연구과제의 세부연구에서는 HSCST 등 6가지 안전문화 측정도구들을 검토한 결 과 측정항목의 범위,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의 개발추

HSCST 72 9 0 81

OSQ 153 12 11 176

OSCQ 80 10 0 90

CSCQ 49 10 3 62

LSCAT 44 3 0 47

QSCQ 319 1 0 320

계 717 45 14 776

표 1. 측정도구항목종류별 세부항목 수 (단위: 개)

측정도구 주요 일반정보 사고이력

항목 수 항목 수 항목 수 계

(5)

세, 점수화 측면 등 다음의 3가지의 특성을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첫째, HSCST 등 6가지의 안전문화 측정도구들의 측정항목을 살펴보면 다소 추상적일 수 있는 가스안 전문화 측정항목들을 개발할 때 안전을 위해 자율적 (자발적)으로 행동하고 규정 등의 위반에 대해 공정 하게 대처하는지와 안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압력 이 작용하는지와 안전관련 사항들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 등을 기본적인 측정범위를 고려하였다.

둘째로, 검토한 6가지의 측정도구들은 모두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개발되어 판매 및 보급되고 있었으며 웹(인터넷 또는 인트라넷)과 연동되어 사용할 수 있 도록 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안전문화를 측정하는 경 우, 가장 큰 장점으로는 응답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향후 재측정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개선정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개별 측정항목들에 대해 대부분 5점 척도를 기 준으로 점수화하고 있었다. 이는 질문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정도차이에 따라 답변이 용이하고 또한 최종적으 로 점수화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위의 3가지 특성에 추가해서 영국 안전보건청 (HSE)의 HSCST 사용효과 조사에서 파악된 것과 같이 다양한 안전측면들 중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확 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해당 안전측면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직원들의 생각을 참고함으로써 기 술 및 관리상의 문제점만을 파악하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특성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이를 위해 적합한 안전경영(관리)시스템을 구비하고 안전을 이행하는 이유가 법적 처벌의 회피가 아니라 사고예방을 위해 추진하는 기본적인 경영자와 관리자 들의 전제조건을 행동 및 문화적인 측면을 반영한 안 전문화 측정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참조

관련 문서

- Click the Icon of Record Log Data from Equipment Selection Menu (Log Data Record mode ON – shall be identified Log Data saved or not during on moment of escape

1.. In 2018, the PCI remains a well-received tool for businesses in Vietnam. Specifically, the latest survey collected responses from 10,681 domestic private enterprises,

IAEA Safety Standard General Safety Requirements “Governmental,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for Safety General Safety Requirements Part 1”, October 04,

월강수량 (monthly total) 평년편차 (anomaly from normal) 최근10년평균편차 (anomaly from 10yr mean)..

Stavins, Benefit-Cost Analysis in Environmental, Health, and Safety Regulation,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The Annapolis Center, and Resources for the

본격적인 U-Heal th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진 단할 수 있는 생체계측기술이 필요하다.현재 수준은 당뇨병,고혈압 등 만성질환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호주(AMSA: Australian Maritime Safety Authority)는 Tokyo MOU에 속하여 있지만, 또한 전통적으로 독자적으로 활동하여 왔다... 우수선박으로 지정되면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