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목재의 충해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목재의 충해 -"

Copied!
3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목재의 충해

- 제 4 장 -

■ 목재 가해 곤충의 분류학적 위치

• 新翅類(neoptera)

- 날개를 접을 수 있는 곤충류

• 古翅類(palaeoptera) - 날개를 접을 수 없는 곤충류

• 內翅類(endopterygota) - 유충 기간 중에 翅芽(날개의 原基)가 전혀 외부에 노출되 지 않는 곤충

- 유충과 성충의 형태가 전혀 다름

- 완전변태류

• 外翅類(exopterygota) - 시아가 크게 노출되어 직접 성충으로 변태하는 곤충

(2)

■ 곤충의 생활환(life cycle) • 완전변태

- 알(egg) → 유충(애벌레, larva) → 蛹(번데기, pupa) → 성충(imago, adult) • 불완전변태

- 알(egg) → 약충(nymph) → 성충(imago, adult) - 若蟲: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의 유충 - 대표적 곤충: 흰개미

■ 목재 해충의 분류(육상 해충) • 목재 해충: 육상 해충, 해양 천공충 • 가해 목재의 함수율

가) 생원목 해충(생재 해충)

- 벌채 직후의 고함수율 원목을 가해하는 해충 - 긴나무좀과, 나무좀과, 하늘소과 등

나) 건재 해충

- 함수율이 낮은 건조 목재(제재목, 가공재, 건축재 등)를 가해 - 가루나무좀과

다) 습재해충

- 함수율이 높은 습한 목재(습윤재)를 가해하는 해충 - 흰개미류

(3)

제1절 생재 해충

◇ 벌채 직후의 수피가 붙어 있는 원목을 가해 – 穿孔性 해충 ◇ 피해 장소: 임내 또는 원목 집하장

◇ 생재 해충의 종류

- 딱정벌레목: 나무좀과(Scolytidae ), 긴나무좀과(Platypotidae ), 하늘소과(Cerambicydae), 비단벌레과(Buprestidae), 바구미과 (Curculionidae)

- 벌목: 송곳벌과(Siricidae) ◇ 식성(食害 部位)에 따른 분류

- 樹皮下性: 수피 밑의 형성층 부위(篩部)만을 식해 - 食材性: 목질부 내부에 침입하여 천공하며 식해 - 養菌性: 재 내부의 천공 벽면에 균을 배양하여 섭취

1. 하늘소과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종도 있음 가. 생태(산란)

◦ 성충이 수피를 뚫고 5~7월경에 수피 밑에 산란 나. 식성: 유충의 가해 부위

① 수피하성: 극히 일부

- 수피 밑(인피부, 내수피, 형성층) 만을 가해 ② 식재성: 대부분

- 인피부, 변재부, 심재부까지 천공하며 식해 후 다시 재 표면을 향해 식해

- 피해가 심각

(4)

다. 종 류

① 미끈이 하늘소(Mallambyx raddei, Chestnut trunk borer) - 참나무 하늘소라고도 함(성충: 34~57mm)

- 형성층, 변재부, 심재부 모두 가해 - 가해 수종: 참나무, 밤나무 등

- 분포: 러시아(ussuri), 중국, 한국, 일본

② 측백 하늘소(Semanotus bifasciatus, Japanes juniper borer) - 형성층과 변재부 만을 가해

- 가해 수종: 향나무, 편백, 측백 등의 쇠약목 ③ 점박이 수염 긴 하늘소(Monochamus sutor) - 형성층, 변재부, 심재부 모두 가해

- 가해 수종: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등 ④ 기타

- 대범 하늘소(대나무), 해송 수염치레 하늘소(소나무)

♀ ♂

미끈이 하늘소

측백 하늘소

♂ ♀

(5)

솔수염하늘소와 재선충

2. 비단벌레과

가. 생태(산란) 및 외관

• 성충이 수피를 뚫고 수피 밑에 산란

• 성충은 금속성의 광택을 갖는 아름다운 딱정벌레 나. 식성

• 부화 유충은 수피 밑과 변재의 일부만 가해 • 피해는 비교적 경미

다. 종류

① 고려비단벌레(Buprestis haemorrhoidalis) - 소나무류의 고사목과 생재에 7~8월에 산란 ② 비단벌레(Chrysochroa fulgidissima)

- 소나무, 젓나무, 벚나무, 팽나무, 버드나무 등을 가해

(6)

고려비단벌레 비단벌레

Agrilus viridis

3. 바구미과

가. 생태(산란) 및 외관

• 성충이 수피를 뚫고 수피 밑에 산란 나. 피해

• 부화 유충은 처음에는 인피부만 가해

• 유충은 성장하며 변재부를 가해하고 심재에 도달하면 연륜을 따라 가해 • 천공 직경이 1cm에 달해 피해가 심함

• 성충 상태로 약 16개월 정도 재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성충에 의한 피해도 심함

다. 종류

① 소나무 노랑바구미(Pissodes nitidus)

- 소나무, 해송, 리기다소나무 등의 쇠약목만 선택적으로 가해 - 유충은 변재부에 불규칙한 천공을 하며 가해

(7)

② 소나무 흰점 바구미(Cryptorhynchus insidiosus)

- 소나무, 해송 등 쇠약목이나 고사 직전의 소나무류를 가해 - 유충은 변재부만을 가해

③ 왕바구미(Sipalus gigas)

- 소나무, 삼나무, 편백, 낙엽송, 참나무, 밤나무, 느릅나무 등을 가해

소나무 흰점바구미

소나무 노랑바구미

4. 송곳벌과 가. 생태(산란)

• 성충이 벌채 직후의 침엽수재 수피 밑에 산란 나. 피해

• 부화 유충은 변재부, 일부는 심재부까지 가해

• 유충이 목조주택 건축 후 6개월~1년 후 성충이 되어 탈출하는 경우도 있음 • 탈출공의 직경: 4~7mm

다. 종류

① 왜송곳벌(Urocerus japonicus) - 소나무, 삼나무, 젓나무

- 산란 시에 Amylostereum laevigatum 속 균을 재 내부로 가지고 들어가 변색을 일으킴

(8)

왜송곳벌

니토베 송곳벌

유충공 성충의 탈출공

♀ ♂

♀ ♂

1cm 1cm

(9)

5. 나무좀과(Scolytidae)

◦ 입목 벌채와 함께 바로 성충이 날아와 가해하기 때문에 긴나무좀과 함께 가장 피해가 심한 생재해충에 한 종류

가. 가해 부위에 의한 분류 1) Bark beetle(樹皮下性) ◦ 수피 내측만을 가해

2) Ambrosia beetle(養菌性 穿孔蟲)

◦ 수컷: 재 내부(변재, 심재)를 穿孔(1~2mm)하여 孔道를 만들고 공도 벽면에 암브로시아 균 포자(저장기관에 저장) 접종 ◦ 암컷: 공도에 산란

◦ 부화 유충: 발아한 균사를 먹이로 섭취하며 생장 ◦ 천공: 암브로시아 균에 의해 흑변

◦ 암브로시아 균: 재 내의 당, 전분 이용

- Graphium spp. Cephalosporium, Ceratostomella 등

나. 특성

◦ 유충은 재를 가해하지 않고 성충이 산란을 위해 가해 ◦ 고함수율 생원목만을 가해(함수율 48% 이상 원목) ◦ 충형변색균

다. 종류 1) Bark beetle

◦ 젓나무좀(Xyleborus ebriosus), 오리나무좀(X. germanus), 타이콘나무좀(Scolytoplatypus tycon), 미카도나무좀(S. mikado) 2)Ambrosia beetle

◦ 삭세스 나무좀(Xyleborus saxeseni)

(10)

오리나무좀 오리나무좀의 성충과 알

삭세스나무좀

6. 긴나무좀과(Platypodidae)

◦ 나무좀과 함께 가장 피해가 심한 생재해충에 한 종류 ◦ 양균성 천공충 – 천공은 모두 黑變(라왕재 흑색의 pin-hole) ◦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분포, 주로 열대산 활엽수재 가해 ◦ 열대산 활엽수재의 변재, 심재에 깊게 천공 – 긴나무좀으로 명명(pin-hole borer)

긴나무좀

(11)

◇ 대부분 딱정벌레목에 속함

◇ 가루나무좀(넓적나무좀), 개나무좀, 빗살수염벌레, 하늘소 ◇ 우리나라: 가루나무좀의 피해가 가장 심함

1. 가루나무좀과(Lyctidae)

◦ 온대, 열대, 아열대, 난방장치가 잘된 한대 지역까지 분포 ◦ 세계적인 건재해충

◦ 원래 : 열대산 목재(특히 라왕재) 가해 해충 ◦ 현재 : 전분량이 많은 온대산 활엽수재도 가해

◦ 우리나라 : 60년대 이후 열대산 목재(남양재)의 사용량 증가와 함께 피해 증가

제2절 건재 해충

가. 생태와 피해 1) 성충

◦ 크기: 6~7mm, 형태 : 길고 편편, 체색: 다갈색 또는 암갈색 (가는 털 밀집)

◦ 5~7월경 가해목재 외부로 탈출(탈출공 직경 2mm) ◦ 탈출 시 탈출공 아래에 백색의 고운 가루 퇴적 – 피해 인식 ◦ 수명 : 약 10일(야간에 활동)

◦ 산란 장소 : 변재부 도관

- 도관 직경 : 0.18mm 이상(알 직경 0.15mm) - 전분량 : 3% 이상(암컷 testing mark로 사전 조사) ◦ 산란 수 : 3~4개/1개소, 한마리 당 평균산란 수: 약 70개

(12)

나. 종 류

◦ (히라다)가루나무좀(Lyctus brunneus) - 전세계의 온대, 아열대에 분포 - 대표적인 건재해충

- 가장 피해가 큼 2) 유 충

◦ 크기 약 4mm, 체색 유백색, 형태 C자형으로 복부쪽으로 구부러져 있음 ◦ 섬유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천공(목재 내부에서만 진행 - 피해 인식 곤란) ◦ 영양원: 변재부 도관의 전분

- 전분 량이 적은 심재 도관, 도관이 없는 침엽수는 가해하지 않음 ◦ 가을에 목재 표면 가까이에서 월동

◦ 익년 봄 孔道 끝에 蛹室을 만들어 蛹化(8~21일간)

◦ 성충 : 목재 표면에 직경 1~2mm의 탈출공을 내고 외부로 탈출 - 심재로도 탈출하기 때문에 유충에 의한 피해로 오인

히라다가루나무좀

(13)

Frass around emergence holes in

flooring Scored surface showing damage

Present prior to cutting timber

히라다가루나무좀의 생활환

(14)

2. 개나무좀과(Bostrychidae) 가. 피해

◦ 목재와 죽제품을 가해, 특히 대나무에 피해가 큼 ◦ 침엽수재, 활엽수재, 심재, 변재 모두 가해 나. 종류

◦ 꼬마대나무개나무좀(Dinoderus minutus) - 일본을 비롯한 온대, 아열대, 열대에 분포 - Bamboo borer, 주로 대나무를 가해 - 우리나라는 미기록 종

3. 빗살수염벌레과(Anobiidae) 가. 피해

◦ 침엽수재, 활엽수재, 심재, 변재 모두 가해 ◦ 가해 속도는 빠르지 않으나 장기간에 걸쳐 가해 ◦ 유럽의 주요 건재 해충: 목제 고미술품, 가구 등을 가해 ◦ 우리나라에서는 미보고 종

나. 종류

◦ Anobium punctatum : common furniture beetle - 목가구를 가해

◦ 저승사자좀(Xestobium rufovillosum) : death watch beetle - 주로 고건축물의 고목재를 가해

◦ 빗살수염벌레(Ptilineurus amrmoratus)

빗살수염벌레

(15)

Anobium punctatum

Xestobium rufovillosum

(16)

4. 하늘소과(Cerambycidae) – Longhorn beetle ◦ 유럽하늘소(Hylotrupes bajulus)

- old house borer

- 침엽수재의 변재를 주로 가해(종종 심재도 가해) - 소나무의 turpentine이 성충의 유인물질로 작용 - 유럽에서 침엽수재 건축물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 - 집성재의 목질부 및 접착층도 가해

(접착제도 食害하는 것으로 추정) - 우리나라는 미보고 해충

◇ 가장 원시적인 곤충, 等翅目(Isoptera) - Iso: 같은, 동등, Ptera: 날개

◇ 1800여종이 열대, 아열대에 분포

◇ 난방시설의 발달, 지구 온난화로 분포지역 북상

◇ 우리나라

- 집흰개미, 일본흰개미: 전역에 분포(춘천지역에서도 발견) - 사찰 등의 문화재에서 흰개미 피해 발생

◇ 개미와 유사: 형태, 사회생활, 계급분화 등 - 개미: 膜翅目(Hymenoptera)

제3절 습재 해충

(17)

구 분 개 미 흰 개 미

○ 일반형태

• 촉 각 L 자형 직선형(염주상)

• 복부(가슴과 배) 잘록 가슴, 배 폭이 동일

• 體 色 황~적갈~흑색 일: 백색

병정: 머리 갈색, 몸 백색 유시충: 갈~흑색

○ 有翅蟲

• 날개의 크기, 모양 앞날개 > 뒷날개 앞날개 = 뒷날개 • 날개의 동작 앞뒤날개 동시동작 4장의 날개 각각 동작

• 생활환 완전변태 불완전변태

표. 개미와 흰개미의 비교

1. 흰개미의 종류(Family)

가. 지하 흰개미(Rhinotermitidae, subterranean termite) ◦ 분포: 열대아시아, 일본, 한국 등 습윤지역

◦ 목재를 섭취하며 땅속에 蟻道를 만들어 목재 건축물을 가해 – 피해가 큼

◦ 흰개미 집: 땅속

Caste in subterranean termites. The

individual in the center with the A winged reproductive

subterranean termite. Subterranean termites construct earthen towers to release winged male and

(18)

나. 건재 흰개미(Kalotermitidae, drywood termite)

◦ 분포 : 열대지방을 중심으로 전세계(1월 기온 10℃ 이상) ◦ 흙과 접촉하지 않고 고사목에 서식

◦ Cryptotermes domesticus

- 건재만을 공격(열대지방: 공포의 해충) - 목제품(목가구), 목조건축물, 고사목 등에 서식

- 배출물의 수분은 직장에서 재흡수되기 때문에 배출물은 건조한 모래형태

Cryptotermes domesticus Glyptotermes sp. Drywood Termite Kalotermitidae

다. 조산 흰개미(Termitidae, mound-builder termite, 나무집 흰개미) ◦ 분포: 아프리카, 남부 아시아

◦ 전체 흰개미의 2/3를 차지(120속 1400여종)

The only native asute termites in the United States are in the genus Tenuirostritermes, found in the South west. In this species, the snouted soldiers (at right and foreground) are smaller than the workers.

(19)

라. 습재 흰개미(Termopsidae, dampwood termite) ◦ 분포(Subfamilies)

- Termopsinae: 인도네시아 북부, 중국과 일본 남부

- Stolotermitinae: 호주 동부, 타스마니아, 음지의 썩은 목재에 서식 - Porotermitinae: 호주 동부, 타스마니아, 남아프리카

A soldier dampwood termite brandishes her A worker dampwood termite.

(20)

마 Mastotermitidae ◦ 분포: 호주의 열대지방 ◦ 1개 집단 개체수: 100만 이상 ◦ 흰개미 집: 흙속의 목재

바 Hodotermitidae(harvester termite) ◦ 분포: 아프리카, 중동 등 건조지역

사. Serritermitidae

◦ Serritermes serrifer 1종만 분포

2. 흰개미의 생태와 피해

가. 분화된 계급생활

◦ 일흰개미: 유백색, 3.5~5mm, 노동

◦ 병정흰개미: 몸-유백색, 머리-적갈색, 3.5~6mm, 질서유지 ◦ 왕, 여왕흰개미: 생식

◦ 유시충 : 날개가 있으며 흑색, 4.5~7.5mm, 분가하여 날개를 잃고 왕과 여왕흰개미로 분화

◦ 1개 집단의 구성비율

- 일흰개미 약 84%, 병정흰개미 약 2%, 약충 9%, 알 5%

(21)

나. 생활사

◦ 알 → 약충 → 성숙 약충 일흰개미 병정흰개미 생식충

부생식충(알에서 직접 부화하는 경우도 있음) ◦ 생식충 → 암수 유시충 → 공중에서 교미(4~5월, 오전에 群舞) → 날개 탈락 → 여왕흰개미, 왕흰개미 → 알

◦ 부생식충: 생식충이 죽거나 제거된 경우 알 생산 ◦ 여왕흰개미

- 항상 왕흰개미와 생활(정액 축적 능력 無)

<개미, 꿀벌 암컷: 1회 교미로 정액 축적 능력 有>

- 幼弱호르몬 분비: 병정흰개미의 분화 억제

(흰개미 집단: 미성숙 개체의 집단) (분화)

(22)

다. 먹이와 소화

◦ 먹이: 대부분 목재(식물체) ◦ 목재의 소화

- 장내에 공생하는 섬유소 분해 원생동물과 세균의 도움 - 원생동물, 세균

• 다당류(C, HC)는 분해하나 리그닌 분해능력은 불확실(리그닌 배설) - 원생동물: Trychonympha agilis, Teratomympha mirabrlis,

Pyrsonympha grandis, P. modesta,

Dinenympha exilis, D. rugosa, D. nobilis 등 - 세균: Bicillus, Achromobacter 등

Figure 1: Rs-D17, a gut microbe isolated from the termite species Reticulitermes speratus (top left). Within the gut (top right) of the termite is a thriving ecosystem of microbial species (lower left). The Rs-D17 bacterium can be seen leaking out of a gut protist cell in

(23)

라. 피 해

◦ 침엽수 > 활엽수, 변재 > 심재, 조재 > 만재 ◦ 특히 소나무에서 피해가 큼

◦ 지하 흰개미(Rhinotermitidae, subterranean termite) - 일본흰개미: 수분 운반능력이 없어 습한 목재만 가해 - 집흰개미: 수분 운반능력이 있어 건조 목재도 가해

3.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흰개미

가. 집흰개미(Coptotermes formosanus, Formosan subterranean termite )

◦ 지하흰개미(Rhinotermitidae, Subterranean termite) ◦ 대만(타이완) 흰개미라고도 함

◦ 피해가 심함 – 공포의 흰개미(미국 하와이: 목조주택을 3주만에 붕괴) ◦ 수분 운반능력이 있어 건조 목재도 가해

◦ (일본)흰개미보다 약간 크기가 크며, 흰개미 집은 지하(땅속)

◦ 분포: 대만, 중국, 오키나와, 일본 남부 등 1월 평균기온 4℃, 최저 기온 0℃ 이상 지역

◦ 여왕흰개미의 산란수: 1000개/1일

(24)

Supplementary reproductives

집흰개미(Coptotermes formosanus)

나. (일본)흰개미(Reticultitermes speratus)

◦ 지하흰개미(Rhinotermitidae, Subterranean termite) ◦ 건조에 약하며 수분 운반능력이 없어 습윤 목재만 가해 ◦ 흰개미 집: 가해 목재

◦ 목조 건축물 가해 ◦ 조재부만 가해

(25)

The primary king and queen start the colony after their mating flight.

Reticultitermes speratus

구 분 집흰개미 일본흰개미

병정 개미

◦ 몸길이: 4.5~6.5mm

◦ 머리: 담황색, 계란형, 몸길이의 1/3 이하

◦ 턱 접촉: 백색의 산성점액 분비 - 방어물질

◦ 몸길이: 3.5~6mm

◦ 머리: 담갈색, 타원형, 몸길이의 1/2 이하

◦ 턱 접촉: 방어물질 분비하지 않 음

유시충

◦ 몸길이: 7.4~9.4mm

◦ 몸 황갈색, 머리 암갈색

◦ 6~7월 저녁이나 밤에 群飛, 走 光性

◦ 몸길이: 4.5~7.5mm

◦ 몸 흑색, 가슴 황갈색

◦ 4월 하순~5월 상순, 비개인 오 후 군비, 非走光性

집 단 ◦ 대집단으로 정착

◦ 여왕, 왕 이동하지 않음

◦ 1개 집단: 수십만~수백만 마리

◦ 소집단으로 분산 이동

◦ 여왕, 왕 함께 이동

◦ 수만~최대 50만 마리 집(巢) ◦ 대부분 地中 ◦ 가해 장소(목재)

표. 집흰개미와 일본흰개미의 비교

(26)

구 분 집흰개미 일본흰개미 좋아하는

토질 ◦ 점토분이 많은 사질토 ◦ 점토분이 많은 식질토 가해정도

및 범위 ◦ 가해속도가 빠르고 심함

◦ 주택 2층까지 가해 ◦ 가해속도가 느리고 경미

◦ 지상에서 1m정도 가 해 목 재 ◦ 습윤재, 건조재 모두 가해

◦ 신선한 목재 ◦ 습윤상태의 부후가 진행되고

있는 목재 선호 가 해

흔 적 ◦ 변재, 심재 모두 가해

◦ 청결하며 피해는 전체적 ◦ 변재만 가해

◦ 불결하며 국부적

분 포 ◦ 일본, 대만, 중국 남부 등 난대,

아열대 ◦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의 온대

지역 표. 계 속

Mud tubes of termite

(27)

Mud tubes of termite

(28)

제4절 해양 천공충(Marine borers)

◦ 주요 해양 천공충

- 배먹이 벌레(Teredo), 바다나무좀(Limnoria)

◦ 주요 피해 대상: 목선 밑바닥, 防舷材, 저목재, 棧橋 등 ◦ 목재 보존의 역사: 해양에서의 목재열화 방제와 밀접한 관계 - 철제 선박 등장하기 전(18C): 목선 → 해양 천공충 피해 방지에 주력

◦ 미국 뉴욕시: 해양 천공충 방제에 매년 1억 달러 사용 ◦ 우리나라: 연구 미약

(29)

1. 배먹이 벌레(Teredo)

◦ 목선천공충류 ◦ 분류학적

- 연체동물문(Mollusca), 부족강(Pelecypoda), 무판목(Adesmacea), 배먹이벌레과(Teredinidae)

◦ 조개와 같이 2매 패의 일종, 영문명 Shipworm ◦ 종류

- Teredo(배먹이벌레, Teredo navalis) - Bankia(왕배먹이벌레, Bankia setacea)

가. 생 태 ◦ 전세계에 분포

◦ 우리나라는 주로 수온이 따뜻한 남부해안에 분포 ◦ 성충: 선단에 貝殼(shell pairs)이 있으며 6~7월 경에 산란 1) Teredo

• 해수의 염도, 온도, 산소 농도에 대한 내성이 큼 • 염분농도: 0.35~0.09%에서도 생존

• 온도가 높을 때 활동이 왕성

• 수심 200m 이하에서는 서식하지 않음 • 성충의 길이: 30~40cm

2) Bankia

• 해수 염분 농도 2% 이상에서만 생존

(30)

나. 먹이

◦ 해수 중의 미생물: 플랑크톤, 규조류, 부유 조류 등 ◦ 목재 가해 이유: 서식처로 이용, 영양원 섭취 ◦ 영양원 섭취: 장내 섬유소 분해효소로 분해, 이용 → 섬유소 분해방법: 연구 진행 중 다. 피해

◦ 부화 幼蟲(幼貝): 해수 중을 부유하다 목재에 부착, 천공, 침입 ◦ 천공(침입 공): 직경 1mm 내외 → 피해 탐지 곤란

- 최대 직경: 7~10mm(孔道의 벽면: 석회질로 피복) ◦ 성충: 흡수관과 방출관을 가지고 있음

- 먹이 섭취, 배설, 산란

- 일생을 가해 목재 내에서 생활 → 피해가 큼 ◦ 주요 가해 수종

- 너도밤나무, 참나무, 소나무 등

배먹이 벌레의 생활환

(31)

Teredo navalis

Bankia carinata

(32)

A piece of driftwood at Acadia Beach, Vancouver, May 2006

배먹이 벌레 피해목

(33)

2. 바다나무좀(Limnoria, Gribble)

◦ 나무좀가재류

◦ 분류학적: 절지동물문(Arthropoda) 갑각강(Crustacea), 갑각류 ◦ 형태: 갯가재와 비슷, 몸길이 약 4mm

가. 생태

◦ 배먹이벌레나 기타 해양 미생물과 공생 ◦ 환경 적응력이 뛰어남

- 배먹이벌레가 서식할 수 없는 한랭해수 중에도 서식 - 연평균 해수 수온 20℃ 이상되면 사멸

◦ 오염된 해수에서는 서식하지 않음

◦ 우리나라: 전 해역에 분포, 분류학적 연구도 안되고 있음

나. 먹이 ◦ 목재

다. 피해

◦ 목재 표면에 약 2mm 정도 천공하여 목재 내부에서 생활 → 재표면으로부터 얕고 길게 천공

◦ 피해부위: 스폰지상(해면상)으로 변화 → 파도에 의해 기계적 마모 → 피해부위만 움푹 파인 형태로 변화

◦ 해안가의 나무기둥, 잔교(棧橋) 등에서 피해목재 쉽게 관찰 ◦ 가해 수종: 침엽수 > 활엽수

◦ 목재 방충, 방부제에 대한 내성이 강

- 크레오소오트유, CCA 처리 목재에서도 피해 발생

(34)

바다나무좀 외형

목재 내부의 바다나무좀 성충

(35)

바다나무좀 피해 목재

바다나무좀과 배먹이벌레 피해 목재

(36)

잔교의 바다나무좀 피해

잔교의 바다나무좀 피해

(37)

참조

관련 문서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Basic aspects of AUTOSAR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Safety mechanisms supported by AUTOSAR.. Technical safety concepts supported by AUTOSAR Relationship to ISO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republican ideal of turning citizens who are members of a political community into soldiers who are willing to take up arms

– even if task phase never make critical instant – execution times are smaller than the given values – inter-release time is longer than the given

In 1396, a wall with four main gates and four smaller gates was constructed to keep the city safe from invaders.. Although two of the gates are now gone, many sections of

However, the output effect from   is smaller than the same effect from  . This is the ratio of expenditure on the dirty input to the revenue from selling the output, and

▣ As frequency increases, the current in a solid cylindrical conductor tends to crowd toward the conductor surface, with smaller current density at the conductor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