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mparative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Quadriceps Tendon-bone Versus Bone-patellar Tendon-bon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mparative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Quadriceps Tendon-bone Versus Bone-patellar Tendon-bone"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퇴사두건-슬개골과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경희수・인주철・노정호・박성기

= 국문 초록=

목적: 골-슬개건-골과 대퇴사두건-골을 이용한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사두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 3 3례를 대상(제 1군)으로 하였다. 대조군(제 2군)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 3 3례를 대상으로 하였 다. 평균 나이는 제 1군은 2 7 . 9세, 제 2군은 2 3 . 5세, 평균 추시 기간은 제 1군은 2 0 . 8개월, 제 2군은 2 1 . 8 개월이었다. 두 군의 조건을 거의 비슷한 증례와 수술방법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제1군의 경우 경골 부위의 골-건 고정의 연부조직 고정으로 인하여 골-골 고정의 제2군의 경우보다 재활을 약간 늦게 시행하였다. 수술 후의 평가는 관절운동범위, 전방슬관절 통증, Lachman 검사, KT-2000 관절계 검사, Lysholm 점수, IKDC 평가법, 근력 측정으로 one-leg hop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 다(p<0.05).

결과: 관절 운동범위 및 Lachman 검사는 양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 전방 슬관절 동통은 제 1군은 3례 (9%), 제 2군은 5례( 1 5 . 1 % )로 제 2군에서 빈도가 높았다(p<0.05). KT-2000 관절계로 측정한 최대 전방 전위 변화 및 Lysholm 점수 두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IKDC의 평가기준에 의하면 제 1 군에서 grade A 30.3%, grade B 57.6%, grade C 12.1% 이었으며, grade A 및 B는 8 7 . 9 %이었으 며, 제 2군의 경우 grade A 24.3%, grade B 63.6%, grade C 12.1% 이었으며, grade A 및 B는 87.9% 로 양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One-leg hop 검사를 이용한 대퇴사두근력은 수술 후 최종 추시 결과 반대 측에 비하여 제 1군에서 평균 78%, 제 2군에서 평균 8 0 %로 두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 . 0 5 ) .

결론: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대퇴사두건-골을 이용함으로써 전방 슬관절 동통을 줄이면서 골-슬 개건-골을 이용한 경우와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색인 단어: 대퇴사두건, 슬개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Volume 15, Number 2, December 2003

Corresponding Author: Hee-Soo Kyung,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50 Samduk 2-ga, Jung-gu, Daegu,700-721,Korea

Tel : 053-420-5636, Fax : 053-422-6605, E-mail : hskyung@knu.ac.kr

서 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이식건으로 gold stan- d a r d로 되어 있는 골-슬개건-골을 이용할 경우 전방

슬관절 동통 및 슬관절 굴곡 자세( k n e e l i n g )를 취할 경우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4 , 1 0 , 1 1 ). 그래서 다 른 여러 가지 이식건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슬괵 건, 동종건, 대퇴사두건-골 등 이중에서 대퇴사두건- 골은 이식건으로서 생역학적으로 보고가 있으나 임상

(2)

적 보고가 적은편이다4 , 1 2 , 1 7 - 2 1 ).

이에 저자들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군과 대퇴사 두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 0 0 1년 3월부터 2 0 0 2년 5월까지 본원에서 대퇴사 두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 3 3례를 대상(제 1군)으로 하였다. 대조군 (제 2군)은 비슷한 시기에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전 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 중 무작위로 비슷한 나이의 3 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1군은 대퇴사두건의 약 길이 6~7 cm, 폭 1 0 m m의 부분과 슬개골이 부착된 이식건을, 제 2군은 중간 1/3 부위 10 mm의 슬개건을 이용하였다. 평 균 나이는 제 1군은 2 7 . 9세( 1 7 ~ 4 3세), 제 2군은 2 3 . 5세( 2 0 ~ 2 9세)이었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제 1 군은 2 0 . 8개월( 1 2 ~ 2 6개월), 제 2군은 2 1 . 8개월 ( 1 2 ~ 2 5개월)이었다. 수상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제 1군은 평균 2 2 . 7개월( 1개월~ 1 3년), 제 2군은 평균 1 0개월( 3주~ 8년)이었다. 동반된 손상은 제 1군은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이 1 6례, 외측 반월상 연골 파 열 1 2례, 내측부인대 파열 5례이었으며, 제 2군은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1 0례, 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4례, 내측부인대 파열 4례이었다. 반월상 연골에 대 한 수술은 제 1군은 부분 절제술이 1 7례, 아전절제 술 7례, 전절제술 1례, 반월상 연골 수복술은 3례이 었으며, 제 2군은 부분 절제술 4례, 아전절제술 5 례, 반월상 연골 수복술 5례이었다. 수술 후의 평가 는 관절 운동범위, 전방 슬관절 통증, Lachman 검

사, KT-2000 관절계 검사, Lysholm 점수, IKDC 평가법 그리고 근력 측정으로 one-leg hop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student t-test를 이용 하였다(p<0.05).

수술방법은 제 1군의 대퇴사두건-슬개골의 경우 대 퇴골은 금속 간섭나사, 경골은 post-tie washer s c r e w를 이용하여 고정 후 생체 흡수성 간섭나사를 보 강하였다(Fig. 1, 2). 제 2군의 골-슬개건-골이 경우 대퇴골, 경골 모두 금속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Fig 3, 4). 술후 재활치료는 두군 모두 S h e l b o u r n e

1 5 )의 가속 재활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결 과

평균 관절 운동범위는 양군 모두 수술전후 차이가 없었다. Lachman 검사상 +1 이상인 경우 제 1군에 서 2례(6%), 제 2군은 2례( 6 % )이었다.

전방 슬관절 동통은 제 1군은 3례(9%), 제 2군은 5례( 1 5 . 1 % )로 제 2군에서 빈도가 높았다( p < 0 . 0 5 ) .

FIGURE 1. This shows quadriceps tendon-bone(QT-B) graft after preparation.

FIGURE 2. This shows that quadriceps tendon-bone graft was fixed with an interference screw on femoral tunnel and post-tie washer screw on tibial tunnel.

(3)

KT-2000 관절계로 측정한 최대 전방전위 변화는 제 1군이 술 전 평균 8 . 1±2.2 mm에서 술 후 평균 2 . 4±0.6 mm, 제 2군이 술전 평균 8 . 2±1.5 mm 에서 평균 2 . 2±0.5 mm로 호전되었으며 두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 . 0 5 ) .

Lysholm 점수는 제 1군에서 술 전 평균 4 5±5에 서 평균 9 1 . 2±5점이었으며, 제 2군에서 술 전 평균 5 0±6에서 술 후 평균 9 0 . 5±7로 호전되었으며, 두 군 간에 술 전 및 술 후의 점수는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 . 0 5 ) .

I K D C의 평가기준에 의하면 제 1군에서 정상 (normal)(A) 10례 30.3%, 거의 정상( n e a r l y normal)(B) 19례(57.6%), 비정상( a b n o r m a l ) ( C ) 4례(12.1%) 이었으며, 정상 및 거의 정상은 2 9례 ( 8 7 . 9 % )이었다. 제 2군의 경우 정상( n o r m a l ) ( A ) 8례(24.3%), 거의 정상(nearly normal)(B) 21(63.6%), 비정상(abnormal)(C) 4례( 1 2 . 1 % ) 이었으며, 정상 및 거의 정상은 2 9례(87.9%) 이었 으며 양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One-leg hop(한발 멀리뛰기) 검사를 이용한 대퇴 사두근의 근력은 수술 후 최종 추시 결과 반대 측에 비하여 제 1군에서 평균 7 8±5%, 제 2군에서 평균 8 0±1 0 %로 두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0.05)(Table 1).

합병증으로 대퇴사두건-슬개골 채취 시 수술 중 슬 개골의 골절이 2례 발생하였으나 철사 고정 후 치유 되어 기능에는 영향이 없었다.

고 찰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심한 환자에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대부분 좋은 결과를 보인다. 재건술에 사용 되어지는 자가건으로 슬개건, 슬괵건, 대퇴사두건, 동종건 등이 있으며, 현재 골-슬개건-골이 생역학적 및 생물학적으로 gold standard로 되어 있으나 공 여부에 따른 전방 슬관절 동통, 슬개-대퇴 문제등 공 여부 문제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4 , 1 0 , 1 1 )

. 그래서 이를 해결하고자 다른 이식건들이 사 용되고 있으며 그중 대체물로 대퇴사두건-슬개골을 이용한 보고가 1 9 8 4년 B l a u t h1 )에 의하여 처음 보고 되었다.

대퇴사두건의 해부학적 연구를 보면 1 9 9 6년 Staubli 등1 6 )은 대퇴사두건의 길이가 평균 우측이 8 7 . 0±9.7 mm, 좌측이 8 5 . 2±8.4 mm라고 하였 으며, 상대적인 슬개건의 평균 길이는 우측이 5 6 . 6

±6.8 mm, 좌측이 5 2 . 2±4.8 mm라고 하였다. 대 퇴사두고건의 10 mm 폭의 평균 단면적은 6 4±8 . 4 m m2이고, 슬개건은 3 6 . 8±5.7 mm2라고 하였다.

대퇴사두건이 슬개건보다 더 두껍고, 길며, 폭이 넓 다고 하였다.

생역학적인 연구를 보면, 최대 인장강도는 대퇴사

FIGURE 3. This shows bone-patellar tendon-bone(BPTB) graft after preparation.

FIGURE 4. This shows that bone-patellar tendon-bone graft was fixed with interference screws on femoral and

(4)

두건의 경우 2 , 1 7 3±618N 이고 슬개건은 1 , 9 5 3±

3 2 5 N이라고 하였다1 6 ). 또 다른 보고를 보더라도 대 퇴사두건의 최대 인장 강도는 슬개건의 1 . 3 6배로 더 강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6 ). 그러므로 이와 같은 형태학적, 생역학적 분석으로 보면 대퇴사두건-슬개 골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사용되는 이식건으로 가 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퇴사두건-슬개골을 이용한 재건술 몇몇 보고를 보면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1 , 4 , 5 , 1 7 , 1 8 ). 1992 년 S t a u b l i1 7 )는 대퇴사두고건-슬개골을 이용한 관절 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만족할 결과를 보고 하 였으며, 1995년 F u l k e r s o n과 L a n g l a n d5 )는 전방십 자인대 재건술의 이식건의 대용으로 대퇴사두건-슬개 골이 좋다고 하였다. 1999년 Chen 등4 )은 1 2명의 환자에서 1 0명이 술전 운동 수준 또는 더높은 수준 으로 복귀하였다고 보고 하였으며, 1명의 환자가 경 도의 능동적 신전 또는 굴곡장애를 보였다고 하였다.

전방전위는 KT-1000 계측상 4 1 . 7 %는 3 mm 미 만, 50%는 4~5 mm, 8.3%는 5 mm 이상의 전방 전위를 보였다고 하였다. IKDC 평가 결과에서 8 3 . 3 %에서 정상 또는 거의 정상이었으며 1 0 0 - point 비율에서 평균 8 6 . 5 ( 8 1 ~ 9 3 )점 이었다고 하 였다. 2003년 성 등1 3 )은 자가 대퇴사두건과 슬개건 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비교한 보고에서 평균 3 9개월 추시 결과 Lachman 검사 양성이 대퇴 사두건군에서 5.5%(3/90), 슬개건군에서 4 . 1 % ( 3 / 7 2 )이었으며, Lysholm 점수 및 KT-2000 관절 계측상 양군의 차이는 없었다고 하였다. 두 군의 비 교 시 이론적으로는 동일한 군으로 나이, 수상 후 수 술까지의 기간, 술 전 동반 손상의 유무정도 및 술

전 Lysholm 점수 차이 등이 같아야 하나 저자들의 경우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으며, 최종 추시 관찰 시 K T - 2 0 0 0계측, Lysholm 점수, Lachman 검사, IKDC 평가 등은 양군의 차이는 없었다.

공여부의 이환성은 슬개건을 사용한 경우 슬개골절 및 슬개건 파열 등은 1% 미만이라고 하며2 , 3 ), 슬개 대퇴 통증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슬개건을 사용한 경우 8 ~ 3 8 %로 다양하며4 , 1 0 , 1 1 ), 저자들의 경우 슬개 건 사용 군에서 15.1%, 대퇴 사두고건 사용 군에서 9 %로 대퇴사두건 사용 시 슬개 대퇴 통증이 적었다.

그리고 대퇴사두건-슬개골 채취 시 수술 중 슬개골의 골절이 2례 발생하였으나 철사 고정 후 치유되어 기 능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슬개골을 채취 시 세심한 주 의를 기울여야겠다.

대퇴사두건을 사용한 경우 대퇴사두근력의 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03년 성 등1 3 )은 6 6명의 자 가 대퇴사두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은 환자에 대하여 대퇴사두건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조사에서 약 1 2개월에 술후 반흔 조직이 술전 건조 직과 유사한 조직으로 재형성되는 소견을 보였다고 하였다. Chen 등4 )은 수상후 1년에 1 2명중 1 1명이 반대 측의 8 0 %의 근력을 회복 하였으며 평균 8 6 % ( 7 1 ~ 1 0 5 )이었다고 하였으며 기능적 검사상 one-leg hop 검사에서 1 6 . 7 % ( 2례) 환자에서 반대 편 다리의 75% 미만을 보였다고 하였다. Marder 등9 )은 술후 2년 추시 결과 슬개건과 슬괵건을 사용 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근력이 각각 8 8 %와 9 1 %라고 하였다. Shino 등1 6 )은 동종건을 사용한 경 우 5 7개월 추시 결과 8 8 . 7 %라고 하였다. 그리고 성

Table 1. Comparative results of both groups.

Group I Group II

(n=33) (n=33)

(QT-B*) (BPTB )

Anterior knee pain 3 (9%) 5 (15.1%)

Lachman (more than 1+) 2 (6%) 2 (6%)

KT-2000 Pre-op 8.1±2.2 mm 8.2±1.5 mm

arthrometer F/U 2.4±0.6 mm 2.2±0.5 mm

Lysholm Pre-op 45±5 50±6

Score F/U 91.2±5 90.5±7

One-leg hop test 78±5% 80±10%

IKDC Grade A 4 3

B 9 10

C 2 2

D

* QT-B: Quadriceps tendon-patellar bone, BPTB: Bone-patellar tendon-bone

(5)

1 4 )은 대퇴사두근력은 대퇴사두건 군의 경우 술후 2 4개월에 88%, 슬개건군 7 6 %라고 하였다. 저자들 의 경우 대퇴사두건의 경우 78%, 슬개건의 경우 8 0 %이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대퇴사두건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슬개건보다 더 크고, 강하 며, 슬개-대퇴 관절의 동통 등 공여부의 이환성이 슬 개건보다 적으며, 대퇴사두건을 공여 후 대퇴사두근 력의 약화나 이환성이 슬개건을 사용한 경우와 비슷 하였다. IKDC 기능 평가에서도 슬개건과 비슷한 결 과를 보였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이식건의 골-골 고정력이 골-건 고정력보다 더 강하지만, 대퇴사두 건-골 이식건의 경우 경골 고정 시 post-tie washer s c r e w로 고정 후 생체흡수 나사를 보강하여 고정하 였으며, 재활 치료 초기에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되어 술 후 골-슬개건-골 이식건을 사용 한 경우와 술 후 동일한 재활치료방법을 사용하여 중 장기 결과 평가에는 영향이 없었다고 사료되었다. 그 러나 골-슬개건-골 보다는 한쪽의 골터널 내의 골-건 치유로 인한 고정력이 늦게 회복될 가능성이 있어 재 활이 늦은 것을 촉진하기 위한 연구를 하여 단점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결 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대퇴사두고건-골을 이용함으로써 전방 슬관절 동통을 줄이면서 골-슬개 건-골을 이용한 경우와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대퇴사 두건-슬개골을 적절한 이식건의 하나로 고려한다.

REFERENCES

01) Blauth W: Die zweiz 252 ugelige Ersatzplastik des vorderen Kreuzbandes aus der Quadricepssehne.

Unfallheilkunde, 87:45-51, 1984.

02) Bonatus TJ and Alexander AH: Patellar fracture and avulsion of the patellar ligament complicating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 tion. Orthop Rev, 20:770-774, 1990.

03) Christen B and Jakob RP: Fractures associated with patellar ligament grafts in cruciate ligament surgery. J Bone Joint Surg, 74(Br):617-619, 1992.

04) Chen CH, Chen WJ and Shih CH: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quadriceps tendon-patellar bone autograft. J Trau -

ma, 46(4):678-682, 1999.

05) Fulkerson JP and Langeland R: An alternative cruciate reconstruction graft: the central quadriceps tendon. Technique note. A r t h r o s c o p y , 1 1 : 2 5 2 - 2 5 4 , 1995.

06) Harris NL, Smith DAB, Lamoteaux L and Pur- nell M: Central quadriceps tendon for anterior cruci- ate ligament reconstruction, Part I: Morphometric and biomechanical evaluation. Am J Sports Med, 25:23-2, 1997.

07) Hefti F, Mueller W, Jacob RP, et al: Evaluation of knee ligament injuries with the IKCD from. K n e 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226-234, 1993.

08) Howe J, Johnson RJ, Kaplan MJ, et al: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quadriceps patellar tendon graft, Part I: Long-term follow-up.

Am J Sports Med, 19:447-457, 1991.

09) Marder RA, Raskin JR and Carroll M: Prospec- tive evaluation of arthroscopically assist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atellar tendon versus semitendinosus and gracilis tendons. Am J Sports Med, 19:478-484, 1991.

10) O’Brien SJ, Warren RF, Pavolv H, et al: Recon- struction of the chronically insufficient anterior cru- ciate ligament with the central third patellar tendon.

J Bone Joint Surg, 73(Am):278-286, 1991.

11) Sachs RA, Daniel DM, Stone ML, et al: Patell- ofemoral problem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m J Sports Med, 17:760-765, 1989.

12) Schatzmann L, Brunner P and Staubli H-U : Effect of cyclic preconditioning of tensile properties of human quadriceps tendons and patellar ligament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6 ( S 1 ) : S 5 6 - S61, 1998.

13) Seong SC, Lee MC, Park YK, Lee SH and Cho HC: Comparative study about anterior cruciate liga- ment reconstruction using autologous quadriceps tendon and patellar tendon. Paper presented at the 21th annual meeting of Korean Knee Society, Seoul, May 9, 2003.

14) Seong SC, Lee MC, Lee SH and Cho HC: Donor site change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 struction using autologous quadriceps tendon. Paper presented at the 21th annual meeting of Korean Knee Society, Seoul, May 9, 2003.

15) Shelbourne KD and Nitz P: Accelerated rehabilita-

(6)

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m J Sports Med, 18:292-299, 1990.

16) Shino K, Inoue M, Horibe S, Nagano J and Ono K: Reconstruc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using allogeneic tendon. Long-term follow-up. Am J Sports Med, 18:457-465, 1990.

17) Staubli H-U: Arthroscopically assisted ACL recon- struction using autologous quadriceps tendon. In:

Jakob RP, Staubli HU, eds. Cruciate Ligaments.

Berlin: Springer-Verlag, 443-451, 1992.

18) Staubli H-U: The quadriceps tendon-patellar bone construct for ACL reconstruction. Sports Med Arthroscopy Rev, 5:59-67, 1997.

19) Staubli H-U, Bollmann C, Kreutz R, Becker W

and Rauschning: Quantification of intact quadri- ceps tendon, quadriceps tendon insertion, and supra- patellar fat pad: MR arthrography, anatomy, and cryosections in the sagittal plane. A J R , 173: 691- 698, 1999.

20) Staubli H-U, Schatzmann L, Brunner P, Rincon L and Nolte LP: Mechanical tensile properties of the quadriceps tendon and patellar ligament in young adults. Am J Sports Med, 27: 27-34, 1999.

21) Staubli H-U, Schatzmann L, Brunner P, Rincon L and Nolte LP: Quadriceps tendon and patellar lig- ament: cryosectional anatomy and structural proper- ties in young adult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4:100-110, 1996.

(7)

─ Abstract ─

Comparative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Quadriceps Tendon-bone Versus Bone-patellar Tendon-bone

Hee-Soo Kyung, M.D., Joo-Chul Ihn, M.D., Jung-Ho Noh, M.D., and Seong-Ki Park,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rposes: We analyzed the comparative results of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 tion using the autologous quadriceps tendon-bone versus the bone-patellar tendon-bone.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using the autologous quadri- ceps tendon-patellar bone were evaluated (group 1). Control group were 33 patients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with autologous bone-patellar tendon-bone in similar period (group 2). The mean age was 29.7 years in group 1 and 23.5 years in group 2.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0.8 months in group 1, and 21.8 months in group 2. We selected the patient with the similar age, conditions and operation meth- ods. But group 1 with bone-to-tendon graft healing at one side was delayed rehabilitation program than group 2 (bone-to-bone healing). The final evaluation were range of motion, anterior knee pain, Lachman test, KT-2000 arthrometer, Lysholm score, IKDC evaluation, one-leg hop muscle function test. Student t-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0.05).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range of motion and Lachman test. The anterior knee pain was 3 cases (9%) in group 1, and 5 cases (15.1%) in group 2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 ferences in maximal anterior knee displacement by KT-2000 arthrometer and Lysholm scores between two groups (p>0.05).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rating sys- tem, normal were 30.3%, nearly normal 57.6%, abnormal 12.1% in group 1, and in group 2 normal was 24.3%, nearly normal was 63.6%, abnormal 12.1%.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normal and nearly normal rate between two groups (p>0.05). Recovery of quadriceps strength by one-leg hop test was 78% of the normal knee in group 1, and 80% in group 2 (p>0.05).

C o n c l u s i o 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linical results in ACL reconstruction using between quadriceps tendon-bone and bone-patellar tendon-bone, but anterior knee pain. We consider that autologous quadriceps tendon-bone is a good alternative substitute in ACL reconstruction together with the bone-patellar tendon-bone.

Key Words: Quadriceps tendon, Patellar tendon, ACL Reconstruction

수치

FIGURE 1. This shows quadriceps tendon-bone(QT-B) graft after preparation.
FIGURE 3. This shows bone-patellar tendon-bone(BPTB) graft after preparation.

참조

관련 문서

Histopathologic findings of control group at 4 weeks show little bone- implant contact (BIC) around the implant (asterisks) and new-bone formation in the defect

The grafted particulated tooth driven allografts were partially surrounded with new bone matrix and fairly supported graft associated new bone formation with some

Clinical and histomorph ometric evaluation of extraction sockets treated with an autologous bone marro w graft... Barone A, Aldini NN, Fini M, Giardino R, Calvo Guirado

This research is that students who was registered athlete student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among students, 5 students quite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that underlie in markers of bone formation, products of the osteoblast

Higher power view of the box area of the left figure showed poor new-bone formation around the implant (asterisk) and low BIC. Villanueva

The result of using PLGA nanofiber membrane with bone graft material showed that the PLGA nanofiber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2 weeks were ten times more new

Graph showing improving Constant Shoulder Score in both groups but more improvement in autologous bone marrow injection group which is statis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