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ssociation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Vitamin D Level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ssociation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Vitamin D Level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심뇌혈관질환은 남성의 경우 중년층에서,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 후에 위험이 증가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상동맥질환, 뇌혈 관질환, 그리고 고혈압을 포함하는 질환군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중 요한 사망 원인이다. 허혈성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국내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95년에 남자 인 구 10만 명 당 연령교정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률은 13.8명이었으나

2005년에는 17.7명으로 증가했고, 여자는 같은 기간에 9.2명에서 16.1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1)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당뇨와 혈압의 증가, 죽상경화증의 가속 화, 좌심실의 비대증 및 심혈관의 석회화 등을 일으키고 혈관내피의 혈관확장 기능의 이상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2) Yang 등3)의 연구 에 따르면 남성에서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심혈관계 사망률의 위 험을 1.68배 증가시켰고, Kestenbaum 등4)의 연구에서는 부갑상선 기 능 항진증이 심부전의 위험을 30% 증가시켰던 것으로 나타났다.

Original Article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 농도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연관성

신성군, 박선기*, 김경민, 김동휘

동의병원 가정의학과

Association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Vitamin D Level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eong-Gun Shin, Seon-Ki Park*, Kyung-Min Kim, Dong-Hui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ong-Eui Medical Center, Busan, Korea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hyperparathyroidism and vitamin D deficiency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This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vitamin D level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848 subjects (≥50 years old)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ir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vitamin D level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Group 1, parathyroid hormone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Group 2, parathyroid hormone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Group 3, parathyroid hormone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Group 4, parathyroid hormone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The association of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vitamin D level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as evaluat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BMI), and systolic blood pressure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2 when compared with Group 1.

Fasting blood glucose level in Group 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groups. Serum vitamin D leve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MI and triglyceride levels, whereas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MI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Serum vitamin D had an independent effect on BMI and triglyceride levels, whereas parathyroid hormone had an independent effect on BMI in Korean adults aged ≥50 years.

Keywords: Parathyroid Hormone; Vitamin D; Cardiovascular Disease; Blood Glucose; Body Mass Index; Triglyceride Levels

https://doi.org/10.21215/kjfp.2017.7.1.55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7;7(1):55-59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Received February 26, 2016 Revised May 6, 2016 Accepted July 22, 2016 Corresponding author Seon-Ki Park

Tel: +82-51-850-8763, Fax: +82-51-850-8965 E-mail: psonki@demc.or.kr

Copyright © 2017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Seong-Gun Shin, et al. Association of Serum PTH and Vitamin D Level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Health Professionals Follow-up Study에서는 25-hydroxyvitamin D (25(OH)D) 농도가 15 ng/mL 이하였던 군에서 30 ng/mL 이상이었던 군에 비해 급성심근경색증의 위험이 2배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고,5) Pilz 등6)의 연구에 따르면 25(OH)D 농도가 10 ng/mL 미만이었던 사 람은 30 ng/mL 이상이었던 사람에 비해 심부전증에 의한 사망과 심 장 돌연사의 위험이 각각 2.8배와 5배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은 부갑상선에서 분 비되는 호르몬으로 신장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뼈에서 칼슘의 유출을 증가시켜 혈중 칼슘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신장 근위세뇨관에서 D-1α-hydroxylase의 합성을 증가시 켜 일광과 식이를 통해 섭취된 비타민 D를 신장에서 1,25-dihy- droxyvitamin D (1,25(OH)D2)로 전환시키고, 1,25(OH)D2는 위장관 에서 칼슘의 흡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칼슘 농도를 적절히 유지 하는 기능과 위장관에서 칼슘과 같이 증가한 혈중 인을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7)

이전 연구에서는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과 심혈관질환, 비타민 D 와 심혈관질환의 관련성 각각에 대해 조사하였으나 이번 연구에서 는 부갑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D 농도에 따라 나눈 군에서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차이를 알아보고 부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와 심혈관 계 위험인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대한민국 질병관리본부 주관으로 시행된 국민건강영 양조사(2011년)를 이용하였다. 조사 참여자 수는 8,518명이었고, 이 중에서 50세 이상의 성인은 3,444명이었다. 그 중에서 남자 1,488명, 폐 경 여성 1,70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현재 신부전으로 진단되었거나 혈중 크레아티닌 1.5 mg/dL 이상인 경우, 건강 설문에서 불충분한 응 답과 혈액검사 및 부갑상선 호르몬 등의 검사결과가 누락이 되어있 는 대상자 348명을 제외한 총 2,848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2. 연구방법

1) 측정방법

신장은 Seca225 (Seca, Hamburg, Germany) 신장계로 직립자세로 신 발을 벗은 상태에서 1 mm까지 측정하였고, 체중은 GL-6000-20 (G- tech, Seoul, Korea) 체중계로 가벼운 옷차림으로 0.1 kg까지 측정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심혈관계 위험인자에는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공복혈당, 당화 혈색소, 총 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중

성지방을 포함하였다. 혈압은 질병관리본부 전문조사 수행팀 내 혈 압측정 담당 간호사 4명이 담당하였으며 4 cm 높이의 팔 받침대를 여러 개 사용하여 대상자별 팔 높이를 심장 높이에 맞추어 상완에 서 3차례 혈압 측정 후 2, 3차 혈압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채혈은 공 복상태에서 이루어졌고,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은 네오딘의학연구소의 Hitachi Automatic Analyzer 7600 (Hitachi,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당화혈색소는 네오 딘의학연구소의 HLC-723G7 (Tosoh, Toky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2) 각 군의 정의

각 군을 분류하는 기준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담당하는 질병관 리본부 건강영양조사과에 문의하여 검사항목의 참고치를 근거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은 68 pg/mL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비타민 D는 10 ng/mL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1은 부갑상선 호르몬 ≤68 pg/mL이면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 그룹 2 는 부갑상선 호르몬 >68 pg/mL이면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 그 룹 3은 부갑상선 호르몬 ≤68 pg/mL이면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 그룹 4는 부갑상선 호르몬 >68 pg/mL이면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으로 정의하였다.

3) 통계

연속형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제시하였으며 범주형 변수는 빈 도(%)로 제시하였다.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D로 분류한 그 룹에 따른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비교는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과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다.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와 나이,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공 복혈당, 당화혈색소,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관 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심 혈관계 위험인자에 대한 부갑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D의 독립적인 관계를 알아보았다. 모든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 22.0; IBM Co., Armonk, NY,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값 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1.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 농도로 나눈 그룹별 심혈관계 위험인자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 농도로 나눈 그룹별로 성별에 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나이,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3)

신성군 외.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 농도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은 1군보다 2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공복혈당은 4군에서 다른 나머지 1, 2, 3군과 각각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그 외 이완기혈압, 당화혈색소,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각 그룹별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2.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 농도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상관관계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과 허리둘레(r=0.048), 체질량지수(r=0.082), 수축기혈압(r=0.064)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혈중 비타민 D와 체질량지수(r=-0.044), 총 콜레스테롤(r=-0.050), 중성지방(r=

-0.068)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Table 2).

3.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대한 부갑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D의 독립적인 관계

주요 변수들을 보정한 후 다중회귀분석에서 허리둘레에 대해 비 타민 D (β=0.032, P=0.003), 부갑상선 호르몬(β=-0.022, P=0.039)이 독 립적인 관련성이 있었고 체질량지수에 대해 비타민 D (β=-0.030, P=0.006), 부갑상선 호르몬(β=0.046, P<0.001)이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었다. 공복혈당에 대해 부갑상선 호르몬(β=-0.055, P=0.003)이 독립 적인 관련성이 있었고 중성지방에 대해 비타민 D (β=-0.057, P=0.002) 가 독립적인 관련성이 있었다(Tables 3–7). 회귀분석의 다중공선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variance inflation factor <12.0).

고 찰

본 연구 결과 비타민 D가 체질량지수와 중성지방에 대해 독립적 Table 1. Cardiovascular risk factors by group with serum PTH and vitamin D

Group 1 (n=1,690) Group 2 (n=1,086) Group 3 (n=32) Group 4 (n=40) P-value Gender

Male 786 (46.5) 470 (43.3) 12 (37.5) 12 (30.0) 0.065

Female 904 (53.5) 616 (56.7) 20 (62.5) 28 (70.0)

Age (y) 63.4±8.9 65.1±8.8 63.8±9.9 66.5±10.1 <0.001

Waist circumference (cm) 83.4±8.9 84.6±9.5 79.9±9.9 82.9±11.8 <0.001

Body mass index (kg/m2) 23.8±2.9 24.3±3.3 23.1±3.6 24.2±4.5 <0.001

Systolic blood pressure (mmHg) 125.4±17.1 127.2±17.5 120.8±17.4 126.1±18.8 0.018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 76.1±9.8 77.2±10.3 76.6±14.4 75.7±8.7 0.063

Glucose (mg/dL) 103.3±26.3 102.3±24.6 96.6±18.6 114.8±47.6 0.010

Hemoglobin A1c (%) 6.0±0.9 6.0±0.9 5.8±0.8 6.2±1.4 0.212

Total cholesterol (mg/dL) 195.7±38.2 195.5±38.3 185.9±43.9 195.4±25.6 0.554

HDL-C (mg/dL) 51.8±13.0 51.4±12.7 48.7±14.5 53.0±12.9 0.426

Triglyceride (mg/dL) 144.0±107.6 146.6±107.8 163.9±133.6 144.0±72.9 0.713

Vitamin D (ng/mL) 19.7±6.0 18.1±5.7 8.2±1.3 7.9±1.4 <0.001

PHT (pg/mL) 51.9±10.5 90.3±24.4 54.2±8.8 98.0±26.9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for categorical variables or mean±standard deviation for continuous variables. P-values represent differences per group by analysis of variance and chi-squared test.

Group 1, PTH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Group 2, PTH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Group 3, PTH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Group 4, PTH >68 pg/mL and vitamin D <10 ng/mL.

PTH, parathyroid hormone;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able 2. Correlation between serum parathyroid hormone, vitamin D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Parathyroid hormone Vitamin D

r P-value r P-value

Age 0.124 <0.001 0.050 0.008

Waist circumference 0.048 0.010 0.000 0.990

Body mass index 0.082 <0.001 -0.044 0.018

Systolic blood pressure 0.064 0.001 0.003 0.882 Diastolic blood pressure 0.022 0.231 -0.012 0.511

Glucose -0.034 0.070 -0.023 0.225

Hemoglobin A1c -0.024 0.204 -0.019 0.298

Total cholesterol -0.010 0.608 -0.050 0.008

HDL-C 0.014 0.449 0.031 0.101

Triglyceride 0.003 0.859 -0.068 <0.001

P-values were obtain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 correlation coefficient;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able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waist circumference

β t P-value

Age 0.064 5.879 <0.001

Body mass index 0.819 75.945 <0.001

Systolic blood pressure 0.014 1.310 0.190

Total cholesterol -0.047 -4.308 <0.001

Triglyceride 0.082 7.377 <0.001

Vitamin D 0.032 2.939 0.003

Parathyroid hormone -0.022 -2.063 0.039

P-values were obt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β,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4)

Seong-Gun Shin, et al. Association of Serum PTH and Vitamin D Level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인 음의 관련성이 있었고 부갑상선 호르몬이 체질량지수에 대해 독 립적인 양의 관련성이 있었다.

Walker와 Silverberg8)은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에서는 심혈관계 질 환에 의한 사망 위험이 증가하고 비가역적인 심혈관계 손상이 있을 것으로 제시하였다. 비타민 D는 T도움세포를 조절하여 염증과 죽상 경화의 진행, 혈전생성을 억제하고 혈관 석회화를 억제함으로써 관 상동맥질환이나 말초혈관질환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할 것으로 제 시되었다.9,10)

Lee 등11)은 5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관련성 에 대한 연구에서 정상 부갑상선 호르몬군보다 고 부갑상선 호르몬 군에서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둘레, 체질량지수가 유의하게 증가한다고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 부갑 상선 호르몬에 따라 공복혈당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와의 차이점은 비타민 D를 포함시키지 않고 부갑상선 호르몬 만의 관련성을 분석했다는 것이다.

Reis 등12)의 연구에 따르면 높은 부갑상선 호르몬이 백인에서는 당뇨병 위험과 연관이 있었지만, 흑인에서는 연관이 없었다. Finnish Mobile Clinic 자료와 Mini-Finland Health Survey 자료를 이용하여 최 초에 당뇨병이 없었던 40–74세 성인을 22년간 추적하였던 환자-대조 군 연구에서는 25(OH)D 농도가 상위 사분위수에 해당하였던 남성 이 하위 사분위수에 해당하는 남성에 비해 당뇨병 위험이 72% 낮았 다.13) 이 외에도 다수의 역학연구에서 낮은 비타민 D 농도가 당 대사

에 영향을 주거나 당뇨병의 발생과 연관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 도움세포를 통한 비타민 D의 면역조절작용은 인터페론-감마나 인 터루킨-2의 생성을 억제하여 만성염증으로부터 췌장의 베타세포를 보호하는데, 이러한 작용이 당뇨병의 발생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 하고 있다.14) 본 연구에서는 부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 각각이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단면연구이기 때문에 인과적 관계를 설명하 기 어렵다는 점, 연구 대상의 연령이 50세 이상으로 국한되었다는 점, 신체활동, 음주력, 가족력 등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교란변수를 평가하지 못한 점, 비타민 D의 복용이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 농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지 못한 점 등이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라는 표준화된 연구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었고, 부갑상선 호르몬과 이와 관련이 큰 비타민 D의 상호작용에 의해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증가하는지를 알아보았 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향후 명확한 인과적 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는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와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관찰하는 임상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body mass index

β t P-value

Age -0.087 -8.057 <0.001

Waist circumference 0.818 75.945 <0.001

Systolic blood pressure 0.027 2.538 0.011

Total cholesterol 0.045 4.169 <0.001

Triglyceride -0.020 -1.829 0.068

Vitamin D -0.030 -2.777 0.006

Parathyroid hormone 0.046 4.286 <0.001

P-values were obt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β,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Table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systolic blood pressure

β t P-value

Age 0.194 10.437 <0.001

Waist circumference 0.043 1.310 0.190

Body mass index 0.082 2.538 0.011

Total cholesterol 0.025 1.323 0.186

Triglyceride 0.086 4.478 <0.001

Vitamin D 0.010 0.553 0.581

Parathyroid hormone 0.033 1.770 0.077

P-values were obt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β,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Table 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glucose

β t P-value

Age 0.052 2.785 0.005

Waist circumference 0.246 7.636 <0.001

Body mass index -0.090 -2.798 0.005

Systolic blood pressure 0.042 2.233 0.026

Total cholesterol -0.044 -2.320 0.020

Triglyceride 0.163 8.510 <0.001

Vitamin D -0.031 -1.681 0.093

Parathyroid hormone -0.055 -2.926 0.003

P-values were obt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β,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Table 7.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riglyceride

β t P-value

Age -0.058 -3.160 0.002

Waist circumference 0.230 7.377 <0.001

Body mass index -0.058 -1.829 0.068

Systolic blood pressure 0.081 4.478 <0.001

Total cholesterol 0.252 14.204 <0.001

Vitamin D -0.057 -3.167 0.002

Parathyroid hormone -0.010 -0.537 0.591

P-values were obtain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β,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5)

신성군 외.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및 비타민 D 농도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연관성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요 약

연구배경: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비타민 D 결핍이 각각 심혈관질 환의 위험성을 높인다는 이전 연구가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부갑 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D 농도에 따라 나눈 군에서 심혈관계 위험인 자의 차이를 알아보고 부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와 심혈관계 위험 인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11년)에 참여한 50세 이상의 성인 중 2,8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에서 혈중 부갑상선 호르몬 과 비타민 D로 분류한 그룹에 따라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비교해보 고,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대한 부갑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D 각각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그룹 1은 부갑상선 호르몬 ≤68 pg/mL이면 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 그룹 2는 부갑상선 호르몬 >68 pg/mL이 면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 그룹 3은 부갑상선 호르몬 ≤68 pg/mL 이면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 그룹 4는 부갑상선 호르몬 >68 pg/

mL이면서 비타민 D <10 ng/mL인 군).

결과:

1군보다 2군에서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이 유의하 게 증가하였고, 4군은 다른 나머지 군과 비교하여 공복혈당이 유의 하게 높았다. 주요 변수들을 보정한 후 비타민 D가 체질량지수와 중 성지방에 대해 독립적인 음의 관련성이 있었고 부갑상선 호르몬이 체질량지수에 대해 독립적인 양의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50세 이상의 성인에서 혈중 비타민 D가 체질량지수와 중성지 방에 대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부갑상선 호르몬이 체질량지 수에 대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중심단어:

부갑상선 호르몬; 비타민 D; 심혈관질환; 혈당; 체질량지 수; 중성지방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Nov 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2. Kim YE.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frailty syn- drome. J Korean Life Insur Med Assoc 2007; 26: 3-12.

3. Yang B, Lu C, Wu Q, Zhang J, Zhao H, Cao Y. Parathyroid hormone, cardio- vascular and all-cause mortality: a meta-analysis. Clin Chim Acta 2016; 455:

154-60.

4. Kestenbaum B, Katz R, de Boer I, Hoofnagle A, Sarnak MJ, Shlipak MG, et al. Vitamin D, parathyroid hormone, and cardiovascular events among older adults. J Am Coll Cardiol 2011; 58: 1433-41.

5. Giovannucci E, Liu Y, Hollis BW, Rimm EB. 25-hydroxyvitamin D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 men: a prospective study. Arch Intern Med 2008;

168: 1174-80.

6. Pilz S, März W, Wellnitz B, Seelhorst U, Fahrleitner-Pammer A, Dimai HP, et al. Association of vitamin D deficiency with heart failure and sudden cardi- ac death in a large cross-sectional study of patients referred for coronary an- giography. J Clin Endocrinol Metab 2008; 93: 3927-35.

7. Silver J, Levi R. Regulation of PTH synthesis and secretion relevant to the management of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in chronic kidney disease.

Kidney Int Suppl 2005; (95): S8-12.

8. Walker MD, Silverberg SJ. Cardiovascular aspects of primary hyperparathy- roidism. J Endocrinol Invest 2008; 31: 925-31.

9. Andress DL. Vitamin D in chronic kidney disease: a systemic role for selec- tive vitamin D receptor activation. Kidney Int 2006; 69: 33-43.

10. Mathew S, Lund RJ, Chaudhary LR, Geurs T, Hruska KA. Vitamin D recep- tor activators can protect against vascular calcification. J Am Soc Nephrol 2008; 19: 1509-19.

11. Lee KS, Yoon YS, Yoon H. The association of abdominal obesity, obesity and parathyroid hormone in Korean adults (aged≥50 year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1. J Korean Acad Ind Cooper Soc 2015; 6:

3882-8.

12. Reis JP, Selvin E, Pankow JS, Michos ED, Rebholz CM, Lutsey PL. Parathy- roid hormone is associated with incident diabetes in white, but not black adults: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Study. Diabetes Metab 2016; 42: 162-9.

13. Knekt P, Laaksonen M, Mattila C, Härkänen T, Marniemi J, Heliövaara M, et al. Serum vitamin D and subsequent occurrence of type 2 diabetes. Epide- miology 2008; 19: 666-71.

14. Bikle D. Nonclassic actions of vitamin D. J Clin Endocrinol Metab 2009; 94:

26-34.

수치

Table 2. Correlation between serum parathyroid hormone, vitamin D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abl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body mass index

참조

관련 문서

The HbA1c level is correl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 in non diabetic elderly population and we suggest that HbA1c may predict cardiovascular risk as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Effects of combined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insulin secretion, insulin sensitivity and β -cell function in multi-ethnic vitamin D-deficient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Linear correlations of T-amp, T-right slope, and their normalized feature (T-norm) with serum potassium levels were evaluat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ge at diagnosis after 30 years, baseline serum creatinine levels, and cyst infection ar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kidney failure, as found in th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Indirect group, who under- went surgery using indirect fixation using a suprapectineal plate only, and the Direct group, who

That is, the path connecting familial risk factors and executive function was stronger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group compared to the high school student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