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의 치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의 치료"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ang Wook Bae,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Nowon Eulji Hospital

#280-1 Hagye-dong, Nowon-ku, Seoul, Korea

Tel : 82-2-970-8257, 8260 Fax : 82-2-972-0068, E-mail : bsw2402@eulji.or.kr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의 치료

배상욱・곽호윤・송백용・최남홍・김호준

을지의과대학 노원을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Abstract –

Treat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with Diabetes Mellitus

Sang Wook Bae, M.D., Ho Yoon Kwak, M.D., Baik Yong Song, M.D., Nam Hong Choi, M.D., Ho Jun Kim,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Nowon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udy Design: This retrograd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and postoperative clinical results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patients who had been performed decompression and arthrodesis with instrumentat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controversies in the treatment results of diabetic patients.

Objective: To identify poor results in the patients of lumbar spinal stenosis accompanied diabetes mellitus and to find out vari- ables influencing postoperative results among diabetic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27 diabetic patients and sex, age-matched 27 non-diabetic patients who were diag- nosed as lumbar spinal stenosis and operated from April, 1995 to December, 1998. In all patients, duration of symtoms, sensory and motor deficits, co-morbidity, level of operations were investigated and in diabetics, duration of diabetes, amount of insulin administered before operation and presence of diabetic neuropathy were included. Clinical result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diabetics and non-diabetics.

Results: Considerable improvement was reported by 19(71%) in diabetic group and 21(78%) in non-diabetic group. Complication rate such as of infection and delayed wound healing was not higher in diabetic group than non-diabetic group. Duration of diabetes and amount of insulin before operation did not affected the result of operations.

Conclusion: The outcome of surgery was similary successful in the two groups.

Key Words: Lumbar spinal stenosis, Diabetes mellitus, Decompression and arthrodesis

Journal of Korean Spine Surg.

Vol. 7, No. 1, pp 37~43, 2000

서 론

당뇨의 유병율은 과거에 비하여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우리 나라의 경우 한 역학조사에서 3 0세 이 상의 주민에서 8 %의 유병율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

고하였다1 1 ). 이에 따라 당뇨를 동반한 척추강 협착증

의 빈도도 높아지고 있다. 당뇨의 경우 혈당 조절을 위하여 운동요법이 필수적이나, 요추부 척추강 협착 증으로 인한 신경성 파행이 동반된 경우 적절한 운 동이 불가능하여, 운동 부족과 고혈당의 악순환에 빠 지게 된다. 이의 근원적인 해결을 위하여는 수술이 필요하지만, 당뇨가 동반된 경우는 수술 전에 고려해

(2)

야 할 점이 많다.

당뇨의 장기 합병증으로는 말초 혈행 장애와 말초 신경 장애가 있다. 말초 혈행 장애는 간헐적 파행을 일으킬 수 있으며, 말초 신경 장애는 하지의 통증과 감각 및 운동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3 ). 당뇨의 이런 증상들은 척추강 협착증의 증상과 매우 유사하여, 부 적절한 수술이 시행될 위험성이 있다5 ). 당뇨를 동반 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의 경우 수술결과가 좋지 않다고 보고된 경우가 많은데1 , 1 3 ), 이는 당뇨 환자들 의 경우 타질환에 동반 이환된 경우가 많으며6 ), 고 혈당이 통증의 역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7 ), 신경 근 주위의 미세 혈관에 장애가 있어 이로 인하여 요 추부 협착증과 유사한 간헐적 파행이 나타날 수 있 기 때문이라고 하였다3 , 1 6 ).

그러나 아직까지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 착증 환자의 수술 결과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다1 , 3 , 6 , 1 3 ). 저자들은 본원 당뇨 센터에서 의뢰받아 수술을 시행 한 환자들의 수술 전 병력, 증상, 수술 후 만족도, 합 병증 등을 분석하여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요추부 척 추강 협착증 환자들과 비교하여, 당뇨를 동반한 경우 에서 결과가 나쁜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당뇨의 이환 기간, 수술전 투여한 인슐린의 양 등과 수술후 만족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당뇨군 내에서도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가 있는지 알아 보 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9 9 5년 4월부터 1 9 9 8년 1 2월까지 요통, 하지 방사통 또는 신경성 파행 등의 증상을 호소하여 전산화 단 층 촬영나 자기 공명 영상 등의 정밀검사를 시행후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으로 진단받고, 3개월 이상의 보존적 가료에도 증상의 호전이 뚜렷치 않아, 감압술 및 고정술을 시행받은 1 4 7례 중, 1년 이상 경구 또는 주사 혈당 강하제로 치료받고 있던 당뇨 환자 3 5례 와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환자 1 1 2례를 대상으로 하 였다. 당뇨를 동반한 3 5례중 원격추시 및 설문지 응 답이 가능하였던 2 7례와,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1 1 2 례 중 대조군으로 선택한 2 7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나이 분포, 성별, 체중 등에서 당뇨군과 유 사한 집단으로 선택하였으며, 당뇨군은 동반 질환이 많으므로, 이와 유사한 집단을 선택하기 위하여, 비 당뇨 협착증 환자들 중에서 동반 질환이 많은 환자 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였다. 이를 위해 누적 질환 등 급 척도9 )(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CIRS)를 이

용하여 동반 이환률 점수(co-morbidity score)를 계산 하였으며, Katz6 )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0~2점, 3 ~ 5점, 6점 이상의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방법은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로 판단된 환자의 나이, 성별, 추시 기간, 동반 이환률, 수술전 증상의 기간, 신경성 파행의 정도, 하 지의 지각 및 감각의 이상의 유무에 관하여 분석하 고, 수술시 몇 분절의 추궁 절제술 및 고정술을 시행 하였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당뇨군의 경우는 당뇨의 이환기간, 혈당강하제의 종류 및 양, 당뇨병성 신경 증의 유무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신경병증의 진단 은 문진, 이학적 검사와 함께 근전도 및 신경 전도 속도 검사를 병행하여 시행하였다. 근전도 및 신경 전도 검사는 당뇨군의 경우 2 0례에서 시행하였고, 대 조군에서는 1 5례에서 시행하였다.

만족도에 관한 조사는 설문지 및 전화 문의를 병 행하여 시행하였으며, 수술 후 다리 및 허리의 통증 의 정도, 보행, 진통제 복용, 수술 후 직장 또는 원래 직업으로의 복귀여부에 관하여 묻고 전반적인 수술 의 만족도에 관한 것을 문의하였다.

수술결과는 하지 통증이 완전히 소실되고 정상 생 활로 복귀가 가능한 경우는 우수로, 때때로 하지통이 있으나, 약물 복용없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경우 를 양호, 약물이 필요한 중등도의 통증이 있거나, 정 상적인 생활에 약간의 지장이 있는 경우는 보통으로, 수술후 증상의 소실이 거의 없거나,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한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유합의 판정여부는 6개월 전후의 방사선 사진에서 L e n k e8 )의 분류법을 사용하여, 단단하고 큰, 골소주의 연결이 뚜렷한 양측성의 유합을 A, 한쪽은 크고 단 단하게 유합되었으나, 다른 쪽은 작은 유합 덩어리를 보이는 경우를 B, 양측성의 작고 얇은 유합 덩어리 를 보이는 경우를 C, 양측에서 이식골이 흡수되었거 나, 가관절을 보이는 경우를 D로 구분하였다. 통계 는 c h i - s q u a r e를 사용하였다.

결 과

당뇨군의 연령 분포는 4 1세에서 8 0세까지로 평균 6 5 . 2세였으며 대조군에서는 5 4세에서 7 6세로 평균 6 4 . 4세였다. 성별은 당뇨군에서 남자 8례(30%), 여자 1 9례( 7 0 % )였으며 대조군에서는 남자 1 0례(37%), 여 자 1 7례( 6 3 % )였다. 체중은 당뇨군에서 평균 5 8 . 2㎏, 비당뇨군에서 평균 5 9 . 1㎏였다.

당뇨군에서의 동반 이환률 점수는 당뇨 자체를 2

(3)

점으로 하여 0 ~ 2점의 경우가 8례, 3~5점의 경우가 1 4례, 6점 이상의 경우가 5례였으며, 대조군에서는 각 각 1 3례, 10례, 4례였다. 수술전 증상의 기간은 당뇨 군에서 1년 미만이 1 4례(52%), 1년에서 3년 사이가 7 례(26%), 3년 이상이 6례( 2 2 % )였으며, 대조군에서는 각각 1 3례(48%), 9례(33%), 5례( 1 9 % )로 양군 모두 1 년 미만이 가장 많았다.

신경성 파행은 당뇨군에서는 2 4례( 8 9 % )에서 호소 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2 3례( 8 5 % )에서 호소하였다.

파행이 나타나는 거리는 당뇨군에서는 1 0 0미터 미만 이 1 3례(48%), 100미터에서 3 0 0미터까지가 8례( 3 0 % ) , 3 0 0미터 이상이 3례( 1 1 % )로 1 0 0미터 미만이 가장 많 았으며, 비당뇨군에서도 1 0 0미터 미만이 1 3례( 4 8 % ) , 1 0 0미터에서 3 0 0미터까지가 7례(26%), 300미터 이상 이 3례( 1 1 % )로 1 0 0미터 미만에서 파행을 보이는 예 가 가장 많았다.

원격 추시는 당뇨군에서 1년에서 2년 사이가 9례, 2년에서 3년 사이가 1 1례, 3년 이상 7례로 분포되었 으며, 대조군에서는 1년에서 2년 사이가 8례, 2년에서 3년 사이가 1 0례, 3년 이상이 9례였다(Table 1).

수술전 이학적 검사에서 하지의 감각 이상을 보인 예는 당뇨군에서 1 3례, 대조군에서 1 4례였으며, 근력 약화를 보인 예는 당뇨군에서 1 1례, 대조군에서 1 0례 였다. 수술전 하지의 신경 전도 속도 검사에서 전도 의 지연을 보인 예는 당뇨군에서는 1 3례(65%), 대조 군에서는 3례( 2 0 % )로, 당뇨군에서 신경 전도 지연의

소견을 보인 예가 많았다. 근전도 검사상 척추 주위 근육과 하지 근육에서 탈신경 또는 자발성 활동 전 위의 증가는 당뇨군에서 1 2례(60%), 대조군에서는 8 례( 5 3 % )에서 보여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전기 생리학적 진단에서 당뇨군의 3례( 1 5 % )에서는 신경근병증의 소견을, 11례( 5 5 % )에서는 다발성 신경 병증의 소견을 보였고, 6례( 3 0 % )에서는 혼합형의 이 상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는 신경근병증의 소견을 보인 경우가 1 3례(87%), 혼합형이 2례( 1 3 % )였다.

수술을 시행한 분절의 수는 당뇨군에서 단분절이 8례, 2분절이 1 3례, 3분절이 6례로 평균 1 . 9 3분절이었 으며, 대조군에서는 단분절이 1 0례, 2분절이 1 4례, 3 분절이 6례, 4분절이 1례로 평균 2 . 2 2분절이었다.

유합은 당뇨군에서는 Lenke grade A가 1 3례( 4 8 % ) , B가 8례(30%), C가 4례(15%), D가 2례( 7 % )를 보였 으며, 대조군에서는 각각 1 5례(55%), 8례(30%), 3례 (11%), 1례( 4 % )였다(Table 2). 유합률의 당뇨군과 대조군과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 . 4 8 4 ) .

당뇨환자의 당뇨 이환기간은 1년에서 1 0년 사이가 1 3례(48%), 10년에서 2 0년 사이가 1 2례(44%), 20년 이상이 2례( 7 % )였으며, 평균 당뇨 이환 기간은 9 . 5년 이었다. 수술전 주사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던 경우는 2 3례( 8 5 % )였으며, 경구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던 환 자는 4례( 1 5 % )였다. 주사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는 환자 2 3명 중 수술전 3 0단위 이상을 사용하던 환자 는 7명이었고, 30단위 미만의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 Table 1. Clinical Features

Diabetic Non-diabetic

Symptom duration(yr)

< 1 14(52%) 13(48%)

1-3 7(26%) 9(33%)

> 3 6(22%) 5(19%)

Claudication(m)

< 100 13(48%) 13(48%)

100-300 8(30%) 7(26%)

> 300 3(11%) 3(11%)

Neurologic deficit

sensory 13(48%) 14(52%)

motor 11(41%) 10(37%)

Co-morbidity

0-2 8(30%) 13(48%)

3-5 14(52%) 10(37%)

> 6 5(18%) 4(15%)

Follow-up(yr)

1-2 9(33%) 8(30%)

2-3 11(41%) 10(37%)

> 3 7(26%) 9(33%)

(4)

는 경우는 1 6례였다.

수술결과는 당뇨군에서는 우수 4례(15%), 양호 1 5 례(56%), 보통 6례(22%), 불량 2례( 7 % )였으며, 대조 군에서는 우수 5례(19%), 양호 1 6례(59%), 보통 5례 (18%), 불량 1례( 4 % )로 수술전에 비하여 만족할 만 한 증상의 호전을 보인 경우는 당뇨군의 경우 7 1 % , 대조군에서는 7 8 %를 보였다(Talbe 3). 양군 간의 통 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 . 5 3 5 ) .

당뇨 환자 중 불량의 결과를 보인 2례 중 1례는 6 6 세의 남자 환자로 8년간 당뇨를 앓고 있었으며, 수술 약 3년 전부터 심한 요통과 함께 신경성 파행이 발

생하였으며, 신경성 파행이 나타나는 거리는 약 3 0 0 미터였다. 골밀도 검사상 T-score -3.22의 골다공증의 소견을 보였다. 제3, 4 요추간 및 제4, 5 요추간의 감 압술 및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수술후 약 1년 동안은 만족하였으나, 그후 심한 요통이 재발하고 신경성 파 행이 다시 발생하였던 예이다. 다른 1례는 6 7세의 여 자 환자로 당뇨 이환 기간은 1 2년이었으며, 중등도의 요통과 함께 약 1 0 0미터 정도의 거리에서 신경성 파 행을 보였다. 이학적 검사상 양측 족관절 반사의 소 실을 보였고, 방사선 소견상 제4, 5 요추간의 퇴행성 전방전위증의 소견을 보였으며, 전기 생리학적 진단 에서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하지의 동통의 소실이 없이 지속되어 이는 당뇨병성 신경병증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불량으로 판 정되었다.

대조군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1례는 7 2세의 남자 환자로 요통은 그다지 심하지 않았으나, 수술 약 2년 전부터 시작된 하지의 방사통 및 약 1 0 0미터 정도의 신경성 파행을 주소로 입원하였으며, 동반 질환으로 는 심장의 판막 역류의 소견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으로 인한 호흡곤란과 빈혈이 있어 동반 이환률 점 수가 6점 이상이었다.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상 요추 부 전반에 걸친 협착증의 소견을 보여 제1, 2, 3 ,4 요추의 추궁절제술과 함께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수 술 약 1년 후 요통과 함께 심해진 호흡곤란으로 보 행에 심한 제약이 있어 불량으로 판정되었다.

당뇨 이환 기간에 따른 수술결과는 이환 기간이 1 년에서 1 0년 사이인 1 3례중 1 0례( 7 7 % )가 양호 이상 의 결과를 보였으며, 10년에서 2 0년 사이인 1 2례중 8 례( 6 6 % )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고, 20년 이상 인 2례중 1례( 5 0 % )에서 양호, 1례에서 보통을 보였 다(Table 4). 당뇨 이환기간에 따른 수술 결과에서 양군 간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 = 0 . 6 8 9 ) .

경구 혈당 강하제를 사용하던 4례의 환자 중 3례 ( 7 5 % )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고, 30단위 미만 의 인슐린의 사용하던 1 6례의 환자 중 1 1례( 6 9 % )에 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30단위 이상의 인 슐린을 사용하던 7례의 환자 중 5례( 7 1 % )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여 투여한 인슐린의 양과 수술 결 과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술후 합병증으로는 지각 이상성 대퇴신경통이 당 뇨군에서 3례, 대조군에서 2례로 가장 많았으며, 이 는 Ralton-Hall 4-poster에 의하여 외측 대퇴 지각 신 경이 압박되어 발생하였으며, 증상은 자연 소실되었 다. 마비성 장폐색이 당뇨군에서 2례, 대조군에서 2 례 나타났으며, 이는 수술시 횡돌기간 근막이 파열되 Table 2. Radiographic fusion

Lenke grade Diabetic Non-diabetic

A 13(48%) 15(55%)

B 8(30%) 8(30%)

C 4(15%) 3(11%)

D 2(7%) 1(4%)

Total 27(100%) 27(100%)

Table 3. Clinical Results

Diabetic Non-diabetic

Excellent 4(15%) 5(19%)

Good 15(56%) 16(59%)

Fair 6(22%) 5(18%)

Poor 2(7%) 1(4%)

Total 27(100%) 27(100%)

Table 4. Relationship of clinical result and duration of diabetes

< 10 10 - 20 >20(Yrs)

Excellent 2 2 0

Good 8 6 1

Fair 2 3 1

Poor 1 1 0

Total 13 12 2

Table 5.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iabetic Non-diabetic

Meralgia paresthetica 3 2

Paralytic ileus 2 2

Urination difficulty 1 2

Infection

superficial 1 1

deep 0 0

(5)

면서, 후복막강으로 혈액이 스며 들어가 발생하는 것 으로 생각되었고, 금식시키면서 관찰하여 3례는 2 , 3 일내에 회복되었으나, 1례는 1주일간 증상이 지속되 었다. 수술 후 배뇨 곤란이 당뇨군에서 1례, 대조군 에서 2례 있었으며, 이는 모두 여자 환자에서 발생하 였고, 보조기 착용하에 보행을 시작하면서 증상이 소 실되었다. 표재성 감염이 당뇨군에서 1례, 대조군에 서 1례 있었으나 상처 세척 및 변연 절제술로 치유 되었다(Table 5). 심부 감염은 없었다.

고 찰

척추강 협착증의 발생 빈도와 유병률은 명확히 알 려져 있지 않다1 0 ). 그에 비하여 당뇨의 유병률에 관 한 보고는 많다4 , 1 1 , 1 2 ). 이에 따르면 과거 3 0년간 한국 에 있어서의 당뇨병의 유병률의 증가는 폭발적이라 고도 할 수 있을 정도이며, Park 등1 1 )은 1 9 6 0년에는 0 . 2 %에 지나지 않던 것이 1 9 9 0년에는 3% 이상이 되 었고, 1993년 시행한 연천지구에서의 역학적 조사의 결과에서는 3 0세이상의 주민에서 8 %의 유병률을 보 이고 있다고 보고하였다1 1 ). 일본에서의 최근 역학적 조사에서도 한 지역에서 4 0세 이상의 주민의 당뇨 이 환률이 1 0 %라는 통계를 보여주었다1 2 ). 현재 영국이 3~4%, 독일이 4~5%, 미국의 백인에서 6~7% 등의 당뇨 유병률을 보이며, 최근 수십년간 큰 변동이 없 는데 비하여, 한국과 일본에서는 급격한 유병률의 증 가를 보이고 있다1 1 , 1 2 ). Fujimoto 등4 )은 하와이에서는 이미 1 9 5 8년부터 1 9 5 9년에 걸친 조사에서 아시아계 인구의 당뇨 유병률이 백인들의 유병률을 상회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분석에서 당뇨 환자가 전체의 2 4 %에 달한 것은 본원의 당뇨 센타에서 의뢰 받은 환자들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당뇨를 동반한 척추강 협착증 환자에서 반드시 확 인하여야 하는 질환이 당뇨병성 신경병증( d i a b e t i c n e u r o p a t h y )이다1 , 3 , 6 , 1 3 ). 1958년 Sullivan 등1 4 )에 의하여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신경근병증( r a d i c u l o p a t h y )과 다발성 신경병증( p o l y n e u r o p a t h y )이라고 하는 2가지 의 전혀 다른 자연 경과를 보이는 임상적 형태가 있 음이 발표되었고, 이는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분류방 법으로 현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90년 W a t k i n s1 7 )는 이를 진행성인지(progressive), 회복가능 한 형태( r e v e r s i b l e )인지로 나누어 진행성에는 대칭적 감각 신경병증(symmetrical sensory neuropathy)과 자 율 신경병증(autonomic neuropathy)이 포함되며, 회 복 가능형에는 단일 신경병증(mononeuropathy), 신

경근병증과 급성 동통성 신경병증(acute painful neu- r o p a t h y )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당뇨병성 신경근병증은 5, 60대의 환자에게 주로 발생하며, 운동신경의 이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통증이 있으며, 이상감각, 지각과 민 등이 동반된다. 통증은 밤에 악화되는 경향을 보 인다. 약 1 / 3의 환자에서 편측에 나타나고, 양측에 나타나는 경우도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인다. 경미한 경우에서 심한 경우까지 다양한 형태의 근력약화를 보이며, 체중감소가 흔히 나타난다. 신경근병증은 대 개 회복되며, 심한 통증은 6 ~ 1 2개월내에 호전되고, 남아있는 불편감도 약 3년에 걸쳐 회복된다. 근력약 화도 대체로 호전되어 경미한 근위축만이 남게 되는 경우가 많다2 , 1 7 ).

이와는 대조적으로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은 수년간에 걸쳐 매우 서서히 나타나며, 당뇨의 이환기 간에 비례하여 나타난다. 당뇨환자에게는 매우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이지만, 이환기간이 길다하여 모든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등과 같은 다른 합병증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 가 많다. 증상은 순수한 감각의 이상이 족부나 하퇴 부에 발생하며, 밤에만 증상이 있는 경우도 흔하다.

양측성이며 대칭적으로 나타나고 최초의 증상은 진 동 감각(vibration sense)의 소실인 경우가 많다. 다발 성 신경병증은 한번 나타나면 회복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2 , 1 7 ).

1 ), Bastron2 ), Cinotti3 ) 등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의심되는 경우 전기 생리학적 진단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전기 생리학적 검사에서 비 당뇨군에서 신경근병증의 소견을 보인 경우가 8 7 % 로, 박1 )의 90%, Cinotti3 )의 8 8 %와 유사한 결과를 보 였으며, 당뇨군에서 신경병증의 소견을 보인 경우가 5 5 %로, 박1 )의 47%, Cinotti3 )의 5 5 %와 비슷한 소견 을 보였다.

Simpson 등1 3 )은 당뇨 환자의 경우 수술 후 상처 치유가 늦다고 하였으나, 박 등1 )은 당뇨군과 대조군 과의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대상이 된 당뇨 환자의 대부분이 본원 당뇨 센터에서 혈당 조절을 해 오던 환자들로, 수술 후 감염 또는 상처 치유 지연 등의 합병증의 발생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 의 수술 결과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다.

1 9 9 3년 S i m p s o n1 3 ), 1998년 박 등1 )은 당뇨 환자에서 우수 또는 양호의 결과를 보인 경우가 각각, 39%, 6 2 %로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수술결 과가 나쁘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당뇨의 경우 당

(6)

뇨병성 신경병증 또는 신경근병증이 동반될 수 있으 며, 척추 신경 근의 미세 혈관에 변화가 있어 감압술 후에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을 수 있고, 당뇨환자의 경우 수술 결과에 대하여 지나친 기대를 갖는 경우 가 많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1 9 9 4년 C i n o t t i3 )는 당뇨 환자에서 7 2 %의 우수 또는 양호의 결과를 얻어, 80%의 성공률을 보인 비당뇨 환자와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저자 들도 당뇨환자와 비당뇨 환자간의 만족도에 통계적 인 차이가 없었다. 척추강협착증의 수술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신경성 파행과 이를 뒷받침하는 자기 공명 영상 또는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이며, 수 술을 시행한 경우 신경성파행을 없앨 수 있어 환자 의 운동능력이 크게 증가된다는 것이 환자들이 만족 하는 이유로 생각된다. 또한 당뇨병성 말초신경증은 척추강 협착증의 경과에 관계없이 진행하거나, 회복 되므로 수술전에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하고 동 의를 얻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이 수술후 만족도에도 관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1 9 9 5년 4월부터 1 9 9 8년 1 2월까지 요추부 척추강 협 착증으로 진단하고 감압술 및 고정술로 치료한 2 7례 의 당뇨환자와 2 7례의 비당뇨 대조군의 조사에서 다 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당뇨군의 71%, 대조군의 7 8 %에서 수술 후 만족 할 만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2. 당뇨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염, 상처 치유 지 연 등의 합병증의 발생이 높지 않았다.

3. 당뇨 이환 기간, 수술전 사용한 인슐린의 양과 수 술 후 결과와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4.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에서 가장 중요한 수술의 적응증은 신경성 파행과 전산화 단층 촬영 또는 자기 공명 영상에서의 신경 압박 소견이다.

REFERENCES

11) 박승림, 김형수, 강준순, 이우형, 이주형, 박승준: 요추부척추 강협착증과당뇨병. 대한척추외과학회지,5-1:9-17, 1998.

12) Bastron JA and Thomas JE : Diabetic polyradiculopa - thy. Clinical and electromyographic findings in 105 patients. Mayo Clin Proc, 56:725-732, 1981.

13) Cinnoti G, Postacchini F and Weinstein JN : L u m b a r spinal stenosis and diabetes. Outcome of surgical decom - pression. J Bone Joint Surg, 76-B:215-219, 1994.

14) Fujimoto WY, Bergstrom RW, Newell-Morris L and Leonetti DL : Nature and nurture in the etiolog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 Japanese Americans. Diabetes Metab Rev, 5:607, 1989.

15) Hirsh LF : Diabetic polyradiculopathy simulating lumbar disc disease. Report of four cases. J Neurosurg, 60:183- 186, 1984.

16) Katz JN, Lipson SJ, Larson MG, McInnes JM, Fossel AH and Liang MH : The outcome of decompressive laminectomy for degenerative lumbar stenosis. J Bone Joint Surg, 73-A:809-816, 1991.

17) Lee JH and McCarty R : Pain threshold in diabetic rats:effects of good versus poor diabetic control. Pain, 50:231-236, 1992.

18) Lenke LG, Bridwell KH, Bullis D, Betz RR, Baldus C and Schoenecker PL : Results of in situ fusion for isthmic spondylolisthesis. J of Spinal Disorders, 5:433-442, 1992.

19) Linn BS, Linn MW and Gurel L : 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J Am Geriatric Society, 16-5:622-626, 1968.

10) Martinelli TA and Wiesel SW : Epidemiology of spinal stenosis. Instructional Course Lecture, 179-182, 1992.

11) Park YS, Lee HK, Koh CS et al : Community-based epi - demiologic study on diabetes mellitus in Younchon County in Korea(Presented at IDF-WPR Congress 1993)

12) Sekigawa A, Tominaga M, Takahashi K et al : P r e v a - lence of diabete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 Funa - gata area Japan. Diabetes Care, 16:570, 1993.

13) Simpson JM, Silveri CP, Balderston RA, Simeone FA, and An HS : The results of operation on the lumbar spine in patients who have diabetes mellitus. J Bone Jonit Surg, 75-A:1823-1829, 1993.

14) Sullivan JF : The neuropathies of diabetes. Neurology (Minneap), 8:243-249, 1958.

15) Wakasugi M, Wakao R, Tawata M, Gan N, Koizumi K and Onaya T : BMD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Bone, 14(1):29-33, 1993.

16) Watanabe R and Parke WW : Vascular and neural pathology of lumbosacral spinal stenosis. J Neurosurg, 64:64-70, 1986.

17) Watkins PJ : Natural history of the diabetic neuropathies.

Quarterly J of Med. New Series, 77-284:1209-1218, 1990.

(7)

연구계획: 감압술 및 고정술로 치료한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 환자와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환자의 임상 증상, 수술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목적 : 당뇨를 동반한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 환자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 처럼 수술 후 결과가 나쁜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당뇨환자 내에서도 예후에 관여하는 인자가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4월부터 1 9 9 8년 1 2월까지 요추부 척추강 협착증으로 진단되어 수술 받은 1 4 7례 중 당뇨를 동반한 2 7례와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대조군 2 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환자의 증상, 이환 기간, 동반 이환률, 수술 분절수 등에 관하여 조사하였고, 당뇨환자의 경우는 여기에 당뇨의 이환 기간, 혈당강하제의 양, 당뇨 병성 신경증의 유무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수술후 합병증 및 임상 결과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당뇨를 동반한 환자 중 1 9례( 7 1 % )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고, 당뇨를 동반하지 않은 경우는 2 1례 ( 7 8 % )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당뇨 환자군에서 비당뇨 환자군에 비하여 염증, 상처 치유 지연 등의 합병 증의 발생률이 높지 않았다. 당뇨 이환 기간이나 수술 전 사용한 인슐린의 양은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 았다.

결론: 당뇨 환자군과 비당뇨 환자군에서 비슷한 수술 성공률을 보였다.

색인 단어: 척추강 협착증, 요추, 당뇨, 감압술 및 고정술 국 문 초 록

※ 통신저자 : 배 상 욱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1동 280-1

을지의과대학 노원을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Tel : 82-2-970-8257, 8260, 8036, Fax : 82-2-972-0068, E-mail : bsw@2402@eulji.or.kr

수치

Table 5. Postoperative Complications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The early result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were, to say the least, mixed. The quality of Extended Impact Assessments tended to be poor, and the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이것은 가 위로 유계가 아니라는 문제의 가정에 모순이다... 유리수의

수렴하는

하지만 여기서는 항번호가 자연수인 경우만 증명 하였다... 그러므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