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ffect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alance increase of women elderl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ffect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alance increase of women elderly"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이 여성노인들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영향

최재원*⋅정현애⋅김은비⋅류애리⋅박소영⋅조경미⋅오미희

*경북전문대학 물리치료과, 영남외국어대학 작업치료과

The effect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alance increase of women elderly

Jae-Won Choi, PT, PhD*, Hyun-Ae Chung, PT, OT, MS, Eun-Bi Kim, Ae-Ri Ryu, So-Young Park, Kyung-Mi Cho, Mi-Hee Oh

*Dept. of Physical Therapy, Kyung Buk College

Dept. of Occupation Therapy, Youngnam Foreign Language College

1)

ABSTRACT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in the elderly women.

Methods:The subjects were fifteen female citizens, 67 years of age or older living in G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Virtual exercise training group(n=9), control group (n=6). After treatment measured balance by Berg Balance scale test and One-leg stand test during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at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Result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Wii fit) after applying the Berg balance test scores and One-Legged Stance Test,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sults(p<05).

Conclusion: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s can be used to improve the balance of the elderly, as it has been shown to increase Berg balance test and one-leg stand results conducted after virtual training programs. Virtual Exercise Programs(Wii fit) were applied to demonstrate the effecting the balance of the elderly to promote more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ADL survey.

Key Words:Balance, Berg balance test, Elderly, One-Legged Stance Test, Virtual exercise training

교신저자:정현애, E-mail: cjc816@naver.com

논문접수일:2010년 6월 06일 / 수정접수일:2010년 8월 10일 / 게재승인일:2010년 8월 20일

(2)

I. 서 론

오늘날 사회, 경제 및 과학과 의학의 발달은 생활수 준의 향상과 개개인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 평균 수 명을 연장시켜,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노령화 시대를 초래하고 있다(박래준 등, 2002).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대두되는 사회적 문제는 노 인의 소득 감소로 인한 경제적 의존문제, 복합적인 만 성질환 및 각종 사고 등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의 증가 와 건강문제, 사회적 역할 상실과 사회로 부터의 소외 와 고독의 문제로 심각성을 거론하였다(최영희 등, 2006; Virk 등, 2006).

이렇게 급속한 고령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자세 이동과 균형 상실을 일으키게 되고, 시각, 전정기관, 고 유수용감각의 상실로 인해 물체를 정확히 보는 능력이 나 고유수용 감각기의 기능 저하는 자세동요를 증가 시 켜 균형정위 반응이 감소하게 되어, 자세변화 시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Lord등, 1991; Alexander, 1994).

노인 인구에서 낙상과 그로 인한 손상은 흔하게 볼 수 있는 문제라고 하였다(Jansson 등, 2004).

임상에서의 낙상은 노인이 지면에 넘어진 상태 또는 누워있는 것은 발견한 상태로 종종 정의되고 추가적으 로는 균형을 회복하기위해 의자 또는 계산대와 같은 인접포면에 비의도적인 접촉으로 종종 정의된다. 또한 낙상은 통계적으로 75세 이상 노인의 사고나 부상에 서 7번째 사망원인이라고 했다(Shumway-Cook과 H.

Woollacott, 2007).

노인에게 있어 균형능력의 감소는 낙상의 위험을 증 가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때문에 노인에게 낙상의 가능성 증가와 관련 있 는 균형반응의 향상은 낙상을 방지하고 노인의 생활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Harada 등, 1995). 균형은 우리의 체간분절에서 변화하는 중력 의 영향에 동적으로 대항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능 력(Catherine, 2008)으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자세 조절 능력은 대부분의 일상생활 활동의 성공적인 수행 을 위하여 필수적이다고 하였다(Cohen 등, 1993). 자

세의 불균형은 신체적 안전을 위협하고 안전에 대한 두 려움 때문에 스스로 활동을 제한하도록 하고, 이로 인 해 불행하게 힘든 생을 마감하는 사례가 적지 않는 만 큼 노인들이 경험하는 가장 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때는 불안정을 경험하지 않다가 일어서거나 걸어 갈 때 불안정이나 어지러움을 경험하 는 것이다.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매일의 일상생활을 수 행하는 데 필요한 균형의 유지는 질병, 약물, 관절의 노화와 관계 될 수 있으며, 균형능력의 상실은 신체적 안전을 위협하고, 안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스스로 활동을 제한하게 한다(김정자, 1989; 이석준 등, 2007).

새로운 운동기술을 학습하고자 할 때 그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정보 중에서도 시각이나 자기 수용감각을 통한 감각 피드백은 운동수 행과 학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비디오나 컴퓨터 모니터, 사진 등과 같은 영상매체는 학습자의 운동수행에 대한 수행지식을 제공하는 데 매우 유용하 게 사용되고 있다고 했다(김선진, 2009).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콘솔 게임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쉽고 간편하게 다양한 운동의 적용이 가능한 가상현실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Flynn 등, 2007). 또한, 가상현실은 흥미와 재미를 유 발하여 사용자 스스로 동기부여가 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Flynn 등, 2007).

이에 본 연구는 일반가정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인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이 노 인들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 펴보기 위한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II. 연구 방법

1. 연구절차와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2010년 5월 12일부터 6월 14일까지 5주 에 걸쳐 주당 4일간 진행되었다. 노인 1인당 평균 총 16회씩을 평균 74.25세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 한국닌텐도주식회사, 한국) 인 밸런스 게임을 실시하였다.

(3)

일반적 특성 연 령 대조군 실험군

여성

65세 이상∼70세 미만 1(명) 1(명)

70세 이상∼75세 미만 4(명) 3(명)

75세 이상∼80세 미만 2(명) ⋅

80세 이상∼85세 미만 1(명) 2(명)

평 균 74.12(세) 74 (세)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Ⅰ

프로그램명 운동 방법 운동 목적

헤딩 몸을 좌우로 움직여 연속해서 날아오는 축구공에 헤딩을 하여 공

을 맞추는 게임 체중이동을 통한 정적, 동적균형능력

증진과 하지 근력 증가, 보행 능력 증진

스키 몸을 좌우로 움직여 깃발 사이를 통과하는 게임

스키 점프 무릎과 허리를 약간 구부리고 체간의 균형을 맞추어 서 있다가 시 점에 맞추어 무릎과 허리를 펴서 균형을 유지하는 게임

표 2.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

참가자는 여성 노인 총 14명으로 대조군 8명, 실험 군 6명으로 구성 하였으며 참가자의 대조군 평균 연령 은 74.12세이고 실험군 평균 연령은 74세며, 실험군 참 가자의 훈련은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을 실 시하였다 <표 4>. 모든 참가자에게 훈련프로그램의 주 지사항을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 인지능력에 대한 평가 를 위해 실험 첫 주에 MMSE-K, ACLS 검사를 실시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로 선출하였다. 둘째 주에 균형 검사 평가도구(Berg)점수와 한발 서기 검사 (OLST)를, 그 후 셋째 주부터 실험군은 운동 훈련 프 로그램(Wii fit)을 5주 동안 실험을 진행되었으며 실험 종료 후 다시 균형 검사 평가도구(Berg)점수와 한발 서 기 검사(OLST)를 실시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북 경산시에 거주하고 있는 67세 이상 여성 노인 18명이다.

처음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 대상자는 대 조군 9명, 실험군 9명으로 나눠 실시하였으나 중도에 포기한 실험군 3명, 대조군 1명이 있어 대조군 8명, 실 험군 6명으로 전체 14명이 실시되었다 <표 1>.

실험에 들어 가기 앞서 검사자는 인터뷰를 통해 과 거 병력 및 현재 직업, 건강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일상

생활을 수행하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서 연구 참 여에 동의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선정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균형과 운동성 평가를 방해하는 시각과 전정기관 에 장애가 없는 노인

(2) 불균형과 넘어짐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학적 질환 이 없는 노인

(3) 운동 수행에 제한을 주는 통증이 없는 노인 (4)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 노인

3. 연구설계 및 연구 내용

본 연구의 전체 진행 일정은 2010년 3월 10일부터 2010년 6월 18일까지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무작위 선 정하여 사전측정, 중재, 사후 측정을 하였다.

연구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이 인지측정, 균형측정,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 사후 균형측정으로 구성된다.

1)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

이 연구에 사용된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 은 Wii 보드 밸런스 시스템으로 균형판이 동작을 인식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대상자가 균형판에 체 중을 이동하거나 유지함에 따라 TV스크린에 비치는

(4)

가상의 상황에 적용된다.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은 요가, 근력운동, 유산소운동, 밸런스 게임으로 구 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가상 운동 훈련 프로 그램(Wii fit)은 밸런스 게임 중 헤딩, 스키와 스키 점 프를 선택하였다. 훈련은 5주 동안에 주당 4일간(화, 수, 금, 토) 노인 1인당 평균 총 16회 동안 20분간 실시하 였다.

실험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 <표 2>과 같다.

2) 인지측정

(1)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검사(Mini-Mental Status Exam: MMSE-K)

MMSE-K는 1975년 미국의 Folstein이 개발한 MMSE 를 권용철과 박종한(1989)이 우리말로 번안하여 표준화 한 것으로 노인의 인지 손상을 판별하고 이를 정량적으 로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민 지원 등, 2003; 오민아 등, 2003).

시간에 대한 지남력 5점, 장소에 대한 지남력 5점, 기억 등록 3점, 기억 회상 3점, 주의 집중 및 계산 5 점, 언어 기능 7점, 이해 및 판단 2점으로 이루어져 있 다(권용철과 박종한, 1989). 검사 결과 0∼30점까지로 나타나는데, 24점 이상은 ‘확정적 정상’, 19점 이하는

‘확정적 치매’, 20∼23점 ‘치매 의심’으로 판별된다. 교 육을 받지 못한 노인들의 경우 시간에 대한 지남력 1 점, 주의 집중 및 계산에 2점, 언어기능에 1점씩 가산 해 교정한다(권용철과 박종한, 1989).

(2)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ACLS)

ACLS는 1985년 알렌 인지 배터리(Allen Cognitive Battery)의 한 부분으로 인지기능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세 개의 서로 다른 바느질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 해 인지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검사시간의 제한은 없 으나 약 20∼30분 정도 소요되며, 가죽판 한 개(시각적 인 문제가 있을 경우 큰 크기의 가죽판; Large-ACLS 으로 시행 할 수 있음), 가죽끈에 사용되는 Perma - Lok 바늘 두 개, 가죽끈 두 개, 한 쌍의 왁스칠 된 실 과 바늘로 구성되어 있다. 난이도가 증가하는 홈질 (Running stitch), 감침질(Whipstitch), 코도반 바느질

(Single cordovan stitch)을 검사자의 시범과 지시에 따 라 순서대로 실시한다. 점수는 3.0∼5.8까지 이며, 점수 가 높을수록 높은 인지 수준을 나타낸다(Earhart 등, 2000). 검사자간 신뢰도는 95%,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75로 나타났다(Newman, 1987).

3) 균형 측정

(1) Berg 균형척도검사

본 연구에서 균형 유지능력 중 동적 균형을 평가하 기 위해서 Berg 균형척도를 이용하였다.

이 검사는 Berg가 노인의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개 발한 검사(Berg, 1989)로서 14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크게 앉기, 서기, 자세변화의 3개 영역으로 나뉘고 5점 척도(0∼4점)로 14개 항목에 대한 총 합은 56점이다.

앉기 항목은 등받이에 기대지 않고 바른 자세로 앉기, 서기 항목으로는 잡지 않고 서있기, 두 눈을 감고 잡지 않고 서있기, 두 발을 붙이고 잡지 않고 서있기, 한 다 리로 서있기, 왼쪽과 오른쪽으로 뒤돌아보기, 바닥에 있 는 물건 잡기, 한 발 앞에 다른 발을 일자로 두고 서있 기, 선 자세에서 앞으로 팔을 뻗쳐 내밀기, 자세변화 항목으로는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선 자세에서 앉기, 의자에서 의자로 이동하기, 제자리에서 360° 회전하기, 일정한 높이의 발판 위에 발을 교대로 놓기로 구성되 어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균형정도가 좋은 것으로 평 가한다.

Berg 균형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손잡이가 있는 의자, 손잡이가 없는 의자, 초시계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 의 측정자간 신뢰도 계수는 0.98이고 측정자내 신뢰도 계수는 0.97이고 특이성(84%)과 민감도(78%)도 높게 나타나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다(남상남과 최규한, 2003).

(2) 한발 서기 검사(One-Legged Stance Test) 균형유지 능력 중 정적 균형을 평가하기 위해서 한 발 서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를 시행하기 전 측정 자가 검사 자세를 보여 주었다. 대상자에게 팔짱을 끼 고 두발로 선 상태에서 한쪽 발을 들어 올리도록 지시 하였다. 이 때 다리는 각 각 왼 쪽과 오른 쪽 다리의

(5)

특성 구분 대상자 백분율(%)

학력

무학 초졸 중졸

9 3 2

64.3 21.4 14.3

종교

무교 불교 기독교 천주교

2 9 1 2

14.3 64.3 7.1 14.3 배우자

유무

유 무

8 6

57.1 42.9

직업 주부

농사

6 8

42.9 57.1

계 14 100

표 3.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Ⅱ

Pre(M±SD) Post(M±SD) t-value p

버그균형검사 눈뜨기 왼쪽 눈뜨기 오른쪽

눈감기 왼쪽 눈감기 오른쪽

54.16± 1.83 16.65±10.32 16.65±12.02 4.78± 1.83 4.32± 0.72

55.16± 1.32 20.99±12.62 25.50±12.82 7.60± 2.34 6.37± 1.93

2.739 1.065 2.805 2.889 2.961

.041*

.336 .038*

.034*

.031*

*p<.05, **p<.01

표 4. 실험군의 균형능력의 변화

슬관절을 90° 굴곡 시켜 들어 올리도록 하였고, 이 자 세를 계속 유지하도록 지시하였다. 이 검사는 눈을 뜬 상태와 눈을 감은 상태 두 가지 형태로 측정하였고, 눈 을 뜬 상태에서 검사를 먼저 시행하였다. 시간 측정은 대상자가 한 발을 들었을 때부터 시작하여 체중을 지지 하지 않은 다리가 바닥에 닿거나, 슬관절을 90°로 유지 를 하지 못하였을 때의 시간으로 하였다. 측정값은 3회 측정 중 가장 오랫동안 자세를 유지한 값을 선택하였다 (장문영과 이윤주 1999).

4. 자료 처리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window SPSS versio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조군과 실험군과의 균형훈련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양측 t- 검정을 사용 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 a는 0.05로 하 였다

III.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 <표 3>

와 같다. 교육수준별 분포를 보면 무학9명(64.3%), 초 졸 3명(21.4%), 중졸 2명(14.3%)으로 무학이 가장 높 은 분포를 차지하였다. 종교에서의 분포는 무교 2명 (14.3%), 기독교 1명(7.1%), 천주교 2명(14.3%)인 반 면, 불교 9명(64.2%)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차지하였 다. 배우자 유무 분포는 8명(57.1%)은 있다. 6명(42.9%) 없다고 나타났다. 직종별 분포를 보면 농사가 8명

(57.1%), 주부 6명(42.9%)이었다.

2. 실험군의 균형능력 변화

실험군의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적용한 후 의 균형 검사 평가도구(Berg)점수와 한발 서기 검사 (OLST)점수의 실험군의 결과는 다음 <표 4>과 같다.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적용한 후의 균형 검사 평가도구(Berg)점수와 한발 서기 검사(OLST) 결 과는 버그 균형검사와 눈뜨고 오른발로 서기, 눈감고 왼발로 서기, 눈감고 오른쪽 발로 서있기 항목에서 유 의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3. 대조군의 균형능력 검사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적용하지 않은 대조 군의 실험 전⋅후의 균형 검사 평가도구(Berg)점수와

(6)

Pre(±SD) Post(M±SD) t-value p 버그균형검사

눈뜨기 왼쪽 눈뜨기 오른쪽

눈감기 왼쪽 눈감기 오른쪽

49.12±4.73 7.40±6.85 10.84±9.20 5.28±3.14 4.21±2.44

48.37±3.15 6.51±6.11 9.26±7.22 3.51±2.50 3.52±1.94

.453 2.937 2.187 1.962 1.222

.664 .022*

.065 .091 .261

*p<.05, **p<.01

표 5. 대조군의 균형능력 변화

한발 서기 검사(OLST)의 대조군의 균형능력 검사결과 는 <표 5>과 같다.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적 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실험 전⋅후의 균형 검사 평가 도구(Berg)점수와 한발 서기 검사(OLST)평가 결과 눈 뜨고 왼쪽발로 서 있는 항목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 다(p<0.05). 이는 평가 대상자의 컨디션이나 평가당일 의 외부적인 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IV. 고 찰

본 연구에서는 일반가정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인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이 노 인들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그 결과 가상 운동 훈련에 참여했던 대상자들의 정적⋅동적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는 효과 를 나타내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시각, 청각 등의 감각기관의 장애, 신장의 능력저하, 근력감소, 균형감소 등이 있다 (Pedretti와 Farly, 2002). 노화로 인한 균형유지 능력 감소는 인지기능과 관련성이 있으며(Stelmach 등, 1989), 적절한 균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전정기능, 시각정보, 고유감각, 근골격계, 인지능력들의 상호작용이 요구된다 (Werni ck - obinson, 1999).

Heller(2005)는 운동성 증진을 목적으로 자세 훈련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시행하여 전통적인 서기 균 형훈련에 의한 방법에서 보다 보행 패턴 및 보행 속도 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고 했다. 가상 운동 훈련프로 그램이 시각과 고유수용성 피드백을 이용한 훈련으로 시행 전⋅후 정적⋅동적 균형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나 타낸 결과는 나아가 운동성 증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

어 위 연구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조미숙과 이동엽(2007)은 체중부하를 이용한 바이오 피드백 훈련이 편마비환자의 훈련전-후 서기 균형변화 에서 3개월 미만의 환자에서는 눈을 뜬 상태에서 유의 한 차이는 없었고,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유의한 차이 가 있었고, 6개월 이상 된 환자군에서는 눈을 감은 상 태와 눈을 뜬 상태 둘 다 유의한 차를 보였다. 본 연구 에서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했기에 5주간의 짧은 훈련을 통해서도 눈뜨고 왼발로 서기만을 제외하고는 다른 상 황에서는 유의성이 있었다. 이는 우세발에 따라 영향이 있을 수 있어, 우세발에 대한 사전검증이 없었던 점이 아쉽다.

Sihvonen 등(2004)도 가상현실 운동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훈련을 한 결과 노인 여성들이 균형을 유지하면 서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적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을 증 진시킬 수 있다고 했다.

가상 현실 프로그램은 기억장애, 환측무시 및 집중력 장애 등의 인지⋅지각 장애를 가진 환자에게 실제 상 황에서 필요한 집중적인 인지 치료와 일상생활 훈련에 효과가 있다고 했다(Cunningham과 Krishack, 1999).

가상현실 게임을 이용해 노인의 균형훈련효과에 대해서 홍소영(2010)은 6주간 균형의 변화에서 정적, 동적 균 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비디오를 통한 율동적 동작훈련을 규칙적으로 실시 하면 노인의 신체적 기능이 증진되고, 흥미유발과 스트 레스 감소로 대상자의 심리적 기능도 증진 될 것으로 기대 된다(노국희, 2003). 이는 가상운동 훈련 프로그 램이 단순한 훈련이 아닌 게임형식으로 되어 있어 실험 군의 흥미를 고취시킬 수 있었으며, 노인들이 쉽게 접 하기 힘든 스키와 헤딩을 가상으로나마 접하게 된 것에

(7)

심리적 지지도 증진시켜 의사소통의 기회를 증진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본다.

가상운동 훈련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발판은 민감 도가 높아 고관절이나 팔을 사용하는 것은 점수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있다. 체중과 발목조절을 더 요 구하게 되어 있어, 노인들의 균형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뒷받침 하는 또 다른 연구로 Sihvonen

& Sipila Era(2004)는 가상현실 운동 후 정적 균형능 력이 개선되었다고 했는데, 특히 전후 자세동요에서의 감소율 보다 좌우 자세동요에의 감소율이 크게 나타났 다고 했다.

Geiger 등(2001)은 동적 안정성은 안정성 한계 안에 서 움직임과 관련된 것으로 대부분 전후 또는 좌우면에 대한 체중이동 또는 컴퓨터 화면에 보이는 목표물에 대 한 체중 이동이 요구되는 활동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노령화가 되어감에 따른 기능감소가 뒤따르는 노령 층에 독립적 생활에 필수적인 균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노인인구의 특성에 맞게 보다 전문성을 띄 도록 개발 될 필요성이 있다.

V. 결론 및 제한점

가상현실 게임(Wii fit)은 일종의 가상 학습공간을 구 축하고 있다. 가상 학습 공간은 물리적, 경제적 제한점 을 개선할 수 있으며,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학 습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흥미 및 동기유발을 할 수 있고, 안전하고 다이내믹한 가상공간 내에서 다양한 공간감각을 기를 수 있다(차은미 등, 2007).

본 연구에서는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을 적용한 전⋅후의 균형 검사 평가도구(Berg)점수와 한발 서기 검사(OLST)평가 결과 실험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상자의 인원이 적고 적용 기간이 짧았으며, 신체적 컨디션과 개인의 사생활을 고 려하기 힘들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 활동의 참여, 빈도에 차이가 있 었고, 대상자를 여성으로만 적용했다는 점 등이 본연구 의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무리가 따른다고 하겠다.

라포 형성을 위해 많은 시간할애로 인해 본 프로그 램(Wii fit) 적용시간 및 기간이 짧고 노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없어 비교하는 부분에 한계가 있 었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상호간의 비교 분 석이 이루어지면 보다 명확한 훈련 효과를 얻게 될 것 으로 기대된다.

참 고 문 헌

권용철, 박종한. 노인용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 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한국정신의 학협회지. 28: 125-135, 1989.

김선진. 운동학습과 제어. 대한 미디어. 2009.

김정자. 노인층인구의 건강문제와 관리실태 및 개선방 안. 대한간호학회지. 28(2): 78-95, 1989.

노국희. 비디오를 통한 율동적 동작훈련이 노인의 보장, 보행속도, 동적균형,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 과. 재활간호학회지. 6(1): 70-78, 2003.

민지원, 유봉구, 김광수, 유경무. 한국판 MMSE를 이용 한 간질환자의 인지기능평가. 고신대학교 의학부학 술지. 18: 68-72, 2003.

박래준, 김상수, 김용건, 박돈목, 한동욱. 수중운동이 노 인여성의 한발서기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 물리치료학회지. 14(1): 89-98, 2002.

오민아, 신윤오, 이태용, 김정선. MMSE를 이용한 도시 지역 노인들의 인지기능검사성적. 충남의대잡지.

30: 101-113, 2003.

이석준, 현재환, 이용수, 이현주, 이현정, 정재윤, 이정 구. 엑서사이즈볼을 이용한 평형운동이 노인의 평 형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평형의학회지. 6(2):

132-137, 2007.

장문영, 이윤주. 노인의 균형유지능력과 시지각능력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지, 7(1): 68-74, 1999.

조미숙, 이동엽. 체중부하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훈련 이 3개월 미만군과 6개월 이상 된 편마비 환자의 서기 균형과 보행능력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지, 46(3): 123-142, 2007.

(8)

차은미, 이경미, 이정옥. 유아의 공간감각향상을위한 가 상학습공간구축. 한국콘텐츠학회지. 7(6): 154-160, 2007.

최영희, 신경림, 고성희, 공수자, 공은숙, 김명애. 노인 과건강. 현문사. 2006.

홍소영 가상현실게임을 이용한 노인의 균형훈련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8(1): 55-64, 2010.

Alexander, N.B. Postural control in older adults. J Am Geriar Soc., 42: 93, 1994.

Berg, K., Balance and its measure in the elderly : A review. Physiotherapy Canada. 41(5): 240- 246, 1989.

Catherine A., Mary V.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6th. Lippincott Willians

& Wilkins. 2008.

Cohen H., Blatchly, CA., Gombash, LL., A study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and balance. Journal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73(6): 346-354, 1993.

Cunningham D., Krishack M. Virtual reality promotes visual and cognitive function in rehabilita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2(1): 19-23, 1999.

Earhart, C., Pollard, D., Allen, CK., & David, S.

Allen Cognitive Level Screen 2000 Test Manual.

Colchester, CT: S&S/Worldwide. 2000.

Flynn, S., Palma, P., & Bender, A.. Feasibility of using the Sony PlayStation 2 gaming platform for an individual poststroke: a case report.

Journal of neurologic physical therapy. 31(4):

180-189, 2007.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with and without biofeed- back 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81: 995- 1005, 2001.

Harada N, Chiu V, Fowler E, et al. Physical therapy

to improve functioning. Phys. Ther., 75(9):

830-839, 1995.

Heller F., Beuret-Blanquart F., Weber J. Postural biofeedback and locomotion reeducation in stroke patients. Ann Readapt Med Phys, 48(4):

187-195, 2005.

Jansson, S., Soderlund, A.A. New treatment programme to improve balance in elderly people and evaluation programme in five elderly women with a felling of unsteadines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6(24): 1431-1443, 2004.

Lord, S.R, Clark, R.D., & Webster, I.W. Physio- 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in an elderly population J Am Geriatr Soc. 39: 1194 -1200, 1991.

Newman, M. Cognitive disability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chronic schizo- phrenic disorders. Los Angele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87.

Pedretti, L. W., & Early, M. B.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

St. Louis: Mosby Co. 2002.

Shumway-Cook. H. Woollacott. Motor Control 3rd. Lippincott Willams & Wilikins. 2007.

Sihvonen S. E., Sipila S., Era P. A. Changes in postural balance in frail elderly women during a 4-week visual feedback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erontology, 50(2): 87-95, 2004.

Stelmach GE, Phillips J, Di Fabio RP, et al. Age, functional postural reflexes and voluntary sway.

J Gerontol. 44: 100-106, 1989.

Virk, S., McConville, K. M.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in improving postural control and minimizing falls.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1: 2694-2697, 2006.

참조

관련 문서

Taken together, by applying physical strength exercise program to the elite table tennis players we can conclude that physical strength exercise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In conclusion, applications of combined exercise, which can be easily carried out in one’s daily life for elderly women, would be helpful for their

Modern society is rapidly aging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and elderly population increase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a Vinci body board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body balance and physical stress of women with body imbalance.. Fo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8-week GX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stress index, blood lipid and APG

Third, for the change in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cor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the cor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vel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8-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physical strength and stress of obese women in the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winter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by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the physical fitnes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