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 학회지 > 우리나라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의 지역 간 변이와 관련 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 학회지 > 우리나라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의 지역 간 변이와 관련 특성"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건강은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누구나 보장받 아야 할 기본 권리이고, 국가는 이러한 인간의 존엄성을 지 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하여야 한다.1,2) 보건의료기본법 제10조에서는 ‘모든 국민은 성별, 연령, 종교, 거주지역, 사회적 신분 또는 경제적 사정 등을 이유로 자신 과 가족의 건강에 관한 권리를 침해받지 아니한다’라고 규정 함으로써3) 건강권의 차별이 없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

한 건강형평성의 개념은 사회경제적 계층 간 차이가 없어야 함을 중심으로 주로 논의되어 왔었으나, 최근에는 지역적 건 강형평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개발이 활성 화되어 지역의 구분 없이 사회경제적 수준이 향상되고, 전 국민 의료보험, 보건의료 인력 및 시설의 양적 성장이 의료 이용의 접근성 개선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아직 지역적 접근 성의 문제가 상존하고 있으며, 의료자원의 지역 간 불균형의 문제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4)

구강건강 역시 보장받아야 할 기본 권리이며, 구강건강은

Regional Variations and Related Factors of Mastication Difficulty Rate among the Korean Elderly

Ranhee Kim1,2, Ji Man Kim3, Chong Yon Park4, Keun-Young Park4, Changwoo Lee1, and Euichul Shin1,5

1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2Seoul Dental Hospital for the Disabled, Seoul, Korea

3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onju, Korea

4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Seoul, Korea

5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우리나라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의 지역 간 변이와 관련 특성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1,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2, 건강보험심사평가원3, 한국보건의료연구원4,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5

김란희1,2·김지만3·박종연4·박근영4·이창우1·신의철1,5

Received November 28, 2018 Revised December 26, 2018 Accepted December 30, 2018 Address for Correspondence:

Euichul Shi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222 Banpo-daero, Seocho-gu, Seoul 06591, Korea Tel: +82-2-2258-7365 Fax: +82-2-2258-7742 E-mail: eshin@catholic.ac.k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gional variations of mastication diffi- culty rates in the elderly over 65 in 229 primary autonomous districts in Korea and explore relevant characteristics. For the research data, local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in 2015 and data from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Statistics Korea were used. Method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r general char- acteristics and mastication difficulty rates of each region, and distribution of mastication difficulty rates was displayed for each town, city and province by mapping them. Extremal quotient (EQ), co- 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s were calculated for regional variation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mastica- tion difficulty rates. Results: The average of standardized mastication difficulty rate was 46.78%, and regional variations were significant with EQ 3.46, CV 0.18. Characteristic factors that have sig- nificant effects on mastication difficulty rate included sex ratio, elderly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dentists per 10000 people. Conclusion: As a result, there were variations among mastication difficulty rates in 229 primary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the distri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environment by region affected mastication difficulty rates.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provide political supports to overcome regional inequality of oral health levels and develop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local dentists.

Key Words Aged · Oral regional variations · Standardized mastication difficulty rate.

J Health Tech Assess 2018;6(2):100-105 ISSN 2288-5811 Copyright © 2018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The Korean Association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Original Article

JoHTA

(2)

건강과 웰빙, 삶의 질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로 일생의 건강한 삶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5) 특히 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구강건강이 주목받고 있으며, 노화로 인한 구강 내 기능 저하와 전신질환에 따른 복용 약물 증가 등과 같은 이유로 노인의 구강질환은 젊은 사람에 비하여 복잡하게 나 타나는 특성을 지닌다.6)

노인의 대표적인 구강질환은 치주병, 치아우식증, 구강건조 증이 있다. 60세 이상 노인의 50% 이상이 치주질환을 앓고 있 으며,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20% 이상으로 보고되었다.6) 주병은 만성질환이며 치아동요 및 통증, 치아상실과 직접적 으로 관련이 있고, 치아우식증은 비가역적인 질환이며 통증 및 치아상실의 주된 원인이다. 구강건조증은 65세 이상 노인 에서 약 30% 정도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강건조 증이 있으면 저작과 연하, 의치 착용 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7) 이러한 구강질환으로 인하여 치아의 주 기능인 저작 능력이 떨어지게 되는데, 노인의 자연치아 수는 2014년 평균 19.7개로 합리적인 저작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기준으로 알 려진 20개에 근접하여 긍정적인 변화 양상을 보이나,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은 40% 이상으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보고 되었다.8)

저작불편 호소란 치아나 틀니, 잇몸 등 입안의 문제로 음 식을 씹는데 어려움이나 불편함을 느끼는가의 주관적인 판 단을 말하며, 저작불편으로 인한 저작능력 감소는 섭취장애 로 이어지게 된다. 저작 불편군은 저작 용이군에 비해 거의 모 든 영양소의 섭취와 식품군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으며,9) 저작 시 불편이 있는 집단이 체질량 지수가 낮다.10) 따라서 저 작불편 호소는 전신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11) 의료기관 방문의 결정 주체가 환자라는 점 에서 저작불편 호소율은 일차적인 구강건강 삶의 질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이며,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은 구강상 태에 대해 보다 정확한 예측인자로 구강질병부담 정도에 대 한 역학적 지표로써 사용될 수 있다.12) 이에 저작불편 호소율 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한 구강보건의 이슈로 인식되어 관리되고 있다.

제1차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소득수준에 따른 구강건강 불평등 격차는 감소 추세이나, 거주 지역에 따른 격 차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 간 구강건강 불 평등은 생애 전반기부터 누적되어온 자원과 경험의 차이가 극대화된 결과로,13) 해당 지역의 보건의료자원의 분포와 지 역환경 특성과의 연관성이 높다.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역 간 구강건강 수준에 차이가 없어야 한다는 것은 보건의 료체계가 추구하는 형평성의 한 목표이다. 현재까지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와 관련 특성의 대부분의 연구가 개인 수준에

서 형평성을 분석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는 우 리나라 229개 기초자치단체의 65세 이상 노인의 저작불편 호 소율의 지역 간 변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특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 법

연구 대상

이 연구는 2015년 8월 31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2개월간 전국에서 수행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지역 의 성비, 연령 정보는 행정안전부의 2015년도 주민등록 인 구통계 인구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재정자주도는 행정안전부 지방재정통합공개 자료를 사용하였다. 지방세 는 행정안전부 2016 지방세 통계연감을 참고하였다. 기초생 활 수급자 비율은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 황을 사용하였으며 구강보건센터 설립여부와 수돗물 불소 화 사업 시행여부는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 업안내를 참고하였다. 치과의사 수와 치과 병의원 수는 국민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의료이용 통계연보를 사용하였다. 보건소 구강보건인력 및 65세 이상 노인의치사 업 시행자 수는 통계청의 각 지역 기본통계 자료를 사용하였 으나, 일부 지역에서만 2015년 자료가 공개되어 모든 지역의 데이터가 공개된 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를 제외한 모 든 자료는 2015년의 수치를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의 지역 간 변이를 파악하기 위해 기초자치단체 229개 지역을 비교하고 관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는 기초자치단체의 노인 인구 중 저작불편을 호소하는 인구의 비율(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로 하였다.

저작불편 호소는 저작 시 어려움이나 불편함을 어느 정도 느끼는가의 주관적인 판단을 의미하며, 틀니 또는 치아교정 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느끼는 어려움이나 불편함의 정도를 포함한다. 이때 틀니는 전체 및 부분 틀니 모두를 의미한다.

저작 시 어려움이나 불편함은 ‘현재 치아나 틀니, 잇몸 등 입 안의 문제로 음식을 씹는데 어려움이나 불편함을 느낍니까’

라는 문항에 ‘그저 그렇다’, ‘별로 불편하지 않다’, ‘전혀 불편 하지 않다’로 응답한 경우를 제외하고 ‘매우 불편하다’, ‘불편 하다’에 응답한 경우를 포함하였다.

지역의 인구학적 특성은 남성비와 노인 인구 비율을 포함 하였다. 남성비는 여성 100명에 대한 남성의 수이며, 노인 인구 비율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인 인구의 비율로 정의하 였다.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전문대학 이상 졸업률, 기초

(3)

생활 수급자 비율, 재정자주도, 일 인당 지방세, 도시화 정도 를 사용하였다. 전문대학 이상 졸업률은 전체 인구 중 전문대 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비율이며, 기초생활 수급자 비율 은 기초생활보장 총 수급자 수를 주민등록 인구 수로 나눈 비율로 정의하였다. 재정자주도는 자체수입과 자주 재원을 자치단체 예산 규모를 나눈 값으로 백분율로 이용하였다. 일 인당 지방세는 지역의 지방세의 합을 해당 인구로 나눈 값 으로서 지역의 경제 수준을 대리할 수 있다.14) 도시화 정도는 시군구로 구별하여 특별시와 광역시의 구는 구, 각 도의 중 소도시는 시・군 지역은 군으로 구분하였다.

지역의 보건자원 관련 특성은 인구 만 명당 치과의사 수, 인구 10만 명당 치과 병의원 수, 보건소 구강보건 전문 인력 의 수를 사용하였다. 인구당 치과의사 수와 치과 병의원 수 가 많을수록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이 원활함을 의미한다. 지 역의 구강보건사업 관련 특성은 구강보건센터 설립여부와 노인의치보철사업 시행자 수,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이 하 수불사업) 시행여부를 포함하였다. 구강보건센터는 보건 소의 구강 보건실을 확대・전환하여 인적・물적 토대를 강 화한 곳으로, 보건지소와 보건소로 분산되어 있는 진료체계 를 보건소 구강보건센터 중심의 조직적이고 효율적인 구강 보건진료 사업 구조로 변화 도모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구강건강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여 취약계층에 대한 구강진료를 활성화하여 지역주민의 구강 건강 형평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15년 12월 기준으로 전국 51개 설치되어 있다. 보건소 주요 사업 중 하나인 노인의치보철사업은 만 65세 이상 국민기초 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건강보험 전환자를 대상으로 완전의 치와 부분의치 시술 비용 및 사후관리를 지원해주는 사업이 다. 수불사업이란 정수장에 불소첨가기를 설치, 수돗물 불소 농도를 적정농도(0.8 ppm)로 조정하여 지역주민에게 음용 하게 함으로써 치아우식증을 예방하여 국민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하는 사업이다.15) 이 연구에서는 수불화사업 수행 변수로 서 수불사업을 현재 시행하는 지역과 시행하고 있지 않은 지 역으로 구분하였다.

지역의 건강 수준 및 행태 관련 특성으로 현재 흡연율, 고 위험 음주율, 복합 만성질환 이환율을 사용하였다. 현재 흡 연율은 평생 5갑(100개비) 이상 흡연한 사람으로서 현재 ‘매 일 피움’ 또는 ‘가끔 피움’으로 응답한 사람의 분율을 사용하 였다. 고위험 음주율이란 최근 1년 동안 음주한 사람 중에서 남자는 한 번의 술자리에서 7잔 이상(또는 맥주 5캔 정도), 여 자는 5잔 이상(또는 맥주 3캔 정도)을 주 2회 이상 마시는 사 람의 분율로 정의하였다. 복합 만성질환 이환율이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관절염, 천식, 비염을 의사로부터 2개 이

상 진단받은 사람의 분율로 정의하였다.

지역 간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에 변이가 있는지 살펴보 기 위해 extremal quotient(이하 EQ), coefficient of variation (이하 CV)을 산출하였다. EQ란 최댓값과 최솟값의 비를 의 미하는 것으로 변이를 관찰하는데 있어서 CV와 함께 사용 된다. 변이의 범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극한값의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16) CV는 표준편차를 산 술 평균으로 나눈 것으로, 평균을 중심으로 관찰 값들의 변 동을 나타내며 숫자가 클수록 상대적인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변이를 분석하는 연구에서 가장 자주 이용되는 지 표로 선행연구와 비교가 쉬운 장점이 있다.17)

각 독립변수와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과의 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 gression)을 수행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은 종속변수가 이 분형 변수일 때 시행하는 것을 가정하므로 호소율을 계산하 는 데 사용되는 분자인 저작불편 호소자수와 분모 각 지역의 총 응답 수를 0과 1의 이분형 데이터로 바꿔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는 일반화 선형모델(Generalized Linear Model)을 이 용하였다.

통계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는 주 연구자가 속한 기관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MC17ZNSI0102) 을 받은 후 진행하였다.

결 과

연구 대상 229개 지역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인구 학적 특성 중 남성비는 평균 100.5%로 남성비가 가장 높은 곳은 인천광역시 옹진군(128.2%)이었다.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은 평균 17.9%로 노인 인구가 가장 낮은 곳은 울산광역 시 북구(6.2%)이었다.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1인당 지방세의 평균은 1160700원이었으며, 가장 높은 곳은 서울특별시 중 구로 10043740원이었다. 보건자원 관련 특성 중 인구 만 명 당 치과의사 수 평균은 4.2명이었으며, 치과의사 수가 가장 많은 곳은 35.8명으로 대구광역시 중구이었다. 구강보건사 업 관련 특성 중 구강보건센터는 50개 지역에 설립되어 있 으며, 229개 기초자치단체 중 설치 비율은 21.8%이었다. 수 불사업은 14개 지역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과거에 시행했으나 현재 중단된 지역은 총 23개 지역이었다. 건강 수준 및 행태 관련 특성에서 현재 흡연율의 평균은 20.8%이었으며, 고위 험 음주율의 평균은 19.5%이었다. 복합만성질환 이환율의 평균은 25.3%이었다.

기초자치단체별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의 평균은 46.87%

(4)

이었으며, 표준편차는 8.29%이었다(표 2). 기초자치단체별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의 EQ는 3.36, CV는 0.18이었다. 전 국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을 지도로 시각화하여 나타낸 결 과는 그림 1과 같으며, 저작불편 호소를 10% 단위로 범주화 하여 색이 진할수록 저작불편 호소가 높음을 의미한다.

지역의 노인 인구 저작불편 호소율과 관련된 특성을 분석 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인구학적 요인으로 남성비가 증가할수록, 즉 여성 대비 남성 인구의 비율이 높을 때 저작불편 호소가 1.012배[95%

confidence interval(이하 CI), 1.008-1.015] 높았으며, 노인 인구비율이 높을 때 저작불편 호소가 1.021배(95% CI, 1.018- 1.023) 높았다. 건강자원 관련 특성 중 인구 만 명당 치과의 사 수가 많을 때 저작불편 호소가 0.988배(95% CI, 0.982- 0.993) 낮았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

Variable Mean±SD/

proportion Min (gu/si)-Max (gu/si)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opulation (>65) 279.2±122.8 77.0 (Ulsan Buk-gu)-842.0 (Jeju Jeju-si)

Average age 73.7±0.9 71.0 (Seoul Gwanak-gu)-75.7

(Jeonnam Jangheung-gun)

Male ratio 100.5±5.3 91.0 (Gyongbuk Yeongdeok-gun)-128.2

(Incheon Ongjin-gun)

Elderly proportion (>65) 17.9±7.8 6.2 (Ulsan Buk-gu)-36.3 (Jeonnam Goheung-gu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Proportion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3.8±1.5 0.7 (Gyonggi Yongin-si)-8.8 (Jeonbuk Gimje-si) Proportion of college+graduation 33.9±15.0 9.7 (Jeonnam Sinan-gun)-79.6 (Seoul Seocho-gu)

Financial autonomy rate 25.8±13.5 7.4 (Jeonnam Sinan-gun)-66.2 (Seoul Gangnam-gu)

Local taxes per capita (1000 won) 1160.7±991.8 433.6 (Daejeon Jung-gu)-10043.74 (Seoul Jung-gu) Community scale (%)

Si 34.1

Gun 35.8

Gu 30.1

Health resource related characteristics

Number of dentists (per 10000 population) 4.2±3.5 1.0 (Jeju Jeju-si)-35.8 (Daegu Jung-gu) Number of dental clinics and dental hospitals

(per 100000 population)

28.9±17.7 9.7 (Incheon Ongjin-gun)-179.2 (Seoul Jung-gu)

Number of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per 100000 population)

6.0±6.7 0.0-35.7 (Jeonbuk Muju-gun)

Oral health program related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oral health hub center (%) 21.8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enforcement program (%) 6.1

Number of national senile prosthetic restoration program 79.2±62.9 0.0 (Gyongnam Gimhae-si, Gyongbuk Chilgok-gun)- 488.0 (Gyongnam Changwon-si)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Current smoking rate (%) 20.8±2.6 10.8 (Gyonggi Gwacheon-si)-28.4

(Gyongnam Geoje-si)

High risk drinking rate (%) 19.5±3.3 9.2 (Busan Saha-gu)-28.4

(Gyongnam Geochang-gun)

Multiple chronic diseases rate (%) 25.3±5.0 9.1 (Jeonnam Sinan-gun)-36.4 (Gyonggi Gunpo-si) SD: standard deviation

Table 2. Mastication difficulty rate

Mean±SD Min Max EQ CV

Mastication difficulty rate (%) 46.87±8.29 20.15 67.64 3.36 0.18

SD: standard deviation, EQ: extremal quotient, CV: coefficient of variation

(5)

고 찰

이 연구에서 우리나라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의 평균은 46.78%이었으며 표준편차는 8.29%이었다. 이를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한 지역 간 건강행태 변이요인에 대한 분석연구에서 노인의 저 작불편 호소율은 51.3%로 보고하였다.18)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도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은 2008년 59.6%, 2013

년 49.2%, 그리고 2014년 43.8%이었다.8) 이들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노 인의 구강건강 삶의 질이 긍정적인 변화를 한 것으로 고려 된다. 정부에서는 구강질환에 취약한 노인들을 위하여 다양 한 예방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치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2013년 7월부터 성인 대상 스케일링이 급여화되었고, 2012 년 7월부터 75세 이상을 대상으로 틀니가 급여화되었으며 2014년 7월부터는 임플란트가 급여화되었다.

노인 저작불편 호소율의 지역 간 변이를 확인한 결과 EQ 는 3.46, CV는 0.18이었다. 이를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2009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의 저작불 편 호소의 지역 간 변이를 분석한 결과18)인 EQ는 3.3, CV는 0.16 보다 높았다. 이는 전체적인 저작불편 호소율은 감소하 였으나 극단치로 인한 지역 간 변이가 높아 저작불편 호소 의 격차가 커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노인의 지역별 저작불편 호소율은 남성비가 증가할수록 저작불편 호소가 높았다. 이는 Park19)의 연구, Shin과 Jung13) 의 연구에서 여성 노인의 경우가 남성 노인에 비해 저작불편 호소가 높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지 역적인 수준을 고려하여 다수준 분석한 Kim과 Cho20)의 연 구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이 저작불편 호소가 낮은 결과를 보고하여, 이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노인 인구 비율이 증가할수록 저작불편 호소율이 높았다.

이는 연령의 증가가 구강 내 통증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며,20)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아손실이 진행되어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아진다고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12,21)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잔존 치아 개수가 적 어지므로 저작불편 호소가 증가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건강자원 관련 특성 중 인구 만 명당 치과의사 수가 많을 수록 저작불편 호소가 낮았다. 치과 병의원 수가 많을수록 저작불편 호소가 낮아진다고 보고한 선행연구18)와 유사한 결과이며, Kim 등22)의 연구에서도 지역 내 치과의사 수가 적을수록 구강진료 미충족률이 높다고 보고하였다. 이를 통 해 저작불편 호소는 보건의료자원의 분포와 불균형에 따른 주민들의 의료이용 형평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나 실제 보건의료자원의 이용과 저작불편 호소에 대한 관계를 분석한 연구를 시행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단면 연구로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2012년 7월 부터 75세 이상을 대상으로 틀니가 급여화되었으며, 2014년 7월부터는 임플란트가 급여화되었다. 2016년 7월부로 65세 이상 노인으로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2017년 11월 틀니의 Table 3. Logistic regression between mastication difficulty rate

and variables

Variables Odds ratios 95% CI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x ratio (%) 1.012 1.008-1.015

Elderly population (%) 1.021 1.018-1.023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Local tax 1.000 1.000-1.000

Health resource related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dentists (per 10000 population)

0.988 0.982-0.993

Oral health program related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ral Health Hub Center

Ref

No establishment 1.034 0.994-1.076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Current smoking rate (%) 1.003 0.995-1.010 High risk drinking rate (%) 1.000 0.995-1.005 Multiple chronic diseases rate (%) 0.999 0.995-1.002 CI: confidence interval

Fig. 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stication difficulty rate.

<30%

<40%

<50%

<60%

≥60%

(6)

본인 부담률이 50%에서 30%로 변경되었으므로 정책의 변화 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각 지역당 약 900 명의 평균을 대표 값으로 선정하여 지역별로 비교한 연구로 서 집단의 특성이 개인적 특성인 것처럼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전국 229 개 기초자치단체별 저작불편 호소율과 그 변이를 분석하였 으며, 지역의 구강보건 활동을 포함하여 저작불편 호소에 영 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결 론

노인의 경우 저작능력이 저하되면 음식물 저작에 영향을 주어 영양소의 소화 흡수가 지정을 받아 저영양 상태에 이를 수 있다. 또한 저작능력을 비롯한 구강건강이 악화되면 구강 의 기능, 외모 등 신체적인 문제와 대인관계 등 사회심리적 문제로 이어져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 의 저작불편 호소율과 기초자치단체별 차이를 낮추기 위해 서는 지역의 보건의료 자원과 노인의 소득수준 등 포괄적인 측면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노인의 구강 건강은 생애 전반의 경험이 누적된 결과로 볼 수 있으므로, 생애주기별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사회 및 국가 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REFERENCES

1) Kwon YS.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law. Seoul: Bobmunsa;2010.

2) law.go.kr [Homepage on th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 ment Legislation [cited 2018 Nov 26]. Available from: http://www.

law.go.kr/LSW/eng/engLsSc.do?menuId=2&query=STATE%20FU- NERAL%20ACT#liBgcolor3.

3) law.go.kr [Homepage on th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 ment Legislation [cited 2018 Nov 26]. Available from: http://www.

law.go.kr/LSW/eng/engLsSc.do?menuId=2&query=STATE%20FU- NERAL%20ACT#liBgcolor10.

4) Kim YS. Regional variation and factors affecting to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dmission rate [dissertation]. Seoul: Korea Uni- versity;2008.

5) Petersen PE. The World Oral Health Report 2003: continuous im- provement of oral health in the 21st century--the approach of the WHO Global Oral Health Programm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3;31 Suppl 1:3-23.

6) Choi JG. Oral disease in the elderly. J Korean Dent Assoc 1995;33:

327-335.

7) Park MS, Ryu SA.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 Korean Acad Nurs 2010;40:747-75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2021 Oral health pla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9) Park JE, An HJ, Jung SU, Lee Y, Kim CI, Jang YA.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2010. J Nutr Health 2013;46:285-295.

10) Hyun HS, Lee IS. Body mass index-related factors of community- dwelling elders: comparison between early and late elderly people.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24:62-73.

11) Richmond S, Chestnutt I, Shennan J, Brown R.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general and dental healt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7;35:89-97.

12) Shin DS, Jung YM.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 tors among elderly women.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8;15:332- 341.

13) Shin BM, Jung SH.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tooth loss and chewing difficulty in the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195-202.

14) Jeon BY, Choi SM, Kim CY. Socioeconomic equity in regional distri- bution of health care resources in Korea.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12;22:85-108.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Guidelines for promoting inte- grated health care in communitie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5.

16) Diehr P, Cain KC, Kreuter W, Rosenkranz S. Can small-area analysis detect variation in surgery rates? The power of small-area variation analysis. Med Care 1992;30:484-502.

17) Cheong KS. Relation of regional variation in suicide rate in Korea with deprivation index [dissertation]. Busan: Pusan University;2011.

18)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alysis of small area variation of health behavior using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in Korea. Osong: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19) Park MS.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depres- sive symptoms in Korean elderly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 versity;2016.

20) Kim MH, Cho YT. Social determinants of oral pain and dental ser- vice utilization among the elderly Seoul residents: a multilevel stud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7;31:103-114.

21) Hur IG, Lee TY, Dong JK, Hong SH. The effects of dental prostheses to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0;48:101-110.

22) Kim NH, Jeon JE, Chung WG, Kim DK. Social determinants related to the regional difference of unmet dental need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36:62-72.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area
Fig. 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stication difficulty rate.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ote: Figures are estima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y are standardized for sex and age with reference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xperience of falling in some local elderly people using the 2013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