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도 손상에 대한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요도 손상에 대한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의"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165

5 Year Follow-up Results of Endoscopic Primary Realignment in Urethral Injury

Chang Soo Park, Sung Woo Park, Jung Man Kim1, Jeong Zoo Lee From the Department of Ur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 sity, Busan, 1Masan-si Health Center, Masan, Korea

Purpose: The standard management of posterior urethral injury is contro- versial with regard to immediate primary realignment versus delayed urethroplasty. We analyzed the long-term results of treatment for urethral injury with performing immediate primary realignment.

Materials and Methods: 19 patients with urethral injury were treated by endoscopic primary realignment from March 2000 to March 2002. Anterior and posterior urethral injuries were classified into the A and P groups, respectively, and the A and P groups had 11 and 8 patients,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5-years of follow-up complications, which were composed of urethral stricture, incontinence and impotence.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9.8 months after injury, and the follow-up status was obtained from a patient questionnaire or a telephone interview.

Results: 6 (75%) of the P group had post-realignment stricture. However, 2 patients (25%) were considered to have mild strictures that were easily managed with a urethral sound, and 4 (50%) had more significant stricture that required visual internal urethrotomy (VIU). 2 (18%) of the A group needed only a sound and 4 (36%) were managed via VIU. 1 (13%) of the P group reported mild stress incontinence, but the patient did not need padding. 6 (75%) of the P group had no erectile dysfunction, 1 (13%) reported a decreased quality of erection that required only oral phospho- diesterase 5 inhibitor and 1 (13%) required intracavernosal injection the- rapy.

Conclusions: Endoscopic primary realignment of urethral injury is a sim- ple, safe, rapid and nontraumatic technique. It reduces the incidence and extent of the complications such as stricture, erectile dysfunction and incontinence. Therefore, we recommend this endoscopic primary realign- ment for the initial management of posterior urethral injury, as well as for anterior urethral injury. (Korean J Urol 2007;48:1165-1170)

󰠏󰠏󰠏󰠏󰠏󰠏󰠏󰠏󰠏󰠏󰠏󰠏󰠏󰠏󰠏󰠏󰠏󰠏󰠏󰠏

Key Words: Endoscopy, Urethra, Injury

대한비뇨기과학회지 제 48 권 제 11 호 2007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1마산시 보건소

박창수ㆍ박성우ㆍ김정만1ㆍ이정주

접수일자2007년 4월 5일 채택일자2007년 9월 17일

교신저자: 이정주

부산대학교병원 비뇨기과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 1가 10번지

󰂕 602-739

TEL: 051-240-7551 FAX: 051-247-5443 E-mail: toohotman@

hanmail.net

서 론

요도손상은 비뇨기과 영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 는 질환이며, 손상부위에 따라 크게 전부요도 및 후부요도 손상으로 나누어진다. 손상부위에 따라 원인, 치료방법, 및 합병증의 빈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동반손상도 차이가 난 다. 전부요도손상은 기마손상으로 인한 단독 손상이 흔하 고, 후부요도손상은 교통사고에 의해 흔히 발생하며 골반

골 골절 및 다른 복부장기의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후부요도손상에서 환자의 상태가 중한 경우가 많 으며, 치료법의 결정에 있어서도 이것이 중요하게 작용하 게 된다.

전부요도손상에서는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 단독이나 6-12주 후에 지연요도성형술을 주로 시행하고 있다.1 근래 들어서는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을 조심스럽게 시도 하기도 한다.2 후부요도손상에서는 일차봉합술의 높은 합 병증과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이 술기의 어려움, 환

(2)

자의 전신상태, 술 후 합병증, 및 술자의 경험 등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시행하였으며, 고전적인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 술 후 3-6개월 후 지연요도성형술을 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전에 비하여 내시경적 술기 및 기구가 발전하였 고, 여러 경험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 보고들에 의하면 합병증도 지연요도성형술에 비해 높지 않다는 보고가 많 다.3,4 그리하여, 후부요도손상에서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 렬술이 기존의 지연요도성형술에 우선해서 시도해볼 수 있 는 치료법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교실에서 시행한 전부 및 후부요도손 상 환자들에서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의 경험과 술 후 5년 이상 장기 추적 관찰 시 요도협착, 요실금 및 발기부 전 등의 합병증 발생에 관해 조사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요도손상으로 수상 초기 에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을 시행한 20명 중 시술에 성공한 19명을 대상으로 손상원인, 수술시기, 수술 소요시 간 및 요도카테터 유치기간 등을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5년 이상 경과 후 합병증으로 요도협착, 요실금 및 발기부 전의 발생 유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적관찰기간 은 평균 69.8개월 (61-82)이었다.

환자들은 손상 당시 병력, 신체검사, 역행성 요도조영술 을 시행하여 골반 골절 유무, 요도손상부위, 손상정도를 조 사하여 분석하였으며, 역행성 요도조영술 소견에 따라 Goldman Classification을 기준으로 손상을 분류하여 분석하 였다.5 역행성 요도조영술상 조영제의 유출 없이 요도의 신 장만 있는 것을 Type I, 전립선 막양부의 부분 혹은 완전 파열이 있으나 비뇨생식기가로막의 손상이 없는 경우는 Type II, 전립선 막양부 및 비뇨생식기 가로막의 손상이 있 는 경우는 Type III, 요도 손상이 방광목과 전립선 요도에까 지 이른 경우는 Type IV, 요도손상은 없으면서 복막 외 방 광 파열이 있는 경우를 Type IV (a), 그리고 전부요도손상만 있는 경우를 Type V로 분류하였다.4 저자들은 Type V를 전 부요도손상 (이하 A군), Type II와 III는 이전의 문헌들에 의 하면 치료 및 결과가 유사하여 후부요도손상 (이하 P군)으 로 같이 분류하였다. Type I과 IV은 본 연구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각 군은 역행성 요도조영술 및 내시경 소견을 보고 요도의 연속성에 따라 완전요도손상과 부분요도손상으로 나누었다.

먼저 즉각적인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을 시행한 다음 수상 평균 6.8일 (1-14)에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을 시 도하였다. 수술은 환자를 쇄석위자세로 하고 20Fr Cysto-

scope을 요도 내로 삽입하여 파열 부위를 확인 후 유도 철선 을 방광으로 진입시킨 뒤 요도카테터를 유치하였다. 근위 부 요도를 찾기 위해 치골상부 방광루를 이용하여 indico- carmin을 주입하기도 하였다. 주위 혈종이나 후부요도 완전 파열 등으로 근위부 요도의 위치 변화가 심한 경우 직장 내로 검지를 삽입하여 전립선을 견인한 후 cystoscope을 방 광 내로 진입시킬 수 있었다. 요도카테터 제거는 카테터 주 위 역행성 요도조영술을 시행하여 조영제의 유출이 없는 경우 제거하였으며 유출이 있는 경우는 7일 간격으로 반복 검사 후 요도카테터를 제거하였다.

추적 관찰은 요도카테터 제거 후 첫 1년 동안은 최소 3개 월 주기로 매 방문 시마다 최고 요속을 측정하였고, 10ml/

sec 이하이거나 배뇨곤란을 호소할 경우 역행성 요도조영 술을 시행하여 협착의 유무를 확인하고 협착이 있는 경우, 요도확장술이나 직시하내요도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요실금 및 발기부전은 저자들이 제작한 설문지를 통하여 환자가 외래 방문 시 또는 전화 통화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 였다. 요실금은 설문지를 통해 완전자제 (continence), 패드 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의 요실금 (incontinence, but, suitable), 및 요실금 (incontinence, not suitable)으로 나누었으며, 발기 부전은 정상발기 (potency), 경한 발기부전으로 약물치료 후 삽입이 가능한 정도 (impotence, but, suitable), 발기불능 (im- potence)으로 나누었다.

결 과

환자의 첫 내원 시 평균 나이는 A군 및 P군에서 각각 평 균 37.3세 (17-62) 및 40.1세 (23-64)이며 손상 원인은 A군에 서 낙상, 회음부 둔상 및 의인성이 각각 8례, 2례 및 1례였 고, P군에서 교통사고 및 낙상이 각각 7례 및 1례였다. A군 및 P군에서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까지 걸린 시간은 각각 평균 5.3일 (1-10) 및 8.2일 (2-14), 수술시간은 각각 28.1분 (12-47) 및 47.8분 (25-72), 요도카테터를 유치한 기간 은 각각 평균 7.6일 (4-14) 및 20.1일 (14-42)이었으며, 추적관 찰기간은 각각 평균 68개월 (62-82) 및 72개월 (61-77)이었다 (Table 1).

총 19례의 요도손상 중 A군 및 B군은 각각 11례 및 8례였 으며, A군에서 완전 및 부분요도손상은 각각 5례 및 6례였 으며, P군에서는 각각 6례 및 2례였다. 각 군의 합병증을 살펴보면, A군의 부분요도손상에서는 요도협착만 2례 (33%)가 발생하였는데, 1례는 sound를 이용한 요도확장만 으로 치료하였고, 1례는 직시하내요도절개술을 시행하였 다. A군의 완전요도손상에서는 요도협착 4례 (80%) 및 발 기부전이 1례 (10%) 발생하였는데, 요도협착은 1례에서는

(3)

Table 1. Patient’s characteristics

A group P group

(n=11) (n=8)

Age (years) 37.3 (17-62) 40.1 (23-64)

Etiology

Traffic accident 󰠏 7

Fall down 8 1

Kicking 2 󰠏

Iatrogenic 1 󰠏

Time to realignment (days) 5.3 (1-10) 8.2 (2-14) Operation time (min) 28.1 (12-47) 47.8 (25-72) Duration of foley

catheterization (days) 7.6 (4-14) 20.1 (14-42) Duration of follow-up (months) 68 (62-82) 72 (61-77)

Table 2. Complications during 5 year after primary realignment

No. of patients (%)

󰠏󰠏󰠏󰠏󰠏󰠏󰠏󰠏󰠏󰠏󰠏󰠏󰠏󰠏󰠏󰠏󰠏󰠏󰠏󰠏󰠏󰠏󰠏󰠏󰠏󰠏󰠏󰠏󰠏󰠏󰠏󰠏󰠏󰠏󰠏󰠏󰠏󰠏󰠏󰠏󰠏󰠏󰠏󰠏󰠏󰠏󰠏󰠏󰠏󰠏󰠏󰠏󰠏󰠏󰠏󰠏󰠏󰠏󰠏󰠏󰠏󰠏󰠏󰠏󰠏󰠏󰠏󰠏󰠏󰠏󰠏󰠏󰠏󰠏󰠏

A group P group

󰠏󰠏󰠏󰠏󰠏󰠏󰠏󰠏󰠏󰠏󰠏󰠏󰠏󰠏󰠏󰠏󰠏󰠏󰠏󰠏󰠏󰠏󰠏󰠏󰠏󰠏󰠏󰠏󰠏󰠏󰠏󰠏󰠏󰠏󰠏󰠏 󰠏󰠏󰠏󰠏󰠏󰠏󰠏󰠏󰠏󰠏󰠏󰠏󰠏󰠏󰠏󰠏󰠏󰠏󰠏󰠏󰠏󰠏󰠏󰠏󰠏󰠏󰠏󰠏󰠏󰠏󰠏󰠏󰠏󰠏󰠏

Total Complete Incomplete Total Complete Incomplete

(n=11) (n=5) (n=6) (n=8) (n=6) (n=2)

Urethral No stricure (n=12) 5 (46) 1 (20) 4 (67) 2 (25) 󰠏 2 (100)

stricture (n=12) Only sound (n=2) 2 (18) 1 (20) 1 (17) 2 (25) 2 (33) 󰠏

VIU (n=4) 4 (36) 3 (60) 1 (17) 4 (50) 4 (67) 󰠏

Urinary Continence (n=17) 11 (100) 5 (100) 6 (100) 7 (88) 5 (83) 2 (100)

incontinence Incontinence, 󰠏 󰠏 󰠏 1 (13) 1 (17) 󰠏

(n=2) but, suitable (n=2)

Incontinence, 󰠏 󰠏 󰠏 󰠏 󰠏 󰠏

not, suitable (n=0)

Impotence Potency (n=15) 10 (91) 4 (80) 6 (100) 6 (75) 4 (67) 2 (100)

(n=4) Impotence,

1 (9) 1 (20) 󰠏 1 (13) 1 (17) 󰠏

but, suitable (n=2)

Impotence, 󰠏 󰠏 󰠏 1 (13) 1 (17) 󰠏

not, suitable (n=1) VIU: visual internal urethrotomy

sound를 이용한 요도확장으로 치료하였고, 3례는 직시하내 요도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1례의 발기부전은 경구용 발 기부전치료제인 phosphodiesterase 5 inhibitor 복용으로 성관 계가 가능하였다 (Table 2). P군의 부분요도손상에서는 전 례에서 합병증 없이 치유되었다. P군의 완전요도손상에서 는 요도협착 6례 (100%), 요실금 1례 (17%) 및 발기부전 2례 (33%)로 나타났다. 먼저 요도협착은 2례에서는 sound를 이 용한 요도확장만으로 치료하였고, 4례에서는 직시하내요도 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1례의 요실금은 패드를 착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경미한 요실금이었으며, 발기부전은 1례 에서는 경구용 발기부전치료제로 치료하였으며, 1례는 음

경해면체내 자가주사요법으로 치료하였다 (Table 2).

고 찰

요도손상의 발생원인은 주로 교통사고와 같은 강력한 외 력, 낙상, 회음부 타박과 경요도적 기계 조작 등의 의인성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전부요도 손상은 낙상에 의하여, 후부요도 손상은 교통사고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5 저자의 경우도 전부요도 손상 11례 중 8례 (72.7%)가 낙상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후부요도 손상 의 경우 8례 중 7례 (87.5%)가 교통사고에 의하여 발생하였다.

요도손상의 치료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수상 직후 시행하는 간혈적 일차봉합술과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 정렬술 및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 후 지연교정술 등이 있 다. 먼저 전부요도손상의 경우, 부분요도손상이 있으나 요 누출이 적으면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만으로 70% 이상에 서 치유된다는 보고가 있다.6 그 외 간혈적 일차교정술 및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 후 지연교정술의 효과에 대해선 논란이 많으며, 근래에 들어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 시행 후 우수한 성적들이 보고되고 있다.7,8

후부요도손상의 경우에는 수상직후 일차봉합술을 시행 하거나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 후 지연교정술이 주로 시 행되어 왔으나, 1990년대 초 Cohen 등9과 Melekos 등10에 의 해 요도를 통한 내시경과 치골상부 방광루 창을 이용한 기 구를 사용하여 근래에 시행하는 방법과 유사한 내시경하

(4)

Table 3. Results of endoscopic primary realignment for prosterior urethral injury

Time of

Inconti-

Follow-up Patients alignment Stricture Impotence

Procedure nence

(month) (n) (days from (n) (n)

injury) (n)

Jeong Retrograde cystoscope± 3-48 9 0-3 0 0 1

et al7, 2004 antegrade cystoscope

Cohen Retrograde rigid cystoscope+ 12-35 5 7-19 0 1 2

et al9, 1991 antegrade flexible cystoscope

Melekos Retrograde cystoscope+ NR 4 1-3 3 0 0

et al10, 1992 suprapubic sound

Mouraviev Only retrograde cystoscope± 1-22 57 NR 28 10 19

et al17, 2005 antegrade cystoscope

Jepson Retrograde flexible cystoscope+ 35-85 8 0-19 4 1 3

et al19, 1999 antegrade rigid cystoscope (or fluoroscopic guidence)

Kielb Only retrograde flexible 9-27 6 6 3 1 5

et al20, 2000 cystoscope±retrograde cystoscope

Moudouni Retrograde cystoscope+ 18-155 29 0-8 12 0 4

et al21, 2001 antegrade cystoscope

Present series Only retrograde rigid 61-82 8 1-14 6 1 2

cystoscope

Total (%) 126 56 (44.4) 14 (11.1) 36 (28.6)

NR: not reported

일차적 요도정렬술이 시행되기 시작했다. 후부요도손상에 서의 일차적 요도정렬술의 변화를 살펴보면, Follis 등3은 이 전의 일차봉합술 시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치 골상부 절개 및 방광절개창을 이용하여 삽입한 카테터와 요도를 통한 카테터를 연결하여 요도카테터를 유치시키는 방법으로 일차적 요도정렬술을 시행하였는데, 요도의 연속 성을 유지하고 심한 요도협착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 하였다. Yasuda 등11에 의하면 후부요도 손상 후 치골상부 방광루 설치술만 시행하고 3-6개월이 경과하여 근위부와 원위부 요도 사이의 섬유조직을 요도를 통한 요도칼과 치 골상부 방광루를 통한 오목부지 (hollow bougie)를 이용하여 요도를 개통하는 술식이 소개되었는데, 17례 전부에서 sound를 이용한 요도확장을 필요로 하였다. Elliott와 Bar- rett12은 치골상부 방광루와 요도를 통한 Davis interlocking sound를 이용하여 요도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1997 년 Gheiler와 Frontera13는 방광의 작은 절개창 및 요도를 통 한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도정렬술을 시행하였다. 근래에는 치골상부 방광루를 확장하여 내시경을 삽입하여 방광경부 및 후부요도를 관찰하면서 요도를 통한 내시경과 유도철선 을 이용하여 교통시켜 요도카테터를 유치시키는 술식이 일 반적이다. 저자들의 경우에는 전례에서 요도를 통한 내시 경만으로 유도철선을 방광에 삽입 후, 이를 이용해 요도카

테터를 삽입하였다.

후부요도손상의 여러 술식들의 성적을 비교한 연구를 살 펴보면, 1972년 Morehouse 등14이 간혈적 일차봉합술과 치 골상부 방광루 설치술 후 지연요도성형술을 비교하였는데, 당시에는 간혈적 일차봉합술 시 치골하 접근법으로 혈종제 거 및 요도연결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음경의 신경삭 손상 및 외요도괄약근과 그 지배신경의 손상으로 발기부전과 요 실금등의 합병증이 보다 많이 발생한다고 하였다.15 Follis 등3은 작은 방광절개창을 이용한 일차적 요도정렬술이 지 연요도성형술보다 요도협착, 요실금 및 발기부전 등의 합 병증이 적게 발생하였다. Koraitim16은 지연요도성형술, 일 차적 요도정렬술 및 일차봉합술을 비교하였는데, 요도협착 은 97%, 52% 및 50%, 요실금은 2.7%, 4% 및 0%, 발기부전 은 18%, 28% 및 50%였는데, 일차봉합술은 4례만 포함되었 다. 그리고, 2005년에 Mouraviev 등17은 57례의 내시경하 일 차적 요도정렬술 및 39례의 지연요도성형술을 비교하였는 데, 각각에서 요도협착은 49% 및 100%, 요실금은 18% 및 25%, 발기부전은 34% 및 42%로 보고하여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최근에는 후부요도손 상에서 치료 후 발생하는 합병증은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 의 결과가 아니라, 당시 손상 정도와 일차적 요도정렬술 시 오랜 시간 요도 내 기구사용을 하는 것들이 영향을 미친다

(5)

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2,18 그리고,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 렬술이 손상 초기에 적절히 이루어질 경우 장기간 치골상 부카테터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으며 요도 가 심하게 어긋나기 전에 재접합할 수 있고 과도하지 않은 시술시에는 골반 골절과 동반되는 골반혈종을 피할 수 있 으며 이후의 출혈 및 출혈과 동반되는 감염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하였다.11

후부요도손상에서 비간혈적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 술만의 성적을 종합해보면 평균 44.4%의 요도협착, 11.1%

의 요실금 및 28.6%의 재협착 발생률을 나타냈으며 각각 Table 3과 같다. 그러나 비교적 대규모 연구인 Mouraviev 등17은 다른 보고들에 비해 요실금과 발기부전이 많이 발생 했는데, 이는 1-22개월이라는 짧은 추적관찰기간 때문일 것 이다. Gibson22에 의하면 요도손상 후 발생한 발기부전은 대 개 19개월 내에 회복되며 2년까지 관찰하는 것이 좋다고 하 였으며, 요실금은 괄약근의 손상이 동반되거나 골반골 골 절로 천골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장애로 올 수 있 는데, 충분한 회복시간과 더불어 골반근육강화운동으로 회 복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1 즉, 일정기간 이상의 장기 추적관찰 시에는 보다 낮은 합병증이 나타날 것이다.

Elliott과 Barrett12은 요도손상 후 발생한 요도협착에 대해 서 분류하기 어렵고, 치료를 평가하기 어렵다고 하여 표준 화된 분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대부분 요도확장술 및 직시하내요도절개술의 필요성으로 평가하였으며, Mundy23 는 요도손상의 치료 목적은 협착형성의 방지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협착을 쉽게 치료하기 위함이라 하여 요도협착의 치료는 발생 자체보다는 치료가 얼마나 쉽게 가능한지도 평가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의 이상적인 수술 시기에 대 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는데, Jeong 등7은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일 이내, Melekos 등10도 3일 이내에 시행 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다. 반면에 Cohen 등9은 7일 이후, Kielb 등20은 6일째 시행하였고, Oh 등24은 골반 혈종이 흡수 되기 시작하고 반흔 형성이 적은 시기인 4-10일 사이가 가 장 이상적이라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는 손상 후 평균 6.8일 (1-14)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동반 손상 및 요도 손상의 정 도를 파악하고, 환자 상태가 혈역동학적으로 안정되게 되 면 즉각적인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이 가능하리라 생 각한다.

결 론

전부 및 후부요도손상에서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 을 시행한 후 5년간 추적관찰하여 발생한 합병증은 모두

간단한 추가치료로 해결될 수 있었다.

내시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은 조기에 요도의 연속성을 회복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기 간 추적관찰하였을 때 경미한 합병증만 발생하므로, 내시 경하 일차적 요도정렬술은 전부 및 후부요도손상에서 우선 적으로 시행하여 볼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생각한다.

REFERENCES

1. Lee YT. Urethral injury. Korean J Urol 2006;47:221-31 2. Kal WJ, Moon YT, Kim SC. Endoscopically guided primary

urethral realignment as a treatment of anterior urethral rupture.

Korean J Urol 1996;37:794-7

3. Follis HW, Kock MO, McDougal WS. Immediate management of prostatomembranous urethral disruptions. J Urol 1992;147:

1259-62

4. Husmann DA, Wilson WT, Boone TB, Allen TD. Prosta- tomembranous urethral disruptions: management by suprapubic cystostomy and delayed urethroplasty. J Urol 1990;144:76-8 5. Goldman SM, Sandler CM, Corriere JN Jr, McGuire EJ. Blunt

urethral trauma: a unified, anatomical mechanical classifi- cation. J Urol 1997;157:85-9

6. Pontes JE, Pierce JM Jr. Anterior urethral injuries: four years of experience at the Detroit General Hospital. J Urol 1978;

120:563-4

7. Jeong CS, Seo IY, Park SC, Oh SJ, Rim JS. The success rate and complications of the primary endoscopic urethral realignment within 3 days in male urethral injury. Korean J Urol 2004;45:1039-43

8. Ying-Hao S, Chuan-Liang X, Xu G, Guo-Qiang L, Jian-Guo H. Urethroscopic realignment of ruptured bulbar urethra. J Urol 2000;164:1543-5

9. Cohen JK, Berg G, Carl GH, Diamond DD. Early endoscopic realignment following posterior urethral disruption. J Urol 1991;146:1548-50

10. Melekos MD, Pantazakos A, Daouaher H, Papatsoris G. Pri- mary endourologic re-establishment of urethral continuity after disruption of prostatomembranous urethra. Urology 1992;39:

135-8

11. Yasuda K, Yamanishi T, Isaka S, Okano T, Masai M, Shi- mazaki J. Endoscopic re-establishment of membranous urethral disruption. J Urol 1991;145:977-9

12. Elliott DS, Barrett DM. Long-term followup and evaluation of primary realignment of posterior urethral disruptions. J Urol 1997;157:814-6

13. Gheiler EL, Frontera JR. Immediate primary realignment of prostatomembranous urethral disruptions using endourologic techinques. Urology 1997;49:596-9

14. Morehouse DD, Belitsky P, MacKinnon K. Rupture of the posterior urethra. J Urol 1971;63:11-4

(6)

15. Webster GD, Mathes GL, Selli C. Prostatomembranous urethral injuri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rational approach to their management. J Urol 1983;130:898-902 16. Koraitim MM. Pelvic fracture urethral injuries: evaluation of

various methods of management. J Urol 1996;156:1288-91 17. Mouraviev VB, Coburn M, Santucci RA. The treatment of

posterior urethral disruption associated with pelvic fractures:

comparative experience of early realignment versus delayed urethroplasty. J Urol 2005;173:873-6

18. Kotkin L, Koch MO. Impotence and incontinence after im- mediate realignment of posterior urethral trauma: result of injury or management? J Urol 1996;155:1600-3

19. Jepson BR, Boullier JA, Moore RG, Parra RO. Traumatic posterior urethral injury and early primary endoscopic realign- ment: evaluation of long-term follow-up. Urology 1999;53:

1205-10

20. Kielb SJ, Voeltz ZL, Wolf JS.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raumatic posterior urethral disruption with flexible cystoure- throscopy. J Trauma 2001;50:36-40

21. Moudouni SM, Patard JJ, Manunta A, Guiraud P, Lobel B, Guille F. Early endoscopic realignment of post-traumatic posterior urethral disruption. Urology 2001;57:628-32 22. Gibson GR. Impotence following fractured pelvic and ruptured

urethra. Br J Urol 1970;42:86-8

23. Mundy AR. The role of delayed primary repair in the acute management of pelvic fracture injuries of the urethra. Br J Urol 1991;68:273-6

24. Oh SJ, Rim HK, Rim JS. Results of primary endoscopic urethral realignment as a treatment of urethral injury according to the injury site. Korean J Urol 1999;40:1425-9

수치

Table  2.  Complications  during  5  year  after  primary  realignment
Table  3.  Results  of  endoscopic  primary  realignment  for  prosterior  urethral  injury

참조

관련 문서

• MACCS 코드를 사용하여 거주성과 관련된 국내 중장기 주민보호조치 기준을 평가 & 해외 기준을 조사하여 결과를 비교. • 국내 주민보호조치 기준을 반영한 모든

Hatano N, Shimizu Y, Ooya K:A clinical long-term radiographic evaluation of graft height changes after maxillary sinus floor augmentation with a 2:1

Keywords □ acute coronary syndrome, discharge medication patterns, Korea, tertiary hospital, follow-up evaluation, troponin-T,

Long-term outcomes of short dental implants supporting single crowns in posterior region: a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of 5-10 years.. Osteotome sinus

Histologic evaluation of early human bone response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2. Histologic evaluation of human bone integration on machined and

Utility of T1-and T2-weighted high-resolution vessel wall imaging for the diagnosis and follow up of isolated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dissection with

and Gold, F.(1985), Bank Branch Operating Efficiency: Evaluation with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 Vol.. F.(1992), Quantifying Management Role

Performance evaluation of Volume PTV based on Affine Performance evaluation of Volume PTV based on Affine Performance evaluation of Volume PTV based on Affine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