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의 예측지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의 예측지표 * "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s 순환기:순환기:순환기:순환기:제제 2 7 권 권 제제 1 0 호호 1997

만성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에서 승모판 수선술과 승모판 대치술 후 좌심실 기능의 비교 및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의 예측지표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흉부외과학교실**

조영석·이명묵·연태진·황경국·이무용·김효수·김기봉

**

손대원·안 혁

**

·오병희·박영배·최윤식·이영우

= Abstract =

Comparison of Postoperative LV Function after Mitral Valve Repair and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Predictor of Postoperative LV Function

in Chronic Mitral Regurgitation

Young-Seok Cho, M.D., Myoung-Mook Lee, M.D., Tae-Jin Youn, M.D., Kyung-Kuk Hwang, M.D., Moo-Yong Rhee, M.D., Hyo-Soo Kim, M.D.,

Ki-Bong Kim, M.D.,** Dae-Won Sohn, M.D., Hyuk Ahn, M.D.,**

Byung-Hee Oh, M.D., Young-Bae Park, M.D., Yun-Shik Choi, M.D., Young-Woo Lee, M.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Long-term survival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itral regurgitation is associated with preservation of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after operation. And mitral valve repair has been suggested to provide a better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Accordingly, we intended to compare the operative results of mitral valve repair with those of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search for preoperative predictors of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The clinical features, echocardiographic measurements, and cardiac catheterization results of 75 patients operated between January 1984 and December 1994 for acquired pure mitral regurgitation were analyzed.

Results:Of the 75 patients, 39 patients had mitral valve repair, and 36 patients had mitral valve replacement. When the outcomes of mitral valve repair and mitral valve replacement were compare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in both groups but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was greater in valve repair group than in valve replacement group.

Data analysis of preoperative variables showed that echocardiographic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이 연구는 1995년 서울대학교병원 지정진료연구비(02-95-022)의 일부 보조에 의한 결과임.

(2)

diameter(p<.05), but not other clinical and echocardiographic variables, were predictors of postop- erative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Conclusions:After surgical correction of chronic organic mitral regurgitation,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is frequent and valve repair decreases the severity of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nd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is preoperative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measured by echocardiography.

KEY WORDS:Mitral regurgitation·Mitral valve repair·Mitral valve replacement.

서 론

만성 승모판 폐쇄부전증은 여러가지 혈류학적 이 상을 가져오는 판막 질환으로서1-3) 역류한 혈액때문 에 좌심실의 전부하가 증가하고 좌심실 구출시 저항 이 작은 좌심방으로의 역류로 인하여 후부하는 오히 려 작아져 폐쇄부전증의 정도는 심해도 증상은 경미 하게 나타나고4) 좌심실의 기능부전도 숨겨진다고 알 려져 있다5,6). 또한 이러한 승모판 폐쇄부전증에서 수술 후 장기생존은 좌심실 기능의 보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6,7), 최근에 시행례가 점차 늘고있는 승모판 수선술은 승모판의 정상구조 를 유지시킨다는 점에서 좌심실의 기능보전에 승모판 대치술보다 더 유리할 것이라는 제안들이 있었고8-10) 장기생존에도 더욱 유리하다는 보고들이 있었다. 하 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환자군간의 수술 전 변수 들이 다르거나 대상환자의 숫자가 충분하지 못한 결 점이 있었다11-16).

한편 승모판 폐쇄부전증에서 수술의 적당한 시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술 전의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들도 있어왔으나 그 결과들은 서로 상이하게 나타난 바 있다17-23). 수술 후 장기생존률, 수술 후 좌 심실 수축기능, 수술 후의 기능분류(Functional class) 등을 기준으로 시행된 연구들이 있었고 최근에는 심 초음파 상의 좌심실 구혈률이 장기생존과 일치한다고 알려진 바 있어6,7) 이를 기준으로 예측인자를 정하려 는 시도가 가능해졌다.

따라서 저자들은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에서 최근 증가추세에 있는 승모판 수선술후의 좌심실기능을 승 모판 대치술과 비교하고 장기생존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수술 전 지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8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후천성의 순수 한 만성 승모판 폐쇄부전증으로 진단 후 수술을 시행 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전에 승모판 폐쇄 부전증으로 수술 받은 적이 있는 경우와 동반된 승모 판 협착증이나 대동맥판 폐쇄부전증 혹은 삼첨판 폐 쇄부전증이 있는 경우, 그리고 심방중격 결손증 등의 선천성 심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였으며, 수술 전 6개월이내와 수술 후 1년이내에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가 있는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기 준에 맞는 75명의 환자 중 승모판 수선술을 시행한 환자가 39명이었고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한 환자는 36명이었으며 이들 환자들의 수술 전의 임상양상, 심 초음파 결과, 심도자술 결과들은 Table 1과 같다. 평 균 나이는 39세였고 성비는 남:여가 36:39였으며 기능분류(Functional class) Ⅰ-Ⅱ의 경한 증상을 갖 는 환자가 전체환자의 52%였고 심방세동이 51%에 서 있었다.

각각의 환자들에서 임상소견과 심초음파 결과, 그리 고 심도자술 결과를 종합하였으며 이 결과들을 먼저 전체환자에서 분석한 후에 승모판 수선술과 승모판 대치술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임상소견에는 수술 직전 의 성별, 연령, 기능분류(Functional class), 수축기 혈압, 심방세동의 유무가 포함되었으며 수술시 승모판 의 형태학적 소견, 구체적인 수술 기법, 심폐우회술 시간과 대동맥 교차압자 시간도 포함되었다. 심초음파 도는 수술 전 6개월 이내와 수술 후 1년 이내에 시행 한 것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전 M-mode 심초음 파도상의 좌심실 수축말기 내경, 좌심실 확장말기 내 경,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내경, 대동맥 내경과 수술 후 M-mode 심초음파도상의 좌심실 구혈률이 포함

(3)

되었다. 수술 전 심초음파는 37±47(일) 전에 시행되 었고 수술 후 심초음파도는 54±90(일) 후에 시행 되었으며, 수술 후 1년 이후에 추적 심초음파도가 시 행된 환자에서는 그 결과를 1년 이내의 결과와 비교 하였다. 심도자술은 수술 전 시행한 결과에서 심박출 계수, 좌심실 확장말기압, 수축기 폐동맥압, 평균 폐동 맥압을 포함하였다.

각각의 결과들은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tudent t-검정(paired or unpaired)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p-값 0.05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에서 수술 전후의 좌심실 구혈률을 비교 하였을 때 수술 전 좌심실 구혈률은 63±14(%)이고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은 55±14(%)로 수술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좌심실 구혈률의 감소가 있었으며 (p-값=0.000), 그 감소량은 8±19(%)였다(Fig. 1).

전체 75명의 환자 중 39명의 환자에서 승모판 수

선술을 시행하였고 36명의 환자에서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하였으며 양군에서 임상 변수, 심초음파 변수, 심 도자술 변수상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able 2).

승모판 수선술과 승모판 대치술의 수술 전후 좌심 Table 2. Comparison of preoperative variables in mital

valve repair group and mitral valve replac- ement group

Preoperative

variable Mitral valve repair

n=39

Mitral valve replacement

n=36

P-value

Sex(M:F) 20:19 16:20 NS

Age, years 40±14 39±13 NS

Functional class Ⅰ-Ⅱ, %

56 48 NS

Systolic BP, mmHg 114±16 113±15 NS Atrial fibrillation, % 38 66 NS LVESD, mm 43±10 47± 8 NS

LVEDD, mm 64±11 67±10 NS

LVEF, % 63±14 63±13 NS

LA diameter, mm 55±10 56±13 NS LVEDP, mmHg 11± 6 9± 5 NS Systolic PAP, mmHg 43±19 47±24 NS Mean PAP, mmHg 30±13 30±17 NS Cardiac index,

L/min./m2

3.0±1.3 2.8±1.0 NS Cardiopulmonary

bypass time, minutes

104±38 103±81 NS

Aorta cross clamp time, minutes

68±27 69±43 NS

M, male;F, female;BP, blood pressure;

LVESD,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diameter;

LVEDD,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LA, left atrium;

LVED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PAP, pulmonary artery pressure Table 1. Preoperative patient characteristics

Preoperative variable Overal patiens, n=75 M:F 36:39

Age, years 39±14

Functional class Ⅰ-Ⅱ, % 52

Systolic BP, mmHg 113±16

Atrial fibrillation, % 51

LVESD, mm 45± 9

LVEDD, mm 65±10

LVEF, % 63±14

LA diameter, mm 55±11

LVEDP, mmHg 10± 5

Systolic PAP, mmHg 45±22

Mean PAP, mmHg 30±15

Cardiac index, L/min./m2 2.9±1.2 Cardiopulmonary bypass time, minutes 103±62 Aorta cross clamp time, minutes 68±35

M, male;F, female;BP, blood presure;

LVESD,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diameter;

LVEDD,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LA, left atrium;

LVED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PAP, pulmonary artery pressure

Fig. 1. Change in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bef- ore and after operation. In overall patients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decreased signifi- cantly after operation, from 63±14(%) to 55±

14(%), and the amount of decrease was 8±

19(%). *:p<0.05

(4)

실 기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승모판 수선술에서 수술 전의 좌심실 구혈률은 63±14(%)로 승모판 대치술 의 수술 전의 좌심실 구혈률 63±13(%)와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 후의 좌심실 구혈률은 승모판 수선술에서 58±12(%)인 반면 승모판 대치술 에서는 51±15(%)로 승모판 수선술에서 수술 후 좌심 실 구혈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값=0.027)(Fig. 2).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심한 좌심실기능저하가 양 군에 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술 후의 좌심 실 구혈률이 40% 미만인 환자만을 비교했을 때, 전체 70명의 환자 중 10명(14.3%)의 환자가 수술 후 좌 심실 구혈률이 40%미만이었으며, 이 중 2명은 승모 판 수선술군이었고 8명은 승모판 대치술군이어서 수 술 후 좌심실 구혈률 40%미만인 환자가 승모판 수선 술군에서 더 적게 나타났다(p-값=0.030).

수술시의 승모판막의 형태적 특징을 보면, 판막 소엽 의 비후가 전소엽 65%, 후소엽 59%로 가장 많았고 교 련 융합이 34%, 건삭파열 31%의 순이었다(Table 3).

승모판 수선술과 승모판 대치술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에는 소엽탈출, 건삭파열이 있는 경우에 승모판 수 선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았고 건삭비후, 판륜확장이 있는 경우에는 대치술을 시행한 경우가 많았다. 승모 판 폐쇄부전증의 원인을 보면, 조직검사로 확인된 전 체 41명의 환자 중 류마티스성 원인이 71%로 가장 많았고 퇴행성 원인은 24%였으며, 승모판 수선술과 대치술로 나누어 비교해 볼 때에는 수선술에서 퇴행

성 원인이 13%, 류마티스성 원인이 79%, 심내막염 성 원인이 8%였고, 승모판 대치술에서는 퇴행성 원인 41%, 류마티스성 원인 59%였다(Table 4).

승모판 수술 후 장기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수술 전 인자를 찾기 위하여 시행한 수술전의 임상변수, 심초 음파 변수, 심도자술 변수 및 수술 중의 인공심폐기 사용시간, 대동맥 결찰시간과 수술 후의 좌심실 구혈 률과의 관련성에 대한 단순 회귀분석에서는 수술 전 의 심초음파 변수 중 좌심실 수축말기 내경과(R=- 0.363, p-값=0.001)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이(R=- 0.450, p-값=0.000)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Table 5), 다중 회귀분석에서는 수술 전 좌심실 확 장말기 내경만이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과 유의한 관 Table 3. Surgical morphological findings at time of

operation, n(%) Morphological

finding

Overall patients n=68

Mitral valve repair

n=36

Mitral valve replacement

n=32 Annular dilatation 15(22) 6(17) 9(28) Leaflet prolapse

Anterior 18(26) 13(36) 5(16) Posterior 6( 9) 5(14) 1( 3) Leaflet retraction

Anterior 12(18) 7(19) 5(16) Posterior 11(16) 7(19) 4(13) Leaflet thickening

Anterior 44(65) 23(64) 21(66) Posterior 40(59) 21(58) 19(59) Commissural fusion 23(34) 12(33) 11(34) Chordae

Rupture 2(31) 16(44) 5(16) Elongation 14(21) 8(22) 6(19) Thickening 18(26) 6(17) 12(38) Papillary muscle

Rupture 1( 1) 0( 0) 1( 3) Fusion 4( 6) 3( 8) 1( 3) Calcification 8(12) 4(11) 4(13)

Table 4. Histological findings of mitral regurgitation, n(%) Histological

etiology

Overall patients

n=41

Mitral valve repair

n=17

Mitral valve replacement

n=24 Rheumatic 29(71) 19(79) 10(59) Degenerative 10(24) 3(13) 7(41) Endocarditic 2( 5) 2( 8) 0( 0) Fig. 2. Changes in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be-

fore and after operation in mitral valve repair and mitral valve replacement. In mitral valve repair group,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eje- ction fraction(58±12[%]) was greater than that of mital valve replacement group(51±15[%]).

*p<0.05 vs. preoperative value

#p<0.05 vs. mital valve replacement group

(5)

련성을 나타내었다. 성별, 연령, 기능분류, 수축기 혈 압, 심방 세동의 유무, 좌심실 구혈률, 좌심방 내경, 좌심실 확장말기압, 수축기 폐동맥압, 평균 폐동맥압, 심박출계수, 심폐 우회술 시간, 대동맥 교차압자 시간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의 유의한 독립적인 예측인 자인 수술 전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에서 수술 후 좋은 좌심실 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기준점을 찾기 위하여, 수술 전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 65(mm)를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에는 65(mm)미만인 군(34명)에서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이 60±12(%)으로, 65(mm)이상인 군(41명)의 50±14(%)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 (p-값=0.002)(Fig. 3).

전체 75명의 환자 중 수술 후 1년 이후에 심초음파 도로 추적관찰이 된 환자는 46명이었고 이들 환자들 에서 수술 후 1457±963(일)에 시행된 심초음파도 상의 좌심실 구혈률은 54±10(%)로서 수술 후 1년 이내의 좌심실 구혈률 55±14(%)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값=0.82).

일단 승모판 수선술을 시행했다가 수술 중 확인한 심초음파도와 식염수 누출검사상 승모판 폐쇄부전증

이 남아 있어서 이어서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한 예가 2예 있었고 승모판 수선술 후 승모판 협착증이 되어 서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한 예가 1예 있었으며 이들 3예는 승모판 대치술군에 포함시켰다. 장기생존 여부 가 확인된 66명의 환자 중 4명의 사망례가 확인되었 다. 1례는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한 환자로서 수술 후 2년2개월째에 뇌출혈로 사망하였으며 승모판 수선술 후 사망한 3례의 환자에서 사망원인은 혈전에 의한 급성 승모판 협착증, 심부전, 감염성 심내막염에 의한 패혈증이었고 수술 후 각각 3년2개월, 8개월, 4개월째 에 사망하였다.

고 안

대부분의 환자에서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이 수술 전보다 감소하였고 감소량은 9+18(%)였다. 이는 승 모판 폐쇄부전증에서 좌심방으로 역류되었던 혈액이 함께 좌심실에서 구혈되는 과운동성 때문에 높게 유 지되던 좌심실 구혈률이 수술 후 역류가 없어져서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전에 발표되었던 연구 들과6,18,24-29)

일치하는 결과이다.

승모판 폐쇄부전증에서 승모판 대치술 대신 승모판 수선술을 시행하는 것은 승모판의 정상구조를 유지시 킨다는 점에서 좌심실 수축력을 더 잘 보전할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8-10). 건삭보존하는 승모판 대치술에서 이미 좌심실 수축력의 보전이 더 유리할 것이라는 보 Table 5. Preoperative variables:Correlations with pos-

toperativ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Correlation with Postoperative LVEF Preoperative variable

R-value P-value

Age, years 0.019 0.437

Systolic BP, mmHg -0.164 0.083

LVESD, mm -0.363 0.001

LVEDD, mm -0.450 0.000

LVEF, % 0.048 0.342

LA diameter, mm -0.108 0.179

LVEDP, mmHg 0.068 0.289

Systolic PAP, mmHg 0.097 0.215 Mean PAP, mmHg 0.074 0.275 Cardiac index, L/min./m2 0.001 0.498 Cardiopulmonary bypass time, minutes -0.224 0.043 Aorta cross clamp time, minutes -0.212 0.054

BP, blood pressure;

LVESD,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diameter;

LVEDD,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LA, left atrium;

LVEDP,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PAP, pulmonary artery pressure

Fig. 3. Comparison of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ej- ection fraction of patients with preoperative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less than 65mm and patients with 65mm or more.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 eter less than 65 mm, postoperative left ventric- ular ejection fraction was 60±12(%) and was greater significantly than postoperative left ve- ntricular ejection fraction(50±14[%]) in patients with 65mm or more. *p<0.05

(6)

고가 있었고30,31) 이후에 승모판 수선술이 도입된 이 후 승모판 대치술과의 비교성적을 보고한 연구들에서 는 장기생존률도 더 좋다는 보고들이 있었다12-16). 본 연구가 시행된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1993년까지 모두 189예의 승모판 수선술이 시행되었으며 1990년 이후에 그 시행례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32). 본 연구에는 분석가능한 의무기록이 보관되어 있으며 이전에 승모판 폐쇄부전증으로 수술 받은 적이 없고 동반된 승모판 협착증이나 대동맥판 폐쇄부전증 혹은 삼첨판 폐쇄부전증이 없으며 심방중격 결손증 등의 선천성 심질환도 동반되지 않은 경우 중 수술 전 6개 월이내와 수술 후 1년이내에 시행한 심초음파 결과가 있는 39명만이 포함되었다. 이들을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한 36명의 환자들과 수술 전의 임상 변수, 심초 음파 변수, 심도자술 변수를 비교할 때에 양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수술 전 좌 심실 수축말기 내경,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 모두 승모 판 수선술 군에서 더 작은 경향을 보여서 양 환자군에 서 Selection bias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에 는 더욱더 대규모의 randomized study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미 승모판 수선술이 우수하다는 보고 들이 발표되고 있어서 randomized study보다는 각각 의 수술방법에 적당한 적응증을 찾을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더 필요한 다음과제라고 할 수 있겠다.

수술 전후의 좌심실 기능을 승모판 수선술군과 승 모판 대치술군으로 나누어서 비교해 보았을 때 수술 전의 좌심실 구혈률은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 으나 수술 후의 좌심실 구혈률은 승모판 수선술군에 서 더 높게 나타났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심한 좌심 실기능저하로 임의적으로 정한 수술 후 좌심실 구혈 률 40%미만인 환자도 승모판 수선술에서 더 적게 나 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승모판 수선술이 승모판 대치 술에 비해서 좌심실 기능의 보전에 더 유리하다는 기 존의 결과들8-10)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승모판 폐 쇄부전증에서 수술 후 장기생존은 수술 후 좌심실 기 능의 보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는 기존의 연구들을 고려하여6,7), 이후에는 계속적인 추적관찰을 통해서 장기 생존성적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승모판 폐쇄부전증에서 수술 후 장기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수술 전 인자를 찾기 위해서는 각각의 변수들

에서 수술 후 생존률을 비교해야 하나 생존률에서 유 의한 차이를 찾을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숫자가 되지 못하고 추적관찰 중 소실되어 생존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수술 후 장기생존은 수술 후의 좌심실 수축기능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6,7) 실제로 좌심심 구혈률을 기준 으로 수술전 변수들의 예측도를 연구한 결과도 있었 다7).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수술후 좌심실 구혈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수술 전 인자를 찾고자 하 였고 단순 회귀분석의 결과는 수술 전 좌심실 수축말 기 내경과 수술 전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만이 의미있 게 나왔으며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에는 수 술 전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만이 유의한 독립적인 상 관관계를 보였다. 이전에 보고된 바로는 좌심실 확장 말기압33), 수축말기 벽장력과 수축말기 용적의 비17),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34,35), 좌심방 내경19,34), 좌심실 수축말기 내경7,34,36), 좌심실 구혈률7), 등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승모판 폐쇄부전증의 속성상 좌심실 수축 말기 내경이 가장 믿을만한 예측인자라는 주장이 있 었고36) 최근에는 좌심실 구혈률이 가장 의미있게 생 존율을 예측한다는 보고도 있었다7). 이전에도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이 가장 중요한 예측인자라는 보고는

있었으나34,35), 좌심실 수축말기 내경보다는 그 예측지

표로서의 의미에 대한 동의가 부족한 상태이다. 수술 시기를 결정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술 전 심초 음파도상의 기준점을 찾기 위해서 그래프에서 수술후 좌심실 구혈률이 가장 크게 차이날 수 있는 점을 찾았 을 때(결과 표시 안함)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 65(mm) 를 얻을 수 있었고 이는 이전의 연구에서와36) 유사한 결과였다.

일단 승모판 수선술을 시행했다가 승모판 폐쇄부전 증이 남아 있어서 이어서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한 2 예와 수선술 후 승모판 협착증이 되어서 승모판 대치 술을 시행한 1예의 경우에는 수술 중 시행한 경식도 심초음파도와 식염수 누출검사상 발견된 것들로서 수 술전에 수선술을 시행할 것인지 대치술을 시행할 것 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검사방법들 못지 않 게 수술 중에 시행하는 심초음파도와 식염수 누출검 사도 여전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체 75명의 환자 중 66명의 환자에서 장기 생존 여부가 확인되었고 이중 4명의 사망례가 확인되었다.

(7)

승모판 대치술 시행 후 뇌출혈로 사망한 환자의 경우 는 장기간의 항혈전치료에 의한 합병증에 의한 것으 로 생각되며 승모판 수선술 후 사망한 환자들 중 수술 후 4개월째에 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사망한 환자의 경 우는 수술 중의 감염에 의한 합병증일 것으로 생각된 다. 수술 후 8개월째에 심부전으로 사망한 환자의 경 우 사망원인이 병원기록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화추 적조사에 의한 것이라서 신빙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 으나 이 환자의 수술 전 좌심실 구혈률이 79(%)였던 것으로 미루어 생각해보면 수술 후 좌심실 수축력 저 하에 의한 심부전으로 사망한 것은 특이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수술 후 3년 2개월째에 혈전에 의한 급성 승모판 협착증으로 사망한 환자의 경우 혈전이 생긴 유발인자가 정확히 무었이었는지에 평가가 이루어지 기 전에 응급실에서 사망하여서 이에 대한 명확한 원 인 분석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우선 심초음파도상의 좌심 실 구혈률 산출방식을 들 수 있다. 정확한 좌심실 구 혈률의 산출을 위해서는 M-mode 방식보다는 single plane 혹은 biplane Simpson 방식을 이용했어야 하 나 전향적 연구가 아닌 점으로 인하여 M-mode 방식 의 결과만을 이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고 이로 인해 서 좌심실 구혈률의 정확한 산출에 대한 신빙성은 어 느정도 떨어졌을 수 있다. 또한 연구에 포함된 환자수 가 충분한 숫자가 아니었던 점도 들 수 있다. 이는 가 능한 한 순수한 승모판 폐쇄부전증만을 대상으로 연 구를 시행하고자 하여 대상환자의 기준을 좁게 설정 한 것에도 일부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승모판 폐쇄부전증의 원인은 전체환자에서 류마티스성 원인이 71%, 퇴행성 원인 이 24%로 류마티스성 원인이 더 많았다. 승모판 수선 술과 승모판 치환술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에는 수선 술에서 류마티스성 원인이 79%로 퇴행성 원인 13%

보다 많게 나타났다. 이는 승모판 수선술의 가장 좋은 적응증이 퇴행성 원인에 의한 승모판 폐쇄부전증이라 는 기존의 보고와는37,38) 상반된 결과로서 연구에 포 함된 모든 환자에서 승모판 폐쇄부전증의 조직학적 원인이 확인된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본 연구의 대 상 환자들이 기존의 보고들에 포함된 환자군과는 다 른 환자들이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고, 이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한계점이라 하겠다.

승모판 수선술과 승모판 대치술에서 수술 전후의 좌 심실 기능을 비교한 결과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이 승 모판 수선술에서 더 높고,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 40% 미만의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도 승모판 수선술 에서 더 적어서, 승모판 수선술 후에 좌심실 기능이 더욱 잘 보전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또한 수술 후 좌심실 수축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수술 전 지표로는 수술 전 심초음파도상의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이 가장 의미있었다.

향후에는 더욱더 대규모의 환자군에서 명확한 수술 사망률과 장기생존 및 사망원인에 대한 기록을 바탕 으로 하여 승모판 수선술에서의 좌심실 기능보전이 장기생존에 있어서도 좋은 성적을 나타내는지, 실제 임상진료에서 만성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들을 추적 관찰하며 수술 시기를 결정하는 기준은 무엇으로 삼 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요 약

연구배경:

만성 승모판 폐쇄부전증에서 장기 생존은 좌심실 기능의 보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승모판 수선 술이 승모판 대치술보다 좌심실 기능의 보존에 더욱 유리할 것이라고 알려져 왔다. 따라서 저자들은 만성 승모판 폐쇄부전증 환자들에서 최근 증가추세에 있는 승모판 수선술 후의 좌심실 기능을 승모판 대치술과 비교하고,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을 예측할 수 있는 수 술 전 지표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84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후 천성의 순수한 만성 승모판 폐쇄부전증으로 승모판 수선술이나 승모판 대치술을 받은 환자 75명을 대상 으로 수술 전후의 임상소견과 심초음파도 소견, 심도 자술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 과:

75명 중 39명은 승모판 수선술을 시행하였고 36명 은 승모판 대치술을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에서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좌심실 구혈률을 비교하였을 때에 수 술 후에 좌심실 구혈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값<0.05), 승모판 대치술과 비교하여서는 승모판 수선술 에서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이 더 높았다(p-값<0.05).

(8)

수술 전 지표중에서는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만이 수 술 후 좌심실 구혈률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p- 값<0.05) 그 외의 다른 변수들에서는 유의한 상관관 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 론:

승모판 폐쇄부전증의 수술 후에는 좌심실 구혈률이 감소하였으며, 수술 후 좌심실 구혈률이 승모판 대치 술과 비교하여 승모판 수선술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 여 좌심실 기능이 더욱 잘 보전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또한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을 예측할 수 있 는 수술 전 지표로는 수술 전 심초음파도상의 좌심실 확장말기 내경이 가장 의미있었다.

References

1) Wisenbaugh T:Does normal pump function belie mu- scl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evere mitral re- gurgitation? Circulation 77515-525, 1988

2) Corin WJ, Monrad ES, Murakami T, Nonogi H, Hess OM, Krayenbuehl HP:The relationship of afterload to ejection performance in chronic mitral regurgitation.

Circulation 7659-67, 1987

3) Mirsky I, Corin WJ, Murakami T, Grimm J, Hess OM, Krayenbuehl HP:Correction for preload in assessment of myocardial contractility in aortic and mitral valve di- sease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ystolic myocardial stiffness. Circulation 7868-80, 1988

4) Braunwald E:Valvular heart disease. Heart Disease-A Textbook of Cardiovascular Medicine. 4th ed. Philade- lphia, WB Saunders1018-1028, 1992

5) Enriquez-Sarano M, McGoon MD, Orszulak TA, Schaff HV, Tajik AJ, Frye RL:Clinical and echocardiographic predictors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mitral regurg- itation surgery. Circulation 86(su-ppl I):I-724. Abstract, 1992

6) Crawford MH, Souchek J, Oprian CA, Miller DC, Rahimtoola S, Giacomini JC, Sethi G, Hammermeister KE, Participants in the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Cooperative Study on Valvular Heart Disease:Determi- nants of survival and left ventricular performance after mitral valve replacement. Circulation 811173-1181, 1990 7) Enriquez-Sarano M, Tajik AJ, Schaff HV, Orszulak TA,

McGoon MD, Bailey KR, Frye RL:Echocardiographic prediction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correction of mitral regurgitationresults and clinical implications. J Am Coll Cardiol 241536-1543, 1994

8) Bonchek LI, Olinger GN, Siegel R, Tresch DD, Keelan MH Jr:Left ventricular performance after mitral valve reconstruction for mitral regurgitation. J Thorac Cardio-

vasc Surg 88122-127, 1984

9) Goldman ME, Mora F, Guarino T, Fuster V, Mindich BP:Mitral valvuloplasty is superior to valve replac- ement for preservation of left ventricular functionan intraoperative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ic study.

J Am Coll Cardiol 10568-575, 1987

10) Sakai K, Nakano S, Taniguchi K, Sakaki S, Hirata N, Shintani H, Shimazaki Y, Kawashima Y, Matsuda H:

Global left ventricular performance and regional systolic function after suture annuloplasty for chronic mitral reg- urgitation. Circulation 86(suppl Ⅱ):Ⅱ-39--45, 1992 11) 이현우·송 현·이재원·김동관·서동만·송명근 : 승모판 재건술. 대한흉부외과학회지 281107-1112, 1995

12) Yacoub M, Halim M, Radley-Smith R, McKay R, Nijveld A, Towers M:Surgical treatment of mitral reg- urgitation caused by floppy valvesrepair versus repl- acement. Circulation 65(suppl Ⅱ):Ⅱ-210--216, 1981 13) Duran CG, Pomar JL, Revuelta JM, Gallo I, Poveda J,

Ochoteco A, Ubago J:Conservative operation for mitral insuffiencycritical analysis supported by postoperative hemodynamic studies of 72 patients. J Thorac Cardio- vasc Surg 79326-337, 1989

14) Angell WW, Oury JH, Shah P:A comparison of rep- lacement and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mitral reg- urgitation. J Thorac Cardiovasc Surg 93665-674, 1987 15) Sand ME, Naftel DC, Blackstone EH, Kirklin JW, Karp

RB:A comparison of repair and replacement for mitral valve incompetence. J Thorac Cardiovasc Surg 94208- 219, 1987

16) Galloway AC, Colvin SB, Baumann FG, Grossi EA, Ribakove GH, Harty S, Spencer FC:A comparison of mitral valve reconstruction with mitral valve replacementintermediateterm results. Ann Thorac Surg 47655-662, 1989

17) Carabello BA, Nolan SP, McGuire LB:Assessment of preoperative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patients with mitral regurgitationvalue of end-systolic wall stress- end-systolic volume ratio. Circulation 641212-1217, 1981

18) Phillips HR, Levine FH, Carter JE, Boucher CA, Osbak- ken MD, Okada RD, Akins CW, Daggett WM, Buckley MJ, Pohost GM:Mitral valve replacement for isolated mitral regurgitationanalysis of clinical course and late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m J Cardiol 48647-654, 1981

19) Reed D, Abbott RD, Smucker ML, Kaul S:Prediction of outcome after mitral valve replacement in patients with symptomatic chronic mitral regurgitationthe import- ance of left atrial size. Circulation 8423-34, 1991 20) Thompson R, Baird J, Squire B, Hilless A, Leslie P,

Easthope R:Late results of valve replacement and fact- ors influencing survival in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mitral regurgitation. N Z Med J 98944-947, 1985

(9)

21) van Herwerden LA, Tjan D, Tijssen JGP, Quaegebeur JM, Bos E:Determinants of survival after surgery for mitral valve regurgitation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Eur J Cardio-thorac Surg 4329-336, 1990

22) 유규형·오병회·박영배·최윤식·서정돈·이영우:

만성 승모판폐쇄부전증 환자에서 판막대치술후 예 후에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순환기 19(4) : 685-699, 1989

23) 허재영·임홍섭·이민기·차광수·조 몽·신영우·

신영기: 승모판 폐쇄부전증에서 판막치환 시술후 심기능의 예견 지표에 관한 고찰. 순환기 20(3):

315-324, 1990

24) Schuler G, Peterson KL, Johnson A, et al:Temporal response of left ventricular performance to mitral valve surgery. Circulation 591218-1231, 1979

25) Boucher CA, Bingham JB, Osbakken MD, et al:Early changes in left ventricular size and function after corr- ection of left ventricular volume overload. Am J Cardiol 47991-1004, 1981

26) Lessana A, Herreman F, Boffety C, et al:Hemodynamic and cineangiographic study before and after mitral val- vuloplasty(Carpentier’s technique). Circulation 64 Suppl

Ⅱ:Ⅱ-195-202, 1981

27) Huikuri HV:Effect of mitral valve replacement on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mitral regurgitation. Br He-art J 49328-333, 1983

28) Saltissi S, Crowther A, Byrne C, Coltart DJ, Jenkins BS, Webb-Peploe MM:Assessment of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nonrheumatic mitral regurgitation. Br Heart J 44369-380, 1980

29) Kennedy JW, Doces JG, Stewart DK:Left ventricular function before and following surgical treatment of mit-

ral valve disease. Am Heart J 97592-598, 1979 30) David TE, Uden DE, Straus HD:The importance of the

mitral apparatus in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correc- tion of mitral regurgitation. Circulation 68 Suppl Ⅱ:

-76-82, 1983

31) 조강래·김종원 : 승모판막질환에서 승모판 대치 술시 승모판 후엽 및 건삭보존의 효과. 대한흉부 외과학회지 23(3):488-500, 1990

32) 서경필·노준량·김용진·안 혁·이영균: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시행한 개심술 현황. 순환기 24(6):753- 761, 1994

33) Chaffin JS, Daggett WM:Mitral valve replacementa nine-year follow-up of risks and survivals. Ann Thorac Surg 27312-319, 1979

34) 손정호·김기식·신경목·허승호·김윤년·김권배:

만성 승모판폐쇄부전증 환자에서 판막치환술후 예 후에 미치는 술전인자에 관한 연구. 순환기 26(4):

822-831, 1996

35) Takahashi S, Kawana M, Hirosawa K:Surgery in sev- ere rheumatic mitral valve disease-recognition of severity and risk factors. Jpn Circ J 471112, 1983

36) Wisenbaugh T, Skudicky D, Sareli P:Prediction of out- come after valve replacement for rheumatic mitral regu- rgitation in the era of chordal preservation. Circulation 89191-197, 1994

37) David TE, Armstrong S, Zhao S, Daniel L:Late results of mitral valve repair for mitral regurgitation due to degenerative disease. Ann Thorac Surg 567-14, 1993 38) Fernandez J, Joyce DH, Hirshfield KJ, et al:Valver- elated events and valve-related mortality in 340 mitral valve repairs. A late phase follow-up study. Eur J Cardio- thorac Surg 7263-270, 1993

수치

Fig. 1. Change in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bef- bef-ore and after operation
Table 4. Histological findings of mitral regurgitation, n(%)  Histological  etiology  Overall  patients  n=41  Mitral valve repair n=17  Mitral valve  replacement n=24  Rheumatic 29(71) 19(79) 10(59)  Degenerative 10(24)    3(13)    7(41)  Endocarditic   2
Fig. 3. Comparison of postoperative left ventricular ej- ej-ection fraction of patients with preoperative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ameter less than 65mm and patients with 65mm or more

참조

관련 문서

Conclusion: In Neer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 treatment, both groups showed satisfactory result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but the hook plate

Second, th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the exercise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s of Ju-do

In the graft group, the weights of adipose tiss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control in both 3-and 7-day ( p &lt; 0.05) (Table 1, Fig..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Indirect group, who under- went surgery using indirect fixation using a suprapectineal plate only, and the Direct group, who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cale of hopelessness depression in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the group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DP were significantly elevated ( p= 0.02) and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ibronogen were decreased ( p= 0.021) in abnormal bleeding patients

The 24hr proteinuria level were increased in kidney with cyclosporine-A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iNOS inhibitor and green tea polyphenol group..

5 ) Stop Light Switch (Mechanical) 6 ) Front/Rear Balance Valve 6 ) Front/Rear Balance Valve 7 ) Pressure Differentiavl Valve 8 ) Brake Warning Lamp.. 9 ) Brake Fl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