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and fatigue scale for adul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and fatigue scale for adults"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76-83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www.kafm.or.kr

77 76

www.kafm.or.kr

서 론

전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와 만성 질환 증가가 중요한 건강문 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질병과 장애 없이 사는 건강 수명연장과 사회 계층간 건강격차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강한 삶을 위해 적절 한 신체활동과 규칙적인 운동이 권고되며, 운동은 근골격계, 심혈관 계, 호흡기계 및 내분비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1) 다양한 심리 적 효과와 체력 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다.2, 3)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좌식 생

활 증가를 비롯하여 신체 활동량 감소 및 운동부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2013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중등도 이상(걷 기포함) 신체활동 실천율은

2005

년 남성

71

.

1

%에서

2013

년도

52

% 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여성의 경우도

2005

66

.

1

%에서

2013

도에는

42

.

4

%로 큰 감소추세를 보였다.4) 이러한 신체활동 부족 문제 의 심각성은

2012

년 세계보건기구(

WHO

) 보고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WHO

는 신체활동 부족이 고혈압, 흡연, 고혈당에 이어 전 세계 사망 원인의

4

번째 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

3

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

(

Health Plan 2020

)에 따르면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성인의 심폐능력, 운동능력, 피로감에 미치는 효과

지현아, 양윤준

*

, 이언숙, 이준형, 윤영숙, 허연, 이진섭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and fatigue scale for adults

Hyun-A Ji, Yun-Jun Yang

*

, Eon-Suk Lee, Jun-Hyung Lee, Yeong-Sook Yoon, Youn Huh, Jin-Sup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nje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of Medicine, Goyang, Korea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and fatigue of adults.

Methods: Thirty-nine adults (≥20 years ol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underwent training for 40-60 minutes/day, three times per week for 12 weeks. Pre- and post- exercise tests were performed to assess maximal oxygen uptake, anaerobic threshold, muscle strength, and fatigu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PSS ver. 18.0 (SPSS Inc., Chicago, IL, USA)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p < 0.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maximal oxygen uptake, running time, and running distance, and partially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 strength and fatigu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naerobic threshold. According t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adults should perform a combination of moderate- and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to achieve at least 600 MET-minutes per week at least. For additional health benefits, the WHO recommends 300 minutes of moderate-intensity physical activity or 150 minutes of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a week. It is equivalent to 1200 MET-minutes (4.0 METs x 300 minutes) because the moderate physical activity value is 4.0 M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or fatigue between subjects who exercised for fewer than 1200 MET-minutes and those who exercised for more than 1200 MET-minutes.

Conclusion: The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improved cardiovascular function and exercise function. We recommend that a combination of moderate- and vigorous-intensity physical activity to achieve at least 600 MET-minutes is sufficient for maintaining health.

Keywords: Maximal oxygen uptake, cardiovascular function, METs, exercise function

Received February 27, 2015 Revised July 20, 2015 Accepted August 28, 2015 Corresponding Author Yun-Jun Yang

Tel: +82-31-910-7115, Fax: +82-31-910-7024 E-mail: Jyang@paik.ac.kr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1990

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체력을 위한 운동보다는 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으로 정책 틀이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최대의 이득과 최 소의 위험 하에 다수 국민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 중등도 신체활동 을 전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중증도 신체활동이란 대근육군을 이 용하고 적어도 활보이상의 강도로 행하는 신체활동으로, 걷기 외에 수영, 자전거 타기, 춤추기 및 여러 가지 가사 및 직업상의 활동을 포함하며 만

19

세 이상 성인에서,

10

분 이상 지속되는 중등도 신체 활동 일일

30

분 이상씩 주

5

회 이상 실천율(걷기제외)을 의미한다. 5) 최근 복합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데, 유산소 운동은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지방 사용을 활성화시켜 기초 대사량을 증가시키고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며,6-9) 유산소 운동과 함께 근력 운 동을 복합적으로 실시하였을 때 체력향상과 심혈관계기능 개선 효 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10, 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의 복합운동이 심 폐기능을 비롯한 운동능력 및 근력, 피로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 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증진을 위해 권고되는 운동 량의 적절성을 평가하여 성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운동량 을 권고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실험 연구로 단일군 전, 후 설계이며, 만

20

세 이상 성 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집은 기관 게시판에 인체시험 지원자 모 집 포스터나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 공고를 게재하고, 해당 병 원을 방문한 사람을 대상으로 인체시험 안내문을 제공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12

주 동안, 주

3

회, 하루

40

분~

60

분 동안 연구 기관에서 정한 스포츠센터를 이용하였으며, 동일한 운동량을 유지 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숙지한 트레이너에 의해 관리되었다. 운동프 로그램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으로 구성하였다. 유산소 운 동은 트레드밀, 고정식 자전거 운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운동강도는

WHO

권고안을 고려하여 중등도 운동강도와 고강도 운동강도를 혼합하여 실시하였다. 근력운동은 최대 반복횟수

8

회로 정해진 무 게로 시작해

15

회 이상 가능할 때 강도를 증가시키는 점진적 방법 을 택하였으며, 총

7

가지 근력운동으로 구성하였다. (예. 체스트 프 레스, 로윙, 측면 풀 다운, 레그 프레스, 레그 익스텐션, 레그 컬, 엉 덩이 근육 운동 등)

운동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처음 내원시와 매

4

주 마 다 심폐능력과 근력을 측정하였다. 심폐능력 평가를 위해 모든 참 가자는 수정된 브루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트레드밀 운동부하 유산 소 검사를 시행하였다. 트레드밀 검사는 워밍업

2

단계, 운동

3

단계, 그리고 정리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마다 운동 강도의 증량은

1

~

1

.

5 MET

(

Metabolic Equivalent Task

: 대사당량)으로 설정 하였

다. 심박수는

EKG

모니터링(

CH2000

,

Cambridge heart

,

US

)을 통해 체크하였으며, 산소섭취량(

VO2

(

ml

.

kg

-

1

.

min

-

1

)은 자동화 가스분석장치(

Quark b2

®,

Cosmed

,

Italy

)를 이용한 개방회로폐활 량법(

open

-

circuit spirometry

)을 통해 측정하였다. 최대 산소섭취 량은 준 최대의 산소섭취량과 심박수를 토대로 추론하였으며, 무산 소성 역치는

V

-

slope

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최대 운동 효과는 테 스트가 끝난 후 최대심박수 (

220

-나이)의 약

75

%의 심박수가 체크 될 때로 정의하였다. 운동 역량 변화는 운동전과 운동 후

20

분에 동 시활동성 토크 기계(

Cybex770 Norm

,

Lumex

,

NY

,

USA

)를 사용 하여 측정하였다. 등속성 근력검사는

60degree

/

sec

의 속도로

2

연습하고

1

~

2

분 휴식을 취한 후

3

회 반복 검사하였으며, 등속성 근 지구력 검사는

180degree

/

sec

의 속도로

2

회 연습을 하고

1

~

2

분 휴 식을 취한 후

10

회 반복 검사하였다.

참가자의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근육량, 체지방 체중 등의 신체계측은 인바디(

InBody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검사는 오전에 수행하였으며, 비슷한 온도와 습도의 공간에 서 시행하였다. 운동 전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및 운동 검사 전날 추가로 운동을 하는 것은 금지되었 다. 테스트는 참가자들이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거나 더 이상 자발 적인 운동이 진행되지 않을 때 종료되었다.

참가자들에게 피험자 참가 설명문의 형태로 충분한 정보를 제공 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 시작 전에 서면 동의서를 얻었다. 본 연구 는 연구윤리심의위원회(

Institution Review Board

,

IRB

)의 승인을 받았다.

자료의 분석은 윈도우용

PASW ve

.

18

.

0

(

SPSS Inc

.,

Chicago

,

IL

,

USA

)을 사용하였다. 첫 내원시와

12

주 후의 생체징후, 산소 섭취 율, 근력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응 표본

t

검정법 및 독립표본

t

검정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항목별 연관성 파악을 위 해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

.

05

미만으로 설정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참여자는 총

39

명으로 평균연령은

40

.

92

세였다. 성별은 여 성이

27

명으로

69

.

2

%를 차지하였으며, 교육수준은 대학교 이상이

66

.

7

%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흡연상태는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경우가

74

.

4

%, 음주 여부에서는 음주를 하는 경우가

51

.

3

%를 차지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하기 전 운동 여부에 대해서는 하지 않 는다고 답한 경우가

84

.

6

%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Table 1

).

(3)

Hyun-A Ji, et al.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and fatigue scale for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78

www.kafm.or.kr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76-83

2. 운동 프로그램 이후 변화

1) 최대산소 섭취량과 무산소성 역치

WHO

에서 제시한 건강한 삶을 위한 운동량은 직업, 이동, 여가 활동 영역을 포함해 한 주를 통해 각각의 영역에서의 활동량을 계산 하여

1

)

150

분 이상의 중등도 활동

2

)

75

분 이상의 고강도 활동

3

) 중등도와 고강도 활동을 혼합하여 적어도

600 MET

-

minutes

이상 의 활동을 보이는 경우 건강한 삶을 위한 활동량을 달성하였다고 정 의하였다.

MET

-

minutes

의 계산은 ‘각 활동의

MET level

× 시행기

minutes

× 주당횟수’로 하였으며 중등도 활동은

4

.

0 METs

, 격렬 한 활동은

8

.

0 METs

로 계산하였다. 추가적으로

WHO

신체활동 권 장지침에 따르면 건강 유익을 더하기 위한 운동량은 성인의 경우 중 등도의 유산소 활동을 일주일에

300

분 또는 격렬한 활동을 일주일 에

150

분으로 늘리거나, 아니면 동등량의 중등도 내지 격렬한 활동 을 섞어서 실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12)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운동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운동량에 따 른 심폐능력 및 운동능력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추가 이득 운동량 인 일주일에 중등도의 유산소 활동

300

분을 기준으로

4

.

0 METs

×

300minutes

(시행기간

minutes

× 주당횟수)=

1200 MET

-

minutes

를 산출하였다. 심폐기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1200 MET

minutes

을 기준으로 운동 전과 운동 후의 최대산소섭취량과 무산소 성 역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무산소성 역치는 운동을 지속 하였을 때 무산소 대사가 발생하는 시점으로 젖산이 쌓이거나 이산 화탄소 배출량이 많아지는 시기이다. 유산소 운동 능력이 좋은 사 람일수록 무산소 역치는 높아진다.

최대 산소섭취량은

1200 MET

-

minutes

이하인 군과 이상인 군 모두에서 운동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으며(

P

=

0

.

000

,

P

=

0

.

000

), 군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무산소성 역치는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운동 순응도가 최대산소섭취량과 무산소성 역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참가자들의 운등 순응도 평균은

76

.

13

이었으며, 운동 순응도

76

.

13

미만인 군과

76

.

13

이상 인 군에서 모두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 최대 산소섭취량이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

.

000

,

P

=

0

.

000

). 또한 운동순 응도가 낮은 군과 높은 군간 차이를 비교해보면, 운동순응도가 높 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최대 산소섭취율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으 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

0

.

035

). 무산소성 역치는 운동 순응도와 상관없이 운동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남성과 여성 모두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후의 최대산소 섭취량 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

=

0

.

017

,

P

=

0

.

000

), 무산 소성 역치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운동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2

).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39)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or M± SD

Age 40.92± 8.607

Sex Male

Female

12(30.8%) 27(69.2%)

Education level

<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3(7.7%) 10(25.6%) 26(66.7%)

Smoking status

Yes No Ex-smoker

8(20.5%) 29(74.4%) 2(5.1%)

Alcohol consumption Yes No

20(51.3%) 19(48.7%)

Exercise status Yes

No

6(15.4%) 33(84.6%)

* N: Number

M±SD: Mean±Standard deviation

Descriptive Statistics

Table 2. Comparison of VO2max and anaerobic threshold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Variable M± SD

p Diff P’

Pre Post

VO2max* (ml/kg/min)

MET <1200(m) MET ≥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35.54± 4.79 26.61± 4.51 28.29± 5.35 28.21± 5.44 26.59± 4.34

27.45± 4.94 31.75± 5.65 33.34± 3.76 32.15± 5.07 32.99± 4.59

0.000 0.000 0.000 0.000 0.000

5.13 5.04 3.94 6.39

0.944

0.035

AT (ml/kg/min)

MET <1200(m) MET ≥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20.08± 5.24 19.95± 4.98 20.20± 5.65 20.74± 5.58 19.33± 4.90

20.07± 4.94 19.86± 6.10 20.28± 3.61 19.85± 4.52 20.31± 5.52

0.995 0.953 0.955 0.512 0.461

- 0.084 0.72 - 0.88 0.99

0.935

0.323

* VO2max: Oxygen volume intake on maximal exercise AT: Anaerobic threshold

Diff: Difference of M±SD of pre and post variable P: P-value of paired t-test

P’ P- value of student t-test § Paired t-test & Independent-samples t-test(student t-test)

(4)

Table 3. Comparison of running distance and running time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Variable M± SD

p Diff* P’

Pre Post

Running distance(Km)

MET <1200(m) MET ≥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0.48± 0.27 0.40± 0.17 0.56± 0.32 0.54± 0.31 0.41± 0.19

1.28± 0.81 1.05± 0.61 1.51± 0.93 1.43± 0.92 1.11± 0.65

0.000 0.001 0.001 0.001 0.001

0.65 0.95 0.90 0.61

0.281

0.450

Running time(min)

MET <1200(m) MET ≥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4.85± 2.57 4.20± 1.84 5.51± 3.06 5.15± 2.99 4.52± 2.05

12.44± 7.43 10.72± 6.92 14.16± 7.73 13.38± 7.69 11.37± 7.23

0.000 0.001 0.000 0.000 0.001

6.51 8.66 8.22 6.85

0.399

0.591

* Diff: Difference of M±SD of pre and post variable P: P - value of paired t-test

P’: P - value of student t-test

Paired t-test & Independent-samples t-test(student t-test)

Table 4. Comparison of muscle strength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M± SD

p Diff|| P’

pre Post

60°RF*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53.44± 15.06 74.44± 28.64 72.47± 29.66 54.27± 13.39

63.75± 14.88 83.56± 28.47 80.59± 29.63 65.80± 14.21

0.005 0.010 0.019 0.002

10.31 9.13 8.12 11.53

0.787

0.437

60°RE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101.00± 30.01 130.38± 54.43 129.41± 54.86 100.13± 26.56

105.88± 26.15 139.69± 53.93 133.24± 56.14 110.93± 24.86

0.238 0.113 0.504 0.006

4.88 9.31 3.82 10.80

0.519

0.309

60°LF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51.81± 16.03 67.00± 31.11 66.12± 32.68 51.80± 10.32

66.38± 17.24 84.25± 25.03 81.24± 28.23 68.60± 13.07

0.000 0.000 0.001 0.000

14.56 17.25 15.12 16.80

0.536

0.700

60°LE§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103.50± 29.06 128.75± 60.96 131.12± 59.94 99.13± 23.72

107.56± 29.14 141.88± 52.41 135.94± 54.97 112.00± 27.32

0.172 0.044 0.370 0.005

4.06 13.13

4.82 12.87

0.180

0.236

120°RF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36.31± 13.99 51.13± 21.28 50.47± 21.42 36.07± 13.34

43.75± 11.91 55.69± 24.11 56.24± 23.94 42.33± 9.56

0.014 0.043 0.002 0.067

7.44 4.56 5.76 6.27

0.401

0.884

120°RE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59.94± 19.90 81.44± 35.57 78.94± 36.35 61.33± 18.91

65.50± 17.47 83.81± 39.47 83.06± 38.97 65.13± 16.42

0.000 0.458 0.173 0.168

5.56 2.38 4.12 3.80

0.419

0.936

120°LF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34.94± 12.31 45.63± 18.62 45.24± 19.80 34.67± 9.34

41.69± 13.86 52.63± 20.33 51.88± 22.80 41.80± 8.07

0.003 0.001 0.003 0.001

6.75 7.00 6.65 7.13

0.922

0.848

120°LE§ (Nm)

MET<1200(m) MET≥ 1200(m) Compliance<76.13 Compliance≥ 76.13

64.38± 21.09 82.69± 39.45 83.88± 39.07 61.80± 17.71

66.00± 19.64 86.81± 41.59 85.82± 41.77 65.73± 17.04

0.418 0.209 0.543 0.042

1.63 4.13 1.94 3.93

0.504

0.596

*RF: Right flexion

RE: Right exertion

LF: Left flexion w

§ LE: Left exertion

|| Diff: Difference of M±SD of pre and post variable

P: P - value of paired t-test, P’: P - value of student t-test

Paired t-test & Independent-samples t-test(student t-test)

(5)

Hyun-A Ji, et al.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and fatigue scale for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80

www.kafm.or.kr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76-83

2) 달린 거리(Running distance) & 달린 시간(Running time)

참가자의 최대산소섭취량의

80

% 수준의 러닝 속도를 추정공식 을 이용하여 정한 후13) 심박수 측정기를 착용한 후 최대산소섭취량 의

80

% 수준에 해당되는 심박수로 달리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오 래 달린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달린 거리와 달린 시간은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모두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

=

0

.

000

,

p

=

0

.

000

), 운동량과 운동 순응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남성과 여성으로 분류하여 운동전과 비교 하여 운동 후에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운동 프로그램 이후 달린 거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 며(

P

=

0

.

012

,

P

=

0

.

000

) 달린 시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

P

=

0

.

012

,

P

=

0

.

000

)(

Table 3

).

3) 근력 변화

운동 전후 근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무릎에서 오른쪽(

R

:

Right

), 왼쪽(

L

:

Left

),

60

도(°),

120

도(°), 폄근력(

E

:

Extenxor

)과 굽 힘근력(

F

:

Flexor

) 총

8

항목을 측정하였다.

1200 MET

-

minutes

만인 경우

60

°

RF

,

60

°

LF

,

120

°

RF

,

120

°

RE

,

120

°

LF 5

부분에서 운동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200 MET

-

minutes

이상 인 경우

60

°

RF

,

60

°

LF

,

60

°

LE

,

120

°

RF

,

120

°

LF 5

부분에서 운동 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운동 순응도에 따라 운동 전후 근력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운동 순응도가 평균 미만인 군에서는

60

°

RF

,

60

°

LF

,

120

°

RF

,

120

°

LF

4

부분에서 운동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운동 순응도가 평균 이상인 군에서는

60

°

RF

,

60

°

RE

,

60

°

LF

,

60

°

LE

,

120

°

LF

,

120

°

LE

6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성과 여성을 분류하여 운동 전과 운동 후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 였다. 남성의 경우

120

°

RF

,

120

°

LF

2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였으며(

P

=

0

.

019

,

P

=

0

.

007

), 여성의 경우

60

°

RF

,

60

°

RE

,

60

°

LF

,

60

°

LE

,

120

°

RF

,

120

°

LF

6

부분에서 운동 프로그램 이 후 근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

.

000

,

P

=

0

.

017

,

P

=

0

.

000

,

P

=

0

.

001

,

P

=

0

.

014

,

P

=

0

.

000

) (

Table 4

).

4) 신체계측 및 생체징후

신체계측은 신장,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근육량, 체지방 체중 총

6

가지 항목을 측정하였다. 이 중 체지방률만 운동 프로그램 종료 후 운동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P

=

0

.

001

) 하였다. 남성과 여성으로 분류하여 운동 프로그램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남성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한 신체계 측 항목이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체지방률, 근육량, 체지방 체중 항 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

P

=

0

.

007

,

P

=

0

.

011

,

P

=

0

.

007

)

생체 징후로는 좌위 수축기 혈압, 좌위 이완기 혈압, 맥박을 측 정하였다.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운동 전과 비교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감소(

P

=

0

.

011

,

P

=

0

.

009

)하였으나, 맥박은 운동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남성과 여성간의 차이를 살 펴보면, 남성의 경우 운동 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한 항목 이 없었으나, 여성의 경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운동 프로 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P

=

0

.

009

,

P

=

0

.

010

) (

Table 5

).

5) 피로 척도

참가자들은 운동 시작 전과

12

주 동안 운동프로그램을 마친 후 각각 피로척도에 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설문은

T

.

chalder

등이 개발한 피로 척도14)를 이용하였으며, 신체증상과 관련된 문항

1

~

8

번, 정신증상과 관련된 문항

9

~

14

번으로 구성되었다.

문항

6

. ‘당신은 기운이 없습니까?’, 문항

7

. ‘당신은 근력(근육의 힘)이 약합니까?’ 문항

8

‘당신은 약해졌다고 느끼십니까?’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가 있었다.

(

P

=

0

.

002

,

P

=

0

.

000

,

P

=

0

.

040

) 반면 정신증상과 관련된 피로척도에 서는 운동 전과 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운동량이나 운 동 순응도에 따른 군 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문항

6

. ‘당신은 기 운이 없습니까?’, 문항

8

‘당신은 약해졌다고 느끼십니까?’ 에서 운 동 프로그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P

=

0

.

008

,

P

=

0

.

030

), 여성의 경우 문항

6

, 문항

7

, 문항

14

‘당신은 평소 익숙하 던 일들에 대해서 관심이 없어졌습니까?’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

.

029

,

P

=

0

.

002

,

P

=

0

.

031

) (

Table 6

).

고찰

본 연구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의 복합운동이 심폐기능 을 비롯한 운동능력 및 근력, 피로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에 대 해 분석하고 건강증진을 위해 권고되는 운동량의 적절성을 평가하 여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량을 권고하고자 한다.

3

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다수 국민 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해 중증도 신체활동이 권장되고 있으며, 참 가자들은 대다수 권장 최소 운동량인

600MET

-

minutes

이상으 로 운동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 이득 운동량인

1200 MET

-

minutes

을 기준으로 심폐능력, 운동능력, 근력, 피로감 변화에 차 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 하였다. 하지만 추가 이득 운동량 이상을 운 동한 군과 그 이하로 운동한 군에서 최대 산소섭취량 및 무산소성 역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외

(6)

생체징후 및 운동능력, 피로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또한 운동 순응도 평균을 기준으로 운동 순응도가 높은 군과 낮

은 군에서 심폐기능, 운동능력, 피로감에서 차이가 있는지 각각 분 석하였다. 최대 산소섭취량은 운동 순응도와 상관없이 모두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운동 순응도가 높은 군에서 낮은 군 Table 6. Comparison of Fatigue scale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M± SD

t P*

pre post

Physical symptoms

1. Do you have problems with tiredness? 3.21± 1.03 3.36± 0.99 - 0.701 0.490

2. Do you need to rest more? 3.22± 0.97 3.52± 1.05 - 1.615 0.118

3. Do you feel sleepy or drowsy? 4.21± 0.57 4.21± 0.50 0.000 1.000

4. Do you have problems starting things? 3.64± 0.99 3.82± 0.95 - 0.817 0.421

5. Do you start things without difficulty but get weak as you go on? 3.50± 0.92 3.68± 0.91 - 1.223 0,232

6. Are you lacking in energy? 3.14± 1.11 3.68± 0.98 - 3.382 0.002

7. Do you have less strength in your muscles? 2.65± 1.13 3.54± 0.86 - 4.074 0.000

8. Do you feel weak? 3.07± 0.98 3.54± 1.11 - 2.159 0.040

Mental symptoms

9. Do you have difficulty concentrating? 3.82± 0.77 3.71± 0.90 1.362 0.184

10. Do you have problems thinking clearly? 3.93± 0.89 3.89± 0.83 0.297 0.769

11. Do you make slips of the tongue when speaking? 3.79± 0.79 3.89± 0.74 - 0.902 0.375

12. Do you find it more difficult to find the correct word? 3.89± 0.92 3.86± 0.93 0.205 0.839

13. How is your memory? 3.18± 0.98 3.39± 0.92 - 0.972 0.339

14. Have you lost interest in the things you used to do? 3.86± 0.80 3.71± 0.71 1.000 0.326

* P: P - value of paired t-test

Paired t-test

Table 5. Comparison of physical measurement and vital sign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M± SD

t P*

pre post

Weight(kg) Male

Female

63.22± 13.56 78.53± 9.94 57.47± 9.75

62.63± 12.77 76.41± 9.95 57.47± 9.50

1.399 1.763 0.014

0.172 0.116 0.999

Body Fat percentage(%) Male

Female

26.67± 6.64 21.17± 4.85 28.73± 6.08

25.64± 6.47 19.76± 3.82 27.85± 5.88

3.772 2.285 2.964

0.001 0.052 0.007

Body mass index(kg/m2) Male Female

24.32± 4.35 25.90± 1.86 23.73± 4.88

24.07± 4.16 25.19± 1.57 23.66± 4.75

1.729 1.819 0.604

0.093 0.106 0.552

Muscle mass(kg) Male

Female

44.53± 10.22 58.62± 8.32 39.25± 3.78

44.73± 9.96 58.13± 8.73 39.70± 3.86

- 0.833 0.683 - 2.769

0.411 0.514 0.011

Body fat mass(kg) Male

Female

49.29± 16.19 61.91± 8.71 44.56± 15.89

49.50± 15.98 61.39± 9.10 45.05± 15.82

- 0.891 0.706 - 2.944

0.379 0.500 0.007

Systolic blood pressure(mmHg) Male Female

116.54± 14.33 123.58± 13.85 113.41± 13.63

111.46± 13.57 122.00± 10.74 106.78± 12.10

2.685 0.515 2.834

0.011 0.617 0.009

Diastolic blood pressure(mmHg) Male Female

74.64± 9.30 79.08± 9.28 72.67± 8.77

70.95± 11.46 77.75± 12.48 67.93± 9.76

2.759 0.664 2.791

0.009 0.521 0.010

Pulse(beats/min) Male

Female

78.84± 10.81 76.25± 10.91 80.04± 10.76

80.95± 9.87 78.42± 9.51 82.12± 9.99

- 1.154 - 0.657 - 0.929

0.256 0.524 0.326

* P: P - value of paired t-test

Paired t-test & Wilcoxon signed rank test

(7)

Hyun-A Ji, et al.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cardiovascular function, exercise function and fatigue scale for adult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82

www.kafm.or.kr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76-83

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이 증가하였다. 그 외 다른 항목 에서는 운동 순응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심폐지구력 향상은 권장 최소 운동량으로도 성취할 수 있 으며, 운동 순응도를 높인다면 더 큰 심폐지구력 향상을 이룩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신체계측 및 생체징후, 그리고 근력 변화에 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남성은 신체계측 및 생체징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성의 경우 체지방률, 근육량, 체 지방 체중,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 였다. 또한 근력의 경우 여성은

6

부분/

8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여 남성

2

부분/

8

부분 보다 근력이 큰 폭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로척도에서 여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근력약화가 호전되었다고 답한 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여성의 경 우 유산소 운동 단독보다는 복합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 할 때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여성에 비해 남성에서 다수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 았다. 이는 참가자

39

명중 여성이

27

명, 남성이

12

명으로 수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남성의 경우 운동 순응도 및 운동량이 한 방향으로 편중되어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도출하지 못하였을 가 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복합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면 심폐기능, 운동능 력, 피로감이 개선되며, 특히 여성에게서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이 다. 또한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운동량을 시행하여도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WHO

권고안에 따라 운동하는 것은 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으로써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운동의 효과를 비교하여 일반화시킬 수 있는 대조군 없이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참가자의 운동량 및 순응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참석율이 일정수준 이상 유지되었다. 추가적으로 더 다양한 순응도와 운동량을 가진 집단끼 리의 비교를 통해 운동효과를 더 명확히 비교할 수 있는 연구가 필 요하겠다. 남성과 여성의 참여자의 수에서 여성이

69

.

2

%를 차지해 성별 비교에서 제한적인 부분이 있었으며, 남성의 경우 운동 순응 도 및

1200 MET

-

minutes

로 세부 군을 설정할 때 대다수가 한 군 에 모이게 되어 통계적으로 차이점을 분석할 수 없었다. 추후 성별 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이후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는

12

주간의 운동프로그램으로 실시되었으며, 최대 근력 증 진과 기능향상을 위한 운동기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밝히는 장기간 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요 약

연구배경: 본 연구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의 복합운동이 심폐기

능을 비롯한 운동능력 및 근력, 피로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운동량’이 적절 한지 평가하여 성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운동량을 권고하 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단일군 전 후 설계인 실험연구로 만

20

세 이상 성 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9

명(남성

12

명, 여성

27

명)이 등록하였 다. 총

12

주간

40

~

60

분/

1

회, 주

3

회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심폐기능, 운동능력, 피로감의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다. 통계는

SPSS

/

PASW ve

.

18

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

<

0

.

05

로 설정하 였다.

결과: 참가자들은 운동 프로그램 이후 심폐능력 및 운동능력이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근력 및 피로척도는 부분적으로 개선되었다.

WHO

에서 제시한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운동량’은 일 주일에 중등도 운동

150

분 혹은 고강도 운동

75

분 혹은 중등도와 고 강도 활동을 혼합하여 적어도

600 MET

-

minutes

이상이며, ‘건강유 익을 더하기 위한 운동량’은 일주일에 중등도 운동

300

분 혹은 고강 도 운동

150

분을 권고한다. 대다수의 참가자가

600MET

-

minutes

이상의 운동량을 달성하였으며, 추가 이득 운동량인

1200 MET

-

minutes

을 기준으로 각각의 항목에 대해 비교분석 하였으나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복합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면 심폐기능, 운동능력, 피로감 이 개선되며, 여성의 경우 특히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복합 운동 프로그램이 적합하다. 또한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운동량을 시행하 여도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WHO

권고안에 따라 운 동하는 것은 건강을 위한 신체활동으로써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중심단어: 최대산소섭취량, 심폐능력, 운동능력, 대사당량

REFERENCES

1. Kim IH,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nd exercise-behavior modification therapy on obesity, blood, lipids and self-esteem of the obess middle-aged women. J Korean Acad Nurs 2002;32;844- 854

2. Myers J, Exercise and cardiovascular health. Circulation 2003;107;2-5

3. Lee KJ, Effects of a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lipid metabolism for middle-aged obese women. J Korean Acd Nurs 2005;7;1248-1257

4. 6th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mination Survey(NHANES) data statistics. 2013;13.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8)

knhanes/index.do

5. 3rd National health plan 20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139-157

6. Takeshi Ogawa, Rober JS, Wade HM, Wendy MK, Kenneth BS et al. Effects of aging, sex, and physical training on cardiovascular responses to exercise. Circulation 1992;86;494-503

7. Park SK. The effect of muscular resistance and aerobic training on abdominal fat.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1;19(2);275-291

8. Heo YH, Kim EJ, Seo HS, Kim SM, Choi KM, Hwang TG et al. The effect of 16 week exercise program on abdominal fat, serum lipids, blood glucose, and pressure in obese woma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10;19(1);16-23

9. Whaley MH, Brubaker PH, Otto RM. 7th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Amed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 Baltimore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ublishers;2008

10. A. Leon, S., J. connett. Physical activity and 10.5 year mortality in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MEFIT). International journal epidemiology. 1991;20;690-697

11. M. Laughlin H, R. McAllister M. Exercise training-induced coronary vascular adaptatio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992;73;2209-2225

12.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GPAQ) analysis guideline.

Prevention of Noncommunicable Disease Depart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p14

13.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2006; 7th edition; p289

14. T.Chalder, G.Berelowitz, T. Pawlikowska, L. Watts, S. Wessely, D.

Wright, E. P. Wallace.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3;37;147-153

수치

Table 2. Comparison of VO 2 max and anaerobic threshold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Table 3. Comparison of running distance and running time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Variable M± SD p Diff * P’ Pre Post Running distance(Km) MET  &lt; 1200(m) MET ≥ 1200(m) Compliance &lt; 76.13 Compliance≥ 76.13 0.48± 0.270.40± 0.170.56± 0.320.54±
Table 5. Comparison of physical measurement and vital sign before exercise and after exercise  M± SD t P * pre post Weight(kg) Male Female 63.22± 13.5678.53± 9.9457.47± 9.75 62.63± 12.7776.41± 9.9557.47± 9.50 1.3991.7630.014 0.1720.1160.999

참조

관련 문서

Effects of combined calcium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insulin secretion, insulin sensitivity and β -cell function in multi-ethnic vitamin D-deficient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body strength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 applied to measure health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Therefore, as a recovery method during exercise, it is more effective for recovery of exercise fatigue and prevention of body acidification due to high

Min Seok Ko, Bo An Lee, Sung Yong Lee, Yeong Jun Jang, Yoon Jeong Hong, and Sin Kim(JNU) TR-PIV Performance Test for a Flow Field Measurement in a Single Rod Test Section 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8-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physical strength and stress of obese women in the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ctic acid fatigue and body oxidation through myofascial relaxation exercise using small tools

Taken together, it is a regular exercise program for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appeared to be a factor that could influence had a direct impact on the componen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re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body composition factors, bl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