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Preliminary Study on Mobile Medical Unit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Preliminary Study on Mobile Medical Unit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응급 의료체계용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연구

양민규1ㆍ이영*ㆍ서상욱2

1가천대학교 건축학과ㆍ2가천대학교 건축공학과

A Preliminary Study on Mobile Medical Unit for Emergency Medical System

Yang, Minkyu1, Lee, Young*, Suh, Sangwook2

1Department of Architecture, Gachon University

2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Abstract :

Recently, the disaster situation has been diversified and compounded worldwide as well as in Korea. And the damage scale of each disasters have increased, and following economic loss is also increasing immensely. In Korea, especially the out break frequency of large-scale disasters has increased. Disasters caused by earthquakes are also very likely to occur. When a major accident such as Mauna resort collapse accident, Ferry sewol sinking accident occurred, systematic emergency medical care at the site at the time of disaster occurred in order to operate an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rresponding to the site, which is not systematic. The need for this service is urgent. If highly reliable emergency medical system function at appropriate times in the disaster site, secondary damage can be reduced and the whole situation would be back to normal shor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emergency medical system capable of quickly and safely responding to disaster sites in relation to various damage scale. For the purpose, thorough analysis on mobile medical units of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was accomplished. As a result, Mobile Medical Unit of outside the country are trailer type, tent type, container type etc. At home, these types have been studied and will be proposed early next year as a temporary solution. Here we introduce suitable types for our country.

Keywords :

Disaster, Mobile Medical Unit, Emergency Medical System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들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재난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복합화 되면서 재난에 의한 피해 규모가 증가 하 고 있으며 이에 따르는 경제적인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형재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 들어서 는 지진에 의한 재난 또한 먼 이야기가 아닌게 되었다. 기상 청의 자료를 통해 지진발생 추이를 확인 해 볼 수 있는데 매 년 증가하는 추세이면서 최근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증가 하였고 진앙지는 다양하게 퍼져있기 때문에 더 이상 우리나 라도 지진안전 국가라 할 수가 없으며 지진에 의한 피해를 대

비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세월 호 침몰사고 등 대형 재난사고 들이 발생하였을 때 체계적이 지 못한 현장대응과 응급의료 시설의 미비로 인해 재난발생 시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체계의 마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재난, 재해 발생 시 적절한시기에 안정적인 응급의 료 서비스가 제공 된다면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피 해에 대한 복구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피해규모에 맞추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난현장에 대응 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다 양한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진행한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응급의료체계를 위한 이동의료단위에 대한 기 초연구로서 재해, 재난 시 재난 응급의료팀의 역할 수행이 원 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현장 응급의료소 역할을 하게 될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국내외의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한다. 현 재 이동 의료단위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이동 의료 단위에 관련한 보도자료 및 응급의학연구재단에서 발표한 연

* Corresponding author: Lee, Young,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1342, Seongnam-daero, Sujeong-gu, Seongnam-si,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E-mail: ylee@gachon.ac.kr

Received September 8, 2017: revised - accepted Septeber 21, 2017

(2)

구 결과보고서

1)

를 통하여 국내외 이동 의료단위의 현황을 파 악한다. 재난의 규모가 커지고 유형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 라서 에어텐트 형태의 재난 현장 응급의료소 뿐만 아니라 다 양한 유형의 응급의료시설의 구성이 가능하고 관리와 사용성 이 좋은 모듈화된 컨테이너 형태의 현장 응급의료소의 사례 들을 위주로 범위를 설정하여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미 국, 터키 등의 이동형 병원 제작업체의 의료단위를 참고하여 이동형 병원의 유닛 및 배치 유형을 분석하고 정리한다.

2. 국내/외 이동형 병원의 현황파악 2.1 국외 이동형 병원의 현황

2.1.1 군사적 목적의 이동형 병원(MTF2))

군사목적의 이동형 병원은 그 규모와 제공되는 의료서비스 의 수준에 따라 Role1, Role2, Role3로 구분이 된다.

Table 1. Configuration of MTF

Classification Definition

Role1 MTF

•Provide effective first aid and patient classification, resuscitation, aim for stabilization of injured person for transport.

•Basically, offer primary medical services

Role2 MTF

•Provide a bed with which you can provide the necessary primary surgical procedures and surgical intensive care before transporting to the tertiary facility

Role3 MTF •1st surgical procedure is possible and possesses special diagnostic equipment such as CT

Fig. 1. MTF Role 1

(Reconstruct DWGs referring to US BLUMED products)

2.1.2 UN Medical Support

UN의 이동형 병원의 경우 Table 2, Table 3과 같이 재난발 생 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수준에 따라서 3단계, 이동형 병원의 수용 규모에 따라서 3단계로 구분을 하고 있다.

Table 2.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medical service

Classification Definition

Level 1

•First aid, transportation, patient classification, resuscitation offering aimed at stabilizing injured people

•Primary health and emergency care

Level 2

•Provide surgical treatment and surgical intensive care

•Basic Field Hospital

Level 3

•Provide multiple interdisciplinary surgical procedures

•Advanced Field Hospital

Table 3.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apacity

Classification Definition

Type 1 •20 OPD/day, 5inpatients for up to 2days Type 2 •3~4 OP/day, 20inpatients, 1~2 ICU bed Type 3 •10 OP/day, 50inpatients for up to 30days

Fig. 2. UN Medical support Level 2

(Reconstruct DWGs referring to US BLUMED products)

2.1.3 MED-1 Project3)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재난 등의 상황에서 응급처치, 중 환자 치료, 수술 등을 할 수 있도록 트레일러 기반의 이동형

1) 국내 이동형 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결과 보고서(응급의학 연구재단, 2016)

2) MTF (Medical Treatment Facility): 의료치료시설

3) 국내 이동형 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결과 보고서(응급의학 연구재단, 2016)

(3)

병원을 구성 하는데, 기본 2대의 트레일러로 구성 되었으며 최대 130병상까지 운영이 가능하였고, 2005년 실제 허리케 인 카트리나 재난 당시 활동 하였다.

Table 4. Composition contents

Classification Content

composition

•Trailer-based mobile hospital construction for first-aid, critical care, and surgery in the event of a disaster

•It consists of two 53 ft trailers, and it can operate up to 130 tents and tent type wards

Facilities and equipment

•Two trailers that can operate through a 72 hour generator

•General patient care space of 1000 square feet (92 m²) size

•Six intensive care beds including two sound pressure beds

•operating room

•Dental / Otolaryngological Clinical Chair and Acute Treatment Endoplasmic reticulum including the bed

•Towable staff Accommodation trailer and sour / laundry truck

Fig. 3. MED-1 Project

2.2 국외재난 대응 이동형 병원 운용사례 2.2.1 미국의 DRASH DRASH4)

2003년 이란 BAM시에서 일어난 지진에 의한 피해가 발생 하였을 때 운용 하였다. 80명의 스태프로 구성된 미국의 외 과팀이 지진 발생 1주후에 현장에 도착하여 4일동안 FFH

5)

를 운용하였다. 활동기간 동안 2건의 C-SEC

6)

, 1건의 APPE

7)

, 4 건의 소수술을 시행 하였다고 한다.

Fig. 4. DRASH

2.2.2 Israeli field hospitla in Haiti8)

이스라엘은 2010년 아이티지진에 60병상 규모의 이동형 병원을 파견하였고 활동기간 동안 244건의 수술적 처치를 시 행 하였다. 총 121명의 스태프가 근무 하였고 총 1111명의 환 자를 치료하였다.

Fig. 5. Israeli field hospital in Haiti

2.3 국내 이동형 병원의 현황

국내의 이동형 병원은 과거 군사적 목적의 특수목적을 위 한 이동형 병원이 존재하였고 현장응급의료시설의 경우 텐트 형태로 되어 있다. 2006년 가천의대 길병원 서해권역 응급의 료센터는 필요시 재해현장에 투입 가능한 2.5톤 트럭에 의료 장치를 적재하여 기존 견인방식에서 벗어난 현장응급의료소 를 구비하였다. 이후 모듈러 시스템을 적용한 이동형 병원 개 발의 성과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2016년 11월 국립중앙의료원 에서는 ‘이동형 병원 제작 및 구매 사업에 관한 제안 요청서’

를 발표하였고, 2016년 12월 포스코 P&S가 한국형 이동형 병 원 제작 공급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 포스코 P&S에서 모듈 러 시스템을 활용한 이동형 병원 사업을 진행 한다는 내용 이 외에는 현재 사업 진행상황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연구성과를 알지는 못하지만 기존의 국내 이동형 병 원의 수준 보다 높은 수준의 이동형 병원 개발이 진행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연구들이 다수 진행될 것으로 파악된다.

2.3.1 현장응급의료소

재난 현장에 출동한 응급의료 관련 자원을 총괄, 지휘, 조 정, 통제 하고 사상자를 분류, 처치,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 며 기능적으로 분류반, 응급처치반, 이송반으로 구분이 되어 있다.

4) DRASH: Deployable Assembly Surgical Hospital, 국내 이동형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결과 보고서(응급의학연구재단, 2016).

5) FFH: Freedom From Hunger Campaign, 세계 기아 구제 운동 8) 국내 이동형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결과 보고서(응급의학 연구재단, 2016)

(4)

2.3.2 KDRT (Korea Disaster Relief Team) Field Hospital

KDRT는 대한민국 해외긴급구호대로서 해외재난 발생 시 재난 피해의 감소, 복구 또는 인명구조, 의료구호 등 정부차 원에서 피해국을 긴급히 지원하기위해 파견되는 조직이다.

9)

Table 5. Composition of KDRT Field hospital

KDRT Field Hospital Project Reference model •ICRC10)/IFRC211)

Emergency supplies list

•Medicines and consumables

•Equipment

•ERU(Emergency Response Unit)

Classification

•Basic Health care

•Rapid deployment Emergency hospital

•Referral hospital

Table 6. KDRT Field hospital

KDRT Field hospital module system

Module Content of organization

Administration

•Constructed of necessary items and hospital management system (OCS / EMR / PACS, operation support system, logistics management, administrative management, disaster assessment system) when managing the hospital of emergency relief team

Technique

•Generators, air conditioning systems, maintenance tool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movable hospitals, etc.

Lab & Pharmacy •Iot consists of goods used during patient examination and medicine preparatin

Outpatient •Outpatient and Emergency Room Patient Articles Medical appliance • medical equipment used in emergency room Medical treatment

consumables

•medical equipment used in Outpatient and outpatient emergency room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It consists of medicines used in pharmacies based on prescription of doctor

Fig. 6. KDRT Field hospital

2.4 소결(국내/외 비교)

국내외 이동형 병원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내 이동형 병 원의 경우 과거 텐트 형태로 이루어진 현장대응 응급 의료소 부터 최근 들어 2.5톤 트럭을 활용한 이동형 병원을 구비하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 텐트형의 이동형 병원을 넘어서 모듈러 시스템이 적용된 재난대응 이동형 병원과 트레일러 형태의 확장 가능한 시설이 운용 중에 있다. 다양한 형태의 이동형 병원이 상용화 되고 있으나 이동에 편의를 증대 시킬 수 있도 록 모듈러의 부피를 줄이는 형태의 개발이 추가적으로 연구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 매뉴얼

2016년 1월 재난을 비롯한 다수사상자사고에 대비 또는 대 응하여 사고가 발생한 시점부터 현장에서 응급환자의 이송이 완료될 때까지의 현장응급의료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 하는 것을 목적

12)

으로 발표 되었다. 매뉴얼은 재난현장의 응 급의료지원 인력 구성 및 운영, 재난현장의 응급의료지원 물 품의 비축과 관리, 재난현장의 응급의료지원 통신체계, 재난 의료지원 활동 후 재난 심리지원 체계 등 재난에 관련한 모든 사항을 정리 하였다.

Fig. 7.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diagram (Redrawn from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Manual) 9) Humanitatian.koica.go.kr, KDRT

10) ICRC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국제적십자 위 원회

11) IFRC (International Federation of Red Cross and Red Crescent

Societies): 국제 적십자 연맹 12)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보건복지부, 2016)

(5)

3.1 국가재난대응체계13)

Fig. 8. Schematic map of disaster site medical activity

재난 발생 시 재난 발생 지역주변으로 1차 통제선이 구획되 고 재난 발생지와 거점 병원 사이에 2차 통제선이 구획이 된 다. 2창 통제선 안에 현장 응급의료시설이 들어가게 된다. 현 장응급의료시설에서는 단계에 따라서 환자 분류작업에서부 터 간단한 응급 처치, 수술, 소생술 등이 이루어진다.

3.2 재난 등에서의 의료대응 단계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정리한 재난 시 의료 대응단계를 확 인하면 주의 단계 까지 경고, 전파와 같은 대응이 이루어지 고 오렌지색의 경계단계에서부터 의료 대응이 개시된다. 대 응단계에 따른 기관별 주요 활동을 확인 하면 재난 등의 발 생 시 의료지원을 위하여 사전 또는 사후에 조직된 의료팀인 DMAT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이 상황 발생 시 현장으로 출동 하는 것을 알 수가 있다(Table 7). 따라서 재난 대응체계를 기준으로 경계이상의 재난 상황 시에 DMAT의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재난 현장에 대응 가능한 모듈러를 활 용한 이동형 병원의 투입이 가능 할 것이다. 재난 발생 시 대 응 체계를 보면 재난 상황 접수→출동→도착(선착대)→도착 (합류팀)→현장의료활동→철수 및 사후조치 로 이루어 지는 데 이 중 현장의료 활동을 위한 이동형 의료 시설에 대한 연 구가 더욱 진행되어 재난 발생시 최적의 대응 환경을 만들어 야 할 것이다.

Table 7. Medical response steps in disasters

Classification Criteria Note

Interest (Blue)

1. Events or phenomena that have a large risk of multiple casualties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floods, earthquakes, and tidal waves 2. Receive casualties / information that

could result in casualties

Indications activity surveillance

Caution (Yellow)

1. Accidents / phenomena in which numerous casualties are expected to develop in the event of occurrence • Multiple utilization facilities, such as

fire, decay, and flood count of 20 or more persons, resulting in a fire, etc.

• Casualties from typhoons, floods, tidal waves, earthquakes, etc.

• Multiple traffic accidents and casualties in crowds •Chemical leakage of chemicals 2. Local fight / risk of terrorism

Active supervisory warning dissemination

Alert (Orange)

1. A situation where multiple casualties occur and the risk of additional casualties is significantly higher, thus requiring initiation of a response.

• More than 10 casualties and suspected additional casualty incidents or a multI-car accident on more than 10 vehicles.

• Determination of exposure to populations by chemical substances and radiation 2. Multiple casualties, crowds

gathering, and disaster management requests responsible for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and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Commencement of medical treatment

Serious (Red)

Obvious disaster, such as emergency medical services, which can not be responded to.

Expansion of Medical Response

4. 국내 재난대응 이동형 병원 규모

응급의학연구재단의 『국내 이동형 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 영방안 연구 결과보고서』는 해외사례를 참고하여 국내 이동 형 병원의 파견대상 재난 및 파견 규모와 관련해서 서술하여 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4.1 파견대상 재난의 분류14)

1) 다중손상 사고로서 약 50명 이상의 사상자가 예상되는 경우로 다중추돌 교통사고, 지하철 사고, 장대터널 교통사고, 열차 사고 등 접근하기 어려운 현장이나 운송수단 내에 갇혀 있는 사상자들의 구조 작업이 장시간 지속되어야 하는 경우.

2) 전쟁이나 테러 등으로 해당지역을 전면적으로 통제해야 하는 경우

3) 특수재난으로서 화학, 방사선, 생물학적 재난이 발생하 였을 경우

4) 병원재난으로 병원 자체가 지진, 태풍, 홍수 등의 자연

13) 중앙응급의료센터, 재난대응체계, 현장 재난의료 활동 모식도 재구성

14) 국내 이동형 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결과보고서(응급의학 연구재단, 2016)

(6)

재난이나 화재나 정전 등의 원내 재난으로 병원의 기능을 상 실한 경우

4.2 파견규모15)

병상규모 분류에 따른 이동 의료 단위를 분석 한 결과 10병 상일 경우 환자분류와 응급처치정도의 의료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기본 모듈로 구성하였고 병상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수행 할 수 있는 모듈이 추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Table 8).

Table 8. Application unit according to bed size Beds

Classification Basic unit Additional unit 1

Additional unit 2

Additional unit 3

10 beds

30 beds

50 beds

80 beds

Table 9. 10 beds

Classification Scale

10 beds Rapid triage and emergency Post;

RTEP

•Ten observation beds composed of three tents including the hospital bed, the executive department, and the endoplasmic reticulum (standard 50 to 60 m 2)

•A space of 25 m in width and 15 m in length is necessary for installation

•Required items can collect one truck of 5 tons,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within one hour with 4 to 6 skilled installers

•Each tent seems to be connectable to the aisle, so the necessary items are made possible disposable

Function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patients and the provision of first-aid measures, the scale suitable for the initial response of most multi-injury accidents currently in handling at th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Mainly provide severity classification, emergency primary church, patient transport function

Fig. 9. 10 beds plan diagram

Table 10. 30 beds

Classification Scale

30 beds Fast response surgical mobile hospital; FRSMH

•20 beds are general observation beds, 2 beds are resuscitation and trauma treatment beds, and 8 beds are composed of stable and intensive observation beds after ICU level surgery and an approximate area of about 1,350 m²is required for a 50 to 60 m²tent Smooth criterion)

•Added to RTEP, X-ray, critical pathology facility and bed modules

•Hold refrigeration equipment that can store blood products

•In some facilities, it consists of an expandable container (operating room, X-ray, clinical pathology)

•Two 15 ton trailers, two auxiliary trailers connected thereto, one truck of 5 tons can be loaded and moved

•Six skilled people are abl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within 2 hours

Added facilities

Function

•A concept (UN Level 2, WHO type 2) that can provide hospital-level disaster medical services beyond patient classification and first-aid measures functions

•Corresponds to multiple damage accidents and local disasters requiring on-site response for several days or more

•Provides restrictive surgery and stabilization of orthopedic surgery areas

Fig. 10. 30 beds plan diagram

Fig. 11. 25 beds care hospital of USAID (USAID's 25 beds care hospital photo citation) 15) 국내 이동형 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영방안 연구 결과보고서(응급의학

연구재단, 2016)

(7)

Table 11. 50 beds

Classification Scale

50 beds Surge hospital with

surgical care

•Configured by adding outpatient module, hospital beds, living modules, etc. in FRSMH

•40 beds are general observation beds, 2 beds are resuscitation and trauma treatment beds, 8 beds are set up on ICU level postoperative stability and intensive observation bedding, about 50 to 60 square meters tent area requirement of about 2,400 square meters Smooth or standard)

•Two 15 ton trailers and two 10 ton trucks can be loaded and moved

•Ten skilled people are abl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within 24 hours

Added facilities

Function

•Corresponds to multiple damage accidents and local disasters requiring on-site response for more than one week

•It is a large-scale event like the Olympic Games that exceeds the capacity of community medical institutions to accept medical care as a medical facility

•Providing disaster medical services at the hospital level and functioning to partially cover the medical needs of local communities (UN Level 2)

Fig. 12. 50 Beds plan diagram

Fig. 13. Reconstruction of 50 bed plan (Reconstruct DWGs referring to US BLUMED products)

Table 12. 80 beds

Classification Scale

80 beds Surge hospital with mobile CT scanner

•In addition to general X-ray, computer tomography (CT scanner) is additionally operated

•50 extracurricular modules in the hospital Surge hospital setting additional beds, living modules, CT scanner, etc.

•60 Hospital bed is generally observed hospital bed, 4 hospital bed is resuscitation and trauma treatment hospital bed, 16 hospital bed consists of stable and intensive observation bed after ICU level surgery Approximately 5,000 m 2 of tent area is required Standard)

•Three 15-ton trailers and four 10-ton trucks can be loaded and moved

•20 skilled people are abl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within 48 hours

Added facilities

Function

•Composition that can be dispatch ed to the medical crisis of the community that requires on-site response for 4 weeks or more

•It is possible to deal with situations where the community’s health and medical infrastructure collapsed in isolated island areas and the situation of local warfare, etc. Large hospital with more than 900 hospital Correspondence in case of disaster

•Provide disaster medical service at hospital level and implement power supply hospital function that covers all the medical needs of the community at normal times (UN Level 3, WHO Type 3, Role 3 level)

•General surgery, radical surgery in the field of orthopedic surgery, as well as surgery on chest surgery, neurosurgery, and maxillofacial surgery

Fig. 14. 50 beds plan diagram

응급의학연구재단에서는 파견대상 재난에 따른 이동형 병

원의 규모 및 기능을 정리하였는데 접수실, 일반병상, 응급처

치실을 기본으로 시작하여 30병상, 50병상, 80병상으로 규모

가 커질수록 일반병상 모듈, 특수기능 모듈 등이 단계적으로

추가되면서 이동 의료 단위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치료 이외

에도 확진검사실을 갖춘 감염병 대응 이동형 병원, 화학 재난

대응 이동형 병원, 방사선 재난 대응 이동형 병원 과 같이 다

양한 형태의 재난에 따른 이동형 병원에 대한 내용도 함께 정

리하고 있다.

(8)

5. 결론

이상으로 국내의 이동 의료단위에 대한 현황을 중점적으로 파악하고 국내 이동형 병원에 대한 제안 사항을 확인, 정리하 였다. 이동형 병원의 국내 동향으로 국립 중앙의료원에서 이 동형 병원 제작 및 구매 사업에 관한 제안 요청서를 발표하 고, 포스코 P&S가 이동형 병원 제작 사업계약을 체결 하였으 나 아직까지는 재난상황에 따른 의료시설에 유닛 모듈을 적 용한 사례는 해외에서 사용 되는 시설로 일부가 있지만 재난 과 관련된 의료기능 구현과 관련된 기술 개발은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그에 반해 국외 의 상황은 UN Medical Support, MTF, MED-1 Project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이동형 병원의 개발이 이루어져 있으면 실제 재난 상황 시 활동한 사례들이 있다.

국내에도 재난상황에 따른 비상대응 메뉴얼이 존재 하지만 비상대응 상황에 따른 응급의료 시설에 대한 구체적 규정이 부족하다.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정리한 보고서에서 재난 등 에서의 의료대응 단계와 대응 단계에 따른 기관별 주요 활동 을 통해 재난 시 현장 대응이 가능한 이동형 병원의 투입 시 기를 제안하고있으며 또한 국내 이동형 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용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재난 규모별 이동형 병원의 수 준을 정리 할 수 있다. 비상대응 메뉴얼과 이동형 병원 도입 및 효율적 운용방안 연구 보고서와 해외의 사례 자료들을 추 가적으로 검토하여 적절한 이동형 병원의 투입 시기와 규모 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국민안전처에 서 제시하는 재난관리 단계에 유닛모듈공법 기반 재난의료시 설의 건설프로세스 전 단계를 적절히 적용하면 재난 상황 각 단계에 요구되어지는 재난의료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상시에만 사용되어 공간만 차지하는 이동형 병원시설이 아니라 재난 상황 외에도 활용가능한 방법을 같 이 연구해야 할 것 이며 이동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모듈러 의 부피를 조절 할 수 있거나 접히는 형식의 모듈러 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국내 모듈러 건축시장은 초등학교 건축을 시작으로 남극 기지와 군 병영시설, 괌의 노무자 숙소, 주택과 러시아 프로

젝트 등 범위를 넓히고 있으나, 특정 프로젝트를 제외한 국내 시장에서의 수요는 아직 대량생산을 실시할 수 있는 단계가 아니므로, 여러 분야들과의 복합 연구를 통한 기술 개발 및 방안 제시를 통한 유닛모듈건축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17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 결과의 일부임. (No. NRF – 2017R1A2B2004336)

Referenc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Disaster Emergency Medical Response Manua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Introduction of domestic mobile hospitals and effective investigation plan research report, Research report of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Schematic map of on-site disaster medical activities, Retrieved from http://www.e-gen.or.kr (Apr, 2017)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medical system, Disaster response system, Retrieved from http://www.e-gen.or.kr (Apr, 2017)

National Medical Center (2016). Bulletin No. 2016-50, Request for proposal mobile hospital production and purchasing business.

<med-1partners.com> (Aug. 1, 2017)

<http://blu-med.com> (May. 12, 2017)

<http://blog.usaid.gov> (Jul. 15, 2017)

<http://www.turmaks.com> (may. 15, 2017)

<humanitarian.koica.go.kr> (Aug. 23, 2017)

요약 :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세월호 침몰사고 등 대형 재난사고들이 발생하였을 때 체계적이지 못한 현장대응과 응급의료시설의 운영으로 인해 재난발생 시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응급의료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재난, 재해 발생 시 적절한 시간 내 에 안정적인 응급의료서비스가 제공 된다면 2차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피해에 대한 복구도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 서 다양한 재난의 피해유형과 규모에 맞추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재난현장에 대응 할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 외 사례들을 조사하여 이동 의료단위의 유형을 파악하고, 규모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국외에는 트레일러유 형, 텐트유형, 컨테이너유형 등의 이동 의료단위들이 실제 운용되고 있었으며 국내에서는 그러한 운용 사례들을 조사하고 종합하 여 정부에 제안하는 단계에 있다. 국내에 적합한 이동형 의료단위의 개발과 제안을 위해 실제운용 사례들의 단위유형, 규모 및 조 합적 배치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토대로 국내에 적절한 유형을 제시한다.

키워드 :

재난, 이동 의료단위, 응급의료체계

수치

Table 1. Configuration of MTF
Table 4. Composition contents
Fig. 7.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diagram  (Redrawn from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Disaster
Table 7. Medical response steps in disasters
+3

참조

관련 문서

그러므로 어떤 관심사에 대해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한 경험 중에 서 몰입하거나 집중하여 탐구한 것, 끈질기게 파고들어 탐구한 내용, 친구들과 함께

“ “ The ideal medical The ideal medical education system is to education system is to educate and train highly competent medical educate and train highly

william James Hall, M.D., Medical Missionary to the Slums of New York; Pioneer Mission of Korean Native Costumes, China Medical Journal, 1916.3; Medical Needs of Korean

The study shows that 29.5 percentage of dental hygienists have experienced the medical disputes and complaints and they are lack of recognition of

In particular, the study summarizes the approval process for medical dev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For AI-assisted medical devices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nd Customer's Loyalty for Secondary Hospital in Rural Areas.. 2012 년

The staff of outstanding hospitals (doctors, nurses, administrative personnel) provide proper medical services that meet the

The Medical accident and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