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EMFC MEA의 막, 전극 동시열화 송진훈, 안병기1, 김세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PEMFC MEA의 막, 전극 동시열화 송진훈, 안병기1, 김세훈"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12, Vol. 18, No. 1 131

화학공학의 이론과 응용 제18권 제1호 2012년

PEMFC MEA의 막, 전극 동시열화 송진훈, 안병기1, 김세훈1, 고재준1, 박권필*

순천대학교; 1현대자동차 (parkkp@sunchon.ac.kr*)

PEMFC의 열화(degradation)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소는 전해질 막, 전극, GDL(Gas Diffusion Layer)이다. 이중 고분자 막 열화와 전극 열화의 조건이 약간 다르므로 가속화시험 을 할 경우 각각 따로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전극가속화 시험 과정에서도 막이 열화 되어 막 열화의 영향이 전극가속화시험에 반영될 수 있고, 막 가속화시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 서 두 요소의 가속화 시험을 분리해서 수행하는 것보다 동시에 가속화시험을 진행시켜 MEA 전체의 성능을 평가하고 또 전극과 막의 성능을 따로따로 분석해 전극과 막의 열화가 MEA 성능저하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막 열화 가속운전조건(cell 80℃, cathode 100%RH, anode 무가습, OCV유 지 144hr) 전극 열화 가속운전조건(0.9V-0.6V, Voltage change, 6000 cycle)을 병합하여, 전극열화 가속운전 6000cycle 동안 OCV 상태가 144hr유지되도록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

cell 80℃, cathode 100%RH, anode 무가습, OCV(86sec)-0.6V(10sec) 6000cycle 조건에 서 단위 전지 구동 후 I-V curve, CV, 수소투과도, Impedance, SEM, TEM 분석을 통해 막, 전극 동시열화 조건을 연구 하였다. 전극열화 가속운전조건에서 6000cycle 구동 후 성능은 0.6V기준 16%감소하였고, 촉매 입자 크기는 초기 3~3.5nm에서 7.9nm로 증가하였다. 막- 전극 동시 열화 가속운전 후 에는 24.5%감소하였고, 촉매 입자 크기는 5.3nm로 증가하여, 막-전극을 동시에 열화 시킬 수 있음을 보였고, 막과 전극 열화가 상호 영향을 줌을 확인 하 였다.

참조

관련 문서

고분자 막의 열화는 활성화에 의해 회복이 가능한 가역적 열화와 회복이 되지 않은 비가역적 열화로 구분했다.. 고분자 막의 비가역적 열화는 수소투과도 증가로 나타나는데 수소투과도

ETFE-g-PVBSA 막의 그래프트율이 증가할수록 도입된 ZrP 나노 입 자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ETFE-g-PVBSA/ZrP 막의 SEM-EDX와 TEM분석을 통하여 막 내부의

먼저 막의 하부의 응축수가 막과 직접 접속하는 방식(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DCMD), 막의 하부표면과 응축수 표면의 중간에 공기층이 있어 서로 분리된 방식(Air

대역에 걸쳐 안정된 증폭을 수행하는가를 의미 증폭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

- 고성능 그래픽, 게임, 고속 무선랜 등 일부 성능을 제외하면 소비자입장 에서는 기존 넷북과 기존 노트북PC의 경계가 모호. □ 저가 PC는 오히려

내구성 평가 의 기준은 다양하지만 DOE protocol은 2달 이상의 장기간 소요되기 때문에 막의 열화시간을 단축시키는 내구성 평가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막의

두 방법의 차이는 LSV의 경우 전기화학 측정법으로 막의 전극이 있는 상태에서만 측정 이 되며 GC는 막 자체의 수소투과도 측정이 가능하다.. LSV 측정법에서는 NEDO 방법과 DOE 방법을

 틸라코이드 막의 엽록소가 흡수한 빛을 엽록체 스트로마의 대사 활성으로 연결.. |그림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