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축젂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축젂기"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축젂기

 축전기는 전기장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 축전기는 일상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카메라 플래시,

심제세동기,

실험용 핵융합발전기

 축전기는 전기회로의 핵심부품이다. .

축전기는 컴퓨터칩의 마이크로 크기에서 FM 라디오 송신기처럼 고성능 회로까지 크기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2)

축젂기의 예

 축전기의 크기와 모양은 엄청나게 다양하다.

일리노이, 배타비아의 페르미 입자가속기 연구소로 연결된 축전기 제어발전소

하나의 축전기를 가진 세계 최초의 집적회로

(3)

젂기용량

 일반적으로 축전기는 서로 분리된, 비록 간단한 평면이 아닐지라도

흔히 평판이라고 부르는, 두 전도체로 구성된다. .

 축전기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기하모형에서 먼저 유용한 결과를 얻은 다음에

일반화시킬 것이다.

 판 면적 A , 판 간격 d 인 두 개의

평행한 전도체 판으로 구성된 평행판 축전기로 시작한다.

 두 극판 사이는 진공이라고 가정한다.

(공기는 진공에 매우 가깝다.)

(4)

평행판 축젂기 (1)

 축전기를 다음과 같이 충전시킨다.

위 극판에 +

q

아래 극판에 -

q

 극판이 전도체이므로 전하는 평판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한다.

 극판 사이의 전기퍼텐셜 V, 는 충전된 전하량에 비례한다.

 즉, 퍼텐셜차는 V(+) - V(-) = V이다.

q

q

(전지로도 사용한다)

+

+ + + +

+

- - - -

-

-

(5)

q

q

 전하 q 와 전기퍼텐셜 차 V 사이의 비례상수를 전기용량

C

라고 부른다.

 전기퍼텐셜 차 V 를 간단히 “퍼텐셜” 또는 극판에 걸리는 “전압”이라고 부른다.

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극판의 면적과 극판 간격에 의존하며, 극판의 전하나 전압에는 무관하다.

 전기용량은 얼마나 많은 전하량이 평판 사이의 퍼텐셜차를 만드는 데 필요한가를 알려준다.

평행판 축젂기 (2)

qCV

C q

V

(6)

젂기용량의 정의

 전기용량의 정의:

 전기용량의 단위: 쿨롱/볼트(C/V)

 전기용량은 영국의 물리학자 마이클 패러데이 (1791-1867) 를 기념하여 명명한 단위로 패럿(F)이라고 부른다.

 1 은 매우 큰 전기용량이다.

보통 축전기의 전기용량

F

(10

-6

F), nF (10

-9

F), pF (10

-12

F)

1 F 1 C

1 V

C q

V

(7)

축젂기 충젂과 방젂 (1)

 축전기를 전지 또는 DC 전원에 회로로 연결하면 충전된다.

 전하가 전지나 전원에서 축전기로 흘러가서 축전기 양극의 퍼텐셜차가 공급된 전압과 같아지게 된다.

 만일 축전기의 연결을 끊으면, 축전기는 전하와 퍼텐셜차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축전기의 전하가 새어나간다.

 그러나 고립된 축전기는 전하와 퍼텐셜차를 무한히 유지한다고 가정할 것이다.

(8)

축젂기 충젂과 방젂 (2)

c

c

 .그림은 충전과정을 나타내는 회로이며, 직선은 도선을 나타낸다.

전지(전원)는 기호

축전기는 기호 로 나타내며 C로 표시한다.

 회로의 스위치

위치

c

: 회로가 열려서 전지의 연결이 끊어진다.

위치

a

: 회로는 닫히면서 전지가 축전기 양단에 연결되어 충전된다.

q

=

CV

.

위치

b

: 두 극판이 직접 연결되어 축전기가 방전되면서 전자가 회로를 움직인다. 즉 전류가 흐른다.

(9)

평행판 축젂기 (1)

 간격이 d인 두 전도체 평행판을 생각해 보자.

 이 배열은 평행판 축전기 구조이다.

 위 극판은 +q , 아래 극판은 –q로 대전되어 있다.

 두 판 사이의 전기장은 양으로 대전된 판에서 음으로 대전된 판 쪽으로, 즉 그림의 아래쪽으로 향한다. 즉, 또한 전기장은 두

평행판의 표면에 수직이다.

 두 극판 사이의 모든 곳에서 전기장의 크기가 일정하고 다른 모든 곳에서는 0이라고 가정한다.

(10)

평행판 축젂기 (2)

0 E dA q enclosed

  

전기다발 = EA

(위 극판의 바닥 표면만을 지난다!)

둘러싼 전하 =

q

0

E q

A

 전기장은 가우스의 법칙을 사용하여 구한다.

 그림의 빨간색으로 가우스 표면을 만든다.

(11)

평행판 축젂기 (3)

 두 평판 사이의 퍼텐셜차 V 를 전기장으로 구해 보자.

 그림의 푸른색 방향을 따라 적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cos(180 )

f i

f i

V V V V V

E ds E ds E d

      

  

  

 

(12)

평행판 축젂기 (4)

C q

V

0

q q

C Ed q

A d

 

 

 

 

0 A C d

 

 축전기의 정의:.

 전기용량은 다음과 같다.

 변수

A

: 극판의 면적

d

: 극판의 간격

 전기용량은 기하학적 요인에만 의존하고, 극판의 전하량이나 전압과는 무관하다.

(13)

Example: 평행판 축젂기의 젂기용량 (1)

문제:

극판의 면적이 625 cm

2

이고, 분리간격이 1.00 mm인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얼마인가?

답:

-12 2

0

10

8.85 10 F/m 0.0625 m 0.001 m

5.53 10 F

= 0.553nF C A

d

 

 

 

(14)

보기문제 24.1: 평행판 축전기의 면적

문제

:

평행판 축전기에서 판 간격은 1.00mm이다. 축전기의

전기용량이 1.00F이 되려면 판의 면적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답:

간격이 1 mm이면 극판의 크기가 10.6 km x 10.6 km인 축전기의 전기용량이 1 F이다. .

ACd

0

1 F  0.001 m 8.85  10 -12 F/m

 1.13  10 8 m 2

(15)

문제: 젂기용량, 젂하, 젂자 …

문제:

RAM(random access memory) 기억소자의 축전기는 전기용량이 55 nF이다. 축전기의 전압이가 5.3 V로 충전되면 음의 극판에는 얼마나 많은 전자가 있는가?

답:

 극판의 총전하 q 를 알면 전자의 전하량 e 로 나눈 n =q/e로 전자의 수를 구한다.

 극판의 전하량 q 는 q=CV 이다.

(16)

 길이 L이고, 동축인 두 전도체 원통으로 구성된 원통형 축전기를 생각해 보자

예: 동축케이블

 내부 원통의 반지름: r

1

외부 원통의 반지름: r

2

 두 원통의 선전하밀도는

이고, 내부 원통은 양전하,

외부 원통은 음전하로 대전되어 있다.

원통형 축젂기 (1)

(17)

원통형 축젂기 (2)

 두 원통 사이의 전기장은 지름방향 안쪽으로 향하고 두 원통표면에 수직이다.

 가우스의 법칙을 적용해서 두 원통 사이의 전기장을 구할 수 있다.

2 0

E r

 

0

0

where 2 E dA q EA L

A rL

 

 



 …두 원통 사이의 전기장은 다음과 같다.

(18)

원통형 축젂기 (3)

 평행판 축전기처럼 두 원통의 퍼텐셜 차는 V = |V

1

– V

2

| 이다.

Cq

V   L

2  ln r   2 / r 1

2  0 L ln r   2 / r 1

2 2

1 1

1 2

0

2

0 1

| |

2 2 ln

r r

r r

V V E ds dr

r r

r





   

    

 

역시 C 는 기하구조에만 의존한다.

 …원통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다음과 같다.

(19)

구형 축젂기 (1)

 반지름이 각각 r

1

과 r

2

인 두 동심 전도체구로 구성된 구형 축전기를 생각해 보자

(20)

구형 축젂기 (2)

 내부 구의 전하= +

q

외부 구의 전하= –

q

 전기장은 두 구면에 수직하고, 그림의 빨간색 화살표처럼 지름방향이다.

(21)

 전기장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두 구와 동심이며 반지름 r 이 r

1

< r < r

2

인 가우스 표면을 사용한다.

 전기장이 가우스 표면에 항상 수직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전기장은 …

구형 축젂기 (3)

E q

 

…타당하다!

2

0

E dA

0

EA

0

E 4 r q

        

(22)

구형 축젂기 (4)

 퍼텐셜차는 원통형 축전기와 같은 방식으로, 음전하 구에서 양전하 구까지 적분하여 구한다.

전기용량:

구형 축전기의 전기용량:

V |V 1V 2

|

E dr

r

2

r

1

4

 q

0 r 2 dr

r

2

r

1

4

 q

0

1

r 1

1

r 2





Cq

Vq

q 4 

0

1

r

1

 1 r

2





 4 

0

1

r

1

 1 r

2





C  4 

0

r

1

r

2

r

2

r

1

(23)

고립된 구의 젂기용량

 전도체 구 하나의 전기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앞의 결과에서 외부 구가 무한히 멀리 있다고 가정하면 가능하다.

 구형 축전기의 전기용량에서…

 …r

2

=

및 r

1

= R …

4 0

C   R

0

0 1 2 1 2

4

1 1 1 1

4

q q

C V q

r r r r





  

   

 

   

   

…결국

V = q /4  0 R 이다.

(24)

문제: 구형 축젂기

문제:

구형 축전기 판의 내부 및 외부 반지름은 각각 38 mm와 40 mm이다.

a) 전기용량 C.

b) 같은 간격, 같은 전기용량인 평행판 축전기 극판의 면적 A.

답:

a)

b)

b=40 mm

a=38 mm

d

A ?

0

2 10 m

3

C A

d d b a

   

AdC

0

2.00  10

3

m

  84.5 pF

8.85  10

12

F/m

  0.0191 m

2

2

C  4 

0

ab

ba   40 mm   38 mm

8.99 10

9

Nm

2

C

2



  40 mm  38 mm  84.5 pF

(25)

회로의 축젂기

 회로는 도선으로 전기소자들을 연결한 집합이다.

 회로에서 여러 방법으로 축전기들을 연결할 수 있으나 가장 기본적인 두 연결은 병렬연결과 직렬연결이다.

아래 그림은 병렬연결된 세 축전기 회로이다. 축전기의 위 판은 전지의 양극과 직접 연결되고, 다른 판은 전지의 음극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오른편 그림은 직렬연결된 세 축전기 회로이다.

한 축전기의 양전하 판이 다른 축전기의 음전하 판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26)

축젂기의 병렬연결 (1)

 세 축전기가 병렬연결된 회로를 생각하자.

 세 축전기의 위 판은 전압 V 인 전지의 양극과 직접 연결되고, 다른 판은 전지의 음극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 각 축전기에 걸리는 퍼텐셜 차

V

는 모두 같다.

 각 축전기의 전하량은 …

q 1C 1 V q 2C 2 V q 3C 3 V

축전기 병렬연결의 핵심

(27)

축젂기의 병렬연결 (2)

 세 축전기를 하나의 등가축전기로 간주할 수 있으며,

등가축전기는 다음과 같은 총 전하 q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 에서 등가전기용량 C

eq

는 다음과 같다.

 n 개 축전기 병렬연결의 등가전기용량은 단순히 각 전기용량의 합과 같다.

 따라서 병렬연결된 여러 개의 축전기를 등가전기용량을 가진 하나의 등가축전기로 대체하면 아래 회로처럼 간단해진다.

qq 1q 2q 3C 1 VC 2 VC 3 V   C 1C 2C 3V

C eqC 1C 2C 3

C eqC i

i 1

n

qC eq V

(28)

축젂기의 직렬연결 (1)

 세 축전기가 병렬연결된 회로를 생각하자.

 축전기 C

1

에서 전지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극판은 양으로 대전되고,

 음전하가 유도된 반대 극판은 C

2

의 양전하 판과 연결되고

 C

2

의 음전하 판은 C

3

의 양전하 판과

 C

3

의 음전하 판은 전지의 음극 단자와 연결된다.

 전지가 양전하로 대전시킨 C

1

의 반대 극판에 음전하가 유도되고, C

2

의 양전하 판이 유도되고…이므로

각 축전기는 같은 양의 전하로 대전된다.

축전기 직렬연결의 핵심

(29)

축젂기의 직렬연결 (2)

 세 축전기의 전하가 같으므로 다음을 얻고,

 등가전기용량은 다음과 같다.

 n 개 축전기 직렬연결의 등가전기용량 역수는 단순히 각 전기용량 역수의 합과 같다.

 따라서 병렬연결된 여러 개의 축전기를 등가전기용량을 가진 하나의 등가축전기로 대체할 수 있다.

1 2 3

1 2 3 1 2 3

1 1 1

q q q

V V V V q

C C C C C C

 

          

 

Vq C eq

1

C eq

1

C 1

1

C 2

1

C 3

1

C eq

1

C i

i 1

n

(30)

요약 (1)

 구형 축전기의 전기용량

• r

1

: 내부 구의 반지름

• r

2

: 외부 구의 반지름

 고립된 구형 전도체의 전기용량

• R : 구의 반지름

1 2 0

2 1

4 r r C   r r

4 0

C   R

(31)

요약 (2)

 n 개 축전기 병렬연결의 등가전기용량

 n 개 축전기 직렬연결의 등가전기용량

1 n

eq i

i

C C

 

1

1

n

1

eq i i

C  

C

=

=

(32)

보기문제 24.2: 축젂기 모음 (1)

문제: 각 축전기의 전기용량이 5nF이면, 전체 축전기의

등가전기용량은 얼마인가? 전지의 퍼텐셜차가 12V이면, 각 축전기의 전하는 얼마인가?

답:

 등가전기용량을 구한다.

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축전기의 등가전기용량을 구해서 한

(33)

보기문제 24.2: 축젂기 모음 (2)

 C

1

과 C

2

는 병렬연결이고,

 C

3

또한 C

1

, C

2

와 병렬연결이므로

 세 축전기의 등가전기용량은

C 123

=

C 1

+

C 2

+

C 3

= 15 nF

 … 새 회로는 다음과 같다.

(34)

보기문제 24.2: 축젂기 모음 (3)

 C

4

와 C

123

는 직렬연결이므로

 등가정기용량은

 … 새 회로는 다음과 같다.

1

C

1234

 1

C

123

 1

C

4

C

1234

C

123

C

4

C

123

C

4 = 3.75 nF

(35)

보기문제 24.2: 축젂기 모음 (4)

 이제 C

5

와 C

1234

는 병렬연결이므로

 등가전기용량은

 … 새 회로는 간단히 다음과 같다.

C

12345

C

1234

C

5

C

123

C

4

C

123

C

4

C

5

(C

1

C

2

C

3

)C

4

C

1

C

2

C

3

C

4

C

5 = 8.75 nF

(36)

보기문제 24.2: 축젂기 모음 (5)

 전체 축전기 모음의 등가전기용량은 다음과 같다.

 단위와 크기 정도가 올바르다.

 전체 전기용량의 반 이상이 C

5

하나에 의해 제공된다.

 이 결과는 회로에서 축전기를 어떻게 배열하는가에 극히 주의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12345

(5 5 5)5

5 nF 8.75 nF 5 5 5 5

C              

(37)

 전지가 일을 해야만 축전기를 대전시킬 수 있다.

 이 일을 축전기 전기 퍼텐셜에너지의 변화로 볼 수 있다.

 퍼텐셜 차 V 인 전지가 dW 의 일을 하여, 전기용량 C 인 축전기에 dq 의 전하를 대전시킨다.

 축전기를 총 전하 q로 대전시키기 위해서 해야 할 일은 다음과 같다.

 결국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퍼텐셜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축젂기에 저장된 에너지

dW Vdq q dq

  C

2 0

1 2

qt

t t

q W dW q dq

C C

    

2

1 q 1

2

1

U   CVqV

(38)

 전하밀도 u,를 단위부피당 전기 퍼텐셜에너지로 정의하고,

 평행판 축전기에서 가장자리 효과를 무시하면, 극판 사이의

부피는 극판의 면적과 극판 간격의 곱인 Ad 이므로, 다음과 같이 얻는다.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넣으면 다음을 얻는다.

축젂기의 에너지밀도 (1)

volume uU

2 2

1 2

2

U CV CV

uAdAdAd

0 2

2 0

1

2 2

A V d V

u Ad d

 

   

 

     

(39)

 V/d 가 전기장의 크기 E,이므로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퍼텐셜 에너지밀도는 다음과 같다.

 이 결과는 비록 평행판 축전기에서 유도되었지만 사실상 일반적인 결과이다.

 전기장이 차지하는 공간의 단위부피당 전기 퍼텐셜에너지는 모두 위의 식으로 기술할 수 있다.

• 이 식은 단위부피당 전기장 에너지이다.

축젂기의 에너지밀도 (2)

2 0

1

u

2

E

(40)

 고립된 전도체 구의 반지름은 R =6.85 cm이고, 전하량은 q =1.25 nC이다.

문제 1:

대전된 전도체에 저장된 퍼텐셜에너지는 얼마인가?

답 1:

요점: 고립된 전도체 구의 전기용량은 C=4

 0 R 이다.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 U 는 전하량과 전기용량에 다음과 같이 의존한다.

보기: 고립된 젂도체 구 (1)

(41)

문제 2:

구의 표면에서 전기장의 에너지밀도는 얼마인가?

답 2:

요점: 에너지밀도 u 는 전기장의 크기에 다음과 같이 의존한다.

따라서 구 표면에서 전기장을 구하여 계산하면 다음을 얻는다.

2 0

1

u  2  E

E  1 4 

0

q R

2

u  1

2 

0

E

2

q

2

32 

2

0

R

4

 2.54  10

5

J/m

3

 25.4  J/m

3

보기: 고립된 젂도체 구 (2)

(42)

보기문제 24.3: 번개구름 (1)

 폭 2.0km, 길이 3.0km의 번개구름이 평평한 지면 위 500m 고도에서 맴돌고 있다. 번개구름에는 160C의 전하가 있으며 지면에는 전하가 없다.

문제 1:

구름과 지면 사이의 퍼텐셜차는 얼마인가?

문제 2:

낙뢰가 되려면 대략 2.5MV/m의 전기장 세기가 필요하다. 문제에 기술된 조건들은 낙뢰가 되기에 충분한가?

문제 3:

낙뢰가 되려면 대략 2.5MV/m의 전기장 세기가 필요하다. 문제에 기술된 조건들은 낙뢰가 되기에 충분한가?

(43)

보기문제 24.3: 번개구름 (2)

문제 1: 구름과 지면 사이의 퍼텐셜차는 얼마인가?

답 1:

 구름-지면 계를 평행판 축전기로 어림하면, 계의 전기용량은

 번개구름의 전하량이 160C이지만, 한쪽 판은 + q전하로, 다른 판은 -q로 대전된 평행판 축전기에서 판 사이의 전하량 차이는 2q이므로 구름-지면 계에서는 2q=160C,

즉 q=80C이다.

 따라서 퍼텐셜 차는 다음과 같다.

-12

0

(8.85? 0 F/m)(2000 m)(3000 m)

0.11 F 500 m

C A

d

 

  

80 C

8

7.2 10 V 0.11 F

V q

C

   

++++++++++++…++++++++++++ …

(44)

보기문제 24.3: 번개구름 (3)

문제 2:

낙뢰가 되려면 대략 2.5MV/m의 전기장 세기가 필요하다. 문제에 기술된 조건들은 낙뢰가 되기에 충분한가?

답 2:

 구름과 지면 사이의 퍼텐셜차와 주어진 거리를 써서 전기장을 계산하면 다음을 얻는다.

 E 가 2.5 MV/m, 보다 작으므로 주어진 조건에서는 번개가 생기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번개구름이 라디오 송신탑 위를 떠다니면 전기장 세기가 증가되기가 쉬우므로 번개로 방전될지도 모른다.

7.2 10 V

8

1.5 MV/m 500 m

E V

d

   

(45)

보기문제 24.3: 번개구름 (4)

문제 3:

낙뢰가 되려면 대략 2.5MV/m의 전기장 세기가 필요하다. 문제에 기술된 조건들은 낙뢰가 되기에 충분한가?

답 3:

 번개구름-지면 계에 저장된 전체 전기 퍼텐셜에너지는 다음과 같다.

1500 W 헤어드라이어를 5000시간 이상 쓸 수 있는 양의 에너지이다.

8 10

1 0.5(80 C)(7.2 10 V) 2.9 10 J

U  2 qV    

(46)

유젂체가 들어있는 축젂기 (1)

 지금까지 논의된 축전기들은 판 사이가 진공이거나 공기가 들어있다.

 그러나 상용 축전기들 거의 모두 유전체라고 부르는 절연물질이 들어있다.

 전체는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끝으로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증가시킨다.

첫째 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둘째 두 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셋째 판 사이에 공기가 있을 때보다 더 큰 퍼텐셜차를 만들어준다.

•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증가시킨다.

• 유전체의 분자구조 때문이다.

(47)

유젂체가 들어있는 축젂기 (2)

 축전기 판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면 전기용량이

(유전상수)배 증가한다.

 판 사이에 유전상수

의 유전체가 들어있는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C

air

는 유전체 없이 공기가 잇는 축전기의 전기용량이다.

 측전기 판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면 판 사이의 전기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나타나서, 축전기에 더 많은 전하를 충전시킬 수 잇다.

C   C air

(48)

유젂체가 들어있는 평행판 축젂기

 축전기 평행판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면 전기장이 다음과 같이 변한다.

 상수

0

는 자유공간의 전기유전율이다.

 상수

은 유전물질의 전기유전율이다.

0

E air q q E  A A

  

0

(49)

요약 (1)

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 퍼텐셜에너지

 평행판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장 에너지밀도

 일반적인 전기장 에너지밀도

U  1

2 CV

2

2 0

1

u

2

E

2 0

1 2 u V

  d

    

(50)

요약 (2)

 축전기 판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면 전기용량이

( 유전상수)배 증가한다.

 유전체는 (주어진 q) 극판 사이의 전기장을 감소시킨다.

 유전물질의 전기유전율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C   C air

E air

E

   0

(51)

유젂세기

 물질의 유전세기는 퍼텐셜차를 견디는 능력의 척도이다.

 만일 유전체 내의 전기장 세기가 유전세기를 넘어선다면, 유전체가 깨져서 방전이 일어나면서 판 사이의 전하들을 전도하기 시작하므로 축전기가 파괴된다.

 따라서 유용한 축전기는 주어진 전기용량뿐만 아니라, 유전성이 깨지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퍼텐셜차를 유지할 수 있는 유전체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 축전기에는 전기용량과 최대로 견딜 수 있는 퍼텐셜차 값등이 보통 명시되어 있다.

(52)

유젂상수

 진공의 유전상수는 1로 정의한다.

 공기의 유전상수는 1에 가까우며, 대체로 1로 사용한다.

 몇몇 물질들의 유전상수와 유전세기가 아래 표에 수록되어 있다.

 0

  

(53)

유젂체에 대한 미시적 해석 (1)

 전기장 안의 유전체가 원자와 분자 수준에서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생각해 보자.

 두 종류의 유전체에

• 극성 유전체

• 비극성 유전체

 극성 유전체는 분자구조상 영구 전기쌍극자 모멘트를 가진 극성분자들로 구성되어있다.

• 예: 물 분자

 보통은 전기쌍극자들이 무질서하게 분포한다

(54)

유젂체에 대한 미시적 해석 (2)

 그러나 극성 분자들에 전기장을 가하면, 전기장을 따라 정렬하려고 한다

 비극성 유전체는 고유 전기쌍극자 모멘트를 가지지 않은 원자나 분자로 구성된 물질이다

(55)

유젂체에 대한 미시적 해석 (3)

 이들 원자나 분자들은 외부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쌍극자모멘트를 가지도록 유도될 수 있다

 원자나 분자 내의 음전하와 양전하에 각각 반대로 작용하는 전기력으로 인해 두 전하분포가 약간 이동하여 전기쌍극자 모멘트가 유도된다.

(56)

유젂체에 대한 미시적 해석 (4)

 극성과 비극성 유전체 모두에서 정렬된 전기쌍극자 모멘트가 만드는 전기장이 원래의 외부전기장을 부분적으로 상쇄시킨다.

 축전기 판 사이의 전기장은 원래의 외부전기장과 유전체 내에 유도된 전기장의 합으로 다음과 같다.

r d

E    EE

(57)

보기문제 24.5: 유젂체 평행판 축젂기 (1)

문제 1:

유전체 없이 전기용량

C

= 2.00

F 의 평행판 축전기가 퍼텐셜차

V

= 12.0 V 의 전지에 연결되었다. 축전기의 전하는 얼마인가?

문제 2:

유전상수

= 2.5 의 유전체로 축전기의 판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채웠다. 이제 축전기의 전하는 얼마인가?

qCV   2.00  10

6

F  12.0 V 2.40 10

5

C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is increased:

C   C

air

6 5

2.50 2.0 10 F 12.0 V 6.0 10 C

qCV      

추가 전하는 전기가 공급한다.

(58)

보기문제 24.5: 유젂체 평행판 축젂기 (2)

문제 3:

이제 축전기와 전지와의 연결을 끊었다고 하자. 만일 유전체를 제거하고 계속해서 축전기를 고립된 상태로 둔다면, 전하와 퍼텐셜 차는 어떻게 되는가?

3:

고립된 축전기에서 유전체가 제거하면 전하들이 더 이상 흘러갈 곳이 없기 때문에 전하량이 바뀔 수 없다.

따라서 축전기의 퍼텐셜차는 다음과 같다.

Vq

C  6.00 10

5

C

2.00 10

6

F  30.0 V

V 증가

(59)

문제: 왁스의 유젂상수

문제:

공기가 들어있는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1.3 pF이다. 판의 간격이 2배로 증가시키고 왁스를 넣으면 전기용량이 2.6pF로 증가한다. 왁스의 유전상수는 얼마인가?

답:

 요점: 원래의 전기용량:

 새 전기용량:

 전기용량의 비율:

 유전상수

(60)

문제: 유젂물질

문제:

공기 축전기의 전기용량은 7.4 pF이다. 최대 전압 652 V에서 7.4

J 의 에너지를 저장할 축전기로 만든다고 하자. 유전상수가 얼마인 유전체를 판 사이에 넣어야 되는가?

답:

 요점: 유전체를 넣은 축전기의 전기용량: C=

C

air

저장된 에너지:

따라서 다음과 같이 얻는다.

참조

관련 문서

• 다중 스레드 방식은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 여러 개의 스레드가 있으므로 지금 실행되는 스레드에서 입출력 명령이 발생해서 더 이상 스레드가 실행되지 못하는

어떤 능력을 가진 피험자의 하나의 문항에 대한 응답은 다른 문항의 응답에 영향을

“다의어”의 특징은, 하나의 어휘가 몇 개의 상이한 개념을 표현하고 상.. 이한

분류 유형으로 복합 대화 및 단순 대화의 경우, 단순 대화는 하나의 완결된 대화 이동 연속체로 의사 소통 목적이 달성되는 경우를 말하고, 복합 대화는 여러 개의 대화

따라서 새로 개발된 소형 자동차의 연비가 기존 자동차에 비해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빨간색을 가진 모든 것은 세 개의 변을 갖 는다...

– MultiAutoCompleteTextView 위젯 : 핚 입력 상자 안에서 여러 개의 항목 들에 대해 자동 완성 기능 제공. • 핚 문자열을 여러 개의

전기난로나 전기밥솥과 같이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기구가 형광등이나 엘이디 등과 같이 전기 에너지 를 빛에너지로 전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