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치료약물사용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치료약물사용법"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14부 ; 노인에서의 새로운 치료-2

최신 골다공증 치료약물사용법

가률릭의대 내분비내과 / 한 제 호

서 론

골다공증의

치료약제는 에스트로젠 (estrogen),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 칼시토닌 (calcitonin) 등으로 대표되는 골 흡수 억제제들 (antiresortive agents)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골 형성 촉진제 들 (bone-forming or anabolic agents)에 대한 연구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골 형성 촉진제는 골 흡수 억제제와 달리 직접 골 형성을 촉진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으므로, 골다공증 치료 효 과 및

골절

위험도 (fracture risk)의

감소에 있어서

골 흡수 억제제에 비해 우월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더욱 강력한

골다공증

치료제로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현재까지

유망한

형성

촉진제의

대상으로는

소 (fluoride), 성장 호르몬

(growth hormon,

GH), 부 갑상선 호르몬 (parathyroid hormone, PI'H)’ 인슐린 양 성장 인자 (insulin-like growth factor

’ IGF-1),

스트론륨 (strontium, S에들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부 갑상선 호르몬 투여가 가장 희망적인 치료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앞서 소개된 약제들 이외에도 전혀 새로운 작용기전을가지고 있는약물들도 연구 개발중이므로 여기에 정리하여 보고자한다.

1. 부갑상선호르몬

부 갑상선 호르몬의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는 일챔 부 갑상선 기능 항진증 (primarγ

hyperparathyroidism)

환자의 경우 주로 피질 골 (cortical

bone)이 소실되는

반면 해면 골 (cancellous bone)은 침범되지 않는 특징적 인 소견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부 갑상선 호르몬 치료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부 갑상선 호르몬이 골 형성을 촉진하는 작용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으나 성장 인자들 (growth factors) 의 자극, 조골 세포 (osteobl없)의 apoptosis 억제, 파골 세포 (osteoclast)의 형성을 증가시키는 사이토카인

(cytokine)의

하나인 RM아(L 수용체 증가 등이 알려져

있다.

인간 부 갑상선 호르몬 (hPI'H)은

84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웹타이드 호르몬 (peptide hormone)이나.

34개의 아미노 말단

(amino-terminal)만

가지고도 충분한 생물학적 효과를 보여, 과거의 연구들에서는

hPI'H(l

-34)를 사용하였으며

,

최근에는

hPI'H(l

84)를 사용하여 골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에핑

(2)

hITH(l-34)와

hPI'H(l-84)의

척추

골량의 증가를 일으키는

효과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 고 되 고 있다. 부 갑상선 호르몬의 동화 작용 효과

(anabolic effect)는

투여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

간 헐적 (intermittent)으로 투여 할 경우에만 골에 대한 동화 작용 효과가 있고 지속적으로 투여할 경우에는 반

대로 골

흡수를 항진시키고

형성은 증가시키지 못한다.

임상적으로 부 갑상선 호르몬의 동화 효과는 해면 골

(cancellous

bone)의 증가를

보이나,

피질 골

(cortical bone) 역시

증가된다는 동물

실험

결과도

있어

향후 이에 관한 임상 연구도 기대되고 있다

1) 폐경 후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부 갑상선 호르몬 단독 치료

1,637명의 폐경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루

20 ug

혹은

40

ug의 부 갑상선 호르몬을 피하 주 사한

Neer 등의

연구

결과를

보면 평균

21

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척추 골 밀도는 10∼14

%,

대퇴골에서 는 3

%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신 골 밀도 역시 대조 군에 비해 의미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고

,

골절 위험 율은

20 ug

40 ug

투여 군에서 각각

65 %, 69 %의

위험 율 감소를 보였다. 오심과 두통 같은 부작용 은

미미하였으며,

칼슐뇨증 (hypercalciuria) 혹은 뇨석증 ( uroli thiasis)의

발생 증가는

대조

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남성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부 갑상선 호르몬 단독 치료

남성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서도

여성

골다공증 환자에서의 결과에

비교될 만한

치 료 효과를 보였다.

437

명의 남성

골다공증

환자에게

Neer 등의

연구에서와 동일한 용량의 부 갑상선 호르몬을 평균

11

개월 동안 투여한

결과 20 ug

40 ug 투여

군에서 각각

6 %와 9 %의

척추 골 밀도

증가를 보였으며, 18 개월 이상의

추적 관찰 시

50 %의

척추

골절 위험 율

감소를 관찰할

있었다.

3) 부 갑상선 호르몬과 에스트로젠의 병합 요법

호르몬 보충 요법을 받고 있는

폐경기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에게 부 갑상선 호르몬을 3년 간 투여한

Lindsay 등의 연구 결과를

보면, 척추 골 밀도는

13 %, 대퇴골

및 전신 골 밀도는 각각

4.4 %, 3.7 %의

증가를

나타내었

으며, 특히

척추의

골 밀도 증가는 부 갑상선 호르몬 투여 첫 해에 가장 높았다. 골 생검

(bone

biopsy)을 통한 골 조직 형태학적 검사

(bone histomorphometry)

결과

남성의

경우에서와 같이

해면 골의

증가가

관찰되었 고, 피질 골 (cortical bone)

역시

cortical

width의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4) 부 갑상선 호르몬과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언속 투여 (sequential administration)

부 갑상선

호르몬 투여로

확장된 골

재형성 공간

(bone remodeling space)을 비스포스포네이트가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골다공증 환자에 부 갑상선

호르몬을 투여한

1년간

2세대

비스포스포

네이트인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를

연속하여 투여한 임상 연구

결과

알랜드로네이트 단독 투여군의 척 추 골 밀도는

7 %증가한

반면, 부 갑상선 호르몬 병합 투여 군은

14 %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부 갑상선 호르몬과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사용

방법에

있어 동시 투여한 경우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더욱 장기적 인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도 아직

과제로

남아있다.

헬b

(3)

저14부 ; 노인에서의 새로운 치료-2

5) 부 갑상선 호르몬 투여 중지 후의 꿀 밀도 변화

부 갑상선 호르몬의 투여를 중지한 후 골 흡수 억제제와 같은 다른 약제를 투여하지 않을 경우에 골 밀도의 변 회는부갑상선 치료시에 반드시 고려되어야할점이다. 일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환자의 경우, 부갑상선 종양의 절제 후에도 증가된 척추 골 밀도가 유지됨은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현상이 실제 골다공증 환자에서도 적용이 될 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과거 Cosman 등, Lane 등 그리고 Kurland 등의 보고에 의하면, 부 갑상 선

호르몬 투여 중지

에스트로젠

혹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계속적인 투여가

밀도의

유지

및 증강에

필요

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으나

또한 더욱 장기적인 추적 검사가 펼요하다고 사려되며, 현재 Black 등이

이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진행 중이다.

2. 불소

골 형성 촉진제 중 가장 먼저 소개되었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 될 수 있는 약제이다. 불소의 작용 기 전은 조골 세포의 숫자를 증가시 킴으로써 골 흡수

(bone

resorpti on)를 억제하지 않고 골 형 성

(bone

formation)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부작용으로는 심한

장관 증상과 하지의 통증이 가장 흔하며, 칼 슐 부족 혹은 스트레스 골절

(stress fracture)

골연회증 (osteomalacia)등도 발생할 수 있다. 임상적으로 염화 불소 (sodium fluoride, NaF)와 monofluorophosphate (MFP)가 사용되나,

MFP는

염화 불소에

해 위 장관 부작용이 적고 칼습과 동시에 투여할 수 있으며 불소의 생체내 이용

(bioa vaila

bili

ty)

측면에서 우월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조 형태에 따라

enteric-coated

혹은

slow-

releasing formulation

이있다.

불소 치료의 적절한 용량 및 용법에 대하여는 아직 확립되어 있는 것이 없으나. 최근의 여러 연구들의 결과들 을 비교하여 볼

때,

불소 치료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은 칼숨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저 용량의 불소

제제를

선택하고 칼 슐 부족에 의한 증상들을 주의 갚게 관 찰하여야 하며, 칼숨 제제 혹은

비타민

D

제제를

함께 복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불소의

침착을 줄이 기 위해서는

slow-releasing

formulation을 사용하 고 주기 적

혹은

간헐적인 투여를 하여야 한다.

불소 제제와

다른

골다공증 치료제와의

병합

요법도 시도되고 있다. Alexandersen 등은 호르몬 보충 요법과 함께 monofluophosphate를 폐경기 골다공증 환자에 투여하여 단독 요법 사용 시의 골 밀도 증가 보다 높은

11.8

%의 척추 골 밀도 증가를 보고하였으며, 최근에는 Ringe 등이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인 에티 드로네이트 (etidronate)와의 병합 요법 도 시도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하였고 또 다 른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인 알렌드로 네이트와의 병합 투여 연구도 진행 중에 있다.

3. 성장호르몬

성장 호르몬의 골 대사에

대한

효과는 현재까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연령

, 골격

의 성숙 정도

(skeletal

maturity)

등에 따라

직접 혹은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간접적으로는

근육양 (muscle

mass)과 장관의 칼 숨 흡수에 대한 효과를 통하여 골량

(bone

mass)을 증가시 키고, 직접적으로는 조골 세포에 대한 효과를 통하여 골 재형성 (bone remodeling)을 자극하고 연골내 성장 (

enchondral

growth)을 증가시킨 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성장 호르몬은 골량의 증가와 유지에 중요한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골다공

에b

(4)

증의 치료로 성장 호르몬 투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골 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는 저명하지 못한 결 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성장 호르몬 투여시 골 형성의 증가와 함께 골 흡수도 동시에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 각되며, 또한 임상 연구들이 아직 장기간 투여 결과를 보지 못한 결과로도 추측되나, 최근

Nilsson

등은 성장 호르몬 투여 4년 후 요추 골량 증가의 지연 효과

(delayed effect)를

보고하여 성장 호르몬 치료의 새로운 가능 성을제시하였다.

4. 인슐린양성E벤자

인슐린양 성장인자는 조골 세포에 수용체가 존재하고, 조골 모세포

(preosteoblast)

증식의 촉진과 분화된 조 골 세포 형질 (phenotype)을 유지토록 하며 , 콜라젠 (collagen)의 형성을 자극하고 파괴 는 억제하는 작용을 한 다. 따라서 , 인슐린양성장인자의 투여가 성장 호르몬 보다 직접적으로 골 형성을 자극하며 , 더구나 성장 호르몬 투여 시 생길 수 있는 당뇨병 혹은

carpal tunnel syndrome 같은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 다. 또한, 주된 결합 단백질

(binding

protein) 인 IGFBP3와 같이 투여하면 단독 투여 보다 더욱 우월한 효과 를

보이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슐린양 성장인자의 임상 연구들을 살펴보면 비 록 소수의 환자 군과 단기간의 연구 결과라는 제한점을 가지 고 있으나, 정상

폐경기후

여성, 성장 호르몬 저항성

왜소 증후군 (GB-resistant short stature syndrome, Laron

dw하ism), 남성 골다공증과 폐경기 후 골다공증 환챔을 대상으로 치료 후 골 형성을 증가시키는 희 망적인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인슐린양 성장 인자 치료 역시 전신적 부작용의 위험성과 보다 많은 환자 를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치료 경험 이 미약하다는 문제점 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다양한 임상 연구가 요 구된다

5. 스트론륨

스트론륨의 구조적 특정은 2가 양이온

(divalent

cation)으로 칼슐

이온과

화학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근거로 골 대사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뼈의 미네랄화

(mineralization)

혹은 결정 구조 수준

(crystal

level) 에서 미네랄 성분의 커다란 변화 없이 골 형성이 증가됨이 알려진 이후, 이

러한 사실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새로운 골 형성 촉진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

Meunier

등이 발표한 결과를 보면, 여러 용량의

strontium

ranelate를

353

명의 여성 골다공증 환자에게

2

년간 투여한 결과 용량에 따라 유의한 척추 골 밀도의 증가를 관찰 할 수 있었으며 골절 위험율 역시 감소함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 스트론륨은 골 형성 작용뿐만 아니라 골 흡수 억제 효

과도

가지고 있는 이중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안정성이나 적정 용량 혹은 효능

면에

대하여 아직 확실히 인정

되고

있지 못하므로

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6. 파꿀 세포 vacuolar ~-ATF닙se의 선택적 억제제

파골 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proton

pump는 골 흡수 시에 형성되는

resorption lacuna를

산성 상태로 유지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proton

pump가

vacuolar H' ATPase

f없nily에 속한다. 따라서 강력한

H'- ATPase

선택적 억제제인 ma

crolide계 항생제 bafilomycin A

유도체인

(2Z, 4E)-5(5,6 -dichloroindolyl)-

0

(5)

저14부 ; 노인에서의 새로운 치료-2

2-methoxy-N-(1, 2, 2, 6, 6-pentmethylpiperidin-4-yl)-2, 4-pentadienamide (SB-242784)와 비 bafilomycin A 유도체 인 4-(2, 6-dichlorobenzoyl)amino-2-trifluoromethyl(benzoimidazol-1- yl)acetyl- morpholine

(FR177995)을 난소를 절제한 백서에 투여하여 난소 절제 후 발생하는

소실을 방지 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파골 세포 억제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기존의 골 흡수 억제제들과 다른 여러 다양한 작용 기전들을 가진 골 형성 촉진제의 개발은 골다공증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발전이며, 골 흡수 억제제들과의 복합 투여와 같은 다Oef한 치료 방법을 통해 각각의 단독 투여

보다더욱강력한치료효과를기대할수

있게

되었다. 골형성 촉진제들중에서 부갑상선 호르몬이 가장희망

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상적으로 적절한 투여 용량 혹은 방법 투여 기간 그리고 투여 중단 후의 골 밀도 변화 등 아직도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어 이들에 대한 앞으로의 여러 연구 결과들이 기대되 는바이다.

참고문헌

1. Rubin MR, Bile강kian

JP

New anabolic therapies in osteoporosis Curr Opin Rheumatol 14:4334때l 2002

2. Riggs BL, Hodgson SF, O’Fallen WM et 머. Effect of fluoride treahnent on the fracture rate in poshnenopausal women with osteφorosis N Engl J Med 322:802-809, 1991

3.PakCT, 앓상1aeeK, Ad없n웅Hu얹t Bet 허 Treahnent of poshnenopausal osteoporos잉 with slow-release sodium fluoride:

비1떠 re po야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123:401-408, 1995

4. Alexanderson P, Riis BJ, α띠sti없\Sen C Monofluorophosphate combined with hormone replacement therapy increases a synergistic effect on bone mass by dissosiating bone formation 뻐d resorption in postmenopa따al women: a r와1domized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84:3013-3020, 1999

5. Ringe

JD,

Dorst A, Kipshoven C et 허. Treatment of osteφoros엽 in men with fluori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bisphosphonates. C외cif Tissue Int 69:252-255, 2001

6. Donahue L, Rosen 디 IGFs and bone:the osteoporosis connection m띠sited. Proc Soc Exp Bi이 Med 219:1-7, 1998

7. [때n-Wilhelmsen KLL, Nilsson A Grow난1 hormone increases bone mineral content in postmenopa따al osteoporosis. J Bone Miner Res 16(Suppl l:F때4 2001

8. J pner H, Brown EM, Krone마erg HM P값a thyroid hormone, In Primer on Metabolic Bone 많ea않S ; Eφted byFavus MASBMR:8[)-87,1999

9. Ma YL, Cain RL, Halladay DL et al. Catabolic effects of continuous human PTH(l-38) in vivo is associated with sus때ned 뾰m버ation of RANKL 뻐d 빼bition of osteopro앤뿜rin and gene-associa앤d bone formation. 타1docrinok쟁y14따껴l/'-4054, 2001 10. Burr DB, Hirano T, Turner CH et al. Intermittently administered human parathyroid hormone (1-34) treatment increases

inσacortical bone turnover and porosiη without reducing bone strength in the humerus of ovariectomized cynomol맹S

monkeys. J Bone Miner Res 16:157-165, 2001

G

(6)

11. Neer RM, Arnaud CD, Z뻐마e야a

JR

et al. Effect of parathyroid hormone (1-양) on fractures and bone mineral densiψ m

postmenopa않al women with osteoporosis. N Eng J Med 와4:1434-1441, 2001

12. Orwoll E, Scheele WH, Pa비 Set al. Brief therapy with recombinant human parathyroid hormone (1-34) increa똥S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in men with idiopathic or hypogonadal osteopenia (abstract). 23rd Annual Meeting of the ASBMR, 2001:F393

13. Orwoll E, Scheele WH, Clancy AD et al. Recombinant human parathyroid hormone (1-34) therapy reduces the incidence of moderate/severe vertebral fractures in men with low bone density (abstract). 23rd Annual Meeting of the ASBMR, 2001:5162

14. Lindsay R, Nieves J, Formica C et al.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effect of parathyroid hormone on vertebral-bone mass and fracture incidence 없nong postmenopausal women on oestrogen with osteoφrosis‘ Lancet 350:55[)-555,1997 15. Cosman F, Nieves L, Woelfert Let al. Parathyroid hormone added to established hormone therapy: effects on vertebral

fracture and maintenance of bone m잃S 따ter parathyroid hormone withdrawal. J Bone Miner Res 16:925-931, 2001 16. Dempster OW, Cosman F, Kirland ES et 허‘ Effects of daily treatment with parathyroid hormone on microarchitecture

and turnover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a paired biopsy study. J Bone Miner Res 16:1없6-1853, 2001

17. Lane NE, 없nchez S, M때m GW et al. Bone mass continues to increase at the hip 따ter parathyroid hormone treatment 1s

며scontinued in glucocorticoid-indu않d osteoporosis: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며nical trial. J Bone Miner Res 15:944-951, 2000

18. K따kland ES, Heller SL, Cosman F et al. η1e post-P1H-experience in men with idiopathic osteoporosis : bisphosphonate vs. non-pharmacolo멍c therapy (abstract). 23rd Annual Meeting of the ASBMR, 2001:5219

19. Black OM, Rosen

q,

Greenspan SL et 매 P1H and bisphosphonates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 η1e P1H and alendronate (Pali) trial (abstract)23rd Annual Meeting of the 2001:5287

20. Arlot ME, Roux

JP,

Bovin G Effects of strontium 잃lt (512911) in both tibi에 metaphysis and epiphy똥S in normal growint rats. J Bone Miner Res 10 (suppl 1 ):M415, 1995

21. Bovin G, Farlay D, Panczer Get 매, Long-term stromtium ranelate administration in monkeys: effects on mineral σyst따S

and on the degree of mineralization of bone. J Bone Miner Res 16(suppl l):SA401, 2001

22. Meunier PJ, Slosman DO, Delmas PD et al. 까1e strontium 앓lt S-12911:a new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 6(suppl 1):241, 1996

23. Meunier PJ, Slosman DO, Delmas PD et 허. Strontium ranelate: dose-dependent effects in established postmenopausal vertebral osteoporosis -a 2-year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미al‘ JClinEndoσinol Metab 87:2060-2066, 2002 24. Farina C, Gagliardi S Selective inhibition of osteoclast vacuolar H·-ATP잃e. Curr Pharm Des 8:2033-2여8,2002

$

참조

관련 문서

Changes in blood components decreased in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nd increased in high density

영문 :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bone formation in the bone defects around the implant in adult dogs according to grafts of low or high heat treated autogenous

Percutaneous polymethylmethacrylate vertebroplasty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tic vertebral body compression fractures: technical aspects. Pulmonary embolism caused

Vertical ridge augmentation by means of deproteinized bovine bone block and recombinant human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 a histologic study in a

Purpose: Calcaneal fracture is a rare fracture, which accounts for about 2% of all fractures, but is one of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the ankle bone.. There is

Effects of pulse frequency of low-level laser thrapy (LLLT)on bone nodule formation in rat calvarial cells.. Low-level laser therapy stimulats

Histologic evaluation of early human bone response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2. Histologic evaluation of human bone integration on machined and

Undiagnosed malignancy in patients with deep vein thrombosis: incidence, risk indicators, and diagnosis.. Monreal M, Fernandez-Llamazares J, Perandr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