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재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재겸"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주요어: 간호학생, 학습몰입, 학습동기, 대학생활 적응

1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박사과정생

2

군장대학교 간호학과, 초빙교수

3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

Received Jun 04, 2020; Revised Jul 14, 2020; Accepted Aug 28, 2020

Corresponding Author: Won-Jong Kim https://orcid.org/0000-0001-5586-1762

College of Nursing, Eulji University, 77, Gyeryong-ro 771beon-gil, Jung-gu, Daejeon 34824, Korea Tel: +82-42-259-1716, Fax: +82-42-259-1709, E-mail: wjtkfkd77@eulji.ac.kr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재겸

1

⋅이중근

2

⋅김원종

3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Commitmen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Jae-Kyeum Lee

1

⋅Jung-Geun Lee

2

⋅Won-Jong Kim

3

1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2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unjang University

3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Eulji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147 nursing students at two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of leaning motivation for study was 3.49±0.42 points, learning flow was 3.27±0.36,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2.05±0.49.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found to b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nd various programs to immerse students in learning.

Key words: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sychological adaptation

(2)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간호사라는 의료직종은 국민건강을 책임지는 가장 일선의 건강전문가로서 나날이 위상이 높아지고

,

사회 초년생들의 높은 취업장벽과 낮은 봉급에 반해 간호사 는 안정적인 직업군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전문 직과 관련된 여러 학과 중에서도 간호학과 진학에 선호 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간호학과 교육 과정은 이론과 교내실습 및 임상실습 뿐만 아니라 이론 과제물, 교내실습 과제물 및 술기 시험, 임상실습 과제 물 및 술기 시험, 기타 팀학습 등 다양하고 많은 학습활 동을 요구하면서 간호대학생들은 과중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1], 이런 스트레스로 인해 학습동기를 상 실하고 학습몰입이 저하됨으로써 목표의식을 잃게 되 어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여 중도탈락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2]. 특히 간호대학생들은

3, 4학년

시기에는 학습

,

취업

,

대학생활

,

대인관계

,

사회생활 등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기에 대학 생의 학업 성적은 진로선택, 취업, 사회생활 등 삶의 질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부분의 대학생들에게 학업은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3].

간호대학생의 경우 다른 일반대학생들과

비교하여 볼 때 비교적 취업의 가능성이 높고, 취업의 스트레스가 낮다고 여겨지고 있으나 많은 연구가 시행 된 것은 아니다. 일부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를 조사한 연구를 보면 취업을 원하는 병원의 규모와 관계 없이 취업준비 부족에 대한 취업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4].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간호인력을 배 출하는 것은 전문 보건의료인인 간호사의 적절한 인력 확보와 국민건강 증진 및 국가적인 의료 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문제이므로, 간호대학생이 대학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는 그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여 중도탈락하는 것을 체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성공적인 학습과 대학생활의 적응을 위한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관심요인은 학습동기

(learning motivation)

로, 이는 학습을 더욱 강화시켜 목표를 향하는 동기를 유발시키며, 학습에 있어 깊은 수준과 의미있는 학습 을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몰입 및 효과, 학습성취도의 증진을 가져오게 한다[5]. 학습동기가 높은 경우 만족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

학습자가 자주 학습몰입 을 경험할 수 있으면 삶의 질 또한 향상된다고 보고되

었다[6]. 또한 학습에 대한 성과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다른 요인은 개인의 지식을 이해하는 노력 및 필수 과 정 즉, 학습자의 학습몰입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몰입

(learning flow)은 다양한 교육환경에서 학습자가 학업

상황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즐거움을 느끼고 주의를 자유롭게 사용하여 학습에만 완전히 몰입하는 최적의 심리상태를 의미한다[7]. 몰입상태에 있는 학습자는 내재적 동기로 학습에 대한 능동적인 의지와 개인 능력 의 균형을 유지하고 명확한 학습목표를 가지고 수행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킨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즐거 움을 느끼고

,

집중력을 발휘하게 되어 높은 학습성과 를 향상 시킬 수 있다

[8]. 또한 성공적으로 학업을 유지

하지 위해서는 학습동기가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는 학 습자 스스로가 목표 달성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게 만 드는 원천이자 원동력이고,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요소이다

[9].

최종적으로 훌륭한 간호인재로 배출되기

위해 대학생활을 잘 적응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대 학생활 적응(adaptation to college life)이란 대학생들의 개인 심리를 바탕으로 생활에서 요구되는 학업, 진로 및 대인관계 등의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적절히 대처하 는 행동 그 과정 자체의 결과이다

[10].

대학생활에 잘 적응을 위해서는 원활한 대인관계 능력, 다양한 스트 레스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방식 활용과 원활한 학업몰 입 등이 필요하며

,

이 다양한 요소를 잘 활용한다면 성 공적인 대학생활을 이끌어 낼 수 있다[11].

최근 간호대학생의 학습 및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로는 간호대학생의 셀프임파워먼트와 학업적 자 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성과의 관계연구[12], 간호대학 생의 분노표현방식

,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 계연구[13]가 있지만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 입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전공과목 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는 요인을 확인하여 학습 에 대한 동기부여

,

학업에 대한 몰입 증진을 통해 명확 한 진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대학생활에 적응 잘하여 전문의료인으로 졸업을 할 수 있도록 학습 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 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 의 학습동기

,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상자들의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 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전문 의료인이 되기 위한 간호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기

(3)

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2, 3, 4학년을 대상으로 학습

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를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 응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3)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에 따른 대 학생활 적응의 관계를 파악한다.

4)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 인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

학습몰입과 대 학생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대상자들의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연구대상은

2020

4

6

일부터

5

4

일까지

D

광역 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들로 하였다.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대학은 의

과대학 부속병원을 보유한

4년제 사립대학교이며, 연

구자가 직접 연구대상자에게 연구목적에 대해 설명하 였고, 연구 참여 여부는 자발적으로 서면에 동의한 경 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표본 크기는 G*Power 3.1

program을 이용하여 단순상관분석을 위해 효과크기 0.30,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0

로 산출하였을 때 적정 표본 크기는

112명이 산출 되었다. 탈락률 20%을 고려

하여 총

145명을 연구대상자 수로 산출하여 자료를 수

집하였으며, 응답자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한 설문

1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이용된 대상자는 147명

이었다

.

3. 연구 도구 1) 학습동기

학습동기는 Song과

Keller [14]가 개발한 도구를

Yeon [15]

이 대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

보완하여 만

든 설문 양식을 사용하였다

. 설문은 총 29문항 4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점은 145점이다. 4개의 하 위요인은

‘주의력’ 4문항, ‘관련성’ 9문항, ‘자신감’ 8문

, ‘만족감’ 8문항이며, 척도는 Likert 5점 척도로 구성

되어 있다

.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적응 수준이 높은 것 을 의미한다. Yeon [1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8이

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9였다.

2) 학습몰입

학습몰입은

Seok [16]이 개발한 도구를 Kim [17]이

대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만든 설문 양식 을 사용하였다. 설문은 총

22문항 5개 하위요인으로 구

성되어 있고 총점은

110점이다. 5개의 하위요인은 ‘학

업과 인식의 통합’ 7문항, ‘학업 과제 집중’ 7문항, ‘명확 한 학업목표

’ 3

문항

, ‘

과제와 능력의 조화

’ 3

문항

, ‘

시간 감각의 왜곡’ 2문항이며, 척도는

Likert 5점 척도로 구성

되어 있다

. 설문의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적응 수준

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Kim [1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7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79였다.

3)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적응은 Jung과 Park [10]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은 총

19개의 문항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총점은

95점이다. 5개의 하위요인은 ‘대

인관계

’ 4

문항

, ‘

학업 활동

’ 4

문항

, ‘

진로준비

’ 4

문항

,

‘개인 심리’ 4문항, ‘사회체험’ 3문항으로 총 19개 문항

이며, 척도는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의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적응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 한다. Jung과 Park [10]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6이

었고

,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6

였다

.

4) 자료수집방법

(1) 자료 수집 절차

본 연구는 현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대학교에

서 비대면과 제한적 대면 수업을 듣고 있는 상황을 고

(4)

려하여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진행하였다. 온라인에서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참여에 응한 학생들에게는

SNS를 통해 설문지 파일을 보내어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동의서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경우 연구 참여 의사 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 문지는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

9

,

학습동기 설문은

29문항의 4개 하위요인(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

족감)이며, 학습몰입 설문은 총

22문항의 5개 하위요인 (학업과 인식의 통합, 학업과제 집중, 명확한 학업목표,

과제와 능력의 조화, 시간 감각의 왜곡)이며, 대학생활 적응 설문은 총

19

개의 문항의

5

개 하위요인

(

대인관계

,

학업활동, 진로준비, 개인심리, 사회체험)에 관한 것으

로 총

7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설문지 작성의

소요시간은 약

10∼15분 정도이다.

(2)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연구 참여자들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연구 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 다. 설문지에는 연구의 참여 목적과 대상자 익명성, 비 밀보장,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는 언제든 설문 을 거절하거나 설문 작성 중간에도 언제든지 참여를 중 단할 수 있음을 기술 및 설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위 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 외 어떠한 곳에도 사용하 지 않음을 명시하고 이에 동의한 자만 설문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와 관련된 개인적인 정보나 설 문 내용은 오직 본 연구에서만 이용될 것이며, 응답한 자료는 모두 무기명으로 처리될 것을 설명하였다. 참 여한 대상자에게 설문지 응답 종료 후

1주일 이내에 소

정의 상품권을 발송하였다

.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하였다.

2)

대상자의 학습동기

,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 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다.

3)

대상자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 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 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 검증은

Scheffé test로 확인하였다.

5)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총 대상

자는

147명으로 남자 19명(13.0%), 여자 128명(87.0%)

이고, 학년은

2학년 45명(30.6%), 3학년 41명(27.8%), 4

학년

61명(41.4%)이었다. 종교는 있다가 40명(27.2%),

없다가

107

(72.7%)

이었고

,

학과 지원 동기는 취업 고

려가

59명 (40.1%)으로 가장 많았으며,

적성

49명

(33.3%), 타인의 권유 28명(19.0%), 기타 11명(7.4%)순

으로 나타났다. 학과 만족도는 좋음

81명 (55.1%), 보통 37명(25.1%), 매우 좋음 25명(17.0%), 나쁨 4명(2.7%)순

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 활 적응을 살펴보면 학습동기는 학과만족(F=4.46, p=

.005)

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

학과 만족도가 매우 좋

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학습동기가 높게 나타났 다

. 학습몰입은 학과만족도(F=15.07, p<.001)에 따라 유

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과만족도가 좋거나 매우 좋은 군이 중간과 나쁜 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적 응은 지원동기

(F=4.10,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적성, 조언 및 취업률이 기타의 군보다 높게 나 타났다. 학과만족도(F=18.8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있었고, 매우 좋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높게 나타났다(Table 1).

2. 대상자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

본 연구대상자의 학습동기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49±0.42

점이었고

,

학습몰입은

5

점 만점에

3.27±0.36

, 대학생활 적응의 경우는 5점 만점에 2.05±0.49점으

로 나타났다(Table 2).

(5)

3. 대상자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본 연구대상자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습동기는 학습몰입

(r=.26, p<.002)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

대학생활 적 응

(r=.62,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

몰입도 대학생활 적응(r=.31,

p<.001)과 양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Table 3).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an±SD t or F (p) Mean±SD t or F (p) Mean±SD t or F (p)

Gender Male 19 (13.0) 3.32±0.34 0.64

(.528)

3.34±0.44 0.27 (.420)

3.38±0.69 0.72 (.117)

Female 128 (87.0) 3.52±0.43 3.26±0.35 3.41±0.46

Grade 2 45 (30.6) 3.53±0.49

0.25 (.782)

3.33±0.37

1.05 (.354)

3.32±0.53

2.14 (.121)

3 41 (27.9) 3.47±0.45 3.28±0.35 3.53±0.48

4 61 (41.5) 3.48±0.35 3.23±0.37 3.38±0.49

Religion Yes 40 (27.2) 3.43±0.49 0.05

(.249)

3.36±0.38 0.27 (.076)

3.37±0.46 0.14 (.128)

No 107 (72.8) 3.52±0.39 3.24±0.36 3.51±0.56

Motivation for entering

Aptitude a 49 (33.3) 3.49±0.40

0.86 (.466)

3.34±0.31

1.62 (.188)

3.56±0.47

4.10 (.008) a,b,c>d

advice b 28 (19.1) 3.60±0.26 3.27±0.41 3.45±0.48

Employment

rate c 59 (40.1) 3.46±0.48 3.20±0.37 3.32±0.47

Other d 11 ( 7.5) 3.44±0.51 3.37±0.42 3.07±0.53

Department satisfaction

Bad a 4 ( 2.7) 3.46±0.35

4.46 (.005) a,b,c<d

2.77±0.61

15.07 (<.001) a,b<c,d

2.96±0.41

18.82 (<.001) a,b,c<d

Middle b 37 (25.2) 3.46±0.35 3.10±0.28 3.15±0.39

Good c 81 (55.1) 3.43±0.39 3.28±0.32 3.38±0.41

Very good d 25 (17.0) 3.76±0.61 3.59±0.33 3.93±0.49

SD=standard deviation.

Table 1.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47)

Variables Mean±SD Range

Learning motivation 3.49±0.42 1∼5

Learning flow 3.27±0.36 1 ∼5

Adaptation to college life 2.05±0.49 1 ∼5

SD=standard deviation.

Table 2.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N=147)

Variable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daptation to college life

r( p)

Learning motivation 1

Learning flow 0.26 (<.002) 1

Adaptation to college life 0.62 (<.001) 0.31 (<.001) 1

Table 3.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N=147)

(6)

4.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업동기, 학습몰입을 독립변수 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잔 차분석

Durbin-Watson 통계량 1.85로 2에 가깝고 0또는 4와 가깝지 않으므로 잔차의 독립성을 만족하였고, 분

산팽창요인(variance inflation factor, VIF)은 1.07로 기

준치

10 이하로 나타나 독립변수들 간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습동기

(β=.58, p<.001)와 학습몰입 (β

=.16, p=.015)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40%였다(Table 4).

논 의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학습 몰입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성공적인 대 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학습동기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

이는 간호대학생의 학업 탄력성, 학습몰입, 학업동기 에 대한 연구[19],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 고성향, 학습동기에 대한 연구[20]에서 학습동기에 대 해 평균이상의 점수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나타났 다

.

이는 간호대학생들은 입학과 동시에 간호사로 진 로를 선택하여 이 시기 동안 간호교육 과정을 거쳐 전 문직 의료인이 되기 위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과 연 관해서 볼 수 있다[19]. 학습동기는 학습활동만이 아닌 효율성과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동기가 높은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해 열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목표 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므로[21], 학습동기를 높

일 수 있는 학습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학습몰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요인연구[22]

에서의 결과와 비슷하였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연 구

[23]

에서 학습몰입이 낮게 나타났던 것과 차이가 있 었다. 이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현재 대학환경 에서 적절하게 발휘하고 있는 것과 연관해서 볼 수 있

. 학습몰입은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 적응 및 만족

에 대해 영향[24]을 미치며, 이에 학습과 진로문제와 관 련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찾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학습몰입에 대한 유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활 적응은

5점 만점에서 2.05점

으로 평균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대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 학생들은 대학생활 적응이 낮게 나타난 연구

[25]

의 결 과와 유사하고, 처음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재학생

대학생활적응 연구[26]의 결과보다 낮게 나타나 차이 가 있었다. 이론과 교내·교외실습을 병행하는 교육과

, 높은 학습량과 실습에서 오는 진로에 대한 불안감,

스트레스로 일반 전공대학생들에 비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연관해서 볼 수 있다. 이에 간호교육 과 관련하여 심리적, 육체적 부담이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어렵게 하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파악 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지원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 동기의 경우 적성이 조언, 취 업률

,

기타의 입학 동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대 학생활 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의 경우 전공에 매우 만족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대학생활 적응이 높았다.

Variables B SE β t p-value

Constant 3.69 6.60 2.33 <.577

Learning motivation 0.67 0.08 00.58 8.64 <.001

Learning flow 0.13 0.05 00.16 2.46 <.015

F( p) 49.05(<.001)

R 2 00.41

Adjusted R 2 00.40

Table 4.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College Life (N=147)

(7)

이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 감성지

능,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 향연구[27]에서 전공만족도가 높은 대학생이 만족도 가 낮은 대학생보다 대학생활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난 것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학습동 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즉,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 다. 이는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28]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이 에 학습 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학습방법 및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학습 몰입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즉, 학습몰입 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는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29]를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다.

이에 학습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학생활 및 진로 상 담에 대한 맞춤형 지도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몰 입을 향상시켜 학업 및 대학생활 적응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인으로 통계 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였다. 이 중 학습동기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 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 력에 미치는 영향연구[30]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 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학습에 대한 개인의 성과 를 높이고,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높임으로써 전문 간호인력을 양성하는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

학습몰입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대상자들의 학습 동기, 학습몰입이 대학생활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 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향후 연구결과는 간 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

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 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하 모집단의 표본을 선정하고, 반복 후속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둘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 학습동기

,

학습몰입 이외의 지원동기나 전공만족 도 등 다른 변수를 추가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대 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었던 변수를 확인하여 관련 프 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성 연구에 대한 수행을 제언한다.

Reference

1. Evans W, Kelly B. Pre-registration diploma student nurse stress and coping measures. Nurse Education Today. 2004;24(6):473- 482. https://doi.org/10.1016/j.nedt.2004.05.004

2. Last L, Fulbrook P. Why do student nurse leave? suggestions from a delphi study. Nurse Education Today. 2003;23(6):449-458.

https://doi.org/10.1016/S0260-6917(03)00063-7

3. Choi JY, Kim KH. The effects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underachieved stud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8;16(12):87-95. https://doi.org/10.14400/JDC.

2018.16.12.087

4. Ahn EK.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on senior nursing students job seeking stress-perspectives of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2018;9(6):365-372. https://doi.org/10.152 07/JKCS.2018.9.6.365

5. Han S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cademic motivation variables, cognitive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4;18(1):329-350.

6. Kang SJ, Kim EJ, Shin HJ. Convergence study about problem- bas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6;7(2):33-41. https://doi.org/10.15207/JKCS.2016.7.2.033 7. Lee JH.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

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0;8(2):67-92.

8. Joo YJ, Kim JH, Lee JW.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 efficacy and learning flow between social presence and academic

(8)

achievement of students in cyber university cours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12;16(2):

151-164.

9. Dale B, Leland A, Dale J G. What factors facilitate good learning experiences in clinical studies in nursing: bachelor students’

perceptions.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otices Nursing.

2013;17:1-7.

10. Jeong EI, Park Y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09;21(2):69-92. https://doi.org/10.17927/tkjems.2009.

21.2.69

11. Yi JE, Kwak HW.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11):527-537.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527

12. Park IS, Lee HY. The relationship of self-empowerment,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Health Service Management Review. 2013;7(4):13-26.

https://doi.org/10.18014/hsmr.2013.7.4.13

13. Jun WH, Jo MJ, Na HJ. Relationships between anger expression, social suppor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 (3):219-228.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219 14. Song SH, Keller. an attractive class design. 1st ed. Kyoyookbook:

Seoul; 1999. p. 1-234.

15. Yeon KW.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s in app-based and web-based online debate conferencing [dissertation]. Gangwon:

Andong University; 2012. p. 1-121.

16. Seok IB. The Structure of Learning Flow: scale, character, condition, involvement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University; 2007.

p. 1-239.

17. Kim MS, A study on relation of visual behavior, learning flow, and learning achievement in video-based learning environment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6. p. 1-107.

18. Kang MS, Park YJ, Choi SY, Lee SJ. The effects of PBL (Problem- Based Learning) on academic resilience, learning flow, and academic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6):291-298.

https://doi.org/10.5762/KAIS.2018.19.6.291

19. Kim MY, Byun EK.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rning motiva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9;20(1):376-383. https://doi.org/10.5762/

KAIS.2019.20.1.376

20. Sim MJ, Oh HS.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 (6):328-337.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28 21. Lee HK, Kim LA, Kim JE, Lee YR, Lee JM, Hwang HK.

Converged factors affecting learning flow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17;7(5):15-23.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5.015 22. Kim YM.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7):112-122. https://doi.org/10.5762/kais.2016.17.7.112 23. Skadberg YX, Kimmel JR. Visitors’ flow experience while

browsing a web site: its measurement, contributing factors and consequenc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04;20(3):403- 422. https://doi.org/10.1016/s0747-5632(03)00050-5

24. Choi BO. Effect of th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belief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the students' daily hassle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p. 1-79.

25. Kim HY, Hong HS.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2016;20(1):1-12.

26. Han YM, Kim, SH. Effect of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personality type,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8):124- 134. https://doi.org/10.5762/KAIS.2017.18.8.124

27. Jeong EI, Park WH. Relations among faculty trust,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08;9(1):73-93. https://doi.org/10.15753/

aje.2008.9.1.004

28. Bae YJ, Park S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daptation, self-leadership, learning commitment, and career adap t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19;

9(6):104-111.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6.104 29. Kim YJ, Yoo HN, Park MJ. Effect of motive for major selection

on major satisfaction, campus-life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0):261-270.

https://doi.org/10.5762/KAIS.2016.17.10.261

수치

Table 1.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47)
Table  4.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College  Life (N=147)

참조

관련 문서

To enhance problem-solving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program and curriculum for increasing academic self-efficacy,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 manual f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effects of a maternal nursing competency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ark, “Effect of Motive for Major Selection on Major Satisfaction, Campus-life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Bae,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Project Learning 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Ha,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rning motiva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effects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