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mparison of Hand–Grip Strength Between Normal Korean Adults and Those with Type 2 Diabetes: 2014-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mparison of Hand–Grip Strength Between Normal Korean Adults and Those with Type 2 Diabetes: 2014-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당뇨병은 최근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질환 중 하나이다. 대한 당뇨병학회의 발표를 보면 당뇨 유병률은 증가 추세이며 2013–2014 년 유병률 추정치는 30세 이상 성인에서 13.7%으로 나타났다.1) 당뇨

병은 만성질환으로 오랜 유병기간과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대표되는 망막병증, 신장질환, 신경병증을 비롯하여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 률을 크게 증가시키는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2) 당뇨병에서 골격근 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근육에 있는 인슐린 수용체는 포도 당 대사에 주된 역할을 하고 골격근은 포도당의 약 2/3를 에너지원

Received July 6, 2017 Revised August 16, 2017 Accepted August 19, 2017

Corresponding author Bumjo Oh

Tel: +82-2-870-2682, Fax: +82-2-731-0714 E-mail: bo39@snu.ac.kr

ORCID: http://orcid.org/0000-0002-2468-0755

Copyright © 2018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8.8.5.654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8;8(5):654-66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한국 성인에서 정상군과 당뇨병군의 악력 비교: 2014-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장미소

1

, 김현경

1

, 오범조

2,

*

1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2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Comparison of Hand–Grip Strength Between Normal Korean Adults and Those with Type 2 Diabetes: 2014-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iso Jang

1

, Hyunkyung Kim

1

, Bumjo Oh

2,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MG-SNU Boramae Medical Center, Seoul, Korea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grip strength (HGS) and age-related HGS, and type 2 diabetes in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consisting of 8,584 individuals aged ≥2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4 to 2015 and underwent HGS measurements. Fasting glucose and hemoglobin A1c (HbA1c) levels were also measured in the participants. We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the diabetic and normal groups and the distribution of HGS by age after separating the subjects into men and women. We also analyzed data from 2,462 elderly individuals ≥60 years of age separately.

Results: The distribution of HGS by age in patients aged 20 years and older indicated that HGS increased with age up to the 30s in both sexes and decreased thereafter. In both sexes, HGS was decreased in the diabetic group when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HbA1c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GS (beta: -0.045, P<0.001). Frail HGS was associated with diabetes in elderly individuals ≥60 years of age (men odds ratio [OR]=1.25, 95% confidence interval [CI]=0.95–1.64; women OR=3.24, 95% CI=2.10–5.01). After correction of all confounding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and HGS in men (adjusted OR=1.49, 95% CI=1.02–2.18).

Conclusion: In Koreans, diabetes is closely related to decreasing HG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nsure that the measurement of HGS would predict a reduction in function due to diabetes.

Keywords: Hand-Grip Strength; Type 2 Diabetes Mellitus; Hemoglobin A1c; Frailty; Sarcopenia

(2)

장미소 외. 한국 성인에서 정상군과 당뇨병군의 악력 비교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으로 사용한다.3,4) 그러므로 골격근의 감소는 당뇨병의 발생뿐만 아 니라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 및 합병증 발생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근육량의 감소와 근력의 저하는 대략 30대부터 점진적으로 진행 되며 나이와 관련하여 주로 사지에 분포한 골격근의 감소 및 기능 저 하를 근감소증이라고 한다.4) 근감소증은 운동장애, 낙상 및 골절, 일 상생활의 활동 장애, 신체능력 상실, 독립성 상실 및 사망 위험 증가 등 연령과 관련되어 건강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당 뇨병에서 보이는 인슐린 저항성은 근감소증의 기저 메커니즘 중 하 나로 인슐린 신호의 결함은 근육 생성을 감소시킨다. 신체활동의 감 소 및 영양 불량도 근감소증과 관계가 있다. 국내 한 연구에서는 20 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근감소증과 당뇨병의 관련성을 밝힌 바 있으며, 근감소증이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보고하였다.6)

근감소증은 한편으로는 노쇠와 관련이 있으며 Fried 등7)은 노쇠 를 장애의 전 단계로 정의하고 체중감소, 극도의 피로감, 신체활동 감소, 보행속도 감소, 낮은 악력의 5가지 객관적인 측정 기준을 제시 하였다. 국내에서도 한국형 노쇠측정도구의 항목에 포함되어 있으 며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된 노인실태조사에서 국내 악력노 쇠기준을 보고하였다.8) 특히 일상생활과 관련된 손 기능을 좌우하 는 악력은 노인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9) 국내의 한 연구에서는 노인의 악력 감소가 인지기능 감소와 의 관련성을 보여10) 악력이 중요한 예측 요인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 고 있다.

악력과 당뇨의 관계를 살펴본 한 연구에 의하면, 모든 인종이 정 상군에 비해 당뇨 군에서 낮은 악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악력이 낮을 수록 당뇨병의 위험 군임 보여주고 있다.11) 이에 본 연구는 첫째,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유무에 따른 악력의 차이와 연령별 악력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당뇨병과 악력과의 연관성 및 관련 변수에 대해서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당뇨와 악력기준의 노쇠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 3차년도(2014–2015년) 수집 된 자료를 근거로 2차 자료 분석한 역학조사연구이며, 이 자료는 국 가 단위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갖춘 기초자료이다. 모든 참가자들은 고지에 입각한 동의를 받았으며, 질병관리본부 연구윤리심의위원 회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2차년도 승인번호: 2013-12 EXP-03-5C, 3 차년도 승인번호: 2015-01-02-6C).

본 연구는 2014년과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20세 이상의 성인 11,752명 중에서 임산부(80명)를 제외하였고 악력에 영 향을 줄 수 있는 기저질환인 암(507명)과 관절염(1,095명) 병력이 있 는 대상은 제외하였다. 또한 악력이 측정되지 않은 1,473명과 키, 체중 이 측정되지 않은 13명이 제외하고 8,58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2. 자료의 수집 및 변수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통 해 성별, 나이,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신장, 체중, 교육 정 도, 기혼 여부, 가계 소득 정도, 음주, 흡연, 근력운동, 총 섭취량, 고혈 압병력, 당뇨병력, 이상지질혈증 병력 등을 조사하였고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다.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을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결혼 상태는 현재 배우자가 있는 상태를 기혼으로 분류하였다. 소득수준은 소득 수준 하위 25%를 기준으로 분류하였고 음주는 남성의 경우 1회 7잔 이상,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경우를 위험음주로, 여성의 경우 1회 5 잔 이상, 주 2회 음주하는 경우를 위험음주로 분류하였다. 음주하지 않는 경우를 분류하였고 위험음주 외의 음주하는 경우는 적정음주 로 분류하였다. 흡연 여부는 평생 흡연량이 담배 5갑 이하인 경우를 포함하여 흡연하지 않는 사람을 비흡연자로, 평생 흡연량이 5갑을 초과하고 현재 흡연하지 않는 경우는 과거 흡연자, 현재 흡연하는 경 우는 현재 흡연자로 분류하였다. 고혈압에 대해서는 혈압 측정 당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 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 현재 고혈압을 앓 고 있거나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인 경우는 모두 고혈압 군으로 분류 하였다. 이상지질혈증에 대해서는 8시간 이상 공복인 경우에서 총 콜레스테롤이 240 mg/dL 이상이거나 고밀도콜레스테롤(high densi- ty lipoprotein cholesterol)이 40 mg/dL 이하이거나 저밀도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이 160 mg/dL 이상인 경우, 12시간 이상 공복인 경우에서 중성지방이 200 mg/dL 이상인 경우, 현재 이 상지질혈증으로 의사의 진단을 받았거나 이상지질혈증 약을 복용 중인 경우는 모두 이상지질혈증 군으로 분류하였다. 근력운동 여부 는 최근 1주일 동안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아령, 역기, 철봉 등 의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경우를 근력운동군으로 분류하였 다. 총 섭취량은 식품섭취빈도조사를 통해 산출된 1일 에너지 섭취 량으로 분석하였다. BMI는 측정한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였다. 당화혈색소(hemoglobin A1c, HbA1c)는 Tosoh G8 (Tosoh, Tokyo, Japan)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외 혈액검사 는 Hitachi Automatic Analyzer 7600-210 (Hitachi, Tokyo, Japan)을 이 용하여 측정하였다. 악력검사는 디지털 악력계(Digital grip strength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3)

Miso Jang, et al. Type 2 DM and Hand–Grip Strength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dynamometer, T.K.K 5401; Takei Scientific Instruments Co., Niigata, Ja- pan)를 이용하였고 양손 교대로 3회씩 총 6회 측정하여 최대값을 최 종 악력의 값으로 사용하였다. 악력은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 된 노인실태조사8)에서 허약노인 판정기준 5항목 중 조사된 악력 기 준점을 동일하게 사용하였고 기준점은 성별과 BMI에 따라 정해졌 다(Table 1).

3. 통계분석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유무를 기준으로 나뉜 남녀 각 군의 일반적 인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연속형 변수일 경우 독립 이표본 t-검정(in- dependent two-sample t-test), 범주형 변수일 경우 카이제곱 독립성 검 정(chi-square independent test)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당뇨병과 악

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악력을 종속변수로 하여 HbA1c와 정의된 변수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 다. 또한 6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노쇠악력군을 정의하여 당뇨에 대한 상대적 위험도로서 교차비(odds ratio, OR) 및 95% 신뢰구간 (95% confidence interval, 95% CI)을 산출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 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TATA ver. 13.0 (Stata Co., College Station, TX, USA)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 성을 검증하였고, P-value가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전체 대상자는 총 8,584명이었고 남자가 4,087명, 여자가 4,497명이었다. 남자 중에 당뇨군은 842명, 정상군은 3,245명이었고 여자 중에 당뇨군은 751명, 정상군은 3,746명이었다. 남녀 모두 당뇨 군에서 유의하게 연령이 높았고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은 당뇨 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기혼자의 분포는 남성에서 는 당뇨군에서 80.64%으로 높게 나타났고 여성에서는 56.19%으로 낮게 나타났다. 소득 하위 25%의 분포는 당뇨군에서 남성에서는 28.95%, 여성에서는 33.06%으로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높게 나타났

Table 2. Baselin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ccording to normal and diabetic groups Characteristic

Men (n=4,087 ) Women (n=4,497)

DM(-) (n=3,245)

DM(+)

(n=842) P-value DM(-)

(n=3,746)

DM(+)

(n=751) P-value

Age (y) 48.23±16.04 59.94±14.56 <0.001* 46.06±14.87 59.43±16.73 <0.001*

Education (high school) 2,349 (80.25) 424 (62.91) <0.001* 2,651 (77.04) 256 (43.61) <0.001*

Marital status 2,382 (73.41) 679 (80.64) <0.001* 2,625 (70.07) 422 (56.19) <0.001*

Income (the lowest 25%) 404 (12.52) 242 (28.95) <0.001* 499 (13.40) 245 (33.06) <0.001*

BMI (kg/m2) 24.25±3.25 24.49±3.37 0.044* 22.90±3.29 24.39±3.84 <0.001*

HbA1c 5.52±0.35 7.27±1.31 <0.001* 5.48±0.34 7.30±1.29 <0.001*

Fasting glucose 96.18±9.61 145.31±45.42 <0.001* 92.69±8.93 144.03±45.94 <0.001*

Excessive drinking 580 (18.77) 146 (19.78) 0.003* 204 (5.63) 21 (3.26) <0.001*

Current smoking 1,202 (38.92) 255 (34.55) <0.001* 175 (4.83) 34 (5.30) 0.392

Hypertension 918 (28.99) 407 (51.26) <0.001* 662 (17.97) 318 (44.92) <0.001*

Dyslipidemia 1,323 (40.77) 377 (63.47) <0.001* 962 (25.68) 274 (64.17) <0.001*

Strength exercise (≥2 times/wk) 876 (29.91) 174 (25.74) 0.032* 484 (14.04) 58 (9.86) 0.006*

Hand–grip strength (kg) 42.68±7.90 38.31±8.41 <0.001* 26.30±4.78 23.00±5.68 <0.001*

Total intake (kcal) 2,458.33±1,058.66 2,172.33±968.91 <0.001* 1,791.48±712.94 1,588.41±713.01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for continuous variables or number (%) for categorical variables.

DM, diabetes mellitus; BMI, body mass index; HbA1c, glycated hemoglobin.

Excessive drinking, drinking more than twice a week and at least 7 cups at a time in men and at least 5 cups at a time in women; hypertension,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antihypertensive drug or ≥140 mmHg systolic blood pressure, or ≥90 mmHg diastolic blood pressure; dyslipidemia,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drug, or to- tal cholesterol ≥240, or triglyceride ≥200, o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40, or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160.

P-value by independent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by χ2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P<0.05.

Table 1. Frail hand

–grip strength

Gender BMI (kg/m2) Strength (kg)

Men ≤21.4 ≤22.1

21.4<BMI≤23.3 ≤25.0

22.3<BMI≤25.2 ≤26.5

>25.2 ≤27.5

Women ≤21.8 ≤13.0

21.8<BMI≤24.0 ≤15.0

24.0<BMI≤26.2 ≤15.3

>26.2 ≤15.4

BMI, body mass index.

Frail hand–grip strength criteria form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2008.

(4)

장미소 외. 한국 성인에서 정상군과 당뇨병군의 악력 비교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다. BMI는 남성에서는 정상군과 당뇨군에서 과체중으로 나타났고, 여성에서 정상군은 BMI의 평균값이 정상이나 당뇨군에서 과체중 으로 나타났다. 위험음주에 대해서는 남자에서는 당뇨군의 비율이 높았고 여자에서는 정상군의 비율이 높았다. 현재 흡연자는 남자에 서는 당뇨군의 비율이 낮았고, 여자에서는 당뇨군의 비율이 높았으 나 여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혈압, 고 지혈증의 유병률은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당뇨군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악력은 남자와 여자에서 모두 당뇨군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주 2회 이상 근력운동을 하는 경우도 당뇨군에서 더 낮은 분포를 보 였다. 전반적인 영양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은 남자, 여자 모두에서 당뇨군이 더 낮게 나타났다. 공복혈당과 HbA1c 는 정상군과 당뇨군간 비교하였고 관련요인의 자세한 수치는 Table 2 에 제시하였다.

2. 연령에 따른 악력의 변화 및 관련 변수와의 상관성

연령별로 20대부터 80대까지 분류하였고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악 력의 차이를 제시하였다(Table 3). 악력분포로는 30대 남성이 악력 47.11 kg으로 가장 높았고 이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악력이 감소하 였고 80대 남성의 악력은 28.23 kg으로 나타났다. 여성에서도 같은 분 포로 30대에서 27.81 kg로 가장 높았고 80대에서는 16.96 kg으로 감소 하는 양상을 보였다.

종속변수를 악력으로 가정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선형모 형은 남녀 모두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남자 F=114.49, P<0.001; 여자 F=56.24, P<0.001), 독립변수들에 의해 종속변 수인 악력이 설명되는 정도인 모형의 설명력은 남자 35.25%, 여자 18.46%으로 나타났다. 두 군에서 나이, HbA1c, BMI, 현재 흡연, 적정 음주, 위험음주, 기혼상태,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하위 25%의 소득수준, 주 2회 이상의 근력운동이 악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거 흡연과 총 칼로리 섭취량이 남자에서 악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3. 노인에서 당뇨에 대한 노쇠의 교차비

60세 이상의 노인 분포는 남자는 1,330명이었고 그 중 478명이 당 뇨병군이었다. 여자는 1,132명이었고 그 중 407명이 당뇨병군이었다.

60세 이상 노인에서 남자는 나이, 하위 25% 이하의 소득 수준, 고혈 압, 이상지질혈증, 주 2회 이상의 근력 운동, 악력, 총 칼로리 섭취량 에서 당뇨군과 정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자에서는 고 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기혼 상태도 정상군과 당뇨군 사이에 유 의한 차이를 보였고 주 2회 이상의 근력 운동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5).

Table 3. Comparison of hand

–grip strength by age group

Age group Men (n) Women (n) Hand-grip strength in men (kg) Hand-grip strength in women (kg)

20s 494 599 43.55±7.33 25.86±4.54

30s 688 867 47.11±7.33 27.81±4.50

40s 757 981 45.51±6.55 27.49±4.37

50s 828 918 42.41±6.47 26.35±4.28

60s 714 588 38.80±6.39 24.21±4.33

70s 488 389 33.64±5.85 21.02±4.76

80s 128 155 28.23±6.28 16.96±4.03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Table 4.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ith hand

–grip strength as a dependent variable

Variable Men Women

Beta P-value Beta P-value

HbA1c -0.045 0.004* -0.048 0.006*

Age (y) -0.468 <0.001* -0.238 <0.001*

BMI (kg/m2) 0.204 <0.001* 0.201 <0.001*

Ex-smoker 0.064 0.001* -0.008 0.59

Current smoking 0.111 <0.001* 0.046 0.004* Social drinking 0.111 <0.001* 0.072 <0.001* Excessive drinking 0.136 <0.001* 0.052 0.006* Marital status -0.207 <0.001* -0.159 <0.001* Education (high school) 0.053 0.003* 0.107 <0.001* Income (the lowest 25%) 0.054 0.001* 0.081 <0.001* Strength exercise

(≥2 times/wk)

0.035 0.023* 0.048 0.002*

Hypertension -0.03 0.076 -0.002 0.914

Dyslipidemia -0.015 0.34 0.028 0.113

Total intake (kcal) 0.057 <0.001* 0.013 0.389 Values are analyz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Dependent variable: hand–grip strength. F=114.49 adjusted. R2=0.3525 in men. F=56.24 adjusted. R2=0.1846 in women.

HbA1c, glycated hemoglobin; BMI, body mass index.

Social drinking, drinking fewer than twice a week and lower than 7 cups at a time in men and lower than 5 cups at a time in women; excessive drinking, drinking more than twice a week and at least 7 cups at a time in men and at least 5 cups at a time in women; hypertension,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antihypertensive drug or ≥140 mmHg systolic blood pressure, or ≥90 mmHg di- astolic blood pressure; dyslipidemia,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drug, or to- tal cholesterol ≥240, or triglyceride ≥200, o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40, or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160.

*P<0.05.

(5)

Miso Jang, et al. Type 2 DM and Hand–Grip Strength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당뇨군과 정상군에서 노쇠악력군에 대한 교차비(OR)를 구하였 다. 노쇠악력 여부를 종속변수로 가정하고 악력에 영향을 줄 수 있 는 변수를 보정하여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에서 노쇠악력에 대한 교 차비를 도출하였다. 노쇠악력 기준이 이미 BMI를 보정한 값이고 현 재 흡연, 위험 음주가 남자와 여자에서 모두 당뇨군과 정상군 사이 에 유의한 차이가 없을 뿐 아니라 여자에서는 현재흡연 및 위험음주 의 수가 너무 적어서 BMI, 현재 흡연, 위험 음주는 노쇠악력 교차비 도출 모델 보정 변수에서 제외하였다.

전체 대상에서 보정하지 않은 로지스틱 회귀모형 결과는 남자에 서는 정상군 대비 당뇨군에서 교차비가 1.25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으며 여자에서는 3.24로 유의하였다. 나이를 보정하면 남자에서 는 정상군 대비 당뇨군 교차비가 1.36으로 유의하였고 여자는 1.67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가능한 관련변수로 보정하였을 때 정상군 대비 당뇨군의 교차비가 남자는 1.49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여자는 교차비 가 1.47로 나타나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6).

고 찰

본 연구는 2014–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20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연령에 따른 악력의 분포 및 악력과 당뇨병과의 관계 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20세 이상의 성인 8,584명 중

에 1,591명의 당뇨 환자가 있어 유병률 18.53%으로 나타났고 최근 발 표된 유병률1)와 비교했을 때 당뇨병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 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남자와 여자에서 현재 흡연을 제 외한 변수에서 정상군과 당뇨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all- man 등12)의 연구에 의하면 악력은 30대까지 증가하다가 40대 이후 부터 급속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고, 본 연구에서도 악력 의 분포는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30대까지 증가하다가 40대부터 감 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악력과 근육량 간에는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고12) 젊은 사람에서 근육량 감소와 악력의 감소와는 상관성이 매 우 약하다.13) 그러나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한 연구에서 몇 가지 교란 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당뇨병 환자는 정상군에 비해 근감소증의 위험이 3배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4) 젊은 나이에 발 Table 5. Baseline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bjects according to normal and diabetic groups (age≥60)

Characteristic

Men (n=1,330) Women (n=1,132)

DM(-) (n=852)

DM(+)

(n=478) P-value DM(-)

(n=725)

DM(+)

(n=407) P-value

Age (y) 69.08±6.04 70.33±6.63 0.0005* 68.24±6.24 72.40±6.78 <0.001*

Education (high school) 383 (49.87) 188 (48.08) 0.813 189 (29.62) 43 (14.05) <0.001*

Marital status 758 (88.97) 421 (88.08) 0.623 453 (62.48) 173 (42.51) <0.001*

Income (the lowest 25%) 253 (29.94) 195 (40.97) 0.001* 287 (39.97) 191 (47.63) 0.028*

BMI (kg/m2) 23.58±2.97 23.90±3.05 0.0653 23.94±2.98 24.43±3.40 0.0116*

HbA1c 5.65±0.35 7.09±1.06 <0.001* 5.71±0.33 7.26±1.20 <0.001*

Fasting glucose 98.34±10.02 138.51±38.81 <0.001* 96.58±9.56 142.50±44.26 <0.001*

Excessive drinking 85 (10.56) 51 (11.89) 0.717 9 (1.31) 3 (0.89) 0.106

Current smoking 208 (25.90) 102 (23.78) 0.552 16 (2.33) 14 (4.20) 0.131

Hypertension 432 (51.92) 269 (58.61) 0.021* 369 (51.54) 248 (64.75) <0.001*

Dyslipidemia 376 (44.13) 212 (59.89) <0.001* 373 (51.45) 165 (66.80) <0.001*

Strength exercise (≥2 times/wk) 247 (31.99) 91 (23.16) 0.002* 70 (10.92) 23 (7.52) 0.10

Hand–grip strength 36.66±6.79 34.52±7.41 <0.001* 23.05±4.76 20.47±5.30 <0.001*

Total intake 2,090.48±814.49 1,980.99±796.91 0.023* 1,640.10±661.39 1,424.76±600.52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for continuous variables or number (%) for categorical variables.

DM, diabetes mellitus; BMI, body mass index; HbA1c, glycated hemoglobin.

Excessive drinking, drinking more than twice a week and at least 7 cups at a time in men and at least 5 cups at a time in women; hypertension,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antihypertensive drug or ≥140 mmHg systolic blood pressure, or ≥90 mmHg diastolic blood pressure; dyslipidemia,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drug, or to- tal cholesterol ≥240, or triglyceride ≥200, o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40, or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160.

P-value by independent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by χ2 test for categorical variables

*P<0.05.

Table 6. Adjusted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of normal and

diabetic groups in the frail hand –grip strength

Model Men Women

Model 1 1.25 (0.95–1.64) 3.24 (2.1–5.01)* Model 2 1.36 (1.03–1.8)* 1.67 (1.04–2.67)* Model 3 1.49 (1.02–2.18)* 1.47 (0.71–3.07)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Model 1: unadjusted. Model 2: adjusted for age. Model 3: adjusted for age, hy- pertension, dyslipidemia, total intake, marital status, education, low income.

*P<0.05.

(6)

장미소 외. 한국 성인에서 정상군과 당뇨병군의 악력 비교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병하는 당뇨병은 근감소증의 위험을 높이고 그런 경우 오랜 유병기 간을 거치면서 연령 증가와 함께 근감소증은 당뇨병에서 발생하는 기능저하 및 운동장애의 문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악 력과 관련 변수와의 상관성에서 남녀 모두에서 연령, HbA1c, 기혼 여 부가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연령과 고혈당, 기혼이 아닌 상 태가 악력 감소의 위험인자임을 알 수 있다. BMI, 현재 흡연, 적정음 주, 위험음주,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하위 25% 초과의 소득, 주 2회 이상의 운동이 남녀 모두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하루 총 칼로리 섭취량에서는 남자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은 악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알고 있는 건강의 위험인자인 현재 흡연 및 위험 음주가 악력과 양의 상 관관계인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한국 성인에서 노쇠악력과 당뇨 병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60세 이상 노인은 총 2,462명이며 이 중 당뇨병 환자는 885명으로 35.95%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정 상군과 당뇨군 사이에 학력, 기혼 여부, BMI, 근력 운동 유무 외의 변 수에서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남자에서는 근력운 동 유무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여자에서는 학력, 기혼 여부, BMI에서 당뇨군과 정상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 인다. 흡연, 음주에서는 남녀 모두에서 당뇨군과 정상군 사이에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노쇠악력의 교차비가 여자에서 3.24로 유의하게 나타나 당뇨군에서 노쇠악력의 위험이 3배 이상임을 보여주고 있으 며 나이를 보정했을 경우에도 교차비 1.67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 그러나 다른 변인들을 보정한 후에는 교차비 1.47이나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다. 이 결과는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교육 수준과 기혼 상태가 60세 이상의 여자에서 정상군에 비해서 당뇨군에서 유 의하게 낮게 나타나며, 남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근감소증 유병률을 조사한 한 연구에서도 근감소증이 있는 여자에 서 사별 또는 혼자 사는 경우의 분포가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15) 그러므로 여자에서는 노쇠 악력 위험요인이 기혼 여부, 고등학교 졸 업 이상의 교육 등의 교란변수가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남자에서는 보정하지 않은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 으나, 연령을 보정하면 교차비 1.36으로 노쇠악력의 위험도가 유의 하게 증가하고 교란변수를 모두 보정한 후에도 교차비 1.49로 통계 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나타났다. 남자에서는 당뇨병이 노쇠악력에 중요한 위험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악력 감소와 당뇨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일본계의 미국인을 대 상으로 BMI가 하위 25%인 사람에서 악력이 클수록 당뇨 위험성이 낮음을 밝힌 바가 있고16) 골격근에 대한 2형 당뇨병의 영향은 당뇨 초기에 작용하거나 질병의 발생에 앞서서 나타남을 시사한다. 악력

은 근육 기능의 한 지표로, 근력저하는 질병과 관련된 영양실조에서 도 나타날 수 있어 한 연구에서는 악력이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지 표로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개입의 감시도구로 악력계를 제시하기도 하였다.17) 60–70세의 1,391명을 대상으로 당부하 검사 후 2시간 혈당과 악력과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 공복혈당과 악력 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정상군에서도 혈당이 증가할수록 악력이 감소하고 당뇨병 군에서도 새로 진단받은 군보다는 기존 환자군에 서 악력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경향성은 남녀 모두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하나 남자에서 명확하게 보여주었다.18) 당뇨병과 진행되 는 근육약화와 관련된 합병증인 당뇨병성 근위축증은 당뇨병의 유 병기간과 관련이 된다. 이것은 고혈당이 근력을 약화시켜 신체기능 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동물 실험에서 고혈당이 근육에서 수축 능력 과 근력 생성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19) 또한 고혈당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말초신경병증이 근력약화와 관 계된다는 연구도 있었다.4)

악력의 측정은 간단하고 휴대가 용이한 측정도구를 사용해 측정 이 가능하고 근육량보다 직접적인 움직임을 반영한다. 손은 일상생 활 기능, 작업관련 기능, 여가활동의 수행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주 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악 력은 인지기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악력이 감소 할수록 인지기능이 낮아지고 규칙적 운동을 수행할수록 인지기능 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10) 악력으로 하지의 근력을 예측해 보려는 노인 대상 연구에서는 악력과 슬관절 등속성 근력에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 본 연구에서 60세 이상 남녀 모두에 서 주 2회 이상 근력운동의 분포가 당뇨병군에서 낮다는 사실은, 당 뇨병환자에게 적절한 신체활동에 대한 권고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최근 당뇨병이 젊은 층에서 증가하고 있고 기대여명을 고려할 때 당뇨병환자의 기능 유지가 우선적인 목표가 되어야 하며 기능 유 지의 지표로 악력의 측정은 간편하고 쉬운 방법으로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단면조사로 당뇨병과 악력 감소의 인과관 계는 규명할 수 없다. 둘째, 악력을 측정하는 방식에는 아직 논란이 있는 상태이며, 노쇠 평가의 하나인 악력 기준으로 다양한 진단기준 이 존재하는데, 본 연구자료는 국가 전체 표본 조사로 훈련된 조사 원이 측정한 악력 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노쇠기준은 2008년 노인실 태조사에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Fried 등7)의 허약의 악력기준 을 성별과 BMI의 사분위수에 따라 악력 하위 20% 이하 값으로 정하 였다. 셋째, 당뇨병합병증인 말초신경병증과 미세알부민뇨가 악력 감소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데이터의 부재

(7)

Miso Jang, et al. Type 2 DM and Hand–Grip Strength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넷째, 당뇨병 치료 약제가 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성인에서 당뇨병과 악력의 관계를 분석하 여 당뇨병군에서 악력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연령에 따른 악력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고혈당이 악력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 으며 60세 이상의 당뇨환자에서 노쇠악력의 위험도가 높아짐을 확 인하고 특히 60세 이상의 남성에서는 당뇨와 노쇠악력의 교차비가 교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유의하게 상승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본 제한점을 보강하여 당뇨병환자에서 악력의 변화를 알아 보는 장기적인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당뇨병으로 인한 사회 적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당뇨병의 진단 후에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고 혈액검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여 당뇨병으 로 인한 기능저하를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요 약

연구배경: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증가추세이며 한국에서도 증가 하고 있다. 당뇨병과 근감소증은 관련성이 있으며 당뇨병이 근력저 하 등 기능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당뇨병군과 정 상군의 악력 차이 및 연령에 따른 악력분포,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당뇨병과 노쇠악력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 으며 임산부 및 암, 관절염환자는 제외하고 20세 이상 성인 8,584명 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남녀로 나누어 당뇨병군과 정상군 간의 차 이를 조사하였고 연령별 악력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60세 이상 노 인 2,462명을 대상으로 당뇨병군과 정상군에서 나누어 노쇠악력 위 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령별 악력분포는 남녀 모두 30대까지 악력이 증가하다가 40 대부터 감소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당뇨병군에서 악 력 감소를 보였고 악력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HbA1c는 악력에 음의 상관관계(beta: -0.045)를 나타내었다. 60세 이 상의 노인인구에서 노쇠악력은 당뇨병과 연관성이 있었고(남자 OR=1.25, 95% CI=0.95–1.64; 여자 OR=3.24, 95% CI=2.10–5.01) 특히 교 란변수를 모두 보정하고 난 후에도 남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당뇨병과 노쇠 악력이 연관성(adjusted OR=1.49, 95% CI=1.02–2.18) 이 있었다.

결론:

한국인에서 당뇨병은 악력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악력 측정은 손의 기능과 상체 근력을 알아볼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다.

향후 악력이 당뇨병으로 인한 기능의 감소를 예상할 수 있도록 추가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중심단어:

악력; 당뇨병; 당화혈색소; 노쇠; 근감소증

REFERENCES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6 [Internet].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cited 2017 Jul 21].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pro/news/admin.php?category=A&code=admi n&number=1428&mode=view.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evalence and man- agement status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n adults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cited 2016 Jan 2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3. Defronzo RA. Banting Lecture. From the triumvirate to the ominous octet:

a new paradigm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2009;

58: 773-95.

4. Umegaki H. Sarcopenia and diabetes: Hyperglycemia is a risk factor for age- associated muscle mass and functional reduction. J Diabetes Investig 2015;

6: 623-4.

5. Cruz-Jentoft AJ, Baeyens JP, Bauer JM, Boirie Y, Cederholm T, Landi F, et al.

Sarcopenia: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 Age Ageing 2010;

39: 412-23.

6. Jung EY, Seo JW, Lee JH, Suh YS, Kim DH.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diabetes according to age in Korean adults. Korean J Fam Pract 2016; 6:

242-8.

7.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Newman AB, Hirsch C, Gottdiener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1; 56: M146-56.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2008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Feb. Report No.: 11-1351000-000316-12. 1075 p.

9. Giampaoli S, Ferrucci L, Cecchi F, Lo Noce C, Poce A, Dima F, et al. Hand- grip strength predicts incident disability in non-disabled older men. Age Ageing 1999; 28: 283-8.

10. Lee SG.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 grip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r exercise. Korean J Commu- nity Living Sci 2014; 25: 29-37.

11. van der Kooi AL, Snijder MB, Peters RJ, van Valkengoed IG. The association of handgrip strength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in six ethnic groups: an analysis of the HELIUS study. PLoS One 2015; 10: e0137739.

12. Kallman DA, Plato CC, Tobin JD. The role of muscle loss in the age-related decline of grip streng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perspectives. J Gerontol 1990; 45: M82-8.

13. Johnson MJ, Friedl KE, Frykman PN, Moore RJ. Loss of muscle mass is poorly reflected in grip strength performance in healthy young men. Med Sci Sports Exerc 1994; 26: 235-40.

14. Kim TN, Park MS, Yang SJ, Yoo HJ, Kang HJ, Song W, et al. Prevalence and determinant factors of sarcopenia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Kore- an Sarcopenic Obesity Study (KSOS). Diabetes Care 2010; 33: 1497-9.

15. Han P, Kang L, Guo Q, Wang J, Zhang W, Shen S, et al. Prevalence and factors

(8)

장미소 외. 한국 성인에서 정상군과 당뇨병군의 악력 비교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associated with sarcopenia in suburb-dwelling older Chinese using the 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definition.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16; 71: 529-35.

16. Wander PL, Boyko EJ, Leonetti DL, McNeely MJ, Kahn SE, Fujimoto WY.

Greater hand-grip strength predicts a lower risk of developing type 2 diabe- tes over 10 years in leaner Japanese Americans. Diabetes Res Clin Pract 2011; 92: 261-4.

17. Norman K, Stobäus N, Gonzalez MC, Schulzke JD, Pirlich M. Hand grip strength: outcome predictor and marker of nutritional status. Clin Nutr 2011; 30: 135-42.

18. Sayer AA, Dennison EM, Syddall HE, Gilbody HJ, Phillips DI, Cooper C.

Type 2 diabetes, muscle strength, and impaired physical function: the tip of the iceberg? Diabetes Care 2005; 28: 2541-2.

19. Helander I, Westerblad H, Katz A. Effects of glucose on contractile function, [Ca2+]i, and glycogen in isolated mouse skeletal muscle. Am J Physiol Cell Physiol 2002; 282: C1306-12.

20. Jeong JY, Yoon JH, Oh JK.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grip strength and knee strength, proprioception and balance in elderly. Sport Science 2016; 34:

55-62.

수치

Table 1. Frail hand –grip strength
Table 4.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ith hand –grip strength as a  dependent variable
Table 6. Adjusted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of normal and  diabetic groups in the frail hand –grip strength

참조

관련 문서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Age-related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according to gender and skeletal sit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