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의 유무에 따른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의 유병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위식도 역류 질환의 유무에 따른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의 유병률"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위식도 역류 질환의 유무에 따른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의 유병률

강재빈, 이동호, 권수훈, 김나영, 박영수, 윤혁, 신철민, 최윤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The Prevalence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with orwithout Reflux Esophagitis

Jae Bin Kang, Dong Ho Lee, Soo Hoon Kwon, Nayoung Kim, Young Soo Park, Hyuk Yoon, Cheol Min Shin and Yoon Jin Cho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ngnam, Korea

Background/Aims: Gastrointestinal reflux disease (GERD) is defined as 'a condition that develops when the reflux of stomach contents causes troublesome symptoms and/or complications'. It is associated with various lung diseases, including bronchial asthma, chron- ic bronchitis, and bronchiectasis. GERD may also affect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lung disease. We presumed that the normal mucosal barrier of the bronchial epithelium is broken due to the aspiration of gastric juice and consequent chronic bronchial inflamm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GER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NTM lung disease and analyzed the difference.

Methods: We screened patients with NTM lung disease in this hospital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5. Among these patients, gastroscopic examinations as a health check-up were performed on 93 patients. We obtained the prevalence of Reflux esophagitis (RE) in patients with NTM and compared it with the prevalence of RE in the normal control subjects.

Results: Among 93 patients with NTM, patients without RE was 66.7% (62/93). RE-minimal change was diagnosed in 29.0% (27/93), and RE LA-A was diagnosed in 4.3% (4/93). Comparing the prevalence of RE minimal change, 29.0% (27/93) had NTM and 11.9%

(3043/25536) did not have NTM. Th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We showed a greater prevalence of RE minimal change in patients with NTM than those without NTM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Korean J Gastroenterol 2018;71:18-23)

Key Words: Nontuberculous mycobacteria; Reflux esophagitis; GERD

Received February 15, 2017. Revised September 28, 2017. Accepted October 2, 2017.

CC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opyright © 2018.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교신저자: 이동호, 13620,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번길 8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Correspondence to: Dong Ho Lee,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82 Gumi-ro 173beon-gil, Bundang-gu, Seongnam 13620, Korea. Tel: +82-31-787-7006, Fax: +82-31-787-4051,

E-mail: dhljohn@snubh.org

Financial support: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PET) through (High Value-added Food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und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No. 116017032HD030).

Conflict of interest: None.

서 론

위식도 역류증(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은 위산이 나 위 내용물의 식도 역류로 인한 불편감과 이로 인한 합병증을 총칭하는 용어이며,1 비결핵성 항산균(nontuberculous myco- bacteria)은 결핵균과 나병균을 제외한 100여 종이 넘는 항산균

을 지칭하는 용어로 1990년대 이후부터 세계적인 유병률이 증 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자 만성 폐 질환의 한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2 국내에서도 비결핵성 항산균이 객담 검사에서 분리되는 빈 도 및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으로 진단 및 치료받는 환자들이 증 가하고 있고,3 이러한 추세 및 중요성을 반영하여 대한결핵 및 호흡 기학회에서 2005년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에 대한 진료지침을

(2)

1,412

Fig. 1. Study flowchart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with or without reflux esophagitis. NTM, nontuberculous mycobacteria.

발표한 바 있다.

위식도 역류증 환자에서 보이는 위산의 반복적인 흡인은 기관지의 만성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기관지 상피의 정 상적인 점막방어기전이 파괴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Koh WJ, et al. Chest 2007, Thomson RM, et al. Chest 2007)에 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과 위식도 역류증의 연관성을 보 고한 논문들이 있으며,4,5 두 연구 모두 58명의 비결핵성 항산 균 폐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 연구에서는 위식도 역류 증의 진단을 환자의 임상 증상에 대한 설문을 통해서 진행하 였으며, 다른 연구에서는 24시간 식도산도 검사를 통해 진행 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위 내시경 검사를 통해 역류성 식도 염(reflux esophagitis)과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과의 연관 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위식도 역류증이 있는 집단이 정상인에 비해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이 더 많이 발 생할 것이라고 가정하고,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이 있는 환 자에서 내시경적 변화를 보이는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을 일 반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분당서울대학 교병원에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1,412명 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비결핵성 항산 균의 진단에는 미국 흉부학회의 기준이 사용되었으며, 이 기준 에 따라 환자가 호흡기 증상을 가지고 있고, 영상학적으로 결 절성 혹은 동공성 병변이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기관지 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specimen) 혹은 2회 이상의 연속된 객담 검사에서 비결핵성 항산균이 배양될 때 이 를 진단하였다.6 균주의 동정에는 acid-fast bacilli 배양 검사 와 비결핵성 항산균 동정 검사를 사용하였고, 기관지 세척액 혹은 객담에서 고체배지와 액체배지를 사용하여 6주간 배양을 실시한 뒤, 여기에서 비결핵성 항산균이 검출된 경우 비결핵성 항산균 동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결핵성 항산균 동정 검사의 경우 rpoB gene을 대상으로 중합효소 연쇄반응-제한절편길이 다형성(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방법7을 통하여 50여 종의 비결핵성 항산균을 동정하였다. 이 중 257명이 본원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받았으며, 164명은 건강검진목적의 내시경이 아니어서 연구대상자에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93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다(Fig. 1).

연구대상자의 내시경적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을 일반 대 조군과 비교하였으며, 일반 대조군의 유병률은 Lee 등이 2008년에 대한민국에서 다기관 연구로 진행한 논문의 자료를 인용하였다.8 역류성 식도염은 내시경적 소견에 따라서 각각 미소변화형(minimal change) 식도염과 LA classification A,

B, C, D (LA-A, LA-B, LA-C, LA-D)로 나눌 수 있다. LA classification에 따라 5 mm 이하의 점막 손상이 있을 경우 LA-A, 5 mm 이상의 점막 손상이 있을 경우 LA-B, 점막 손 상이 융합을 보이고 원주의 75% 이하를 차지할 경우 LA-C, 점막 손상이 전체 원주의 75% 이상에 걸쳐 융합하는 경우 LA-D로 정의하였고, 미소변화형 식도염은 위-식도 접합부에 색조 변화나 미란, 백색혼탁, Z-선의 불명료 등의 소견이 있을 경우로 정의하였다.9,10

결 과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비결핵성 항산균 total군) 중 257명이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았으며, 이들 중 47명이 소화불량(dyspepsia), 상복부 통증(epigastric pain), 흉통 (chest pain), 흉부 작열감(heart burn) 중 한 가지 증상을 호 소하였다. 257명 중 역류성 식도염 소견이 없는 환자는 175명 (68.1%)이었고, 미소변화형 식도염은 58명(22.5%), LA-A 이 상의 역류성 식도염은 24명(9.3%)이었다(LA-A 11명, LA-B 9명, LA-C 0명, LA-D 0명). 이 중 검진목적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은 환자(비결핵성 항산균 health screeing [HS]군)는 93명이었으며, 모두 대한민국 국적이었고, 남성은 36명(38.7%), 여성은 57명(61.3%)이었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 들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위 93명 중 내시경상 역류성 식 도염 소견이 없는 환자는 62명(66.7%)이었고 미소변화형 식도 염을 진단받은 환자는 27명(29%), LA-A 이상의 역류성 식도 염은 4명(4.3%)이었다(LA-A 4명, LA-B 0명 LA-C 0명, LA-D 0명).

2008년 국내의 연구8에 따르면 건강검진 내시경을 시행한 25,536명 중 3,043명이 미소변화형 식도염을 진단받았고(11.9%),

(3)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for 93 Patients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as a Health Check-up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Male Female Total

Gender, n (%) 36 (38.7) 57 (61.3) 93 (100)

Age, yr 60.02 55.56 57.29

Height, cm 169.41 158.52 160.99

Weight, kg 62.79 53.08 56.96

Body mass index, kg/m2 21.84 21.14 21.42

Smoking at the time of diagnosis, n

Current 16 0 16

Ex-smoker 4 0 4

Non-smoker 15 50 65

Not-known 1 7 8

Table 2.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between Patients with NTM Pulmonary Disease and Control Subjects

NTM totala (n=257) p-valuea NTM HSb (n=93) p-valueb Controlc (n=25,536)

RE, mc 58 (22.5) 0.000 27 (29.0) 0.000 3,043 (11.9)

RE, LA-A or more 24 (9.3) 0.398 4 (4.3) 0.198 2,019 (7.9)

RE, totald 82 (31.9) 0.000 31 (33.3) 0.001 5,062 (19.8)

Values are presented as n (%).

NTM, nontuberculous mycobacteria; RE, reflux esophagitis; mc, minimal change; LA, Los Angeles classification; HS, health screening.

aAll NTM patients who underwent gastroscopy at our hospital; bPatients with NTM who underwent gastroscopy for the purpose of health screening; cThe general control group in this study (Lee et al. 2008, J Gastroenterol Hepatol)8; dTotal reflux esophagitis including LA A-D and mc.

Table 3. Differences in the Types of NTM between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and Those without Reflux Esophagitis NTM HS groupa with

reflux esophagitis (n=31)

NTM HS groupa without reflux esophagitis (n=62)

p-value

MACb 21 (67.7) 44 (70.9) 0.749

M.abscessus 2 (6.4) 4 (6.4) 1.000

M.kansasii 1 (3.2) 1 (1.6) 0.255

Others 3 (9.7) 6 (9.6) 1.000

Unclassified group 4 (12.9) 7 (11.2) 0.820

Values are presented as n (%).

NTM, nontuberculous mycobacteria; HS, health screening; MAC,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M.abscessus, Mycobacterium abscessus; M.kansasii, Mycobacterium Kansasii.

aPatients with NTM who underwent gastroscopy for the purpose of health screening; bMAC complex.

역류성 식도염 LA-A 이상을 진단받은 환자는 2,019명(7.91%) 이었다.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 중 검진 내시경에서 진단된 미소변화형 식도염의 유병률(비결핵성 항산균 HS군)과 기존의 일반 검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의 미소변화형 식도염의 유병률을 비교하였을 때 각각 29.0% 대비 11.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비결핵성 항산균 HS군에서 미소변화형 식도염이 더 많음을 알 수 있었다(p-value 0.000, chi-square tests, pear- son uncorrected. odds ratio 3.024, 95% confidence interval [CI] 1.881-4.836, relative risk 2.436, 95% CI 1.702-3.322).

미소변화형 식도염을 포함한 전체 내시경적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을 비교하면, 비결핵성 항산균 HS군에서 93명 중 31명 (33.3%)이 역류성 식도염에 진단되었고, 일반 대조군에서는 25,536명 중 5,062명(19.8%)이 역류성 식도염이 진단되어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비결핵성 항산균 HS군에서 내시경적 역류 성 식도염이 더 많았다(p-value 0.001, chi-square tests, pear-

son uncorrected. odds ratio 2.022, 95% CI 1.283-3.177, rela- tive risk 1.682, 95% CI 1.215-2.220). LA-A 이상의 내시경적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은 일반 대조군에서 더 높은 경향성을 보였으나(4.3% vs. 7.91%), 양군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Table 2).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 중 특정 균주가 역류성 식도 염을 더 많이 일으키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연구대상자 93명 (비결핵성 항산균 HS군)에 대한 아류형(subtype)을 분석하였 다. 역류성 식도염이 진단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와 역 류성 식도염이 없는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자를 비교하였을 때 양군 모두에서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은 가장 많이 동정된 균주였고, 그다음은

Mycobacterium ab- scessus

로 나타났으며, 역류성 식도염 유무에 따른 균주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able 3).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에서 역류성 식도염의 유무 에 따른 폐병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역류성 식도염이 있

(4)

Table 4. Differences in the Location of Lung Lesions between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and Those without Reflux Esophagitis NTM HS groupa with

reflux esophagitis (n=31)

NTM HS groupa without reflux esophagitis (n=62)

p-value

RUL 13 (41.9) 37 (59.6) 0.106

RML 16 (51.6) 42 (67.7) 0.130

RLL 11 (35.4) 23 (37.0) 0.879

LUL without lingual segment 11 (35.4) 13 (20.9) 0.132

Lingual segment 10 (32.2) 23 (37.0) 0.646

LLL 10 (32.2) 13 (20.9) 0.234

Values are presented as n (%).

NTM, nontuberculous mycobacteria; HS, health screening; RUL, right upper lobe; RML, right middle lobe; RLL, right lower lobe; LUL, left upper lobe;

LLL, left lower lobe.

aPatients with NTM who underwent gastroscopy for the purpose of health screening.

는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와 역류성 식도염이 없는 비 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의 병변 위치를 흉부 전산화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CT 소견에 따라 우상엽, 우중엽, 우하엽, 좌하엽으로 나누었 고, 좌상엽(left upper lobe)은 설상엽(lingual segment)을 독 립적인 부분으로 간주하여 설상엽을 제외한 좌상엽(left up- per lobe except lingual segment)과 설상엽으로 분리한 뒤 총 6개의 구역으로 나누었다. 양군 모두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은 우중엽에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우상엽에 많았으며 역류성 식도염 유무에 따른 폐 침범 부위의 차이는 통계적 유 의성을 보이지 않았다(Table 4).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들은 기침, 객혈, 객담 등이 동반되었으며 증상이 심한 경우 본원에서 항결핵 치료를 받았 으나, 임상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에는 항결핵 치료를 하 지 않고 대증 치료만 시행하며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을 하였다.

또한 추적 관찰 중 acid-fast bacilli 배양 검사가 음전된 경우 에도 경과를 관찰하였다. 환자들은 배양된 균주에 따라 치료 방법을 달리 하였는데,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가 배양된 환자는 clarithromycin, rifampin, etham- butol을 기본으로, 필요 시 streptomycin을 병용하여 1년간 배 양음성이 유지될 때까지 사용하였고,

Mycobacterium absce- ssus

가 배양된 환자는 clarithromycin, amikacin, cefoxitin 혹은 imipenem을 임상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사용하였다. 그 리고

Mycobacterium Kansasii

가 배양된 환자는 isoniazide, rifampin, ethambutol을 1년간 배양음성이 유지될 때까지 사 용하였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비결핵성 항산균 HS군 31명 중에서 6명(19.35%)이 항결핵제 치료를 받았으나 역류성 식도 염이 없는 비결핵성 항산균 HS군 62명 중 18명(29.03%)이 항 결핵제 치료를 받았고, 양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value 0.315).

고 찰

위식도 역류증은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불편감 및 이로 인한 합병증을 지칭하며,1 위식도 역 류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이용하여 위식 도 접합부(esophago-gastric junction)의 점막 변화를 관찰하 는 것은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는 아니지만 위식도 역류 질환 의 중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검사이다.9,10 이러한 위식 도 역류 질환의 진단에 표준 검사는 없지만 임상에서는 흔히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이용하여 특징적인 점막결손이 있다면 역류성 식도염으로 진단하게 된다. 이러한 내시경적 역류성 식도염은 대개 로스엔젤레스 분류법(LA Classification)을 통 해 LA-A부터 LA-D까지 4단계로 나누며, 미소변화형 식도염 을 이에 포함시키는지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논란이 있다.

이러한 위식도 역류 질환은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폐 질환–기 관지 천식,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흡인성 폐렴, 만성 폐쇄성 폐 질환, 폐섬유화증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3 비결핵성 항산균은 최근 20년 사이에 인간에게 중요

한 병원균으로, 이로 인한 폐 질환은 특히 고령자에서의 만성 폐 질환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14 객담에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이 배양되었더라도 기침이나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 방사선학적 병변(흉부 X선 촬영, 흉부 CT)이 경미할 경우 에는 바로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고 증상에 대한 조절을 하며 정기적인 객담 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추적하며 경과 관찰 이 가능하지만, 임상 증상이 심하고 뚜렷한 결절성 또는 공동 성 병변이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관찰된다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3 하지만 비결핵성 항산균은 일반적인 자연환경에 서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주로 병원성이 약하기 때문에 정상 성인의 면역체계는 효과적으로 비결핵성 항산균의 감염을 방 어할 수 있다.15 따라서 정상인에게는 호흡기 질환을 거의 일 으키지 않는다. 이러한 병원균의 감염예방에는 정상적인 점막 에 존재하는 점막 방어막(mucosal barrier)과 뮤신(mucins) 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16 위장 점막에서 분비되는 위산

(5)

은 정상적인 점막방어기제(mucosal barrier)를 파괴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어17 위장에는 위산에 대항하는 고유의 방어기 전이 존재하지만 그 외의 장기는 이러한 위산의 공격에 취약 할 수밖에 없다. 특히 기도점막의 경우 점막층의 두께가 10 μm 로 위장 점막(300 μm)이나 대장 점막(700 μg)에 비해 현저하 게 얇다.18-21 따라서 위식도 역류증이 있으면 역류로 인해 위 산이 기도로 흡인될 가능성이 높아져 기도에 존재하는 정상적 인 점막방어막을 파괴할 수 있다. 이렇게 점막의 방어막이 파괴 되면 병원균이 상피세포를 통해 침투하기가 쉬워지게 되고,16 이로 인해 건강한 성인에서 정상적으로 상재하는 비결핵성 항 산균 균주가 호흡기 감염증을 일으킬 가능성도 높아진다. 따 라서 위식도 역류증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비결 핵성 항산균 폐 질환이 더 잘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식도 역류증의 임상 증상으로 환자를 진단하기에는 객관성 이 부족할 수 있어 건강검진 내시경을 통한 위식도 접합부 점 막의 파괴 혹은 국소발적이나 삼출물 등을 관찰한 경우 위식 도 역류증으로 진단하였다. 일반적으로 미소변화형 식도염은 역류성 식도염에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이는 미소 변화형 식도염의 경우 검사자의 주관적 소견에 따라 진단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견해 때문이다. 이에 검사의 객관성을 위해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의 내시경 소견을 연구자들이 다시 한 번 검토하였다. 2007년 Thomson 등의 연구5에서는 58명의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를 이들과 연령 및 성별을 일치 시킨 대조군으로 나누어 DeMeester symptom questionnaire 설문지를 작성한 뒤 이를 통하여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 자가 대조군에 비해 위식도 역류 질환이 높다(비결핵성 항산 균군 44.2%, 대조군 27.6%, p-value 0.019)고 주장하였다. 하 지만 이 연구에서는 설문지 자체가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개 입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2007년에 Koh 등의 연구4에서는 특정 기간 동안 연속된 58명의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초진 자에게 식도산도 측정을 하여 위식도 역류 질환의 유병률을 조사하였고, 58명 중 15명(26%)을 위식도 역류증으로 진단하 였다. 그러나 식도산도 측정은 역류되는 위산의 진단에는 객 관적인 검사이나 불편감을 유발하여 환자의 순응도가 낮고 장 비 사용에 제한이 있어 무작위 대규모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 으로 역류성 식도염의 진단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에는 어려 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단의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군과 일반 인구집단의 유병률 차이를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위 내시경 검사를 통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의 역류성 식도염 유병률을 일반 대조군 과 비교하였다. 일반 대조군은 대한민국의 건강검진 위 내시 경 결과를 사용하였기에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군 역 시도 건강검진 위 내시경 결과를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원에서 건강검진으로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받은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 중 미소변화형 식도염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들은 역류성 식도염의 유무에 따른 균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역류성 식도염의 유무 에 따른 폐병변의 위치 또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치료를 요하는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은 역류성 식 도염이 없는 군에서 더 많은 경향성을 보였으나 통계적 차이 는 보이지 않았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환자는 만성적인 위 산의 역류로 인한 기관지 점막의 파괴로 고유의 점막 방어막 이 소실되어 역류성 식도염이 없는 집단에 비해 비결핵성 항 산균 폐 질환의 유병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앞으로 좀 더 큰 규모의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겠다.

요 약

목적: 위식도 역류 질환 및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나 위 내 용물의 식도 역류로 인한 불편감과 이로 인한 합병증을 총칭 하는 용어로, 이 질환은 기관지 천식,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 등의 여러 폐 질환과 연관이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위식도 역류증 환자에서 보이는 위산의 반복 적인 흡인은 기관지의 만성 염증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기관 지 상피의 정상적인 점막방어기전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정상인에 비해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이 더 많이 발 생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내시경적 변화를 보이는 역 류성 식도염의 유병률을 조사하였고, 또한 이를 일반 대조군 에서의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률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진 단된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 중 본원에서 건강검진으 로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받은 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대조군은 2008년 Lee 등8이 대한민국에서 건강검진 환 자를 대상으로 한 일반 인구집단에서의 역류성 식도염의 유병 률을 조사한 다기관 연구를 참조하였다.

결과: 총 93명의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환자 중 미소변화 형 식도염의 비율은 29.0%로 대조군의 11.9%에 비해 더 높았 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환자는 만성적인 위산의 역류로 인한 기관지 점막의 파괴로 고유의 점막 방어막이 소실되어 역류성 식도염이 없는 집단에 비해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의 유병률이 높아질 수 있으며, 앞으로 좀 더 큰 규모의 연구 를 통해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겠다.

색인단어: 비결핵성 항산균 폐 질환; 위식도 역류증; 역류성 식도염

(6)

REFERENCES

1. Morehead RS.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non-asth- ma lung disease. Eur Respir Rev 2009;18:233-243.

2. Mirsaeidi M, Hadid W, Ericsoussi B, Rodgers D, Sadikot RT. Non-tu- berculous mycobacterial disease is common in patients with non-cystic fibrosis bronchiectasis. Int J Infect Dis 2013;17:

e1000-e1004.

3. Koh WJ, Kwon OJ, Lee KS. Diagnosis and treatment of non- 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diseases: a Korean perspective. J Korean Med Sci 2005;20:913-925.

4. Koh WJ, Lee JH, Kwon YS, et al.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patients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Chest 2007;131:1825-1830.

5. Thomson RM, Armstrong JG, Looke D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cid suppression, and Mycobacterial avium complex pulmonary disease. Chest 2007;131:1166-1172.

6. Griffith DE, Aksamit T, Brown-Elliott BA, et al. An official ATS/IDSA statement: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nontuber- culous mycobacterial disease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5:367-416.

7. Kim BJ, Hong SK, Lee KH, et al. Differential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and nontuberculous my- cobacteria by duplex PCR assay using the RNA polymerase gene (rpoB). J Clin Microbiol 2004;42:1308-1312.

8. Lee JH, Kim N, Chung IK,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minimal change lesions of the esophagus in a healthy Korean population:

a nationwide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J Gastroenterol Hepatol 2008;23(7 Pt 1):1153-1157.

9. Dent J. Endoscopic grading of reflux oesophagitis: the past, pres- ent and future.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08;22:

585-599.

10. Lundell LR, Dent J, Bennett JR, et al. Endoscopic assessment of

oesophagitis: clinical and functional correlates and further vali- dation of the Los Angeles classification. Gut 1999;45:172-180.

11. Varghese G, Shepherd R, Watt P, Bruce JH. Fatal infection with Mycobacterium fortuitum associated with oesophageal achalasia.

Thorax 1988;43:151-152.

12. Hadjiliadis D, Adlakha A, Prakash UB. Rapidly growing myco- bacterial lung infection in association with esophageal disor- ders. Mayo Clin Proc 1999;74:45-51.

13. Griffith DE, Girard WM, Wallace RJ Jr. Clinical features of pulmo- nary disease caused by rapidly growing mycobacteria. An analy- sis of 154 patients. Am Rev Respir Dis 1993;147:1271-1278.

14. Winthrop KL, McNelley E, Kendall B, et al. Pulmonary non- tuberculous mycobacterial disease prevalence and clinical fea- tures: an emerging public health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10;182:977-982.

15. Koh WJ, Kwon OJ, Kim EJ, Lee KS, Ki CS, Kim JW. NRAMP1 gene polymorphism and susceptibility to nontuberculous mycobacte- rial lung diseases. Chest 2005;128:94-101.

16. Linden SK, Sutton P, Karlsson NG, Korolik V, McGuckin MA.

Mucins in the mucosal barrier to infection. Mucosal Immunol 2008;1:183-197.

17. Werther JL. The gastric mucosal barrier. Mt Sinai J Med 2000;

67:41-53.

18. Mercer RR, Russell ML, Crapo JD. Mucous lining layers in human and rat airways. Am Rev Respir Dis 1992;145:355.

19. Strugala V, Allen A, Dettmar PW, Pearson JP. Colonic mucin: methods of measuring mucus thickness. Proc Nutr Soc 2003;62:237-243.

20. Jordan N, Newton J, Pearson J, Allen A. A novel method for the vis- ualization of the in situ mucus layer in rat and man. Clin Sci (Lond) 1998;95:97-106.

21. Atuma C, Strugala V, Allen A, Holm L. The adherent gastro- intestinal mucus gel layer: thickness and physical state in vivo.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1;280:G922-G929.

수치

Fig. 1. Study flowchart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with or without reflux esophagitis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for 93 Patients with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Lung Disease as a Health Check-up according to Gender
Table 4. Differences in the Location of Lung Lesions between Patients with Reflux Esophagitis and Those without Reflux Esophagitis NTM HS group a  with reflux esophagitis (n=31) NTM HS group a  without reflux esophagitis (n=62) p-value RUL 13 (41.9) 37 (59

참조

관련 문서

Lim Je criticized the Joseon society with Sayukshin's loyalty to Danjong in 「Wonsaengmongyurok」 while Kim Soo-Min showed definitely that he respected the

Hwa Jung Kim, Bon-Cheol Ku, Jae Kwan Lee “Use of Pyrolyzed Amino Acids as Versatile Dopants for Synthesis of Heteroatoms-doped

Seung Soo Jang Sung Gyun Shin Min Jae Lee Sang Soo Han Chan Ho Choi Sungkyum Kim Woo Sung Cho and Song Hyun Kim POSTECH Yeong Rok Kang Wol Soon Jo Soo Kyung Jeong and

Chang Goo Kang, Ah Hyun Park, Jang Ho Ha, Young Soo Kim, Joon-Ho Oh, Jeong Min Park, Soo Mee Kim, Seung-Jae Lee, Seung Hee Lee, and Han Soo Kim(KAERI). Fabrication

Chang Je Park, Kwoen Ho Kang, Sang Ho Na, Young Hee Kim, Ho Jin Ryu, Geun Il Park, and Kee Chan Song (KAERI). Geun-Suk Choi and

Dong Won Lee, Young Dug Bae, Suk Kwon Kim, Hee Yun Shin, Bong Guen Hong, Hyun Kyu Jung, Yang Il Jung, Jeong Yong Park, Byung Kwon Choi, and Yong Hwan Jeong(KAERI). P07B04

11:40 Fabrication of Nitride Coated U-Mo Powders for an Advanced Research Reactor Fuel Jae Soon Park, Yong Jin Jeong, Sang Oh Bae, Sun Chil Kwon, Eung Soo Kim, Se Jung Jang,

Sang-Keun Woo, Yong Jin Lee, WonHo Lee, Min Hwan Kim, Ji Ae Park, In Ok Ko, Jin Su Kim, Jong Guk Kim, Young Hoon Ji, Joo Hyun Kang, Gi Jeong Cheon, Chang Woon Choi, Sang M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