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영 어 교 육 전 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영 어 교 육 전 공"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공 백 화 (Gapping )현 상 에 대 한 연 구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영 어 교 육 전 공

1 9 9 9

(2)

공 백 화 (Gapping )현 상 에 대 한 연 구

지 도 교 수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 논문을 제출함

1999년 12월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영 어 교 육 전 공

1 9 9 9

(3)

강 이 권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1999년 12 월 일

심 사 위 원 장 심 사 위 원 심 사 위 원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1 . 서 론 - - - - 1

2 . 생 략 과 공 백 화 현 상

2 . 1 . 생 략 의 정 의 - - - 3 2 . 2 . 등 위 구 조 의 유 형 과 공 백 화 현 상 - - - 6 2 . 3 . 공 백 화 현 상 의 정 의 및 특 징 - - - - 17

3 . 공 백 화 (Ga ppin g )현 상 에 대 한 분 석

3 . 1 . R o s s ( 196 7 ) - - - 19 3 . 2 . Ja c k e n do f f ( 19 7 1 ) - - - 2 2 3 . 3 . H a n k a m e r ( 197 3 ) - - - 24 3 . 4 . K u n o ( 197 6 ) - - - 3 0 3 . 5 . N e ij t ( 198 1 ) - - - 3 9

4 . 생 략 분 석 에 의 한 공 백 화 현 상

4 . 1 . L a r s o n ( 19 9 0 )의 V P/ V '생 략 분 석 - - - 4 7 4 . 2 . K im ( 19 97 )의 T P 생 략 에 의 한 우 향 중 심 이 동 - - - 5 5

5 . 결 론 - - - - 6 3 참 고 문 헌 - - - 65 A b s t ra c t - - - 6 9

(5)

제 1 장

언어의 본질적인 역할 중의하나는 화자와 청자간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이다. 모든 인간의 언어 활동은 경제성의 원리를 지 향한다. 즉 화자와 청자간의 의사소통에 지장이 없는 한, 한 문장이 나 담화에서 잉여적인 요소를 생략해서 간결한 표현을 사용한다. 주 어진 상황이나 글의 문맥 속에 나타나는 생략현상은 불필요한 잉여 정보를 생략하여 새로운 정보를 강조하거나 표현의 간결성을 도모하 려는데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생략된 언 어 요소를 다시 채워 넣을 때 원래의 문장과 동일한 의미로 회복되어 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정보의 복원가능성의 원리에 의해 생략이 이루 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복원 가능성의 조건 하에서 일어나는 생략현상 중에서, 특히 등위구조 속에서 일어나는 공백화(Gapping )에 대해 통사적으로 설 명한 Ross (1967), Jackendoff (1971), Hankamer (1973), Kuno(1976), Neijt (1981)의 이론에 대해서 고찰한 후, 일반적인 정의와 구조적인 특 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들이 내린 일반적인 공백화의 정 의는 비구성성분(nonconstituent )의 삭제와 어떤 성분이 잉여 성분의 요소가 될 수 있는가를 설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Lar son (1990)의 VP/ V ' 생략분석과 Kim (1997)의 T P (T en se Phra se:시 제구)생략에 의한 우향 중심 이동 이론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여, 공

(6)

백화에 대한 통사적인 설명력을 한층 더 높이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우선 영어에 있어서 생략의 정의에 대해서 살펴보도 록 하겠다. 그리고 등위구조에서 나타나는 생략현상들, 즉 동사구 삭 제(VP - Deletion ), 접속 삭감(Conjunction Reduction ), 우측 마디 상승 (Right - Node Raising ), 말미절단규칙(T runcation ), 공백화(Gapping )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등위구조에 나타난 생략의 유형들의 비교를 통해서, 공백화 현상에 대한 정의를 내려보고, 그 구조적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 3 장에서는 공백화 현상에 대한 기존의 분석을 살펴보고자 한 다. 기존의 여러 학자들이 공백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한 여 러 조건들과 규칙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에서 각 조건들과 규칙 들이 가지게 되는 제한점들이나 문제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공백 화 현상에 대한 기존 분석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Ross (1967)를 제외한 일반적인 분석에서는 공백되는 요소가 Hankamer (1973)의 주요구성성 분 이론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삭제된 후 남는 잉여성분에 대한 통사적인 설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제 4장에서는 공백화 현상의 정의에 대한 문제점들 중에서, 특히 공백화에 있어서 공백되는 성분과 공백화와 함께 두 번째 접속절에서 잉여성분이 되는 부분에 대한 통사적인 설명을 Lar son (1990)의 VP/ V '생략분석과 Kim (1997)의 T P생략에 의한 우향 중심 이동 이론 을 이용하여 해결하고, 공백화에 대한 이해를 한층 더 높이고자 한다.

(7)

제 2 장 생 략 과 등 위 구 조

2 . 1 . 생 략 의 정 의

Langacker (1973)는 사람들이 언어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항상 완전 한 형태의 문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의 상황 하에서는 이러한 완전한 형태를 갖춘 문장의 사용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하였 다. 즉 한 낱말이나 짧은 한 구절이 문장이나 담화에서 화자와 청자 사이에 필요한 정보를 다 표현해 줄 수 있을 때 생략현상이 발생한 다.

Jesper sen (1933)은 생략의 발생으로 인하여 중의성(ambiguity )이 초래되면 생략현상은 피해야하며, 생략된 부분에 대한 복원이라는 조 건이 확실히 충족되었을 때 이해되는 요소(something under stood)를 문장 내에서 누락시키는 것을 생략현상이라고 정의했다.

Jesper sen (1933)은 다음과 같은 예문을 통하여 복원가능성이 만족될 때에만 생략이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1) He is rich, but his brother is not .

(2) It gener ally cost s six shilling s , but I paid only fiv e .

Kat z & P ost al (1964)은 생략변형에 있어서 지나친 생략은 의미의 혼란을 가져오기 때문에 따라서 생략되는 부분은 심층구조에서의 의

(8)

미를 보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렇게 의미보존의 제약이 만족될 때에 생략에 의해 변화된 문장 구조가 복원 가능하게 된다.1)

즉 동일한 심층구조를 갖는 문장이 임의적인 변형에 의해서 의미가 바뀌면 비문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Chom sky (1965)는 생략된 요소가 다시 본래의 위치를 찾아 회복되 었을 때, 의미 해석상 혼란을 일으키지 않을 경우에만 생략이 가능하 다고 주장하면서 생략의 조건을 복원 가능성(recov erability )에 두고, 복원이 가능한 생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동일한 표현이 반복되는 경우이어야 한다는 점을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2)

(3) John is m or e clev e r than Mary .

(4) T he Golden Not ebook is as intricate a nov el asT ristram Shandy .

1) Katz & P ost al의 생략의 조건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T ransform ation s are m eaning - preserving , in the follow ing sens e: if tw o surface structur es deriv e form ex actly the s am e underlying st ructure and if their derivation s differ only in that an optional tran sform ation has applied in on e but not the other , then t hey hav e t he sam e m eaning . (Katz & Post al, 1964)

2) Chom sky 복원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Deletions must be r ecov erable, and .... this condition can be form alized by follow ing convention r elating t o w e called ' erasure transform ation ' : an er asure tr ansform ation can us e a t erm X of it s proper analy sis only if X and Y are identical. In t he case of lexical it em s , ' ident ity ' m ight be t aken t o m ean st rict identity of featur e composition ." (Chom sky , 1965:177)

(9)

이와 같이 Chom sky는 (3), (4)에서처럼 한 문장 속에 동일한 표현 이 있을 때 생략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Quirk, et al (1972:536)은 생략은 순전히 표면적인 현상이며, 엄밀한 의미에서 단어들은 단지 복원이 가능한 경우에만 생략이 된다고 설명 하고 있다.

Quirk, et al(1985:883)도 생략의 복원가능성의 원리를 강조하면서, 생략된 단어들은 정확히 복원되어야 한다고(precisely recoverable) 설 명하였다. 즉, 생략된 요소들은 중의성이 없는 일정한 지칭의 표현으 로 보았다.

(5) She can 't s ing t onight , so she w on ' t .

(6) She m ight s ing tonig ht, but I don ' t think she w ill .

위의 (5), (6)에서 생략된 구조는 각 선행사와 동일한 요소인 sing ' 과 sing tonight 외에 다른 요소의 생략을 생각할 수 없기에 생략 구 조로 가능하다.

이제까지 거론된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생략은 복원 가능성을 전 제로 하기 때문에 생략된 요소를 다시 채울 때 본래의 의미를 가질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그 의미가 혼란을 초래해서는 안된다. 둘째, 복 원이 가능하려면 선행사의 동일한 성분이 생략되어야 하는 동일성 조 건을 필요로 하고 한다. 셋째, 생략할 때는 중의성을 피해야 한다.

(10)

2 . 2 . 등 위 구 조 의 유 형

조성식 외(1990)은 등위구조(coordinated structure)란 통사적으로 같은 기능을 갖는 피 접속요소를 연결하는 접속사로 연결된 구조라고 설명하고 있다.

등위구조에서 복원가능성과 동일성 조건 하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생 략현상으로는 동사구 삭제(VP - Deletion ), 접속 삭감(Conjunction Reduction ), 말미절단규칙(T runcation ), 우측 마디 상승(Right Node Raising ) 그리고 공백화(Gapping )등이 있다. 이 절에서는 등위구조 속 에 나타나는 생략현상들의 유형들과 공백화 현상을 서로 비교 관찰함 으로써 공백화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2 .2 .1. 공 백 화 현 상 과 동 사 구 삭 제 (V P - D eletion )

조성식 외(1990)은 동사구 삭제란 동일한 담화 내에서 동일한 동 사구를 삭제하는 수의규칙(Optional Rule)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7) Mary will p ut out the trash, or Debor a might .

(8) John w on ' t he lp M ary w ith the dishes , but T om will . (9) John mu st hav e be en build ing a hous e and T om mu st

t oo.

(11)

(7)에서는 might 다음에 put out the t rash가, (8)의 경우에는 w ill 다음에 help 이하의 동사구가 삭제되었고, (9)에서는 삭제되는 동사구 가 hav e been building a hou se, been building a hou se, building a hou se의 세 가지의 경우가 가능하다.

Jackendoff (1971:27)는 공백화와 동사구 삭제의 서로 다른 점을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첫째, 동사구 삭제는 조동사(Aux ) 속에 시제(T en se)만 있을 때는 do- support 가 되어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조동사를 남겨 놓지만 공 백화는 그렇지 않다.

(10) a . Bill ate the p eaches , and Harry did , t oo.

b . Either Iv an will w rite the p lay , or Boris w ill . c. T om ha sn 't sm ok ed the g rass , nor has Reuben . d. Max ate the apple and Sally the ham bur ger s .

(10)에서 (a ), (b ) 와 (c)는 각 시제를 포함한 did와 w ill, has 라는 하나 이상의 조동사가 남겨져있어서 동사구 삭제의 예가 되지만, (d) 는 Sally 와 the hamburgers 사이에 아무런 조동사도 남아있지 않아 서 공백화 현상의 예라 할 수 있다.

둘째, 동사구 삭제의 경우에는 조동사 와 본동사 사이에 다른 부사 가 올 수 없으며, 동일한 부사만이 삭제될 수 있다.

(12)

(11) a . * Bill mu st quickly eat the p eaches , and Harry m ust slow ly Ø.

b . Bill must quick ly eat the p eaches , and Harry must Ø, t oo.

(11a )는 quickly 와 slowly가 서로 다른 부사인데, 동사구가 삭제 되어 비문이 되었고, (11b )는 부사가 동일하기 때문에 동사구 삭제와 함께 삭제되어 정문이 되고 있다.

셋째, 동사구 삭제는 두 문장 사이에서 비교적 긴 범위로 연결된 성분들을 삭제한다는 점에서 공백화와는 다르다.

(12) a . Charlie w ill leav e town if his m other - in - low doesn ' t Ø.

b . Whenev er Ru ssia has m ade a m aj or p olitical blunder, the U .S . ha s t oo.

(12a )와 (12b )는 동사뿐만 아니라 동사구 전체에 걸친 비교적 긴 범위를 삭제한다는 점이 동사구 삭제와 공백화의 차이를 보여주는 중 요한 특징이다.

넷째, 동사구 삭제는 만약에 동사구가 종속절 속에 있다면, 대명사 화처럼 때때로 좌측 동사구(left - hand v erb phrase)를 생략할 수 있다.

(13)

(13) a. Anyone who can(,) should show me how to wiggle my ears.

b . If he hasn 't y et , John should try t o climb the Eeffel T ow er .

(13a )와 (13b )는 종속절이 주절보다 선행한 경우에 각각 can과 has 와 같은 시제를 포함한 조동사를 남겨두고 동사구 삭제가 일어난 결 과이다.

이와 같이 구의 중간(the middle of a phrase)에서 생략되는 공백 화와, 동사구 생략은 아주 다른 것을 우리는 볼 수 있다.

2 .2 .2 . 공 백 화 현 상 과 접 속 삭 감 (Conju n c tion R e du ct ion )

조성식 외(1990)은 접속삭감에 대해 둘 혹은 그 이상의 문장이 접 속되고 그 구성소(constituent )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이 공통일 경우 에 표면구조에는 그 공통 구성소 하나만 남게된다고 다음과 같이 설 명하고 있다.

(14) a . John is erudit e and Harry is erudit e . b . John and Harry are e rudite .

(15) a . Gr andm a sang and grandm a danced.

b . Grandm a sang and danced.

(14)

위 예문에서 (14a)와 (15a)는 (14b )와 (15b )처럼 공통 구성소 중에 서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를 제거하는 변형을 접속 삭감이라고 한다.

Jackendoff (1971)는 접속 절의 중간 부분이 생략되는 것은 공백화 (Gapping )이고, 단지 접속절의 끝 부분이 생략되는 것은 접속삭감 (Conjunction Reduction )이라고 하여, 공백화와 접속삭감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16) a . J ack hat es Sue and is loved by Mary . (Left - hand end of second clau se delet ed )

b . Mary is believ ed t o be , and Sue definit ely is (,) p reg nant . (Right - hand end of fir st clau se delet ed )

(16a )에서는 Jack이 생략, 즉 두 번째 절의 좌단에 접속삭감이 일 어나고 있으며, (16b )에서는 pregnant가 생략, 즉 첫 번째 절의 우단 에서 접속 삭감이 일어나고 있다.

(17) a. S usan s eem ed to m ak e Mary get out , and Ø T om com e in .

b . V era s ent a baby alligat or t o Max and Ø a leat her dinosaur t o Phyllis .

(17)의 예들은 두 문장이 and로 연결되어 있으며, 오른쪽 접속절의

(15)

좌단 성분들이 삭감되었다. (17a )는 동일한 동사 하나만 생략된 것이 아니라, seem to make 전부와 주어 Su san까지도 생략되었다. (17b )는 동사와 주어를 모두 생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Ross (1967)와 Jackendoff (1971)는 공백화와 다른 접속삭감으로 설명한다.

(18) M ax wanted T ed to p ers uade Alex to g et los t, and Ø1 W alt Ø2 Ir a Ø3 .

(18)과 같은 예를, Ross (1967)와 Jackendoff (1971)는 공백화와 접속 삭감 규칙이 함께 적용된 것으로 본다. (18)에서 Ø1의 생략은 접속삭 감으로, Ø2 와 Ø3의 생략은 공백화 현상으로 간주하여 두 규칙이 혼 합 적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2 .2 .3 . 공 백 화 현 상 과 말 미 절 단 규 칙 (T ru n c at ion )

영어의 공백화 규칙은 등위접속절의 가운데 위치뿐만 아니라 주변 위치에도 적용이 되는데, 주변위치에 적용될 경우에는 접속삭감과 반 대로 후행절의 끝 부분에 적용되어 구성소를 삭제한다.

Br esnan (1972)은 각 접속절의 동사에 관계없이 동일 조건 하에서 접속절 마지막에 오는 구성소 특히, 후행절 우단에 오는 구성소를 삭 제하는 규칙을 말미절단 규칙(T runcation )이라고 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6)

(19) Mary present ed a great paper at N E L S this y ear and ev en T om cam e thr ough with one if his bett er effort s Ø .

Stilling s (1975)는 비문법적인 문장의 공백화에는 NP 구성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문법적인 문장의 공백화에는 NP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초점을 두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제안한다.

(20) 공백화

NP V * C {or , and} NP V * C

1 2 3 4 5 6 7

Ø

(where V * is a string v ariable dom inat ed by V and C is a con stituent v ariable.)

(20)이 의미하는 바는 좌변삭제와 공백화는 별개라는 것이다. 즉, 좌변삭제는 (20)의 규칙에 의하면 삭제된 구성성분 다음에 단 하나의 구성성분만이 남는다는 점에서 공백화와는 차이점이 있다고 본다.

아래의 예를 살펴보자.

(21) John tries to say t hat it w as right and Max Ø t hat it

(17)

w as w rong .

(22) *T om w ent to F lorida to learn to p lay t ennis and Max Ø squash .

(20)의 규칙에서 공백화에 적용된 V *는 동사에 의해 지배받는 변 향열(string variable) 이어야 한다. 따라서 (21)은 삭제된 열 to say가 동사 tries에 의해 지배받기 때문에 문법적이다. 그러나 (22)에서 삭제 된 t o Florida는 동사 went에 의해 결코 지배받을 수 없으므로 비문 법적이다. 더 나아가 다음의 예를 들어보자.

(23) a . Sim on quick ly dropp ed the gold, and Jack Ø the diam ond.

b . Paul S chacher has inf orm ed m e that t he ba sic order of T agalog is VOS , and Iv es Goddar d Ø t hat the unm arked order of Algonkian is OVS , and Guy Cardin Ø that the basic order in Aleut is OSV .

c . T he F BI k ep t tabs on Calvin Coolidge and the IRS Ø on Hamilton .

(24) a . V * b . V * c. V *

Adv V V Pr oN V NP

(18)

Stilling s (1975:263)는 V앞의 Aux는 물론이고 (24a )의 A dv - V는 (23a )와 같이, (24b )의 V - Pr o N은 (23b )와 같이, (24c )의 V - NP ( chunk of idiom )는 (23c)와 같이 V에 접사화(Cliticization ) 뒤의 V 교 점에 관할하게 하는 재구성 방법으로 V *에 포함될 수 있어서 (23a- c) 는 문법적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Stilling s는 이러한 V*의 재구성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를 설명할 수 없음을 발견하고, 두 번째 등위접속문에서 오른쪽 끝 의 동일성분이 삭제되는 말미절단규칙이라는 특별규칙을 도입하고 있 다.

(25) a . Jack beg g ed Elsie t o g et m arried , and W ilfred Ø1 Phoebe Ø2 .

b . Joe cov ered the floor w ith red p aint, and Alice Ø1

the w all Ø2 .

(25a - b )의 문장에서 먼저 우측 접속절의 우단에 있는 동일성분이 말미절단규칙에 적용되어 삭제된 다음에 공백화가 적용되어 도출된 것으로 보고 문법적이라고 주장한다.

이상에서 검토한 것처럼 Stilling s (1975)는 (20)과 같이 제안한 공 백화규칙에 따라 임의의 길이의 동사열(String of verbs )을 삭제하고 뒤에 NP와 불특정의 성분 C를 남기게 하는 것을 공백화로 정의하고 있다.

(19)

2 .2 .4 . 접 속 삭 감 과 우 측 마 디 상 승 (R ig h t N o de R ai s in g )

우측마디 상승(Right Node Raising , 이후 RNR )이란 용어는 P ost al(1974:125)이 다음과 같은 등위구조 삭제 현상을 설명하고자 쓴 용어이다. 우측마디 상승 규칙의 특성은 생략의 위치, 생략된 요소의 구성소 및 주변성과 관련이 있다.

(26) a . Jack m ay be a w er ew olf and T ony cert ainly is a w er ew olf.

b . Jack m ay be a w e rew olf and T ony cert ainly is Ø.

c. Jack m ay be Ø, and T ony cert ainly is Ø, a w e rew olf .

(26b )는 동사구 생략을 설명하고 있으며, (26c)는 공통 요소가 두 접속절의 바깥으로 상승되어, 두 접속절의 오른쪽에 첨가되어 있는데, P ost al(1974)은 이와 같은 구조를 우측마디 상승이라 한다.

R N R 구조의 한가지 주된 특징은 상승된 요소 앞에 억양상의 휴지 (int onational break )가 있다는 점이다.3 )

그러면, Ross (1970)와 Dougherty (1970)의 주장에 따라 R N R 과 접 속삭감의 특징을 비교해 보기로 한다. 두 규칙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속삭감과 달리 R N R 은 공통요소를 접속절의 오른쪽, 특히

3) N eijt (1979)는 RNR이 이동규칙의 개념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이 용어 대신 B ackward Conj unction R eduction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20)

선행절의 우변에 가진다.

둘째, 접속삭감은 공통요소 즉, 삭제되는 요소와 그 접속절의 나머 지 구성소와의 사이에 억양상의 휴지가 없으나, R N R 은 그러한 휴지 를 갖고 있다.

셋째, 접속삭감은 등위접속구조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등위구조 삭제규칙이며, 접속사가 and, but, or, nor, then, s o 인 경우에 엄격하 게 제한되어 나타나지만 R N R 은 그렇지 않다.

넷째, 접속삭감은 무한수의 구성소를 삭제할 수 있으나 R N R 은 단 지 하나의 구성소만 삭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속삭감에서 삭제되는 구성소는 어떤 구성소이든지 반드시 그 접속절의 직접 구성소인데 반해, R N R 에서는 이런 제약이 없다.

본 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공백화에 대한 정의를 단순히 등위 절의 가운데에 있는 동사구만을 삭제하는 데에 한정시킬 것인지 아니 면 동사와 그에 관련된 주변 구성성분도 함께 삭제할 것인지가 공백 화의 정의를 내리는데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동사구 외 에도 그와 관련된 다른 구성성분까지 생략하는 것을 공백화로 받아들 이기로 하겠다.

(21)

2 . 3 공 백 화 (G appin g )현 상 의 정 의

2.2에서는 어디까지를 공백화 현상으로 간주할 것인지를 두고 몇 가지 규칙과 차이점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공백화의 유형을 살펴보 았다. 처음으로 공백화를 생성문법의 관점에서 언급한 Ross (1967)는 공백화 규칙은 절 내부와 절 우변에서만 일어나고, 동사를 포함한 다 른 구성성분까지도 생략된다고 정의하였다. 그러나 두 번째 접속문에 서 좌단 끝의 성분이 생략되는 것은 접속삭감이라고 설명하면서 공백 화 현상과는 구분을 지었다. Jackendoff(1971)는 공백화의 가장 단순 한 경우는 동일한 동사를 포함하는 인접한 하나 이상의 절속에 있는 동사를 삭제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Ross (1967)와 마찬가지로 접속어 좌단에 있는 동일한 성분을 삭제하는 규칙은 광백화와는 다른 접속삭감으로 설명하고 있다. Jackendoff는 동사구 삭제와 공백화의 차이를 들어 설명하는 공백화 현상은, 첫째 동사구 삭제시 조동사를 남기지 않으며, 둘째 동사구 삭제에 비해 비교적 짧은 범위로 연결된 성분들을 삭제하며, 셋째 종속절에서는 일어나지 않고 등위구조 속에 서만 나타난다고 설명하고 있다. Hankam er (1973)의 공백화 규칙은 우 측 접속문에 2개의 잉여성분만 남기고 변항열을 자유롭게 삭제한다는 점에서 Ros s (1967)와 같으나 공백화에 좌면 삭제를 포함시켰다는 점 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면서도 어떤 표면구조가 좌변 공백현상을 일 으킬 가능성이 있으면 그 구조는 공백화의 결과로 해석할 수없다는 비중의성 조건을 두어 그 차이를 설명한다. Stilling s (1975)는 말미절

(22)

단규칙을 도입하여 우측 접속절의 우단에 있는 동일성분 즉, 임의의 길이의 동사열을 삭제하고 뒤에 NP와 불특정 성분 C를 남게하는 것 을 공백화로 정의하고 있다.

동사와 인접한 다른 구성성분 들 공백화 현상에 대한 정의와, 공 백화가 적용되는 등위구조의 삭제규칙들 사이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 에 나타난, 공백화에 대한 개념이 될만한 주요한 특징들은 다음과 같 다.

첫째, 공백화는 병렬구조를 가진 등위접속문의 두 번째 접속절에서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Ros s (1967)의 방향성 제약(Directionality Con str aint )을 지킨다.4 )

둘째, 공백화가 적용되면 반드시 본동사(m ain verb )의 생략이 이루 어지며, 특히 일련의 연속적인 동사들의 생략이 가능하다.

셋째, 공백화는 두 번째 등위절에 있는 본동사 우측성분이 좌측과 동일한 구성성분으로 이루어졌을 때 적용되며, 특히 공백 부분을 복 원할 때 의미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4) Ross (1967:5) 공백화의 적용순서는 두 접속절의 동일 구성소가 좌측분지에 있으면 공백화는 순행으로 적용되고, 우측분지에 있으면 역행으로 적용된다고 주목하고 이를 방향성 제약이라고 불렀다.

(23)

제 3 장 공 백 화 (Gapping )현 상 에 대 한 분 석

3장에서는 2장에서 논의한 공백화에 대해, 기존의 선행 연구자들 ( Ross (1967), Jackendoff (1971), Hankam er (1973), Kuno(1976), Neijt (1981))의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이들이 내린 공백화의 정 의 속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3 . 1 . R o s s (1976 )의 분 석

Ross (1967)는 통사적으로 (1a ), (2a )의 기저구조를 (1b ), (2b )의 표 면구조의 문장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규칙을 공백화로 정의하고 있다.

(1) a . T om has a pist ol, and Dick has a sw or d.

b . T om has a pist ol, and Dick a sw or d.

(2) a . I w ant t o try t o begin t o writ e a novel, and Mary w ant s t o try t o begin t o writ e a play .

b . I want to try to beg in to w rite a novel, and Mary w ant s t o try t o begin t o w rit e

Ø to begin to write a play . Ø to write

Ø

(24)

Ross (1967)는 Gapping and the Order of Con stituent "에서 공백 화의 문제를 최초로 거론하였다. Ross (1967)는 공백화 규칙을 공식화 하기보다는 문장들이 기저 구조에서 취하는 어순에 관심을 두고 어순 이 다른 언어에서 어떻게 생략되는지를 설명하려고 하였으며, 문장의 선형적인 좌우 구성소의 순서만을 고려하였다. Ros s는 이를 변항 X와 Y를 도입하여, 다음과 같이 공백화 규칙을 설명하고자 했다.

(3) NP 1 - X - A - Y - and - NP 2 - X - B - Y

⇒ NP 1 - X - A - Y - and - NP2 - B (A 와 B 는 각각 다른 주요 성분이다)

위의 규칙에서 변항 X는 다음 (4 a,b )의 예문에서와 같이 동일하 지 않은 요소가 뒤에 남은 생략될 수 있는 동일한 동사 및 동사와 함 께 임의적으로 생략될 수 있는 내포된 부정사구를 의미한다. 또한(4 c,d)에 의하면 동사와 인접하지 않은 우단의 동일한 성분은 변인 Y에 해당한다.

(4) a . I bought a book , Bill a pencil, and T om a not ebook . X

b . I w ant t o try t o begin t o r ead a play , and Mary (w ant )(((t o try ) t o begin ) t o read) a nov el.

X

c. I found her t o t e honest and she (found) m e X

(25)

(t o be honest ).

Y

d. I t old her Sue about the party , Bill (t old) Mart ha X (about t he party ).

Y

Ross의 공백화 규칙은 비구성성분(non - con stit uent )의 삭제까지 설 명하고 있으며, 삭제는 접속절 내부와 우변에서만 일어나며, 좌단의 동일한 성분이 삭제된 경우에는 공백와 현상이 아닌 축약 변형으로 공백화와는 다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Ros s의 공백화 현상은 동일 한 동사의 변항이나 동사의 변항과 이와 인접하지 않은 동일한 우단 의 변항을 삭제하는 Double Gapping (이중공백화)5 )까지 포함하는 규 칙이 된다.

하지만 Ross의 공백화 규칙에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접속절의 동 사구 성분 가운데, 어떤 성분이 삭제가 가능하며, 어떤 성분을 삭제 할 수 없는 지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보자.

(5) a . I want Bob t o shav e him self and T om t o w ash him self.

b . *I want B ob t o shave him self and Mary t o w ash him self.

(6) a . John w rites p oe try in the gar den , and Max in the 5) Stillings (1975)는 이러한 Double Gapping을 T runcation Rule를 이용해서 설명하고

자 했다.

(26)

bathroom .

b . Charlie w ent into the bedroom , at 5:30, and Lola at 5:30.

(5)와 (6)의 동사구의 성분 중에서, (5b )의 동사- 명사의 삭제는 비 문이되고, (6a)의 동사- 명사의 삭제는 정문이 되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Ross (1967)는 공백화의 현상을 적용시킬 때 방향성 제약을 적용시 킨다. 이에따라 동일한 요소가 수형도 분지의 좌측에 나타난다면 공 백화는 순행으로 적용되며, 동일한 요소가 오른쪽에 나타나면 역행으 로 나타난다는 방향성 제약을 제안하였다. Ros s의 방향성 제약에 따 르면, 영어에서는 첫 번째 접속절의 동일한 요소가 두 번째 접속절에 서 공백화 되기 때문에 순행이 적용된다.

3 . 2 Ja c k e n do f f (19 7 1 )의 분 석

Jackendoffs (1971)는 공백화에 대해서, 두 번째 접속절 속에 있는 VP에 지배를 받고있는 NP가 첫 번째 접속절 속에 있는 NP와 동일한 NP를 가지면서 NP 뒤에 다른 동사구에 연결될 때는 공백이 이루어 질 수 없다고 설명한다.

Jackendoff는 위의 예문 (5b )가 VP내의 동사 다음의 동일한 NP가

(27)

앞의 동사와 함께 삭제되면서 뒤에 동일하지 않은 성분으로서 VP인 t o- inf를 남기었기에 비문이 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6)의 경우 동사구 VP내의 동사 다음에 동일한 NP가 나타났지만 뒤에 VP 가 아닌 PP (in the bathroom )가 나타났기에 정문이 된 것으로 설명하 고 있다. 다음 문장을 살펴보자

(7) a . Bill is depending on Harry t o find the w ay t o the party , and Sue t o find the w ay hom e.

(Jackendoff (1971))

b . B ill is dep ending on Harry t o find the w ay t o the party and Sue t o find the w ay hom e.

c . *Bill is dep ending on H arry t o find the w ay t o the party and Sue t o find t he w ay hom e.

(8) a . Max seem ed t o be t rying t o for ce T ed t o leav e the room , and W alt t o st ay a little longer .

(Jackendoff (1971))

b . M ax s eem ed to be try ing to f orce T ed t o leav e the room and W alt t o st ay a little longer .

c. *Max seem ed t o be trying t o force T ed t o leave the room and W alt t o st ay a little longer .

(7)과 (8)이 비문인 이유를 설명하기 위하여 Jackendoff (1971)은 다

(28)

음의 조건을 제시한다.

Jackendoff의 공백화 조건6 )은 오른쪽 접속어의 VP가 NP , VP 연속으 로 있을 경우에 VP를 생략하고 VP의 목적어 NP를 생략할 수 없다.

즉 (7c)에서 Harry를, (8c)에서 T ed를 생략할 수 없다. 이 제약은 (7a ) (8a )에서 (7c) (8c)의 해석이 이루어질 수 없는 특징을 잘 예측해 준다. 그러나 Jackendoff의 조건으로는 다음과 같은 예문을 설명하지 못한다.

(9) a . Max gave S ally a nickel, and Harv ey a dim e.

b . M ax g av e Sally a nickel and Harv ey a dim e.

*c. Max gav e S ally a nickel and Harvey a dim e.

Jackendoff는 동사구의 구조가 동사- 명사- 명사로 연결된 (9)와 같은 예문을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3 . 3 H an k am e r (19 73 )의 분 석

Hankam er (1973)의 공백화 규칙은 두 번째 접속절에서 두 개의 잔 여성분만 남기고 변항 연결체를 자유롭게 삭제한다는 점에서는

6) Jackendoff의 공백화 제약은 다음과 같다. When the sequence NP VP appears in t he VP of the right conjunct , Gapping cann ot delet e NP , leaving VP behind.

(Jackendoff, 1971:25)

(29)

Ros s (1967)와 같지만 공백화에 좌변삭제를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Ros s 와 차이점이 있다.

Hankam er는 Jackendoff의 조건의 반문이 되는 (9)에 대한 설명으 로, 공백화가 접속어의 중간위치 뿐만 아니라 좌변의 성분에도 이루 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다음과 같은 비중의성 조건을 제시한다.

Hankam er의 비중의성조건(No- ambiguity Condition )은7 ) 주어진 표면 구조를 만들어 내는 좌변공백(left peripheral gap )이 존재하는 구조는 문장 중간에 공백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비문이 된다는 것이다. 즉 공 백화는 gap"을 가능한 한 문장구조의 좌측에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특징을 밝혀내게 된다. Hankamer의 비중의성조건에 의하면, (9b )가 정문이 되는 이유는 두 번째 접속절 좌단에 있는 주어(NP )와 동사 (V )가 첫 번째 접속절 좌단과 동일한 성분이 되기 때문에, 우선적으 로 공백이 되어서 정문이되고, (9c)는 좌단 공백이 가능한데, 좌단 공 백이 우선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주어(NP ) 다음에 나오는 동사(V )와 명사(NP )가 생략되었기 때문에 비문이 된다. 또한 Hankam er의 NAC 조건으로 아래 (10) - (13)의 설명이 가능하다.

(10) a . Jack calls Joe Mike and Sam Harry . b . J ack calls Joe Mike and S am Harry . c. *Jack calls J oe Mike and Sam Harry .

7) Hankam er의 비중의성 조건은 다음과 같다. No- ambiguity Condit ion : Any application of Gapping w hich w ould yield an out put structure identical t o a structure derivable by Gapping from anot her source, but w ith the "gap" at the left extremity , is disallow ed. (Hankam er , 1973:29)

(30)

(11) a . Jack t old Harry that Bill w as a fairy , and Alex that T om had w art s .

b . J ack told Harry that Bill w a s a fairy and Alex that T om had w art s .

c. *Jack told H arry that Bill w a s a fairy and Alex that T om had w art s .

(12) a . Max w ant ed t o put t he eggplant on the t able, and Harvey in the sink .

b . M ax wanted to p ut the eggplant on the t able and Harvey in the sink .

c. *Max wanted to p ut the eg gp lant on t he t able and Harvey in the sink .

(13) a . T he court declar ed Edw ard insane, and his m other m orally bankrupt .

b . T he court declared Edw ard in sane and his m other m orally bankrupt .

c. *T he court declared Edw ar d in sane and his m ot her m orally bankrupt .

각각 (10c), (11c)는 좌변 성분이 나타나고 문장중간에 공백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Hankamer의 NAC 조건을 어기게 되어 비문 이 된다. 공백을 가능한 한 문장구조의 좌측에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31)

Hankam er의 NAC 조건에 의하면, (14b )가 수용되고 (14c)가 비문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14b )가 비문이 되는 이유는 표면구조 (14b )에서 Sue와 him self가 성(gender )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의미적으로 성 립이 되지 않기 때문에 비문이 된다.

(14) a . *Jack a sked Mike t o w a sh him self, and Sue t o shav e him self

b . *J ack ask ed Mike t o w a sh him self and Sue t o shav e him self .

c. *Jack ask ed M ik e t o w a sh him self and Sue t o shav e him self.

(15) ? Max w rites p lay s in the bedroom , and Harvey in his basem ent .8 )

(12c)가 문장 좌단에 공백이 이루어지지 않아 비문이 된다면, (15) 도 역시 비문이 된다. 그러나 (15)의 문장은 수용할 수 있게 된다.

Hankam er는 (15)와 (12)의 차이점에 대해, (12a )에서 동사는 전치사 구를 엄격하게 하위범주화 하고 있으며, (15)에서는 전치사구가 선택 적이라고 설명한다. put과 write는 각각 하위범주화의 특징으로 put은 잉여 성분인 in the sink를 하위범주화 하는데 반해, write는 잉여성분 인 in the basement를 하위범주화 하지 않는다. 동사 put과 write의 8) 문법적으로 ? 를 둔 것은 Hamkamer의 판단이다. 많은 화자들은 이 문장을 완벽

한 문장으로 본다.

(32)

통사적 특징은 어휘내항(lexical entry )을 통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6) a . put : Cat egorical F eature : [+V , - N]

Subcat egorization F ram e : [- NP - PP ] [ +LOC]

b . writ e : Cat egorical F eat ur e : [+V , - N]

Subcat egorization F r am e : [- NP (t o- NP )]

따라서 V+NP +PP ' 구조에서 V와 NP가 공백이 될 수 있는 가능한 구조는, V가 PP를 하위범주화 하지 않는 (15)와 같은 경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임재경(1996)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정한다.

(17) Gaping Condition

Gapping can delet e identical V and NP in the structure of ' V +NP +PP ' , if and only if t he PP is VP - ext ernal A djunct .

즉, 동사 외에 명사에도 공백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V +NP +PP ' 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경우 PP가 동사구 VP에 지배를 받지 않는 경우에만 NP를 포함한 VP의 생략이 가능하 다는 조건이다. 다음의 예문을 살펴보자

(33)

(18) a . *John s tuck a knitting needles int o a ball of w ool, and Bill int o an apple.

b . John p lay ed tennis with her friends, and Bill with his friends .

(18a )에서는 동사 stuck이 int o an apple를 하위 범주화하는 반면 에, (18b )에서는 with his friends가 동사 played에 의해 하위 범주화 되지 않는 VP의 외재적 부가어(VP - externa Adjunct )가 된다. 따라서 조건(17)은 (18b )에만 공백화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잘 설명해 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Hankamer의 비중의성 조건은 비연속적 구성소 (noncon stituent )의 공백화에 대한 문제를 적절히 설명하지 못하는 문 제점을 가진다.

(19) a . Max sent S ally the m es senger last w eek, and Su san yest erday .

b . _____________ and Su san yest erday . c. *_____________ and Su san yest er day .

(20) a. My brother visited Japan in 1960, and my sist er in 1961.

b . My brother v is ited J ap an in 1960, and my sist er in 1961.

c. M y brothe r v is ited Japan in 1960, and my sist er in 1961.

(34)

(19b )에서 동사구를 볼 때, VP +NP +NP 구조이다. 따라서 NA C에 의 하면, 좌단성분 NP와 VP가 생략된 (19b )는 정문이 되어야 하는데 (19c)와 같이 좌단에 [Max sent ]가 공백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문 이 되는 이유를 Hankamer는 설명하지 못한다. 그리고 (20b )는 visit ed Japan 이 NP인 Japan을 포함하는 비좌단(nonleft peripher al string )이 생략되었기 때문에, Hankam er의 비중의성 조건에 의하면 비문이 된다. 그러나 (20b )는 정문이되어 Hankam er의 NA C의 반례 가 된다. 위 (20) 예문은 Hankamer의 비중의성조건에서 구조적 중의 성을 명백히 말해준다.

3 . 4 K u n o (19 76 ) 의 분 석

Kuno(1976)는 공백화가 적용된 등위구조의 후행절 동사가 탈락되 는 현상을 삭제현상으로 보는 관점은 Jeckendoff나 Hankamer와 같다 하지만 Kuno는 영어의 공백화 현상을 인식적, 담화적, 의미적 요인들 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한다.

Kuno(1976)는 Hankam er의 비중의성조건에 대한 반례들을 설명하 기 위하여 최소거리 원칙(Minimal Distance Principle, 이후 MDP ), 기 능문장 관점(Functional Sentence Perspectiv e, 이후 F SP ), 주어술어 해석경향(T he T endency for Subject - Predicate Interpretation , 이후 T SPI), 단문관계 원리(T he Requirement for Simplex - Sent ential Relation ship, 이후 RS SR ) 등 네 가지 원칙을 제안한다.

(35)

최소거리원칙(MDP )은9 ) 첫 번째 접속어의 성분들 중 마지막 요소 가 기억을 하기가 가장 쉽기 때문에, 공백화가 이루어진 후 남는 두 개의 잉여성분은 선행절의 맨 우측 성분과 짝을 이루는 경향이 강하 다는 원리이다.

(21) a . Max sent S ally the m es senger last w eek, and Su san yest erday .

b . M ax s ent Sally the m essenger la st w eek and Su san yest erday .

c. *M ax s ent S ally the m ess eng e r last w eek and Su san y est er day .

(21)에서 MDP에 의하면 (21)의 후행절에서 Susan yest erday가 선 행절에서 가장 마지막에 오는 구성소와 대칭이 되므로 (21)의 올바른 해석은 (21b )가 됨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위 예문 (20)에서는 Japan은 첫 성분 my sister와 대응될 수도 있지만 마찬가지로 my brother도 대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MDP원칙을 지키지 않고 있다.

따라서 Kuno는 영어의 공백화 현상을 지배하는 요인은 거리의 문 제뿐만 아니라 정보의 신, 구 개념도 고려하게 되었다. 영어에서, 주 어진 성분이 문장 끝 위치에 나타나면 나타날수록, 더 새로운 정보가

9) Minim al Dist ance Principle: T he tw o constituent s left behind by Gapping can be m ost readily coupled w ith the constituent s (of the sam e structur es ) in the first conjunct that w er e processed last of all. (Kuno, 1976:306)

(36)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만약 (22)가 중립적 어조로 말한다 면, John은 보통 (담화상에서) 구 정보를 나타내고 Jane은 신정보를 나타낸다.

(22) John per suaded Bill t o ex amine Jane.

Kuno(1976)는 기능문장관점(F SP )을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요약한 다. 첫째, 공백화에 의해 삭제된 성분들은 문맥상으로 확인되어야 한 다. 반면에 공백화에 의해 남겨진 두 개의 성분들은 반드시 새로운 정보를 나타내야 되고 그 두 개의 성분들은 새로운 정보를 나타내는 첫 번째 접속절에서의 성분들과 쌍을 이루어야 한다. 둘째, 일반적으 로 주어진 성분이 문장 마지막 위치에 가까울수록 그 문장에서 성분 이 나타나는 정보는 더 새로운 경우가 된다. 셋째, 만약 공지시적 (cor efer ential) 성분들이 전 담화에서 대응하는 위치로 나타난다면, 비 대용적으로 분명하게 표시되는 성분들은 최소거리원칙을 어기고 반드 시 새로운 정보를 나타낸다. 이와 비슷하게, 문장 마지막 위치에 가장 가깝게 나타내는 성분들은 최소거리원칙을 어기고 구 정보를 나타내 기도 한다.

(23)은 첫 번째 접속절과 두 번째 접속절을 비교해서 새로운 정보 를 나타나야 된다는 F SP에 의하면 정문이 된다.

(23) a. John per suaded Bill to examine Jane, and T om, Martha .

(37)

b . J ohn p ers uaded Bill to exam ine Jane, and T om , Martha .

F SP에 의하면, (23a )에서 T om과 John은 쌍을 이룰 수 없고, (23b )처럼 해석이 된다. 그러나 (24)문장을 살펴보면, F SP에 의해 (24c)는 문법적이어야 하지만 비문이 된다.

(24) a . *Jack a sked Mike t o w ash him self, and Sue t o shav e him self.

b . *J ack ask ed Mike t o w ash him self and Sue t o shav e him self.

c. *Jack ask ed M ik e t o w a sh him self and Sue t o shav e him self.

(24)는 MDP와 F SP를 지키지만 화용적으로 부적격한 문장이 된 다. (24 a - c)의 해석이 부적격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Kuno는 주 어술어해석경향을 제시한다.

Kuno(1976)의 주어술어해석경향(T SPI)은10 ) 공백화에 의해 두 번 째 접속절의 잉여성분이 NP와 VP가 될때, NP와 VP는 주어와 술어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두 개의 구성성분은 문장형태를 구성하는 것으 10) T he T endency for Subj ect - Predicat e Int erpret ation : When Gappin g leav es an NP and a VP behind, the tw o constituent s ar e r eadily int erpret ed as constitutin g a sent ential patt ern , w ith t he NP represent ing the subject of the VP . (Kun o, 1976:311)

(38)

로 해석된다는 조건이다. 주어술어해석경향 조건은 다음과 같은 문장 을 잘 설명해준다.

(25) a . John ente red H arvard t o study Linguistics, and Bill t o study psychology .

b . John s topp ed f requenting the P ussy cat L oung e t o plea se his w ife, and Bill t o sav e m oney .

c. John s truck M ary a s being honest , and Bill as being sincer e.

d. Bill w as p ers uaded by John t o donat e $ 200, and T om by t o donat e $400.

e. John is exp ected by M ary t o w ork on Pr oblem A , and Bill t o t ackle Problem B .

이 모든 문장은 지금까지 설명해 온 Hankamer의 NAC와 또한 Kuno의 MDP와 F SP 원리를 어기고 있다. 이 문장들이 정문인 이유 는 각 문장에서 공백화에 의해 남겨진 두개의 성분들이 주어와 술어 의 관계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26) a . W ho per suaded w ho t o ex amine Mary ?

b . John p ers uaded Dr . T hom as to ex am ine M ary , and Bill Dr . Jones .

(39)

(27) a . W ho per suaded Dr . T hom a s t o ex amine who?

b . *John p ers uaded D r. T hom as to exam ine Jane, and Mary Martha .

(26b )는 MDP를 어기게 된다. 그러나 (26b )는 (26a ) 문맥에서, per suade의 주어와 목적어가 새롭고 비예측적인 정보를 분명히 나타 내어 남겨놓았기 때문에, F SP 원리에 일치한다. 그래서 그 질문에 대 한 대답은 문법적이다. (27b )도 똑같이 적용된다. 그러나 (27b )는 (27a )에 대한 대답으로써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면 주어- 서술 관계 (Subject - Pr edication )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남아있는 성분들 즉 Bill 과 Martha를 볼 때 주어- 술어 관계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28) a . W ho promised Bill t o ex amine who?

b . Dr . T hom as p rom is ed B ill to ex am ine Jane, and Dr . Jones Martha .

(28b )는 비문법적인 (27b )와 공백화의 형태는 같지만, 문법적이다.

(28b )를 특정된 문맥에서 완벽하게 간주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28b ) 는 (27b ) 보다는 훨씬 더 낫다라는 사실이 분명하다. 주어- 술어 해석 원리와 비슷한 추세가 여기에서 작용하는 것 같다. (26b )와 (28b )를 정문으로 받아들이는 이유는 남겨진 두개의 성분사이의 관계가 (28b ) 의 두 번째 접속절에서 Jones ex amines Martha가 단순- 문장관계

(40)

(Simplex - sent ential relationship )로 정의될 수 있다라는 사실이다. 반 대로 (27b )가 비문인 이유는 공백화 후에 남겨진 Bill과 Martha 두개 의 성분사이에 단순- 문장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논의 속에서 Kuno(1976)는 다음과 같이 단순문장관계 조 건11)을 제시하고 있다. 공백화 뒤에 남겨진 두개의 잉여성분은 단순- 문장 관계로 해석이 되어야 한다는 조건이다. 만약 2개의 잉여성분 사이에 그러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면 공백된 문장은 비문이 된 다. 다음과 같은 문장들은 단순- 문장관계의 조건을 어긴다.

(29) a . *D r. J ones was p e rs uad ed by Bill to ex am ine Jane, and by John Martha .

b . ??D r. T hom as p rom is ed Bill to exam ine Jane, and John Martha .

c. *J ohn v is ited Bost on to s ee Mary , and Hortford Jane.

d. *John hugged his sist er t o plea se his m ot her , and his w ife his father .

per suade나 ex amine 동사가 있을 때에, (28a )는 John과 Martha를

11) T he Requirem ent for Sim plex - Sent ent ial Relation ship : T he t w o constituent s left ov er by gapping are m ost readily int erpret able as ent ering int o a simplex - sent ential relation ship. T he int elligibilit y of gapped sent ences declines drastically if there is no such r elationship betw een the t w o constit uent s . (Kuno, 1976:314)

(41)

연관짓는 복합- 주어 구조를 필요로 한다. John이 Martha를 진찰하거 나 Jone이 Martha에게 약속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29b )의 문장에서 도 똑같이 복합- 주어 구조가 적용된다. (29c)는 (30a)보다 훨씬 더 비 문이 된다. 왜냐하면 (30a )는 두 개의 성분들이(예를 들어, John saw his m other )에서 서로서로 주어- 술어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30) a . ?Bill v is ited B os ton to s e e his father , and John his uncle .

b . D r. J ones was p ers uaded by Bill t o ex am ine Jane, and John t o ex amine Martha .

c. T hom as p rom is ed Bill t o ex amine Jane, and John t o ex amine Martha .

d. J ohn v is ited Bost on t o see Mary and Hartfor d t o see Jane.

e. J ohn hug g ed his sist er t o please his m other , and his wife t o please his father .

만약 (30)에서 공백이 전체부정사 VP를 남겨놓는다면 정문이 된 다. 왜냐하면 각 문장에서 NP와 VP는 모문의 중요한 성분이기 때문 에 NP와 VP는 단순- 문장관계를 형성하고, 이 제약을 어기지 않는다.

통사적 분석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부분을 의미론적인 분석을 통해 해결하고자, Kuno(1976)가 제시한 조건은 공백화 규칙이 적용되어 생

(42)

기는 통사적 유형에 부과되는 제약이 아니라 공백화된 문장의 해석에 적용되는 원리로써 최소거리원리, 기능문장관점 원리, 주어- 술어해석 경향 원리, 단순문장관계 원리를 통해서 설명하고자 했으나, Kuno(1976)의 이론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그 문제점은 그 자체 에 모순을 가지고 있는데, 그의 4가지 원칙들 중 한 두 가지는 지켜 지지만 다른 원칙들을 위배하게 되므로 원칙들 간에 상호 모순을 안 고 있다.

31) a . John per suaded Bill t o donat e $200 and T om t o donat e $400.

b . J ohn p ers uaded Bill t o donat e $ 200 and T om t o donat e $400.

c. *John p ers uaded B ill t o donat e $ 200 and T om t o donat e $400.

32) a . John pr om ised Bill t o donat e $ 200 and T om t o donat e

$400.

b . J ohn p rom is ed Bill t o donat e $200 and T om t o donat e $400.

c. John p rom is ed B ill t o donat e $200 and T om t o donat e $400.

위 예문에서 Kuno가 제안한 원칙들을 살펴보면 (31b )의 경우에는

(43)

최소거리원리, 기능문장관점 원리, 주어- 술어경향 원리를 모두 만족시 키지만 (31c)에서는 최소거리원리, 기능문장관점 원리, 주어- 술어경향 원리를 모두 위배하기 때문에 적절치 못한 해석이 된다.

하지만, (32b )에서는 최소거리원리, 기능문장관점 원리, 단순문장관 계 원리는 만족시키지만 주어- 술어

경향 원리는 어기고 있다. (32c)에서는 주어- 술어경향 원리는 만족시 키지만 최소거리원리, 기능문장관점 원리를 어기게 된다.

3 . 5 N e ijt (19 8 1 )의 분 석

Neijt (1981)는 등위구조에 나타나는 생략규칙들 중 공백화 현상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규칙을 설정한다.

(33) Gapping "Delet e"

(33)과 같은 공백화 규칙이 과잉 생성하는 부적절한 구조를 배제시 키기 위해 Neijt는 잉여성분에 대한 제약과 생략되는 구성소에 대한 제약과 같은 통사제약을 설정한다. 잉여성분에 대한 제약으로는 특정 범주의 최대투사(즉 주요 구성성분)만이 이동될 수 있고 잉여성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생략되는 구성소에 대한 제약은 이동 규칙에 의해 교차될 수 있는 구성소는 공백화에 의해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이 다.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보자.

(44)

(34) a . John w ent out to buy beer and Bill fried chicken . b . T his is t he fried chicken t hat Bill w ent out to buy . (35) a . *John cam e hom e to f ind his wife s ick and Bill his

child .

b . *My wife, w ho I cam e hom e to f ind s ick , w as in a lou sy m ood.

Neijt는 (34a )에서 w ent out t o buy는 이동규칙으로 fried chicken 이 건너갈 수 있는 교량역학을 할 수있기 때문에 생략이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35a)에서 cam e home to find와 sick가 생략될 수 없는 이유는, (35b )에서 처럼 came home t o find sick가 이동되어 나 갈 수없기 때문에 이라고 설명한다.

Neijt (1981)는 이동규칙에 제약을 주기 위해 Ross와 Chom sky가 고안해낸 섬제약조건들(Island Con straint s )에 따라 공백화 현상이 나 타나는 것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공백화 와 이동(Mov em ent )을 비 교했다.

(36) Mov em ent : "Mov e" or W1 e W2 B W3

Gapping : "Delet e" or W1 A W2 B W3

(W는 순수변항(true variable)이다. 그러므로 W 는 일련의 연속된 구성성분이거나, 하나의 구성성분 또는 원래 비어있을

(45)

수도 있다. B 또한 A와 마찬가지로 구성요소로써, 구성성분이 하나이거나 없을 수도 있다.)

(36)에서 보듯이 W H - m ovem ent에서 WH는 공백화에서 생략되 는 구성소를 넘어서 이동할 수 없다. 공백화를 설명하고 있는 (34) 와 (35)의 예문에 WH이동의 교량조건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 다. 이동과 공백화를 비교해 볼 때, 이동규칙에 의하여 B가 e의자 리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바로 그 위로 지나가는 동사열(V - string ) 이 생략되는 열(즉, W )로써 이동되는 구성성분(즉, B)는 공백화에 서 남는 구성성분이 된다. 이와 관련하여 Neijt (1981)는 다음과 같 이 주장한다.

첫째, 공백화는 Chom sky (1977:80)가 제안한 WH - 섬 제약조건 (T he WH - Island Constraint )을 지킨다.12) 예컨데, 문장들이 wh - 보문소(wh - complementizer )에 의해 도입되지 않을 때는 (37a)처럼 삭제될 수 있지만, wh - 보문소로 도입되는 경우는 (37b )의 예문에 서처럼 비문이 된다.

12) T he WH - Island : WH - Islan d Constraint Clauses introduced by Wh - phrease (w ho, w hether , etc) are Islands .

a. Who did John w ant t o m eet T oday ? b . *Who did John w ant w hen t o m eet ?

(a )에서 Who는 그 문장이 Wh - 보문소에 의해 소개받지 않았으므로 삽입 문 밖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b)는 Wh- 보문소 w hen이 있어서 비문법적이 다.

(46)

(37) a . John ask ed to w rite s om ething t o Mary and P et er t o Sue.

b . *John ask ed what to w rite t o Mary and Bill t o Sue.

둘째, 공백화는 복합명사구제약(Complex NP Con straint : 이하 CNP C로 표기)을 지킨다.13 )

(38) a . John ask ed which trees y ou should p lant and Bill

1 w hich roses 2.

b . *John dis cuss ed m y ques tion of which t rees y ou should p lant and Bill 1 (of ) which r oses 2.

(38a )의 첫 번째 접속절에 있는 내포절은 w hich t rees를 본래의 위 치인 plant 뒤로부터 이동시켰으며, 두 번째 접속절에 있는 내포절은 두개의 공백 요소를 담고있다. 이때 두개의 내포절은 NP의 지배를 받 고있지 않다. 그러나 (38b )는 전체적인 문장 구조가 두개의 등위절을 가진 구조이기 때문에 내포절이 명사구 my question에 의해서 지배되

13) Ros s (1967)가 제안한 제약으로 어휘핵을 갖는 명사구에 관할되는 S로부터 변형 규칙에의해 어떤 요소도 그 명사구 밖으로 이동될 수 없다.

a. T he hat [ I believe [N P the claim [S t hat Ott o w as w earing t he hat ]]] is red.

b . *T he hat w hich I believe the claim that Ott o w as w earing is red.

(a)의 the hat을 관계절화에 의해 이동시키면, (b )가되어 비문이 도출된다.

(47)

고 있어서 비문이 된다.

셋째, 공백화는 시제문 조건(T he T en sed- S Condition )제약을14 ) 따 른다. 시제문 조건 적용 후 남는 두 성분 중 하나는 시제문 속에 포 함되어서는 안되고, 다른 하나는 시제문의 COMP 위치에 있기만 하 면 시제문 속에 포함 되어있어도 된다.

(39) a . Charles m ay d ecide w hich boy s are com ing along , and Max 1 which girls 2 ,

b . *Charles decid ed that 20 boy s are com ing along , and Harry 1 30 girls 2 ,

(39a )의 문장은 남는 성분중의 하나는 내포된 시제문의 COMP 자리에 있다. 그러나 (39b )는 COMP의 자리에 있는 that 를 삭제했기 때문에 비문을 초래한다. 다시 말해서 공백화에 있 어서 COMP자리에 있는 구성성분은 삭제되고 남은 구성성분 중

14) T ensed- S Condition : No rule can inv olv e X, Y , in the struct ure ....X ....[

....Y ...].... w here Y is not in COMP and is a t ensed S .

1) a. You t old m e [S [COMP what]y ou saw ].

b . What did y ou t ell m e that y ou say ?

2) a. You t old m e [S [COMP t hat ] bef ore dark , ev erybody w ould leave].

b . *Befor d dark , you t old m e that ev erybody w ould leav e.

(2b)가 도출이 될 수 없는 이유는 before dark는 COMP의 위치에 있지 않 기때문에 이동하면 비 문법적인 문장이 되기 때문이다.

(48)

하나로 존재해 있어야만 정문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고찰에서 공백화와 W H - 이동은 둘 다 주요 논점 에서 서로 유사하며 위의 세가지 규칙에 의해 제약을 받고 있음 을 살펴보았다. Neijt는 여기에서 바로 Chom sky의 하위인접원리 를 발전시킨 엄밀하위인접 원리(Strict Subjacency Principle)를 제안하게 된다.

(40)엄밀하위인접 원리( St rict Subjacency Principle)

No rule m ay inv olv e X, Y, in .... X .... [ ....Y ....] .... X ....

w here is NP , or is S iff it s specifir e is lexically filled, unless X binds a trace tx in , and there is no bounding cat egory bet w een tx and Y.

(40)은 서로 다른 순환 영역에 있는 X와 Y는 X가 Y의 적용제한 영역 안에 있는 흔적을 통제하지 못한다면 서로 다른 적용제한 영역 의 X와 Y를 연관시킬 어떤 규칙도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40)의 규칙 에서 unles s X binds a trace tx in ....라는 제2 조건은 공백화와 W H - 이동 모두가 아래의 유형을 따른다는 것을 예견해 준다.

(41) a . [S WH - Xi [S .... [S '....[S ... Y .... ti ] ] ] ] b . [S ' W H - Xi [S ....Y.... [S '....[S ... ti ] ] ] ] c. [S ' W H - Xi [S ....ti .... [S '....[S ... Y ] ] ] ]

(49)

d. [S ' WH - Xi [S ....Y... ti [S '....[S ... ] ] ] ]

(42) a . What pr esent s did y ou say that y ou boug ht for y our m other and what present s for your father ?

b . *What did y ou say t oday that P eter boug ht f or his m other and what 1 yest erday 2 ?

c. *W ho thoug ht that he should bring wine and w ho bear ?

d. Who thoug ht that he should bring w ine, and w ho that he should bring bear ?

(41)에서 중요한 논점은 흔적(ti)이 COMP 위치에 있으면 안되고 보통의 논항(argument )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 흔적이 COMP 자리에 있다면 (42b )와 (42d)가 구별되지 않을 것이다. 표면 문장에서는 흔적의 표시가 나타나 있지 않는다. 그러므로 (41a)와 (41b ), (41c)와 (41d)는 각각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차이점은 다만 심 층구조에서 볼 수 있는 흔적의 위치뿐이다. (42a )에서 주어 you가 흔적의 적용제한 영역을 통제하기 때문에 문법적이지만 (42b )에서는 흔적의 적용제한 영역의 주어 Peter와 전체문장의 주어 you가 서로 달라서 통제할 수 없으므로 비문법적이다. (42c)는 공백화가 일어나 는 영역 내에서 어떤 흔적도 찾아볼 수 없으므로 비문법적이다. 따 라서 (42c)와 같이 thought만 삭제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Neijt (1981)는 Chom sky의 하위인접원리를

(50)

개정한 엄밀 하위 인접 원리로 공백화 현상을 분석하는 하나의 제약 으로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공백화 현상은 등위구조 속에서 복원 가능성의 조건하에서 생략된 요소는 그 문의 잔여성분에서 복원 될 수 있다는 주장이었다. 이러한 분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공백화 현상에 대한 기존 분석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Ross (1967)를 제외한 일반적인 분석에서는 공백되는 요소가 Hankamer (1973)의 주 요구성성분 이론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생략된 후 남는 잉여 성분에 대한 통사적인 설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 다.

(51)

4 . 생 략 분 석 에 의 한 공 백 화 현 상

3장에서는 선행 연구자들이 주장한 공백화 현상에 대해서 고찰하 여 보았다. 이들의 공백화 현상에 대한 다양한 분석은 공백화를 이해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이들의 분석에는 다음과 같은 문 제점이 있다. 첫째, Ross (1967)를 제외한 일반적인 분석에서는 공백되 는 요소가 Hankamer (1973)의 주요구성성분 이론을 따르고 있다는 점 이다. 둘째, 생략된 후 남는 잉여성분에 대한 통사적인 설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번 장에서는 기존의 분석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비구 성성분의 공백화 현상과 잉여성분의 요소를 Larson (1990)의 VP/ V '생 략분석과 Kim (1997)의 T P생략에 의한 우향 중심 이동 이론을 최소주 의 이론으로 어떻게 설명되는지 살펴보겠다.

4 . 1 L ar s on (19 90 )의 V P / V '생 략 분 석

공백화에대한 고전적인 설명은 Hankam er (1973)가 주장한 주요구 성 성분 이론을 따르며, 비구성성분에 대한 공백화에 대해서는 적절 한 설명을 하지 못한다.15 )

따라서 Lar son (1990)은 Larson (1988)에 근거하여, VP의 기저구조

15) 단, Ros s (1967)의 공백은 비구성성분까지 포함한다.

(52)

는 공백화의 비구성성분에 대해, (1)에서처럼 격을 제거하게 된다는 가정을 제시했다. (1)에서 우측 접속절의 잉여성분들은 모두 목적격으 로 격이 표시되어 있다. Larson (1990)은 동사의 지배를 받는 변항열을 가지고 있는 동사의 선행(headed)하는 구(phrase)가 일련의 내포된 VP s로부터 만들어진다는 가정을 하고, 이 구는 직접목적어를 상위 VP s의 Spec자리에 놓고, 직접목적어가 아닌 구는 하위 VP s의 Spec 자리나 보충어 위치에 놓는 계층구조(hierarchy )에 따라 배열이 된다 고 제안하고 있다. Lar son은 아마도 하위자리에서 이동에 의해, 동사 는 최상위의 V자리를 차지한다고 제안하면서 동사는 반드시 모든 보 충어에 선행한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가정을 (1a )에 적용 하면, (2)과 같은 구조가 형성된다.

(1) a . T om gav e album s to J ane, and Bill t apes . b . John p aints barn red , and Bill hou se . c. T im es be liev es A gnew to hav e been g uilty ,

and New sw eek Nix on .

(2) ...[V P 1 ts u b j [v 1 ' V 1[v p 2 t apes [v 2 ' gave [P P t o Jane]]]]]

(2)에서, 주어 NP는 외현적 통사론에서 Agr sP의 Spec자리로 이동 한다. 그리고 목적어 NP는 VP2의 Spec자리에 생성되고, 간접목적어 는 VP2의 보어위치에 생성된다. 만약, 동사가 투사되기 전에, V2'를

(53)

삭제해서 공백화하면, (1a)의 예문들이 생성될 수 있다. (1b )와 (1c)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생략된 동사와 술어가 함께 복 합술부를 형성한다고 가정해보자. Lar son (1990)은 문법적 작용이 중간 투사16 )를 목표로 한다고 가정을 한다.

이 복합술부는 적절한 의미역을 목적어에게 할당해서, (1c)는 (3) 과 같은 기저구조를 나타내게 된다.

(3) ...[V P 1 ts u b j [v 1 ' V 1 [v p 2 Nix on [v 2 ' believe [x p t o hav e been guilty ]]]]]

이제 (1)과 (4)를 비교해보자. 분명히 (1)과 (4)사이의 차이가 미약 하거나 없음에도 불구하고, (4)는 비문이 된다.

(4) a . *Eric exp lained t o Bet sy how to rebuild dy nam os , and Arthur t o S am .

b . *Sandr a m entioned t o Mikey that w e w e re look ing f or a p lace to s tay , and T ina t o Chris .

c. *Larya shared with Sarah that w e w e re unhapp y , and Best y w ith Liz .

John son (1994)은 (1)과 (4)의 중요한 차이는 잉여성분이 (1)에서는

16) 외현적 통사론에서 목적어가 A groP의 Spec자리로 이동한다면, 공백화는 최대투 사인 VP2를 생략할 수 있다.

(54)

N P 가 되고, (4)에서는 P P 가 남게되는 것으로 요약한다.17 )

Lar son의 모델에서, (1)과 (4)의 D- 구조에서 첫 번째 성분은 남겨 지고, 두 번째 성분이 공백화 되었다. 즉 (1a )에서는 첫 번째 성분인 t apes가 남겨지고, 두 번째 성분인 t o Jane이 공백화 되었으며, (4a )에 서는 to Sam이 남고, how t o rebuild dynamos가 공백화 되었다. 즉 (4)에서, Lar son의 모델은 PP를 (5)에서처럼 동사를 포함한 구성성분 (V2' ) 밖에 위치시킨다.

(5) VP 1 NP 1 V 1'

ts u b j V 1 VP 2

PP 2 V2'

V2 XP

t o S am

explained hw o t o r ebuild dynam os

Lar son (1990)은 중간투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공백화가 (5)에 서처럼 V2'를 생략 할 수 있다면, (4)에 있는 사실들을 증명하게 된다 고 설명한다. 그러나 보충어의 계층구조적 순서(hierarchical ordering ) 가 보충어의 선형 순서(liner order )를 결정한다는 Lar son의 주장은 공백화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함을 볼 수 있다.

17) Kim (1997:203)은 또 다른 차이점을 우측의 공백이 (1)에서는 가볍고, (4)에서는 무겁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참조

관련 문서

Thirdly, it appeared that social support had meaningful effect on self-efficacy and the quality of life, and in the case of the difference analysis by

외배엽성 간엽세포로부터 상아모세포 전구세포 (preodontobl ast)를 거쳐 상아 모세포가 분화하는 데에는 법랑모세포 전구세포 (preamel obl ast)의 존재가

24, 25 또한 Honjo등 26 의 연구에서 보면 gal ecti n-3발현을 차단하였을 때 유방암 세포주의 성장이 의의있게 억제되어 gal ecti n-3발현이 유방암

상수리나무군락의 층별 군락구조는 4층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많 으며,대체로 교목층의 수관이 풍부하여 아교목층과 구분이 뚜렷한 현상 을 보이고,종조성은

Mounting media(Epovia, CrayValley Inc. Korea) and specimens which were mounted.. 마찰계수가 변하는 회전수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내마모성을

Infl ammatory peri odontaldi seases are often rel ated to acti vated phagocytosi ng l eukocytesand freeradi caloxygen producti on.Chl orhexi di ne(CHX)i seffecti ve i n i nhi bi

In thi s study,fordetermi ni ng on properTi N coati ng thi ckness when Ti N coati ng appl i ed to abutmentscrew,weused i mpl antsystem havi ng i nternalconi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환경 관련요인 만족도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