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ffect of the Change of Commuting Mode on Physical Fitnes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ffect of the Change of Commuting Mode on Physical Fitnes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통근 수단 전환을 통한 신체활동 증가가 체력 및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재활의학교실 스포츠건강의학센터1, 한국교통연구원2

임길병1∙이홍재1∙문정화1∙정태호1∙성현곤2∙박지형2∙김혜자2

The Effect of the Change of Commuting Mode on Physical Fitnes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Kil-Byung Lim, M.D.1, Hong-Jae Lee, M.D.1, Jung-Wha Moon, Ph.D.1, Tae-Ho Jung, M.S.1, Hyun-Gun Sung, Ph.D.2, Ji-Hyung Park, Ph.D.2, Hae-Ja Kim, M.A.2

1Sports Medicine Center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2Center for Green Growth Research,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change of commuting modes for 8 weeks on physical fitnes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 recruited volunteers who are sedentary, drive his/her own car for commuting, are aged from 30 to 49, but have no known definite medical diseases. They chose one of three groups respectively:

walking, cycling and pubic transportation (PB).

Sixty male subjects participated to this study: 19 for walking group, 14 for cycling, and 27 for PT group. In graded exercise test, the resting systolic blood pressure (BP) decreased significantly in walking and PT group (p<0.05), and the resting diastolic BP decreased significantly in walking and cycling group. VO2max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groups. In isokinetic strength test, the knee extensor measured in 60 degree/sec speed increased significantly in walking and cycling group. In the physical fitness, hand grip strength increased in cycling group only, back strength and 30sec sit up increased in PT group, one leg standing with eye-closed increased in cycling group. The cardio- vascular risk factors in blood such as glucose, Triglyceride, cholesterol, hs-CRP were not changed in all three groups.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hange of commuting modes from a private car mode to an active movement mode may increase the volume of physical activities with low-density in daily, which may give positive effect on BP, VO2max, muscle strength in knee extensor and back muscle, and standing balance.

Key Words: Transportation, Physical activity, Blood pressure

책임저자: 문 정 화

411-706,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2240번지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Tel: 82-31-910-7190, Fax: 82-31-910-7029 E-mail: I1923@paik.ac.kr

*본 연구는 2008년 한국교통연구원의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서 론

바쁜 현대사회에서 승용차의 역할은 이동 수단으로 큰 비 중을 차지한 지 오래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로 소득수 준이 향상됨에 따라 승용차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게 되어,

(2)

교통체증 대기오염 등이 심각해지고 있다1). 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1990년대 후반부터 버스전용차로제, 고속전철(KTX) 개 설, 승용차 요일제 등 승용차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다각 적인 노력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용차의 편리성 때 문에 지난 2000년 이후에도 과도한 승용차 의존 패턴은 변하 지 않고 있어 좌식생활 패턴이 늘어나고 신체활동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1,2). 신체활동량이 현저하게 감소함으로 인해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모든 연령대에서 이미 30-40여 년 전부터 선진국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등의 만성 질환이 우리나 라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의료비 지출비중은 OECD 국가의 평균과 비슷하게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데, OECD 국가에서 인구 천명 당 자동차 수의 증가율이 높은 국가인 경우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와 의료비 지출비용이 급격히 증가 한다는 결과가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2). 따라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신체활동량을 적 극적으로 늘리는 방안이 필요하다.

미국 심장학회(AHA)와 미국 스포츠의학회(ACSM)에서는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건강한 성인이 건강관리를 위해 주

5회 이상 빠르게 걷기 등의 중강도 운동을 최소 10분 이상, 하

루 30분 정도 할 경우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고 권고해 왔다3)3). 그런데 2000년대 초반부터는 규칙적인 운동도 중요하지만 일 상생활에서 신체활동량을 늘리는 것을 더욱 중요시 하고 있으 며 신체활동의 증가 자체가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효과를 주 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4).

최근 미국에서는 아동, 청소년, 성인들의 신체활동 감소로 인한 질병 발병률이 높아지자 국민들의 건강을 위한 신체 활 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2008년 10월 미국심장학회(AHA) 와 미국스포츠의학회(ACSM)가 함께 개발한 ‘국민을 위한 신 체 활동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모든 개인은 운동을 하지 않 는 것보다 어떠한 신체활동도 도움이 된다. 신체 활동은 누구 에게나 안전하고, 신체 활동을 하다가 상해를 입을 위험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야근으로 인한 퇴근시간의 부정확성, 퇴근 후에도 외부나 집에서 일의 연속, 육아 및 가사일, 여가시간에 TV시청 등의 신체활동이 낮은 휴 식을 선호, 규칙적인 운동 및 운동시설 이용료에 대한 부담 등과 같은 이유로 운동에 실패하는데, 따로 시간을 내지 않아 도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5), 운동실패 의 원인들을 다소 해소하는 방법들 중 교통수단을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주 5회 이상 매일 출퇴근하는 교통수단을 승용 차에서 도보, 자전거, 대중교통 등 보다 활동적인 교통수단(more active transport modes)으로 전환하여 신체 활동을 증가시킨다 면 건강을 증진시키고, 이로 인하여 의료비 절감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비만이나 질환자를 피험자로 하여 정해진 운동프로그램을 정해진 강도로 설정하여 건강 개선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6-9). 그러나 본 연구는 일상 적 생활습관의 변화 즉, 통근수단의 변화로 인한 신체활동의 증가가 체력 및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무직 회사원 중 승용차 통근자를 대상 으로 8주 동안 도보, 자전거, 또는 대중교통으로 전환하여 신 체활동의 증가로 인한 체력 및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소재 직장을 다니고 있거나 거주하는 사무직 종사자로 최근 6개월 이상 승용차를 이용하여 통근을 하고 있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지 않은 건강한 30-40대 남 성이다. 2008년 5월부터 7월까지 일산 소재 중대규모 사무직 직장과 아파트 단지, 지역 일간지 신문 등에 의해 모집된 대상 을 기준으로 사전설문 조사를 통해 직업형태, 병력, 가족력과 운동 여부 등 자격요건에 적합한 지를 판단하여 고혈압, 당뇨 병, 고지혈증, 심뇌혈관질환, 우울증 등의 신경정신과적 질환, 정형외과적 질환 등 특정 질환이 없는 대상으로 정하였다.

승용차로 출퇴근 소요시간이 편도 10분에서 60분 정도 소요 되는 대상을 선정하였고 전환하고자 하는 희망교통수단을 도보, 자전거, 대중교통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교통수단 전환 후 통근 소요시간은 편도 30분에서 120분 정도 소요되었다.

8주간 통근하는 교통수단은 최소 주 3회 이상, 가능한 한

매일 전환하도록 하였고, 통근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외의 모든 생활패턴은 평소와 같게 하도록 하였고, 연구 기간 동안 교통수단 전환 외에 다른 운동을 새롭게 시작하지 않도록 하였다. 연구 참여자 중 연구기간 동안 희망 교통수단 으로 통근일수가 주 3회 미만인 경우, 다른 새로운 운동을 시 작하여 시행한 경우가 주 2회 이상인 경우, 사전에 동의한 준 주사항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3)

2. 방 법

8주간의 교통수단을 전환하기 전, 후에 고양시 소재 인제대

학교 일산백병원 스포츠건강 의학센터에서 운동부하 검사, 등 속성 근력 검사, 기초체력 검사, 비만도 검사, 혈액 검사를 시 행하였다. 모든 검사는 사전에 충분한 설명과 피험자의 사전 동의 하에 검사를 시행하였고, 병원 윤리위원회(IRB: Institu- tional Review Board)의 허가를 얻었다.

1) 운동부하 검사

운동부하 검사는 운동부하 검사용 트레드밀(cambridge heart

CH2000, USA)을 사용하였고, 프로토콜은 부루스 프로토콜

(bruce protocol)을 이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항목은 안 정 시 심박수, 안정 시 혈압, 무산소성 역치(anaerobic threshold), 최대산소섭취량(maximal oxygen uptake, VO2max)을 측정하였다.

안정시 심박수 및 안정시 혈압 측정은 자동 맥박, 혈압 측 정기(cambridge heart CH2000,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모든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피검자는 5분 동안 휴식을 취한 후 측정하였다. 운동부하 검사용 12채널 실시간 심전도 측정기 및 자동 맥박, 혈압 측정기(Cambridge heart CH2000, USA) 그 리고 호흡가스 분석기(Quarkb2, COSMED, USA)를 이용하여 10초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혈압, 맥박, 운동자각도(6-20 borg scale)는 각 운동단계 2분마다 측정하였다.

검사는 피험자가 중지 요청이 없거나, 이상 징후가 보이지 않을 경우 최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수준까지 실시하였 다. 검사 중단 시점은 가능한 한 예측 최대 심박수 수준(220-나

이)까지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피험자가 최대로 할 수

있도록 동기 부여하였다. 피험자가 검사 도중 중단을 요청할 경우에는 반드시 중단하고 요청 사유를 확인하고 기록하였다.

2) 안정 시 심박수 및 혈압검사

안정 시 심박수와 혈압 측정은 모든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실시하였는데, 피검자는 5분 동안 휴식을 취하고 혈압측정기 (BP-203RVⅡ, COLIN, JA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등속성 근력검사

등속성 근력검사장비(CYBEX770, CYBEX, USA)를 이용하 여 대퇴신근과 대퇴굴근 좌우측을 60 degree/sec의 각속도로 실시하였다. 검사자는 사전에 피검자에게 검사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하고 연습을 하였다. 60 degree/sec는 2회 연습을 하고, 2분 휴식을 취한 후 3회 반복 검사하였다. 180 degree/sec는 2 회 연습을 하고, 2분 휴식을 취한 후 10회 반복 검사하였다.

검사자는 피험자가 최대로 근력을 발휘하도록 하였다. 4) 기초체력 검사

기초체력 검사는 기초체력 검사용 장비(TAKEI, JAP)를 이 용하였다. 검사 항목은 악력, 배근력, 윗몸일으키기, 앉아서 윗 몸 앞으로 굽히기, 제자리 높이뛰기, 전신반응, 눈감고 외발서 기를 측정하였다.

윗몸일으키기 검사를 제외한 모든 기초체력 검사는 2회 측 정하였다. 이 중 전신반응은 최소값을, 그 외 모든 체력 검사 는 최고값을 결과 값으로 하였다.

(1) 악력

편한 자세로 서서 팔을 쭉 편 상태로 악력계(Grip strength dyna- mometer, TAKEI, JAP)를 손에 쥐고 팔을 편 후 악력계를 최대 한 세게 움켜쥐는 힘을 좌우측 측정하였다.

(2) 배근력

배근력계(Back strength dynamometer, TAKEI, JAP)에 올라서 서 다리를 쭉 편 후 허리를 15도 정도 앞으로 구부려 손잡이 를 잡고 시선은 전방을 향하게 하여 ‘시작’ 소리가 들리면 손 잡이를 최대한 위로 당기는 힘을 측정하였다.

(3) 윗몸일으키기

싣업 측정기(Sit-up, TAKEI, JAP)에 앉아 발을 끼고 누워서

‘시작’ 신호음이 들리면 시작하여 30초 동안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윗몸 일으키기를 실시하였다.

(4)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체전굴)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측정기(Seat and reach, TAKEI, JAP)에 앉아서 두 다리를 앞으로 펴고 발바닥을 측정기에 붙 인 후 양 손을 모아 윗몸을 앞으로 굽혀 손끝을 앞으로 최대 한 미는 거리를 측정하였다.

(5) 제자리높이뛰기

제자리 높이뛰기 측정기(Vertical jump, TAKEI, JAP) 발판 위에 올라서서 측정 밸트를 허리에 찬 후 무릎을 살짝 구부리고 신속하게 일어서면서 최대한 높이 점프한 거리를 측정하였다.

(4)

(6) 전신반응

전신반응 측정기(body reaction time, TAKEI, JAP) 발판 위에 서서 불빛이 켜지는 곳을 응시하고 있다가 빨간 불빛이 켜지 면 즉시 한 번 발을 구른다. 이 반응 시간을 소수점 셋째 자리 까지 측정하였다.

(7) 눈감고 외발서기

발을 벌리고 서서 양 손을 허리에 대고 한 발을 앞으로 직 각으로 들고 서서 ‘시작’ 소리와 함께 눈을 감고 오래 서 있는 시간을 초시계(stop watch, CASIO, JA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 다. 발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눈을 뜬 시점까지를 좌우측을 각 각 측정하였다.

5) 비만도 검사

비만도 검사는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를 측정하였 다. 모든 비만도 검사는 오전 8시 이전에 공복상태로 정해진 반 팔상하의 운동복을 착용하고 실시하였다.

(1) 체질량지수(BMI)

목걸이, 시계 등의 소지품을 제거한 후 신장체중 측정기(비 만도 측정기, Fanics, KOR)에 올라서서 허리를 펴고 시선은 전 방 45도를 주시하여 눈과 귀의 높이가 수평이 되도록 하여 측 정하였다. 신장, 체중 측정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하여 이 결과 값으로 체질량지수(체중/신장제곱)를 환산하였다.

(2) 체지방률(%fat)

생체전기저항 분석 장비(Inbody 3.0, Biospace, KOR) 위에 올라서서 손잡이를 지긋이 잡고 팔을 옆으로 벌린 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3)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허리둘레는 마지막 늑골 부분에서 상장골 사이 1/2지점 부위 를 수평으로 줄자(Measuring tape, KO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 혈중 지질검사

혈중 지질검사는 혈액검사 장비(Advia1650, Bayer, JAP), (G7,

Tosoh, JAP)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는데 검사 3일 전부터 금주 를 하고, 검사 전날 저녁 식사 후부터 금식하여 검사 당일 오 전 8시 이전에 실시하였다. 검사 항목은 혈당(blood suger, BS),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 lesterol, LDL-C), 고감도 C반응 단백(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을 측정하였다.

3. 분석 방법

연구 결과 값의 통계분석은 STATA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도보군, 자전거군, 대중 교통군인 그룹별 실험 전, 후의 평균의 통계적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세 그룹 간의 차이 분석은 One way

ANOVA를 적용하였다. 각 그룹 별로 참여자와 탈락자 간의

차이 분석은 Bonferroni test를 적용하였다. 이때유의수준은 p

<0.05로 정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

연구 참가자는 도보군 25명, 자전거군 27명, 대중교통군 33 명으로 총 85명이었다. 이 중 실험기간 동안 원거리 근무지 이전, 사직, 해외출장, 우천, 변심 등으로 사전에 동의한 준수 사항을 이행하지 못하여 포기의사를 밝힌 인원은 총 15명이었 다. 8주간의 실험 종료 후 참가자 중 통근수단을 전환한 일수 가 매주 3회 미만이거나, 다른 종류의 운동을 한 일 수가 주 2 회 이상이 되는 사람 10명은 최종 분석 대상에서 배제하였다.

결과적으로 도보군 6명, 자전거 13명, 대중교통 6명 등 총 25 명이 최종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어 교통수단 전환 최종분석 대상이 된 피험자는 도보 19명, 자전거 14명, 대중교통 27명으 로 총 60명이다.

교통수단 전환 도보군, 자전거군, 대중교통군 피험자의 평 균연령, 평균신장, 평균체중, 체질량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도보군, 자전거군, 대중교통군 세 그룹별로 참여자와 탈락 자 간의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는 그룹 간의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5)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ommute

group Sex Age (yrs) Height (cm) Weight (kg) BMI (kg/m2)

M±SD F Prob>F M±SD F Prob>F M±SD F Prob>F M±SD F Prob>F Walking (n=19) M 37.2±5.2

0.62 0.54

170.6±6.3

1.03 0.36

73.1±9.3

0.57 0.56

25.0±2.4

0.31 0.73

Cycling (n=14) M 37.0±3.3 173.6±7.4 76.1±14.0 25.2±3.6

Pubic transit (n=27) M 35.9±3.7 172.7±5.5 76.1±7.9 25.6±2.7

Values are mean±SD, *Significant at p<0.05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roll Vs drop-out Commute

group Subject Age (yrs) Height (cm) Weight (kg) BMI (kg/m2)

M±SD F Prob>F M±SD F Prob>F M±SD F Prob>F M±SD F Prob>F Walking (n=19) IR 19 37.2±5.2

1.16 0.29 170.6±6.3

1.06 0.31 73.1±9.3

3.59 0.07 25.0±2.4

2.36 0.13

DO 6 34.8±2.9 173.7±6.3 81.8±11.2 27.0±3.8

Cycling (n=14) IR 14 37.0±3.6

0.26 0.61 173.6±7.4

0.00 0.98 76.1±14.0

0.18 0.67 25.2±3.6

0.07 0.79

DO 13 38.0±7.0 173.6±4.8 78.1±10.6 25.5±2.6

Pubic transit (n=27) IR 27 35.9±3.7

0.00 0.98 172.7±5.5

0.21 0.65 76.1±7.8

1.65 0.20 25.6±2.7

0.91 0.34

DO 6 36.0±7.3 173.7±3.1 81.5±14.5 27.0±4.4

Values are mean±SD, *Significant at p<0.05, IR: in roll, DO: drop-out

2. 운동부하 검사

8주간의 교통수단 전환 후 운동부하 검사에서 도보군, 자전

거군, 대중교통군 모두 무산소성 역치(Anaerobic threshold)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은 도보군, 자전거군, 대중교통군 세 그룹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3. 안정 시 혈압 및 심박수

안정 시 혈압은 도보군에서 최고혈압(SBP)과 최저혈압(DBP)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자전거군 에서는 최저혈 압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5), 대중 교통군에서는 최 고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안정 시 심박수는 도보군, 자전거군, 대중교통군 모두 유의 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

4. 등속성 근력 검사

등속성 근력 검사 결과 도보군과 자전거군은 60 degree/sec 에서 대퇴굴근의 최대 우력(peak torque)의 유의한 향상을 보

였고(p<0.05), 대퇴신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중교통군 에서는 대퇴굴근, 대퇴신근의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Table 4).

5. 기초체력 검사

악력은 도보군과 자전거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

0.05), 배근력은 대중교통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 0.05).

윗몸일으키기는 대중교통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는 도보군, 자전거군, 대중교통 군 세 그룹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제자리높이뛰기와 전신반응은 세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눈감고 외발서기는 자전거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Table 5).

6. 비만도 검사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세군 모두 유의한 차이 가 없었다(Table 6).

7. 혈액 검사

혈당,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6)

Table 3. General exercise test

Commute group Walking Cycling Pubic transit

Pre Post Pre Post Pre Post

SBP (mmHg) 121.4±8.3 114.3±12.1* 122.4±15.3 116.6±8.6 121.0±9.1 113.8±8.2* DBP (mmHg) 79.3±7.0 73.3±9.1* 83.6±9.4 76.1±8.5* 75.8±8.3 73.4±10.4 HRrest (bpm) 80.8±11.8 78.7±11.1 77.4±13.3 75.7±14.0 82.5±12.1 81.2±12.1 AT (ml/kg/min) 20.0±4.2 21.4±3.3 21.4±3.9 22.1±3.8 21.3±3.3 22.7±3.6 VO2max(ml/kg/min) 29.5±3.6 34.1±4.0* 28.7±4.1 35.4±5.5* 30.7±4.3 35.6±3.5* Values are mean±SD, *Significant at p<0.05

Table 4. Isokinetic knee extensor/flexor strength at 60 deg/sec

Commute group Walking Cycling Pubic transit

Pre Post Pre Post Pre Post

Knee extensor (NM) 168.8±26.4 164.7±28.0 168.1±25.3 168.1±18.9 183.3±30.2 176.7±27.7 Knee flexor (NM) 86.5±15.7 92.5±17.5* 94.5±12.3 99.4±15.4* 100.2±16.9 102.3±21.4 Values are mean±SD, *Significant at p<0.05, NM: 60 deg/sec knee extensor/flexor strength peak toque

Table 5. Physical fitness test

Commute group Walking Cycling Pubic transit

Pre Post Pre Post Pre Post

HGS (kg) 39.3±6.2 43.1±6.6* 40.3±5.3 43.0±5.1* 43.6±6.5 44.7±4.2 Back strength (kg) 98.5±17.3 102.8±18.4 101.3±19.7 99.3±17.6 103.6±15.1 109.8±13.0* 30 sec sit-up (rep) 21.2±3.7 22.0±2.4 19.7±2.7 20.0±3.2 22.5±3.5 24.0±3.2* S&R (cm) 4.6±7.4 7.7±7.7* 4.2±10.3 7.5±10.7* 4.0±8.8 7.4±8.0* Vertical jump (cm) 47.1±6.1 47.1±6.2 45.7±5.6 46.4±4.7 49.2±8.5 49.7±9.1 BRT (sec) 0.266±0.05 0.251±0.04 0.289±0.06 0.280±0.04 0.265±0.05 0.265±0.04 ECOLS (sec) 34.2±42.2 43.3±37.8 25.2±15.1 36.0±21.8* 34.9±23.1 31.3±25.2 Values are mean±SD, *Significant at p<0.05, HGS: Hand grip strength, rep: Repetition, §S&R: Seat and reach, BRT: Body reaction time,

ECOLS: Eye-closed ond leg stranding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고감도 C반응 단백은 세 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7).

고 찰

걷기와 자전거 운동 전후 비교 분석을 수행한 국내외 선행연 구와 본 연구 결과를 측정 항목별로 대별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체형의 변화를 살펴볼 때, 본 연구에서는 체질량지수 와 체지방률, 허리둘레에서 교통수단 전환 세 그룹 모두 차이 가 거의 없게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선행연구에서는 체질량 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등의 비만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다6-9). 이러한 차별적 결과는 두 가 지의 원인으로 유추할 수 있다. 즉, 8주 동안 저강도의 신체활 동 변화만으로는 비만관련 체형의 변화를 유도하기가 어렵거

(7)

Table 7. Blood test

Commute group Walking Cycling Pubic transit

Pre Post Pre Post Pre Post

Glucose (mg/dL) 97.6±8.1 97.1±2.2 95.5±11.6 97.0±7.9 100.5±9.3 100.5±14.5 TG (mg/dL) 138.6±80.8 141.3±92.0 128.7±45.8 124.3±44.5 170.1±116.7 160.2±108.1 TC (mg/dL) 146.4±24.9 147.0±15.8 167.8±39.3 166.9±26.5 160.7±29.9 157.0±22.2 HDL-C (mg/dL) 38.2±9.4 40.0±9.6 40.0±11.9 41.6±8.5 36.7±6.3 36.8±5.3 LDL-C (mg/dL) 108.2±23.2 107.0±17.6 127.8±35.0 125.2±26.4 123.9±28.4 120.1±22.9 hs-CRP (μg/ml) 0.16±0.3 0.08±0.1 0.08±0.1 0.08±0.1 0.12±0.1 0.13±0.2 Values are mean±SD, *Significant at p<0.05, TG: Triglyceride,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s-CRP: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Table 6. Obesity degree test

Commute group Walking Cycling Pubic transit

Pre Post Pre Post Pre Post

BMI (kg/m2) 25.0±2.4 25.0±2.4 25.2±3.6 25.0±3.5 25.6±2.7 25.5±2.8

%fat (%) 22.6±4.7 22.5±4.5 21.2±6.2 21.2±5.4 21.5±4.7 22.0±4.6

WC (cm) 85.9±7.0 84.9±6.9 88.1±9.8 88.0±10.0 88.1±5.5 87.5±4.9

Values are mean±SD, *Significant at p<0.05, BMI: Body mass index, %fat: Percent fat, §WC: Waist circumference

나 식이섭취 의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아 분석 결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근 수단 전환에 따른 다른 변인들의 유의한 변화를 볼 때 후자를 통제하지 않은 것 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혈압의 변화에서는 통근수단의 전환을 통한 신체활동의 증 가가 혈압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 결과는 제시하 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유산소성 운동의 혈압 변화 를 본 여러 선행연구 결과들과 일치한다9-11,13). 뿐만 아니라 중강도 이 상의 강도 혹은 최대산소섭취량의 70% 이상의 운동에서 혈압 의 감소 효과를 도출하고 있는 선행연구 결과11,12)와 비교할 때, 저강도의 신체활동 변화만으로도 혈압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본 연구는 보여주고 있다. 즉, 일상생활에서 통행수단의 변화와 같 은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작은 변화가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 중 등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줄이고9-13), 모든 사망률의 위험을 감소시켜5) 건강수준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8주간의 통근수단 전환에 따른 신체활동의 증가에 의한 혈액 관련 측정 항목의 비교에서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건 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걷기, 자전거 등의 유산소성 운동 프

로그램7,10) 수행 후 혈중 지질 변화를 본 연구7)와 비슷한 결과

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35 mg/dL 이 하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 전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그 변화의 폭이 정상범위에 있었던 피험자들보다 큰 폭으로 정상 범위 방향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Wood et al. (1991)의 연구에 서와 같이 고밀도 콜레스테롤 초기수준이 낮을수록 그 증가율 이 크다는 분석결과를 뒷받침하여 주는 결과이다14). 이는 통 근수단의 변화를 통하여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심폐기능을 측정하는 운동부하 검사항목의 분석 결과는 선

행연구들9-13)과 마찬가지로 최대산소섭취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최소 주 3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저강도의 도보나 자전거, 대중교통을 이용한 신체

활동의 변화만으로도 심폐기능의 뚜렷한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8)

심폐지구력은 건강관련 체력으로, 그 수준이 낮으면 모든 건강위험요인, 특히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매우 높은 조기사 망률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5).

주당 1,000 kcal의 신체활동은 모든 사망률의 위험을 20-30

% 감소시킨다5)는 선행 연구를 볼 때 교통수단의 전환만으로 도 심폐지구력 뿐만 아니라, 특히 심뇌혈관 질환 위험 감소에 도 큰 기여를 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초체력 측정 항목에서는 실질적으로 도보나 자전거, 대중교통을 이용한 통근 활동이 특정부위의 체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본 연구의 운동 은 저강도의 유산소성 운동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특정 신체부위의 유의한 변화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교통수단별로 몇몇 측정 항목에서 유의한 변화 가 이루어 졌다는 것은 일상생활의 통근활동에서 도보나 자전 거의 이용이 어떤 일부 신체부위의 체력을 부수적으로 증진시 키는 효과도 가질 수 있음을 본 연구 결과는 보여주고 있다8). 기초체력과 관련된 측정 항목에서는 주로 건강관련 항목인 하지의 등속성 근력과 악력, 그리고 배근력의 수치가 향상되

었다12,15). 그러나 이용한 교통수단별로 측정항목별로 통계적

유의성에 있어서는 차별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주로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하였을 경우, 60도 각속도 등속 성 근력 중에서 대퇴굴근과 악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배근력에서는 대중교통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여주 고 있다. 한편, 운동관련 기초체력 항목에서는 대부분의 측정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였으나, 평형성 항목인 눈감고 외발서기 검사에서는 자전거를 이용한 피험자 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12). 이는 자전거를 이용한 신체활동의 증가가 평형성을 향상시키는데, 도보나 대 중교통을 이용하는 신체활동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Kim KS. Traffic related social cost econometrics. stage 2, KOTI, 2001.

2. Yoo GC, Kim NY. Correlation analysis health related act and medical care and medical bills. KIHASA, 2007.

3. Haskell, William L,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updated recommendation for adults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 association. Circulation, 116:1081-1093, 2007.

4.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sev-

enth edition. 2006.

5. Paffenbarger RS Jr, Hyde RT, Wing AL, et al. The associa- tion of changes in physical-activity level and other lifestyle characteristics with mortality among men. N Engl J Med, 328:

538-545, 1993.

6. Byrne HK, Wilmore JH. The effect of a 20-week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resting metabilic rate in previously seden- tary, moderately obese women. Int J Sport Nutr Exerc Metab.

Mar: 11(1):15-31, 2001.

7. Cho JH, Chung JH, Sin MR, Lee JH. Effects of Aerobic Exer- cise Habit on Obesity Linked Factors in Females. J Korean Orthop Assoc, 24(2):141-145, 2006.

8. Park, SK, Kim, EH and Kwon, YC. The effect of combined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immunocyte i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J Korean Orthop Assoc, 23(1):161-167, 2005.

9. Timothy S, Conrad P, James S, Steven N. Effects of different doses of physical activity on cardiorespiratory fitness among sedentary, overweight or obese postmenopausal women with ele- vated blood pressure. JAMA, 297(19):2081-2091, 2007.

10. Ahn JK, Kim C, Bang IK, Kim YJ. Effectiveness of cardiac rehabilitation on exercise capacity and ventricular function in ischemic heart disease patients. J Korean Orthop Assoc, 24(2):

229-236, 2006.

11. Murphy MA, Nevill C, Neville S, Biddle A, Hardman. Accumulating brisk walking for fitness, cardiovascular risk, and psychological health.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10:1468-1474, 2002.

12. Hagberg JM. Physical activity, physical fitness, and blood pressure. NI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physical acti vity and cardiovascular health. bethesda, MD: national insti- tutes of health. 69-71, 1995.

13. Kelley G, McClellan P. Antihypertensiv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 brief meta-analytic review of randomizsed con- trolled trials. Am J Hypertension, 7:115-119, 1994.

14. Wood PD, Stefanick ML, Williams PT, Haskell WL. The ef- fects on plasma lipids of a prudent weight-reducing diet with or without exrecise in overweight men and women. N Engl J Med 325:461-466, 1991.

15. Oh, SD. Effects of lsokinetic exercise programs on the im- provement of muscular power. J Korean Orthop Assoc, 24(2):

186-193, 2006.

수치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in  roll  Vs  drop-out Commute
Table  5.  Physical  fitness  test
Table  7.  Blood  test

참조

관련 문서

As a result of performing a compound exercise of spinning and Zumba for 8 weeks, the change in α-amyla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group (p&lt;.01), and

First, after the Group Art Therapy, the scale of hopelessness depression in the tes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with that before the group

Changes in the level of physical fitness of obese women who performed complex exerci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scle endurance,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DP were significantly elevated ( p= 0.02) and the median concentrations of fibronogen were decreased ( p= 0.021) in abnormal bleeding patients

Complete blood , white blood cell and platelet counts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s (p&lt;0.05), as did. In other tests, PT and aPTT had

The 24hr proteinuria level were increased in kidney with cyclosporine-A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iNOS inhibitor and green tea polyphenol group..

In the change of functional fitness,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cardiopulmonary endurance, wits, and flexibilit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