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Review of Research on Electroacupuncture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Review of Research on Electroacupuncture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pISSN 1229-4292 / eISSN 2508-3619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 149-174 (2017) https://doi.org/10.15204/jkobgy.2017.30.4.149

149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

청연한방병원 한방부인과,

2

청연의학연구소 박어진

1

, 조현정

1

, 조희근

2

ABSTRACT

A Review of Research on Electroacupuncture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o-Jin Park

1

, Hyun-Jeong Jo

1

, Hee-Guen Jo

2

1

Dept.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hung-Yeon Korean Medicine Hospital

2

Chung-Yeon Medical Institute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e for further research by reviewing studies on electroacupuncture (EA)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Methods: Clinical studies concerning the effects of EA for SUI, were obtained from Cochrane Library, PubMed, CNKI, RISS, NDSL, KISS and OASIS.

Results: Forty-five studies met the criteria, which included 33 RCTs, 1 pilot RCT, 4 non-randomized Clinical Trials, 6 Case studies and 1 Orthogonal design study with 3638 patients. There was only one article published in Korea. In these study, the most common primary outcome measurement was the pad test. Most of the studies showed the group treated by EA effe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so, many interventions that combined with EA were found and all complex therapy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than control group. 7 studies observed adverse events (AEs), four of which referred to EA related AEs among them. And 4 studies reported no AEs associated with EA.

Conclusions: Despite several limitations, various studies to prove limited yet effective EA on SUI provides much significance. Subsequent studies conducted by the complementary systematic review of the studies and well-designed clinical trials using the methodological quality will be needed to more firmly valid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EA on SUI.

Key Words: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Electroacupuncture, Female

10 )

Corresponding author(Hee-Guen Jo) : Chung-Yeon Medical Institute, 64, Sangmujungang-ro, Seo-gu, Gwangju, Republic of Korea

Tel : +82-62-371-1075 Fax : +82-62-371-1074 E-mail : jho3366@hanmail.net

(2)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50

Ⅰ. 서 론

복압성 요실금(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은 모든 연령대의 여성에게서 흔하 게 발생하는 건강상 문제로 여러 증상을 통하여 여성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친다

1)

. 국제요실금학회(International Consultation on Incontinence)에서는 재 채기나 기침등과 같은 신체 활동에 의한 불수의적 소변 방출을 SUI로 정의하고 있다

2)

. SUI의 유병률(prevalence)과 관 련하여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는데, 요실 금 환자의 약 50%가 SUI 증상을 보인다 는 연구 등으로 미루어볼 때 SUI가 다 수 여성의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임 을 어렵지 않게 추정할 수 있다

3)

.

SUI의 치료를 위하여 체중감량, 행동 치료, 약물요법, 생식기 내 장치삽입 및 수술적 접근 등의 여러 선택지가 제시되고 있다

4)

. 이들 중 골반저 근육 훈련(Pelvic floor muscle training, PFMT)을 중심으로 하는 물리요법이 SUI치료의 우선적 전 략으로 받아들여져 왔으나, 최근의 SUI 관련 임상시험에서는 수술적 치료의 결 과물이 물리치료보다 더 낫다는 결론을 내놓기도 하였다

5,6)

. SUI의 치료에 대한 근래의 논란을 들여다보면 물리요법을 중심으로 하는 비수술 접근의 경우 장기 간의 치료기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결과 의 편차가 크다는 점에 대하여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7)

. 수술적 치 료의 경우 점차 증가추세이기는 하나 침 습적 처치의 특성상 절박성 요실금내지 는 골반장기탈출(pelvic organ prolapse) 등의 심각한 부작용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를 간과하기 어렵다

8)

. 따라

서 임상적으로는 보다 저침습적이면서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SUI의 치료기법 에 대한 연구가 계속 요구되는 상황이다.

2008년의 동물실험 연구에서는 SUI의 증상완화를 목표로 침치료가 좋은 대안 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9)

, 2017년 이루어진 대규모 무작위대조임상시 험에서는 침전기자극술(Electroacupuncture, EA)이 SUI 환자의 소변 누출량을 유의 미하게 줄였다는 결과가 확인되기도 하 였다

10)

. 그러나 아직까지 체계적 문헌고 찰 수준의 연구에서는 SUI에 대한 침치 료 효과를 평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1)

. 이에, 저자들은 현재까지 SUI에 대하여 유의미한 중재일 것으로 추정되는 EA 관련 임상연구를 임상시험 및 관찰연구 를 포함한 전 영역의 현황을 살핌으로 써, 향후 시행할 체계적 문헌고찰의 연 구가설을 형성하려는 목적으로 본 연구 를 수행하였다.

Ⅱ. 방 법

1. 대 상 1) 선정기준

국제요실금학회의 진단기준에 따라 복 압성 요실금으로 진단된 성인 여성에 대하 여 EA를 중재로 적용한 임상연구를 선 정하였으며, 이때 요역동학 검사의 시행 여부는 고려하지 않았다. 복압성 요실금 은 운동, 재채기, 기침 등으로 발생하는 불수의적 요실금으로써 복압이 증가함에 따라 방광압력이 요도저항력을 넘어서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우 진단한다

2)

.

2) 제외기준

절박성 요실금, 복합성 요실금 등의

(3)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51 다른 종류의 요실금과 관련된 문헌은 배

제하였으며, 요로감염, 비뇨기계 수술, 당 뇨, 뇌졸중, 파킨슨병 등 기저질환에 의 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한 요실금 관련 연 구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단, 복압성 요 실금으로 인한 수술 후 재발한 경우는 포함하였다). 또한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간 또 는 신장에 질환이 있는 경우, 임신 중이 거나 수유 중인 경우 및 박동조율기 (pacemaker)를 사용 중인 경우도 제외 하였다.

2. 연구 선정 기준

연구의 종류 및 작성 언어에 제한을 두 지 않고 2000년 1월 1일 이후부터 2017년 9월 30일 이전의 수행된 모든 연구를 추 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일차문 헌이므로 체계적 문헌고찰 등의 이차문 헌 및 프로토클 연구 등은 제외하였다.

치료중재는 EA에 한정지였고 EA의 다 양한 치료법을 확인하기 위해 EA와 함 께 타 치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논문, 대조군에 EA를 설정한 연구는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일반적인 의미의 침치료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혈지압(Acupressure), 피부전기자극술 등의 중재를 사용한 연 구는 제외하였다.

3. 문헌검색

Cochrane Library(www.cochranelibrary.

com), PubMed(https://www.ncbi.nlm.nih.

gov/pubmed), CNKI(www.cnki.net), RISS (http://www.riss.kr), NDSL(https://www.

ndsl.kr), KISS(http://kiss.kstudy.com), OASIS(oasis.kiom.re.kr)를 기반으로 논 문을 검색하였다. 국외논문검색어는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tress incontinence, SUI,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cupunctur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lectroacupuncture”, “Stress urinary incontinence”+“TCM”으로 설정하였고, 국내논문검색어는 ‘복압성 요실금’,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tress incontinence’

로 하였다.

4. 자료수집 및 분석

최종 선정된 논문에서 발행연도, 발행 국가, 연구유형을 분류하고, 연령, 표본 크기, 비교⋅병행한 다른 치료법, 치료방 법, 평가척도, 결과 및 안전성을 살펴보 았다.

치료방법을 통해 EA가 사용된 혈위, EA의 주파수, 주기, 치료기간 등을 확인 하였고, EA치료의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각 논문에서 보고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위해반응을 모두 검토하였다.

Ⅲ. 결 과

1. 검색결과

최초검색결과 국외논문은 각 데이터베

이스에서 각각 PubMed 31, Cochrane 6,

CNKI 101편, 국내논문은 RISS 7, NDSL

4, KISS 5, OASIS 8편이 검색되어 총

162편의 논문이 추출되었고, 제외기준에

따라 논문을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45개

의 논문이 선정되었다(Fig. 1).

(4)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52

Fig. 1. Flow chart of study selection.

2. 선정된 연구 분석

1) 참가자 및 연구 개요분석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임상연구에 포함 된 피험자는 총 3638명이었다. 참가자 연 령은 18-84세였다. 총 45개의 논문 중 44 편이 중국에서 시행되었고 이중 2편

10,21)

이 영어권저널에 실렸으며 나머지는 중국 에서 출판되었다. 국내논문은 1편으로 한 국에서 출간되었으며 한의복합치료를 이용 한 단일증례 보고였다. 연구디자인은 RCT 33편, Pilot RCT 1편, Non-randomized Clinical Trial 4편, Case series 5편, Case report 1편,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여러 가지 변수와 EA의 관계를 확인하 는 Orthogonal design 1편의 연구가 있었다.

2010년 이전의 논문은 7개, 나머지 2010년 이후에 38개의 논문이 출판되었고 그 중 2014년도에 가장 많은 10편이 출간되었다.

2) 치료도구 (1) 병행 중재

EA치료와 함께 한의치료부터 생활방 식관리까지 여러 치료를 병행하였다. 먼저 한의학적 치료로는 침, 두침, 뜸, 한약, 온침, 매선, 약침 등이 사용되었다. 가장 많이 병행된 치료는 침이었으며 뜸과 한약 이 뒤를 이었다. 사용된 한약은 金匱腎氣丸,

鞏堤湯加减方, 五子衍宗湯 加味, 체질방 (補中益氣湯, 葛根小承氣湯, 葛根大承氣湯), 六味地黃丸과 補中益氣丸 등이 처방되었다 (Table 1). 약침은 자하거약침 1 cc를 관원 에 주입하였고

52)

, 매선은 EA와 같은 혈자리 인 BL23, SP6, CV4, CV3에 자입하였다

43)

.

보조적 치료로는 Biofeedback, PFMT, 방광교육, 생활방식 및 심리적 중재 등 이 있었고, 이중 PFMT가 10편에서 사 용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2) 대조군 중재

본 문헌에서 분석한 SUI관련 임상연 구들에서 대조군으로 설정된 중재는 매 우 다양하였다. Sham EA 6편, 침치료 4편, 매선 1편, 양약(Midodrine hydrochloride 2.5 mg) 3편, 한약 3편, 위약 2편, PFMT 4편, 질 또는 항문을 통한 전기자극 3편, 복합치료 1편이 있었다.

EA치료 자체의 적용방식에서도 자침 깊이의 비교 3편, 변증의 유무, 치료 빈 도, 시술자의 숙련도를 비교한 연구 각 각 1편이 있었다.

한편 EA를 대조군으로써 비교한 연구

는 총 5편으로 다른 치료와 직접 비교를

수행한 연구(head to head trial) 2편, EA

복합치료와 비교한 연구 3편이었다.

(5)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53

(6)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54

(7)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55

(8)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56

(9)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57

(10)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58

(11)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59

(12)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60

(13)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61

(14)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62

(15)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63

(16)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64

3) 혈 위

모든 연구에서 EA에 사용된 혈위가 명시되어 있었다. 한 편의 연구

44)

에서 SUI에 대하여 복수혈과 배수혈을 반드 시 포함하는 5~6개의 혈자리 관련 조합 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Table 2). 고빈 도 혈위는 BL35와 BL33으로 각각 19, 18번이 사용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BL23, BL32, CV3, CV4 등 요천부와 회음부 주 변의 방광경 및 임맥의 혈자리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원위혈의 경우 SP6이 다용 되었다. 한편 10편의 연구에서 사용된

‘骶四穴’은 EA음부신경자극요법(EAPNS, Electroacupuncture pudendal nerve stimulation) 에서 사용하는 혈위로 천미골관절 양옆 1 cm 상부 2혈, 미골 양옆 1 cm 하부 2혈 로 구성되어있다. 시술 깊이는 상부 80-90 mm, 하부 90-110 mm정도로, 요도나 항 문에 느낌이 있도록 자입한다

21)

.

Frequency Acupoints 19 BL35

18 BL33 14 BL23 12 BL32 11 CV3, CV4

10 Sacral four points (骶四穴) 7 SP6

6 BL36, CV6 4 BL31, BL34 2 BL28, CV1, KI2

1 BL13, BL20, BL26, BL40, CV2, CV19, GB28, KI11, ST29, EX-B7 Table 2. Acupoints Used for EA

4) EA의 치료법 및 치료 기간

EA치료법에 있어 연구마다 매우 다양 한 시술 방식을 보고하였으나, 1일 치료 횟수는 모든 연구에서 1회였다. 치료 빈

도는 매일, 격일, 주 3회, 주 5회가 약 82.2%

의 연구에서 시행되었고, 주 3회 치료가 가장 많이 채택되었다. EA의 빈도는 1 편을 제외한 모든 연구에 기록되었고 다 수의 연구에서 저주파 혹은 고주파, 혼합 법 등이 사용되었으며 모두 100 Hz 이하 의 주파수였다. 치료 시간은 짧게는 15분 길게는 60분으로 설정되었고, 28편에서 30분 가장 많았다. 총 치료기간은 최단 2 주에서 최장 12주간 진행되었다.

5) 평가도구

요실금의 정도 측정은 Pad test(1-h, 24-h), Stress test, 요역동학 검사, UDI (Urogenital Distress Inventory), VAS, Scores of OAB, Grouts-Blaivas score, 배 뇨일지로 크게 분별되며, 이를 통해 요 실금 양, 요실금횟수(24-h, 72-h) 등을 측정하였다. 삶의 질(Qol)은 ICIQ-SF (International Consultation on Incontinence Questionnaire-ShortForm), IIQ-7(Incontinence impact questionnaire-7)로 평가하였다. 요 실금 증상의 심각도와 삶의 질을 동시에 평가하는 SUIQQ(Stress and Urge Incontinence an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56)

도 사용되었다. 기타 평가도구는 골반저근 육의 기능을 평가하는 Glazer 골반저근 육 기능평가

57)

와 갱년기 여성에 에스트 로겐(E

2

) 레벨을 측정하였다. 모든 평가 도구 중 최종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데 가장 많이 쓰인 도구는 총유효율(Total effective rate)이었고 총 37회 사용되었 다. 그다음으로 1-h pad test와 ICIQ-SF 가 각각 17, 13회로 다용되었다.

6) 결과 평가

전체적인 결과는 EA를 대조군으로 한

연구 5편을 제외한 나머지 40편에서 모

두 EA 치료군이 통계적으로 더 나은 결

(17)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65 과를 얻었으며, 대조군으로써 EA 치료

군도 결과적으로 호전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대다수의 연구에서 사용 된 총유효율로 보았을 때 적게는 62.2%, 크게는 100%까지 보고되어 각 연구 내 에서 EA 치료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 의미한 SUI의 호전 효과를 나타내었다.

타 치료와 비교에 있어서 양약과 비교 한 3편의 RCT에서 모두 EA치료 시 더 유의한 결과를 얻었고, 부작용 역시 없 거나 덜 유해하였다. 180명이 4주간에 걸 쳐 진행된 연구에서 단독 EA군이 1-h pad test, ICIQ-SF에서 양약보다 유의미 한 결과가 있었다

23)

. EA와 PFMT를 비 교한 2편의 RCT에서 EA가 유의미한 결 과를 냈으나, EA와 PFMT의 결합치료 와 단일 EA 또는 단독 PFMT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결합치료가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12,14,28,35)

. 金匱腎氣丸

27)

, 鞏堤湯加减

31)

, 六味地黃丸과 補中益氣丸

54)

등의 한 약을 사용한 3편의 RCT에서는 한약단 독치료보다 EA와 함께 복합치료를 하거 나 또는 EA 단독 치료하였을 때 유의미 한 효과가 있었다. 단순 침치료와 비교 연구한 2편의 연구에서도 EA의 효과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9,53)

. 한 연구에서는 단순 침치료군은 변증 이후 혈위를 선택하였고 EA군은 Sacral four points에 자침한 결과 단순 침치료군은 1차 치료 30회가 끝날 때까지 100% 증상 개 선이 없었던 반면 EA군은 평균 21회 치 료 후 22명(71.0%)이 호전을 보였다

53)

.

Sham EA와 비교한 RCT 6편은 2014 년 이후에 발표된 논문들이었고, 주관적 평가도구를 최소화하여 1-h Pad test, ICIQ-SF 등 표준화된 평가방법을 채용 했고 결과는 모두 EA에서 유의미하게

보다 좋은 효과를 냈다. 514명의 참여한 대규모 RCT에서는 BL33, BL35에 EA 를 하여 치료직후, 18주, 30주에 F/U을 시행한 결과 모든 평가시점에서 객관적, 환자의 주관적 증상 모두 대조군에 비하 여 유의미하게 나은 결과를 보였다

10)

.

EA 자체의 치료 방법에서는 깊이

30,35,41)

, 빈도

40)

, 시술자의 숙련도

36)

, 변증의 유무

34)

를 비교하였는데, 깊이는 50-100 mm 정 도로 깊게 자침 할수록, 빈도는 주 2회보 다 주 3회 치료가 더 나은 효과를 보였 다. 시술자의 숙련도측면에서는 일반적 인 침치료를 했던 시술자가 EAPNS를 시행한 것과 2년 이상 EAPNS를 다룬 시술자를 비교하였을 때 총유효율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갱년기 여성의 SUI를 변증을 고려한 EA의 효과를 알 아보고자 진행된 연구에서는 CV3와 BL23 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CV3군의 Pad test, ICIQ-SF, E

2

level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반면 BL23군은 오직 E

2

level에서 만 치료 전후 차이가 없었다

34)

.

SUI에 대한 EA 적용시의 장기적 영 향(long term effect)을 확인할 목적의 추적관찰(follow up) 설계를 도입한 임상 연구의 존재여부를 별도로 확인하였다.

총 연구대상 문헌 중 9편이 문헌이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RCT 6편, Case series 3편이 있었다. 기간은 짧게는 8주

39)

, 길게는 2년에서 8년(평균 52.9개월)에 걸쳐 진 행되었다. 한편, 치료 후 재발인원을 확 인한 논문은 2편으로 Wang

39)

등은 한방 복합치료 증례보고를 통해 8주 후 14명 (22.3%), Yang

55)

등은 6개월 후 EA복합 군 3명, 침복합군 0명을 확인하였다.

7) 부작용 보고

총 11개의 연구에서 부작용발생 유무에

(18)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66

대한 보고를 하였고, 그중 4편에서 EA 와 관련된 부작용, 2편에서 양약의 부작 용, 1편에서 한약과 관련된 부작용을 보고 하였다(Table 3). EA관련 부작용이 없 다고 한 연구는 4편이었다. 보고된 부작 용들 중 중증의 위해반응에 해당하는 수 준은 없었으며, 모두 치료중지 후 사라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EA관련 부작용의 종 류별 빈도로는 자침 후 멍, 혈종이 총 16

례로 가장 흔하게 보고되었으며, 그 다음으 로 피로, 자침부위 통증, 심계 등이 보고되 었다. Midodrine hydrochloride에 의한 부 작용은 입마름이 22례로 가장 많았고 두 통, 어지럼증이 뒤를 이었다. 한약을 주 치료로 한 증례보고에서는 얼굴과 사지 의 부작용이 있었고 복용중지 및 처방변 경 후 증상이 완화됨을 보였다.

1

st

author, year Treatment and adverse events (n)

Liu Z

10)

, 2017 EA Fatigue (2), Sharp pain (1), Palpitation (1) Sham EA Subcutaneous hematoma (4), Fatigue (1) Xu H

17)

, 2016 EA Hematoma (2), Persistent pain (1) (VAS 5)

Sham EA Persistent pain (1), Fatigue (1) (Both VAS 4)

Hong L

20)

, 2016 EA None

Lv T

24)

, 2015 EA None

Xu G

30)

, 2014 EA No halo, infection and other AEs

Xu H

32)

, 2014 EA Intolerable pain (1) (VAS 5), Hematoma (2) after acupuncture

Xu G

35)

, 2014 EA None

Mo Q

41)

, 2013 EA Bruising (12), No halo, infection and other AEs He C

45)

, 2011 Midodrine hydrochloride Headache (4), Dizziness (6),

Dry mouth (11)

Bi W

51)

, 2007 EA None

Midodrine hydrochloride Headache (4), Dizziness (7), Dry mouth (11), Piloerection (1) Jeong S

52)

, 2007 Herbal medicine Face and limbs edema (1)

Table 3. Adverse Events Related Treatment

Ⅳ. 고 찰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EA가 SUI의 객관적, 주관적 증상 호전에 대하여 유 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이루어지 고 있음을 복수의 임상연구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 EA는 요실금의 양, 빈도, 야간뇨의 빈도와 관련된 평가에서 대조군 에 비하여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 특히, 요역동학 검사를 통해 ALPP(Abdominal

leak-point pressure; 요누출압), MUCP (Maximal urethral closure pressure; 최 대요도폐쇄압), MUP(Maximum urethral pressure; 최대요도압), SFL(Static functional length; 기능적 요도길이)을 측정한 결과 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호전을 나타내었 다. 또한 주관적인 증상의 호전도와 삶의 질 측면에서도 EA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 쳤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SUI는 주관적 증상만으로 진단이 완료

(19)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67 되지 않으며 신체검사, 요검사, 배뇨 후

잔뇨 등을 포괄한 복합적인 검사가 필요 하다

58)

. 따라서 SUI관련 임상연구에서 어 떠한 진단기준에 따라 피험자를 평가하 였는지 살피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 에서는 국제요실금학회의 SUI 진단기준 하에 참가자들을 결정한 연구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다 수의 임상시험에서는 주관적 호소증상 이외에도 1시간 패드검사(1-h pad test)를 시행하여 누출된 소변의 양이 1 g 이상 측정되는 경우를 진단의 기준으로 포함 하였다. 기타 연구들에서는 요역동학 검 사를 시행하여 방광 순응도, 방광 잔뇨량 등을 측정하였고

29)

, 또 다른 연구에서는 추가 진단 기준으로 질 초음파를 이용한 방광의 각도, 방광과 치골사이 거리, 방 광목(Bladder neck)의 운동성 등을 평가

하였다

49,54,55,59)

. 이상의 분석대상 문헌의

진단 및 피험자 포함기준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문헌에서 보 고하는 EA의 효과가 SUI가 아닌 다른 종류의 질환에 대한 것일 가능성을 배제 하였다.

중재의 효과 및 이에 따라 관련지어 변화하는 SUI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써 45개의 연구 중 20편은 Pad test를 사용하였고, Stress test, 요역동학 검사 각각 1편, UDI, VAS 각각 2편, 1편 은 배뇨일지를 통한 증상변화를 확인하 였다. 또 Scores of OAB, Grouts-Blaivas score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상기의 평가 도구 중 요역동학 검사, Pad test, Stress test, 배뇨일지, SUIQQ, ICIQ-SF, IIQ-7 등처럼 요실금평가에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있는 반면, 일반적으로는 통증의 강도 측정에 활용

되는 VAS나 환자 설문지 평가, 특히 중국 연구에서 다용된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증상 평가법 등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 되지 않은 도구를 1차 평가도구로 사용 한 연구들이 다수 있었다

13,38,47,48,51,56,60,61)

. 이처럼 임상연구간 결과측정의 방법에 있 어 상당한 이질성이 보이기 때문에, 전반 적으로 개별 임상연구들에서 EA와 관련 된 긍정적인 결과가 도출되더라도 메타 분석 등 양적 연구방법을 적용하는데 어 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향후의 EA 관련 임상연구 시행 시 신뢰도와 타 당도가 입증된 객관적 평가도구인 요역동 학 검사, Pad test, Stress test, ICIQ-SF 등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EA가 효과를 드러내는 질환과 증상은

매우 다양한 영역에 걸쳐있으며, 그 기

전 또한 넓은 범위에 걸쳐 가설이 제시

되고 있다. SUI에 대한 EA의 작용기전

을 검토한 한 선행연구에서는 EA가 요

도 괄약근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요

도폐쇄압(Urethral closing pressure)이 증

가함을 확인한 바 있다

62)

. 한편, 척수손

상모델 rat에서 차료(BL32)에 대한 EA의

적용시 배뇨근반사항진이 억제되는 효과

를 기전으로 추정하기도 하였다

63)

. 기타

연구에서도 천골부위에 대한 침치료가

방광 활동성을 억제하거나, 회음부 침자

극에 의한 배뇨수축 억제작용 등을 작용

기전으로 설명하고 있다

64,65)

. 이같은 선

행연구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 포함된

문헌들에서도 BL35, BL33과 같은 천골

주변에 대한 혈위에 대한 EA 적용을 통

하여 요배출량 및 요실금 빈도 등 변수

를 개선시켰다는 보고가 다수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한편, SUI에 선택적 세

(20)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68

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인 Duloxetine을 통 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는데, 기존 연구에서 저주파의 EA가 상기와 유사한 기전으로 세로토닌농도를 증가시키고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낮 추어 SUI에 유효할 수 있음을 규명하기 도 하였다

58,66)

. 이상의 내용들을 통하여 SUI에 대하여 EA가 유효할 수 있는 기 전으로 현재까지 해부학적 근접 부위에 대한 자극 및 내분비계에 대한 작용 등 으로 일부 규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다.

EA의 중재로써의 안전성과 관련하여 총 11편의 연구에서 부작용발생 여부를 보고하였다. 이 중 치료군과 대조군 모 두에서 심각한 위해반응이 보고되지는 않았다. 4편의 연구에서 보고한 EA에 의한 부작용은 시술 후의 국소 혈종, 멍, 통증 등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회복이 가능한 정도의 경증에 머물렀다. 반면, 3편 의 논문에서 대조군으로 채택한 Midodrine hydrochloride은 SUI에 1차로 사용되는 약은 아니지만 α1-adrenergic agonist로 방광목에 작용하여 수축을 일으켜 SUI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약이지만 기 전 상, 약의 본래 효능인 혈압상승이 나 타나 두통,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등 다 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67)

. Sling수술 의 경우 치료효과 측면에서 수술적 접근 중에서는 최근 가장 선호되는 중재이다.

그러나 고침습 중재의 특성상 출혈, 감 염, 배뇨장애, 내장기⋅신경⋅요관의 손 상, 성교통, 하지통증, 과민성 방광, 방광

⋅요도천공 등 여러 부작용들이 따르며 재수술 사례도 종종 보고되고 있다

68,69)

. 본 연구에서 EA는 비교대상이 되는 기 존의 중재들에 비하여 보고되는 위해반

응의 정도가 가벼워 비교적 안전한 중재 임을 보였다. 이 같은 안전성 측면의 우 위가 보다 확고하게 증명되는 경우 SUI 의 치료에 EA가 중재로써 보다 자주 고 려될 이유는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 다. 먼저, 본 연구는 양적 분석을 통한 확고한 결론을 도출하는 체계적 문헌고 찰의 형태를 띠고 있지 않으며, 주제와 관련된 전반적인 동향을 검토하여 가설 을 도출해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주제와 관련된 일부 긍정적인 결 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어떠한 확고한 결 론으로도 연결 지을 수 없다. 또한, 본 연구에 포함된 임상연구들은 중재를 EA 로 한정 지었음에도 불구하고 개별 임상 연구들의 중재에서 매우 큰 이질성이 확 인되었다. 이러한 이질성의 이유 및 경 향성 등에 대하여 상세한 분석 및 지견 을 도출하지 못한 점 또한 본 연구의 한 계로 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넓은 범 위의 연구 경향을 살피고자 하는 연구의 목적상 본 연구의 분석대상 문헌은 무작 위대조 임상시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 한 유형의 임상연구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본 연구에서 긍정적으 로 보고된 연구결과의 무게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뜻하므로 해석에 주의를 요 한다는 점에서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향후 보다 엄격한 포함기준 및

양적 분석의 틀을 갖춘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기 전 수행하는 예비 연구의 성격

을 띠고 있으므로 후속연구의 시행을 통

하여 상기의 한계점을 보완한 연구를 지

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21)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69

Ⅴ. 결 론

여러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서의 동향 고찰을 통하여 다수의 SUI 대상 임상연구에서 EA의 적용을 통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하여 SUI의 치료에 있어 EA가 잠재적으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갖 춘 중재임을 추정해볼 수 있다. 본 연구 에서 살펴본 지견을 연구가설로 설정하 여 향후 상기의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를 시행할 예정이다.

□ Received : Oct 27, 2017

□ Revised : Oct 29, 2017

□ Accepted : Nov 17, 2017

감사의 말씀

본 연구는 청연의학연구소 연구프로그 램 지원에 따라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Novara G, et al.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comparative data on colposuspensions, pubovaginal slings, and midurethral tape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ur Urol. 2010;58(2):218-38.

2. Haylen BT, et al. An International Urogynecological Association (IUGA)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ICS) joint report on the terminology for

female pelvic floor dysfunction. Neurourol Urodyn. 2010;29(1):4-20.

3. Reynolds WS, Dmochowski RR, Penson DF. Epidemiology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Curr Urol Rep.

2011;12(5):370-6.

4. Wood LN, Anger JT.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BMJ. 2014;349:1-11.

5. Dumoulin C, Hay-Smith E, Mac Habée -Séguin G.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versus no treatment, or inactive control treatments, for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5):CD005654.

6. Labrie J, et al. Surgery versus physiotherapy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N Engl J Med. 2013;

369(12):1124-33.

7. Imamura M, et al. Systematic review and economic modelling of the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non-surgical treatments for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Health Technol Assess. 2010;14(40):1-188, iii-iv.

8. Dmochowski RR, et al. Update of AUA guideline on the surgical manage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J Urol. 2010;183(5):1906-14.

9. Chung IM, et al. Effects of acupuncture on abdominal leak point pressure and c-Fos expression in the brain of rats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Neurosci Lett. 2008;439(1):18-23.

10. Liu Z, et al.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Urinary Leakage Among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2)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70

2017;317(24):2493-501.

11. Wang Y, et al. Acupunctur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adul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3;(7):CD009408.

12. Hou W, et 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in Treating Mild-moderate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7;

36(8):956-9.

13. Lin L. 20 cases of female stress incontinence treatmented by moxibustion Yongquan combined with electroacupuncture. Fujia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7;48(3):66.

14. Yang S, et al.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s combined with electrical acupuncture on the treatment for community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Lingnan Modern Clinics in Surgery. 2017;17(4):500-3 15. Yu C, Zhang D, Chen C. Treat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by Electroacupuncture Combined with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A Clinical Observation of 38 Cases. Jiangsu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7;(6):51-3.

16. Tang K, et al. Therapeutic Evaluation of Acupuncture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6;35(12):1439-41.

17. Xu H, et al. A Pilot Randomize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Electroacupuncture for Women with Pur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PLoS One. 2016;11(3)

:e0150821.

18. Tao L, Lu J, Leng W. Orthogonal Design Study on the Best Indications of Electric Acupuncture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6;57(10):843-6.

19. Liu X, et al. Efficacy Observation of Electro-acupuncturing at Zhongliao (BL33) and Huiyang(BL35) o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hinese Journal of Basic Medicine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6;(7):955-7.

20. Hong L, Zhao J. Clinical observation of electro-acupuncture on pudendal nerve stimulation therapy i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patients.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6;31(7):2857-60.

21. Wang S, et al. Efficacy of Electrical Pudendal Nerve Stimulation in Treating Female Stress Incontinence. Urology.

2016;91:64-9.

22. He E, et al. Effective observation of electroacupuncture with different courses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Zhongguo Zhen Jiu. 2016;36(4):351-4.

23. Wang W, et al. Observations on the Therapeutic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Mild and Moderate Female Stress Incontinence.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6;

35(1):47-9.

24. Lv T, et al. Therapeutic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Pudendal Nerve Stimulation Therapy on Failed TVT.

Journal of Clinical Acupuncture and

(23)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71 Moxibustion. 2015;31(12):40-3.

25. Chen Y, Ma R. Clinical Observation of Electroacupuncture at Huiyang(BL35) and Zhongliao(BL33) plus Scalp Acupuncture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5;

34(12):1159-61.

26. Zheng H, et al. Observation on Short-term and Long-term Therapeutic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Mild and Moderat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orld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2015;10(2):

191-3, 209.

27. Cui Y. Therapeutic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combined with Jinguishenqi Pills o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Guangx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5;38(1):43-4.

28. Wen Q. Electroacupuncture combined with Chinese moxibustion and functional training in treat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cta Medicinae Sinica. 2015;28(1):44-6.

29. Xu X, et al. Comparison of electroacupuncture pudendal nerve stimulation with traditional acupuncture points in treatment of real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elderly women.

Chinese Journal of Gerontology. 2015;

35(24):7164-6.

30. Xu G, et al. Clinical Observation of 20 cases on Deep Electroacupuncture at Baliao Point Combined with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Zhejia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49(8):605-6.

31. Zhao Y. Clinical Observations o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Patients with Acupunctur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ournal of Liaoning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16(5):209-11.

32. Xu H, et al. A phase 1 clinical study on the efficacy of electroacupuncture for femal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tress incontinence. China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Pharmacy. 2014;29(12):3755-8.

33. Bao J. Clinical Efficacy and Mechanism of Electroacupuncture Pudendal Nerve Stimulation in the Treat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hina Foreign Medical Treatment. 2014;33:4-5.

34. Shi X, et al. Clinical research of modified acupuncture for the treatment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perimenopausal. Shangha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

48(10):67-8, 73.

35. Xu G, Xaio S, Yao G. Clinical Observation on Deep Electroacupuncture at Baliao Point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Modern Diagnosis & Treatment. 2014;

(24):5551-2.

36. Lu T, Wang S. Comparative Study

of the Efficacies of Different Operators

-performed Electroacupuncture Pudendal

nerve Stimulation in Treating Female

Stress Incontinence.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4)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72

2014;33(3):231-3.

37. Chen S, Zhang F, Wang S. Clinical Observation of Electrical Pudendal Nerve Stimulation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Clinical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4;

30(3):5-8.

38. Su J. Clinical observation of biofeedback monitoring electroacupuncture pudendal nerve stimulation i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hinese Journal of Practical Nervous Diseases. 2014;

17(3):104-5.

39. Wang L, et al. Clinical Observation on 61 Cases of Seni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reated with Combination of Acupunctur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inese Journal of Traditional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4;

21(4):465-6.

40. Zhao L, Wang S. Efficacy impacts of the different treatment frequencies o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13;33(12):1088-90.

41. Mo Q, Liu Z, Ma X. Efficacy observation of electro-acupuncture o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Beiji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3;

32(6):434-6.

42. Zhao L, Wang S. Clinical observation of biofeedback monitoring electroacupuncture pudendal nerve stimulation in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3;32(5):372-4.

43. Ye X, et al. Comparative Study on

Electro-acupuncture and Acupoint Catgut-Embedding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tress Urinary Incontinence.

China Medical Engineering. 2013;21(2) :72-3.

44. Lin D, Gao T, Li J. 30 cases of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treated by warm acupuncture treatment. Journal of External Therap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21(3):47-8.

45. He C, Li Z. Electroacupuncture for femal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tress incontinence. Xinjia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1;

29(1):19-21.

46. Chen L. 35 Cases of Female Urinary Incontinence by Stress Treated by Moxibustion on Salt and Electroacupuncture.

Journal of External Therap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20(6):36-7.

47. Zhou Z, Gao W. 20 Cases of Female Urinary Incontinence by Stress Treated by Electroacupuncture.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0;

29(2):124.

48. Yue J, Deng H, Zheng F. Clinical Observations on Electroacupuncture Warming Moxibustion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handong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8;27(10):688-9.

49. Le X, Wu H, Wang R.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of Female Stress Incontinence by Combined Electroacupuncture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s.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08;27(10):18-9.

(25)

J Korean Obstet Gynecol Vol.30 No.4 November 2017

173 50. Shi J, Gao W. Clinical Observation

of Electroacupunctur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Clinical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07;

23(4):33.

51. Bi W. Clinical Study on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of Female Stress Incontinence.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7;25(6):1284-5.

52. Jeong SY, Kim DI. Case report of th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which is improved by Acupunture treatment and Sasang Constitutional Herbal medication. J Korean Obstet Gynecol.

2007;20(4):210-6.

53. Wang S, Chen G, Li L. “Four sacral needles” therapy for female stress incontinence. Journal of Acupuncture and Tuina Science. 2006;4(3):170-3.

54. Xiong X, et al.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 of Stress Incontinence by Combined Electroacupuncture and Pelvic Floor Muscle Exercises. Chinese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5;27(7):432-3.

55. Yang T, Zhou Q, Zhai K. Clinical Study on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of Female Stress Incontinence. Journal of Sichua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4;22(6):90-1.

56. Kulseng-Hanssen S, Borstad E.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surgery for stress incontinence.

BJOG. 2003;110(11):983-8.

57. Glazer HI. Biofeedback vs electrophysiology.

Rehab Manag. 2005;18(9):32-4.

58. Aoki Y, et al.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Nat Rev Dis Primers.

2017;3:17042.

59. Mouritsen L, Rasmussen A. Bladder neck mobility evaluated by vaginal ultrasonography. Br J Urol. 1993;71(2) :166-71.

60. Lucas MG, et al. EAU guidelines on assessment and nonsurgical manag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Eur Urol. 2012;

62(6):1130-42.

61. Franco AV, Lee F, Fynes MM. Is there an alternative to pad tests?

Correlation of subjective variables of severity of urinary loss to the 1-h pad test i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BJU Int. 2008;102(5) :586-90.

62. Kubista E, et al. Electro-acupuncture's influence on the closure mechanism of the female urethra in incontinence.

Am J Chin Med(Gard City N Y).

1976;4(2):177-81.

63. Yu JN, et al.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t “Ciliao"(BL 32) on c-fos expression in the sacral segment of spinal cord in rats with detrusor hyperreflexia.

Zhen Ci Yan Jiu. 2010;35(3):204-7, 221.

64. Tanaka Y, et al. Effects of acupuncture to the sacral segment on the bladder activity and electroencephalogram.

Psychiatry Clin Neurosci. 2002;56(3) :249-50.

65. Sato A, Sato Y, Suzuki A. Mechanism

of the reflex inhibition of micturition

(26)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전침치료 연구 동향

174

contractions of the urinary bladder elicited by acupuncture-like stimulation in anesthetized rats. Neurosci Res.

1992;15(3):189-98.

66. Tang L, et al. Impacts of the low -frequency electric stimulation at the acupoints on the content of plasma 5-HT and NE in the patients with post-stroke insomnia. Zhongguo Zhen Jiu. 2015;35(8):763-7.

67. Weil E, et al.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evaluation of efficacy and dose finding of midodrine hydrochloride in women with mild to

moderat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 phase II study. Int Urogynecol J Pelvic Floor Dysfunc. 1998;9(3):145-50.

68. Fan Y, Huang Z, Yu D. Incontinence-specific quality of life measures used in trials of sling procedures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a meta-analysis.

Int Urol Nephrol. 2015;47(8):1277-95.

69. Mo S, et al. Sling surgery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Obstet Gynecol. 2014;211(1)

:71.e1-71.e27.

수치

Fig. 1. Flow chart of study selection.
Table 3. Adverse Events Related Treatment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reason for for for for the the the necessity the necessity necessity of necessity of of of doing doing doing doing research research research on research

  Investigation of turnover comes from the job itself and in this study worked in a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Caregiver Stress, Burnout comes from

A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of fixed partial dentures (FPDs) prepared by dental school students: a retrospective study.. A retrospective analysis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Evaluation of prevalance and clinical impact for unknown origin hypereosinophilia patients.. By

근래에 연구되는 격자형 모델은 각 경계범위에서 각기 다른 변수의 영향을 정확 하게 산출하지 못하고 있으나 , 수용모델링을 병행하는 경우 높은 정확도를 추정할

Based on the result of such assessment,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basis for establishment of physical epidemiology research evaluation system